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779B1 -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779B1
KR102216779B1 KR1020200119282A KR20200119282A KR102216779B1 KR 102216779 B1 KR102216779 B1 KR 102216779B1 KR 1020200119282 A KR1020200119282 A KR 1020200119282A KR 20200119282 A KR20200119282 A KR 20200119282A KR 102216779 B1 KR102216779 B1 KR 10221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inspected
vision inspection
feeding part
clutch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성
Original Assignee
정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성 filed Critical 정규성
Priority to KR102020011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09Adjustment for highlighting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 검사에 의해 피검사물의 치수, 외관을 복합적으로 검사함과 더불어 불량품을 실시간으로 선별 분리할 수 있는 비전검사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피검사물(A)을 이송하는 공급파트(10); 상기 피검사물(A)이 안착 대기되는 간헐피딩파트(20); 상기 간헐피딩파트(20)를 통하여 이송되는 피검사물(A)의 하부 양측 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송하는 검사피딩파트(30); 상기 검사피딩파트(30)에 설치되어 피검사물(A)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치수, 외관결함을 포함하는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비전검사파트(40); 및 상기 비전검사파트(40)에서 양품 판별되어 검사피딩파트(30)를 타고 배출되는 피검사물(A)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적재파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전검사장치를 이용하면, 비전 검사에 의해 피검사물의 가공불량이나 찍힘이나 깨짐과 같은 외관 손상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하고 실시간으로 불량품을 선별 분리할 수 있어 생선공장에서 작업시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Vision inspection device for clutch hub}
본 발명은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비전 검사에 의해 클러치허브의 치수, 외관을 검사하여 불량품을 실시간으로 선별 분리할 수 있는 비전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허브(clutch hub, 또는 싱크로나이저 허브라고 한다. 클러치허브는 자동차 동력전달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안쪽은 주축의 세레이션에 결합되고 외측의 스플라인에 슬리브가 결합되어 변속시에 슬리브가 부드럽게 진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회전방향의 슬리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클러치 허브는 클러치 기어에 마찰되는 보스부, 스플라인 결합부, 중간연결부 및 슬리브와 결합되는 외측 스플라인부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형상을 가지며, 상하부면에 단차지는 가공부위가 형성됨에 따른 가공부위의 높이, 두께에 대한 정밀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에 클러치 허브의 가공부위에 대한 높이, 두께 등의 측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 및 작업성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573485호에서, 다수의 클러치허브가 적층 및 적재되는 적재공급부; 적재공급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클러치허브의 측정위치를 조정하는 측정위치조정부; 측정위치조정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측정위치조정부에서 측정위치가 조정되어 이송된 클러치허브의 높이 및 두께를 측정하여 정상 및 불량을 판별하는 측정검사부; 측정검사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측정검사부로부터 측정 완료후 이송된 클러치허브의 정상 또는 불량에 따라 분류하며 이송하는 선별부; 클러치허브를 적재공급부에서 측정위치조정부로, 측정위치조정부에서 측정검사부로, 측정검사부에서 선별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클러치허브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단차진 가공부위의 상하부에서 센서에 의해 높이와 두께를 측정하여 기준수치와 비교한 후, 정상품 및 불량품으로 선별하여 자동 분류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인 등록특허 10-1910634호에서, 베이스부 [0008] 상부에 설치프레임 및 밀폐시킨 채로 개폐하도록 개폐도어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 양측에 설치되어 클러치허브를 투입 및 배출하는 인입컨베이어 및 배출컨베이어와, 본체 내부에 클러치허브의 다양한 부위의 가공치수를 단계별로 검사하여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가공공차검사부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클러치허브를 가공공차검사부의 단계별 검사를 위해 이송시키는 파지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공차검사부는 클러치허브를 파지이송부에 의해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가공치수를 검사하도록 외경 고게이지를 검사하는 고게이지검사부와, 클러치허브의 상하부 단차 측정을 위해 단차측정 위치를 교정하는 위치교정부와, 클러치허브의 상하부 단차 가공치수를 검사하는 단차검사부와, 클러치허브의 하부 외치면 가공치수를 검사하는 하부외치면검사부와, 클러치허브의 상부 외치면 가공치수를 검사하는 상부외치면검사부와, 클러치허브의 상부 보스외경 가공치수를 검사하는 보스외경검사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센서와 클러치허브의 접촉을 이용한 측정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검사대상이 단일규격의 클러치허브에 제한되고, 또 치형부 및 키홈부 치수, 치형 및 키홈부 깨짐, 표면 찍힘을 포함하는 정밀검사를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KR 10-1573485 B1 (2015.11.25.) KR 10-1910634 B1 (2018.10.16.)