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990A - 농산물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990A
KR20190007990A KR1020170089777A KR20170089777A KR20190007990A KR 20190007990 A KR20190007990 A KR 20190007990A KR 1020170089777 A KR1020170089777 A KR 1020170089777A KR 20170089777 A KR20170089777 A KR 20170089777A KR 20190007990 A KR20190007990 A KR 2019000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veyor
support table
agricultural product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로
최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농식품산업설비협동조합
최경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농식품산업설비협동조합, 최경로 filed Critical 한국농식품산업설비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7008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990A/ko
Publication of KR2019000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65B5/067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농산물을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농산물 포장 장치가 개시된다. 농산물 포장 장치는, 농산물을 수납하는 공급 용기와, 공급 용기에 저장된 농산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배출단측 아래에 위치하고 컨베이어를 통해 농산물을 공급받아 정량으로 연속하여 포장 가능한 포장 턴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 턴테이블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 테이블과, 지지 테이블의 하부에 결합되고 지지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과, 지지 테이블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농산물이 담기는 포장 용기가 각각 거치될 수 있으며 지지 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농산물이 포장 용기에 수납되도록 지지 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교대로 컨베이어의 배출단 아래로 배치되는 복수의 포장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농산물이 포장 유닛들에 거치된 포장 용기들에 교대로 연속하여 포장될 수 있으므로, 농산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포장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포장 장치{Apparatus of packing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농산물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을 자동으로 정량 포장할 수 있는 농산물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은 규격화된 공산품과 달리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동일한 종류라 하더라도 그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농산물의 종류와 그 크기에 따라 포장 및 보관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며, 포장 용기 또한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 농산물의 포장 공정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포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농산물을 포장하는 고가의 자동화 설비를 갖추더라도 동일한 종류의 포장 용기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떨어지고 설비 이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4879호 (2010.08.0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종류의 농산물을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농산물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농산물 포장 장치는, 농산물을 수납하는 공급 용기와, 상기 공급 용기에 저장된 농산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배출단측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농산물을 공급받아 정량으로 연속하여 포장 가능한 포장 턴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 턴테이블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 테이블과, 상기 지지 테이블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과, 상기 지지 테이블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농산물이 담기는 포장 용기가 각각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농산물이 상기 포장 용기에 수납되도록 상기 지지 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교대로 상기 컨베이어의 배출단 아래로 배치되는 복수의 포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포장 유닛은, 상부에 상기 포장 용기가 적재될 수 있고 상기 포장 용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고 하부가 상기 지지 테이블의 상부면에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 용기는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포장 유닛은, 상기 포장 용기의 입구 부분을 열기 위해 상기 포장 용기의 입구 부분이 걸려지며 상기 포장 용기를 고정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을 지지하고 내부에 상기 포장 용기가 삽입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 테이블에 결합된 지지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 용기는 망 또는 봉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포장 용기의 최대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농산물 포장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배출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포장 턴테이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농산물을 정량으로 상기 포장 유닛에 공급하는 호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호퍼는,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농산물이 담기는 호퍼 몸체와, 상기 호퍼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호퍼 몸체와 연통되며 상기 호퍼 몸체에 저장된 농산물을 상기 포장 유닛에 거치된 포장 용기에 공급하는 상품 공급관과, 상기 호퍼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호퍼 몸체로부터 상기 상품 공급관으로 농산물을 공급 및 차단하는 도어와, 상기 호퍼 몸체에 결합되고 이동축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회전키며 농산물이 상기 포장 유닛에 정량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공급 용기 안의 농산물을 적정량으로 분할하여 이송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농산물 포장 장치는 지지 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포장 유닛의 위치가 변경되는 포장 턴테이블을 구비함으로써, 농산물이 포장 유닛들에 거치된 포장 용기들에 교대로 연속하여 포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농산물 포장 장치는 자동화를 통해 농산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포장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농산물 포장 장치는 포장 용기의 종류에 따라 포장 테이블을 교체하거나 또는 포장 테이블의 지지 테이블과 포장 유닛들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농산물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농산물 포장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농산물을 포장할 수 있으므로,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포장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농산물 포장 장치는 정량 공급이 가능한 호퍼를 구비함으로써, 농산물을 정량으로 자동 포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작업을 통해 농산물의 양을 일일이 측정하여 포장 용기에 담을 필요가 없으며,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포장 시간이 단축되며, 규격화된 포장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6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포장 장치에 도 5에 도시된 포장 유닛을 적용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호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호퍼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포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포장 장치(100)는 농산물(10)을 자동으로 정량 포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농산물 포장 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포장 용기에 농산물(10)을 포장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종류의 농산물 포장에 호환하여 사용 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농산물 포장 장치(100)는, 포장 대기중인 농산물(10)을 담는 공급 용기(110)와, 상기 공급 용기(110)에 저장된 농산물(10)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20), 및 상기 컨베이어(120)를 