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44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447A
KR20190004447A KR1020170084687A KR20170084687A KR20190004447A KR 20190004447 A KR20190004447 A KR 20190004447A KR 1020170084687 A KR1020170084687 A KR 1020170084687A KR 20170084687 A KR20170084687 A KR 20170084687A KR 20190004447 A KR20190004447 A KR 20190004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ub
filter
washing water
sub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847B1 (ko
Inventor
김근주
정재용
채애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847B1/ko
Priority to PCT/KR2018/007565 priority patent/WO2019009609A1/ko
Priority to CN201880035891.0A priority patent/CN110691874B/zh
Priority to AU2018296950A priority patent/AU2018296950B2/en
Priority to CN202111395157.5A priority patent/CN113981649B/zh
Priority to US16/611,096 priority patent/US11505888B2/en
Publication of KR2019000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드럼의 내부에 서브드럼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서브드럼 내부에서의 세탁이 메인드럼에서의 세탁과 분리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서브드럼에 구비되며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서브드럼의 측벽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서브드럼 외부로 배출홀이 구비되는 배출부 및 배출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승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드럼의 내부에 서브드럼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서브드럼 내부에서의 세탁이 메인드럼에서의 세탁과 분리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및 건조와 세탁을 함께 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캐비닛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과,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프론트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 및 세탁물의 낙하 충격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드럼 세탁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드럼 세탁 방식은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탑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내부에 드럼이 구비되고, 드럼 내부에 공급된 세탁수에 세탁물이 잠긴 상태에서 세탁이 이루어지는 펄세이터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펄세이터 방식은 드럼의 회전이나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과 세제의 작용으로 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길 정도로 세탁수가 공급되어야만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세탁수가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드럼에서 세탁물의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의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 적어도 두 번의 세탁과정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는 횟수가 많아져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바디에 두 개의 드럼이 구비되는 세탁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드럼과 작은 용량의 드럼이 하나의 세탁기에 구비될 뿐만 아니라 큰 용량의 드럼과 작은 용량의 드럼을 통한 세탁 과정 전체가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의 드럼이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드럼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장치의 경우 제품 가격이 상승할 수 밖에 없으며, 두 개의 드럼이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므로 제품 자체의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세탁장치가 설치되는 공간보다 더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소형 드럼이 대형 드럼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소형 드럼 사용 시 사용자가 과도하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소형 드럼이 대형 드럼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신장이 작은 사용자가 소형 드럼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하나의 세탁기에서 개별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드럼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드럼을 갖는 의류처리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선행발명의 서브드럼은 용량이 작고 와류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가 곤란하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와류 발생 빈도가 메인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서브드럼에 의한 세탁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과 메인드럼 간에 결합하는 부분이 비교적 좁은 부분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그 정확한 위치에 서브드럼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은 탈수행정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속 회전 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진동하므로 메인드럼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에 각각 급수하는 경우, 메인드럼에 급수하는 급수장치와 서브드럼에 급수하는 급수장치가 별도로 요구되어 의류처리장치의 부피가 증가하고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에 의한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에서 간이 탈수를 포함한 탈수 과정 중 세탁수가 메인드럼의 내부로 배출된다. 즉, 선행발명에서는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에서의 세탁 과정이 실질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선행발명에서는 서브드럼의 급수와 메인드럼의 급수가 모두 서브드럼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서브드럼에 공급된 세제가 메인드럼으로 공급되어 서브드럼에서의 세탁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인드럼으로 과도한 세제가 공급되므로, 서브드럼과 메인드럼에서 적정 세제량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은 크기가 작아 세탁과정에서 발생되는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제거장치가 별도로 구비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염 정도가 심한 소 용량의 걸레를 서브드럼에서 세탁을 수행하고 대용량의 아기 옷을 메인드럼에서 세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세탁수가 오염이 심한 걸레를 적신 후 메인드럼으로 유입된다. 마찬가지로 서브드럼에서 배출되는 세탁수는 먼저 메인드럼으로 유입된 후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 형태는 메인드럼에서 높은 정도의 청결도가 요구되는 세탁물을 세탁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감성상 허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서브드럼과 메인드럼 사이의 급수, 세탁 그리고 배수가 실질적으로 분리되지 않음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선행발명에서는 메인드럼에 양말과 같은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이 여의치 않다. 왜냐하면 메인드럼의 투입구를 서브드럼이 막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메인드럼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메인드럼의 세탁과 서브드럼의 세탁을 분리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세탁수의 급수와 배수가 실질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을 통해서도 충분한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뿐만 아니라 메인드럼에도 용이하게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메인드럼으로 유입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세탁 과정에서는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되지 않고 탈수 과정에서만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배수 펌프와 같이 별도의 구동 수단이 서브드럼과 연결되지 않고도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서브드럼 내부에서 발생하는 린트를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를 상기 서브드럼 외부로 배출홀이 구비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승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부는 여과된 세탁수가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홀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서브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가 여과되도록 상기 서브드럼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에서 상기 배출부보다 상기 서브드럼의 중심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승하는 세탁수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에서 상기 서브드럼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어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서브드럼의 중심부를 향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제박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세제박스에 고정되어 상기 세제박스와 함께 상기 서브드럼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드럼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 및 상기 서브드럼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부와 교대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결합부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을 상기 드럼과 분리하여 수행하는 서브드럼;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승하는 세탁수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및 상기 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 필터부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바디; 상기 유로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바디로 유입시키는 유입구; 상기 바디로 유입된 세탁수를 