KR20190010516A -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516A
KR20190010516A KR1020180145133A KR20180145133A KR20190010516A KR 20190010516 A KR20190010516 A KR 20190010516A KR 1020180145133 A KR1020180145133 A KR 1020180145133A KR 20180145133 A KR20180145133 A KR 20180145133A KR 20190010516 A KR20190010516 A KR 20190010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ales
clients
smar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988B1 (ko
Inventor
김경준
Original Assignee
김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준 filed Critical 김경준
Priority to KR102018014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9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래 대상인 콘텐츠에 대한 내용을 각 블록에 저장하여 블록을 매개체로 하여 접속된 유저의 콘텐츠 열람 및 구매가 이루어지도록함으로써 데이터 및 서비스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각 블록의 저장된 데이터를 N단계로 분산 공유함으로써 보안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Electronic commerce system based on block}
본 발명은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거래대상인 콘텐츠에 대한 내용을 각 블록에 저장하여 블록을 매개체로 하여 접속된 유저의 콘텐츠 열람 및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및 서비스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각 블록의 저장된 데이터를 N단계로 분산 공유함으로써 보안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산업이 발달하고, 인터넷 인프라가 확장됨에 따라 인터넷이나 PC 통신을 이용해 상품을 판매 및 구매하기 위한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예를 들면, 2015년 전자상거래의 시장 규모는 전세계적으로 1조 5,480억 규모를 형성하고 있고, 2018년까지 매년 대략 15%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의 일종인 오픈마켓(Open Market)은 구매자 및 판매자의 접근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중간 유통 마진을 생략하여 가성비가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수요도 및 적용 분야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아마존(Amazon)’, ‘알리바바(Alibaba)’, ‘지마켓(Gmarket)’ 등의 다양한 오픈 마켓을 이용한 전자상거래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픈 마켓은 1)판매수수료가 과도하게 부가될 뿐만 아니라 2)중개자 없이 판매자 및 구매자의 직거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를 보장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으며, 3)입찰방식으로 광고 대상을 선정함에 따라 판매자간의 경쟁을 유도하여 과도한 광고수수료가 부가되며, 4)오픈마켓 참여자들에 대한 보상이 미비하고, 5)참여자들의 개인정보 등에 대한 보안이 취약한 문제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오픈마켓의 광고는 입찰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형태에 따라 Sponsored Product 캠페인, 검색광고, 배너광고, 메인광고 및 카테고리 광고 등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오픈마켓의 광고방식은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판매 효율이 높은 광고 영역을 얻기 위해 판매자들 사이의 경쟁으로 인해 입찰가가 높아지며, 구매자의 관심도 및 구매활동과 상관없이 모든 구매자에게 동일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광고수수료 대비 판매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국내등록특허 제10-제10-1791961호(발명의 명칭 :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개시된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 장치에는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상에 직접 등록함으로써 원하는 물품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전술하였던 종래의 오픈마켓의 문제점(1 ~ 5)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기술 및 방법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한편, 블록체인은 P2P(Peer-to-peer) 네트워크에 참여한 피어들 또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기 위한 참여자들이 P2P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모든 블록을 복제해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는 컴퓨터 기반의 탈중앙화된 분산 시스템으로서, 종래에는 중앙 집중형 서버에서 데이터 기록, 저장 및 관리가 이루어지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거래 내역이 저장된 블록들을 공유하며 다수의 노드들이 블록들을 대조하는 방식으로 검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데이터 위조 및 해킹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보안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블록체인은 단순히 온라인 가상화폐에만 적용되는 기술이 아니라, 다른 파일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데이터베이스(DB)의 유지 보수 및 보안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들어 블록체인을 적용한 특정 상품의 이력관리, 유통관리, 디지털 콘텐츠의 검증, 문서관리, 카드사용승인, 공인인증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서비스는 보안성은 높일 수 있으나, 각 블록에 특정 행위(거래)에 대한 내역만이 저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전자상거래 서비스 운영을 개선시킬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고, 오히려 블록의 증가는 과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서비스 운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들어, 블록체인이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적용되어 각 블록에 거래 내역이 저장한다고 가정하더라도, 전자상거래의 보안성은 개선시킬 수 있으나, 전자상거래 서비스 운영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서비스는 모든 블록들이 체인으로 연결됨에 따라 1)퍼블릭(Public)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 블록들의 수량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블록 생성 시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체되어 동기화 시간 및 트랜잭션 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과부하가 발생하는 단점을 갖고, 2)프라이빗(Private)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 승인된 참여자들에 한해서만 검증 및 열람 등의 권한이 부여되어 진입 장벽이 높은 단점을 갖는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871468호(발명의 명칭 :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에 개시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생산업체, 가공업체, 유통업체 및 소비자가 소지(설치)한 단말기인 생산업체 단말기(110), 가공업체 단말기(120), 유통업체 단말기(130) 및 소비자 단말기(160)와, 전술하였던 단말기(110), (120), (130)들로부터 이력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결합하여 농수축산물별로 통합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400)와,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블록(B)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인 블록체인(50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기존의 생산물별로 따로 관리된 이력정보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단계까지 통합된 이력을 추적할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1)프라이빗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가정하면, 승인된 참여자들만의 참여가 가능하여 진입장벽이 높은 단점을 갖고, 