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645A -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645A
KR20190006645A KR1020170087573A KR20170087573A KR20190006645A KR 20190006645 A KR20190006645 A KR 20190006645A KR 1020170087573 A KR1020170087573 A KR 1020170087573A KR 20170087573 A KR20170087573 A KR 20170087573A KR 20190006645 A KR20190006645 A KR 20190006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tight fitting
fixing
casting
fit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웅
Original Assignee
배용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웅 filed Critical 배용웅
Priority to KR102017008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6645A/ko
Publication of KR2019000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2)에서 후면(3)으로 갈수록 상하부(6,7) 및 좌우측면(4,5)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는 삼각핀(20)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The mold of groove and It using method for cuntinuous construction concrete}
본 발명은 바닥이나 기초부분의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면적이 너무 넓어 끊어치기 공법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요홈을 설치하여 이어서 요홈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서 지진이나 크랙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지하나 지상평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 타설을 하게 된다, 이때에 타설면적이 너무 넓거나, 높이가 높을 경우 한번에 콘크리트 타설을 할 수 없어 일정구간을 정하여 임시 타설막이 칸막이로 고정하고 순차적으로 끊어치기 타설을 한다.
그러므로 타설막이를 자주 이동하여 설치하여 타설하게 되는데,
먼저 타설된 콘크리트는 건조되어 양생된 이음면에 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주입)하게 된다.
그러나 이미 매끄럽게 양생된 면과 새로 타설한 콘크리트 몰탈과의 결합은 완전히 견고한 결합이 될 수 없어, 시공 후에는 지반이 견고하지 못하여 금이 가거나, 또는 날씨 및 기온에 따른 계절적 변화에 따라 쉽게 금이 가거나, 주위의 진동 충격이나 지진 발생시에 쉽게 파괴 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211710000(2006.08.30.)호에는 사각 받침대(5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 모터(520)와, 상기 진동 모터(520)의 직하방에 연결된 샤프트(5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진동 모터(5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표면에 대한 진동 다짐작업을 하기 위한 수평조정 플레이트(526)와, 상기 사각 받침대(510)의 후방에 설치된 안착대(530)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 모터(540)와, 상기 사각 받침대(510)의 하단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모터(540)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직 받침대(400)에 지지된 구동 바퀴레일(420)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 바퀴(560)와, 상기 사각 받침대(510)의 전방에 설치된 연결대(570)의 수직부 1(572)과 수직부 2(574)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표면에 요철(110)을 형성하기 위한 요철 바퀴(590)와, 상기 연결대(570)의 수직부 1(572)과 수직부 2(574) 사이의 단부에 설치되는 중력추(580)로 구성된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656680000(2002.12.09.)호에는 앵커홀의 내부에서 작동하여 내부 단면에 요철 모양으로 성형하는 장치로써, 압력으로 인한 성형부의 파손을 막기 위하여 작업자의 가압에 의하여 성형부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철홈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머드릴과 접속할 수 있도록 헤머드릴 접속구조를 갖는 헤머드릴 연결부와; 상기 헤머드릴 연결부에 일체로 성형되며 헤머드릴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바 형태의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몸체가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회전력 전달부의 끝단에 경사판이 연결되어 회전력 전달부가 수평방향으로 밀착시 회전압력과 수평방향 압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압력 전달부와; 상기 압력 전달부의 경사판 타측에 위치하며 회전력 전달부의 수평압력으로 경사판이 밀착시 경사판으로부터 수평압력과 회전압력을 동시에 전달받아 베이스판과 돌출핀을 일정길이만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천공홈 내주연을 회전토록 하여 콘크리트의 천공홈 내주연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요철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요철홈 성형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78620000(2002.02.28.)