통해 공급된 농산물(10)을 정량으로 연속하여 포장할 수 있는 포장 턴테이블(2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장 용기(110)는 저장된 농산물(10)이 상기 컨베이어(120)의 투입단(12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부(112)가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장 용기(110)의 바닥부(112)는 상기 컨베이어(120)의 투입단(122)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120)는 상기 공급 용기(110)에 저장된 농산물(10)을 배출단(124) 측에 위치하는 포장 턴테이블(201)로 이송한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120)는 농산물(10)을 적정량으로 소분하여 이송하기 위해 복수의 칸막이(1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들(126)은 상기 컨베이어(1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공급 용기(110) 안의 농산물(10)은 상기 칸막이들(126)이 서로 이격된 공간 안에 담겨 상기 포장 턴테이블(201)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단(122) 측에서 상기 배출단(124)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장 턴테이블(201)은 상기 컨베이어(120)의 배출단(124) 측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포장 턴테이블(201)은 상기 컨베이어(120)를 통해 이송된 농산물(10)을 자동으로 연속하여 포장할 수 있으며, 박스 형태의 포장 용기(20)뿐만 아니라 망이나 봉지 형태의 포장 용기까지 호환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포장 턴테이블(201)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포장 턴테이블(201)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 테이블(210)과, 상기 지지 테이블(210)을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220)과, 상기 회전 유닛(220)을 지지하는 베이스 유닛(230)과, 상기 컨베이어(120)를 통해 이송되는 농산물(10)을 포장 용기(20)에 담는 복수의 포장 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테이블(210)은 상기 회전 유닛(2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아래에는 상기 회전 유닛(22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 유닛(220)은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중심 부위에 결합된 회전 구동부(222)와,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주변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 지지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222)는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중심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 테이블(210)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지지부들(224)은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주변 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테이블(210)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닛(22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 유닛(2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230)은 상기 지지 테이블(210)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테이블(210)과 대체로 비슷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230)은 상기 회전 유닛(220)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유닛(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 유닛들(240)이 구비된다. 상기 포장 유닛들(240)은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포장 용기(20)가 적재될 수 있다. 상기 포장 유닛들(240)은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특히, 상기 포장 유닛들(240)은 상기 컨베이어(120)를 통해 이송되는 농산물(10)이 상기 포장 용기(20)에 담기도록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회전에 의해 교대로 상기 컨베이어(120)의 배출단(124) 아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장 유닛(240)은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회전에 의해 수평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120)의 배출단(124) 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포장 유닛(240)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컨베이어(120)의 배출단(124) 측에 위치되면, 상기 컨베이어(120)를 통해 이송된 농산물(10)이 해당 포장 유닛(240)에 적재된 포장 용기(20) 안에 담겨진다. 이어,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회전에 의해 해당 포장 유닛(240)이 상기 컨베이어(120)의 배출단(124) 측으로부터 이동되며 바로 그 다음 포장 유닛(240)이 상기 컨베이어(120)의 배출단(124)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농산물이 담긴 포장 용기(20)는 상기 포장 유닛(240)으로부터 상품 반송 장치(미도시)로 옮겨져 외부로 반송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 용기(20)가 언로드된 포장 유닛(240)에는 새로운 빈 포장 용기(20)가 적재될 수 있다.
상기 포장 유닛(240) 각각은, 상부에 상기 포장 용기(20)가 적재될 수 있고 상기 포장 용기(2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242)와, 상기 가이드부(242)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242)를 지지하고 하부가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상부면에 결합된 지지부(24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42)는 상기 포장 용기(20)의 하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 용기(20)가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포장 유닛(2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포장 용기(20)를 파지한다.
본 발명의 일례로, 상기 포장 용기(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포장 유닛(240)은 박스 형태의 포장 용기(20)를 적재하기 용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장 턴테이블(201)은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포장 유닛(240)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농산물(10)이 상기 포장 유닛들(240)에 적재된 포장 용기들(20)에 교대로 연속하여 포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농산물 포장 장치(100)는 자동화를 통해 농산물(10)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포장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포장 장치(100)는 포장 턴테이블(201)이 박스 형태의 포장 용기(20)를 이용하여 농산물(10)을 포장하도록 구성되나, 상기 포장 용기(20)의 종류에 따라 상기 포장 턴테이블(201)의 구성을 변경하여 다양한 종류의 포장 용기와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농산물 포장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는 포장 턴테이블의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6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포장 장치에 도 5에 도시된 포장 유닛을 적용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포장 턴테이블(202)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망 또는 봉지 형태의 포장 용기(40)를 이용하여 농산물(10)을 포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 턴테이블(202)은 지지 테이블(250)과 복수의 포장 유닛(260)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20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도 2에 도시된 포장 턴테이블(20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참조 부호를 병기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 테이블(250)은 회전 유닛(2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유닛(2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지지 테이블(250)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 유닛들(2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장 유닛들(260)은 상기 지지 테이블(25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포장 용기(40)가 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장 유닛(260)은, 상기 포장 용기(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링(262)과, 상기 고정링(262)의 하부에 결합된 지지부(26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262)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250)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 용기(40)의 입구 부분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포장 용기(40)는 상기 고정링(262)에 입구 부분이 걸려져 농산물(10)이 상기 포장 용기(40) 안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입구 부분이 오픈된다.
