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987A - 안내 로봇 - Google Patents

안내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987A
KR20190004987A KR1020170085453A KR20170085453A KR20190004987A KR 20190004987 A KR20190004987 A KR 20190004987A KR 1020170085453 A KR1020170085453 A KR 1020170085453A KR 20170085453 A KR20170085453 A KR 20170085453A KR 20190004987 A KR20190004987 A KR 20190004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ate
cooling fan
base plat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435B1 (ko
Inventor
양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435B1/ko
Priority to PCT/KR2018/007201 priority patent/WO2019009555A1/ko
Priority to US16/499,461 priority patent/US10834845B2/en
Publication of KR20190004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4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45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automotive electronic casings
    • H05K7/20863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로봇은, 디스플레이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헤드케이스;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헤드케이스가 결합되며, 내부에 전자부품과 냉각팬이 수용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휠과 모터가 위치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이 구동되면, 상기 헤드케이스의 하단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전자부품을 통과한 후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내 로봇{GUIDANCE ROBOT}
본 발명은 안내 로봇에 관한 것이다.
로봇의 응용분야는 대체로 산업용, 의료용, 우주용, 해저용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 생산과 같은 기계 가공 공업에서는 로봇이 반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람의 팔이 하는 작업을 한 번만 가르쳐 주면 몇 시간이든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산업로봇이 이미 많이 가동되고 있다.
또한, 로봇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기술은 이미 종래에 많이 구현되어 있다. 로봇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거나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도 충분히 구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로봇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장소, 이용자,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반면에, 로봇이 상기 제공하는 서비스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 자체는 정해진 하중을 견디어 주어진 사양의 속도와 주행시간, 거리에 맞춰 이동 동작을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최근 공항 이용객의 폭발적인 증가 추세 및 스마트 공항으로의 도약을 위한 노력으로, 공항 내에서 로봇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공항에 인공지능 로봇을 도입하는 경우,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이 대체할 수 없었던 사람의 고유 역할을 로봇이 대신 수행할 수 있어, 제공되는 서비스의 양적 및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거나 사람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로봇은 상기 공항뿐만 아니라 대형 쇼핑시설, 문화시설, 공공시설 등의 사회시설 전반에 걸쳐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93610호(2012.10.26.)에는 자율 주행이 가능한 교통안내 지능로봇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횡단보도 등에서 교통안내 지도를 위해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장애물을 회피하는 로봇이 개시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서비스의 질이 날로 높아짐에 따라, 상기 로봇은 점점 첨단화 및 고도화되고 있다. 그리고, 로봇이 점진적으로 경량화 및 소형화되는 추세에 맞춰, 상기 로봇 내부에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컴퓨터, 센서, 드라이버 등 각종 회로부품이 밀집 배치된다.
이 경우, 한정된 공간 내에 밀집된 전자부품들로부터 고온의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된 열은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열될 필요가 있다.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종래에는 로봇 내부 또는 외부에 히트 싱크(heat sink)와 같은 방열체를 설치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방열체를 설치하는 구조는 방열 효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고, 다수의 방열체를 설치함에 있어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로봇의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로봇의 외관이 매끄럽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따라 로봇 내부의 공기순환을 위한 틈이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방열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전자부품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방열체(히트싱크)를 설치하지 않고 공랭 방식에 의해 열원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 변경을 최소화하여 내부에 공기 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공기 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협소한 내부 공간에서 다수의 전자부품이 효율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안내 로봇의 관리를 위한 내부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상 일체적인 미감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디스플레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헤드케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헤드케이스가 결합되며, 내부에 전자부품과 냉각팬이 수용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휠과 모터가 위치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팬이 구동되면, 상기 헤드케이스의 하단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전자부품을 통과한 후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열원이 공랭방식에 의해 냉각되므로, 별도의 방열체(히트싱크)를 설치하지 않고도 열원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냉각팬이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미들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는, 상기 냉각팬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됨으로써, 상기 냉각팬에 의한 내부 공기순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자율 주행을 위한 라이더가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라이더의 동작을 위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케이스의 하단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각팬을 통과한 후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상기 냉각팬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냉각팬은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냉각팬은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냉각팬 중 하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안내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각각의 냉각팬의 회전 방향을 제어함에 따라 공기 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열원이 공랭방식에 의해 냉각되므로, 별도의 방열체(히트싱크)를 설치하지 않고도 열원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전자부품에 의한 화재가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로봇 내부의 방열을 위한 작업 공정이 간소화되고, 로봇 단가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로봇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냉각팬과, 미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개구가 중첩되도록 위치되므로, 상기 냉각팬에 의한 내부 공기순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전자부품을 급속히 냉각시킴으로써 방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로봇의 헤드케이스 하단부와 상부케이스 상단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냉각팬을 통과한 후 하부케이스 상단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래의 안내 로봇의 동작에 필요한 공간(틈)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 및 토출되므로, 별도의 공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흡입구 및 토출구가 필요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팬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것만으로도 공기 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전자부품들이 밀집된 영역을 집중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내 로봇의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안내 로봇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상부모듈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부모듈 내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베이스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5의 미들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5의 상부모듈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하부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하부모듈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하부모듈 내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의 내부 공기순환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의 내부 공기순환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로봇은 공항, 백화점 등 안내 로봇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길 안내, 상품안내, 공항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로봇은 정해진 