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461A -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461A
KR20190009461A KR1020170091137A KR20170091137A KR20190009461A KR 20190009461 A KR20190009461 A KR 20190009461A KR 1020170091137 A KR1020170091137 A KR 1020170091137A KR 20170091137 A KR20170091137 A KR 20170091137A KR 20190009461 A KR20190009461 A KR 20190009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ealth functional
functional food
present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795B1 (ko
Inventor
정창화
하태열
안지윤
장영진
이다혜
박소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91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7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Y10S514/9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근육질환의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 축적 억제, 및 근육량 증가 및 근력 강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Obesity or Exercise Performance comprising Extract from Inula japonica}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국민소득이 향상되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각종 동물성 식품의 섭취량이 늘고 있다. 2008년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식품섭취량 중 식물성 식품이 전체의 80.5%이고 동물성 식품이 19.5%로 집계되어 동물성 식품의 섭취 비율이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처음 시작한 1969년에 조사된 3%에 비하여 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비만 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비만(BMI>25) 인구 비율은 1995년 11.7%이던 것이 2008년 30.7%, 고도 비만(BMI>30) 인구 비율은 1998년 2.3%에서 2008년 4.1%로 조사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9).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모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에 에너지가 과잉으로 축적되어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하며, 세계보건기구(WHO)는 동양인 기준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가 23∼25를 과체중, 25∼30을 비만, 3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보고 있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더불어 고지방 및 고열량의 식생활, 바쁜 사회적 환경에 따른 운동 부족, 내분비 이상 등 환경적 요인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비만의 50 내지 70% 정도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가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세포에 저장된 지방은 체내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만 비만이 진행됨에 따라서 지방세포의 수적 증가와 함께 지방세포의 분화가 이루어진다. 지방세포의 분화에 따라 중성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 합성이 증가한다. 지방세포에 축적 저장되는 중성지방은 지방세포의 크기를 증가시키는데 지방의 저장에 따라 그 직경이 약 20배까지 늘어날 수 있으며 그 결과 세포 용적은 수천 배까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rayn KN, Karpe F, Fielding BA, Macdonald IA, Coppack SW.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3;27:875-888). 이러한, 지방세포의 크기는 식사 조절을 통해 조절이 가능하지만 새로운 전구지방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식사 조절로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비만의 근본적 치료 또는 억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크게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에 영향을 주는 약제와 위장관에 작용하여 흡수를 저해하는 약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는 각각의 기전에 따라 세로토닌(5HT)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등의 약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등의 약물 및 최근에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시부트라민 등의 약물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외에도, 위장관에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약물로는 대표적으로 췌장에서 생성되는 리파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줌으로써 최근 비만 치료제로 허가된 오를리스타트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켜 최근에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물로부터 유래하는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면서도 체중 감소 효과가 우수한 비만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비만 및 운동수행능력 개선 활성을 갖는 추출물을 선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선복화 추출물이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며, 지방 분화 관련 mRNA의 발현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근력 및 근육량을 증가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비만 및 운동수행능력 개선 효과를 동시에 갖는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지방 감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근육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육량 증대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비만 및 운동수행능력 개선 활성을 갖는 추출물을 선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선복화 추출물이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며, 지방 분화 관련 mRNA의 발현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근력 및 근육량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선복화 추출물은 선복화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을 선복화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선복화의 조추출물 제조에 사용되는 한 용매에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이상 내지 100%(v/v)미만, 20%이상 내지 100%(v/v)미만, 30%이상 내지 100%(v/v)미만, 40%이상 내지 100%(v/v)미만, 50%이상 내지 100%(v/v)미만, 60%이상 내지 100%(v/v)미만, 70%이상 내지 100%(v/v)미만, 10%이상 내지 90%(v/v)미만, 20%이상 내지 90%(v/v)미만, 30%이상 내지 90%(v/v)미만, 40%이상 내지 90%(v/v)미만, 50%이상 내지 90%(v/v)미만, 60%이상 내지 90%(v/v)미만 또는 60%이상 내지 80%(v/v)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 예를 들어, 70%(v/v)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수용액은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수용액, 프로판올 수용액, 및 부탄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탄올 수용액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복화 추출물은 용매 조추출물을 추가의 용매로 분획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용매 조추출물에 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복화를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용매 조추출물을 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선복화의 용매 조추출물, 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선복화의 꽃, 잎, 줄기 및 뿌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선복화의 꽃 추출물이다.