2)퍼블릭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가정하면, 블록의 수량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동기화 시간 및 트랜잭션 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각 블록(B)에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단계의 거래내역이 저장되어 공유되기 때문에 보안성을 높일 수는 있으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자상거래 서비스 운용에 별도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종래의 블록체인에서와 같이 각 블록에 특정 행위(거래)에 대한 내역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각 블록에 판매대상인 콘텐츠에 대한 내용이 저장됨과 동시에 판매자 계정으로 한 개의 블록이 부여됨으로써 블록들을 기반으로 참여자들의 콘텐츠 열람 및 구매가 이루어져 전자상거래 서비스 운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각 블록이 체인들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객체로 운영되되, 해당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블록들에 N단계로 분산 저장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판매 클라이언트가 구매 클라이언트들의 개인정보를 열람하여 관련도가 높은 구매 클라이언트들에게 광고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고수수료대비 광고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구매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개인정보 제공 및 광고 콘텐츠 열람에 따른 수수료를 지급받도록 공정한 보상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구매 클라이언트의 자발성 및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구매자들이 소지한 디지털 디바이스인 구매 클라이언트들; 판매자들이 소지한 디지털 디바이스인 판매 클라이언트들; DB서버;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들로부터 거래 대상인 콘텐츠, 콘텐츠에 대한 내용을 나타내는 콘텐츠 내용 정보, 거래 가격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등록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된 콘텐츠를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되, 상기 콘텐츠 내용 정보, 상기 거래 가격 및 개인식별정보를 해싱(Hashing)하는 웹서버;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들 각각에게 부여되는 블록(block)들인 스마트 커비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은 상기 웹서버에서 해싱이 이루어질 때,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에게 부여된 스마트 커비홀의 바디로 해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스마트 커비홀들을 참조하여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들에게 등록된 콘텐츠 내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스마트 커비홀에 저장된 데이터는 분산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기 설정된 분산 단계(N), 각 단계에서 분산되는 스마트 커비홀들의 수량을 나타내는 분산 수량(N’) 및 기 설정된 분산 경로에 따라 다른 스마트 커비홀들에 분산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커비홀들 각각은 헤더와, 바디로 구성되고, 상기 헤더에는 해당 스마트 커비홀에 대한 고유 넘버인 커비홀 넘버 정보와, 트랜잭션에 대한 머클트리(Merkle Tree) 최종 값과, 해당 판매자의 전자지갑 주소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바디에는 콘텐츠 내용 정보가 해싱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커비홀들은 체인으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인 객체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판매등록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되,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연산값을 생성하고, 상기콘텐츠 내용 정보, 상기 거래 가격 및 개인식별정보를 해싱할 때, 연산값을 함께 해싱하며, 콘텐츠 복호화 시 해싱된 연산값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커비홀들을 참조하여 현재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들에게 제공하고,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들로부터 특정 콘텐츠 구매를 요청받으면, 해당 콘텐츠의 판매 클라이언트를 중개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웹서버는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정보 열람을 요청받으면,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들에게 개인정보 열람을 허용할 것인지를 묻는 열람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들 중 개인정보 열람을 허용한 열람대상의 개인정보들을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정보들 중 광고대상으로 선택된 판매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으면, 광고대상으로 선택된 판매 클라이언트들의 정보제공주소로 해당 광고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웹서버는 광고 대상으로 선택된 판매 클라이언트들의 정보제공주소로 해당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광고 대상의 수량을 활용하여 광고에 따른 광고수수료를 산출한 후,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에게 산출된 광고수수료를 지급받으며, 지급받은 광고수수료를 상기 광고 대상의 판매 클라이언트들에게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블록체인에서와 같이 각 블록에 특정 행위(거래)에 대한 내역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각 블록에 판매대상인 콘텐츠에 대한 내용이 저장됨과 동시에 판매자 계정으로 한 개의 블록이 부여됨으로써 블록들을 기반으로 참여자들의 콘텐츠 열람 및 구매가 이루어져 전자상거래 서비스 운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블록이 체인들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객체로 운영되되, 해당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블록들에 N단계로 분산 저장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판매 클라이언트가 구매 클라이언트들의 개인정보를 열람하여 관련도가 높은 구매 클라이언트들에게 광고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고수수료대비 광고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개인정보 제공 및 광고콘텐츠 열람에 따른 수수료를 지급받도록 공정한 보상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구매 클라이언트의 자발성 및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871468호(발명의 명칭 :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에 개시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웹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인정보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광고콘텐츠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 커비홀(B)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 커비홀이 분산 저장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1)각 블록에 거래대상인 콘텐츠에 대한 내용이 저장되어 블록을 매개체로 하여 콘텐츠 열람 및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비스 운영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2)블록들이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개체로 운영되기 때문에 동기화 및 트랜잭션 처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3)각 블록의 저장 데이터를 다른 블록들에 N단계로 분산하여 저장함으로써 보안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플랫폼(10)과, 웹서버(3), DB서버(5), 판매 클라이언트(7)들, 구매 클라이언트(9)들, 스마트 커비홀(B)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마트 커비홀(B)은 각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부여되며,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의 거래 대상인 콘텐츠에 대한 모든 내용이 해싱되어 저장되는 블록으로 정의된다.