상기 지지부(264)는 그 하부가 상기 지지 테이블(25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링(262)을 지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64)는 각각 상기 지지 테이블(250)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의 지지봉(264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장 용기(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64) 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64)는 상기 포장 용기(40) 안에 농산물(10)이 담기는 동안 상기 포장 용기(4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64)는 상기 포장 용기(40)의 최대 길이 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64)는 농산물(10)이 담긴 포장 용기(40)를 상기 포장 유닛(260)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250)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된 측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농산물 포장 장치(100)는 포장 용기의 종류에 따라 포장 테이블(201, 202)을 교체하거나 또는 포장 테이블(201, 202)의 지지 테이블(210, 250)과 포장 유닛들(240, 260)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농산물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농산물 포장 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농산물을 포장할 수 있으므로,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포장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농산물 포장 장치(100)는 상기 컨베이어(120)를 통해 이송되는 농산물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호퍼(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호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호퍼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호퍼(130)는 상기 컨베이어(120)의 배출단(124) 측에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120)와 상기 포장 턴테이블(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호퍼(13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 유닛과 상기 호퍼(130)와 상기 컨베이어(120)을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퍼(130)는 상기 포장 유닛(24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120)를 통해 이송된 농산물(10)을 상기 포장 유닛(240)에 거치된 포장 용기(20)에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퍼(130)는, 상기 컨베이어(120)를 통해 이송된 농산물(10)이 담기는 호퍼 몸체(132)와, 상기 포장 유닛(240)에 거치된 포장 용기(20)에 농산물(10)을 공급하는 상품 공급관(134)과, 상기 호퍼 몸체(132) 내부에 구비된 회전 가능한 도어(136)와, 상기 도어(136)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압 실린더(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 몸체(132)는 상기 컨베이어(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내부에 담긴 농산물(10)이 상기 상품 공급관(134)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면이 상기 상품 공급관(134)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상품 공급관(134)은 상기 호퍼 몸체(132)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호퍼 몸체(132)와 연통된다. 상기 상품 공급관(134)은 상기 포장 유닛(24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포장 유닛(240)은 상기 지지 테이블(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품 공급관(134)의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품 공급관(134)은 상기 상품 공급(134)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포장 유닛(240)의 포장 용기(20)에 상기 호퍼 몸체(132)에 저장된 농산물(10)을 공급한다.
상기 도어(136)는 회전에 의한 개폐 동작을 통해 상기 호퍼 몸체(132) 안의 농산물(10)이 상기 상품 공급관(134)으로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36)의 개폐 동작은 상기 공압 실린더(138)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공압 실린더(138)는 상기 호퍼 몸체(132)에 결합되고, 이동축이 상기 도어(136)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공압 실린더(138)는 농산물(10)이 상기 포장 유닛(240)에 거치된 포장 용기(20)에 정량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도어(136)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압 실린더(138)는 기설정된 양만큼 농산물(10)이 상기 호퍼 몸체(132) 안에 투입될 때까지 상기 도어(136)를 닫은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 몸체(132)의 안에 농산물(10)이 상기 기설정된 양만큼 투입되면, 상기 공압 실린더(138)는 상기 도어(136)를 오픈하여 상기 호퍼 몸체(132) 안의 농산물(10)이 상기 상품 공급관(134)을 통해 상기 포장 유닛(24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농산물 포장 장치(100)는 농산물(10)을 정량으로 자동 포장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을 통해 농산물(10)의 양을 일일이 측정하여 포장 용기(20)에 담을 필요가 없으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포장 시간을 단축하며, 규격화된 포장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농산물 포장 장치 110 : 공급 용기
120 : 컨베이어 130 : 호퍼
201, 202 : 포장 턴테이블 210, 250 : 지지 테이블
220 : 회전 유닛 230 : 베이스 유닛
240, 260 : 포장 유닛

Claims (8)

  1. 농산물을 수납하는 공급 용기;
    상기 공급 용기에 저장된 농산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배출단측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농산물을 공급받아 정량으로 연속하여 포장 가능한 포장 턴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 턴테이블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 테이블;
    상기 지지 테이블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 및
    상기 지지 테이블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농산물이 담기는 포장 용기가 각각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농산물이 상기 포장 용기에 수납되도록 상기 지지 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교대로 상기 컨베이어의 배출단 아래로 배치되는 복수의 포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유닛은,
    상부에 상기 포장 용기가 적재될 수 있고 상기 포장 용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고 하부가 상기 지지 테이블의 상부면에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는 박스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유닛은,
    상기 포장 용기의 입구 부분을 열기 위해 상기 포장 용기의 입구 부분이 걸려지며 상기 포장 용기를 고정하는 고정링; 및
    상기 고정링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을 지지하고 내부에 상기 포장 용기가 삽입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 테이블에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는 망 또는 봉지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포장 용기의 최대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배출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포장 턴테이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농산물을 정량으로 상기 포장 유닛에 공급하는 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농산물이 담기는 호퍼 몸체;
    상기 호퍼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호퍼 몸체와 연통되며 상기 호퍼 몸체에 저장된 농산물을 상기 포장 유닛에 거치된 포장 용기에 공급하는 상품 공급관;
    상기 호퍼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호퍼 몸체로부터 상기 상품 공급관으로 농산물을 공급 및 차단하는 도어; 및
    상기 호퍼 몸체에 결합되고 이동축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회전키며 농산물이 상기 포장 유닛에 정량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공급 용기 안의 농산물을 적정량으로 분할하여 이송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 장치.
