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264A -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 Google Patents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264A
KR20190005264A KR1020170085194A KR20170085194A KR20190005264A KR 20190005264 A KR20190005264 A KR 20190005264A KR 1020170085194 A KR1020170085194 A KR 1020170085194A KR 20170085194 A KR20170085194 A KR 20170085194A KR 20190005264 A KR20190005264 A KR 20190005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mart
play
display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942B1 (ko
Inventor
방상봉
Original Assignee
방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상봉 filed Critical 방상봉
Priority to KR102017008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942B1/ko
Priority to PCT/KR2018/007552 priority patent/WO2019009602A1/ko
Publication of KR2019000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43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oy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함께 융합된 보드게임을 제공하고, 보드게임상에 이동하는 보드게임의 상황 및 설정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하는 이동장치를 제공하여 창의력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융합형 디지털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보드게임기에 있어서, 학습이 진행되는 판형의 보드판부, 상기 보드판부를 인식하는 별도의 스마트디바이스,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의 제어로 상기 보드판부 위에서 이동 동작하는 이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보드판부는 놀이판, 보드판아이템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스마트인식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송수신장치,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스마트아이템카드를 구비하고, 상기 놀이판 및 커버판부 상부면에 위치를 표시한 보드판표시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와 송수신하여 이동하는 이동장치는, 상기 보드판부의 보드판아이템카드 및 보드판표시코드를 인식하는 이동인식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보드판부의 보드판아이템카드 및 보드판표시코드를 인식하는 이동인식센서를 구비하는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드판부를 이용한 아날로그적인 게임,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디지털적인 게임을 함께 이루어지면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융합된 다양한 놀이 및 학습이 이루어지며, 스마트디바이스의 스마트인식센서 및 이동장치의 이동인식센서를 통해 보드판부의 상황을 인식하여 이동장치가 동작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Board type smart learning Tools}
본 발명은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드게임기에 있어서.
보드판부 위에서 동작하는 이동장치를 구비하고, 보드판부와 스마트디바이스가 서로 동기화 되고 연동되게 구성하여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융합된 놀이 및 학습 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드게임기는 판형의 보드게임판에 이동말과 아이템카드를 이용하여 게임을 즐기는 것이다.
이러한 보드게임판은 주사위를 이용하여 이동말을 직접 이동시키는 게임, 보드게임판위에 카드를 놓으며 문제를 해결 게임, 보드판위에 블록 및 카드를 쌓으며 대결하는 게임등 다양한 보드게임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드게임판은 실제 놀이판위에서 손으로 직접 만져가며 하는 아날로그적으로 게임이 이루어지거나, 온전히 디지털상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게임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종래 바둑의 상황을 바둑판 위에서 촬영하여 이를 프로그램으로 분석함으로서 바둑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자동 바둑 기보 시스템과 같이 영상을 이용하여 아날로그적인 상황을 디지털로 변환 인식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7-0008108 호
본 발명은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함께 융합된 보드게임을 제공하고, 보드게임상에 이동하는 보드게임의 상황 및 설정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하는 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보드게임기에 있어서, 학습이 진행되는 판형의 보드판부, 상기 보드판부를 인식하는 별도의 스마트디바이스,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의 제어로 상기 보드판부 위에서 이동 동작하는 이동장치를 구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드판부는 놀이판, 보드판아이템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스마트인식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송수신장치,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디지털상에서 이용가능한 스마트아이템카드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놀이판 및 커버판부 상부면에 위치를 표시한 보드판표시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와 송수신하여 이동하는 이동장치는, 상기 보드판부의 보드판아이템카드 및 보드판표시코드를 인식하는 이동인식센서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보드판부의 보드판아이템카드 및 보드판표시코드를 인식하는 이동인식센서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드판부를 이용한 아날로그적인 게임,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디지털적인 게임을 함께 