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비전 검사에 의해 피검사물의 치수, 외관을 복합적으로 검사함과 더불어 불량품이 실시간으로 선별 분리되도록 구조개선하여 콤팩트한 구조에서 검사 정밀도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비전검사파트와 원형적재파트의 연계작동으로 인해 검사공정의 무인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적재파트의 회전판이 부분 승강하도록 구성하여 양품으로 판정된 피검사물이 적재파트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낙하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를 구성하되, 클러치허브(clutch hub) 형태의 피검사물(A)을 이송하는 메인컨베이어(14)를 포함하는 공급파트(10); 상기 메인컨베이어(14) 전방에 설치되어 피검사물(A)이 안착 대기되는 고정플레이트(22)와, 고정플레이트(22) 상부에서 하향 이동되어 피검사물(A)을 가압하는 유동플레이트(24)로 구성되는 간헐피딩파트(20); 상기 간헐피딩파트(20)를 통하여 이송되는 피검사물(A)의 하부 양측 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송하도록 한 쌍의 벨트컨베이어(32)가 이격 배치되는 검사피딩파트(30); 상기 검사피딩파트(30)에 설치되어 피검사물(A)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치수, 외관결함을 포함하는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비전검사파트(40); 및 상기 비전검사파트(40)에서 양품 판별되어 검사피딩파트(30)를 타고 배출되는 피검사물(A)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적재파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파트(50)는, 벨트컨베이어(32) 단부에 설치되어 피검사물(A)을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호퍼(51)와, 경사호퍼(51)에 하부에 일구간이 중첩되는 원형 커버(52a)가 구비되는 본체(52)와, 본체(52)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축(53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면에 피검사물(A)을 수용하는 회전판(53)과, 회전판(53)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롤러(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호퍼(5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구동부(55a)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롤러(55)와, 경사호퍼(51)를 타고 이동되는 피검사물(A)을 감지하는 센서(57)를 더 설치하여, 상기 센서(57)를 통하여 피검사물(A) 이동이 감지되면 유동롤러(55)가 상향 이동되고, 유동롤러(55)의 상향 이동력에 의해 경사호퍼(51)와 대응하는 구간에서 회전판(53)이 경사각으로 상향 돌출되면서 경사호퍼(51)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경사호퍼(51)에서 배출되는 피검사물(A)의 낙하충격이 흡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전검사파트(40)는, 한 쌍의 벨트컨베이어(32) 사이에 설치되고, 직선구동부(41)에 의해 상하 이송되면서 피검사물(A)을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승강스테이지(42)와, 승강스테이지(42)를 타고 상향 이동된 피검사물(A) 외경을 클램핑하고, 회전구동부(43)에 의해 피검사물(A)을 180° 등각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클램프(44)와, 회전클램프(44) 상부에서 피검사물(A) 측으로 광원을 출력하는 조명부(46)와, 회전클램프(46) 상부에서 피검사물(A)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47)과, 카메라모듈(47) 영상을 이용하여 치수, 외관결함을 포함하는 불량 여부를 판독하는 영상분석부(48)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클램프(44)는 원형의 피검사물(A) 외경을 클램핑하도록 한 쌍의 조(44a)가 구비되고, 상기 조(44a)에는 피검사물(A) 외경에 2점 접촉되도록 '<', '>'형 센터링홈(44b)이 형성되며, 센터링홈(44b)에는 '<', '>'형 경사레일(44c)을 타고 이동되는 한 쌍의 경사블록(44d)이 설치되고, 상기 경사블록(44d)은 탄성체(44e)에 의해 서로 이격된 방향으로 이동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비전 검사에 의해 피검사물의 가공불량이나 찍힘이나 깨짐과 같은 외관 손상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하고 실시간으로 불량품을 선별 분리할 수 있어 생선공장에서 작업시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공급, 피딩, 검사, 양품 배출 등의 작업이 모두 자동화 하여 검사공정의 무인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품으로 판정된 피검사물(클러치허브)이 적재파트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비전검사장치의 간헐피딩파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장치의 비전검사파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비전검사장치의 회전클램프 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장치의 회전적재파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장치 회전적재파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에 있어서 회전적재파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비전검사장치의 영상분석부에 의한 검사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할 것이다.
