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089A -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089A
KR20200033089A KR1020190000558A KR20190000558A KR20200033089A KR 20200033089 A KR20200033089 A KR 20200033089A KR 1020190000558 A KR1020190000558 A KR 1020190000558A KR 20190000558 A KR20190000558 A KR 20190000558A KR 20200033089 A KR20200033089 A KR 20200033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ryptocurrency
transac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626B1 (ko
Inventor
조해나
이우영
Original Assignee
조해나
이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해나, 이우영 filed Critical 조해나
Publication of KR2020003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탈 중앙식 암호화폐 거래소 시스템 또는 하이브리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암호화폐에 대한 사용자들의 매도 및 매수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 신속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DISTRIBUTED SELLING AND BUYING SYSTEM AND METHOD OF ENCRYPT CURRENCY TRANSACTION}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 중앙식 암호화폐 거래소 시스템 또는 하이브리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암호화폐에 대한 사용자들의 매도 및 매수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 신속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호화폐란 컴퓨터 등에 정보 형태로 남아 실물 없이 사이버상으로만 거래되는 전자화폐의 일종이다.
초기에 암호화폐는 눈에 보이지 않고 컴퓨터상에 표현되는 화폐라고 해서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또는 가상화폐 등으로 불렀지만 최근에는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는 화폐라는 의미로 암호화폐라고 칭하기도 한다.
암호화폐는 화폐 발행에 따른 생산 비용이 들지 않아 이체 비용 등 거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실물 없이 사이버 상으로만 거래되고 있는 네트워크 형 전자화폐이기 때문에 보유 수량에 제한이 없으며, 중간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어 즉각적으로 거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암호화폐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암호화폐의 가치가 높아져, 암호화폐와 연관된 다양한 산업들이 발생하였고, 사람들간의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암호화폐 거래소가 증가하였다.
종래의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이루어지는 매도 매수 거래방식은 거래소의 중앙 월렛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입출금 한 암호화폐를 보관 및 관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암호화폐 거래소의 방식은 하나의 거래소 중앙 월렛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들의 암호화폐를 보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암호화폐의 보안성에 문제가 생기게 되었고, DB데이터 상에서 거래요청에 관한 내용을 처리하고 거래가 승인 된 시점에 암호화폐 매도 및 매수 요청에 대한 이체를 완료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거래가 완료된 시점에도 암호화폐는 매도자/매수자 간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거래소 중앙 월렛에 보관되어 있다가 거래소 외부로 이체를 요청할 경우에만 그 이체가 완료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청에 즉각 대응하기 어려운 점 또한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암호화폐 거래소의 거래 방식을 변경하여 등장한 방법이 개별 월렛을 통한 암호화폐 거래를 중개하는 탈 중앙화 거래소 시스템이다.
탈 중앙화 거래소 시스템은 거래소의 복수의 사용자들의 개별 월렛 간의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를 거래소에서 진행하여 사용자들의 월렛 간 암호화폐 이동을 시키는 시스템이다.
개별 월렛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방법은 거래소의 중앙 월렛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들의 개별 월렛 간에 암호화폐가 이동하는 것으로 중앙 월렛에서 이동하는 종래의 암호화폐의 이동보다 보안을 더 강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바로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이 다른 사용자의 거래 요청 내용과 정확히 일치해야만 거래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거래의 진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과 같이, 매도자 월렛(10)으로부터 매수자 월렛(20)으로 예를 들면, 10 BTC(비트코인)을 매도하는 거래인 경우, 매도자의 10 BTC 매도와 매수자의 10 BTC 매수에 대한 거래 내용이 일치해야만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10 BTC 이외의 다른 단위의 거래는 신속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도자가 10 BTC의 매도 거래를 요청하는 경우, 하나의 매도 거래 요청에 대하여 예를 들면, 3 BTC의 매수 거래를 요청하는 매수자, 2 BTC의 매수 거래를 요청하는 매수자 및 5 BTC의 매수 거래를 요청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분할하여 매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73073호(발명의 명칭: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 화폐 거래방법)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탈 중앙식 암호화폐 거래소 시스템 또는 하이브리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암호화폐에 대한 사용자들의 매도 및 매수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 신속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은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요청을 생성하며, 생성된 거래 요청을 분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거래 내용을 거래 원장(元帳)으로 저장 및 관리하며, 매칭된 거래 요청을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이체를 처리하는 메인넷으로 전송하여 암호화폐의 거래가 진행되도록 관리하는 거래소 시스템부를 포함한다.