블록체인 플랫폼(10)은 스마트 커비홀(B)을 생성 및 관리하며, 스마트 커비홀(B)들을 매개체로 하여 접속된 유저들에게 효율적이면서 합리적인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
판매 클라이언트(7)들은 판매자들이 각각 소지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이다.
또한, 판매 클라이언트(7)들은 블록체인 플랫폼(10)에 접속하여 웹서버(3)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거래 대상인 콘텐츠를 판매한다. 이때 인터페이스는 유저로부터 데이터를 요청받거나 또는 요청받은 데이터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전시하여 전자상거래 서비스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GUI, GUX 또는 웹페이지를 의미한다.
상세하게로는 판매 클라이언트(7)들은 블록체인 플랫폼(10)에 접속하여 웹서버(3)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판매등록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때 판매등록데이터는 회원정보, 판매대상인 콘텐츠, 콘텐츠에 대한 내용, 거래가격 및 기타정보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웹서버(3)는 판매 클라이언트(7)들로부터 판매등록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판매등록데이터의 회원정보(개인식별정보), 콘텐츠 내용정보, 거래가격 및 기타정보를 해싱한다. 이때 블록체인 플랫폼(10)은 웹서버(3)에 의해 해싱이 이루어지는 경우, 1)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스마트 커비홀(B)이 이미 부여된 상태이면, 기 생성된 스마트 커비홀(B)에 해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2)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스마트 커비홀(B)이 아직 부여되지 않은 상태이면,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의 스마트 커비홀(B)을 생성하여 해싱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스마트 커비홀(B)을 부여하되, 스마트 커비홀(B)에 판매자 및 콘텐츠에 대한 모든 내용이 저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마트 커비홀(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자상거래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판매 클라이언트(7)는 최초 회원가입 시, 자신의 계정으로 전자지갑을 부여받는다. 이때 판매 클라이언트(7)는 가상화폐, 신용카드, 송금, 소액결제 등의 공지된 결제방식을 통해 전자지갑의 포인트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판매 클라이언트(7)들은 전자지갑의 포인트를 이용하여 웹서버(3)에 광고예치금을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광고예치금은 구매자들에게 광고콘텐츠 제공 시 지급되는 광고수수료에 사용되는 예치금이다.
또한, 판매 클라이언트(7)는 자신의 콘텐츠에 관련된 광고콘텐츠가 기 제작된 경우, 웹서버(3)에 광고콘텐츠를 저장한다.
또한, 판매 클라이언트(7)는 자신의 콘텐츠에 대한 광고를 수행하고자 할 때, 웹서버(3)로 구매 클라이언트(9)들에 대한 개인정보의 열람을 요청한다. 이때 개인정보는 회원정보(나이, 성별, 직업, 개인식별정보 등), 관심목록, 이전까지의 거래내역, 광고를 제공받을 주소인 정보제공주소(문자, SNS, 메일 등)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웹서버(3)는 구매 클라이언트(9)들과 연계하여 개인정보 열람을 허용할 것인지 또는 거절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또한, 판매 클라이언트(7)들은 웹서버(3)로부터 열람을 허용한 구매 클라이언트(9)들에 대한 개인정보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개인정보의 성별, 나이, 직업, 관심목록, 이전까지의 거래내역 등을 참조 및 활용하여 광고를 제공할 구매 클라이언트(9)들을 결정하며, 광고대상으로 결정된 구매 클라이언트(9)들을 포함하는 광고요청 데이터를 웹서버(3)로 전송한다.
