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010A -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 - Google Patents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010A
KR20190010010A KR1020170092104A KR20170092104A KR20190010010A KR 20190010010 A KR20190010010 A KR 20190010010A KR 1020170092104 A KR1020170092104 A KR 1020170092104A KR 20170092104 A KR20170092104 A KR 20170092104A KR 20190010010 A KR20190010010 A KR 20190010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support
heating element
heat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142B1 (ko
Inventor
임현철
이재영
양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70092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142B1/ko
Priority to PCT/KR2018/008228 priority patent/WO2019017728A1/ko
Publication of KR20190010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05B3/5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heating conductor arranged in metal tubes, the radiating surface having heat-conducting 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gaseous material
    • H05B2203/023Heaters of the type used for electrically heating the air blown in a vehicle compartment by the vehicle heating system

Abstract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에 적층되어 전류 인가 시 열을 발생시키는 제1발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발열원은 판상의 도전성 부재 및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선형의 도전성 부재 중 어느 하나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공조장치용 히터는 복수 개의 발열유닛 및 상기 발열유닛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유닛은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HEATING ELEMENT AND HEATER FOR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 엔진이 없기 때문에, 난방을 위해서는 전기로 작동하는 히터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니크롬 선을 사용하는 히터의 경우, 과열 시 발화의 우려가 있어, 전기자동차에는 PTC 소자를 이용한 히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발열체로서 PTC소자를 이용하는 히터는, PTC소자의 크기를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큰 발열량을 얻을 수 없으며, 전도체인 도전성 카본 혼합물이 PTC소자의 발열면 일부에만 결합되므로 전도체 부위별로 온도분포가 불균일하고 방열핀에 전달되는 온도가 상이하다.
따라서, 균일한 온도분포가 형성됨과 동시에 큰 발열량을 얻을 수 있는 발열체 및 히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0479187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균일한 온도분포를 얻을 수 있고 큰 발열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차량공조용 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에 적층되어 전류 인가 시 열을 발생시키는 제1발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발열원은 판상의 도전성 부재 및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선형의 도전성 부재 중 어느 하나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발열원은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내열성을 갖는 코팅층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절연층은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부재이고, 상기 필름부재는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제1발열원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발열원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절연층 및 제2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 중 어느 하나는 내열성을 갖는 코팅층이고 다른 하나는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판상의 금속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시트는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가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제1발열원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공조장치용 히터는 복수 개의 발열유닛 및 상기 발열유닛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유닛은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판상의 금속시트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는 전류 인가 시 열을 발생시키는 제 2발열원 및 상기 제 2발열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발열원은 판상의 금속시트이거나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판상의 금속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부가 개방된 제1수용공간 및 하부가 개방된 제2수용공간이 교번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는, 산부 또는 골부가 상기 제1수용공간 또는 제2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체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공조장치용 히터는, 상기 발열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체와 상기 발열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산부가 상기 제1지지체에 형성되는 제2수용공간에 삽입되고, 골부가 상기 제2지지체에 형성되는 제1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류인가 시 열을 발생시키는 판상의 발열체를 통하여 균일한 온도분포를 얻을 수 있고 큰 발열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체에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발열체와 공기간의 접촉면적을 비롯한 가열면적이 증가됨으로써 난방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가 발열원이 포함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발열체를 지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발열원으로 작동됨으로써 난방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g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발열체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공조장치용 히터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지지체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공조장치용 히터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공조장치용 히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는 도 1 내지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인가 시 열을 발생시키는 제1발열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발열원(11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공조장치로부터 유출되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1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발열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11)와 골부(12)가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는 코로게이션(Corrugation)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는 제1발열원(110)이 산부(11)와 골부(12)를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10)가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유로(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발열원(110)에 의해 직접 가열됨으로써 빠르게 승온 될 수 있다.
더불어, 반복적으로 절곡형성되는 유로(10)를 통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비롯하여 가열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열교환면적을 넓혀 큰 발열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기가 직접 통과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발열체와 발열체 사이에 배치되던 종래의 방열핀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발열원(110)은 판상의 도전성부재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판상의 도전성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금속시트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시트로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의 도전성부재는 비정질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는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발열원(110)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선형의 도전성부재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어 판상 또는 면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발열원이 면상 또는 판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면 히터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발열원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발열체(100)는 제1발열원(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연층(120)은 다른 부품과의 접촉을 통해 제1발열원(110)이 쇼트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 상기 절연층(120)은 내열성을 갖는 코팅액이 도포된 코팅층(121)일 수도 있고, 내열성을 갖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필름부재(122)가 접착층(130)을 매개로 상기 제1발열원(110)에 부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코팅액은 액상의 폴리이미드(PI) 코팅액일 수 있고, 상기 필름부재(122)는 