또한, 거래소 시스템부는 복수의 사용자 간에 한건의 암호화폐 매물을 부분적으로 분할하여 분산 거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거래소 시스템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부, 사용자 1 단말부, 사용자 2 단말부 내지 사용자 n 단말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수신하는 웹 서버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생성하는 프라이스 서버부;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분류하여 기(예전에 이미 생성되어 매칭되지 않고 대기중인)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분류된 거래 요청을 매칭하는 매칭 서버부; 상기 매칭된 거래 요청을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이체를 처리하는 거래소 외부의 메인넷으로 전송하는 메인넷 서버부; 및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거래 내용을 거래 원장으로 관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렛저(Ledger) 서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부 및 메인넷 서버부는 사용자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소 외부의 암호화폐 메인넷으로부터 실제 이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렛저 서버부는 매칭된 암호화폐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방법은 a) 웹 서버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부, 사용자 1 단말부, 사용자 2 단말부 내지 사용자 n 단말부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부로부터 사용자의 암호화폐에 대한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렛저 서버부가 a)단계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거래 원장으로 관리하는 단계; c) 매칭 서버부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분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매칭하는 단계; d) 메인넷 서버부가 매칭된 거래 내용을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이체를 처리하는 거래소 외부의 메인넷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렛저 서버부가 c) 단계에서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를 거래 원장으로 관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a) 단계 및 d) 단계는 사용자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의 메인넷으로부터 실제 이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체 정보를 프라이스 서버부 또는 렛저 서버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 단계는 렛저 서버부가 매칭된 암호화폐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 중앙식 암호화폐 거래소 시스템 또는 하이브리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암호화폐에 대한 사용자들의 매도 및 매수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 신속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탈 중앙식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사용자간 거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의 거래소 시스템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및 매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의 거래소 시스템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및 매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은 암호화폐 거래소 시스템에서 암호화폐의 거래중에 사용자들의 매도 및 매수 거래를 분산하여 특정 단위의 암호화폐 매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 매도 및 매수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래소 시스템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래소 시스템부(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임의의 사용자에게 사용자별로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500)을 개설하여 제공한다.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500)은 각 사용자마다 가지고 있는 사용자 월렛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거래소 시스템부(100)내에서 사용자의 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거래소 시스템부(100)에 의해 생성된 월렛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암호화폐는 기본적으로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500)에 저장되어 있다. 거래소 시스템부(100)내의 거래소 월렛은 사용자의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있지 않다.
다만, 거래소 시스템부(100) 내의 거래소 월렛은 각 사용자들이 암호화폐 거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거래소가 적어도 하나의 매도 및 매수 당사자간의 신뢰를 보장하기 위한 일정량의 암호화폐를 보관할 수 있을 뿐이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암호화폐 전체를 보관하고 있지는 않다.