이때 웹서버(3)는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광고요청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광고대상으로 결정된 구매 클라이언트들의 수량을 이용하여 광고수수료를 산출하며,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의 광고예치금으로부터 산출된 광고수수료를 차감한 후 건당 광고수수료를 구매 클라이언트(9)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지급한 후, 해당 판매자의 광고콘텐츠를 광고대상으로 결정된 구매 클라이언트들의 정보제공주소(메일, SNS, 문자 등)로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판매자가 판매대상인 콘텐츠와 관련도가 높은 구매자들에게만 광고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관련도가 적은 불특정 다수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방식에 비교하여 광고수수료 대비 광고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고, 구매자는 개인정보 제공으로 인한 광고 콘텐츠 열람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의 자발적인 참여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판매 클라이언트(7)들은 구매 클라이언트(9)로부터 구매 요청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콘텐츠를 구매 클라이언트(9)에게 전송 또는 배송하고, 해당 판매자로의 전송 또는 배송이 완료되어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9)의 구매가 최종 확정되면, 해당 판매자로부터 거래 가격의 포인트를 지갑으로 지급받게 된다. 이때 구매 클라이언트(9)들은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또는 배송 받으면, 전송 또는 배송 받은 콘텐츠를 직접 확인한 후, 콘텐츠의 품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거래를 취소 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품질에 만족하여 구매를 최종 결정하는 경우, 자신의 전자지갑에 예치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거래 가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판매자의 자발적인 콘텐츠 품질 개선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구매 클라이언트(9)들은 구매자들이 각각 소지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이다.
또한, 구매 클라이언트(9)들은 블록체인 플랫폼(10)에 접속하여 웹서버(3)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등록된 콘텐츠를 열람하며, 특정 콘텐츠를 구매한다.
또한 구매 클라이언트(9)는 웹서버(3)로부터 특정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자신의 개인정보 열람을 허용할 것인지를 묻는 열람 요청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를 허용 또는 거절할 수 있으며, 만약 이를 허용하고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광고콘텐츠를 전송받으면, 광고열람에 따른 광고열람 수수료를 자신의 전자지갑에 지급 받는다.
또한, 구매 클라이언트(9)들은 웹서버(3)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리스트를 요청하며, 웹서버(3)로부터 콘텐츠 리스트가 전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다. 이때 콘텐츠 리스트는 카테고리, 시간, 판매자, 가격대 등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구매 클라이언트(9)들은 특정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웹서버(3)로 구매를 요청하고, 차후 해당 콘텐츠를 전송 또는 배송 받으면, 해당 콘텐츠의 품질을 확인하여 구매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 이때 웹서버(3)는 구매 클라이언트(9)로부터 최종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에만,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9)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콘텐츠의 구매가격을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의 전자지갑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거래를 완료시키게 된다.
웹서버(3)는 블록체인 플랫폼(1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7), (9)들에게 스마트 커비홀(B)을 기반으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상세하게로는 접속된 클라이언트(7), (9)들에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서비스를 요청받거나 요청에 따른 결과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또한, 웹서버(3)는 DB서버(5)와 연동한다.
또한, 웹서버(3)는 판매 클라이언트(7)가 판매등록데이터를 입력하면, 1)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등록된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DB서버(5)에 저장함과 동시에 2)판매등록데이터의 회원정보(개인식별정보), 콘텐츠 내용 정보 및 기타정보를 해싱(hashing) 한다. 이때 블록체인 플랫폼(10)은 웹서버(3)에 의해 해싱이 이루어지면,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스마트 커비홀(B)이 이미 부여된 상태인 경우, 기 생성된 스마트 커비홀(B)에 해싱된 데이터를 저장시키고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스마트 커비홀(B)이 아직 부여되지 않은 상태이면,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의 스마트 커비홀(B)을 생성하여 이에 해싱된 데이터를 저장시킨다.
또한, 웹서버(3)는 최초 회원 가입한 클라이언트의 계정으로 전자지갑을 부여한다.
또한, 웹서버(3)는 클라이언트(7), (9)들로부터 전자지갑의 포인트 충전을 요청받으면, 공지된 방식으로 결제를 처리하여 해당 전자지갑에 포인트를 적립한다.
또한, 웹서버(3)는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광고 대상인 판매 클라이언트(7)들을 포함하는 광고 요청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광고 대상이 판매 클라이언트(7)들의 수량에 따른 광고수수료를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의 광고 예치금으로부터 차감한 후, 이를 광고를 제공받을 구매 클라이언트(9)들의 전자지갑으로 지급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1)판매자가 구매자의 개인정보(관심목록, 거래내역, 성별, 나이, 직업 등)를 고려하여 자신의 콘텐츠에 적합한 구매자들을 선별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비용대비 광고 콘텐츠의 활용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2)구매자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 콘텐츠 열람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웹서버(3)는 주기적으로 스마트 커비홀(B)들에 저장된 콘텐츠 내용을 참조하여 현재 판매 대상으로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리스트를 실시간으로 생성 및 갱신한다.