주행 루트에 따라서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내 로봇의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은 상부모듈(10) 및 하부모듈(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10)은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모듈(20)은 주행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10)은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100), 헤드부(18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5),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카메라(16) 및 상기 상부케이스(15)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카메라(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15)는 하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카메라(16)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카메라(17)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측면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메라(16)는 3D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스테레오 카메라는 장애물 감지, 사용자 얼굴인식, 입체영상 획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상기 안내 로봇(1)은 자신의 이동방향에 따른 장애물을 감지하여 회피할 수 있으며,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를 인식하여 각종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카메라(17)는 슬램(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램 카메라는 특징점 매칭을 통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기초로 3차원 지도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이용하면 상기 안내 로봇(1)은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일측에 설치되는 RGBD(Red, Green, Blue, Distance) 센서(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GBD 센서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 중 장애물 사이의 충돌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RGBD 센서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하는 전방을 향하도록, 즉 상기 제 1 카메라(16)와 함께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사용자에게 공항 관련 정보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바디부(100)의 일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후방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방향을 정의하면, 상기 안내 로봇(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 1 카메라(16)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가 설치된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후술할 바디부(100)의 이동가이드부(14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부(140)의 가이드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바디부(100)의 내부를 개방 또는 차폐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부(100)에 결속됨으로써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사용자에게 안내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뒤따라오는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와 관련된 시각 정보(예: 공항 게이트 질의 정보, 길 안내 서비스 정보 등)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내 로봇(1)은 사용자에게 길을 안내하기 위하여 설정된 경로를 따라 먼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안내 로봇(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안내 로봇(1)의 후방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볼 수 있다. 즉, 상기 안내 로봇(1)이 길 안내를 위하여 주행 중이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안내 로봇(1)을 따라다니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서비스 정보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상기 헤드부(180)는 상기 바디부(10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헤드부(180)는 상기 바디부(100)의 상단에 연결되어 안내 로봇(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183),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헤드케이스(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83)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83)는 사물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물 인식 센서는 2D 카메라 및 RGB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D 카메라는 2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사람 또는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GBD 센서는 사람의 위치 또는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헤드케이스(185)는 상기 상부케이스(15)와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헤드케이스(185)는 후술할 회전 부재(182)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5)와는 이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헤드케이스(185)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상단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 배치되며, 이때 상기 헤드케이스(185)와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사이에는 좁은 틈의 공기유동홀(3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홀(33)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안내 로봇(1)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로써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유동홀(33)은 상기 안내 로봇(1)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의 공기와 공랭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로봇의 외관은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각 부품간의 틈을 최소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헤드케이스(185)의 회전을 위해서는 상기 헤드케이스(185)가 상기 상부케이스(15)와 이격 되어야 하며, 이때 상기 헤드케이스(185)와 상부케이스(15) 사이의 틈을, 내부 공기순환을 위한 공기유동홀(33)로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 로봇(1)의 내부 공기순환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헤드케이스(185)는 상기 상부케이스(15)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케이스(185)는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80)는 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신호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모듈(2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25) 및 조명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5)는 하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280)는 상기 하부케이스(25)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스(25)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모듈(20)은 항아리 형상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명부(280)는 안내 로봇(1)의 기능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20)은 상기 하부케이스(25)의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초음파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초음파 센서는 상기 하부 케이스(25)의 하단 둘레를 따라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과 상기 안내 로봇(1)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안내 로봇(1)과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은 서로 구조적으로 독립되도록 형성되므로 상호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모듈(10)의 하단과 상기 하부모듈(20)의 상단은 서로의 하드웨어적 및 소프트웨어적 연결을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후술할 메인 전원스위치(271), 입력어셈블리(270), 연결가이드(262) 등은 상기 상부모듈(10)의 하단과 상기 하부모듈(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모듈(10)의 하단과 상기 상부모듈(10)의 상단은, 상기 안내 로봇(1)의 분리 또는 결합을 위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곳이므로, 모듈의 분리 또는 결합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도 3은 도 1의 안내 로봇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상세히, 도 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가 제거된 상기 상부모듈(10)의 후방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케이스(10)는 서브케이스(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15)는, 상기 하부모듈(20)에 구비되는 메인 전원스위치(271)와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플러그(272)의 작업자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단의 일부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내측으로 메인 전원스위치(271)와 전원플러그(272)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연결개구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연결개구를 하방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개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개폐 또는 결합과 해체를 통하여, 상기 상부모듈(10)의 내부 구성으로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5)에 형성되는 개구를 의미한다. 