본 발명은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비전 검사에 의해 피검사물의 치수, 외관을 복합적으로 검사함과 더불어 불량품이 실시간으로 선별 분리되도록 구조개선하여 콤팩트한 구조에서 검사 정밀도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비전검사파트와 원형적재파트의 연계작동으로 인해 검사공정의 무인 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해 공급파트(10), 간헐피딩파트(20), 검사피딩파트(30), 비전검사파트(40), 적재파트(50)를 포함하는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각 파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전검사장치를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구성도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급파트(10)는 가공부(M)에 연결되는 멀티컨베이어(12)와, 멀티컨베이어(12)에 연결되어 클러치허브(clutch hub) 형태의 피검사물(A)을 이송하는 메인컨베이어(14)로 구성된다. 메인컨베이어(14)는 도 1과 같이 복수의 가공부(M)를 경유하도록 시공되고, 각각의 가공부(M)에서 배출되는 피검사물(A)은 멀티컨베이어(12)를 타고 메인컨베이어(14)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멀티컨베이어(12) 출구 측에는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바리케이트가 설치되고, 바리케이트는 메인컨베이어(14)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에 의해 작동신호 송출시점이 결정된다. 즉, 감지센서를 통하여 멀티컨베이어(12)와 인접하는 위치의 메인컨베이어(14) 상에 피검사물(A)이 감지되면 바리케이트가 멀티컨베이어(12)를 통한 피검사물(A)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하여 메인컨베이어(14)를 타고 이동되는 피검사물(A)과 멀티컨베이어(12)를 타고 이동되는 피검사물(A) 간에 충돌로 인한 이동 중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헐피딩파트(20)는 상기 메인컨베이어(14) 전방에 설치되어 메인컨베이어(14)를 타고 무작위로 공급되는 피검사물(A)을 간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피검사물(A)이 안착 대기되는 고정플레이트(22)와, 고정플레이트(22) 상부에서 하향 이동되어 피검사물(A)을 가압하는 유동플레이트(24)로 구성된다.
도 2처럼 상기 메인컨베이어(14)를 타고 이동되는 피검사물(A)이 고정플레이트(22) 상에 안착되면 유동플레이트(24)로의 하향 이동에 의해 클램핑되고, 이후 후술하는 비전검사파트(40)에서 검사공정이 완료되면 유동플레이트(24)가 상향 이동되어 피검사물(A)이 언클램핑되며, 메인컨베이어(14)를 타고 이어서 공급되는 피검사물(A)에 밀려 비전검사파트(40) 측으로 피검사물(A)이 신규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피딩파트(30)는 상기 간헐피딩파트(20)를 통하여 이송되는 피검사물(A)의 하부 양측 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송하도록 한 쌍의 벨트컨베이어(32)가 이격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검사파트(40)는 상기 검사피딩파트(30)에 설치되어 피검사물(A)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치수, 외관결함을 포함하는 불량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비된다. 비전검사파트(40)는 암막 커버에 의해 보호되어 외부광에 의한 촬영 영상의 변위를 방지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비전검사파트(40)는, 한 쌍의 벨트컨베이어(32) 사이에 설치되고, 직선구동부(41)에 의해 상하 이송되면서 피검사물(A)을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승강스테이지(42)와, 승강스테이지(42)를 타고 상향 이동된 피검사물(A) 외경을 클램핑하고, 회전구동부(43)에 의해 피검사물(A)을 180° 등각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클램프(44)와, 회전클램프(44) 상부에서 피검사물(A) 측으로 광원을 출력하는 조명부(46)와, 회전클램프(46) 상부에서 피검사물(A)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47)과, 카메라모듈(47) 영상을 이용하여 치수, 외관결함을 포함하는 불량 여부를 판독하는 영상분석부(48)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클램프(46)의 180° 등각 회전운동에 의해 피검사물(A) 양면이 순차적으로 카메라모듈(47)에 의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은 영상분석부(48)에서 기준이 되는 데이터와 매칭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이때 이미지 매칭에 따른 오차 범위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영상분석부(48)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검사정보가 출력되는바, 일예로서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부는 영상보정모듈에 의해 촬영 영상을 기준이 되는 데이터와 일치되도록 위치 및 방향을 보정한 영상을 '촬영영상' 창에 출력하고, 또 영상분석모듈에 의해 촬영 영상의 형상을 분석한 영상을 '회전, 영역설정' 창에 출력하며, 또 산수검사모듈에 의해 피검사물(A)의 치형부 기어를 분석한 영상을 '산수검사' 창을 통하여 출력하고, 또 깨짐 검사모듈에 의해 피검사물(A)의 치형부 및 키홈부의 깨짐 정보를 분석하여 '깨짐 외경' 창에 출력하며, 또 문자인식 모듈에 의해 피검사물(A)에 마킹된 문자를 식별하여 식별된 제품품종을 '혼입 검사' 창으로 출력하며, 이때 문자인식 모듈을 통하여 검출된 피검사물(A) 품종에 따라 기준이 되는 데이터가 선택되도록 구비된다.