폴리이미드(PI)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열성 및 절연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공지의 모든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층(121)이 두꺼운 경우 제1발열원(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난방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략 3~5㎛ 두께의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부재(122) 역시 동일한 이유로 대략 100㎛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코팅층(121) 및 필름부재(122)의 두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는 상기 절연층(120)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층(12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열원(11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코팅층(121)으로 구현될 수 있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열원(110)의 양면에 접착층(130)을 매개로 필름부재(122)가 각각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절연층(120)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발열원(11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절연층 및 제2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 중 어느 하나는 코팅층(121)으로 구현되고 다른 하나는 접착층(130)을 매개로 필름부재(122)가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는 상기 절연층(120)의 일면에 접착층(160)을 매개로 부착되는 판상의 금속시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시트(140)는 제1발열원(110)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제1발열원(110)을 지지함으로써 제1발열원(110)의 형상을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제1발열원(11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금속시트(140)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구리 또는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금속시트(140)는 도 2d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발열체(100)에서 절연층(120)의 일면에 접착층(160)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발열체(100)는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노다이징 처리된 판상의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시트(150)가 접착층(160)을 매개로 제1발열원(110)의 적어도 일면에 직접 부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발열체(100)는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시트(150)가 표면에 양극산화피막이 형성되어 절연기능이 포함됨으로써, 상술한 절연층(120)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발열체(100)는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양단부가 프레임(300)에 고정됨으로써 차량공조장치용 히터(이하 ‘히터’라 함)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는 발열유닛(300,300’) 및 상기 발열유닛(300,300’)을 둘러싸는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유닛(300,300’)은 복수 개의 발열체(100)와 지지체(200,200’)를 포함하며, 발열체(100)의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100)는 복수 개가 프레임(4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발열체(100) 사이에는 상기 발열체(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20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체(200)는 상기 프레임(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발열체(100)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발열체(100)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400)이 차량용 공조장치에 설치되고 공조장치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발열체(1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통해 승온된 상태로 통과되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체(200)는 발열체(100)를 단순히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다른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체(200)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발열체(100)에서 전달된 열을 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체(2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금속시트(250)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시트(25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지지체(200)는 발열체(100)를 지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전류 인가 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원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체(200)는 도 4b 및 도 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발열원(210)과, 상기 제2발열원(2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지지체(20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220)의 일면에 접착층(230)을 매개로 부착되는 판상의 금속시트(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체(200)는 상기 발열체(100)와 더불어 지지체(200)의 제2발열원(210)이 히터를 통과하는 공기를 직접 가열하여 난방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200)가 제2발열원(210)과 더불어 금속시트(240)를 포함하는 경우 금속시트(240)를 통해 제2발열원(210)에서 전달된 열을 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체(200)가 제2발열원(21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지지체(200)는 상술한 구조 이외에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발열체(100)의 구조가 동일하게 채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2발열원(210), 절연층(220), 접착층(230) 및 금속시트(250)는 상술한 발열체(100)에 적용되는 제1발열원(110), 절연층(120), 접착층(130,160) 및 금속시트(140, 150)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체(200)는 발열체(100)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단순히 배치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발열체(100)의 일부가 상기 지지체(200)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예로써 상기 발열체(100)의 산부(11)와 골부(12)는 접착제를 매개로 지지체(200)와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지지체(200’)는 상부가 개방된 제1수용공간(13) 및 하부가 개방된 제2수용공간(14)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발열체(100)의 산부(11) 또는 골부(12)가 제1수용공간(13) 또는 제2수용공간(14) 내에 위치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지지체(20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체(200’)는 발열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체(200’a)와 발열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체(20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체(100)는 산부(11)가 제1지지체(200’a)에 형성되는 제2수용공간(14)에 삽입되고, 골부(12)가 제2지지체(200’b)에 형성되는 제1수용공간(13)에 삽입되어 제1지지체(200’a) 및 제2지지체(200’b)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발열체(100)의 일부가 상기 지지체(200’)에 형성된 제1수용공간(13) 또는 제2수용공간(14) 측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지지체(200’)와 발열체(100)간의 고정을 위한 접착제의 사용이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용공간(13) 및 제2수용공간(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200’)의 양면에 각각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수용홈의 형태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발열체(100)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형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는 발열체(500)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현되어 복수 개가 프레임(4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체(500)는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발열체(100)의 구조가 동일하게 채용될 수 있다. 다만, 발열체(500)의 전체적인 형상이 평판 또는 코로게이션 형상에서 나선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나선형의 발열체(500) 사이에 형성된 유로(20)를 통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비롯하여 가열면적이 넓어짐으로서 열교환면적이 넓어질 수 있으며, 공기의 진행 경로 상에 와류가 발생함으로써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체류시간이 증가함과 더불어 열교환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큰 발열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발열체(500)가 나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휨강성이 증가하여 발열체(500)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발열체(5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생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20 : 유로 11 : 산부
12 : 골부 13 : 제1수용공간
14 : 제2수용공간
100,500 : 발열체 110,210 : 제1 및 제2발열원
120,220 : 절연층 121 : 코팅층
122 : 필름부재 130,160,230 : 접착층
140,240,250 : 금속시트 200,200’ : 지지체
200’a : 제1지지체 200’b : 제2지지체
300,300’ : 발열유닛 400 : 프레임

