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095A -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095A
KR20200033095A KR1020190014591A KR20190014591A KR20200033095A KR 20200033095 A KR20200033095 A KR 20200033095A KR 1020190014591 A KR1020190014591 A KR 1020190014591A KR 20190014591 A KR20190014591 A KR 20190014591A KR 20200033095 A KR20200033095 A KR 20200033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user
wallet
cryptocurrency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해나
이우영
Original Assignee
조해나
이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해나, 이우영 filed Critical 조해나
Priority to KR102019010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3169A/ko
Publication of KR2020003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095A/ko
Priority to KR1020210164157A priority patent/KR20210146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간의 암호화폐 거래 과정에서 사용자 간의 거래 내역을 일정 시간마다 동기화시켜 산출한 합산 거래량을 이체 처리함으로써, 동기화된 시점에 1회의 이동에 대한 수수료만 부과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수수료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SUMMING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OF CRYPTOCURRENCY}
본 발명은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 중앙식 암호화폐 거래소 또는 하이브리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간의 암호화폐 거래 과정에서 사용자 간의 거래 내역을 일정 시간마다 동기화시켜 산출한 합산 거래량을 이체 처리하는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호화폐란 컴퓨터 등에 정보 형태로 남아 실물 없이 사이버상으로만 거래되는 전자화폐의 일종이다.
초기에 암호화폐는 눈에 보이지 않고 컴퓨터상에 표현되는 화폐라고 해서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또는 가상화폐 등으로 불렀지만 최근에는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는 화폐라는 의미로 암호화폐라고 칭하기도 한다.
암호화폐는 화폐 발행에 따른 생산 비용이 들지 않아 이체 비용 등 거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실물 없이 사이버 상으로만 거래되고 있는 네트워크 형 전자화폐이기 때문에 보유 수량에 제한이 없으며, 중간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어 즉각적으로 거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암호화폐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암호화폐의 가치가 높아져, 암호화폐와 연관된 다양한 산업들이 발생하였고, 사람들간의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암호화폐 거래소가 증가하였다.
종래의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이루어지는 매도 매수 거래방식은 거래소의 중앙 월렛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입출금 한 암호화폐를 보관 및 관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암호화폐 거래소의 방식은 하나의 거래소 중앙 월렛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들의 암호화폐를 보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암호화폐의 보안성에 문제가 생기게 되었고, DB데이터 상에서 거래요청에 관한 내용을 처리하고 거래가 승인 된 시점에 암호화폐 매도 및 매수 요청에 대한 이체를 완료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거래가 완료된 시점에도 암호화폐는 매도자/매수자 간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거래소 중앙 월렛에 보관되어 있다가 거래소 외부로 이체를 요청할 경우에만 그 이체가 완료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청에 즉각 대응하기 어려운 점 또한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암호화폐 거래소의 거래 방식을 변경하여 등장한 방법이 개별 월렛을 통한 암호화폐 거래를 중개하는 탈 중앙화 거래소 시스템이다.
탈 중앙화 거래소 시스템은 거래소의 복수의 사용자들 개별 월렛의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를 거래소에서 진행하여 사용자들의 월렛 간 암호화폐 이동을 시키는 시스템이다.
