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645B1 - 장애인용 복지 차량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복지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645B1
KR101578645B1 KR1020140066929A KR20140066929A KR101578645B1 KR 101578645 B1 KR101578645 B1 KR 101578645B1 KR 1020140066929 A KR1020140066929 A KR 1020140066929A KR 20140066929 A KR20140066929 A KR 20140066929A KR 101578645 B1 KR101578645 B1 KR 10157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cket
support plate
wheelchai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098A (ko
Inventor
김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지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지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지무브
Priority to KR102014006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64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8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fold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209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with storage means for unused wheelchair or stretc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 복지 차량의 문과 나란하게 세워두었다가 필요할 때 회전시켜서 사용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한 번 더 폴딩 하여 플로어 패널과 밀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복지 차량에 휠체어를 탑재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 플레이트가 플로어 패널과 밀착되게 하여 이용자가 쉽게 드나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건 등을 쉽고 신속하게 탑재할 수 있어 복지 차량의 내부 공간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장애인용 복지 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슬롯과 호 형상의 가이드에 각각 롤러가 따라 움직이면서 지지플레이트를 접어 플로어 패널과 밀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복지 차량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슬로프 방식이나 리프트 방식의 복지 차량에 상관없이 휠체어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이처럼 접어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복지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지지 플레이트를 채택한 차량에 적용할 수 있게 한 장애인용 복지 차량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용 복지 차량{VEHICLE FOR DISABL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용 복지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지 차량에 리프트 또는 슬로프 형태로 사용하다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플로어 패널과 맞닿도록 다시 한 번 접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휠체어를 차량에 탑재하지 않은 경우 이용자가 쉽게 차량 내부로 드나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건 등을 쉽게 적재할 수 있게 하여 복지 차량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를 실을 수 있는 장애인용 복지 차량은, 휠체어를 들어올려 차량에 실을 수 있는 호이스트 방식·차량의 측면이나 뒷면에서 휠체어를 아래에서 지지하여 들어올리는 리프트 방식·그리고 차량과 지면 사이에 경사면을 만들어 휠체어가 이 경사면을 따라 올라갈 수 있게 한 슬로프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에는 이러한 장애인용 복지 차량에서 휠체어를 차량에 탑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리어 도어 안쪽에 접이식 슬로프가 장착되어 승차 및 하차 시에 슬로프를 펼쳐 휠체어를 탄 상태로 안전하게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 장애인용 복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실은 휠체어가 주행 도중에 흔들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시켜 주는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복지 차량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2는, 장애인용 복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도어 안쪽에 접이식 전동 슬로프가 장착되어 승차 및 하차 시에 슬로프를 펼쳐 휠체어를 탄 상태로 안전하게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한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복지 차량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복지 차량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열린 리어 도어를 통해 지면까지 경사지게 펼쳐지거나 또는 차량 내부로 접히는 수동식 슬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은, 장애인용 복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휠체어에 장애인이 앉은 상태로 슬라이딩 리프트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게 구성한 슬라이딩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복지 차량을 제공한다. 이러한 장애인용 복지 차량은 차량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차량의 열린 도어를 통해 상기 고정부의 상면과 차량 밖의 지면을 왕복 이동하는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이 상기 고정부의 상면으로 미끄러져 진입하거나 고정부 밖으로 미끄러져 진출하도록 구동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고정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된 상기 플랫폼을 들어 차량의 내부와 외부로 이동시키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4는, 휠체어를 올려놓는 고정 플레이트체의 후방 측에 제1탑승플레이트와 제2탑승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되, 제1탑승플레이트는 슬라이딩판에 의해 슬라이딩 인출되고 제2탑승플레이트는 제1탑승플레이트로부터 힌지 회전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탑승플레이트와 제2탑승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휠체어가 탑승할 때 지지체에 의해 견고하게 휠체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탑승한 상태의 휠체어를 휠체어 고정체가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에 따라 주행 중 휠체어가 흔들거리지 않음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슬로프 방식 또는 리프트 방식의 복지 차량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복지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서는 휠체어를 지지하거나 안내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세워서 보관해야 한다. 이 때문에 복지 차량에 휠체어를 탑재하지 않을 때에도 이 지지 플레이트 때문에 복지 차량의 문을 통해 다른 물건을 싣거나 내리는 데 한계가 있다.
(2) 즉, 지지 플레이트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문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세워서 보관한다. 이 때문에, 복지 차량의 문을 열더라도 이 지지 플레이트가 세워진 상태로 차량의 입구 부분을 막고 있으므로 복지 차량 안으로 이용자가 드나들거나 물건 등을 적재하는 데 불편함이 따른다.