이루어지면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융합된 놀이 및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디바이스의 스마트인식센서 및 이동장치의 이동인식센서를 통해 보드판부의 상황을 인식하여 이동장치가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판부 및 이동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의 구성 예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로 놀이판부의 배치를 도시화한 예를 보인 도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스마트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화면구성을 에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판부의 사용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투과필름층을 구비한 놀이판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트레이싱기능을 갖는 이동장치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보드게임기에 있어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함께 융합된 보드게임을 제공하고, 보드게임상에 이동하는 보드게임의 상황 및 설정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하는 이동장치(300)를 제공하여 창의력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융합형 디지털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학습이 진행되는 판형의 보드판부, 상기 보드판부를 인식하는 별도의 스마트디바이스(200), 상기 스마트디바이스(200)의 제어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보드판부 위에서 이동 동작하는 이동장치(300)를 구비한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드판부는 영역을 구분되는 영역표시가 있는 놀이판(110), 상기 놀이판(110) 위에 올려놓는 상부면에 아이템표시코드를 갖는 보드판아이템카드(120), 상기 놀이판(110) 상부면에 놀이판(110)의 전체영역 및 상하좌우 방향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200)가 인식시키는 인식표시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200)는 상기 놀이판(110)의 영역 및 아이템카드 및 이동장치(300)를 인식하는 스마트인식센서, 상기 보드판부를 인식하여 동기화된 화면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상기 이동장치(300)와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송수신장치, 이동장치(300)의 주행설정 및 조작하는 조작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스마트디바이스(200)를 이용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화면에 놀이판(110)을 도시하는 놀이판도시영역(211), 거리 및 점수 및 시간을 표시하는 현황표시영역(212), 스마트디바이스(200) 상에서 사용가능한 스마트아이템카드를 표시하는 아이템표시영역(213)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300)는 바퀴가 달린 지상이동체 또는 비행이 되는 비행체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놀이판(110) 위에 보드판아이템카드(120)를 놓은 후 놀이판(110) 위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투명커버판과 불투명커버판으로 구성된 커버판부(130)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놀이판(110) 및 커버판부(130) 상부면에 이동장치(300)의 정확한 이동제어를 위하여 이동장치(300)의 현위치를 알 수 있도록 위치를 표시한 보드판표시코드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300)는 상기 보드판부의 보드판아이템카드(120) 및 보드판표시코드를 인식하는 이동인식센서(32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인식센서 및 이동인식센서(320)는 적외선센서, RFID센서, 칼라센서, 격자센서, 이미지 및 영상인식센서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드판아이템카드(120) 및 보드판표시코드는 상기 스마트인식센서 및 이동인식센서(320)에 맞게 이미지, 칼라, RFID칩, QR코드, 패턴코드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200)는 다른 스마트디바이스(200)와 서로 정보의 실시간으로 공유 및 게임의 공동참가가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복수의 이동장치(300)를 함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게임의 결과값 및 각종 놀이판(110)의 배치상황을 저장하는 데이터를 스마트디바이스(200) 및 별도의 서버에 저장하여 하도록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드판아이템카드(120) 및 스마트아이템카드는 장애물카드, 방향지시카드, 중간역카드, 목적지카드, 함정카드, 이벤트카드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놀이판(110)은 스마트디바이스(200)와 연동되어 구별된 영역별 이미지를 보여주는 발광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놀이판(110)으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놀이판(110)은 터치로 인하여 조작이 가능한 터치디스플레이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인식센서 및 이동인식센서(320)를 적외선센서로 구비하여 실시할 때에, 사용자의 눈에는 보이지 않고 적외선센서로만 인식되도록 놀이판(110) 및 보드판아이템카드(120) 및 커버판 상부면에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적외선투과필름층을 구비하고 그 하부에 아이템표시코드 및 보드판표시코드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판을 라인을 그리고 지울 수 있는 메모형판으로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300)는 그려진 라인을 인식하여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라인트레이싱기능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판형의 보드판부, 스마트디바이스(200), 이동장치(300)를 구비한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드판부를 스마트디바이스(200)가 인식하고, 스마트디바이스(200)가 인식된 정보와 추가조작된 정보를 통해 이동장치(300)가 보드판부 위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이 일어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상기 보드판부는 영역이 구분된 놀이판(110), 상기 놀이판(110) 위에 올려놓는 아이템표시코드를 갖는 보드판아이템카드(120)를 구비하고. 