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518A -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 Google Patents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518A
KR20210001518A KR1020190077743A KR20190077743A KR20210001518A KR 20210001518 A KR20210001518 A KR 20210001518A KR 1020190077743 A KR1020190077743 A KR 1020190077743A KR 20190077743 A KR20190077743 A KR 20190077743A KR 20210001518 A KR20210001518 A KR 2021000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ode pattern
line
driving code
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068B1 (ko
Inventor
최성일
Original Assignee
최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일 filed Critical 최성일
Priority to KR102019007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0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4Tracking a line or surface by means of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추종 코딩로봇이 주행하는 코드라인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주행 코드라인을 직접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획일적이고 식상한 주행 코드라인에 따른 주행 동작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여 로봇을 이용한 코딩 교육의 흥미와 재미를 증대시키고, 코딩 교육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코드패턴을 독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검출센서(주행 코드패턴 독취센서)를 구비한 코딩로봇이 독취하여 주행할 수 있는 주행 코드패턴을 구비한 보드 키트로서, 코딩로봇이 주행하는 주행라인이 구비된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 상기 주행 라인에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주행 코드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SELF-MADE BOARD KITS OF DRIVE CODE LINE FORMATION FOR DRIVING LINE TRACING ROBOT}
본 발명은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이 주행하는 코드라인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주행 코드라인을 직접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획일적이고 식상한 주행 코드라인에 따른 주행 동작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여 로봇을 이용한 코딩 교육의 흥미와 재미를 증대시키고, 코딩 교육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코딩의 조기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어린이들에게 로봇을 이용하여 코딩을 교육시키는 코딩 로봇이 각광을 받고 있고, 코딩 로봇을 이용하여 라인을 따라 주행을 하게 하는 라인 추종 코딩 로봇이 개발되었다.
도 1은 공지된 오조봇 코딩 로봇의 주행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현재 시판되어 있는 오조봇사의 오조봇 로봇과 같은 라인 추종 코딩 로봇에서는, 도 1과 같이 하나의 코드가 다수 개의 칼라(도 1에서는 녹색, 빨강색, 파란색의 3가지 칼라)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칼라 코드(1)를 패드(2) 위의 라인(3)(도 1에서는 검은 색 라인) 위에 배치하여 구성된다.
코딩 로봇(4)은 그의 하부에 구비되는 칼라 센서(미도시)를 통해 상기 이 칼라 코드(1)를 인식하여 이 칼라 코드(1)에 의해 코딩 로봇(4)의 주행 방향(직진, 좌회전, 우회전 등) 등의 주행 동작이 결정되어 라인을 따라 해당 칼라 코드(1)에 대응하게 주행을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코딩 로봇(4)이 검정선의 중심 위로 주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다수 개의 칼라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칼라 코드(1)를 사용하므로, 사용자인 어린이가 칼라들의 조합에 따른 명령들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기억하지 못하여 자신의 원하는 주행 경로에 따른 칼라 코드(1)의 배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칼라 코드(1)를 검정색 라인(3)에 배치하여 코딩 로봇(4)이 검정선의 중심 바로 위를 주행하는 방식이어서 코딩 로봇(4) 하부 좌우에 2개의 흑백 센서(미도시)를 배치하여 로봇이 검정색 라인(3)을 벗어나지 않도록 미세한 지그재그 방식으로 전진하도록 제어하므로, 칼라 센서 이외에 추가적으로 2개의 흑백 센서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코딩 로봇(4)이 검정선의 중심 바로 위를 주행하는 방식이므로 중앙선의 우측으로 주행하는 일반적인 도로 주행 방식과 상이하여 도로 주행 학습 효과도 없게 된다.