또한, 웹서버(3)는 구매 클라이언트(9)로부터 리스트를 요청받으면, 콘텐츠 리스트가 전시되는 인터페이스를 구매 클라이언트(9)에게 제공한다. 이때 콘텐츠 리스트는 카테고리, 시간, 판매자, 가격대 등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3)는 구매 클라이언트(9)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구매를 요청받으면,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구매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9)에 의해 콘텐츠 구매가 최종 결정되면,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9)의 전자지갑의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한 후 거래를 종결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구매자가 해당 콘텐츠를 전송 또는 배송 받은 이후에, 구매를 최종 결정하기 때문에 콘텐츠의 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우 최종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아 판매자들이 자발적으로 콘텐츠에 대한 질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자연스럽게 높일 수 있다.
DB서버(5)는 콘텐츠들과, 광고 콘텐츠들이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도 3은 도 2의 웹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웹서버(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데이터 송수신부(31), 인터페이스부(32), 콘텐츠 등록부(33), 리스트 생성 및 갱신부(34), 개인정보 처리부(35), 광고 콘텐츠 처리부(36), 거래 관리부(37), 해싱부(38), 스마트 커비홀 데이터 수정부(39)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웹서버(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 대상(31), (32), (33), (34), (35), (36), (37), (38), (3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블록체인 플랫폼(10)으로 클라이언트(7), (9)들이 접속되면, 인터페이스부(32)를 제어하여 인터페이스부(32)에 의해 클라이언트(7), (9)들에게 적합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데이터 송수신부(31)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터페이스부(32)는 기 제작된 인터페이스들을 접속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요청 또는 요청 결과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32)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회원가입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판매 등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구매자로부터 콘텐츠 리스트를 요청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콘텐츠 리스트가 전시되는 인터페이스, 거래 절차를 안내하는 인터페이스, 포인트 적립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공지된 다양한 디자인, 구성 및 설계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콘텐츠 등록부(33)는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판매 등록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동작되며, 입력된 판매 등록 데이터의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DB서버(5)에 저장함과 동시에 판매 등록 데이터의 개인정보 및 콘텐츠 내용 정보를 해싱부(38)로 입력한다.
또한 콘텐츠 등록부(33)는 콘텐츠를 암호화여 DB서버(5)에 저장할 때, 차후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 하는데 필요한 연관값을 생성한 후, 연관값을 해싱부(38)로 입력한다. 이때 해싱부(38)로 입력된 연관값은 해싱부(38)에 의해 해싱된 후, 블록체인 플랫폼(10)에 의해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의 스마트 커비홀(B)에 저장됨으로써 차후 거래가 확정되어 구매 클라이언트(9)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스마트 커비홀(B)에 해싱되어 저장된 연관값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복호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판매 등록 데이터의 콘텐츠를 제외한 데이터들은 스마트 커비홀(B)에 해싱화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으나, 콘텐츠는 DB서버(5)에 저장되기 때문에 다른 데이터들에 비해 보안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도록 콘텐츠를 암호화시켜 DB서버(5)에 저장함과 동시에 암호화에 관련된 연관값을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의 스마트 커비홀(B)에 해싱하여 저장함으로써 콘텐츠 보관의 보안을 개선하였다.
리스트 생성 및 갱신부(34)는 스마트 커비홀(B)들을 참조하여 현재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들에 대한 리스트를 실시간 생성 및 갱신한다.
또한, 리스트 생성 및 갱신부(34)에 의해 생성된 리스트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구매 클라이언트(9)로부터 리스트를 요청 받는 경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9)에게 제공된다.
도 4는 도 3의 개인정보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개인정보 처리부(35)는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개인정보 검색을 요청받을 때 동작된다.
또한, 개인정보 처리부(35)는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구매 클라이언트(9)들의 개인정보 검색을 요청받는 입력모듈(351)과, 구매 클라이언트(9)들에게 개인정보 열람을 요청하는 열람요청모듈(352)과, 구매 클라이언트(9)들과 연동하여 개인정보 열람을 허용하는 구매 클라이언트(9)들을 판별하는 열람대상 판별모듈(353)과, 열람대상 판별모듈(353)에 의해 열람을 허용한 구매 클라이언트(9)들에 대한 개인정보를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전송하는 개인정보 전송모듈(354)로 이루어진다.
입력모듈(351)은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구매 클라이언트(9)들에 대한 개인정보 열람을 요청받는다.
열람요청모듈(352)은 입력모듈(351)을 통해 개인정보 열람을 요청받을 때 동작되며, 구매 클라이언트(9)들에게 개인정보 열람을 요청한다. 이때 구매 클라이언트(9)들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개인정보 열람을 허용할 것인지 또는 거절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열람대상 판별모듈(353)은 열람요청모듈(352)에 의한 구매 클라이언트(9)들의 결정(허용 또는 거절)에 따라 열람 가능한 판매 클라이언트(7)들을 판별한다.