호에는 맞닿음면부(25)에 돌출홈부(22) 및 오목홈부(24)와, 맞닿음면부 (25)의 길이방향 양단에 고정편(26),(28)에 고정홀이 형성된 요철 발생판(20)을 이용해 콘크리트 건축되는 옹벽의 측벽에 거친면을 쉽게 형성시킬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27150000(2000.08.31.)호에는 기존 콘크리트에 앙카볼트 삽입을 위한 천공홀을 형성시, 상기 천공홀 내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를 통하여 앵커링 용제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요철 단면과 용제의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져 앵커링 시스템의 성능개선과 시공성 확보의 효과를 높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 주입식 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천공된 콘크리트에 요철 생성용 드릴링 머신을 이용하여 천공된 콘크리트 내주면에 다수개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천공된 홀에 주입식 앵커링 용제를 주입하여 천공단면부와 콘크리트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기술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211710000(2006.08.30.)호 2.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656680000(2002.12.09.)호 3.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78620000(2002.02.28.)호 4.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27150000(2000.08.31.)호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끊어치기 공법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막이를 자주 이동하여 설치하여 타설하게 되는데, 먼저 타설된 콘크리트는 건조되어 양생된 이음면에 또 콘크리트 타설(주입)시 이미 매끄럽게 양생된 면과 새로 타설한 콘크리트와의 결합은 완전히 견고한 결합이 될 수 없어, 시공 후에는 지반이 견고하지 못하여 금이 가거나, 또는 날씨 및 기온에 따른 계절적 변화에 따라 쉽게 금이 가거나, 주위의 진동 충격이나 지진 발생시에 쉽게 파괴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합성수지 판재등을 이용 차단막이를 개발하였으나, 반원 병풍방식의 차단막이를 빼곡이 배근된 철근사이로 고정이 어렵고, 수직홈이 형성되나 수직으로의 흡착결속은 직선이 매끄러운 면 형성은 이음 역할에는 부합되지 않는 등의 근본적인 문제점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설막이 지지봉의 외벽에 삽입되는 스펀지봉의 타설막이와 조합 결합하므로써 스펀지봉 사이사이로 마무리다수의 철근도 도피하면서 타설 두께의 중간 전체 테두리에 요홈의 띠를 형성하므로서, 테두리면이 양생이 되어 이미 건조되어 있어도, 새로 주입되는 콘크리트가 스며들어 요철의 맞물림 양생이 되므고 견고한 지반이 형성되므로 주위의 진동충격이나 지진의 등에도 금이가지 않거나 파괴되지 않는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원 발명은 타설막이 지지봉의 외벽에 삽입되는 스펀지봉의 타설막이와 조합 결합하므로써 스펀지봉 사이사이로 마무리다수의 철근도 도피하면서 타설 두께의 중간 전체 테두리에 요홈의 띠를 형성하므로서, 테두리면이 양생이 되어 이미 건조되어 있어도, 새로 주입되는 콘크리트가 스며들어 요철의 맞물림 양생이 되므고 견고한 지반이 형성되므로 주위의 진동충격이나 지진의 등에도 크랙(실금)이 생성되지 않거나, 붕괴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상세도
평면도(2A), 좌측면도(2B), 저면도(2C),
도3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사용상태도
도4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다른 예 상세도
평면도(5A), 좌측면도(5B), 저면도(5C),
도6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또다른 예 상세도
평면도(6A), 좌측면도(6B), 저면도(6C),
도7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제3의 다른 예 상세도
평면도(7A), 좌측면도(7B), 저면도(7C),
도8 본 발명의 밀착부 고정대(11)와 삼각핀(20)이 철선(8)으로
연결된 상태도
도9 본 발명의 삼각핀(20)에 자석이 부착된 상세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2)에서 후면(3)으로 갈수록 상하부(6,7) 및 좌우측면(4,5)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는 삼각핀(20)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타설막이 지지봉의 외벽에 삽입되는 스펀지봉의 타설막이와 조합 결합하므로써 스펀지봉 사이사이로 마무리다수의 철근도 도피하면서 타설 두께의 중간 전체 테두리에 요홈의 띠를 형성하므로서,
테두리면이 양생이 되어 이미 건조되어 있어도, 새로 주입되는 콘크리트 몰탈이 스며들어 요철의 맞물림 양생이 되므로 견고한 지반이 형성되므로 주위의 진동충격이나 지진의 등에도 금이가지 않거나 파괴되지 않는 콘크리트타설 요홈성형틀인 것이다.