일례로, 작업자는 이동가이드부(140)에 의하여 상기 바디부(1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170)를 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연결개구를 통해 상부모듈(10) 내부의 구성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브케이스(18)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5)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케이스(18)는 상기 상부케이스(15)와 회전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힌지는 상기 서브케이스(18)의 양측 모서리의 중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5)와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회전 힌지에 의하여, 상기 서브케이스(18)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5)의 양측단 중심부를 지지점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힌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서브케이스(18)의 회동을 일정 각도의 범위 내로 구속할 수 있으며, 가압 후 원위치로의 복귀가 가능하다. 일례로, 작업자는 상기 서브케이스(18)의 상부를 상부모듈(10)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작업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서브케이스(18)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모듈(10)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며 이동하게 되고, 상기 서브케이스(18)의 하단부는 상기 상부모듈(1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며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서브케이스(18)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271) 또는 전원플러그(27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271)를 온/오프 시키거나 전원플러그(272)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자의 가압이 끝나면, 상기 서브케이스(18)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개구부를 다시 차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개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는 서브케이스(18)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메인 전원스위치(271), 전원플러그(272)의 연결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상기 바디부(100)로부터 분리하거나 인출시킬 필요가 없이, 상기 서브케이스(18)를 열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작업을 위한 접근이 단순해지고 쉬워지며, 관리가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로봇(1)의 동작시, 상기 서브케이스(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가려질 수 있어 미관상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25)는 제 1 절개부(31) 및 제 2 절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개부(31)는 상기 하부케이스(25)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개부(31)는 후술할 전방 라이더(233)가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25)에서 절개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 1 절개부(31)는 상기 상부모듈(10)과 상기 하부모듈(20)의 결합 또는 분리 시에 상기 상부모듈(10)을 하단에서 지지할 수 있는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라이더(233)는 상기 하부케이스(25)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개부(31)는 상기 전방 라이더(233)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하부케이스(25)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라이더(233)는 상기 제 1 절개부(3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개부(32)는 상기 하부케이스(25)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개부(32)는 후술할 후방 라이더(234)가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25)에서 절개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절개부(32)는 상기 하부케이스(25)의 후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라이더(234)는 상기 후방케이스(25)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절개부(32)는 상기 후방 라이더(234)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하부케이스(25)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라이더(234)는 상기 제 2 절개부(3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개부(31)는 상기 제 2 절개부(32)와 연결되지 않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절개부(31)는 상기 제 2 절개부(32)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상부모듈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부모듈 내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베이스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미들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5의 상부모듈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상세히, 도 9는 탑플레이트(130)가 제거된 상부모듈(10)의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부모듈(1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100)는 상부모듈(10)의 저면을 제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방에 위치하는 미들플레이트(120) 및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상방에 위치하는 탑플레이트(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미들플레이트(120)를 연결하는 서브프레임(105) 및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와 상기 탑플레이트(130)를 연결하는 메인프레임(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상부모듈(10)의 베이스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중심부가 개구된 삽입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구(112)는 후술할 하부모듈(20)의 입력어셈블리(270)가 하방에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입력어셈블리(270)를 통해 작업자는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간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한 코드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20)보다 큰 외둘레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들플레이트(120)는 상기 탑플레이트(130)보다 큰 외둘레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스(15)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미들플레이트(120) 및 탑플레이트(130)와 결합하는 경우 하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하부모듈(20)에 안착되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모듈(20)과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부모듈(20)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06)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후술할 하부모듈(20)의 연결플레이트(261)를 결합해 줄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서브프레임(105)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수직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프레임(105)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105)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프레임(105)은 제 1 서브프레임(105a), 제 2 서브프레임(105b), 제 3 서브프레임(105c) 및 제 4 서브프레임(105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서브프레임(105a,105b,105c,105d)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서브프레임은, 상측은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에 결합되며 하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105a) 및 제 4 서브프레임(105d)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105b) 및 제 3 서브프레임(105c)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하면은 상기 서브프레임(105)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상면은 상기 메인프레임(125)과 결합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수직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25)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프레임(125)은 제 1 메인프레임(125a) 및 제 2 메인프레임(125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인프레임(125a) 및 제 2 메인프레임(125b)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인프레임(125a) 및 상기 제 2 메인프레임(125b)의 전면에는 피씨서포터(12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씨서포터(126)는 후술할 메인PC(127)를 고정 지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메인프레임(125a)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170)의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140)는, 상기 제 1 메인프레임(125a)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모듈(10)의 내부구성을 수리, 교체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상술한 연결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연결개구를 통해 수리,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25)의 상단에는 상기 탑플레이트(1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는 하부모듈(20)과 연동되어 안내 로봇(1)의 주행기능을 보완해줄 수 있는 절벽감지센서(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벽감지센서(101)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이동하는 주행 면의 단차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연동되어, 상기 안내 로봇(1)은 주행 중 절벽을 감지하거나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에 정지 또는 회피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는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 맞춰 유아이(UI)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메인PC(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PC(127)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PC(127)는 상기 피씨서포터(126)에 결합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PC(127)는 상기 