개별 월렛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방법은 거래소의 중앙 월렛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들의 개별 월렛 간에 암호화폐가 이동하는 것으로 중앙 월렛에서 이동하는 종래의 암호화폐의 이동보다 보안을 더 강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바로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개별 월렛을 통한 암호화폐 거래 방법은 개별 월렛 사이의 암호화폐 이동시에 암호화폐를 공급한 회사가 일명 "GAS 비"라는 수수료를 청구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거래에 따른 수수료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73073호(발명의 명칭: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폐 거래방법)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탈 중앙식 암호화폐 거래소 시스템 또는 하이브리드 암호화폐 거래소를 이용하여 진행되는 사용자 간의 암호화폐 거래 과정에서 사용자 간의 거래 내역을 일정 시간마다 동기화시켜 산출한 합산 거래량을 이체 처리하는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A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A 월렛의 암호화폐 매도 및 매수를 포함한 거래요청 내용을 수신하여 거래의 분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포인트 이동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포인트를 합산한 포인트 거래 내용과, 거래 분류를 통해 합산한 합산 거래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기화하여 일괄 합산되도록 하고, 일괄 합산된 합산 거래량은 사용자 간의 월렛 이체를 처리하는 메인넷으로 전송되어 동기화된 시점에 사용자 A 월렛에 1회의 이체에 대한 수수료만 부과되도록 이루어진 거래소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거래소 서버는 사용자 A의 거래에 상응하여 사용자 A 월렛에 대하여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에 기반하여 결정된 암호화폐를 사용자 A 월렛으로부터 거래소 월렛으로 이체하도록 사용자 A 단말에 전송하고,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기화하여 일괄 합산하며, 동기화된 시점에 합산 거래량에 상응하는 암호화례를 복수의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거래요청에 따라 분류하여 거래소 월렛으로부터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월렛으로 이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래소 서버는 거래소 월렛으로부터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월렛으로 이체된 이체 수수료를 거래요청 사용자들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또한,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이체 수수료는 거래소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물 화폐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거래소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임의의 사용자에게 사용자 A에 대한 거래소 월렛을 발급하는 단계; b) 거래소 서버가 사용자 A에 대하여 사용자 A 월렛의 암호화폐 매도 및 매수를 포함한 거래요청 내용을 거래의 분류에 따라 거래소 월렛에서 매도 포인트와 매수 포인트로 구분하여 이동 처리하는 단계; c) 거래소 서버가 구분된 매도 포인트와 매수 포인트를 합산한 포인트 거래 내용과, 매도 및 매수 중에서 수량이 많은 거래 분류로 합산한 합산 거래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기화하여 일괄 합산하는 단계; 및 d) 거래소 서버가 사용자 A 월렛에 1회의 이체에 대한 수수료만 부과되도록 동기화된 시점에 일괄 합산된 합산 거래량을 사용자 간의 월렛 이체를 처리하는 메인넷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포인트는 매도 포인트와 매수 포인트로 이루어지고, 합산 거래량은 구분된 매도 포인트와 매수 포인트중에서 수량이 많은 거래 분류를 통해 합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e) 거래소 서버가 동기화된 시점에 일괄 합산된 사용자 A 월렛에 대하여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거래소 월렛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거래소 서버가 동기화된 시점에 합산 거래량을 복수의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거래요청에 따라 분류하여 합산 거래량에 상응하여 결정된 암호화폐를 거래소 월렛으로부터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월렛으로 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래소 서버는 거래소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거래요청 사용자의 실물 화폐 정보로부터 이체에 따른 수수료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간의 암호화폐 거래 과정에서 사용자 간의 거래 내역을 일정 시간마다 동기화시켜 산출한 합산 거래량을 이체 처리함으로써, 동기화된 시점에 1회의 이동에 대한 수수료만 부과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수수료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간의 암호화폐 거래 과정에서 매수자에게 이체 수수료를 청구함으로써, 매도자의 이체 수수료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의 사용자 간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의 합산 거래량 산출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의 합산 거래량 처리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의 사용자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의 합산 거래량 산출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의 합산 거래량 처리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은 사용자 A 단말기(100), 거래소 서버(200), 메인넷 서버(300) 및 복수의 거래요청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A 단말기(100)는 매도 및 매수하고자 하는 암호화폐의 금액 정보와 사용자 A의 정보를 포함한 거래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테블릿 PC,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별로 사용자 A 월렛(500)을 개설하여 관리한다. 사용자 A 월렛(500)은 블록체인 기술과 연계된 암호화폐를 보관, 송/수신 및 거래하기 위한 사용자의 정보와 암호키 등을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B 단말기(400a), 사용자 C 단말기(400b), 사용자 D 단말기(400c), 사용자 E 단말기(400d)도 사용자별로 사용자 B 월렛(510), 사용자 C 월렛(520), 사용자 D 월렛(530), 사용자 E 월렛(540)을 개설하여 관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에서의 월렛은 모바일과 PC에 설치되는 "Client 월렛"과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한 "Web" 월렛으로 된 소프트웨어 월렛과 USB와 같이 실제로 존재하며 암호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해주는 하드웨어 월렛, 종이에 인쇄하여 자신만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종이월렛 그리고 거래소에서 거래를 쉽게 하기 위해 만들어준 거래소 월렛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의 모바일과 PC에 설치되는 "Client 월렛"은 Full node를 통해 거래의 진위를 판별함으로써 해당 코인의 블록체인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풀노드 클라이언트(Full Node Client Wallet) 설치형 지갑과 온라인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때문에 동기화가 비교적 빠른 씬 클라이언트(Thin Client Wallet) 설치형 월렛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한 "Web" 월렛은 만들기 쉽고, 저장용량을 차지하지 않으며 동기화 시간이 필요 없지만 웹사이트가 다운되거나 해킹되면 코인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Web" 월렛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지만 플러그인 방식의 별도 설치를 거쳐 사용하는 씬 클라이언트 웹 월렛(Thin Client Web Wallet)과 인터넷 브라우저만을 접속해서 사용 가능한 웹 월렛(Just Web Wallet)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월렛은 온라인에 연결되어 거래가 직접 가능한 핫월렛(Hot Wallet)과 암호화폐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온라인과 연결을 끊은 콜드월렛(Cold Wallet)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암호화 기술에는 대칭과 비대칭 암호화 기술이 있다. 대칭적 암호화 설정 방식은 우리에게 익숙한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word)가 일치하면 암호가 풀리는 것이다.