여과하여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는 필터; 및 상기 바디로 유입된 세탁수 중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되지 않은 세탁수를 상기 유로부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세탁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필터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필터가 고정되며, 상기 서브드럼의 내측을 향하는 전면패널; 및 유로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상기 서브드럼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하단부에 상기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단부에 상기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는 내부에 세탁수의 이동경로가 구비되는 유로바디; 상기 유로바디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드럼의 세탁수를 유입하는 하부개구부; 상기 유로바디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상부개구부; 및 상기 필터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개구부는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는 상기 서브드럼 내부에 수류가 형성되도록 상기 서브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드럼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 및 상기 서브드럼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부와 교대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원거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수류와 충돌하도록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리브; 및 상기 가이드리브에 충돌하는 세탁수를 여과하도록 상기 가이드리브에 구비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 필터부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서브드럼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바디연통홀; 및 상기 바디연통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리브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횡단면은 상기 가이드리브의 측벽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수류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바디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연통홀은 바디경사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세탁수로부터 더 작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와류발생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해 서브드럼의 내부에서 와류를 충분히 발생시켜 세탁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돌기와 돌기를 수용하는 홈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상당히 넓게 분포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서브드럼을 메인드럼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브드럼의 고속 회전 시 서브드럼이 메인드럼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급수장치에 의해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으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수류 발생 시 린트를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브드럼의 고속 회전에 의한 탈수 시 세탁수를 메인드럼의 외부로 배출하여 메인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추가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메인드럼의 세탁과 서브드럼의 세탁을 분리하여 진행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럼에 장착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서브커버의 하면에 구비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각각 도시된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서브드럼의 내주면에 구비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도시된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서브드럼의 내주면에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서 도시된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용소를 다른 구성용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10), 캐비닛(10)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미도시),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20), 터브(2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후술하는 드럼(30)과 펄세이터(3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4), 구동부(14)에 연결되어 구동부(14)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30), 드럼(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부(14)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펼세이터(35),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드럼(30)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5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모터가 직접 회전축(17)과 연결되어 드럼(30)을 구동하는 직결식 구동 구조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의 드럼(30)은 드럼(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한 서브드럼(50)과 대응되도록 메인드럼(30)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1)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는 캐비닛(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도어(미도시)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드럼(30) 및 서브드럼(50)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드럼(30) 및 서브드럼(50)의 내부로부터 세탁물을 빼낼 수 있다.
한편, 드럼(30) 및 서브드럼(50)으로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급수하도록 급수부(18)가 캐비닛 커버(11)에 구비된다. 급수부(18)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세탁수를 후술하게 될 서브드럼(5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터브(20)의 내부를 통해 드럼(30)으로 급수하거나 서브드럼(50)으로 급수한다.
여기서의 세탁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세탁수뿐만 아니라 헹굼행정을 위한 헹굼수를 포함한다.
터브(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채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터브(20)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터브커버(21)를 포함한다.
터브커버(21)는 드럼(30) 및 서브드럼(50)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캐비닛(10)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다. 세탁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30)이 회전하면, 터브커버(21)는 드럼(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터브(20)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하면서 상승한 세탁수를 드럼(30)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시켜 드럼(30)의 내부로 낙하시키도록 가이드한다.
터브(20)는 하부면이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터브(20)는 하부면이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직접 지지되므로 자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터브(20)는 드럼(30)과 달리 구동부(14)로부터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스프링(24)과 댐퍼(23)가 터브(20)의 하부면에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24)과 댐퍼(23)는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댐퍼(23)는 터브(20)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스프링(24)은 터브(20)의 상부면에 연결되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터브(20)의 하부면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연결된다. 배수장치는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1), 일단이 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12) 및 일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비닛(10) 일측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부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수관(13)을 포함한다. 제1 배수관(12)은 터브(20)의 진동이 배수펌프(11)에 전달되지 않도록 밸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4)는 로터(15)와 스테이터(16)로 이루어진 모터와 로터(15)에 연결되는 회전축(17)을 포함하며, 내부에 클러치(미도시)가 구비됨에 따라 구동력을 드럼(30)과 펄세이터(3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에 고정된 채 드럼(30)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펄세이터(35)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드럼(30)에 고정된 채 펄세이터(35)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드럼(30)(30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위에서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드럼(3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채 나머지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에 의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드럼(30)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조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채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형성된 드럼(30) 및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드럼(50)이 구비된다.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되며 횡단면이 대략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회전축(17)에 직결되어 구동부(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33)이 측벽 즉, 윈주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은 터브(2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터브(2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드럼(30)은 세탁수에 잠기면서 일부 세탁수가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된다.