피씨서포터(126)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PC(127)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 맞춰 셋팅(setting)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PC(127)는 서비스 환경에 따라 그 설정을 달리하여 각각의 서비스 환경에 맞춘 안내 로봇(1)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PC(127)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안내 로봇(1)의 동작 환경과 서비스 제공을 발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PC(127)에서 방출된 열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구비되는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은 상부모듈(10)의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는 메인보드(121), 유저 인터페이스 보드 및 스테레오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121)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121)는 상기 메인PC(127)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PC(127)의 안정적인 구동과 각종 제어장치들 간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보드는 사용자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 보드는 각종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센싱 데이터를 처리 및 가공하여 상기 안내 로봇(1)의 위치 인식과 장애물 인식을 위한 데이터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부모듈(10)과 외부기기 또는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의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기기(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기기(122)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기기(122)는 IP공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180)는 리더기(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181)는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181)는 사용자의 여권, 항공권, 모바일 바코드 등을 스캔 또는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더기(181)를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리더기(181)에 모바일 기기를 삽입하여, 모바일 탑승권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모바일 탑승권을 통해 얻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동해야 할 탑승구를 표시하고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80)는 회전 부재(182) 및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82)는 상기 회전 모터와 상방으로 연결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18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헤드케이스(185)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18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케이스(185)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회전 부재(18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상부모듈(10)의 구성을 최하단에서 고정 지지해주며, 상기 하부모듈(20)에 안착되어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의 안정적인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전방의 반원 둘레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절벽홈(1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벽감지센서(101)는 상기 안내 로봇(101)이 주행하는 주행 바닥면을 감지해야 하므로 감지 신호의 송출방향이 경사진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 최전방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절벽감지센서(101)의 감지신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반사에 의한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감지신호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절벽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절벽홈(111)은 상기 절벽감지센서(101)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어 하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심부에는, 삽입구(112)가 형성되어 후술할 하부모듈(20)의 입력어셈블리(270)가 삽입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삽입구(112)를 중심으로 일측 전방과 타측 전방에 각각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이 설치되는 제 1 냉각팬장착구(113a) 및 제 2 냉각팬장착구(113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서프프레임(105)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체결되는 서브프레임결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결합홈(115)은 제 1 내지 제 4 서브프레임결합홈(115a,115b,115c,115d)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서브프레임결합홈(115a,115b,115c,115d)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서브프레임(105a,105b,105c,105d)의 각 하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후술할 하부모듈(20)의 가압링크(265,266)가 접촉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을 단단히 가압하도록 제공되는 제 1 가압홈(114a) 및 제 2 가압홈(11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압홈(114a) 및 제 2 가압홈(114b)은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하방으로 파여진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후술할 하부모듈(20)의 연결가이드(262)가 하방으로부터 삽입 관통하여 고정을 이루는 제 1 가이드홀(118a) 및 제 2 가이드홀(118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후술할 하부모듈(20)의 연결가이드(262)를 후방에서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 1 가이드홈(119a) 및 제 2 가이드홈(119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이드홀(118a) 및 제 2 가이드홀(118b)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위치하며, 동일한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홀(118a) 및 제 2 가이드홀(118b)은, 후술할 제 1 연결가이드(262a) 및 제 4 연결가이드(262d)가 삽입 관통되는 지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상부모듈(10)은 안정적으로 상기 하부모듈(20)에 안착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홈(119a) 및 제 2 가이드홈(119b)은, 상기 제 1 가이드홀(118a) 및 제 2 가이드홀(118b)의 후방에 각각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홈(119a) 및 제 2 가이드홈(119b)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어 후방이 개구되는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홈(119a) 및 제 2 가이드홈(119b)은 후술할 제 2 연결가이드(262b) 및 제 3 연결가이드(262c)가 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되므로, 상기 상부모듈(10)이 안정적으로 상기 하부모듈(20)과 결합을 이루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하부모듈(2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106)가 삽입되는 체결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16)은 상기 삽입구(112)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116)은 상기 체결부재(106)에 따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홀(116)은 제 1 체결홀(116a)과 제 2 체결홀(116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106)는 제 1 체결부재(106a)와 제 2 체결부재(10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홀(116a)은 상기 제 1 체결부재(106a)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모듈(20)과 체결을 이루며, 상기 제 2 체결홀(116b)은 상기 제 2 체결부재(106b)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모듈(20)과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들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탑플레이트(130)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미드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드플레이트(120)의 외주면은 상기 상부케이스(150)의 내주면 일부에 접촉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외측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상부케이스(15)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지지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일부가 찌그러지거나 내측으로 함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플레이트(120)는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보다 큰 외둘레를 가지며, 상기 탑플레이트(130)보다 작은 외둘레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120)는 앞서 설명된 메인보드(121) 및 통신기기(122)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면을 제공한다. 