결국, 오조봇과 같은 종래기술의 주행 로봇(4)은 다수의 칼라 조합에 따른 칼라 코드를 주행 명령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인 어린이가 원하는 주행 경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코딩(작성)하기 어렵고, 검정선의 중앙으로 주행하기 위해 2개의 흑백 센서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제조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며, 검정선의 중앙을 따라 주행하게 되어 중앙선의 우측을 따라 주행하는 일반 도로 주행 방식과 상이하여 유아동을 위한 도로 교통 안전 교육도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라인 중앙 주행 로봇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2017-16922(201727일 출원)에서는 엣지 주행 라인 추종 코딩 로봇을 제시하고, 엣지 주행 코딩 로봇의 주행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로서 단일 칼라의 스티커를 사용하여 라인의 측면에 해당 코드용 단일 칼라의 스티커를 부착하여, 엣지 주행 로봇(5)이 라인(6)의 가장자리((7)를 따라 주행하다가 하부의 칼라 센서에 의해 스티커(8)의 색상을 인식하여 이 색상에 대응하는 코드에 따른 동작이 실행되게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단일 칼라 스티커(8)를 사용하면 상이한 색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코드의 가지수가 너무나 한정적이라서 엣지 주행 코딩 로봇(5)이 인식할 수 있는 코드의 가지수를 크게 확장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음악 연주용 악보 코드와 같이 많은 코드 가지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단일 칼라 스티커(8)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 칼라 코드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하거나 하지 못하고 획일적이어서 코딩 로봇의 제한적이고 한정적인 동작으로 인해 식상하게 되고, 결국 재미와 흥미를 잃어 효과적인 코딩 교육을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98864(2018.09.1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63683(2019.03.2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93535(2018.08.3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54669호(2012.05.30.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인 추종 코딩로봇이 주행하는 코드라인을 사용자가 임의로 용이하게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코딩 교육의 흥미와 재미 및 코딩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코드라인을 직접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획일적이고 식상한 주행 코드라인에 따른 주행 동작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여 로봇을 이용한 코딩 교육의 흥미와 재미를 증대시키고, 코딩 교육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주행 코드패턴을 독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검출센서(주행 코드패턴 독취센서)를 구비한 코딩로봇이 독취하여 주행할 수 있는 주행 코드패턴을 구비한 보드 키트로서, 코딩로봇이 주행하는 주행라인이 구비된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 상기 주행 라인에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주행 코드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주행라인에 복수 개소에 형성되며, 상기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중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주행 코드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상응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간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 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결합수단은 사각 형태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가장자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출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가장자리의 타측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결합 돌출편이 안착 결합되는 결합 요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주행 코드패턴이 인쇄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인쇄지에 인쇄된 상기 주행 코드패턴이 부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 코드패턴이 인쇄된 제1 인쇄지 및 상기 주행 코드패턴이 인쇄되지 않은 제2 인쇄지; 상기 제1 인쇄지에 그려진 주행 코드패턴을 오려내도록 구성되는 주행 코드패턴 컷팅 툴; 상기 제2 인쇄지에 그려넣을 수 있게 구성되는 주행 코드패턴 작성 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라인 추종 코딩로봇이 주행하는 코드라인 또는 코드패턴을 사용자가 임의로 용이하게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주행 코드라인 또는 주행 코드패턴을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어 기존의 획일적이고 식상한 주행 코드라인에 따른 주행 동작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여 로봇을 이용한 코딩 교육의 흥미와 재미를 증대시키고, 코딩 교육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공지된 오조봇 코딩 로봇의 주행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의 완성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포함되는 코딩로봇 주행 보드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포함되는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포함되는 주행 코드패턴 형성용 제작 툴 부재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의 완성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포함되는 코딩로봇 주행 보드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포함되는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는, 주행 코드패턴을 독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검출센서(주행 코드패턴 독취센서)를 구비한 코딩로봇이 독취하여 주행할 수 있는 주행 코드패턴을 구비한 보드 키트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딩로봇이 주행하는 주행라인(101)이 그려진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100); 상기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100)의 주행 라인(101)에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110); 및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노출되는 주행 코드패턴(230)을 구비하며, 상기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100)에 탈장착 가능하게(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100)에는 코딩로봇이 인식할 수 있는 주행라인(101)이 그려져 있는데. 