드럼(30)은 상단부에 구비되는 드럼커버(31)를 포함한다. 드럼커버(31)는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터브커버(21)의 하측에 배치된다.
한편, 드럼커버(31)와 터브커버(21)에 의해 배출유로(4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유로(47)는 드럼커버(31)와 터브커버(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출유로(47)는 서브드럼(50)의 상단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세탁수를 터브(20)의 내부로 안내한다.
드럼커버(31)는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서브드럼(50)이 장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드럼커버(31)는 제1드럼(30)의 내부에서 세탁물이 쏠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밸런서(311)가 내측에 구비된다. 이 경우 배출유로(47)는 밸런서(311)와 터브커버(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서브드럼(50)의 위치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제1 센서부(54), 제2 센서부(25), 제어부(미도시) 및 드럼(30)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1 센서부(54)는 서브드럼(50)의 회전수를 감지하도록 제1 홀센서(Hall sensor, 55) 및 제1 자석부(56)로 이루어진다. 제1 홀센서(55)는 터브커버(21)의 상면에 구비되거나 터브커버(21)의 내측 테두리면에 구비되며, 제1 자석부(56)는 제1 홀센서(55)에 의해 감지되도록 서브드럼(5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이 회전하면 제1 홀센서(54)가 제1 자석부(56)를 감지한 후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일한 홀 센서 및 단일한 자석으로 이루어진 제1 센서부(54)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센서부(54)는 복수의 홀 센서 및 복수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도록 단일한 제2 홀센서(26) 및 제2 자석부(27)로 이루어진다, 제2 홀센서(26)는 터브(20)의 하부면 하측에 구비되며, 제2 자석부(27)는 제2 홀센서(26)에 의해 감지되도록 로터(15)의 상부면 외주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드럼(30)이 회전하면 제2 홀센서(26)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한 후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낸다.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정확한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 자석부(27)의 자석들이 등 간격으로 로터(15)에 구비되며, 구비되는 자석의 갯수가 증가할 수록 드럼(30)의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부(25)에 의해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한다.
로터(15)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로터(15)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드럼(50)의 위치제어는 우선 제1 센서부(54)에 의해 서브드럼(50)의 장착여부가 판단된다. 이후, 장착여부 판단 시의 서브드럼(5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 만큼 서브드럼(50)가 회전하여 서브드럼(50)의 임의의 지점이 서브드럼(50) 외부의 미리 설정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회전한다. 서브드럼(50)의 임의의 지점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와 외측 급수가이드가 구비되는 서브드럼(50)의 특정한 위치이며, 서브드럼(50) 외부의 미리 설정한 지점은 급수부(18) 하측일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부(25) 또는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된다.
즉, 이러한 서브드럼(50)의 위치제어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단일한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켜 세탁수가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공급되도록 한 후 서브드럼을 회전시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단일한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켜 세탁수가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서브드럼(50)에 대하여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드럼(30)에 장착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서브드럼(50)은 드럼(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서브드럼(50)은 드럼(30)과 분리되어 세탁을 수행하도록 세탁물과 세탁수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들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나누어 수용시킨 후 서로 다른 시간에 세탁을 수행하는 것을 물론이고 동시에도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횟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브드럼(50)은 드럼(30)의 내부에 결합한 채 드럼(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세탁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다.
서브드럼(50)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원형이 아닌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방향을 가로지르는 타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드럼(50)의 외주면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드럼(50)의 횡단면은 대략 타원형을 형성되거나, 서브드럼(50)의 횡단면의 둘레 중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채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킨다. 와류에 의해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 또는 세탁물 간의 마찰이 증가하므로, 서브드럼(50)은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보다 세탁력이 증가한다.
또한, 서브드럼(50)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마찰리브(534)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곡률부(C1) 및 제1 곡률보다 더 작은 제2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 곡률부(C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곡률부(C1)는 서브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 곡률은 드럼커버(31)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면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제2 곡률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곡률부(C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되 한 쌍을 이룬다.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곡률부(C1)와 제2 곡률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의 횡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구비된다.
또한,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은 서브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근거리부(C2)와 서브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원거리부(C1)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부(C2)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거리부(C1)는 드럼(30)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거리부(C1)와 근거리부(C2) 모두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원거리부(C1)는 제1 곡률부(C1)에 대응하며, 근거리부(C2)는 제2 곡률부(C2)에 대응한다.
한편, 근거리부(C2)와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이 서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됨에 따라 후술하게 될 제1 급수유로(573)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의 제1 곡률부(C1), 제2 곡률부(C2), 원거리부(C1), 근거리부(C2), 결합부(C1) 및 이격부(C2)는 서브드럼(50)의 특정 영역을 가리킨다. 위 서브드럼(50)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면 모두 위의 용어로 명칭한다.