비대칭 암호화 기술은 공개키(Public-Key)와 개인키(Private-Key)로 나뉘어져 암호화된 내용에 대한 전면적인 접근 권한이 있는 개인키(Private-Key)와, 개인키와 대칭되어 진위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공개키(Public-Key)로 나뉜다.
대부분의 블록체인 기반의 월렛은 비대칭 암호화 기술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암호화폐와 월렛은 편리한 기능도 있으나, 분실과 해킹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월렛은 월렛을 관리하기 위한 개인키를 각 사용자 단말이 개별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사항은 중앙식 거래소가 각 사용자의 월렛을 관리하기 위한 개인키를 일괄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하는 것과는 구별된다.
거래소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임의의 사용자에게 사용자별로 거래소 월렛(550)을 개설하여 제공한다. 거래소 월렛(550)은 각 사용자마다 가지고 있는 사용자 월렛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거래소 서버(200)내에서 사용자의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월렛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암호화폐는 기본적으로 각 사용자별로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월렛에 저장되어 있다.
거래소 서버(200)내의 거래소 월렛은 사용자의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있지 않지만, 거래소 서버(200)는 각 사용자들이 암호화폐 거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거래소로서 양 당사자간의 신뢰를 보장하기 위한 일정량의 암호화폐를 보관할 수 있을 뿐이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암호화폐 전체를 보관하고 있지는 않다.
사용자는 거래소 서버를 이용하여 암호화폐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거래소 서버(200)에 개설된 거래소 월렛에 실물 화폐인 원화(KRW)를 충전하며, 거래 내역은 거래소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거래 내역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포인트 이동을 통해 관리되도록 한다.
포인트는 매도와 매수에 따라 매도 포인트(600)와 매수 포인트(600a)로 구분된다.
즉,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 A 월렛(500)의 암호화폐 매도 및 매수를 포함한 거래요청 내용을 거래의 분류에 따라 매도 포인트(600)와 매수 포인트(600a)로 구분한다.
또한, 거래소 서버(200)는 구분된 매도 포인트(600)와 매수 포인트(600a)를 합산한 포인트 거래 내용과, 매도 포인트(600) 및 매수 포인트(600a) 중에서 수량이 많은 거래 분류로 합산한 합산 거래량을 산출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매도 수량이 4 BTC이고, 총 매수 수량이 3 BTC인 경우, 매도 포인트(600) 및 매수 포인트(600a) 중에서 수량이 많은 거래 분류로 합산한 합산 거래량은 매도 1 BTC로 처리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 A 월렛(500)에서 이동하는 암호화폐의 수량은 1 BTC가 매도 수량으로 이체되도록 한다.
또한, 거래소 서버(200)는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2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일괄 합산되도록 한다.
즉, 일정 시간내에 빈번한 거래가 이루어진 경우, 거래 내용을 포인트의 이동으로 관리한 다음, 거래 내용을 일정 시간 경과후, 동기화시켜 합산 정리함으로써, 매도, 매수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이체 수수료(일명, GAS 비)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거래소 서버(200)는 일괄 합산된 합산 거래량의 결과를 사용자 간의 월렛 이체를 처리하는 메인넷(300)으로 전송하여 동기화된 시점에 사용자 A 월렛(500)에서 1회의 이체에 대한 이체 수수료만 부과되도록 한다.