개인정보 전송모듈(354)은 열람대상 판별모듈(353)에 의해 열람대상으로 판별된 구매 클라이언트(9)들의 개인정보를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전송한다.
도 5는 도 3의 광고 콘텐츠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광고콘텐츠 처리부(36)를 살펴보면, 광고콘텐츠 처리부(36)는 광고콘텐츠 등록모듈(361)과, 광고수수료 산출모듈(362), 광고수수료 처리모듈(363), 광고콘텐츠 전송모듈(364)로 이루어진다.
광고콘텐츠 등록모듈(361)은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등록요청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동작되며, 입력된 콘텐츠를 DB서버(5)에 저장함과 동시에 등록요청 데이터의 콘텐츠 내용정보 및 개인정보를 전술하였던 도 3의 해싱부(38)로 입력한다.
광고수수료 산출모듈(362)은 전술하였던 도 4의 개인정보 전송모듈(356)을 통해 개인정보를 열람한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광고콘텐츠를 제공할 광고대상이 결정될 때 동작되며, 광고대상인 구매 클라이언트(9)들의 수량 및 기 설정된 건당 광고수수료를 활용하여 광고수수료를 산출한다.
광고수수료 처리모듈(363)은 광고수수료 처리모듈(362)에 의해 산출된 광고수수료가 산출되면,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가 예치한 광고예치금을 산출된 광고수수료와 비교하여 광고예치금이 광고수수료 보다 많은 경우 광고예치금에서 광고수수료를 차감시킨다. 이때 광고예치금이 광고수수료 보다 작은 경우,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에게 광고예치금의 충전을 요청한다.
또한 광고수수료 처리모듈(363)은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의 광고예치금에서 광고수수료를 차감하면, 광고콘텐츠를 제공받을 광고대상인 구매 클라이언트(9)들 각각의 전자지갑으로 건당 광고수수료를 지급한다.
광고콘텐츠 전송모듈(364)은 광고수수료 처리모듈(363)에 의해 광고수수료 지급이 완료될 때 동작되며, 광고대상인 구매 클라이언트(9)들의 정보제공주소로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7)의 콘텐츠를 전송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거래관리부(37)를 살펴보면, 거래관리부(37)는 구매 클라이언트(9)로부터 구매요청 데이터를 전송받을 때 동작되며, 구매 클라이언트(9)로부터 구매를 요청받으면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9) 및 판매 클라이언트(7) 사이에서 콘텐츠 거래에 관련된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콘텐츠는 DB서버(5)에 암호화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외부로 전송되기 위해서는 우선 복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거래관리부(37)는 구매 클라이언트(9)로부터 구매를 요청받으면,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의 스마트 커비홀(B)에 저장된 연관값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복호화 시켜 구매 클라이언트(9)에게 전송한다.
또한 거래관리부(37)는 해당 콘텐츠를 전송 또는 배송 받은 구매 클라이언트(9)로부터 최종적으로 구매를 결정하겠다는 구매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의 전자지갑의 포인트에서 거래가격을 차감시킨 후 해당 포인트를 판매 클라이언트의 전자지갑으로 지급시킴으로써 거래를 종결시킨다.
또한 거래관리부(37)는 거래가 종결되면, DB서버(5)에 저장된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의 이전 거래내역을 갱신한다.
해싱부(38)는 도 3의 콘텐츠 등록부(35)에 의해 판매 클라이언트(7)로부터 콘텐츠 판매를 등록받을 때 동작되며, 입력된 콘텐츠 내용정보 및 개인식별정보와, 콘텐츠 등록부(33)로부터 입력된 연관값을 해싱(Hashing)한다. 이때 해싱부(38)에 해싱된 데이터는 블록체인 플랫폼(10)에 의해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 계정의 스마트 커비홀(B)에 저장된다.
스마트 커비홀 데이터 수정부(39)는 판매 클라이언트(7)의 요청에 따라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 계정의 스마트 커비홀(B)의 바디에 저장된 트랜잭션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한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 커비홀(B)은 해당 계저의 유저의 선택에 따라 콘텐츠 내용의 수정 또는 삭제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 커비홀(B)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블록체인 플랫폼의 블록(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910) 및 바디(920)로 이루어진다.
헤더(910)에는 해당 스마트 커비홀에 대한 고유 넘버인 커비홀 넘버 정보와, 스마트 커비홀의 기술 버전 정보와, 해당 스마트 커비홀의 생성 일자와, 해당 스마트 커비홀에 저장된 정보의 최종 수정(변경, 수정, 삭제 등) 일자와, 판매자 고유 넘버와, 트랜잭션에 대한 머클 트리(Merkle Tree) 최종 값과, 해당 판매자의 전자지갑 주소 정보가 저장된다.