여기에서,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500)은 블록체인 기술과 연계된 암호화폐를 보관, 송/수신 및 거래하기 위한 사용자의 정보와 암호키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에서의 월렛은 모바일과 PC에 설치되는 "Client 월렛"과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한 "Web" 월렛으로 된 소프트웨어 월렛과 USB와 같이 실제로 존재하며 암호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해주는 하드웨어 월렛, 종이에 인쇄하여 자신만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종이월렛 그리고 거래소에서 거래를 쉽게 하기 위해 만들어준 거래소 월렛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의 모바일과 PC에 설치되는 "Client 월렛"은 Full node를 통해 거래의 진위를 판별함으로써 해당 코인의 블록체인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풀노드 클라이언트(Full Node Client Wallet) 설치형 지갑과 온라인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때문에 동기화가 비교적 빠른 씬 클라이언트(Thin Client Wallet) 설치형 월렛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한 "Web" 월렛은 만들기 쉽고, 저장용량을 차지하지 않으며 동기화 시간이 필요 없지만 웹사이트가 다운되거나 해킹되면 코인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Web" 월렛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지만 플러그인 방식의 별도 설치를 거쳐 사용하는 씬 클라이언트 웹 월렛(Thin Client Web Wallet)과 인터넷 브라우저만을 접속해서 사용 가능한 웹 월렛(Just Web Wallet)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월렛은 온라인에 연결되어 거래가 직접 가능한 핫월렛(Hot Wallet)과 암호화폐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온라인과 연결을 끊은 콜드월렛(Cold Wallet)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암호화 기술에는 대칭과 비대칭 암호화 기술이 있다. 대칭적 암호화 설정 방식은 우리에게 익숙한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word)가 일치하면 암호가 풀리는 것이다.
비대칭 암호화 기술은 공개키(Public-Key)와 개인키(Private-Key)로 나뉘어져 암호화된 내용에 대한 전면적인 접근 권한이 있는 개인키(Private-Key)와, 개인키와 대칭되어 진위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공개키(Public-Key)로 나뉜다.
대부분의 블록체인 기반의 월렛은 비대칭 암호화 기술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암호화폐와 월렛은 편리한 기능도 있으나, 분실과 해킹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500)은 월렛을 관리하기 위한 개인키를 각 사용자 단말이 단독 또는 거래소 시스템부(100)와 분할하여 보관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사항은 중앙식 거래소가 각 사용자의 월렛을 관리하기 위한 개인키를 일괄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하는 것과는 구별된다.
또한, 거래소 시스템부(100)는 복수의 사용자 간에 한건의 암호화폐 매물을 부분적으로 분할하여 분산 거래될 수 있도록 웹 서버부(110)와, 프라이스 서버부(120)와, 매칭 서버부(130)와, 메인넷 서버부(140)와, 렛저(Ledger, 元帳) 서버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거래소 시스템부(100)는 암호화폐 거래소에 설치되어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내용을 생성하며, 생성된 거래 내용을 분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거래 내용을 거래 원장(元帳)으로 저장 및 관리하며, 매칭된 거래 내용을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이체를 처리하는 거래소 외부의 암호화폐 메인넷(400)으로 전송하여 암호화폐의 거래가 진행되도록 관리한다.
웹 서버부(110)는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부(200), 사용자 1 단말부(300), 사용자 2 단말부(310) 내지 사용자 n 단말부(3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수신한다.
즉, 웹 서버부(110)는 매도자가 사용자 단말부(200)를 통해 예를 들어 10 BTC를 특정 가격의 매물로 등록한 경우, 한건의 개별 단위로 등록한 암호화폐에 대하여 사용자 1 단말부(300), 사용자 2 단말부(310) 내지 사용자 n 단말부(320) 등의 복수의 단말부에서, 예를 들어 1 BTC, 3 BTC, 6 BTC 등으로 부분 분할하여 매도 요청된 가격으로 분산 매수 거래를 거래 요청하면, 한건의 매물에 대한 분산 거래 요청에 따라 매도자와 복수의 매수자 사이에 분할에 의한 매도자와 개별 매수자 사이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매도자와 매수자의 요청 순서가 반대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진행된다.
또한, 웹 서버부(110)는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 매도자와 개별 매수자 사이의 사용자 거래 요청에 기초하여 거래소 외부의 메인넷(400)으로부터 매도자의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500) 정보와, 복수의 매수자들에 대한 사용자 1 월렛(510), 사용자 2 월렛(520), 사용자 n 월렛(530) 등의 암호화폐가 이체될 거래소 사용자별 월의 주소 정보를 포함한 실제 이체 정보를 획득한다.