동기화에 따른 시간 간격은 2시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시간으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거래소 서버(200)는 거래 과정에서 사용자 A 월렛(500)에서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거래소 월렛(550)으로 전송한다.
거래소 월렛(550)은 전송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기화하여 일괄 합산하며, 동기화된 시점에 합산 거래량을 복수의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거래요청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 B 단말기(400a), 사용자 C 단말기(400b), 사용자 D 단말기(400c), 사용자 E 단말기(400d)등을 통해 거래를 요청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B 월렛(510), 사용자 C 월렛(520), 사용자 D 월렛(530), 사용자 E 월렛(540)으로 암호화폐가 이체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A와의 암호화폐 거래를 통해 매수 거래를 원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B, 사용자 C, 사용자 D, 사용자 E이고, 사용자 B의 거래요청 내용은 매수 0.4 BTC, 사용자 C의 거래요청 내용은 매수 0.1 BTC, 사용자 D의 거래요청 내용은 매수 0.3 BTC, 사용자 E의 거래요청 내용은 매수 0.2 BTC이면, 각각의 거래 요청과 매칭시켜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사용자 B 단말기(400a), 사용자 C 단말기(400b), 사용자 D 단말기(400c), 사용자 E 단말기(400d)등은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테블릿 PC,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거래소 월렛(550)은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사용자 B 월렛(510), 사용자 C 월렛(520), 사용자 D 월렛(530), 사용자 E 월렛(540)으로 이체된 암호화폐에 대하여 이체 과정에 발생되는 이체 건수에 따른 이체 수수료를 원화(KRW)로 환하여 거래요청 사용자들로부터 이체 받는다.
즉, 사용자 B 월렛(510), 사용자 C 월렛(520), 사용자 D 월렛(530), 사용자 E 월렛(540)의 사용자들이 거래소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충전한 실물 화폐인 원화(KRW)에서 거래소 월렛(550) 또는 임의의 거래소 계좌로 이체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과정을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거래소 서버(2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임의의 사용자 A에 대하여 거래소 월렛(550) 개설(S100)한다.
S100 단계에서 개설된 A 사용자의 거래소 월렛(550)에 사용자가 실물 화폐인 원화(KRW)를 충전하고, 거래 내역은 거래소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거래 내역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포인트 이동을 통해 관리되도록 한다.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 A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 A 월렛(500)이 사용자 B 월렛(510), 사용자 C 월렛(520), 사용자 D 월렛(530) 및 사용자 E 월렛(540) 등과의 암호화폐 매도 및 매수를 포함한 거래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 A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거래요청 내용을 거래의 분류에 따라 암호화폐의 매도는 매도 포인트(600)로 구분하고, 매수는 매수 포인트(600a)로 구분하여 이동 처리(S200)한다.
거래소 서버(200)가 구분된 매도 포인트(600)와 매수 포인트(600a)를 합산한 포인트 거래 내용과, 매도와 매수 중에서 수량이 많은 거래 분류로 합산한 합산 거래량을 산출(S300)한다.
S300 단계에서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기화하여 일괄 합산(S400)한다.
S400 단계에서 일괄 합산하여 산출된 합산 거래량 정보는 거래소 서버(200)가 동기화된 시점에 일괄 합산된 합산 거래량을 사용자 간의 월렛 이체를 처리하는 메인넷(300)으로 전송(S500)하여, 사용자 A 월렛(500)에 대하여 1회의 이체에 대한 수수료만 부과될 수 있도록 한다.
S500 단계를 수행한 다음, 거래소 서버(200)는 동기화된 시점에 일괄 합산된 사용자 A 월렛(500)에 대하여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거래소 월렛(550)으로 이체하도록 사용자 A 단말기(100)에 전송(S600)한다.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 A의 거래소 월렛(550)으로부터 동기화된 시점에 합산 거래량을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거래요청에 따라 사용자 별로 분류하여 사용자 B 월렛(510), 사용자 C 월렛(520), 사용자 D 월렛(530) 및 사용자 E 월렛(540)으로 이체(S700)한다.
이때,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 A의 거래소 월렛(550)은 사용자 B 월렛(510), 사용자 C 월렛(520), 사용자 D 월렛(530) 및 사용자 E 월렛(540)으로 암호화폐의 이체로 발생되는 이체 수수료를 실물 화폐인 원화(KRW)로 환산하고, 환산된 원화를 거래소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실물 화폐 정보로부터 이체에 따른 수수료를 거래소 서버(200)에서 지정하는 임의의 계좌 또는 거래소 월렛(555)으로 이체(S800)되도록 한다.