상기 보드판아이템카드(120)는 장애물카드, 방향지시카드, 중간역카드, 목적지카드, 함정카드, 이벤트카드 등 으로 구비하게 되면 사용자가 놀이판(110)위에 각동 보드판아이템카드(120)를 배치하여 게임의 셋팅이 이루어지며 나아가 세팅된 보드판부를 스마트디바이스(200)가 인식하여 동기화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놀이판(110) 상부면에 놀이판(110)의 전체영역 및 상하좌우 방향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200)가 인식시키는 인식표시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스마트디바이스(200)가 놀이판(110)을 인식함에 있어서 전체영역 및 방향을 명확히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200)는 상기 놀이판(110)의 영역 및 보드판아이템카드(120) 및 이동장치(300)를 인식하는 스마트인식센서, 상기 보드판부를 인식하여 동기화된 화면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상기 이동장치(300)와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송수신장치, 이동장치(300)의 주행설정 및 조작하는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특히 디스플레이에 화면에 놀이판(110)을 도시하는 놀이판도시영역(211), 거리 및 점수 및 시간을 표시하는 현황표시영역(212), 스마트디바이스(200) 상에서 사용가능한 스마트아이템카드를 표시하는 아이템표시영역(213)으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스마트디바이스(200)에 상기 놀이판(110)의 배치상태가 동기화 되어 도시되면 도시된 놀이판(110)에 보드판아이템카드(120) 외에 디지털상의 스마트아이템카드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배치후 상기 조작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장치(30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놀이판(110) 위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장치(300)가 특정 아이템카드위에 도착하였을 때 이를 영상이나 효과음으로 알려주어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놀이판(110) 위에 보드판아이템카드(120)를 놓은 후 놀이판(110) 위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투명커버판과 불투명커버판으로 구성된 커버판부(13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놀이판(110)위에 보드판아이템카드(120)를 배치후에 상기 커버판부(130)를 덮어서 이동장치(300)가 평평한 커버판부(130)위를 매끄럽게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상기 불투명커버판을 덮을 경우 놀이판(110)위의 카드배치상황을 보지 못하게 되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놀이판(110) 및 커버판부(130) 상부면에 위치를 표시한 보드판표시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300)는 상기 보드판부의 보드판아이템카드(120) 및 보드판표시코드를 인식하는 이동인식센서(32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이동장치(300)의 이동시에 이동장치(300)의 현 위치를 알 수 있어 정확한 이동제어가 이루어지며 나아가 이동장치(300)가 보드판아이템카드(120)를 인식하여 게임의 진행이 원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200)는 다른 스마트디바이스(200)와 서로 정보의 실시간으로 공유 및 게임의 공동참가가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복수의 이동장치(300)를 함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게임을 진행함으로 게임의 즐거움을 함께 누릴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게임의 결과값 및 각종 놀이판(110)의 배치상황을 저장하는 데이터를 스마트디바이스(200) 및 별도의 서버에 저장하여 하도록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은 사용자의 게임의 과정 및 결과를 저장 및 관리 할 수 있으며. 또한 놀이판(110)의 배치에 있어서 무작위 또는 저장된데이터 불러오기를 통해 놀이판(110)의 배치를 손쉽게 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놀이판(110)은 스마트디바이스(200)와 연동되어 구별된 영역별 이미지를 보여주는 발광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놀이판(110), 또는 터치로 인하여 조작이 가능한 터치디스플레이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게임의 진행이 손쉬워지며 디스플레이를 통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인식센서 및 이동인식센서(320)를 적외선센서로 구비하고, 놀이판(110) 및 보드판아이템카드(120) 및 커버판 상부면에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적외선투과필름층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은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서 놀이판(110)의 배치, 보드판아이템카드(120)의 내용을 모르지만 이동장치(300)가 위에 위로 이동했을 때 이동장치(300)를 통해 내용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놀이판(110) 및 보드판아이템카드(120) 및 커버판의 상부에 있는 각종 표시코드를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아서 더욱 깔끔한게 사용이가능해 미관이 좋은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을 라인을 그리고 지울 수 있는 메모형판으로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300)는 그려진 라인을 인식하여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라인트레이싱기능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은 이동장치(300)가 라인을 따라 이동하며 특정위치에 이동하였을 경우 이벤트가 이뤄지는 형태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과정 및 게임진행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놀이판(110) 위에 보드판아이템카드(120)를 이용하여 손으로 직접 적정한 놀이판(110) 게임셋팅을 한다. 이때 스마트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랜덤 또는 저장데이터를 불러와서 참조하여 게임셋팅이 가능하다.