(3) 특히, 휠체어를 복지 차량에 탑재하지 않고 다른 물건을 실어나르기 위해서는 이 지지 플레이트를 불필요하게 펼쳤다가 다시 접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4) 이런 불필요한 작업으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지지 플레이트를 폴딩 할 공간이 필요하여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그만큼 줄어든다.
(5) 이 적재 공간은 전동 휠체어와 같이 큰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차량의 경우 더 큰 공간이 있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0794551호(등록일 : 2008.01.08) 한국등록특허 제0814684호(등록일 : 2008.03.12) 한국등록특허 제0968741호(등록일 : 2010.07.01)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0711호(공개일 : 2013.02.2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통상 복지 차량의 문과 나란하게 세워두었다가 필요할 때 회전시켜서 사용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한 번 더 폴딩 하여 플로어 패널과 밀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복지 차량에 휠체어를 탑재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 플레이트가 플로어 패널과 밀착되게 하여 이용자가 쉽게 드나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건 등을 쉽고 신속하게 탑재할 수 있어 복지 차량의 내부 공간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장애인용 복지 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슬롯과 호 형상의 가이드에 각각 롤러가 따라 움직이면서 지지플레이트를 접어 플로어 패널과 밀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복지 차량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슬로프 방식이나 리프트 방식의 복지 차량에 상관없이 휠체어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이처럼 접어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복지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지지 플레이트를 채택한 차량에 적용할 수 있게 한 장애인용 복지 차량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복지 차량은, 차량의 후문이나 측문을 통해 휠체어를 차량 내부에 탑재할 수 있도록 차량에 장착하여 두 번에 걸쳐 접을 수 있는 장애인용 복지 차량에 있어서, 플로어 패널(F)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회전 브래킷(100); 및 이 회전 브래킷(100)에 플로어 패널(F)과 나란하게 놓이도록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 지지 플레이트(20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브래킷(100)의 양측 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면에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쪽 끝에는 스토퍼 홈(111a)이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111)·상기 지지 플레이트(200) 측으로 돌출하게 설치한 제1 롤러(112)를 가진 제1 브래킷(110)을 갖추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의 양측 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면에는, 상기 제1 롤러(112)가 끼워지는 슬릿(211)·상기 가이드(111)에 끼워져서 안내받는 제2 롤러(212)를 가진 제2 브래킷(210)이, 제1 브래킷(110)과 겹쳐지게 설치하며;, 상기 제1 브래킷(110)과 제2 브래킷(210) 사이에는, 상기 제2 롤러(212)가 항상 스토퍼 홈(111a) 측을 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300)을 갖추되, 상기 스토퍼 홈(111a)은 호 형상의 가이드(111) 끝에서 이 호가 지나는 가상의 원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플로어 패널(F)에 대하여 수직 또는 실내 측과 예각을 이루도록 세워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복지 차량은, 휠체어를 승·하강하여 실내로 안내하는 리프트 방식의 차량, 또는 휠체어가 경사면을 따라 실내로 들어갈 수 있게 한 슬로프 방식의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복지 차량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복지 차량의 문과 나란하게 세워서 사용하는 기존의 지지 플레이트를 다시 한 번 접어서 플로어 패널과 나란하게 놓이게 구성하므로, 복지 차량에 휠체어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이 복지 차량에 다른 물건을 적재하거나 탑승자가 편리하게 드나들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2) 특히, 이처럼 지지 플레이트를 접은 상태로 그 위에 물건 등을 올려놓고 복지 차량으로 운반할 수 있으므로, 복지 차량에 실은 화물을 내리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를 펼쳤다가 다시 접는 불필요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3) 휠체어를 들어올리는 리프트 방식의 차량이나 경사면을 제공하는 슬로프 방식의 차량에도 모두 휠체어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지지 플레이트를 구성해야 하므로, 이러한 복지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본 발명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복지 차량에 물건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을 할 때도 이 지지 플레이트를 펼치지 않고서도 이러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슬로프 방식의 복지 차량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기 위한 복지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를 2번에 걸쳐 접힌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를 두 번에 걸쳐 펼쳐서 사용하는 상태를 차례대로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복지 차량은,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플로어 패널(F)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 회전 브래킷(100), 이 회전 브래킷(10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여 