KR1020170089777A 2017-07-14 2017-07-14 농산물 포장 장치 KR20190007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777A KR20190007990A (ko) 2017-07-14 2017-07-14 농산물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777A KR20190007990A (ko) 2017-07-14 2017-07-14 농산물 포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990A true KR20190007990A (ko) 2019-01-23

Family

ID=6532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777A KR20190007990A (ko) 2017-07-14 2017-07-14 농산물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9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41B1 (ko) * 2020-02-14 2020-04-14 (주)이디티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
KR102216779B1 (ko) * 2020-09-16 2021-02-17 정규성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KR102340411B1 (ko) 2021-04-29 2021-12-16 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명일원 농산물의 스마트 패킹용 공급장치
KR102579447B1 (ko) * 2022-11-23 2023-09-15 홍용희 기능성 세척쌀 포장시스템
KR102650431B1 (ko) * 2023-02-22 2024-03-22 주식회사 이공원 양파보관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879B1 (ko) 2008-02-11 2010-08-11 (주)지엠시스템 양파 선별 계량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879B1 (ko) 2008-02-11 2010-08-11 (주)지엠시스템 양파 선별 계량포장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41B1 (ko) * 2020-02-14 2020-04-14 (주)이디티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
KR102216779B1 (ko) * 2020-09-16 2021-02-17 정규성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KR102340411B1 (ko) 2021-04-29 2021-12-16 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명일원 농산물의 스마트 패킹용 공급장치
KR102579447B1 (ko) * 2022-11-23 2023-09-15 홍용희 기능성 세척쌀 포장시스템
KR102650431B1 (ko) * 2023-02-22 2024-03-22 주식회사 이공원 양파보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7990A (ko) 농산물 포장 장치
CN103889865B (zh) 用于多层堆叠底座的装置
CN108891698A (zh) 一种面向电商的智能选箱装箱流水线系统
US20110078979A1 (en) Method for replacing tools in a packaging and storage system, computer program for this purpose and packaging and storage system
CN104428225B (zh) 用于对底座多层堆叠的装置和方法
JP7151026B2 (ja) 物品取出装置及び物品搬送システム
KR101488221B1 (ko) 과일 적재 시스템
KR102016118B1 (ko) 원통형 용기 자동 투입 및 적재 시스템
EP2644515B1 (en) Container emptying apparatus
JP2018090265A (ja) カートニング装置、及び、カートニングシステム
KR101008348B1 (ko) 패키지 포장장치
US5161938A (en) Automatic supply and loading device for sheet items
US20190248528A1 (en) Food products packaging automatic plant
US5862649A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cans or tubes
JPH04371455A (ja) 合繊糸の処理システム
US20120234852A1 (en) Automate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CN103126066A (zh) 棒形物搬运箱操纵装置、循环盒及搬运箱装填水平改变法
CN100460295C (zh) 物品分类设备
JP2014143999A (ja) トレイ荷空け装置、マルチセグメントフィルタ製造機械への棒状の物品で満たされたトレイの自動的な荷空けのための方法並びに1つの生産機械及び少なくとも2つのトレイ荷空け装置を有する生産設備
JP7294628B2 (ja) 果菜自動箱詰め排出方法、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方法、果菜自動箱詰め排出装置、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装置
CN113613999B (zh) 包装单元和方法
US10087021B2 (en) Secure tote for order fulfillm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H0796914A (ja) 先細り根菜類の箱詰め装置
JP2017065912A (ja) 物品収容システム
KR20190004124A (ko) 자동 상자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