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056A -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 Google Patents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0056A KR20190010056A KR1020170092226A KR20170092226A KR20190010056A KR 20190010056 A KR20190010056 A KR 20190010056A KR 1020170092226 A KR1020170092226 A KR 1020170092226A KR 20170092226 A KR20170092226 A KR 20170092226A KR 20190010056 A KR20190010056 A KR 201900100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contact member
- main body
- guide groove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52—Struts, spars or legs
- A61G1/056—Swivelling legs
- A61G1/0562—Swivelling legs independently foldable, i.e. at least part of the leg folding movement is not simultaneo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8—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는 본체 및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 유닛을 포함하고, 이동 보조 유닛은,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고정 부재 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부재, 회전 부재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본체 외측을 향해 펼쳐지거나 본체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제공되는 접촉 부재 및 접촉 부재와 힌지 결합되고, 접촉 부재의 회전에 의해 접촉 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펼쳐지는 걸림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는 본체 및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 유닛을 포함하고, 이동 보조 유닛은,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고정 부재 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부재, 회전 부재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본체 외측을 향해 펼쳐지거나 본체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제공되는 접촉 부재 및 접촉 부재와 힌지 결합되고, 접촉 부재의 회전에 의해 접촉 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펼쳐지는 걸림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는 차량이나 헬기 등의 교통 수단이 접근하기 어려운 깊은 계곡이나 산악 지역, 오지 등과 같은 고립된 장소에서 발생하는 환자를 의료 기관 등으로 이송하기 위해 제공되는 장치이다.
한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에 실린 환자를 계단으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명의 이송자가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들고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야 한다. 그런데, 이 경우,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의 앞, 뒤로 쏠리는 무게의 불균형으로 인해, 이송자가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를 놓쳐서 환자가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에서 낙상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87390호의 "계단 손잡이 이용 환자 이송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계단 손잡이 이용 환자 이송장치는 환자 이송용 들것과 계단 손잡이 사이에 장착되어 환자 이송 시 환자와 들것의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이송자가 쉽고 안전하게 환자를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계단 손잡이 이용 환자 이송장치는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계단 손잡이 이용 환자 이송장치가 들것에 항시 구비된 것이 아닌, 들것과 별도로 제공되므로, 환자의 이송이 필요한 경우, 계단 손잡이 이용 환자 이송장치를 들것에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계단 손잡이 이용 환자 이송장치와 들것 사이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환자가 들것에서 낙상될 염려가 있으므로,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계단으로도 환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보조 유닛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 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 외측을 향해 펼쳐지거나,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제공되는 접촉 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접촉 부재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접촉 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펼쳐지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가이드홈, 상기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가이드홈 및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내측면에 구비되어는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홈은 상기 접촉 부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은 상기 접촉 부재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본체 외측을 향해 펼쳐짐으로써 계단 손잡이에 접촉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접촉 부재에 대하여 회전되어 상기 접촉 부재로부터 펼쳐짐으로써 상기 계단 손잡이의 끝단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눕혀진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환자 지지부 및 상기 환자 지지부의 양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 지지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이송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지지부는, 상기 고정 부재가 결합되도록 요입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걸림 부재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는, 계단으로도 환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에서 본체와 연결된 이동 보조 유닛이 계단 손잡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에서 제 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접촉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에서 제 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접촉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를 이용하여 환자를 계단으로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에서 본체와 연결된 이동 보조 유닛이 계단 손잡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에서 제 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접촉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에서 제 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접촉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를 이용하여 환자를 계단으로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10)는 본체(100) 및 이동 보조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10)는 환자가 눕혀진 본체(100)가 계단 손잡이(20, 도 7 참조)를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 유닛(200)을 포함하여 계단에서도 환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이때, 계단 손잡이(20)는 계단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진행 방향을 유도하거나, 몸의 균형 유지, 추락 방지 등을 위해 계단의 양측에 배치된 계단 난간에 구비되는 부재를 의미하며, 일 예로 레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10)는 특히, 선박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계단에서 환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환자를 눕힐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송자에 의해 파지되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환자 지지부(110) 및 파지부(12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환자 지지부(110)는 환자를 눕힐 수 있는 공간으로, 눕혀진 환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지지부(11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자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환자 지지부(110)의 저면에는 후술할 이동 보조 유닛(200)의 고정 부재(210)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파지부(120)는 환자 지지부(110)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해 이송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 환자 지지부(110)의 폭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y축 방향)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120)의 일부분, 예컨대, 양단부가 이송자에 의해 파지되기 위해, 파지부(120)는 환자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환자 지지부(110)의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파지부(120)는 양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환자 지지부(110)에 삽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환자 지지부(110)에 삽입된 파지부(120)는 볼트 등에 의해 환자 지지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120)는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의 파이프일 수 있으며, 환자 및 본체(10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이동 보조 유닛(200)은 본체(100)가 계단 손잡이(20)를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보조 유닛(200)은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210), 회전 부재(220), 접촉 부재(230) 및 걸림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10)는 본체(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부에 회전 부재(22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부재(210)는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 등을 매개로 본체(100)에 구비된 결합홈(11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210)는 환자 및 본체(10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부재(210)에는 접촉 부재(230)가 고정 부재(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경로를 규정하는 제 1 가이드홈(211), 접촉 부재(230)가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경로를 규정하는 제 2 가이드홈(212) 및 접촉 부재(230)를 지지하여 접촉 부재(23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지지 돌기(2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접촉 부재(230)와 함께 후술하겠다.