상기 용매는 10%이상 내지 100%(v/v)미만, 20%이상 내지 100%(v/v)미만, 30%이상 내지 100%(v/v)미만, 40%이상 내지 100%(v/v)미만, 50%이상 내지 100%(v/v)미만, 60%이상 내지 100%(v/v)미만, 70%이상 내지 100%(v/v)미만, 10%이상 내지 90%(v/v)미만, 20%이상 내지 90%(v/v)미만, 30%이상 내지 90%(v/v)미만, 40%이상 내지 90%(v/v)미만, 50%이상 내지 90%(v/v)미만, 60%이상 내지 90%(v/v)미만 또는 60%이상 내지 80%(v/v)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 예를 들어, 70%(v/v)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복화 추출물의 제조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복화를 절단하고 물로 세척하여 협착물을 제거한 후, 상기 선복화의 중량에 대하여 약 10 내지 20배 중량의 추출용매로 환류 추출한다.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모은다. 추출 온도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15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인 것이 좋다.
추출공정은 1회 또는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예에서는 1차 추출 후 다시 재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는데, 이는 생약추출물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여과를 한다 하더라도 생약 자체의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1차 추출만으로는 추출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단계별 추출효율을 검증한 결과 2차 추출에 의해 전체 추출량의 80 내지 90% 정도가 추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추출공정을 2회 반복하는 경우, 상기 얻어진 잔사에 다시 추출용매, 약 5 내지 15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부피배로 환류 추출한다. 추출 후 여과하고 이전에 얻어진 여과액과 합쳐서 감압농축을 하여 선복화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2차에 걸친 추출 및 각각의 추출 후 얻어진 여과액을 혼합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추출물이 추출 회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선복화 추출물 제조 시에 사용되는 용매의 양이 너무 적으면 교반이 어렵게 되고 추출물의 용해도가 낮아져 추출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지나치게 많은 경우는 다음의 정제단계에서 사용되는 용매의 사용량이 많아져 경제적이지 못하여 취급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얻어진 여과된 추출물은 의약품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잔존하는 저급 알코올의 함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농축물 총량의 약 10 내지 3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배의 물로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회 공비 농축하고 재차 동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선복화 추출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법일 수 있으며, 예컨대,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추출물'은 용매 조추출물, 특정 용매 가용 추출물(용매 분획물) 및 용매 조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며,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용액, 농축물 또는 분말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선복화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선복화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선복화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모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에 에너지가 과잉으로 축적되어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하며, 세계보건기구(WHO)는 동양인 기준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가 23∼25를 과체중, 25∼30을 비만, 3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이다.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 내 지방 축적을 억제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지방전구세포에 선복화 추출물 100 ug/ml을 처리한 결과, 지방전구세포 내 지방 축적이 억제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선복화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용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선복화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되는 경우, 식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선복화 추출물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및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체지방 감소용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유효성분을 포함하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지방전구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전구세포로의 분화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 내 지방세포 분화 관련 mRNA(예컨대, PPARγ, C/EBPα 및 aP2) 의 발현을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및 지방전구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전구세포로의 분화 억제 방법은 상기 선술된 선복화 추출물 및 건강기능식품 관련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근육 질환"은 타박상(contusion), 열상(laceration), 압좌(crush)와 같은 외적 요인, 갑작스럽거나 심한 낙상 또는 스포츠 활동 중의 근육 긴장(muscle strain)과 같은 내적 요인,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혈액 공급이 중단될 때 발생하는 근육 손상, 근육 소모, 및/또는 그로 인한 근육 기능의 손실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그 원인은 유전적 인자 및/또는 환경적 인자에 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근육 질환은 근육감소증(sar copenia),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육퇴행위축증, 심위축증, 긴장감퇴증(aton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증 및 근무력증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근육 질환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근육 질환은 근위축증, 근육감소증, 근육퇴행위축증, 심위축증 또는 긴장감퇴증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근육 질환은 근육감소증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근육감소증"은 점진적인 골격 근육량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직접적으로 근력의 저하를 유발하며 그 결과 각종신체기능의 감소 및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량 증대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이다.