서브드럼(50)은 드럼(30)이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는 것과 달리 서브드럼(50)은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드럼바디(53)는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세탁수가 원주면이나 하부면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될 뿐이다. 설사 서브드럼(50)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에 잠기더라고 세탁수가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다.
마찰리브(534)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찰리브(534)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복수 개로 구비되며, 서브드럼(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리브(534)는 서브드럼(50)의 회전 시 세탁수와의 마찰력에 의해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마찰리브(534)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 리브(531)와 형상 및 기능이 다르다.
한편, 서브드럼(50)은 세탁물 투입을 위해 상부면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515), 세탁물 투입구(515)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가이드(581), 사용자가 파지할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510),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내부로 안내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외측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안내하는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순환하는 세탁수가 충돌에 의해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끌어올려진 후 서브드럼(50)의 중심부로 낙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리브(531)를 포함한다.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한 쌍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510)는 바(bar)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결합한다.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50)의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사용자가 드럼(30)으로부터 서브드럼(50)을 분리할 때의 충격에 의해 세탁수가 한 쌍의 원거리부(C1) 중 하나에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브드럼(50)은 한 쌍의 근거리부(C2)를 통과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쉽게 회전하여 내부의 세탁수가 쏟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510)가 제2 곡률부(C2) 즉, 근거리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되면, 서브드럼(50)의 회전을 막기 위해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손잡이부(510)는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구비되되, 원거리부(C1) 즉, 결합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을 포함한다.
오목부(561)는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부딪힌 후 주위로 흩어지지 않도록 서브드럼(50)의 상부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급수홀(562)은 오목부(561)의 내측면 중 세탁물 투입구(515)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세탁물 투입구(515)와 오목부(561)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수가 오목부(561)로부터 급수홀(562)을 통해 세탁물 투입구(515)로 가이드 됨에 따라, 오목부(561)와 급수홀(562)은 세탁수를 서브드럼(50)으로 가이드 하는 제2 급수유로(560)를 형성한다.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오목부(561)에 일시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서브드럼(50) 주위로 흩어지지 않으며, 이후 급수홀(562) 즉 제2 급수유로(560)를 통해 세탁물 투입구(515)로 배출되어 서브드럼(50) 내부로 안내된다.
한편,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의 하측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드럼(50)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되, 근거리부(C2) 즉, 이격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이격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하나의 급수부(18)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서브드럼(50)은 드럼(30)과 함께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분리되어 구비되더라도 단일한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드럼(30) 및 서브드럼(5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 가장자리 즉, 이격부(C2)의 모서리 부분이 서브드럼(5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에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일면으로 이루어진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구비된다.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가 배출되면, 세탁수는 이격부(C2)와 드럼(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 급수유로(573)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안내된다.
가이드 리브(5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브드럼(50)의 상부면 하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일측면이 서브드럼(5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 리브(531)는 상측이 서브드럼(50)커버에 결합하고 일측면이 서브드럼(50)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 내부의 세탁수는 서브드럼(50)의 회전력에 의해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가이드 리브(531)와의 충돌에 의해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상승할 수 있을 뿐만 충돌 후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서브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해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531)는 서브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며 서브드럼(5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수직부(532) 및 서브드럼(50)의 바닥을 향하는 하측면에 형성되며 리브 수직부(532)로부터 서브드럼(50)의 중심부로부터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브 경사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 경사부(533)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과 예각을 이루며 서브드럼(50)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리브 경사부(533)가 가이드 리브(531)의 하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드럼(50) 내부를 세탁수와 함께 회전하여 유동하는 세탁물이 덜 간섭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유동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세탁물간의 마찰이 증가하여 세탁력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드럼(50)이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서브드럼(50)의 중심부의 세탁수의 수면보다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의 세탁수의 수면이 더 높다. 따라서,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에 충돌하여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이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드럼(50)의 근거리부(C2)에 배치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과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은 동일하다.