회전 부재(220)는 고정 부재(2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접촉 부재(23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부재(220)는 고정 부재(210)의 내부에서 접촉 부재(23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부재(220)는 고정 부재(210)의 내측 공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부재(230)는 계단 손잡이(2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회전 부재(22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220)가 고정 부재(210)의 내부에서 회전할 때, 접촉 부재(230) 또한 회전 부재(220)와 함께 회전되어 본체(100) 외측을 향해 펼쳐지거나, 본체(100)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부재(230)는 일 예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자 및 본체(10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 부재(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210)에 구비된 제 1 가이드홈(2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이드홈(211)은 고정 부재(2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접촉 부재(230)는 고정 부재(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송자에 의해 파지된 접촉 부재(230)가 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외력을 받는 경우, 접촉 부재(230)는 제 1 가이드홈(211)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되어 제 2 가이드홈(212)에 도달하게 된다. 이로써, 접촉 부재(230)는 제 2 가이드홈(212)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계단 손잡이(20)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계단 손잡이(20)에 접촉된 접촉 부재(230)는 제 1 가이드홈(211)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된 지지 돌기(2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된 접촉 부재(230)의 위치가 지지 돌기(213)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이송자에 의해 파지된 접촉 부재(230)가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외력을 받는 경우, 접촉 부재(230)는 제 1 가이드홈(211)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되어 제 2 가이드홈(212)에 도달하게 된다. 이로써, 본체(100)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아울러, 계단 손잡이(20)에 접촉된 접촉 부재(230)는 제 1 가이드홈(211)의 내측면 타측에 구비된 지지 돌기(2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타측으로 이동된 접촉 부재(230)의 위치가 지지 돌기(213)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돌기(213)는 일 예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접촉 부재(230)가 지지 돌기(213)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가이드홈(211)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된 접촉 부재(230)가 다시 제 1 가이드홈(211)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접촉 부재(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210)에 구비된 제 2 가이드홈(2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 2 가이드홈(212)은 고정 부재(210)의 외주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접촉 부재(23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은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1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x축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 2 가이드홈(212)의 폭은 접촉 부재(23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접촉 부재(230)는 제 2 가이드홈(212)의 폭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움직임이 많이 발생하는 곳, 예컨대, 계단 손잡이(20)가 꺾이는 부분(21)에서 접촉 부재(230)가 계단 손잡이(20)가 꺾인 정도에 대응하여 제 2 가이드홈(2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이송이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다.
걸림 부재(240)는 접촉 부재(2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접촉 부재(230)에 구비된 수용홈(231)에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부재(240)는 접촉 부재(230)에 대한 회전에 의해 접촉 부재(230)로부터 선택적으로 펼쳐져 계단 손잡이(20)의 끝단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 부재(24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계단 손잡이(20)의 끝단에 걸리는 경우, 계단 손잡이(20)에 접촉된 접촉 부재(230)가 계단 손잡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 부재(240)의 걸림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단 손잡이(20)의 끝단과 접촉되는 걸림 부재(24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 부재(240)는 일 예로 접촉 부재(230)의 폭의 약 0.5배 이상 약 1배 미만에 해당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접촉 부재(230)의 폭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걸림 부재(240)는 일 예로 환자 및 본체(10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걸림 부재(240)와 접촉 부재(230) 사이에는 고정 수단이 제공되어 접촉 부재(230)로부터 회전된 걸림 부재(240)가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면서 접촉 부재(2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본체(100)가 계단 손잡이(20)를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이송자는 본체(100)에 연결된 이동 보조 유닛(200)을 계단 손잡이(20)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접촉 부재(230)가 이송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외력을 받으면, 접촉 부재(230)는 제 1 가이드홈(211)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제 2 가이드홈(212)에 도달하여 제 2 가이드홈(212)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 2 가이드홈(212)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 접촉 부재(230)가 계단 손잡이(20)에 접촉될 수 있다.