상기 근육량 증대용 건강기능식품은 비복근(gastrocnemius, gastroc.), 사두근(quadriceps), 삼두군(tricep), 가자미근(soleus)의 근육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상기 근육량 증대용 건강기능식품은 근력 및 지구력 증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운동수행능력"은 일상생활이나 스포츠에서 수행되는 신체동작을 빠르게, 강하게, 오래, 능숙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상기 운동수행능력은 크게 1) 근피로 회복, 2) 지구력, 3) 근신경계 활성화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지구력 향상 효과를 갖는다.
상기 지구력(endurance)은 '피로에 대한 저항력'으로 정의된다. 이는 최대하(최대로 힘을 들이기 전)로 지속되는 운동 또는 강렬하게 운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피로에 대한 저항을 의미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상기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근력 및 지구력 증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근육량 증대용 건강기능식품 및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선술된 선복화 추출물 및 건강기능식품 관련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근육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제공한다.
(c)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육량 증가 및 근력 강화 효과를 제공한다.
(d)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을 소재로 이용하여 경제적인 비용 및 제조의 편이성을 제공한다.
도 1a 내지 1i는 선복화 물 추출물, 선복화 50% 에탄올 추출물 및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한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오일레드 O 염색을 통해 나타낸다. 도 1a 내지 1c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선복화 물 추출물을 0, 10, 25, 50 및 100 ug/ml 처리하여 오일레드 O 염색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1d 내지 1f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선복화 50% 에탄올 추출물 0, 10, 25, 50 및 100 ug/ml 처리하여 오일레드 O 염색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1g 내지 1i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 10, 25, 50 및 100 ug/ml 처리하여 오일레드 O 염색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1a, 1d 및 1g는 오일레드 O 염색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6-웰 플레이트 이미지이고, 도 1b, 1e 및 1h는 오일레드 O 염색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c, 1f 및 1i는 오일레드 O 염색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오일레드 O 흡광도 세기를 정량화하여 나타낸다. 'CS'는 무처리 3T3-L1 지방전구세포이고, 'MDI'는 MDI 배지만 처리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이며, 'IJ10', 'IJ25', 'IJ50' 및 'IJ100'은 각각 선복화 추출물 10, 25, 50 및 100 ug/ml의 처리군을 의미한다.
도 2a 내지 2e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생존능 및 지방분화 관련 mRNA 및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 10, 25, 50, 100 및 200 ug/ml의 처리시 세포생존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b 내지 2d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 50 및 100 ug/ml 처리에 의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및 aP2(adipocyteP2) mRNA 발현 수준을 각각 나타낸다. 2e는 웨스턴블럿을 통한 단백질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3a 내지 3e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식이한 비만모델 마우스의 증체량, 체내 지방 및 근육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3a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25%(IL) 또는 0.5%(IH)를 첨가한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체중 증체량(g)을 나타낸다. 도 3b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25%(IL) 또는 0.5%(IH)를 첨가한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DEXA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c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25%(IL) 또는 0.5%(IH)를 첨가한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총 체질량(total body mass), 무지방 체질량(lean body mass) 및 지방체질량(fat body mass)를 나타낸다. 도 3d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25%(IL) 또는 0.5%(IH)를 첨가한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지방조직(EP(epididymal fat pad, 부고환지방), SC(subcutaneous fat, 피하지방) 및 BAT(brown adipose tissue, 갈색지방))의 중량을 나타낸다. 도 3e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25%(IL) 또는 0.5%(IH)를 첨가한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비복근(gastrocnemius, gastroc.), 사두근(quadriceps), 삼두군(tricep), 가자미근(soleus)의 중량(g/BW(Body weight))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4b는 선복화 추출물을 식이한 비만모델 마우스의 조직 내 지질생성 관련 mRNA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4a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25%(IL) 또는 0.5%(IH)를 첨가한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간 내 SCD1(Stearoyl-CoA desaturase-1), SREBP1c(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및 CD36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낸다. 