따라서, 세탁수의 높이가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를 통과할 때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할 때보다 더 높이 형성되므로, 서브드럼(50)이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더라도 가이드 리브(531)는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세탁수와 충돌하는 일면 및 일면에 반대편에 위치한 타면이 세탁수가 흐르는 방향을 향하여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드럼(50)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볼 때, 하부 단면의 폭이 상부 단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를 일면 및 타면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부(C2)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거리부(C1)에 추가로 각각 구비되어 총 두 쌍을 이룰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가이드 리브(531)의 지나친 간섭에 의해 세탁물이 서브드럼(50) 내부에서 쉽게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서브드럼(50)과 드럼(30)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로서 요철간에 결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드럼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요철부(312)와 서브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 요철부(312)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 요철부(535)를 포함한다. 드럼(30)의 상단부에 드럼커버(31)가 장착되는 구조이면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드럼(30)의 상단부에 드럼커버(31)가 장착되는 구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요철부(312)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는 서브드럼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만 서브드럼의 외주면은 근거리부(C2)와 원거리부(C1)로 구획되며 원거리부가 드럼커버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2 요철부(535)는 원거리부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의 돌기들은 제1 요철부(312)의 돌기들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드럼(30)의 회전력이 서브드럼(50)에 전달되어 드럼(30)의 회전할 때 서브드럼(50) 역시 드럼(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은 고속회전 시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0)를 포함한다. 배출부(70)는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각각 인접하여 구비되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의해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드럼(50)에 의한 세탁과정과 드럼(30)에 의한 세탁과정은 서로 분리된다. 이를 위해 드럼(30)에 대한 급수와 서브드럼(50)에 대한 급수가 분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세탁 시에는 서브드럼(50)에 공급된 세탁수가 드럼(30)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서브드럼(50)의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고, 배수 및 탈수 시에는 서브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서브드럼(50)은 세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세탁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서브드럼(50) 내부에 보전되어야 하며 탈수를 수행하기 위하여 세탁 rpm보다 더 큰 탈수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서브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 배출부(70)는 서브드럼(50)이 세탁 rpm보다 큰 탈수 rpm으로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이 세탁수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출부(70)는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챔버(미도시)가 형성되며, 챔버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홀(미도시), 챔버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홀(79)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70)는 유입홀이 챔버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유입홀 전체 면적이 세탁수가 부딪히는 챔버의 하부면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유입홀로 세탁수가 유입될 때 1차 저항이 발생하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승하는 세탁수가 원심력을 이기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2차 저항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배출부(70)는 배출홀(791)이 유입홀의 상부에 구비되되 서브드럼(5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유입홀을 통해 챔버로 유입되면, 서브드럼(5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중력을 이기고 상승하여야 하는 3차 저항이 추가로 발생한다.
따라서, 서브드럼(50)이 탈수 rpm보다 낮은 세탁 rpm으로 회전하면, 세탁수는 서브드럼(50) 내부에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서브드럼(50)이 미리 설정된 탈수 rpm 대역에서만 회전하는 경우에 한해서 세탁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물론, 배수밸브나 배수펌프와 같은 제어 대상이 되는 구성이 없이도 이러한 선택적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서브드럼(50)은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하는 바디(53)와 바디(53)의 상부에 결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515)가 형성되는 서브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요철부(535)가 바디(53)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바디(53)에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서브커버가 바디(53)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출부(70), 가이드리브(531), 손잡이부(510),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 역시 서브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서브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3)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하부커버(52), 하부커버(52)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커버(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부(70)의 챔버(미도시)는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된다. 여기서 유입홀은 하부커버(52)에 구비된다. 배출홀(79)은 하부커버(52)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배출홀(791)과 상부커버(5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배출홀(79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유입홀을 통해 챔버로 유입된 후 제2배출홀(792) 및 제1배출홀(791)로 이루어진 배출홀(79)을 거쳐 배출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이루는 오목부(561)는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커버(52)의 상부면은 오목부(561)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부커버(51)의 함입되는 부분 중 일부는 오목부(561)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이루는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와 하부커버(52)의 상부면과의 이격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이후에 급수부(18)가 드럼(30) 및 서브드럼(50) 중 하나 이상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제1 센서부(54), 제2 센서부(25), 제어부(미도시), 급수부(18), 구동부(14) 및 제동부(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제1 센서부(54) 및 제2 센서부(25)가 발신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거나, 제1 센서부(54)가 발신하는 감지신호 및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를 기초로 소정의 판단과정을 거쳐 급수부(18), 모터(14) 및 제동부(미도시)를 제어한다. 제2 센서부(25)가 발신하는 감지신호와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는 모두 제어부(미도시)가 드럼(3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럼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제2 센서부(25)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급수하기 위한 구성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드럼(30)에만 세탁수를 공급하여야 하는지 또는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순차적으로 세탁수를 공급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우선 드럼(30)이 회전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한다(S610). 드럼(30)이 회전하면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낸다.
한편, 제2 센서부(25)에 의해 드럼(30)의 회전각도가 360도인 것으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센서부(54)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미도시)는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가 드럼(30)으로 배출되는 급수를 수행하되 외측 급수가이드(570) 혹은 내측 급수가이드(560)가 급수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동부(18)와 제동부(미도시)를 제어하지 않는다.
한편, 제2 센서부(25)에 의해 드럼(30)의 회전각도가 360도인 것으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센서부(54)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켜 드럼(30)으로 급수하는 메인급수 및 메인급수 이후 서브드럼(5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킨 후 서브드럼(50)으로 급수하는 서브급수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메인급수 이후 서브급수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서브급수 이후에 메인급수가 수행될 수도 있다.
급수가 시작되면 우선 급수부(18)를 통해 세탁수가 배출된다. 배출된 세탁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공급되며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드럼(30) 즉 터브(20)로 공급된다. 즉, 서브드럼(50)을 회전시켜 내측 급수가이드(560)와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는 각도제어에 의한 급수가 수행된다.