플로어 패널(F)과 밀착할 수 있게 구성한 지지 플레이트(200), 그리고 회전 브래킷(100)과 지지 플레이트(20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탄성 스프링(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가이드(111)와 슬릿(211)에 각각 끼워져서 안내를 받는 제1 롤러(112)와 제2 롤러(212)를 통해 회전하면서 접힐 수 있게 구성하므로, 그 작동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조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 브래킷(1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플로어 패널(F)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슬로프 방식의 복지 차량에 장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회전 브래킷(100)은 플로어 패널(F)에 형성한 경사면(S)의 측면을 마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즉, 슬로프 방식의 복지 차량의 플로어 패널(F)은, 일반 차량의 플로어 패널과 달리, 도 2와 같이 휠체어가 플로어 패널(F)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경사면(S)을 형성한다. 여기서, 경사면(S)은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는 면보다 낮고 평편하게 플로어 패널(F)을 형성하고 급경사를 갖게 형성함으로써, 경사면(S)을 형성하면서 만들어진 평편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회전 브래킷(100)은, 이 경사면(S)의 개방된 전면 부분을 마감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며, 양측에는 플로어 패널(F)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돌기(1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돌기(120)는 경사면(S)을 구성하는 양측 면에 각각 형성한 지지 구멍(H)에 끼워져서 회전 브래킷(100)의 회전을 지지한다. 이러한 회전 브래킷(100)을 플로어 패널(F)에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은 복지 차량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회전 브래킷(10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양측 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면에 제1 브래킷(110)을 구성한다. 제1 브래킷(110)에는 가이드(111)·제1 롤러(112)·스프링 고정 돌기(113)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111)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미리 정해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한쪽에는 이 원호 형상과 다른 형태가 되게 길게 스토퍼 홈(111a)을 형성한다. 이 가이드(111)에는 후술할 제2 롤러(212)가 끼워져서 안내를 받으며, 이때 제2 롤러(212)는 호 형상의 가이드(111)를 따라 부드럽게 회전하게 하다가 스토퍼 홈(111a)에 끼워져서 더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스토퍼 홈(111a)은 상술한 회전 브래킷(1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돌기(120)와 가까운 쪽의 가이드(111) 끝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 홈(111a)은, 도 7과 같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111)의 호 형상을 지나는 원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200)를 세웠을 때 제2 롤러(212)가 스토퍼 홈(111a)에 수납되면서 지지 플레이트(20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롤러(112)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후술할 제2 브래킷(210)에 형성한 슬릿(211)에 끼워지게 형성한다. 특히, 이 제1 롤러(112)는 지지 플레이트(200)를 회전함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지는 슬릿(211)의 안내를 받는다.
마지막으로, 스프링 고정 돌기(113)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후술할 탄성 스프링(300)의 한쪽을 고정하기 위해 제1 브래킷(110)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 고정 돌기(113)는 제2 롤러(212)가 항상 스토퍼 홈(111a) 쪽으로 향하여 탄성 스프링(300)의 탄성 지지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래킷(110)은 회전 브래킷(100)의 양쪽 면에 각각 하나씩 구성하여 지지 플레이트(200)의 양쪽에서 안정적으로 회전 지지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플레이트(2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플로어 패널(F)에 형성한 경사면(S)의 개방된 윗부분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그리고, 양측에는 이 지지 플레이트(200)가 회전할 때 경사면(S) 안으로 빠지지 않고 플로어 패널(F)에 걸리도록 걸림 돌기(22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에는 양측 면 중에서 적어도 한 면,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제1 브래킷(110)과 같은 개수로 이 제1 브래킷(110)과 겹쳐지도록 제2 브래킷(210)을 장착한다. 특히, 이 제2 브래킷(210)에는 상기 제1 롤러(112)가 끼워지는 슬릿(211)·가이드(111)에 끼워지는 제2 롤러(212)·그리고 탄성 스프링(300)을 장착할 스프링 고정 돌기(213)를 각각 형성한다.
슬릿(21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길이나 호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길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슬릿(211)을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술한 가이드(111)와 다른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200)를 회전시키면 이와 함께 제2 브래킷(210)이 가이드(111)를 따라 완만한 원호 형태로 회전하면서 회전 간섭을 없애 지지 플레이트(200)를 플로어 패널(F)에 세워서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제2 롤러(212)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가이드(111)에 지지 플레이트(200)를 회전시킴에 따라 가이드(111)의 원 호 형상을 따라 이 지지 플레이트(200)에 장착한 제2 브래킷(210)이 원만한게 회전할 수 있게 안내한다.