도 4b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25%(IL) 또는 0.5%(IH)를 첨가한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부고환지방(EP) 내 PPAR-γ, C/EBPa 및 aP2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5c는 선복화 추출물을 식이한 비만모델 마우스의 악력 테스트, 동부하시험 및 근육 관련 mRNA의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5a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25%(IL) 또는 0.5%(IH)를 첨가한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악력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5b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25%(IL) 또는 0.5%(IH)를 첨가한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운동부하검사 결과를 나타낸다. 도 5c는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0.25%(IL) 또는 0.5%(IH)를 첨가한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비복근(Gastro.)의 UCP2(Mitochondrial uncoupling protein 2),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 MHCⅠa(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Ⅰa), MHCⅡa 및 MHCⅡb mRNA의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실험 재료 및 실험 방법
선복화 추출물의 제조
선복화의 꽃 부위를 각각 물, 50% 에탄올,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분쇄한 선복화 50 g에 10배에 해당하는 500 ml를 넣고 80℃에서 2시간 열수추출하여 선복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열수 추출 후, 에탄올 용매는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고, 모든 시료는 동결건조 시켜 수율을 계산한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3T3-L1 세포 분화
3T3-L1 세포를 4*105 cells/웰로 6-웰 플레이트에 씨딩한 후 3일 동안 항온배양 하였다. 3일 후, MDI 배지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상기 MDI 배지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IBMX(3-isobutyl-1-methylxanthin) 및 인슐린을 포함한다. 상기 덱사메타손은 10 mM 농도로 제조하고 이를 PBS로 1 mM 농도로 희석한 후 여과하고 1:1000 희석하여 처리하였고, 상기 IBMX는 11.5 mg/ml(in 0.5 N KOH) 농도로 제조하고 1:100 희석하여 처리하였으며, 상기 인슐린은 1 mg/ml(in 0.02 M HCl) 농도로 제조하고 1:1000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MDI 배지로 유도한 2일 후에 인슐린 배지(10% FBS high glucose DMEM에 1 mg/ml(in 0.02 M HCl) 농도의 인슐린을 1:1000의 비율로 섞어 제조)로 교환하였다. 그 2일 후, 10% FBS(with 1% PSG(penicillin-streptomycin-L-glutamine) high glucose DMEM 배지로 교환한 뒤 2일 후 다시 10% FBS(with 1% PSG(penicillin-streptomycin-L-glutamine)high glucose DMEM 배지로 교체하여 준 뒤 2일 후 종료하였다.
선복화 물 추출물, 선복화 50% 에탄올 추출물 및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는 0, 10, 25, 50 및 100 μg/ml의 농도로 MDI 배지로 교체한 뒤 30분뒤에 처리 하여 인슐린 배지로 교체하기 전까지 배양 (2일)하였으며, 이 후 세포분화가 완료된 시점에서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지방분해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오일 레드 O 염색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배지를 제거하고, 10% 포르말린(in PBS) 1 ml을 처리하여 세척하였다. 10% 포르말린(in PBS) 1 ml을 처리하고 1시간 정치시킨 후, 포르말린을 제거하고 60% 이소프로판올 1 ml을 처리하여 세척하였다. 후드에서 60% 이소프로판올을 제거시키고, 필터링한 오일 레드 O(oil red O)를 증류수와 3:2로 혼합하여 1 ml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오일 레드 O를 제거한 후, 증류수를 처리하여 세척하고 다시 증류수를 약간 채워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현미경 관찰 후, 후드에서 증류수를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촬영하였다. 그 후, 100% 이소프로판올 1 ml을 처리하여 10분 동안 교반시키고 이를 96 웰 플레이트로 옮겨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TT 분석
3T3-L1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104 cell/well로 씨딩한 뒤 24시간 뒤에 DMSO에 녹인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0, 25, 50, 100,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다시 24시간 동안 항온 배양한 뒤 MTT용액을 넣고 2시간 다시 인큐베이터에서 반응 시킨 뒤 배지를 제거하고, DMSO 200 μl 넣고 5분 동안 흔든 뒤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무것도 처리 하지 않은 웰을 100%(대조군, control)로 잡고 나머지 조건들에 대한 세포 생존능(cell viability)를 확인하였다.
mRNA 발현 분석
세포 또는 생체 내에서 선복화 70% 추출물이 mRNA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RNeasy mini kit(Qiagen)의 방법에 따라 각 조건에서 RNA를 추출하였다. cDNA 합성은 ReverTra Ace qPCR RT Mater Mix(ToYoBo, Osaka, Japan)을 사용하였으며 Cycle condition은 37도에서 15분, 50도에서 5분 98도에서 5분, 그 다음 4도로 유지하여 합성하였다. 정량적 real-time PCR은 AB ViiA 7 Real time PCR을 이용하였으며 PCR은 50도에서 2분, 95도에서 10분 40 주기로 증폭하였다. mRNA 발현은 근육조직은 18S로, 그 외 조직 및 세포는 액틴(actin)으로 보정한(normalize) 뒤 대조군{CS 또는 정상식이군(normal or nor)}의 mRNA 발현 수준을 '1'로 하여 상대적인 RNA 발현 정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Real time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목록은 표 1과 같다.