일 예를 들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를 위해 서브드럼(50)이 매우 낮은 rpm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rpm은 일 예로 3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보내면, 제어부(미도시)는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보낸 시점으로부터 서브드럼(50)을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만큼 회전시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각도는 제1 센서부(54),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급수부(18)의 배치관계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서브드럼(50)이 매우 낮은 rpm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2 센서부(25)에 의해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되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측정된 회전각도가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서브드럼(50)이 정지하도록 제동부(미도시)를 제어한다.
서브드럼(50)의 rpm이 매우 낮으므로 서브드럼(50)이 제동부(미도시)가 작동하는 시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거리가 무시할 정도로 매우 작다. 서브드럼(50)이 제동부(미도시)에 의해 제동되면,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거의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드럼(50)의 위치 수정 없이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드럼(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통해 급수하기 위해 서브드럼(50)의 회전시켜 제동하는 것은 상술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급수하기 위해 서브드럼(50)의 회전시켜 제동하는 원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미도시)는 서브드럼(50)의 rpm을 상승시켜 서브드럼(50)이 제동이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rpm은 일 예로 15 내지 25 rpm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에서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보낼 때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회전각도 역시 제1 센서부(54),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급수부(18)의 배치관계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다만 본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는 일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서브드럼의 슬라이딩하는 거리를 고려하여 위의 일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의 일 예와 마찬가지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동안 제2 센서부(25)에 의해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되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측정된 회전각도가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서브드럼(50)이 정지하도록 제동부(미도시)를 제어한다.
서브드럼(50)은 자체 무게뿐만 아니라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로 인하여 제동이 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각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제2 센서부(25)가 서브드럼(50)의 슬라이딩 각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위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를 수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미도시)는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을 지나칠 정도로 서브드럼(50)의 슬라이딩 각도가 크면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 값이 작아지도록 수정하고 그 역의 경우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 값이 커지도록 수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드럼(50)은 급수는 예를 들면 3rpm과 같이 매우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거나 그보다 높더라도 예를 들면 15 내지 25 rpm으로 회전하는 것에 그치므로 구동부(14)에 매우 적은 하중을 가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9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서브커버의 하면에 구비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9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각각 도시된 필터부(9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90)는 배출부(70)의 하측에 구비되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승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필터부(90)는 상승하는 세탁수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서브드럼(50)의 측벽에서 서브드럼(5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91), 바디(91)를 구비되는 관통홀(92) 및 관통홀(92)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9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91)는 배출부(70)의 유입홀(77)의 하부에 구비되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하여 서브드럼(50) 내부의 세탁수가 화살표를 따라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타고 상승하는 흐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관통홀(92)은 바디(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관통홀(92)은 바디(91)에 복수 개 구비된다. 필터(93)는 관통홀(92)을 통과하는 세탁수를 여과하도록 관통홀(92)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화살표를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가 관통홀(92)을 통과하면서 필터(93)에 의해 여과되어 유입홀(77)을 통해 배출부(7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바디(91)는 서브드럼(50)의 측벽에서부터 서브드럼(5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나아가 배출부(70)의 유입홀(77)보다 서브드럼(50)의 중심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관통홀(92)은 바디(91)의 전체 면적보다 작다. 세탁수가 상승하다가 바디(91)를 만나 관통홀(92)로 유입될 때 저항이 발생한다. 저항이 발생하면 세탁수는 바디(91)의 하부면을 따라 서브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바디(91)가 충분히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지 않으면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는 세탁수가 필터(93)를 거치지 않고 바디(91)의 내측 말단을 타고 넘어 유입홀(77)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93)에 의해 여과되지 않은 세탁수가 배출부(70)에 유입되면 배출부(70)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관통홀(92)은 바디(91)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분포된다. 즉, 서브드럼(50)의 측벽에 접하는 바디(91)의 일단부에서부터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는 바디(91)의 타단부까지 고르게 분포한다.
필터부(90)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가 여과되도록 하되,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수류가 필터부(90)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서브드럼(5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상단부에 구비되는 필터부(90)는 서브드럼(50)의 용량이 필터부(90)에 의해 줄어드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은 세제를 수용하며 수용된 세제를 서브드럼(50)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일 예의 세제박스(60)가 구비된다. 세제박스(60)는 수용된 세제를 배출하기 위하여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으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는 세제배출부(66)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배출한다. 세제박스의 하부면에는 상승하는 세탁수가 세제배출부(66)에 유입되어 발생하는 사이펀현상을 방지하고자 세제배출부(66)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캡부(67)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90)는 세탁수가 바디(91)의 타단부를 넘어 배출부(7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바디(91)의 타단부가 세제박스의 하부면의 일측까지 연장되거나 하부캡부(67)까지 연장될 수 있다. 세제박스의 하부면은 세제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91)는 관통홀(92)을 제외한 바디(91)의 타단부만이 세제박스의 하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모든 관통홀(92)을 원활하게 관통하되 서브드럼(50)의 회전속도가 상승하여도 세탁수의 상당부분이 바디(91)의 타단부를 넘어서 배출부(7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예의 세제박스(80)는 급수부(18)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사이펀 원리에 의해 서브드럼(50)으로 배출하는 세제배출부(86)가 구비되며, 세제배출부(86)가 서브드럼(50)의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세제배출부(86)의 하단부를 감싸는 하부캡부(87)가 구비된다. 이러한 세제박스(80)는 사용자가 서브드럼(50)의 중심 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수납홈(752)에 수납된다.