프라이스 서버부(120)는 웹 서버부(110)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과 이체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생성한다.
즉, 상기된 실시예의 경우 10 BTC를 1 BTC, 3 BTC, 6 BTC로 분할하여 거래가 이루졌으므로, 각 매도에 대한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에 암호화폐의 매도에 따른 거래 내용을 각각 생성한다.
또한, 렛저 서버부(150)는 프라이스 서버부(120)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거래 원장으로 관리되도록 제공한다.
매칭 서버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각각 분류하여 거래 내용에 따라 기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거래 요청을 매칭시킨다.
여기서 기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는, 예전에 이미 생성되어 매칭되지 않고 대기중인 사용자 거래 정보를 의미한다.
메인넷 서버부(140)는 매칭 서버부(130)에서 매칭된 거래 내용을 메인넷(400)으로 전송함으로써, 도 4와 같이, 10 BTC를 매도한 사용자의 거래소 사용자 월렛(500)으로부터 사용자 1 월렛(510), 사용자 2 월렛(520), 사용자 n 월렛(530)으로 각각 1 BTC, 3 BTC, 6 BTC가 이체되도록 한다.
이때, 메인넷 서버부(140)는 SPS(Stay Pending Server) 시스템을 통해 거래 내용에 대한 암호화폐의 이체 처리를 거래소 외부의 메인넷(400)으로 전송하여 암호화폐의 이체를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넷 서버부(140)는 사용자 거래 내용에 기초하여 거래소 외부의 메인넷(400)으로부터 매도자의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500)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매수자들에 대한 사용자 1 월렛(510), 사용자 2 월렛(520), 사용자 n 월렛(530) 등의 암호화폐가 이체될 월렛의 주소 정보를 포함한 실제 이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렛저 서버부(150)는 매칭 서버부(130)에서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내용을 거래 원장으로 관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한다.
즉, 렛저 서버부(150)는 매칭된 암호화폐의 거래 요청의 결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와 거래 내용을 저장하여 관리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부(200), 사용자 1 단말부(300), 사용자 2 단말부(310) 내지 사용자 n 단말부(320)는 매도 및 매수하고자 하는 암호화폐의 금액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거래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테블릿 PC,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방법을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매도자가 사용자 단말부(200)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거래소 시스템부(100)에 접속하여 일정 단위의 암호화폐를 한건의 매물로 등록한 것에 대하여, 웹 서버부(11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부(200), 사용자 1 단말부(300), 사용자 2 단말부(310) 내지 사용자 n 단말부(320)로부터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수신(S100)한다.
또한, 매도자 매수자의 요청 순서가 반대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S100 단계에서 웹 서버부(110)는 매도자와 개별 매수자 사이의 매도 및 매수 거래에 대한 사용자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소 외부의 암호화폐 메인넷(400)으로부터 매도자의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500)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매수자들에 대한 사용자 1 월렛(510), 사용자 2 월렛(520), 사용자 n 월렛(530) 등의 암호화폐가 이체될 월렛의 주소 정보를 포함한 실제 이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과 이체 정보는 프라이스 서버부(1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 내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은 렛저 서버부(150)에서 거래 원장으로 관리(S200)되도록 한다.
즉, 10 BTC를 1 BTC, 3 BTC, 6 BTC로 분할하여 매도하는 경우, 각 매도에 대한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의 거래 요청과 그에 따른 거래 내용을 렛저 서버부(150)에서 거래 원장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S200 단계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거래 조건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거래 요청을 예전에 이미 생성되어 매칭되지 않고 대기중인 사용자 거래 정보 즉 기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내용과 매칭(S300)한다.