바디(920)에는 트랜잭션 정보(#1 ~ #N)들이 저장된다.
이때 트랜잭션 정보는 해당 콘텐츠의 내용정보 및 개인식별정보가 저장되고, 콘텐츠 내용정보에는 콘텐츠에 대한 분류, 명칭, 설명, 가격 등이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 커비홀(B)의 바디(920)에는 종래에서와 같이 거래내역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판매자 및 콘텐츠에 관련된 모든 내용들이 저장되기 때문에 전자상거래에 적용될 때, 구매자들이 스마트 커비홀(B)의 블록들을 참조하여 콘텐츠들에 대한 내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데이터 파일의 보안성 및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마트 커비홀(B)의 프로토콜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 데이터 분산 관리 및 운영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 커비홀이 분산 저장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커비홀(B)은 종래의 블록체인과 같이 블록들이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객체로 운영되기 때문에 특정 스마트 커비홀(B)에 대한 해킹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복구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커비홀(B)의 데이터를 다른 스마트 커비홀들에 N단계로 분산 저장시켜 특정 스마트 커비홀(B)의 보안성을 강화시키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 커비홀(B)에 저장된 데이터는 분산단계(N), 분산수량(N‘) 및 분산경로를 통해 복수개의 다른 스마트 커비홀들에 분산 저장된다. 이때 분산단계(N)는 분산되는 단계의 개수를 나타내고, 분산수량(N’)은 각 단계에서 분산되는 스마트 커비홀들의 수량을 나타내고, 분산단계(N) 및 분산수량(N’)은 기 설정되고, 분산경로를 기 설정되거나 또는 랜덤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커비홀(B)의 분산단계(N)가 3단계이고, 각 노드로부터 분산되는 분산수량이 3개라고 가정할 때, 스마트 커비홀(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2단계에서 노드(A), (B), (C)의 3개의 노드로 분산 저장된다.
또한 3단계에서 노드(A), (B), (C)들 각각은 3개의 노드(A1, A2, A3), (B1, B2, B3), (C1, C2, C3)들로 분산 저장되기 때문에 스마트 커비홀(B)의 데이터는 총 9개의 노드들에 분산 저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종래의 블록체인에서와 같이 각 블록에 특정 행위(거래)에 대한 내역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각 블록에 판매대상인 콘텐츠에 대한 내용이 저장됨과 동시에 판매자 계정으로 한 개의 블록이 부여됨으로써 블록들을 기반으로 참여자들의 콘텐츠 열람 및 구매가 이루어져 전자상거래 서비스 운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각 블록이 체인들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객체로 운영되되, 해당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블록들에 N단계로 분산 저장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판매 클라이언트가 구매 클라이언트들의 개인정보를 열람하여 관련도가 높은 구매 클라이언트들에게 광고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고수수료대비 광고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1)은 구매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개인정보 제공 및 광고콘텐츠 열람에 따른 수수료를 지급 받도록 공정한 보상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구매 클라이언트의 자발성 및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1: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3:웹서버
5:DB서버 7:판매 클라이언트 9:구매 클라이언트
10:블록체인 플랫폼 30:제어부 31:데이터 송수신부
32:인터페이스부 33:콘텐츠 등록부 34:리스트 생성 및 갱신부
35:개인정보 처리부 36:광고콘텐츠 처리부
37:거래관리부 38:해싱부
39:스마트 커비홀 데이터 수정부 B:스마트 커비홀
910:헤더 920:바디

Claims (8)

  1.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구매자들이 소지한 디지털 디바이스인 구매 클라이언트들;
    판매자들이 소지한 디지털 디바이스인 판매 클라이언트들;
    DB서버;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들로부터 거래 대상인 콘텐츠, 콘텐츠에 대한 내용을 나타내는 콘텐츠 내용 정보, 거래 가격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등록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된 콘텐츠를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되, 상기 콘텐츠 내용 정보, 상기 거래 가격 및 개인식별정보를 해싱(Hashing)하는 웹서버;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들 각각에게 부여되는 블록(block)들인 스마트 커비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은
    상기 웹서버에서 해싱이 이루어질 때, 해당 판매 클라이언트에게 부여된 스마트 커비홀의 바디로 해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스마트 커비홀들을 참조하여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들에게 등록된 콘텐츠 내용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각 스마트 커비홀에 저장된 데이터는
    분산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기 설정된 분산단계(N), 각 단계에서 분산되는 스마트 커비홀들의 수량을 나타내는 분산수량(N’) 및 기 설정된 분산경로에 따라 다른 스마트 커비홀들에 분산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커비홀들 각각은 헤더와, 바디로 구성되고,
    상기 헤더에는 해당 스마트 커비홀에 대한 고유 넘버인 커비홀 넘버 정보와, 트랜잭션에 대한 머클트리(Merkle Tree) 최종 값과, 해당 판매자의 전자지갑 주소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바디에는 해싱된 콘텐츠 내용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커비홀들은 체인으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인 객체로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판매등록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되,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연산값을 생성하고,