즉,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전방에는 상기 통신기기(12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측방에는 상기 메인보드(12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에는 상기 서브프레임(105)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체결되는 서브프레임결합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결합홀(123)은 제 1 내지 제 4 서브프레임결합홀(123a,123b,123c,123d)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서브프레임결합홀(123a,123b,123c,123d)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서브프레임(105a,105b,105c,105d)의 각 상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지점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드플레이트(120)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25)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체결되는 메인프레임결합홈(1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결합홈(124)은 제 1 메인프레임결합홈(124a) 및 제 2 메인프레임결합홈(124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메인프레임결합홈(124a) 및 제 2 메인프레임결합홈(124b)은 상기 제 1 메인프레임(125a) 및 제 2 메인프레임(125b)의 각 하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미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드플레이트(120)에는 다수의 개구(128)가 더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개구(128)는 상기 미드플레이트(120)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그 일부는 상기 안내 로봇(1)의 내부에 포함된 전자부품을 식히기 위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개구(128)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 1 내지 제 4 개구(128a,128b,128c,128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128a) 및 제 4 개구(128d)는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위치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구(128b) 및 제 3 개구(128c)는 마찬가지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위치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개구(128b) 및 제 3 개구(128c)는 상기 제 1 개구(128a) 및 제 4 개구(128d)의 후방에 각각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내지 제 4 개구(128a,128b,128c,128d)는 상기 미드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 로봇(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개구(128a,128b,128c,128d)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통과하며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 로봇(1)의 내부공기는,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에 의해 강제 순환하면서, 상기 안내 로봇(1)의 내부에 배치된 전자부품과 열교환하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에 의해 상기 안내 로봇(1)의 외부로 토출되는 일련의 순환 과정을 반복한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상단에 위치된 공기유동홀(33)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며, 하방으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개구된 하단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개구(128a,128b,128c,128d) 중 일부는, 상기 제 1 냉각팬(103a) 또는/및 제 2 냉각팬(103b)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개구(128a) 및 제 4 개구(128d)는 각각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과 높이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는, 상기 제 1 개구(128a) 및 제 4 개구(128d)는 각각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기유동홀(33)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에 의해 상부모듈(10)의 내부를 신속하게 순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전자부품에 대한 방열 기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개구(128)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 5 개구(128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 개구(128e)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5 개구(128e)는 상기 입력어셈블리(270)와 높이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는, 상기 제 5 개구(128e)는 상기 입력어셈블리(270)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홀(33)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5 개구(128e)를 통해 상기 입력어셈블리(270) 측으로 신속히 이동될 수 있으므로, 입력어셈블리(270)에서 방출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식힐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개구(128)는 제 6 개구(128f) 및 제 7 개구(128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6 개구(128f) 및 제 7 개구(128g)는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로서 활용되지 않고, 각종 전자부품(예: 메인보드(121))이 놓여짐으로써 차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부모듈(2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하부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하부모듈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하부모듈 내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모듈(20)은, 구동부(200), 주행부(210) 및 연결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모듈(20)은 외관의 상측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케이스(25)의 상단과 연결부(260) 사이의 개방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케이스(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모듈(10)은 안내 로봇(1)의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유저인터페이스(UI)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부모듈(20)은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서도 변경 가능성이 적은 주행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안내 로봇(1)의 공용 기능인 주행기능을 위하여, 상기 하부모듈(20)은 바퀴, 휠, 모터 등을 구비하는 주행부(210), 상기 주행부(21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 등을 구비하는 구동부(200) 및 상기 상부모듈(10)과 안정적이고 단단한 결합을 이루기 위한 연결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안내 로봇이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서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주행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내 로봇(1)의 공용 기능을 주행의 관점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하부모듈(20)의 베이스 면을 형성하는 로우플레이트(203),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에 안착되는 배터리(201), 상기 배터리(201)의 상방에 위치하는 어퍼플레이트(205) 및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와 어퍼플레이트(205)를 연결해주는 하부프레임(2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우플레이트(203)는 하부모듈(2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플레이트(203)는 주행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로우플레이트(203)는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04)은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끝 단부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프레임(204)은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꼭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04)은 제 1 하부프레임(204a), 제 2 하부프레임(204b), 제 3 하부프레임(204c) 및 제 4 하부프레임(204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프레임(204)은, 사각 형상을 가진 로우플레이트(203)의 4개 꼭지점이 위치하는 각각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프레임(204)의 상측에 연결되는 어퍼플레이트(205)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04)은, 상기 로우플레이트(203) 및 어퍼플레이트(206)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프레임(204)은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상면과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204)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육면체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중심부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홀에는 후술할 전장플레이트(243)가 구비되어 복수의 전자부품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플레이트(205)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어퍼플레이트(205)는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크기는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204)과 상기 로우플레이트(203)가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하부프레임(204)과 상기 어퍼플레이트(205)가 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크기는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하면은 상기 하부프레임(204)와 연결되며 상면은 후술할 상부프레임(245)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우플레이트(203), 하부프레임(204) 및 어퍼플레이트(205)는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와 어퍼플레이트(205) 사이의 내부 공간은 설치공간(206)이라 이름한다. 상기 설치공간(206)은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배터리(201)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01)는 리튬-이온 배터리(Li-Ion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배터리(201)는 리튬-이온 배터리 이외의 다른 종류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01)는 상기 안내 로봇(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201)는 상기 설치공간(206)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01)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전체 무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 무게중심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연결부(260)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245),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전장플레이트(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플레이트(243)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장플레이트(243)는 상하방향으로 다단의 층을 이루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전장플레이트(243)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다수의 층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층을 전장공간(246)이라 이름한다.