S300 단계에서 매칭된 거래 요청과 사용자 거래 내용은 메인넷 서버부(140)가 거래소 외부의 메인넷(400)으로 전송(S400)하여 암호화폐의 거래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메인넷 서버부(140)는 사용자 거래 내용에 기초하여 거래소 외부의 메인넷(400)으로부터 매도자의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500)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매수자들에 대한 사용자 1 월렛(510), 사용자 2 월렛(520), 사용자 n 월렛(530) 등의 암호화폐가 이체될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의 주소 정보를 포함한 실제 이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렛저 서버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내용을 거래 원장으로 하여 관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S500)한다.
또한, S500 단계에서 렛저 서버부(150)는 매칭된 암호화폐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와 거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탈 중앙식 암호화폐 거래소 시스템에서 암호화폐의 거래중에 사용자들의 매도 및 매수 거래를 분산하여 특정 단위의 암호화폐 매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 매도 및 매수 거래를 요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 수량이 다른 사용자와의 거래 요청에도 거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거래소 시스템부
110 : 웹 서버부
120 : 프라이스 서버부
130 : 매칭 서버부
140 : 메인넷 서버부
150 : 렛저(Ledger) 서버부
200 : 사용자 단말부
300 : 사용자 1 단말부
310 : 사용자 2 단말부
320 : 사용자 n 단말부
400 : 메인넷 서버
500 : 거래소 사용자별 월렛
510 : 사용자 1 월렛
520 : 사용자 2 월렛
530 : 사용자 n 월렛

Claims (8)

  1.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요청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거래 요청을 분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매칭하고,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를 거래 원장(元帳)으로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매칭된 거래 요청을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이체를 처리하는 메인넷(400)으로 전송하여 암호화폐의 거래가 진행되도록 관리하는 거래소 시스템부(100)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소 시스템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간에 한건의 암호화폐 매물을 부분적으로 분할하여 분산 거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소 시스템부(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부(200), 사용자 1 단말부(300), 사용자 2 단말부(310) 내지 사용자 n 단말부(3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수신하는 웹 서버부(110);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이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매도 및 매수 거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생성하는 프라이스 서버부(120);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거래 요청을 분류하여 기(예전에 이미 생성되어 매칭되지 않고 대기중인)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상기 분류된 거래 요청을 매칭하는 매칭 서버부(130);
    상기 매칭된 거래 요청을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이체로 처리하여 거래소 외부의 메인넷(400)으로 전송하는 메인넷 서버부(140); 및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를 거래 원장으로 관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렛저(Ledger) 서버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부(110)와 메인넷 서버부(140)는 상기 사용자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소 외부의 암호화폐 메인넷(400)으로부터 실제 이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렛저 서버부(150)는 상기 매칭된 암호화폐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6. a) 웹 서버부(11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부(200), 사용자 1 단말부(300), 사용자 2 단말부(310) 내지 사용자 n 단말부(320)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부로부터 사용자의 암호화폐에 대한 매도 및 매수 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렛저 서버부(150)가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거래 원장으로 관리하는 단계;
    c) 매칭 서버부(130)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요청을 분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와 매칭하는 단계;
    d) 메인넷 서버부(140)가 상기 매칭된 거래 요청을 사용자 간에 암호화폐의 이체를 처리하는 거래소 외부의 암호화폐 메인넷(400)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렛저 서버부(150)가 상기 c) 단계에서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거래 정보를 거래 원장으로 관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래소 외부의 암호화폐 메인넷(400)으로부터 실제 이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이체 정보를 프라이스 서버부(120) 또는 렛저 서버부(15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렛저 서버부(150)가 상기 매칭된 암호화폐의 거래 요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방법.