도 4는 비전검사장치의 회전클램프 조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회전클램프(44)는 원형의 피검사물(A) 외경을 클램핑하도록 한 쌍의 조(44a)가 대향 설치되고, 상기 조(44a)에는 피검사물(A) 외경에 2점 접촉되도록 '<', '>'형 센터링홈(4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링홈(44b)에는 '<', '>'형 경사레일(44c)을 타고 이동되는 한 쌍의 경사블록(44d)이 설치되고, 상기 경사블록(44d)은 탄성체(44e)에 의해 서로 이격된 방향으로 이동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회전클램프(44) 작동에 의해 피검사물(A)을 클램핑 작동 시, 한 쌍의 경사블록(44d) 중에 선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경사블록(44d)이 경사레일(44c)을 타고 경사운동 되면서 피검사물이 한 쌍의 조 중앙에 위치되도록 보정되어 클램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허브와 같이 피검사물(A) 외주면에 형성되는 치형부와 경사블록(44d)과의 걸림 현상으로 인한 클램핑 불량이 방지됨과 더불어 피검사물(A)이 경사블록(44d)을 타고 회전클램프(44) 센터위치로 위치 보정되어 비전검사파트(40)의 검사 정밀도 향상을 도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장치의 회전적재파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회전적재파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본 발명에 따른 적재파트(50)는 상기 비전검사파트(40)에서 양품 판별되어 검사피딩파트(30)를 타고 배출되는 피검사물(A)을 수용함과 동시에 회전이송 시켜 주변의 작업자가 쉽게 수거하여 팔레트 또는 박스에 적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5에서, 상기 적재파트(50)는, 벨트컨베이어(32) 단부에 설치되어 피검사물(A)을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호퍼(51)와, 경사호퍼(51)에 하부에 일구간이 중첩되는 원형 커버(52a)가 구비되는 본체(52)와, 본체(52)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축(53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면에 피검사물(A)을 수용하는 회전판(53)과, 회전판(53)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롤러(54)와, 경사호퍼(5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구동부(55a)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롤러(55)와, 경사호퍼(51)를 타고 이동되는 피검사물(A)을 감지하는 센서(57)와, 회전판(53) 가장자리부에 적재된 피검사물(A)을 회전판(53)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판(5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서(57)를 통하여 피검사물(A) 이동이 감지되면, 도 6처럼 유동롤러(55)가 상향 이동되고, 유동롤러(55)의 상향 이동력에 의해 경사호퍼(51)와 대응하는 구간에서 회전판(53)이 경사각으로 상향 돌출되면서 경사호퍼(51)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경사호퍼(51)에서 배출되는 피검사물(A)의 낙하충격이 흡수되고, 이로 인해 피검사물(A)의 낙하충격으로 인한 깨짐 등의 이동 중 손상이 방지된다.