상기 전장공간(246)에는 다수의 전자부품들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들은 상기 전장플레이트(243)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장공간(246)에는 다수의 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드는, AP 보드(Application Processor), MCU 보드(Micro Controller Unit), 전원 보드, PCB 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보드는 상기 안내 로봇(1)의 하드웨어 모듈 시스템을 관리하는 장치, 즉, 제어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MCU 보드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로봇(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보드는 상기 배터리(201)의 전원이 상기 안내 로봇(1)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에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45)은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45)은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외둘레와 중심 홀이 이루는 내둘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상부프레임(245)은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상면에서 상기 전장플레이트(243)의 외측으로 가상의 삼각형이 그려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의 삼각형 꼭지점에 각각 상부프레임(235)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245)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260)를 3점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프레임(245)은 상기 전장플레이트(243)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상부프레임(245a), 상기 전장플레이트(243)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제 2 상부프레임(245b) 및 제 3 상부프레임(24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프레임(245)의 상측에는 상기 연결부(260)의 연결플레이트(26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45)은,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245)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육면체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245)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상부모듈(10)과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연결부(260)를 고정 지지하므로, 상기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의 결합 시 안정적인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하부프레임(204)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26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상측에 위치하는 블록(240), 상기 블록(240)의 상측에 위치하는 하중센서(241) 및 상기 하중센서(24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접촉링(2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240)은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꼭지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240)은 상기 상부프레임(245)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록(240)의 상측에는 하중센서(24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240)은 상기 하중센서(241) 및 접촉링(242)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중센서(241)는 접촉링(242)과 연결되어 상기 접촉링(242)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한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240)은 상기 하중센서(24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센서(241)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꼭지점과 대응되도록 제 1 하중센서(241a), 제 2 하중센서(241b), 제 3 하중센서(241c) 및 제 4 하중센서(241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240)은, 상기 제 1 하중센서(241a)의 내측 끝단에 하방으로 연결되는 제 1 블록(240a), 상기 제 2 하중센서(241b)의 내측 끝단에 하방으로 연결되는 제 2 블록(240b), 상기 제 3 하중센서(241c)의 내측 끝단에 하방으로 연결되는 제 3 블록(240c) 및 상기 제 4 하중센서(241d)의 내측 끝단에 하방으로 연결되는 제 4 블록(240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중센서(241)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05)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중센서(241)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중센서(241)의 외측 끝단을 따라 접촉링(24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링(242)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중센서(241)의 상단부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안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촉링(242)은 상기 블록(240)의 상방에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촉링(242)은 내부가 비어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링(242)의 외경은 상기 접촉링(242)의 내부에 상기 어퍼플레이트(205)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링(242)은 상기 하부케이스(25)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모듈(20)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하부모듈(20)의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하중센서(241) 및 접촉링(242)은 상기 하부모듈(20)의 충돌을 감지하여 주행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히, 상기 하부모듈(20)의 충돌 시 상기 접촉링(242)은 상기 하부케이스(25)에 의해 전달받은 충격으로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링(242)은 모멘텀(Momentum)이 발생되며, 상기 하중센서(241)는 상기 모멘텀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하중센서(241)의 신호를 전달받아 주행부(210)의 구름 운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안내 로봇(1)의 주행에 의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로우플레이트(203)는 주행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행부(210)는, 하부모듈(20)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메인바퀴(211), 보조바퀴(212) 및 서스펜션(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미도시)은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양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양 측단부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스펜션은 외측으로 메인바퀴(21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퀴(211)는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양 측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바퀴(211)는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하면에 위치하는 모터어셈블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는 상기 배터리(201)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회전함으로써 상기 메인바퀴(21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퀴(211)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모듈(20)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퀴(211)는 상기 서스펜션과 연결되어 상기 서스펜션의 외측으로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212)는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조바퀴(212)는,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하방으로 연결되는 보조바퀴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21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보조바퀴(212)는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하면의 전후 방향에서 안정적으로 하부모듈(2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바퀴(212)는 상기 하부모듈(20)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모듈(20)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212)는 주행 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메인바퀴(211)에 종속되어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바퀴(212)는 독립적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외력이나 메인바퀴(211)의 회전에 종속되어 구름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212)는 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모듈(20)은 전방 라이더(233) 및 후방 라이더(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라이더(233) 및 후방 라이더(234)는 레이저 레이더로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에어로졸에 의해 흡수 혹은 산란된 빛 중 후방 산란된 빛을 수집, 분석하여 위치 인식을 수행하는 센서이다.