KR1020190000558A 2018-09-19 2019-01-03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263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118 2018-09-19
KR20180112118 201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89A true KR20200033089A (ko) 2020-03-27
KR102263626B1 KR102263626B1 (ko) 2021-06-10

Family

ID=69959066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558A KR102263626B1 (ko) 2018-09-19 2019-01-03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014591A KR20200033095A (ko) 2018-09-19 2019-02-07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014592A KR20200033096A (ko) 2018-09-19 2019-02-07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05086A KR20200033169A (ko) 2018-09-19 2019-08-27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05192A KR20200033171A (ko) 2018-09-19 2019-08-27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52327A KR20210138530A (ko) 2018-09-19 2021-11-08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64157A KR20210146274A (ko) 2018-09-19 2021-11-25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591A KR20200033095A (ko) 2018-09-19 2019-02-07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014592A KR20200033096A (ko) 2018-09-19 2019-02-07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05086A KR20200033169A (ko) 2018-09-19 2019-08-27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05192A KR20200033171A (ko) 2018-09-19 2019-08-27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52327A KR20210138530A (ko) 2018-09-19 2021-11-08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64157A KR20210146274A (ko) 2018-09-19 2021-11-25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263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1292A1 (en) * 2020-04-14 2021-10-21 Darren Wolfberg Securitization of assets utilizing distributed ledgers & smart meters
WO2022131411A1 (ko) 2020-12-18 2022-06-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고신뢰 오프라인 지갑을 이용한 암호화폐 시스템 및 암호화폐 지갑 관리 방법
JP2024512854A (ja) 2020-12-18 2024-03-21 Lineヤフー株式会社 顧客資産分別管理のための暗号通貨システムおよび暗号通貨ウォレット管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KR20170093518A (ko)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미라클인베스트먼트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74655A (ko) * 2015-07-09 2018-07-03 리퀴드 마켓스 그룹 인크.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증권 거래들을 거래, 승인 및 결제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879353B1 (ko) * 2017-01-31 2018-07-17 권양호 가상화폐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KR20180074655A (ko) * 2015-07-09 2018-07-03 리퀴드 마켓스 그룹 인크.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증권 거래들을 거래, 승인 및 결제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70093518A (ko)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미라클인베스트먼트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79353B1 (ko) * 2017-01-31 2018-07-17 권양호 가상화폐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95A (ko) 2020-03-27
KR20210146274A (ko) 2021-12-03
KR20200033169A (ko) 2020-03-27
KR102263626B1 (ko) 2021-06-10
KR20210138530A (ko) 2021-11-19
KR20200033096A (ko) 2020-03-27
KR20200033171A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4132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取引記録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8936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trading
KR102141069B1 (ko) 투명한 거래이력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자산 거래 시스템
CN109447648A (zh) 在区块链网络中记录数据区块的方法、记账节点和介质
US20190108576A1 (en) Blockchai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urement
CN111902814A (zh) 以基于区块链的文档传递、协作和传播为动力的去中心化的市场和生态系统
KR20210138530A (ko)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30005A1 (en) Digital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439399B1 (ko) 맞춤검색이 가능한 부동산 거래 플랫폼 서버 및 그 부동산 거래방법
KR20200094407A (ko) 지역화폐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10516A (ko) 블록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
WO2020209056A1 (ja) 作品オーナー権取引管理システム
JP3622789B2 (ja) 汎用的組織内個人認証システム
JP2020046975A (ja) 仮想通貨の資金移動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055480A (ko) 네트워크를 통한 부동산 권리매매의 매물정보 등록 및 인증방법
KR20220122416A (ko)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및 관리 시스템
KR20230011197A (ko) Nft를 이용한 실제 예술품 거래 방법
KR102648915B1 (ko) 블록체인 기반 자산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7323676B1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信託プラットフォームで用いる信託プログラム
KR102638698B1 (ko) 블록체인 기반 리셀 상품 거래 방법
Yu et al. Distributed Data Trading Model Based on Blockchain
JP2023077866A (ja) 収益分配システム
KR20230149148A (ko) 무료 민팅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JP202401896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434133B1 (ko) 포스팅 및 웹진 거래를 위한 거래시스템 및 그 거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