스프링 고정 돌기(213)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00)를 회전하더라도 제1 브래킷(110)과 간섭이 생기지 않고 탄성 스프링(300)의 한쪽을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플로어 패널(F)에 휠체어를 탑재함에 따라 상술한 회전 브래킷(10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우는데, 이때 이 지지 플레이트(200)는 복지 차량의 문과 나란하거나 약간 실내 측으로 예각을 이루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문과의 간섭을 피하면서도 차량 내부의 좁은 실내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탄성 스프링(3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두 개의 스프링 고정 돌기(113,213)에 양단을 고정한다. 이때, 탄성 스프링(300)은 회전 브래킷(100)에 장착한 제1 브래킷(110)을 중심으로 지지 플레이트(200)를 회전시키더라도 제1 브래킷(110)과 간섭이 생기지 않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스프링(300)은 항상 제2 롤러(212)가 스토퍼 홈(111a) 쪽으로 향하도록 스프링 고정 돌기(213)를 당겨 주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복지 차량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휠체어를 복지 차량에 탑재하지 않은 경우 지지 플레이트(200)를 접어 플로어 패널(F)과 밀착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탄성 스프링(300)은 도 5와 같이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롤러(212)는 가이드(111)에 끼워져서 스토퍼 홈(111a)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200)는 탄성 스프링(300)의 탄성 지지를 받으나, 슬릿(211)과 가이드(111)가 거의 직각인 형태로 위치하고, 여기에 각각 제1 롤러(112)와 제2 롤러(212)가 끼워져서 간섭을 받는 상태로서 지지 플레이트(200)가 탄성 스프링(300)의 탄성력으로 위로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로어 패널(F)에는 상기 걸림 돌기(22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도시하지 않음)를 별도로 더 구성함으로써, 이 지지 플레이트(200)가 진동 등으로 탄성 스프링(300)의 탄성력 때문에 지지 플레이트(2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 고정구를 이용하여 걸림 돌기(220)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여 지지 플레이트(200)를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 상태에서 휠체어를 탑재하려고 하면, 도 6과 같이, 지지 플레이트(2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가이드(111)와 슬릿(211)이 각각 장공 기능으로서 지지 플레이트(200)가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일 우려가 있다.
하지만, 지지 플레이트(200)는 가이드(111)가 호 형상으로 제작하였으므로, 탄성 지지를 받는 제2 롤러(212)가 도면의 화살표와 같이 이 가이드(111)를 따라 움직이므로 완만하게 회전한다. 이때, 탄성 스프링(300)이 제1 브래킷(110)에 고정되어 제2 브래킷(210)을 도면에서 아래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므로, 결과적으로 제2 롤러(212)를 도면 아래로 당기는 효과를 얻게 되어 지지 플레이트(200)는 가이드(111)를 따라 회전하는 형태가 된다.
즉, 지지 플레이트(200)는, 도 6과 같이, 제1 롤러(112)를 회전의 기준점으로 삼고 제2 롤러(212)가 가이드(111)의 호 형상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다. 이때, 회전 간섭이 생길 수 있으나, 이 회전 간섭은 제1 롤러(112)를 따라서 슬릿(211)의 위치가 이동하면서 회전 간섭을 없애준다.
이처럼 회전하는 지지 플레이트(200)는, 도 7과 같이, 제2 롤러(212)가 가이드(111)의 끝 부분, 즉 스토퍼 홈(111a)에 끼워짐에 따라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2 롤러(212)가 탄성 스프링(300)의 탄성 지지를 받기 때문에 더는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이처럼 위치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200)는, 본 발명에 따른 복지 차량의 이용자가 때에 따라 손으로 잡아 위로 당겨서 제2 롤러(212)가 스토퍼 홈(111a)에서 빠지게 함에 따라 도 6과 같이 접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7과 같이 제2 롤러(212)가 스토퍼 홈(111a)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200)를 잡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2 롤러(212)는 탄성 스프링(300)이 스토퍼 홈(111a) 측으로 당겨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지지 플레이트(200)는 제1 브래킷(110)에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200)를 잡아 회전시킴에 따라 도 8과 같이, 지지 플레이트(200)와 함께 회전 브래킷(100)이 플로어 패널(F)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경사 노면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휠체어를 지지하며 차량에 회전하여 접어서 보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다시 한 번 회전하여 플로어 패널과 밀착하게 구성함으로써, 휠체어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쉽게 복지 차량 내부에 드나들거나 물건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휠체어가 경사면을 따라 실내로 들어갈 수 있게 한 슬로프 방식의 차량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리프트 방식의 차량의 경우도 실제 휠체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판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 이 지지판을 본 발명과 같이 다시 한 번 더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리프트 방식의 복지 차량의 경우도 슬로프 방식의 차량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목적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0 : 회전 브래킷