유전자 서열(5'->3') 서열목록
C/EBPa F CAAGAACAGCAACGAGTACCG 제1서열
R GTCACTGGTCAACTCCAGCAC 제2서열
PPARr F TCGCTGATGCACTGCCTATG 제3서열
R GAGAGGTCCACAGAGCTGATT 제4서열
FAS F GGAGGTGGTGATAGCCGGTAT 제5서열
R TGGGTAATCCATAGAGCCCAG 제6서열
Ap2 F CCGCAGACGACAGGA 제7서열
R CTCATGCCCTTTCATAAACT 제8서열
CD36 F ATGGGCTGTGATCGGAACTG 제9서열
R GTCTTCCCAATAAGCATGTCTCC 제10서열
SCD-1 F TTCTTGCGATACACTCTGGTGC 제11서열
R CGGGATTGAATGTTCTTGTCGT 제12서열
SREBP1c F TGGATTGCACATTTGAAGACAT 제13서열
R GCCAGAGAAGCAGAAGAG 제14서열
PGC1a F TGGAGTGACATAGAGTGTGCTGC 제15서열
R CTCAAATATGTTCGCAGGCTCA 제16서열
UCP2 F ATGGTTGGTTTCAAGGCCACA 제17서열
R TTGGCGGTATCCAGAGGGAA 제18서열
MHC1a F CTCAAGCTGCTCAGCAATCTATTT 제19서열
R GGAGCGCAAGTTTGTCATAAGT 제20서열
MHC2a F AAGCGAAGAGTAAGGCTGTC 제21서열
R GTGATTGCTTGCAAAGGAAC 제22서열
MHC2b F CACCTGGACGATGCTCTCAGA 제23서열
R GCTCTTGCTCGGCCACTCT 제24서열
18S F CTCAACACGGGAAACCTCAC 제25서열
R CGCTCCACCAACTAAGAACG 제26서열
β-actin F GCAGGAGTACGATGAGTCCG 제27서열
R ACGCAGCTCAGTAACAGTCC 제28서열
동물 실험 디자인
실험동물은 C57BL/6J Jms SIc 4주령 수컷 쥐를 분양받아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34마리를 정상식이(n=7), 고지방식이 (n=9), 고지방식이에 선복화 추출물을 각각 0.25%(IL, n=9), 0.5%(IH, n=9) 첨가한 식이를 먹인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식이는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매번 급여량과 잔여량을 측정하여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악력 테스트(Grip strength test)
악력 테스트 Model GT3 (Bioseb)을 이용하여 5회 반복측정한 뒤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평균으로 측정하였다.
운동부하시험(Treadmill test)
측정 전 2일동안 실험동물을 러닝머신(treadmill) 기계에 적응 시킨 뒤(1일차: 경사10°5 m/min 10분, 10 m/min 10분 2일차: 경사 10°5 m/min 5분, 10 m/min 15분) 본 실험날 처음속도 10 m/min에서 경사 10°로 20분 동안 뛰게 한 후 2분마다 속도를 2 m/min씩 올려서 뛰지 않는 상태로 10초 동안 머무를 경우를 종말점으로 잡고 시간을 달린 거리로 환산하여 측정하였다.
웨스턴 블럿
세포 혹은 조직을 용해(lysis) 시킨 다음 브래트포드 분석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한 후 같은 양의 단백질이 들어있도록 샘플링하였다.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겔을 이용하여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통해 단백질을 분자량 별로 분리한 뒤, 세미드라이(semidry)를 이용하여 막으로 전송하였다. 5% 탈지우유(skim milk)로 1시간 동안블로킹한 뒤, 1차 항체로 밤새 반응 시킨 뒤, 2차 항체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ECL(electrochemiluminescence) 용액을 처리하여 검출하였다.
결과
3T3-L1의 분화 억제
선복화 물 추출물, 선복화 50% 에탄올 추출물 및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3T3-L1 지방전구세포에 MDI로 희석하여 0(MDI 단독), 10, 25, 50 및 100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오일 레드 O 염색한 결과, 선복화 50% 에탄올 추출물 및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100 μg/ml 처리시, 세포 내 지방 축적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1a 내지 1i).