본원 발명은 스펀지봉에 지지봉이 삽입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용 타설막이에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타설면의 수평 테두리면 중간부에 요홈의 띠를 형성하는 도구로서, 길이는 통상 1미터 이내의 가로 직사각형의 틀로서 후면쪽으로 갈수록 상하부 및 측면부가 좁아지는 구조이며,
또 필요에 따라 후면은 가로 또는 세로로 요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은 전면(2)에 설치된 타설막이(100)의 밀착부(10)는 타설막이(100)의 스펀지관(53)의 형태에 따라 반원의 굴곡형을 구성하거나,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2개 이상의 철판재질의 밀착부고정대(11)가 고정되고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에 장방형의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삼각핀(20)을 구성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착부 고정대(11)에 삽입 고정되는 삼각핀(20)의 손실을 방지하고자, 밀착부 고정대(11)와 삼각핀(20)에 통공을 뚫어 철선(8)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조를 개량하였다.
도9는 본 발명의 삼각핀(20)에 자석을 부착시켜 밀착부 고정대(11)의 일측에 부착시켜 삼각핀(20)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거나, 삼각핀(20)의 손실을 방지하였다.
본원 발명과 함께 사용되는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용 타설막이(100)는 본 발명자가 개량한 것으로서, 특허등록번호 제10-1608644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고정틀(51)과, 상기 고정틀(51)의 상부고정틀통공에 삽입고정되는 고정관(52)과, 상기 고정봉(고정관)(52)을 관통하여 설치된 지지봉(지지관)과, 상기 지지봉(지지관)의 외부에 설치되는 스펀지봉(스펀지관)(53)과, 상기 지지관의 최하부에 삽입되는 마감고무(54)로 구성되며,
타설막이(100)의 후면의 중간부에 위치시켜 끊어치기 공법으로 콘크리트 몰탈을 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상세도, 평면도(2A), 좌측면도(2B), 저면도(2C), 도3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사용상태도, 도4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다른 예 상세도, 평면도(5A), 좌측면도(5B), 저면도(5C), 도6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또다른 예 상세도, 평면도(6A), 좌측면도(6B), 저면도(6C), 도7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제3의 다른 예 상세도, 평면도(7A), 좌측면도(7B), 저면도(7C), 도8 본 발명의 밀착부 고정대(11)와 삼각핀(20)이 철선(8)으로 연결된 상태도, 도9 본 발명의 삼각핀(20)에 자석이 부착된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몸체(1), 전면(2), 후면(3), 좌,우측면(4,5), 상,하부(6,7), 철선(8), 자석(9), 밀착부(10), 밀착부고정대(11), 고정대통공(12), 삼각핀(20), 고정틀(51), 고정봉(52), 스펀지봉(53), 마감고무(54), 타설막이(10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의 구조는 도1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2)에서 후면(3)으로 갈수록 상하부(6,7) 및 좌우측면(4,5)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는 삼각핀(20)으로 구성된 구조인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 고정대(11)의 일측의 통공에 연결된 철선(8)과, 상기 철선(8)의 다른 끝부분이 통공에 연결된 삼각핀(20)으로 구성되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삼각핀(20)의 중간부에 설치된 자석(9)으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의 다른 형태의 구조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하부 및 좌우측면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후면부는 상하 수직으로 반원형으로 굴곡진 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후면(3-1)과,
후면(3-1)에 접하는 부분이 후면(3-1)과 같이 반원형의 굴곡진 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상,하부(6-1,7-1)와,
상기 몸체(1-1)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는 삼각핀(20)으로 구성된 구조인 것이다.
본원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의 또 다른 형태의 구조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하부 및 좌우측면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의 후면부는 횡으로 반원형으로 굴곡진 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후면(3-2)과,
후면(3-2)에 접하는 부분이 후면(3-2)과 같이 반원형의 굴곡진 형태가 횡으로 다수개 설치된 좌,우측면(4-2,5-2)와,
상기 몸체(1-2)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는 삼각핀(20)으로 구성된 구조인 것이다.