상기 전방 라이더(233)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상면에 안내 로봇(1)의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방 라이더(233)는 상기 어퍼플레이트(205)의 전단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라이더(233)는 상기 제 1 절개부(3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방 라이더(234)는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상면에 안내 로봇(1)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후방 라이더(234)는 상기 로우플레이트(203)의 후단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라이더(234)는 상기 제 2 절개부(3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라이더(233)는 상기 후방 라이더(234)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상부모듈의 내부 공기순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의 내부 공기유동(A)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모듈(10)의 내부 공기유동(A)은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은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이 구동하면, 상기 헤드케이스(185)의 하단부와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동홀(33)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의 구동에 의한 강제대류(forced convection)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하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에 배치된 메인PC(127), 메인보드(121), 통신기기(122) 등을 통과하면서, 상기 메인PC(127), 메인보드(121), 통신기기(122)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들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미들플레이트(120)를 통과한 후, 상기 하부케이스(25)의 상단에 형성된 제 1 절개부(31)를 통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제 1 개구(128a) 및 제 4 개구(128d)는 각각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과 높이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스(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상부모듈(10) 내부를 신속하게 순환할 수 있으므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전자부품에 대한 신속한 냉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의 내부 공기유동(B)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10)의 내부 공기유동(B)은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면, 상기 하부케이스(25)의 상단에 형성된 제 1 절개부(31)의 일측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2개의 냉각팬 중 하나의 냉각팬은 흡입 유로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냉각팬은 토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냉각팬(103b)은 외부 공기가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안내하고, 제 1 냉각팬(103a)은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제 2 냉각팬(103b)에 인접한 제 1 절개부(31)의 일측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에 배치된 메인PC(127), 메인보드(121), 통신기기(122) 등을 통과하면서, 상기 메인PC(127), 메인보드(121), 통신기기(122)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들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제 1 냉각팬(103a)을 통하여 상기 제 1 절개부(31)의 타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냉각팬(103b)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미드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제 3 개구(128c) 및 제 4 개구(128d)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개구(128c) 및 제 4 개구(128d)를 통과한 공기는, 연속하여 상기 미드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제 1 개구(128a) 및 제 2 개구(128b)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냉각팬(103b)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미드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를 통해, 유동 방향이 전환되므로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에 배치된 전자부품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제 1 개구(128a) 및 제 4 개구(128d)는 각각 제 1 냉각팬(103a) 및 제 2 냉각팬(103b)과 높이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5)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스(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상부모듈(10) 내부를 신속하게 순환할 수 있으므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전자부품에 대한 신속한 냉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팬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것만으로도 공기 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전자부품이 밀집된 영역을 집중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냉각팬(103b)이 공기의 흡입 유로를 형성하고, 제 1 냉각팬(103a)이 공기의 토출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 1 냉각팬(103a)이 공기의 흡입 유로를 형성하고, 제 2 냉각팬(103b)이 공기의 토출 유로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3)

  1. 디스플레이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헤드케이스;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헤드케이스가 결합되며, 내부에 전자부품과 냉각팬이 수용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휠과 모터가 위치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이 구동되면, 상기 헤드케이스의 하단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전자부품을 통과한 후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냉각팬이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미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안내 로봇.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냉각팬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안내 로봇.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자율 주행을 위한 라이더가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라이더의 동작을 위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안내 로봇.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케이스의 하단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각팬을 통과한 후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안내 로봇.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안내 로봇.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냉각팬은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한 안내 로봇.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냉각팬은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안내 로봇.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냉각팬 중 하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안내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로봇.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안내 로봇.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미들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서브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안내 로봇.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헤드케이스를 지지하는 탑플레이트; 및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메인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안내 로봇.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피씨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씨서포터는, 메인PC를 고정 지지하는 안내 로봇.