    상기콘텐츠 내용 정보, 상기 거래 가격 및 개인식별정보를 해싱할 때, 연산값을 함께 해싱하며, 해싱된 연산값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복호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커비홀들을 참조하여 현재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들에게 제공하고,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들로부터 특정 콘텐츠 구매를 요청받으면, 해당 콘텐츠의 판매 클라이언트를 중개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정보 열람을 요청받으면,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들에게 개인정보 열람을 허용할 것인지를 묻는 열람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들 중 개인정보 열람을 허용한 열람대상의 개인정보들을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개인정보들 중 광고대상으로 선택된 판매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으면, 광고대상으로 선택된 판매 클라이언트들의 정보제공주소로 해당 광고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광고대상으로 선택된 판매 클라이언트들의 정보제공주소로 해당 광고콘텐츠를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광고대상의 수량을 활용하여 광고에 따른 광고수수료를 산출한 후, 상기 판매 클라이언트에게 산출된 광고수수료를 지급받으며, 지급받은 광고수수료를 상기 광고대상의 판매 클라이언트들에게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20180145133A 2018-11-22 2018-11-22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221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33A KR102217988B1 (ko) 2018-11-22 2018-11-22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33A KR102217988B1 (ko) 2018-11-22 2018-11-22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516A true KR20190010516A (ko) 2019-01-30
KR102217988B1 KR102217988B1 (ko) 2021-02-18

Family

ID=6527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133A KR102217988B1 (ko) 2018-11-22 2018-11-22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9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976A (ko) * 2019-04-23 2020-11-02 주식회사 이루온 Rcs 제공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데이터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0534A (ko) * 2019-05-08 2020-11-19 주식회사 동영산업 블록체인 기반의 배터리 관리시스템
KR20200139007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제닉스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5929B1 (ko) * 2020-01-29 2021-04-29 (주)소셜인프라테크 가상자산 예치를 통한 디앱 사용자 수수료 거래방법
KR20210129381A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스쿱 3d 모형 설계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534A (ko) * 2005-04-08 2005-11-25 (주)인테고소프트 디지털콘텐츠 사용권거래 중계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40061599A (ko) * 2012-11-13 2014-05-22 인크로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형 광고 서비스 방법
KR101628005B1 (ko) * 2015-02-05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534A (ko) * 2005-04-08 2005-11-25 (주)인테고소프트 디지털콘텐츠 사용권거래 중계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40061599A (ko) * 2012-11-13 2014-05-22 인크로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형 광고 서비스 방법
KR101628005B1 (ko) * 2015-02-05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TNCHAIN Network Technology" (2018.08.15.) 1부.*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976A (ko) * 2019-04-23 2020-11-02 주식회사 이루온 Rcs 제공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데이터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0534A (ko) * 2019-05-08 2020-11-19 주식회사 동영산업 블록체인 기반의 배터리 관리시스템
KR20200139007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제닉스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5929B1 (ko) * 2020-01-29 2021-04-29 (주)소셜인프라테크 가상자산 예치를 통한 디앱 사용자 수수료 거래방법
KR20210129381A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스쿱 3d 모형 설계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988B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0206B2 (ja) 自己規制取引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ならびに、プログラム
TWI822653B (zh) 以令牌化來進行以區塊鏈為基礎的匯兌
US100557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cing and exchanging content
KR20190010516A (ko)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US8712863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ventory, sale, and delivery of digitally transferable goods
WO2020014580A1 (en) Compute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s
CN114096977A (zh) 代币化平台
US20090006243A1 (en) Networked Electronic Trading System
KR100675286B1 (ko)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거래하는 방법
KR102343615B1 (ko) 예술 작품 거래와 정보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669224B1 (ko)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컨텐츠 거래하는 방법
KR20010027764A (ko)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정보 거래 방법
US20110178932A1 (en) Artistic work download transaction (awdt)
KR102572638B1 (ko)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KR20020079244A (ko)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 또는 아이템 거래시스템 및 그거래중개방법
KR102013526B1 (ko) 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089A (ko)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496239B1 (ko) 통합 마일리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 체인 기반의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서비스 시스템
US200300440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brokered transactions
KR100962694B1 (ko) 정보 중개 방법
KR102456619B1 (ko) 블록체인 기반 n 차 티켓 경매배당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8698B1 (ko) 블록체인 기반 리셀 상품 거래 방법
KR101421604B1 (ko) 리턴 판매 시스템
KR102163375B1 (ko) 블록체인 방식으로 공유 정보를 검증하는 공유 리워드 시스템
JP2002133110A (ja) 著作物証券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