도 7은 비전검사장치의 회전적재파트의 다른 실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원형 커버(52a)에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레벨센서(59)가 구비되어 회전판(53)에 적재된 피검사물(A) 높이를 검출하고, 상기 레벨센서(59)에 의해 검출된 피검사물(A) 높이에 따라 유동롤러(55) 승강 높이를 제어하여 회전판(53) 상에 피검사물(A)을 다단 적재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원형 커버(52a)의 높낮이 조절 구성에 의해 피검사물(A)이 충격 없이 다단 적층 가능하고, 이로 인해 협소한 공간에서 피검사물(A)이 대량으로 적재 수용되므로 공사공정의 장시간 무인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공급파트 12: 멀티컨베이어 14: 메인컨베이어
20: 간헐피딩파트 22: 고정플레이트 24: 유동플레이트
30: 검사피딩파트 32: 벨트컨베이어
40: 비전검사파트
41: 직선구동부 41a: 메인 공압실린더 41b: 멀티 공압실린더
42: 승강스테이지 43: 회전구동부 44: 회전클램프
44a: 조 44b: 센터링홈 44c: 경사레일 44d: 경사블록 44e: 탄성체
46: 조명부 47: 카메라모듈 48: 영상분석부
50: 적재파트
51: 경사호퍼 52: 본체 52a: 원형 커버
53: 회전판 53a: 구동축 54: 받침롤러 55: 유동롤러 55a: 구동부
57: 센서 58: 가이드판 59: 레벨센서
A: 피검사물 M: 가공부

Claims (3)

  1. 클러치허브(clutch hub) 형태의 피검사물(A)을 이송하는 메인컨베이어(14)를 포함하는 공급파트(10);
    상기 메인컨베이어(14) 전방에 설치되어 피검사물(A)이 안착 대기되는 고정플레이트(22)와, 고정플레이트(22) 상부에서 하향 이동되어 피검사물(A)을 가압하는 유동플레이트(24)로 구성되는 간헐피딩파트(20);
    상기 간헐피딩파트(20)를 통하여 이송되는 피검사물(A)의 하부 양측 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송하도록 한 쌍의 벨트컨베이어(32)가 이격 배치되는 검사피딩파트(30);
    상기 검사피딩파트(30)에 설치되어 피검사물(A)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치수, 외관결함을 포함하는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비전검사파트(40); 및
    상기 비전검사파트(40)에서 양품 판별되어 검사피딩파트(30)를 타고 배출되는 피검사물(A)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적재파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파트(50)는, 벨트컨베이어(32) 단부에 설치되어 피검사물(A)을 배출을 안내하는 경사호퍼(51)와, 경사호퍼(51)에 하부에 일구간이 중첩되는 원형 커버(52a)가 구비되는 본체(52)와, 본체(52)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축(53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면에 피검사물(A)을 수용하는 회전판(53)과, 회전판(53)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롤러(54)로 구성되며,
    경사호퍼(5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구동부(55a)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롤러(55)와, 경사호퍼(51)를 타고 이동되는 피검사물(A)을 감지하는 센서(57)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검사파트(40)는, 한 쌍의 벨트컨베이어(32) 사이에 설치되고, 직선구동부(41)에 의해 상하 이송되면서 피검사물(A)을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승강스테이지(42)와, 승강스테이지(42)를 타고 상향 이동된 피검사물(A) 외경을 클램핑하고, 회전구동부(43)에 의해 피검사물(A)을 180° 등각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클램프(44)와, 회전클램프(44) 상부에서 피검사물(A) 측으로 광원을 출력하는 조명부(46)와, 회전클램프(46) 상부에서 피검사물(A)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47)과, 카메라모듈(47) 영상을 이용하여 치수, 외관결함을 포함하는 불량 여부를 판독하는 영상분석부(48)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클램프(44)는 원형의 피검사물(A) 외경을 클램핑하도록 한 쌍의 조(44a)가 구비되고, 상기 조(44a)에는 피검사물(A) 외경에 2점 접촉되도록 '<', '>'형 센터링홈(44b)이 형성되며, 센터링홈(44b)에는 '<', '>'형 경사레일(44c)을 타고 이동되는 한 쌍의 경사블록(44d)이 설치되고, 상기 경사블록(44d)은 탄성체(44e)에 의해 서로 이격된 방향으로 이동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KR1020200119282A 2020-09-16 2020-09-16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KR10221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82A KR102216779B1 (ko) 2020-09-16 2020-09-16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82A KR102216779B1 (ko) 2020-09-16 2020-09-16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779B1 true KR102216779B1 (ko) 2021-02-17