따라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간의 암호화폐 거래 과정에서 사용자 간의 거래 내역을 일정 시간마다 동기화시켜 산출한 합산 거래량을 이체 처리함으로써, 동기화된 시점에 1회의 이동에 대한 수수료만 부과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수수료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간의 암호화폐 거래 과정에서 매수자에게 이체 수수료를 청구함으로써, 매도자의 이체 수수료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A 단말기
200 : 거래소 서버
300 : 메인넷 서버
400 : 거래요청 사용자 단말기
400a : 사용자 B 단말기
400b : 사용자 C 단말기
400c : 사용자 D 단말기
400d : 사용자 E 단말기
500 : 사용자 A 월렛
510 : 사용자 B 월렛
520 : 사용자 C 월렛
530 : 사용자 D 월렛
540 : 사용자 E 월렛
550 : 거래소 월렛
600 : 매도 포인트
600a : 매수 포인트

Claims (8)

  1. 사용자 A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A 월렛(500)의 암호화폐 매도 및 매수를 포함한 거래요청 내용을 수신하여 거래의 분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포인트 이동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포인트를 합산한 포인트 거래 내용과, 거래 분류를 통해 합산한 합산 거래량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기화하여 일괄 합산되도록 하고, 상기 일괄 합산된 합산 거래량은 사용자 간의 월렛 이체를 처리하는 메인넷(300)으로 전송되어 동기화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 A 월렛(500)에 1회의 이체에 대한 수수료만 부과되도록 이루어진 거래소 서버(200)를 포함하는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소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A의 거래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A 월렛(500)에 대하여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에 기반하여 결정된 암호화폐를 사용자 A 월렛(500)으로부터 거래소 월렛(550)으로 이체하도록 사용자 A 단말(100)에 전송하고,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기화하여 일괄 합산하며, 상기 동기화된 시점에 상기 합산 거래량에 상응하는 암호화폐를 복수의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거래요청에 따라 분류하여 거래소 월렛(550)으로부터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월렛(510, 520, 530, 540)으로 이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소 서버(200)는 거래소 월렛(550)으로부터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월렛(510, 520, 530, 540)으로 이체된 이체 수수료를 상기 거래요청 사용자들로부터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이체 수수료는 상기 거래소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물 화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는 매도 포인트(600)와 매수 포인트(600a)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산 거래량은 상기 구분된 매도 포인트(600)와 매수 포인트(600a) 중에서 수량이 많은 거래 분류를 통해 합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6. a) 거래소 서버(2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임의의 사용자에게 사용자 A 에 대한 거래소 월렛(550)을 발급하는 단계;
    b) 상기 거래소 서버(200)가 사용자 A에 대하여 사용자 A 월렛(500)의 암호화폐 매도 및 매수를 포함한 거래요청 내용을 거래의 분류에 따라 상기 거래소 월렛(500)에서 매도 포인트(600)와 매수 포인트(600a)로 구분하여 이동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거래소 서버(200)가 상기 구분된 매도 포인트(600)와 매수 포인트(600a)를 합산한 포인트 거래 내용과, 매도 및 매수 중에서 수량이 많은 거래 분류로 합산한 합산 거래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기화하여 일괄 합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거래소 서버(200)가 상기 사용자 A 월렛(500)에 1회의 이체에 대한 수수료만 부과되도록 상기 동기화된 시점에 일괄 합산된 합산 거래량을 사용자 간의 월렛 이체를 처리하는 메인넷(300)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e) 상기 거래소 서버(200)가 상기 동기화된 시점에 일괄 합산된 사용자 A 월렛(500)에 대하여 산출된 포인트 거래 내용과 합산 거래량을 거래소 월렛(550)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거래소 서버(200)가 상기 동기화된 시점에 상기 합산 거래량을 복수의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거래요청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합산 거래량에 상응하여 결정된 암호화폐를 상기 거래소 월렛(500)으로부터 거래요청 사용자들의 월렛(510, 520, 530, 540)으로 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소 서버(200)는 상기 거래소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거래요청 사용자의 실물 화폐 정보로부터 이체에 따른 수수료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방법.