110 : 제1 브래킷
111 : 가이드
111a : 스토퍼 홈
112 : 제1 롤러
113, 311 : 스프링 고정 돌기
120 : 돌기
200 : 지지 플레이트
210 : 제2 브래킷
211 : 슬릿
212 : 제2 롤러
213 : 스프링 고정 돌기
220 : 걸림 돌기
300 : 탄성 스프링

Claims (3)

  1. 차량의 후문이나 측문을 통해 휠체어를 차량 내부에 탑재할 수 있도록 차량에 장착하여 두 번에 걸쳐 접을 수 있는 장애인용 복지 차량에 있어서,
    플로어 패널(F)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회전 브래킷(100); 및 이 회전 브래킷(100)에 플로어 패널(F)과 나란하게 놓이도록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 지지 플레이트(20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브래킷(100)의 양측 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면에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쪽 끝에는 스토퍼 홈(111a)이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111)·상기 지지 플레이트(200) 측으로 돌출하게 설치한 제1 롤러(112)를 가진 제1 브래킷(110)을 갖추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의 양측 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면에는, 상기 제1 롤러(112)가 끼워지는 슬릿(211)·상기 가이드(111)에 끼워져서 안내받는 제2 롤러(212)를 가진 제2 브래킷(210)이, 제1 브래킷(110)과 겹쳐지게 설치하며;,
    상기 제1 브래킷(110)과 제2 브래킷(210) 사이에는, 상기 제2 롤러(212)가 항상 스토퍼 홈(111a) 측을 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300)을 갖추되,
    상기 스토퍼 홈(111a)은 호 형상의 가이드(111) 끝에서 이 호가 지나는 가상의 원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복지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00)는 플로어 패널(F)에 대하여 수직 또는 실내 측과 예각을 이루도록 세워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복지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용 복지 차량은,
    휠체어를 승·하강하여 실내로 안내하는 리프트 방식의 차량 또는
    휠체어가 경사면을 따라 실내로 들어갈 수 있게 한 슬로프 방식의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복지 차량.
KR1020140066929A 2014-06-02 2014-06-02 장애인용 복지 차량 KR10157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929A KR101578645B1 (ko) 2014-06-02 2014-06-02 장애인용 복지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929A KR101578645B1 (ko) 2014-06-02 2014-06-02 장애인용 복지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98A KR20150139098A (ko) 2015-12-11
KR101578645B1 true KR101578645B1 (ko) 2015-12-18

Family

ID=5502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929A KR101578645B1 (ko) 2014-06-02 2014-06-02 장애인용 복지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507B1 (ko) * 2017-05-11 2018-05-21 주식회사이지무브 차량용 휠체어 램프 개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7778A (ja) * 2000-08-31 2002-03-08 Wako Kogyo Kk 車両用昇降装置における車両側自動フラッパー装置
JP2004196027A (ja) * 2002-12-16 2004-07-15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のスロープ駆動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7778A (ja) * 2000-08-31 2002-03-08 Wako Kogyo Kk 車両用昇降装置における車両側自動フラッパー装置
JP2004196027A (ja) * 2002-12-16 2004-07-15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のスロープ駆動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507B1 (ko) * 2017-05-11 2018-05-21 주식회사이지무브 차량용 휠체어 램프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98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2530A2 (en) Moveable base with control surface
ES2641486T3 (es) Baca para transportar y bajar escaleras
KR102064567B1 (ko) 테이블 가변형 콘솔장치
US20160288814A1 (en) Foldable Stroller Frame
JPH0476686B2 (ko)
US11375788B2 (en) Luggage with support
KR101073647B1 (ko) 차량 적재용 접이식 카트
KR101578645B1 (ko) 장애인용 복지 차량
US20180027937A1 (en) Extendable sled device and a method for its use
KR20200071308A (ko)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JPH1156438A (ja) 旅行カバン
US9669691B2 (en) Covering device of a luggage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KR20090088156A (ko) 작업대용 발판의 다리부재 폴딩장치
KR100930546B1 (ko) 차량의 스텝장치
JP6316710B2 (ja) 多機能を有するスロープ装置
KR100671971B1 (ko) 여행용 가방
KR101004554B1 (ko) 휴대용 카트
KR20160035735A (ko) 절첩식 좌판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
KR200276415Y1 (ko)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JP6497946B2 (ja) 折戸装置
KR200445290Y1 (ko) 엘리베이터에 장착되는 물건 거치대.
KR20160066247A (ko) 탑차의 측면 도어 오픈 및 폐쇄장치
KR101784152B1 (ko) 시트의 폴딩 장치
JP6507977B2 (ja) カップホルダ
JP3689882B2 (ja) 格納可能な折り畳み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