Family

ID=7473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82A KR102216779B1 (ko) 2020-09-16 2020-09-16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7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1729A (zh) * 2021-11-10 2022-02-08 安徽舜富汽车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压铸件成品检测及分拣装置
KR20230082282A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과일 선별 장치 및 이를 위한 과일 적재 트레이
CN116727269A (zh) * 2023-08-09 2023-09-12 杭州鄂达精密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工件全方位高效视觉检测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575A (ko) * 2007-11-23 2009-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플라인 단조품용 적재 장치
KR101573485B1 (ko) 2015-06-17 2015-12-02 유정정공 주식회사 단차 측정 자동화장치
KR101910634B1 (ko) 2018-04-10 2018-12-28 정규성 클러치 허브의 자동 검사장치
KR20190007990A (ko) * 2017-07-14 2019-01-23 한국농식품산업설비협동조합 농산물 포장 장치
KR20200068137A (ko) * 2018-12-04 2020-06-15 주식회사 동양산업 다양한 크기의 병 정렬기
KR102147470B1 (ko) * 2020-02-20 2020-08-24 정규성 비전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575A (ko) * 2007-11-23 2009-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플라인 단조품용 적재 장치
KR101573485B1 (ko) 2015-06-17 2015-12-02 유정정공 주식회사 단차 측정 자동화장치
KR20190007990A (ko) * 2017-07-14 2019-01-23 한국농식품산업설비협동조합 농산물 포장 장치
KR101910634B1 (ko) 2018-04-10 2018-12-28 정규성 클러치 허브의 자동 검사장치
KR20200068137A (ko) * 2018-12-04 2020-06-15 주식회사 동양산업 다양한 크기의 병 정렬기
KR102147470B1 (ko) * 2020-02-20 2020-08-24 정규성 비전검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1729A (zh) * 2021-11-10 2022-02-08 安徽舜富汽车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压铸件成品检测及分拣装置
KR20230082282A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과일 선별 장치 및 이를 위한 과일 적재 트레이
KR102587680B1 (ko) 2021-12-01 2023-10-11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과일 선별 장치 및 이를 위한 과일 적재 트레이
CN116727269A (zh) * 2023-08-09 2023-09-12 杭州鄂达精密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工件全方位高效视觉检测装置
CN116727269B (zh) * 2023-08-09 2023-12-08 杭州鄂达精密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工件全方位高效视觉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470B1 (ko) 비전검사장치
KR102216779B1 (ko) 클러치허브용 비전검사장치
AU695317B2 (en) Automated inspection system with transport and ejector conveyor
KR101980860B1 (ko) 스프링 핀 선별장치
CN109108649A (zh) 一种行星轴的智能识别柔性装配系统及其工作方法
US7697132B2 (en) Machine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CN112362663B (zh) 一种巡边检测机构及面板边缘巡边检测方法
KR102312730B1 (ko) 배터리 외관 검사 시스템
CN214516133U (zh) 一种多支单排瓶体的自动灯检装置
CN111266305B (zh) 全自动轴类零件检测分选机及检测分选方法
US8135206B2 (en) Machine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KR100995495B1 (ko) 바형상 프레임 비전검사기
CN114951020B (zh) 一种产品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KR101331193B1 (ko) 재활용 아이씨 트레이 불량검출 자동화 비젼시스템
CN112747788A (zh) 木板检测设备及木板生产线
KR101011437B1 (ko) 비전을 이용한 정밀나사 자동검사 및 선별시스템
CN215507881U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轴承滚子缺陷检测设备
CN115055384A (zh) 质检系统
KR20110011109A (ko) 자동차용 베어링 슬리브 비젼 외관 자동 검사장비 및 그 검사방법
CN114535116A (zh) 一种视觉检测装置
KR101400672B1 (ko) 리클라이너용 기어림의 외관 자동검사장치 및 방법
JPH0972862A (ja) ビン検査装置
CN219525488U (zh) 检测下料摆盘装置
CN220346562U (zh) 一种纽扣电池的检测筛分装置
CN220941901U (zh) 一种五金分拣输送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