필터부(100)는 사용자가 관통홀(102)에 구비된 필터(101)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하기 위해 서브드럼(50)으로부터 인출 가능한 세제박스(8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100)는 하부캡부(8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00)에 대한 설명은 세제박스(8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필터부(90)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를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서브드럼(50)의 내주면에 구비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도시된 필터부(1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승하는 세탁수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110)가 서브드럼(50)에 구비되며,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는 유로부(110) 내부에 구비되어 유로부(110)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를 여과한다.
유로부(110)는 내부에 세탁수의 이동경로가 구비되는 유로바디(111), 유로바디(11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서브드럼(50)의 세탁수를 유입하는 하부개구부(113), 유로바디(11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상부개구부(112) 및 필터부(120)를 수납하는 수납부(115)를 포함한다.
유로바디(111)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세탁수의 이동경로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개구부(113)와 상부개구부(112)와 연결된다.
하부개구부(113)는 유로바디(111)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서브드럼(50)의 내부와 유로바디(111)의 수용공간을 연통시킨다. 하부개구부(113)는 원심력에 의해 서브드럼(50)의 내주면으로 이동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서브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한다.
상부개구부(112)는 유로바디(111)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필터부(120)가 수납되는 수납부(115)보다 상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필터부(120)의 배출구(123)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유로바디(111)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다. 유로바디(111)가 서브드럼(50)의 측벽에 함입되어 구비되면 서브드럼(50)의 측벽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므로 서브드럼(50)의 측벽과 드럼의 내주면이 결합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유로바디(111)가 서브드럼(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마찰리브 처럼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해 서브드럼(50)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필터부(120)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바디(129), 유로부(110) 내부의 세탁수를 바디(129)로 유입시키는 유입구(124) 및 바디(129)로 유입된 세탁수를 여과하여 서브드럼(50)으로 배출하는 필터(127)를 포함한다.
바디(129)는 서브드럼(50)의 내측을 향하는 전면패널(121) 및 유로부(110)의 수납부(115)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도록 전면패널(121)로부터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122)를 포함한다.
플랜지(122)의 하단부에 유입구(124)가 구비되며, 유입구(124)는 유로부(110)의 하부개구부(113)를 통해 유로바디(111)로 유입된 세탁수를 바디(129)로 유입시킨다
전면패널(121)은 유입구(124)보다 상부에 구비된다. 전면패널(121)에는 전면패널(121)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되며, 각각의 관통홀에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127)가 구비된다.
관통홀은 전면패널(121)의 상단부에 위치한 상부관통홀(125)과 전면패널(121)의 하단부에 위치한 하부관통홀(126)로 이루어진다. 상부관통홀(125)의 면적은 하부관통홀(126)의 면적보다 좁다. 바디(129)에 세탁수가 수용되면 위로 올라갈수록 수압이 낮아지므로 상부관통홀(125)의 면적이 좁을수록 세탁수를 의류 상부로 강하게 분사하는 데 유리하다.
플랜지(122) 상단부에는 배출구(123)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123)는 전면패널(121)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바디(129)의 세탁수를 유로바디(111)의 내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바디(129)의 내부 수압이 올라가서 필터(127)를 통해 세탁수가 비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배출구(123)는 상부개구부(112)보다 하부에 위치하므로, 바디(129) 내부의 수압이 상승함에 따라 상부개구부(112)까지 상승한 유로부(110)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필터(127)를 통해 배출되면서 여과될 수도 있다.
전면패널(121)에는 필터부(120)를 유로부(110)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손잡이(128)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에 의해 세탁수가 여과되는 과정을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브드럼(50)이 회전하면 서브드럼(50) 내부의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 이동한다.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 이동한 세탁수는 하부개구부(113)를 통해 유로바디(111)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세탁수는 상승하여 유입구(124)를 통해 필터부(120)의 바디(129)로 유입된 후 관통홀에 구비된 필터(127)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이 때 원심력이 상승하면 바디(129) 내부의 수위가 상승한다. 상승하는 바디(129) 내부의 세탁수 중 일부는 필터(127)에 의해 여과되지 않고 계속 상승하며, 상부개구부(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원심력이 낮아지면 유로바디(111)의 수위가 낮아지며, 필터(127)와 상부개구부(112) 사이에 위치한 세탁수 중 일부는 필터(127)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가 삽입 결합된 유로부(110)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과 함께 서브드럼(5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가 삽입 결합된 유로부(1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의 하측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이 세탁 rpm 또는 헹굼 rpm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세탁헹정 또는 헹굼행정 동안에 세탁수는 일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에 의해 여과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에 의해 여과된다.