MTT 분석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3T3-L1 지방전구세포에 25, 50, 100 및 200 μ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25, 50 및 100 μg/ml 처리시 세포의 생존능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00 μg/ml 처리 시 세포생존능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a).
지방 분화 관련 mRNA 및 단백질 발현 억제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처리 후, 지방 분화 관련 mRNA인 PPAR-γ, C/EBPa 및 aP2의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100 ug/ml의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현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2b 내지 2d).
또한, 웨스턴 블럿을 통해 단백질 발현 수준을 살펴본 결과,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 100 ug/ml을 처리하는 경우에 PPAR-γ, C/EBPα, FAS 및 AP2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2e).
마우스에서의 체중 및 지방, 근육 표현형 변화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 하였을 때,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함께 먹였을 경우 체중의 증가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DEXA(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체내 구성성분을 분석한 결과 체내 지방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내지 3c). 또한 장기와 근육 무게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 대비 실험군에서 지방조직(EP(epididymal fat pad, 부고환지방), SC(subcutaneous fat, 피하지방) 및 BAT(brown adipose tissue, 갈색지방)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 하였으며 체중 대비 비복근(gastrocnemius, gastroc.), 사두근(quadriceps), 삼두군(tricep), 가자미근(soleus), 각각의 무게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지방 조직 무게의 감소 및 근육의 발달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3d 및 3e).
조직 내 지방생성(adipogenesis) 및 지질생성(lipogenesis) 관련 mRNA 발현 억제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식이한 고지방식이 마우스의 간에서 지질생성 관련 mRNA(SCD1, SREBP1c 및 CD36)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식이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4a). 또한, 부고환지방(EP, epididymal fat pad)에서 지방생성 관련 mRNA(C/EBPα, PPARγ 및 aP2) 발현 정도를 알아본 결과 역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4b).
지구력 관련 행동 실험 분석
운동능력향상에 관련된 행동실험인 악력 테스트 및 운동부하시험을 진행한 결과,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식이한 실험군에서 근력 및 지구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5a 및 5b).
근육 관련 mRNA발현 조절 효과
근육 관련 mRNA의 발현을 조사해 본 결과, 지근에 속하는 Type 1a의 MHC(Myosin heavy chain)의 mRNA 발현양이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 증가하였다. 즉, 지구력의 증가를 유도 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지방산 소모에 중요한 UCP2의 mRNA 발현양이 고농도의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식이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5c).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 Composition for Improving Obesity or Exercise Performance comprising Extract from Inula japonica <130> PN160482 <160> 2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BPa Forward primer <400> 1 caagaacagc aacgagtacc g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BPa Reverse primer <400> 2 gtcactggtc aactccagca c 21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PARr Forward primer <400> 3 tcgctgatgc actgcctatg 20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PARr Reverse primer <400> 4 gagaggtcca cagagctgat t 21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Forward primer <400> 5 ggaggtggtg atagccggta t 21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Reverse primer <400> 6 tgggtaatcc atagagccca g 21 <210> 7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p2 Forward primer <400> 7 ccgcagacga cagga 15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p2 Reverse primer <400> 8 ctcatgccct ttcataaact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6 Forward primer <400> 9 atgggctgtg atcggaactg 20 <210> 1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6 Reverse primer <400> 10 gtcttcccaa taagcatgtc tcc 23 <210> 1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CD-1 Forward primer <400> 11 ttcttgcgat acactctggt gc 22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CD-1 Reverse primer <400> 12 cgggattgaa tgttcttgtc gt 22 <210> 1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REBP1c Forward primer <400> 13 tggattgcac atttgaagac at 22 <210> 1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REBP1c Reverse primer <400> 14 gccagagaag cagaagag 18 <210> 1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GC1a Forward primer <400> 15 tggagtgaca tagagtgtgc tgc 23 <210> 1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GC1a Reverse primer <400> 16 ctcaaatatg ttcgcaggct ca 22 <210> 1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CP2 Forward primer <400> 17 atggttggtt tcaaggccac a 21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CP2 Reverse primer <400> 18 ttggcggtat ccagagggaa 20 <210> 1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C1a Forward primer <400> 19 ctcaagctgc tcagcaatct attt 24 <210> 2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C1a Reverse primer <400> 20 ggagcgcaag tttgtcataa gt 22 <210> 2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C2a Forward primer <400> 21 aagcgaagag taaggctgtc 20 <210> 2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C2a Reverse primer <400> 22 gtgattgctt gcaaaggaac 20 <210> 2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C2b Forward primer <400> 23 cacctggacg atgctctcag a 21 <210> 2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HC2b Reverse primer <400> 24 gctcttgctc ggccactct 19 <210> 2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S Forward primer <400> 25 ctcaacacgg gaaacctcac 20 <210> 2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S Reverse primer <400> 26 cgctccacca actaagaacg 20 <210> 2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ctin Forward primer <400> 27 gcaggagtac gatgagtccg 20 <210> 2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ctin Reverse primer <400> 28 acgcagctca gtaacagtcc 20

Claims (15)

  1. 선복화(Inu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 내 지질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선복화 추출물(Inula japonic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용 건강기능식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감소용 건강기능식품.