KR1020170085453A 2017-07-05 2017-07-05 안내 로봇 KR10204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453A KR102041435B1 (ko) 2017-07-05 2017-07-05 안내 로봇
PCT/KR2018/007201 WO2019009555A1 (ko) 2017-07-05 2018-06-26 안내 로봇
US16/499,461 US10834845B2 (en) 2017-07-05 2018-06-26 Guide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453A KR102041435B1 (ko) 2017-07-05 2017-07-05 안내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987A true KR20190004987A (ko) 2019-01-15
KR102041435B1 KR102041435B1 (ko) 2019-11-06

Family

ID=6495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453A KR102041435B1 (ko) 2017-07-05 2017-07-05 안내 로봇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34845B2 (ko)
KR (1) KR102041435B1 (ko)
WO (1) WO201900955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928A (ko) 2019-03-08 201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WO2020179949A1 (ko) * 2019-03-06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WO2020241425A1 (ja) * 2019-05-31 2020-12-03 ソニー株式会社 ロボット装置
KR102519599B1 (ko) * 2021-10-29 2023-04-11 주식회사 서큘러스 멀티모달 기반의 인터랙션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6441A (zh) * 2019-09-24 2019-12-17 深圳市大愚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避障功能的智能移动机器人
CN111098336B (zh) * 2019-12-02 2021-08-10 中国计量大学 一种用于检测机械臂碰撞的装置
CN111880588B (zh) * 2020-08-19 2021-03-23 马鞍山聚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双轮恒温送餐机器人的温度调节装置
CN112192588A (zh) * 2020-11-18 2021-01-08 湖南智能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行为观察功能的儿童看护智能机器人
JP2022144480A (ja) 2021-03-19 2022-10-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
CN113263492A (zh) * 2021-05-21 2021-08-17 深圳市华鑫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智能温控感应机构
WO2023273833A1 (zh) * 2021-06-30 2023-01-05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底板、排水结构及机器人
CN115771166B (zh) * 2022-12-28 2024-01-12 河北雄安雄扬科技有限公司 一种壳体易拆装的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8637A (ko) * 2008-06-11 2009-12-16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조립식 교육용 로봇
KR20100056797A (ko) * 2008-11-20 201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20140251702A1 (en) * 2010-04-09 2014-09-11 Willow Garage, Inc. Humanoid robotics system and methods
KR20170056718A (ko) * 2015-11-13 2017-05-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술로봇의 베이스 내부 공냉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329U (ko) * 1999-03-17 2000-10-16 차승식 일체형 에어컨의 응축팬
JP2006167834A (ja) * 2004-12-14 2006-06-29 Honda Motor Co Ltd 人間型ロボットの冷却構造
US9440356B2 (en) * 2012-12-21 2016-09-13 Crosswing Inc. Customizable robotic system
CN202511816U (zh) * 2012-02-11 2012-10-31 陶重犇 一种全景摄像头的移动机器人传感器实验平台
KR101193610B1 (ko) 2012-04-24 2012-10-2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횡단보도 교통안내 지능로봇 시스템
US9796093B2 (en) 2014-10-24 2017-10-24 Fellow, Inc. Customer service robo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8637A (ko) * 2008-06-11 2009-12-16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조립식 교육용 로봇
KR20100056797A (ko) * 2008-11-20 201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20140251702A1 (en) * 2010-04-09 2014-09-11 Willow Garage, Inc. Humanoid robotics system and methods
KR20170056718A (ko) * 2015-11-13 2017-05-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술로봇의 베이스 내부 공냉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949A1 (ko) * 2019-03-06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KR20190101928A (ko) 2019-03-08 201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WO2020241425A1 (ja) * 2019-05-31 2020-12-03 ソニー株式会社 ロボット装置
KR102519599B1 (ko) * 2021-10-29 2023-04-11 주식회사 서큘러스 멀티모달 기반의 인터랙션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435B1 (ko) 2019-11-06
WO2019009555A1 (ko) 2019-01-10
US10834845B2 (en) 2020-11-10
US20200029461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435B1 (ko) 안내 로봇
EP3639986B1 (en)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KR102021950B1 (ko) 안내 로봇
US11498204B2 (en) Robot
EP3563979B1 (en) Guide robot
KR1025844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7173B1 (ko) 안내 로봇
US11284765B2 (en) Robot
KR102648103B1 (ko) 안내 로봇
EP3338964B1 (en) Guide robot
US11590646B2 (en) Robot
KR102660834B1 (ko) 안내 로봇
US11554484B2 (en) Robot
KR20210070825A (ko) 로봇
KR20190004986A (ko) 안내 로봇
KR20190004959A (ko) 안내 로봇
KR20180074394A (ko) 안내 로봇
US11281015B2 (en) Electronic device
CN107484393B (zh) 基座结构
Dourado et al. Embedded Naviga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for Assisting Visually Impaired People.
CN217279406U (zh) 一种边缘计算设备
KR102021948B1 (ko) 안내 로봇
CN216351600U (zh) 智能眼镜
KR20240038675A (ko) 로봇이 인식 가능한 패턴을 생성하는 패턴 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