상기 주행라인(101)은 선형 라인, 곡선 라인, 분기 라인 등 다양한 형태의 라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100)의 주행라인(101)의 부분적인 또는 전체적인 형태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200)의 구성 또는 구조와 연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주행라인(101)에 형성되는 개구부(110)는 주행라인(101)에 하나 이상, 또는 복수 개소(個所)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200)에 구비되는 주행 코드패턴(230)의 사이즈에 상응하는 사이즈의 개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110)는 예를 들면 도면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4방위에서 대칭되게 형성되는 4개의 개구부가 하나의 그룹(group) 또는 군(群)으로 이루어져 횡렬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100)는 예를 들면 주행라인(101)을 길 또는 도로로 하는 지도 형태로 구성되며, A3 정도의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200)은 도 4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서 중심의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220),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220)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주행 코드패턴(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소정 두께를 가지며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의 사각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220)에 상응하는 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22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220)의 두께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220)의 상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이웃하는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 결합수단(241, 24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결합수단(241, 242)은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네 가장자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출편(24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네 가장자리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출편(241)이 안착 결합되는 결합 요홈(2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돌출편(241)은 각 가장자리에서 하면이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결합 요홈(242)은 각 가장자리의 상면이나 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갖고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플레이트(220)는 상기 주행 코드패턴(230)이 인쇄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소정의 주행 코드패턴(230)이 별도의 인쇄지에 인쇄되어 사용자가 소정 툴(tool)을 사용하여 오려된 주행 코드패턴(230)을 부착시킨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 코드패턴(230)은 색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색상 코드패턴 및/또는 흑백의 점, 선, 면의 무색 코드패턴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코딩로봇는 상기 코드 패턴을 독취할 수 있는 독취센서(검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는, 상기 주행 코드패턴(230)이 인쇄되거나 인쇄되지 않은 별도의 인쇄지와, 상기 인쇄지에 주행 코드패턴을 그려넣거나, 상기 인쇄지에 인쇄된 주행 코드패턴 또는 그려진 주행 코드패턴을 오려내는 주행 코드패턴 제작 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포함되는 주행 코드패턴 형성용 제작 툴 부재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주행 코드패턴 형성용 제작 툴 부재는, 설정된 코드(칼라 조합이나 무색 코드패턴)의 주행 코드패턴을 인쇄지에 그려넣을 수 있게 구성되는 주행 코드패턴 작성 툴(310)(도 5의 (a) 참조), 및 인쇄지에 그려진 주행 코드패턴을 잘라낼 수 있게 구성되는 주행 코드패턴 컷팅 툴(320)(도 6의 (b)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주행 코드패턴 형성용 제작 툴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임의로 다양한 주행 코드패턴을 직접 제작해 볼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코딩 교육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에 의하면, 라인 추종 코딩로봇이 주행하는 코드라인 또는 코드패턴을 사용자가 임의로 용이하게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으며, 주행 코드라인 또는 주행 코드패턴을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어 기존의 획일적이고 식상한 주행 코드라인에 따른 주행 동작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여 로봇을 이용한 코딩 교육의 흥미와 재미를 증대시키고, 코딩 교육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
101: 주행 라인
110: 개구부
200: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
210: 베이스 플레이트
220: 회전 플레이트
221: 회전축
230: 주행 코드패턴
241: 결합 돌출편
242: 결합 요홈
310: 주행 코드패턴 작성 툴
320: 주행 코드패턴 컷팅 툴

Claims (5)

  1. 주행 코드패턴을 독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검출센서(주행 코드패턴 독취센서)를 구비한 코딩로봇이 독취하여 주행할 수 있는 주행 코드패턴을 구비한 보드 키트로서,
    코딩로봇이 주행하는 주행라인이 구비된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
    상기 주행 라인에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주행 코드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코딩로봇 주행 보드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주행라인에 복수 개소에 형성되며,