Claims (13)

  1.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에 적층되어 전류 인가 시 열을 발생시키는 제1발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발열원은,
    판상의 도전성 부재 및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선형의 도전성 부재 중 어느 하나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 형성되는 발열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열원은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인 발열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내열성을 갖는 코팅층인 발열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부재이고, 상기 필름부재는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제1발열원에 부착되는 발열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발열원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절연층 및 제2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 중 어느 하나는 내열성을 갖는 코팅층이고 다른 하나는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필름부재인 발열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판상의 금속시트를 더 포함하는 발열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시트는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가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제1발열원의 일면에 부착되는 발열체.
  8. 복수 개의 발열유닛; 및
    상기 발열유닛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유닛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장치용 히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판상의 금속시트인 차량공조장치용 히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전류 인가 시 열을 발생시키는 제 2발열원; 및
    상기 제 2발열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발열원은 판상의 금속시트이거나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인 차량공조장치용 히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판상의 금속시트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장치용 히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부가 개방된 제1수용공간 및 하부가 개방된 제2수용공간이 교번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는, 산부 또는 골부가 상기 제1수용공간 또는 제2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는 차량공조장치용 히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공조장치용 히터는, 상기 발열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체와 상기 발열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산부가 상기 제1지지체에 형성되는 제2수용공간에 삽입되고, 골부가 상기 제2지지체에 형성되는 제1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를 통해 지지되는 차량공조장치용 히터.

KR1020170092104A 2017-07-20 2017-07-20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 KR10232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104A KR102323142B1 (ko) 2017-07-20 2017-07-20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
PCT/KR2018/008228 WO2019017728A1 (ko) 2017-07-20 2018-07-20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104A KR102323142B1 (ko) 2017-07-20 2017-07-20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010A true KR20190010010A (ko) 2019-01-30
KR102323142B1 KR102323142B1 (ko) 2021-11-09

Family

ID=6527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104A KR102323142B1 (ko) 2017-07-20 2017-07-20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0864A (zh) * 2019-07-31 2019-11-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柜式空调器的电加热器及具有其的柜式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111A (ko) * 2003-04-25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열핀이 구비된 튜브 히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79187B1 (ko) 2003-12-24 2005-03-28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용 보조난방장치
KR20060042590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엘티에스 세라믹 발열소자가 구비된 전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06938B1 (ko) * 2007-12-06 2009-07-10 (주)하이코 온풍기용 면상 발열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111A (ko) * 2003-04-25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열핀이 구비된 튜브 히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79187B1 (ko) 2003-12-24 2005-03-28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용 보조난방장치
KR20060042590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엘티에스 세라믹 발열소자가 구비된 전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06938B1 (ko) * 2007-12-06 2009-07-10 (주)하이코 온풍기용 면상 발열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0864A (zh) * 2019-07-31 2019-11-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柜式空调器的电加热器及具有其的柜式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142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29066A (ja) 乗り物用加熱装置の加熱ユニットを製造する方法
TWI619430B (zh) heat sink
WO2014010252A1 (ja) バッテリー加熱装置
US9539881B2 (en) Insulated heating module for a supplemental heating device
KR102078194B1 (ko) 차량용 히터
JP2011243358A (ja) 電池パック
US10281220B1 (en) Heat sink with vapor chamber
WO2017047756A1 (ja) ヒートシンク
JP2008536749A (ja) 自動車暖房装置または空調装置用の電気補助ヒータ
JP2010040264A (ja) 電気ヒータ装置
KR20190010010A (ko)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
JP2017123313A (ja) 電池パック
CN217283417U (zh) 电加热装置
JP2015536435A (ja) ヒートシンク、関連する加熱モジュール、および、対応する組み立て方法
CN101287347A (zh) 热管散热装置
KR20190030615A (ko)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KR102274247B1 (ko)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JP3063395B2 (ja) 正特性サーミスタ発熱体
JP6698046B2 (ja) 熱伝導シート
JP2012169529A (ja) 放熱器
KR102433010B1 (ko) 차량 히터용 방열핀, 히터부 및 이를 포함하는 ptc 히터 장치
KR20230083672A (ko) 차량용 난방장치
JP2023110823A (ja) プレート型ヒータ装置
JP2011222156A (ja) 自動車用ヒータユニット構造および電気式ヒータ
JP5647452B2 (ja) 正特性サーミス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