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108A -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 Google Patents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108A
KR20170008108A KR1020150099434A KR20150099434A KR20170008108A KR 20170008108 A KR20170008108 A KR 20170008108A KR 1020150099434 A KR1020150099434 A KR 1020150099434A KR 20150099434 A KR20150099434 A KR 20150099434A KR 20170008108 A KR20170008108 A KR 20170008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ze
quiz
learning
present
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록
Original Assignee
김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숙 filed Critical 김인숙
Priority to KR1020150099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8108A/ko
Publication of KR2017000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97Board games with labyrinths, path finding, line 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미로를 직접 만들고 갈림길이 나올 때 마다 퀴즈를 이용하여 행선지를 정하고 미로를 빠져나가며 놀이와 교육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는 학습대상자가 직접 조립식 미로를 조립해보며 3차원으로 미로를 구성하므로 공감각 능력을 향상시키며 갈림길에 도달하였을 경우 퀴즈를 풀어야 다음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퀴즈를 풀어가며 학습능력까지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학습대상자의 능력에 따라 조립식 미로를 더 복잡하게 구성하거나 퀴즈의 난이도를 향상시켜 학습대상자의 지능에 따른 학습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학습대상자의 나이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Educational maze of toys with a quiz puzzle}
본 발명은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미로를 직접 만들고 갈림길이 나올 때 마다 퀴즈를 이용하여 행선지를 정하고 미로를 빠져나가며 놀이와 교육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로찾기 놀이는 오랜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미로찾기 놀이판은 처음엔 재미있게 활용하다가 미로가 익숙해지면 흥미가 반감되고, 미로를 찾는 과정의 위험물 등 흥미 요소가 부족하여 긴장감이 덜한 단점이 있다. 또한, 두뇌활동을 통한 간접적인 지능 개발의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직접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등의 학습효과를 갖기 힘들다.
최근 교구재를 활용하여 잠재적인 지능 개발과 함께 영어단어나 한글배우기, 산수놀이 등의 직접적인 학습효과를 동반하는 교구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아이들의 정서함양에 도움이 되도록 목재로 만들어 지는 제품이 대부분인 교구재는 문자나 그림 또는 사진 등을 결합하여 초기 학습단계의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것을 학습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학습용 퍼즐형태의 교구와 관계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07676 ‘창의력 개발용 퍼즐 놀이기구’처럼 일정공간을 분할하여 그에 부합되는 블록을 맞추게 함으로써 공간 인지능력을 향상하는 유형이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04339 ‘한글교습도구’와 같이 보드위에 한극 자음과 모음을배치하여 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한글을 학습하는 방법처럼 철자를 배치하는 과정에 언어를 습득하는 유형이 존재해 왔다.
그러나 학습을 위한 맞추기식 퍼즐은 지속적인 관심유발이 이루어져야 적정한 수준의 학습효과를 갖을 수 있으므로 아이들이 지속적으로 흥미를 갖지 못한다면 원하는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학습대상자가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변화를 줄 수 있는 조립식 미로를 구성하고 갈림길마다 학습효과가 있는 간단한 퀴즈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직접 미로를 구성하고 퀴즈도 풀어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자석 및 결합고리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가지며 정육면체의 형태에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조립식 미로와 조립식 미로를 각각 결합하여 미로를 완성한 후 출발지에서 이동말을 움직이며 갈림길에 도착하였을 경우 보호자 또는 선생님 등 지도자가 퀴즈를 내고 학습대상자가 퀴즈를 풀게 되면 갈림길 중 행선지를 정해서 이동하며 또 다시 갈림길에 도착하였을 경우 상기와 같이 퀴즈를 푸는 행위를 반복하며 목적지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는 학습대상자가 직접 조립식 미로를 조립해보며 3차원으로 미로를 구성하므로 공감각 능력을 향상시키며 갈림길에 도달하였을 경우 퀴즈를 풀어야 다음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퀴즈를 풀어가며 학습능력까지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학습대상자의 능력에 따라 조립식 미로를 더 복잡하게 구성하거나 퀴즈의 난이도를 향상시켜 학습대상자의 지능에 따른 학습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학습대상자의 나이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내부에 'I'자 홈이 파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내부에 'ㄴ'자 홈이 파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내부에 'T'자 홈이 파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내부에 막다른길이 파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와 이동말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평면도이다.
도 3,4,5,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내부에 'I'자, 'ㄴ'자,'T'자,'막다른길' 을 나타내는 홈이 파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와 이동말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정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일정크기를 지닌 내부홈(11)을 형성하며 통로가 상단면이 열려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내부홈(11)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림부(21)와 상기 걸림부(21)를 통해서 상기 내부홈(11)을 이동하며 상기 몸체(10)의 열려있는 면 바깥으로 현재 어디에 위치하였는지를 노출하여주는 표시부(22)로 형성되는 이동말(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게 되면 학습대상자가 자력을 띄고 있는 몸체(10)를 원하는 미로의 형태로 조립을 하고난 후 걸림부(21)를 내부홈(11)에 맞추게 되면 학습의 준비가 종료된다.
표시부(22)를 이용하여 미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갈림길에 마주치게 되면 교육자는 퀴즈를 제출하고 학습대상자가 맞추게 되면 어느쪽으로 진행할지를 선택하여 미로를 풀어나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계속해서 반복하고난 후 출구에 도달하게 되면 한 차례가 끝나게 되고 몸체(10)를 분해하여 다시 설계하고 진행하는 등 본 발명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대상자의 지식능력에 맞게 미로를 더 어렵게 구성하거나 퀴즈의 난이도를 높히는 등 학습대상자를 어린 연령층으로 한정짓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에 자력을 띄우게 하는 방법이나 갈림길에서 사용되는 퀴즈의 조달방법 및 제출방법 또는 걸림부(21)와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22)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걸림부(21)의 내부에 오뚜기를 형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만 있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도록 한다.
10 : 몸체 11 : 내부홈
20 : 이동말 21 : 걸림부
22 : 표시부