본원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의 제3의 다른 형태의 구조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하부 및 좌우측면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3)와, 상기 몸체(1-3)의 후면부는 테두리가 라운드진 형태의 설치된 후면(3-3)과,
후면(3-3)에 접하는 부분이 후면(3-3)과 같이 라운드진 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상,하부(6-3,7-3) 및 좌우측부(4-3,5-3)와,
상기 몸체(1-3)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는 삼각핀(20)으로 구성된 구조인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끊어치기공법에 의해 콘크리트 몰탈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선에
타설막이(100)의 전면에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2)에서 후면(3,3-1,3-2,3-3)으로 갈수록 상하부(6,6-1,6-2,6-3,7,7-1,7-2,7-3) 및 좌우측면(4,4-1,4-2,4-3,5,5-1,5-2,5-3)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을 위치시키되,
타설막이(100)의 스펀지봉(53)의 전면 중간 일측에 몸체(1,1-1,1-2,1-3)의 전면(2)의 밀착부(10)를 밀착시키되, 두 개의 밀착부고정대(11)가 스펀지봉(53)사이를 관통하여 타설막이(100)의 후면으로 관통시킨 후, 관통된 두 개의 밀착부고정대(11)의 고정대통공(12)에 삼각핀(20)을 고정시켜 조립후, (도1참조)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을 한 후, 일정기간 지나 양생이 되면 타설막이(100)와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을 제거하여 재사용하고,
이때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하여 양생된 부분에는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몸체(1,1-1,1-2,1-3)와 동일한 모양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어서 끊어치기 콘크리트타설 시공시 생성되는 홈에 새롭게 주입되는 콘크리트가 스며들어 요철의 맞물림 양생이 되도록 시공하는 방법인 것이다.
종래의 기술들은 끊어치기 공법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막이를 자주 이동하여 설치하여 타설하게 되는데, 먼저 타설된 콘크리트는 건조되어 양생된 이음면에 또 콘크리트 타설(주입)시 이미 매끄럽게 양생된 면과 새로 타설한 콘크리트와의 결합은 완전히 견고한 결합이 될 수 없어, 시공 후에는 지반이 견고하지 못하여 금이 가거나, 또는 날씨 및 기온에 따른 계절적 변화에 따라 쉽게 크랙(실금)이 생성되거나, 주위의 진동 충격이나 지진 발생시에 쉽게 붕괴되는 반면,
본원 발명은 실시예와 같이 시공함으로서, 종래의 단순히 양성된 평면에 끊어치기 공법으로 콘크리트 타설보다,
평면에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시공시 형성된 평면에 콘크리트 요철성형틀의 몸체(1,1-1,1-2,1-3)와 동일한 형상의 홈에 콘크리트 타설되므로, 종래의 수직으로 접촉되어 단계별로 양생되는 콘크리트 타설과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기존의 타설된 면에 홈을 새롭게 형성시켜 상기 홈에 주입되는 콘크리트가 스며들어 요철의 맞물림 양생이 되고 견고한 지반이 형성되므로 주위의 진동충격이나 지진의 등에도 크랙(실금)이 생성되지 않거나, 붕괴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본원 발명은 새로운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을 발명하였고, 그를 이용하여 새로운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 공법을 발명한 것이다.
몸체(1,1-1,1-2,1-3), 전면(2), 후면(3,3-1,3-2,3-3), 좌측면(4,4-1,4-2,4-3), 우측면(5,5-1,5-2,5-3), 상부(6,6-1,6-2,6-3), 하부(7,7-1,7-2,7-3), 밀착부(10), 밀착부고정대(11), 고정대통공(12), 삼각핀(20), 고정틀(51), 고정봉(52), 스펀지봉(53), 마감고무(54), 타설막이(100)

Claims (7)

  1.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2)에서 후면(3)으로 갈수록 상하부(6,7) 및 좌우측면(4,5)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는 삼각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 고정대(11) 일측의 통공에 철선(8)을 연결설치하고, 상기 철선(8)의 다른 끝부분이 통공에 연결된 삼각핀(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각핀(20)의 중간부에 자석(9)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4.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하부 및 좌우측면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후면부는 상하 수직으로 반원형으로 굴곡진 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후면(3-1)과,
    후면(3-1)에 접하는 부분이 후면(3-1)과 같이 반원형의 굴곡진 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상,하부(6-1,7-1)와,
    상기 몸체(1-1)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는 삼각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5.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하부 및 좌우측면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의 후면부는 횡으로 반원형으로 굴곡진 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후면(3-2)과,
    후면(3-2)에 접하는 부분이 후면(3-2)과 같이 반원형의 굴곡진 형태가 횡으로 다수개 설치된 좌,우측면(4-2,5-2)와,
    상기 몸체(1-2)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는 삼각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6.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상하부 및 좌우측면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3)와, 상기 몸체(1-3)의 후면부는 테두리가 라운드진 형태의 설치된 후면(3-3)과,