그 후 사용자는 배치가 완료된 놀이판(110)을 스마트디바이스(200)를 통해 촬영을 한다. 그러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스마트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에 놀이판(110)의 배치가 도시화된다.
그 후 사용자는 스마트디바이스(200)를 조작하여 디지털상에 추가적인 스마트아이템카드를 배치한다.
그 후 사용자는 놀이판(110) 위에 커버판부(130)를 덮고 이동장치(300)를 놀이판(110)위 원하는 시작위치에 배치한다.
그 후 사용자는 스마트디바이스(200)에 이동장치(300)의 시작위치를 지정한 후 스마트디바이스(200)의 조작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장치(30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면 이동장치(300)의 이동에 따라 점수 및 이벤트 등을 스마트디바이스(200)로 확인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110: 놀이판 120: 보드판아이템카드 130: 커버판부
200: 스마트디바이스 211: 놀이판도시영역 212: 현황표시영역
213: 아이템표시영역
300: 이동장치 310: 이동수단 320: 이동인식센서

Claims (3)

  1. 보드게임기에 있어서
    학습이 진행되는 판형의 보드판부, 상기 보드판부를 인식하는 별도의 스마트디바이스,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의 제어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보드판부 위에서 이동 동작하는 이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보드판부는 영역을 구분되는 영역표시가 있는 놀이판, 상기 놀이판 위에 올려놓는 상부면에 아이템표시코드을 갖는 보드판아이템카드, 상기 놀이판 상부면에 놀이판의 전체영역 및 상하좌우 방향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가 인식시키는 인식표시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상기 놀이판의 영역 및 보드판아이템카드 및 이동장치를 인식하는 스마트인식센서, 상기 보드판부를 인식하여 동기화된 화면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상기 이동장치와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송수신장치, 이동장치의 주행설정 및 조작하는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화면에 놀이판을 도시하는 놀이판도시영역, 거리 및 점수 및 시간을 표시하는 현황표시영역, 스마트디바이스 상에서 사용가능한 스마트아이템카드를 표시하는 아이템표시영역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바퀴가 달린 지상이동체 또는 비행이 되는 비행체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놀이판 위에 보드판아이템카드를 놓은 후 놀이판 위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투명커버판과 불투명커버판으로 구성된 커버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놀이판 및 커버판부 상부면에 이동장치의 정확한 이동제어를 위하여 이동장치의 현위치를 알 수 있도록 위치를 표시한 보드판표시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보드판부의 보드판아이템카드 및 보드판표시코드를 인식하는 이동인식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3. 제 1항 및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인식센서 및 이동인식센서는 적외선센서, RFID센서, 칼라센서, 격자센서, 이미지 및 영상인식센서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아이템표시코드 및 보드판표시코드는 상기 스마트인식센서 및 이동인식센서에 맞게 이미지코드, 칼라코드, RFID칩, QR코드, 패턴코드를 선택적로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다른 스마트디바이스와 서로 정보의 실시간으로 공유 및 게임의 공동참가가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복수의 이동장치를 함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게임의 결과값 및 각종 놀이판의 배치상황을 저장하는 데이터를 스마트디바이스 및 별도의 서버에 저장하여 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KR1020170085194A 2017-07-05 2017-07-05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KR102017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194A KR102017942B1 (ko) 2017-07-05 2017-07-05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PCT/KR2018/007552 WO2019009602A1 (ko) 2017-07-05 2018-07-04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194A KR102017942B1 (ko) 2017-07-05 2017-07-05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264A true KR20190005264A (ko) 2019-01-16
KR102017942B1 KR102017942B1 (ko) 2019-09-04

Family

ID=64951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194A KR102017942B1 (ko) 2017-07-05 2017-07-05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7942B1 (ko)
WO (1) WO201900960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18A (ko) * 2019-06-28 2021-01-06 최성일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KR20210038060A (ko) *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 로보로보 교육용 로봇의 블록 프로그래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9872A (ko) * 2020-01-09 2021-07-19 (주)천재교육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102426332B1 (ko) * 2022-01-12 2022-07-27 최영준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카드 게임용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5114B (zh) * 2019-04-18 2021-07-27 江苏海事职业技术学院 一种英语拼图教学设备