KR1020190014591A 2018-09-19 2019-02-07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086A KR20200033169A (ko) 2018-09-19 2019-08-27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64157A KR20210146274A (ko) 2018-09-19 2021-11-25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118 2018-09-19
KR20180112118 2018-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95A true KR20200033095A (ko) 2020-03-27

Family

ID=69959066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558A KR102263626B1 (ko) 2018-09-19 2019-01-03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014591A KR20200033095A (ko) 2018-09-19 2019-02-07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014592A KR20200033096A (ko) 2018-09-19 2019-02-07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05086A KR20200033169A (ko) 2018-09-19 2019-08-27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05192A KR20200033171A (ko) 2018-09-19 2019-08-27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52327A KR20210138530A (ko) 2018-09-19 2021-11-08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64157A KR20210146274A (ko) 2018-09-19 2021-11-25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558A KR102263626B1 (ko) 2018-09-19 2019-01-03 암호화폐 거래의 분산 매도 매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592A KR20200033096A (ko) 2018-09-19 2019-02-07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05086A KR20200033169A (ko) 2018-09-19 2019-08-27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05192A KR20200033171A (ko) 2018-09-19 2019-08-27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52327A KR20210138530A (ko) 2018-09-19 2021-11-08 암호화폐의 출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64157A KR20210146274A (ko) 2018-09-19 2021-11-25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263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1292A1 (en) * 2020-04-14 2021-10-21 Darren Wolfberg Securitization of assets utilizing distributed ledgers & smart meters
WO2022131411A1 (ko) 2020-12-18 2022-06-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고신뢰 오프라인 지갑을 이용한 암호화폐 시스템 및 암호화폐 지갑 관리 방법
JP2024512854A (ja) 2020-12-18 2024-03-21 Lineヤフー株式会社 顧客資産分別管理のための暗号通貨システムおよび暗号通貨ウォレット管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1460A1 (en) * 2015-07-09 2017-01-12 Ouis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ding, clearing and settling securities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20170093518A (ko)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미라클인베스트먼트 분할매매 가능한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79353B1 (ko) * 2017-01-31 2018-07-17 권양호 가상화폐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274A (ko) 2021-12-03
KR20200033089A (ko) 2020-03-27
KR20200033169A (ko) 2020-03-27
KR102263626B1 (ko) 2021-06-10
KR20210138530A (ko) 2021-11-19
KR20200033096A (ko) 2020-03-27
KR20200033171A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9925B2 (en) Decentralized internet shopping marketplaces
CA3145504C (en) Asset transaction system for enabling transparent transaction history management
AU2010289961C1 (en) Alias identity and reputation validation engine
US7428511B2 (en) Electronic business transaction system
CN110992028A (zh) 基于区块链网络的换汇平台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1927962B1 (ko) 데이터 트랜잭션 방법
KR102439399B1 (ko) 맞춤검색이 가능한 부동산 거래 플랫폼 서버 및 그 부동산 거래방법
KR20210146274A (ko) 암호화폐의 합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110605B1 (ko) 암호화폐 거래소내 실거래 전자지갑 기반의 블록체인 거래 처리 방법
KR102439401B1 (ko) 신뢰성 및 검색의 편리성이 향상된 부동산 거래 플랫폼 서버 및 그 부동산 거래 중개방법
KR102182072B1 (ko)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CN101639884A (zh) 用因特网在电子商务中管理客户地址信息的系统和方法
EP3918745A2 (en) Digital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WO2022262527A1 (zh) 一种基于数字货币的支付方法、平台、终端及支付系统
KR102174691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JP3622789B2 (ja) 汎用的組織内個人認証システム
CN114820188A (zh) 虚拟资产交易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200130558A (ko) 암호 화폐 거래소의 타거래소 연동거래 운영 방법
JP7351643B2 (ja) ネットワークメッセージサービスを利用して費用を振り分け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6853422B1 (ja) オンライン取引情報保護システムおよびオンライン取引情報保護方法
KR102072278B1 (ko) 가상 화폐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94408A (ko) 평판 정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89922B1 (ko) 암호화폐 결제 게이트웨이 및 그 결제방법
KR102645868B1 (ko)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 시스템 및 온라인 거래정보 보안방법
KR102185452B1 (ko) Ci 값을 이용한 p2p 대출 플랫폼의 사용자 계정 관리 및 투자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