그 다음, 걸림 부재(240)를 접촉 부재(230)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계단 손잡이(20)의 끝단에 걸림 부재(240)를 걸림 고정시킨다. 이로써, 계단 손잡이(20)에 대한 이동 보조 유닛(200)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 후, 이송자는 파지부(120)를 파지한 상태로 본체(100)를 천천히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된 이동 보조 유닛(200)에 의해 본체(100)는 계단 손잡이(20)를 타고 이동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계단 손잡이(20)가 꺾이는 부분(21)에서 접촉 부재(230)가 계단 손잡이(20)가 꺾인 정도에 대응하여 제 2 가이드홈(2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이송이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10)는, 계단 손잡이(20)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는 이동 보조 유닛(200)이 본체(100)에 구비됨으로써, 본체(100)가 이동 보조 유닛(200)에 의해 계단의 계단 손잡이(20)에 지지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 구비된 계단에서도 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와 이동 보조 유닛(200)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가지므로, 본체(100)가 계단 손잡이(20)를 타고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동 보조 유닛(2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으므로,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자 및 본체(100)의 무게가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10)와 계단 손잡이(20)로 분산됨으로써, 이송자는 종래에 비해 작은 힘을 들여 환자를 이송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소재,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으로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20: 계단 손잡이
21: 꺾이는 부분 100: 본체
110: 환자 지지부 111: 결합홈
120: 파지부 200: 이동 보조 유닛
210: 고정 부재 211: 제 1 가이드홈
212: 제 2 가이드홈 213: 지지 돌기
220: 회전 부재 230: 접촉 부재
231: 수용홈 240: 걸림 부재
21: 꺾이는 부분 100: 본체
110: 환자 지지부 111: 결합홈
120: 파지부 200: 이동 보조 유닛
210: 고정 부재 211: 제 1 가이드홈
212: 제 2 가이드홈 213: 지지 돌기
220: 회전 부재 230: 접촉 부재
231: 수용홈 240: 걸림 부재
Claims (6)
-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 보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보조 유닛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 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 외측을 향해 펼쳐지거나,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제공되는 접촉 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접촉 부재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접촉 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펼쳐지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가이드홈;
상기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가이드홈; 및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홈은 상기 접촉 부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은 상기 접촉 부재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성되는,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본체 외측을 향해 펼쳐짐으로써 계단 손잡이에 접촉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접촉 부재에 대하여 회전되어 상기 접촉 부재로부터 펼쳐짐으로써 상기 계단 손잡이의 끝단에 걸리는,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눕혀진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환자 지지부; 및
상기 환자 지지부의 양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 지지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이송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지지부는,
상기 고정 부재가 결합되도록 요입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걸림 부재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2226A KR102006866B1 (ko) | 2017-07-20 | 2017-07-20 |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2226A KR102006866B1 (ko) | 2017-07-20 | 2017-07-20 |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0056A true KR20190010056A (ko) | 2019-01-30 |
KR102006866B1 KR102006866B1 (ko) | 2019-08-02 |
Family
ID=6527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2226A KR102006866B1 (ko) | 2017-07-20 | 2017-07-20 |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686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7390B1 (ko) | 2016-01-07 | 2016-12-16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계단손잡이 이용 환자 이송장치 |
-
2017
- 2017-07-20 KR KR1020170092226A patent/KR1020068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7390B1 (ko) | 2016-01-07 | 2016-12-16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계단손잡이 이용 환자 이송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6866B1 (ko) | 2019-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69092B2 (ja) | ホイールが取付けられている可動物体用のグリップ装置 | |
US10406049B2 (en) | Mobile carrier and steering adjustment mechanism | |
RU2630943C2 (ru) | Шарнирный узел для складной прогулочной коляски | |
JPH0476686B2 (ko) | ||
CN101496667B (zh) | 带有脚轮的包以及用于该包的基础框架 | |
KR101309226B1 (ko) | 핸드 카트 | |
EP0130217A1 (en) | Steering and support handle for wheeled luggage | |
US10864134B2 (en) | Linkage mechanism and walking aid device | |
KR102330670B1 (ko) | 링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하지 지지장치 | |
EP1852031B1 (en) | Rotatable towing arrangement | |
TW201740833A (zh) | 操作把手裝置 | |
CN110177736A (zh) | 人员运送装置 | |
US6886192B1 (en) | Toilet lifting and transport device and method | |
KR20190010056A (ko) | 환자 이송용 스트레쳐 | |
US5327600A (en) | Patient gurney with adjustable hand holds | |
KR20110009188U (ko) | 손수레 | |
JP2011131677A (ja) | 脚式運搬機 | |
US7644743B2 (en) | Pivotable towing arrangement | |
JPH1189899A (ja) | 歩行補助車 | |
JP2014136523A (ja) | 固定装置、移動装置用の固定装置、移動装置 | |
JP6066248B1 (ja) | ロール反転機構を備えた運搬車 | |
KR102501720B1 (ko) | 착용형 운반 장치 | |
JP6399452B2 (ja) | 搬送機器 | |
KR101578645B1 (ko) | 장애인용 복지 차량 | |
KR102176728B1 (ko) | 폴딩형 유모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