USD912728S1 (en) * 2019-06-26 2021-03-09 Bright Junior Media Sp.zo.o Sp.K. Flash card set
USD912727S1 (en) * 2019-06-26 2021-03-09 Bright Junior Media Sp.zo.o Sp.K. Flash card set
USD912729S1 (en) * 2019-06-26 2021-03-09 Bright Junior Media Sp.zo.o Sp.K. Flash card set
CN115019569B (zh) * 2022-06-02 2023-05-02 广西科技大学 一种用于提高儿童颜色辨识能力的益智教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30A (ko) * 2008-07-24 201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보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61210A (ko) * 2010-12-03 2012-06-13 김정진 전자식 보드게임장치
KR20170008108A (ko) 2015-07-13 2017-01-23 김인숙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KR101708866B1 (ko) * 2014-12-22 2017-02-21 (주)모션블루 완구, 그를 이용한 게임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2716A (ja) * 2006-03-24 2007-10-04 Oyo Denshi:Kk Rfidを用いたボードゲーム
KR20140007997A (ko) * 2012-07-10 2014-01-21 (주)모션블루 보드 게임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보드 게임을 형성하는 블록
KR101546965B1 (ko) * 2013-11-29 2015-08-25 김성은 보드게임 테이블장치,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시스템 및 게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30A (ko) * 2008-07-24 201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보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61210A (ko) * 2010-12-03 2012-06-13 김정진 전자식 보드게임장치
KR101708866B1 (ko) * 2014-12-22 2017-02-21 (주)모션블루 완구, 그를 이용한 게임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08108A (ko) 2015-07-13 2017-01-23 김인숙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18A (ko) * 2019-06-28 2021-01-06 최성일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KR20210038060A (ko) *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 로보로보 교육용 로봇의 블록 프로그래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9872A (ko) * 2020-01-09 2021-07-19 (주)천재교육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102426332B1 (ko) * 2022-01-12 2022-07-27 최영준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카드 게임용 매트
KR20230109067A (ko) * 2022-01-12 2023-07-19 최영준 이탈방지 기능이 있고,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카드 게임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942B1 (ko) 2019-09-04
WO2019009602A1 (ko)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5264A (ko)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US10363486B2 (en) Smart video game board system and methods
US11452935B2 (en) Virtual card game system
EP2394714A1 (en)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EP3525897B1 (en) Game system
CN105413198A (zh) Ar儿童早教积木系统
US201601620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uter program with physical objects
JP6058101B1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150981A (zh) 一种自助语音导游系统及其触发方法
CN105931500B (zh) 一种基于点读笔的影像设备控制方法和点读笔系统
JP6612391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8355347B (zh) 交互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514376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N103392193A (zh) 用于识别摇奖球的方法和设备
KR20190059068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자 맵의 미션 기반 퍼즐 조립 시스템 및 방법
US11534677B2 (en) Board game system and method
CN106552421A (zh) Ar儿童拼图系统
KR20170039953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KR102350349B1 (ko) 게임기, 게임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10086713A1 (en) Game device
WO2013110860A1 (en) A game environment and a configuration thereof
JP2017064445A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35102B2 (ja) ゲーム装置
KR20160124435A (ko) 보드 게임판의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는 보드 게임 장치 및 그 방법
CN112198816B (zh) 一种基于剧本的多设备交互系统和交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