  6. 선복화 추출물(Inula japonica)을 포함하는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8. 선복화 추출물(Inula japonica)을 지방전구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전구세포로의 분화 억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분화 관련 mRNA는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FAS(Fatty acid synthase) 및 aP2(adipocyteP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m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선복화 추출물(Inula japonic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 질환은 근육감소증(Sacopenia),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긴장감퇴증(aton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증, 근무력증 및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2. 선복화 추출물(Inula japonic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량 증대용 건강기능식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량 증대용 건강기능식품.
  14. 선복화 추출물(Inula japonic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70091137A 2017-07-18 2017-07-18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224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137A KR102249795B1 (ko) 2017-07-18 2017-07-18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137A KR102249795B1 (ko) 2017-07-18 2017-07-18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654A Division KR20200143331A (ko) 2020-12-15 2020-12-15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461A true KR20190009461A (ko) 2019-01-29
KR102249795B1 KR102249795B1 (ko) 2021-05-11

Family

ID=6532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137A KR102249795B1 (ko) 2017-07-18 2017-07-18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041A (ko) * 2019-02-11 2020-08-20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금불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589A (ja) * 2003-12-26 2005-08-04 Taisho Pharmaceut Co Ltd リパーゼ阻害剤
KR20170060367A (ko) * 2015-11-24 2017-06-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70102861A (ko) * 2014-10-20 2017-09-12 발비오띠스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상기 식물 속에 함유된 분자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당질 및/또는 지질 대사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589A (ja) * 2003-12-26 2005-08-04 Taisho Pharmaceut Co Ltd リパーゼ阻害剤
KR20170102861A (ko) * 2014-10-20 2017-09-12 발비오띠스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상기 식물 속에 함유된 분자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당질 및/또는 지질 대사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
KR20170060367A (ko) * 2015-11-24 2017-06-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ti-diabet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Aqueous-Extract from the Flower of Inula japonica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Biol. Pharm. Bull. 29(3) 455─459 (2006) *
The genus Inula and their metabolites: From ethnopharmacological to medicinal us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ume 154, Issue 2, 11 June 2014, Pages 286-3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041A (ko) * 2019-02-11 2020-08-20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금불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795B1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US10898535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preventing myopathy, containing bean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US9655878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oumestrol or a bean extract containing coumestrol
KR102007144B1 (ko) 관절염의 개선 효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skb1234 신규 균주, 이의 발효 우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1369060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US9839660B2 (en) Metabolism acceler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ragali radix extract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9461A (ko)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1731859B1 (ko)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 체중 감소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3828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220113912A (ko) 피마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065767A2 (ko)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델타의 활성촉진 조성물
KR101332531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소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94431A (ko) 쥐오줌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7264B1 (ko) 코디움 속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3331A (ko)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CN106163535B (zh) 包含胡桃萃取物的抗肥胖剂
CN114680215B (zh) 作为有效成分包含发酵熟成诺丽、椰子糖或黑砂糖的运动执行能力及疲劳恢复增进用组合物
CN109303790B (zh) 刺山柑或刺山柑提取物的医药用途
JP2017206477A (ja) 筋形成促進用組成物
KR101398715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 조성물
KR20210111160A (ko) 갯기름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7239B1 (ko) 근육 보호에 있어서 포리아 코코스 추출물 및 투물로스산의 용도
KR101818320B1 (ko) 잣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20136604A (ko)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