    후면(3-3)에 접하는 부분이 후면(3-3)과 같이 라운드진 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상,하부(6-3,7-3) 및 좌우측부(4-3,5-3)와,
    상기 몸체(1-3)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과, 상기 고정대통공(12)에 삽입되는 삼각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7.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을 이용한 끊어치기 타설공법에 있어서,
    타설막이(100)의 전면에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2)에서 후면(3,3-1,3-2,3-3)으로 갈수록 상하부(6,6-1,6-2,6-3,7,7-1,7-2,7-3) 및 좌우측면(4,4-1,4-2,4-3,5,5-1,5-2,5-3)의 길이가 좁아지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전면(2)에 설치되며 반원형으로 굴곡진형태가 다수개 설치된 밀착부(10)와, 상기 밀착부(1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밀착부고정대(11)와, 상기 밀착부고정대(11)의 끝부분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통공(12)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위치시키되,

    타설막이(100)의 스펀지봉(53)의 전면 중간 일측에 몸체(1,1-1,1-2,1-3)의 전면(2)의 밀착부(10)를 밀착시키되, 두 개의 밀착부고정대(11)가 스펀지봉(53)사이를 관통하여 타설막이(100)의 후면으로 관통시킨 후, 관통된 두 개의 밀착부고정대(11)의 고정대통공(12)에 삼각핀(20)을 고정시켜 조립후,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을 한 후, 일정기간 지나 양생이 되면 타설막이(100)와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을 제거하여 재사용하고,

    이때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하여 양생된 부분에는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모양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어서 끊어치기 콘크리트타설 시공시 생성되는 홈에 새롭게 주입되는 콘크리트가 스며들어 요철의 맞물림 양생이 되도록 시공하는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을 이용한 끊어치기 타설공법
KR1020170087573A 2017-07-11 2017-07-11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 KR20190006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573A KR20190006645A (ko) 2017-07-11 2017-07-11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573A KR20190006645A (ko) 2017-07-11 2017-07-11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645A true KR20190006645A (ko) 2019-01-21

Family

ID=6527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573A KR20190006645A (ko) 2017-07-11 2017-07-11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64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862Y1 (ko) 2001-12-10 2002-03-09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콘크리트면 요철 발생판
KR100365668B1 (ko) 2000-04-20 2002-12-26 조한진 콘크리트 요철홈 성형장치
KR100621171B1 (ko) 2004-02-17 2006-09-08 (주)다산컨설턴트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668B1 (ko) 2000-04-20 2002-12-26 조한진 콘크리트 요철홈 성형장치
KR200267862Y1 (ko) 2001-12-10 2002-03-09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콘크리트면 요철 발생판
KR100621171B1 (ko) 2004-02-17 2006-09-08 (주)다산컨설턴트 교량 콘크리트 슬래브면의 요철형태 조성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417B1 (ko)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US20030019175A1 (en) Concrete footing and wall system
KR101983719B1 (ko)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CA2697085A1 (en) Shuttering
JP2003055984A (ja) 柱脚連結構造
KR100689702B1 (ko) 기초공사용 플라스틱 조립체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US11155975B2 (en) Concrete foundation form
JPH11172820A (ja) 発泡合成樹脂板打ち込み壁を構築する型枠工法及び器具
JP2007023602A (ja) 基礎構造の構築方法
KR20190006645A (ko) 콘크리트 타설 요홈성형틀 및 그를 이용한 끊어치기 콘크리트 타설공법
KR200249941Y1 (ko)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JP3841531B2 (ja) 捨て型枠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20049236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JPH08144581A (ja) フェンスの基礎構造
JPH0589532U (ja) 基礎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基礎構造
KR102299137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다용도 마감부재
JP6647778B2 (ja) あと施工アンカー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594744B1 (ko) 상수도용 관 연결 고정구조
KR200362839Y1 (ko) 지하옹벽용 대형거푸집 고정구조
KR200378147Y1 (ko) 시설용 기초 구조물
JP2000257078A (ja) Pc基礎梁部材を使用するべた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pc基礎梁部材用pc支持枠
JP2002242202A (ja) 基礎の柱脚部施工方法
JPH07113321A (ja) 住宅用布基礎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