Claims (2)

  1. 정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일정크기를 지닌 내부홈(11)을;
    형성하며 통로가 상단면이 열려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내부홈(11)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걸림부(21)와;
    상기 걸림부(21)를 통해서 상기 내부홈(11)을 이동하며 상기 몸체(10)의 열려있는 면 바깥으로 현재 어디에 위치하였는지를 노출하여주는 표시부(22)로;
    형성되는 이동말(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내부홈(11)을 통한 자유로운 조립을 위하여 전면이 자성을 띄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KR1020150099434A 2015-07-13 2015-07-13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KR20170008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434A KR20170008108A (ko) 2015-07-13 2015-07-13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434A KR20170008108A (ko) 2015-07-13 2015-07-13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108A true KR20170008108A (ko) 2017-01-23

Family

ID=5798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434A KR20170008108A (ko) 2015-07-13 2015-07-13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81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264A (ko) 2017-07-05 2019-01-16 방상봉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264A (ko) 2017-07-05 2019-01-16 방상봉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ine Mobile educational augmented reality gam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wo case studies
Govender et al. An analysis of game design elements used in digital game-based language learning
Heljakka et al. Gamified coding: Toy robots and playful learning in early education
US20130300061A1 (en) Three dimensional puzzle with interactive features
Ahmad et al. A review of educational games design frameworks: An analysis from software engineering
Christopoulos et al. Gamification in education
Buckleitner What would Maria Montessori say about the iPad? Theoretical frameworks for children's interactive media
KR20170008108A (ko)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미로찾기 완구
Novikova et al. Smart edutainment as a way of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on the example of board games)
Videnovik et al. Design thinking methodology for increasing quality of experience of augmented reality educational games
Kalofolia et al. Inclusion of the Minecraft digital game in the theatre education course: theoretical approaches and an interactive experiment
Danos et al. Action Research to develop and validate a scheme of work to promote creativity and designerly thinking through play
Lee et al. Hide and seek: A LEGO village game for developing spatial ability of children
Kerlow et al. Earth girl: A multi-cultural game about natural disaster prevention and resilience
Sant Leveling Up: Evaluating Theoretical Underpinnings and Applications of Gamification in the Classroom
Marghitu et al. Auburn university robo camp K12 inclusive outreach program: a three-step model of effective introducing middle school students to computer programming and robotics
Berglund When Creativity+ Collaboration= Success: The Making of Peg+ Cat
Duflot et al. When sharing computer science with everyone also helps avoiding digital prejudices
Kaszap et al. How scenarios can enhance serious games with augmented reality:“the case of the MITAR Serious Game”
Ness Block parties: Identifying emergent STEAM thinking through play
Cigánik Upper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nh et al. Steam-based principles and process of designing games for preschool children between 5-6 years old in Ho Chi Minh City
Ahmedovna CREATING AN ENGLISH LEARNING 3D GAME
Avichay et al. Imparting Writing Skills to Children with ASD
Wakeford Can Robots add Value in Therapy? A review of Kai’s Clan collaborative coding platform and KaiB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