    상기 코딩로봇 주행코드패턴 자작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중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주행 코드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상응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간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결합수단은 사각 형태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가장자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출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가장자리의 타측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결합 돌출편이 안착 결합되는 결합 요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주행 코드패턴이 인쇄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인쇄지에 인쇄된 상기 주행 코드패턴이 부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코드패턴이 인쇄된 제1 인쇄지 및 상기 주행 코드패턴이 인쇄되지 않은 제2 인쇄지;
    상기 제1 인쇄지에 그려진 주행 코드패턴을 오려내도록 구성되는 주행 코드패턴 컷팅 툴;
    상기 제2 인쇄지에 그려넣을 수 있게 구성되는 주행 코드패턴 작성 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KR1020190077743A 2019-06-28 2019-06-28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KR102205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743A KR102205068B1 (ko) 2019-06-28 2019-06-28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743A KR102205068B1 (ko) 2019-06-28 2019-06-28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18A true KR20210001518A (ko) 2021-01-06
KR102205068B1 KR102205068B1 (ko) 2021-01-19

Family

ID=7412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743A KR102205068B1 (ko) 2019-06-28 2019-06-28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06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089U (ko) * 2009-11-17 2011-05-25 (주) 한호기술 휴대용 로봇 경기 장치
KR20120044961A (ko) * 2012-04-18 2012-05-08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로봇용 타일
KR20120054669A (ko) 2005-12-02 2012-05-30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자동 커버리지 로봇 운행 시스템
KR20180091562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코딩 로봇의 주행 코드 형성 및 배치 방법
KR101893535B1 (ko) 2017-06-14 2018-08-30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멀티 칼라 코드 카드를 이용한 로봇
KR20190005264A (ko) * 2017-07-05 2019-01-16 방상봉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KR101957107B1 (ko) * 2018-10-05 2019-03-11 김수인 코딩 로봇을 이용한 보드 게임 기구
KR101963683B1 (ko) 2018-03-28 2019-03-29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엣지 주행 라인 추종 코딩 로봇의 명령 실행 방법
KR20190043756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토이트론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669A (ko) 2005-12-02 2012-05-30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자동 커버리지 로봇 운행 시스템
KR20110005089U (ko) * 2009-11-17 2011-05-25 (주) 한호기술 휴대용 로봇 경기 장치
KR20120044961A (ko) * 2012-04-18 2012-05-08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로봇용 타일
KR20180091562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코딩 로봇의 주행 코드 형성 및 배치 방법
KR101898864B1 (ko) 2017-02-07 2018-09-14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코딩 로봇의 주행 코드 형성 및 배치 방법
KR101893535B1 (ko) 2017-06-14 2018-08-30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멀티 칼라 코드 카드를 이용한 로봇
KR20190005264A (ko) * 2017-07-05 2019-01-16 방상봉 보드형 스마트학습교구
KR20190043756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토이트론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KR101963683B1 (ko) 2018-03-28 2019-03-29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엣지 주행 라인 추종 코딩 로봇의 명령 실행 방법
KR101957107B1 (ko) * 2018-10-05 2019-03-11 김수인 코딩 로봇을 이용한 보드 게임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068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1447A (en) Electronic chess game
KR101963683B1 (ko) 엣지 주행 라인 추종 코딩 로봇의 명령 실행 방법
KR101311162B1 (ko) 로봇용 타일
US2280609A (en) Puzzle and puzzle game
CN109686172B (zh) 一种利用机器人移动的编码教育装置
KR102205068B1 (ko) 라인 추종 코딩로봇용 주행 코드패턴 형성 자작 보드 키트
US4508347A (en) Alphabet blocks
US847545A (en) Puzzle.
KR102290934B1 (ko) 코딩 학습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코딩 학습 시스템
JP2007334798A (ja) コード合成可能なカード,カード読取装置および該カードを利用したゲームプレイ装置
US4391449A (en) Board game
CN218306097U (zh) 适用于寻线玩具的指令卡结构及寻线玩具
US490689A (en) Puzzle
US4412681A (en) Two dimensional logical toy
US4066265A (en) Amusement device
EP0145473A3 (en) Engraved image identification card
JP2007290087A (ja) カッティングプロッタとそれを用いた画像のカット用輪郭のカット方法
US1307331A (en) Building-blocks.
GB2228422A (en) Pyramid game
US20080252006A1 (en) Multi-level game board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US3938270A (en) Visual display device
KR200249756Y1 (ko) 적목식 완구
JP2000116934A (ja) 積木組立てパズル
JPS5842000Y2 (ja) 断ち合わせパズル
KR20230069337A (ko)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블록형 조립식 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