나아가 서브드럼(50)이 세탁 rpm 또는 헹굼 rpm보다 높은 탈수 rpm으로 일 방향 회전하는 탈수행정 동안에 세탁수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에 의해 여과된다. 탈수행정 동안에는 원심력이 강하여 세탁수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의 필터(127)를 통해 배출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서브드럼(50)의 내주면에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서 도시된 필터부(1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는 가이드리브(531)에 구비되어 가이드리브(531)에 충돌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바디(131), 바디(131)에 구비되어 수용공간과 서브드럼(5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바디연통홀(135) 및 바디연통홀(135)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136)를 포함한다.
서브드럼(50)은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수류 역시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두 가지의 방향을 따라 번갈아 가며 형성되며, 세탁수는 이러한 수류를 따라 가이드리브(531)의 일면과 일면의 반대편에 있는 타면에 충돌한다. 가이드리브(531)의 일면과 타면은 수류를 가로지르도록 필터부(130)에 구비된다.
필터부(130)가 위 두 가지 방향의 수류가 번갈아 가며 형성될 때마다 세탁수를 여과하도록, 바디(131)는 가이드리브(531)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는 복수의 바디연통홀(135) 중 일부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채 바디(131)에 유입되며, 바디(131)에 유입된 후 다시 나머지 바디연통홀(135)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류는 서브드럼(50)과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므로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 갈수록 회전속도가 상승한다. 바디(131)에 구비된 복수의 바디연통홀(135)은 서브드럼(50)의 측벽에 가까울수록 빠른 수류와 충돌하므로 서브드럼(50)의 측벽에 가까울수록 높은 수압을 받는다. 따라서, 세탁수는 서브드럼(50)의 측벽에 가까운 바디연통홀(135)을 통해 바디(131)로 유입되며,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부터 먼 바디연통홀(135)을 통해 바디(131)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세탁수는 바디(131)에 형성된 수용공간 중 서브드럼(50)의 측벽에 가까운 공간을 먼저 채운다. 서브드럼(50)의 측벽에 가까운 바디연통홀(135)에 더 높은 수압이 외부로부터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바디(131)의 수용공간 중 세탁수가 먼저 채워진 공간은 세탁수 유입을 방해하는 저항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후 세탁수가 서브드럼(50)의 측벽에 가까운 바디연통홀(135)을 통과할 때 강한 저항을 받을 수 있으므로 필터부(130)에 세탁수의 유입과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는 바디(131) 내부의 수용공간이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저항이 발생하는 시점이 늦춰지며, 늦춰진 저항이 발생하는 시점까지 세탁수가 서브드럼(50)의 측벽에 가까운 바디연통홀(135)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이 발생하는 시점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서브드럼(50)의 회전방향이 바뀌는 시점부터 다시 회전방향이 바뀌기 전에 세탁수가 바디(131)에 형성된 수용공간 중 서브드럼(50)의 측벽에 가까운 공간이 먼저 채워지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서브드럼(50)의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바디(131)가 서브드럼(50)에서 차지하는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도록 설계되는 경우, 바디(131)의 수용공간이 수용공간이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바디(131)는 가이드리브(531)와 마찬가지로 수류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바디경사면(133a, 133b)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바디경사면(133a, 133b)은 도 10에서의 시계방향의 수류와 반 시계방향의 수류와 각각 충돌한다. 복수의 바디연통홀(135)은 한 쌍의 바디경사면(133a, 133b)에 구비된다.
한 쌍의 바디경사면(133a, 133b)은 수류의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바디(131)의 횡단면은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531)에는 필터부(130)가 수납되도록 일측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납부가 구비된다. 또한, 수납부에는 필터부(130)가 수납된 채 체결되도록 체결리브(537)가 상하방향을 연장 형성되며, 바디(131)에는 체결리브(537)가 삽입되는 체결홈(132)이 형성된다.
체결리브(537)는 한 쌍의 바디경사면(133a, 133b) 중 하나의 바디경사면(133a)을 통과한 세탁수가 나머지 하나의 바디경사면(133b)을 통과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바디(131)를 두 영역을 구획한다. 따라서 세탁수는 하나의 바디경사면(133a)을 통해 유입 및 배출된다. 만약 하나의 바디경사면(133a)을 통과한 세탁수가 나머지 하나의 바디경사면(133b)을 통과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바디경사면(133b)에 구비된 필터(136)의 외측에 쌓인 이물질이 서브드럼(50)으로 떨어져 나가기 때문이다.
가이드리브(531)는 수류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구비되는 리브경사면(538a, 538b)이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룬다. 또한, 가이드리브(531)의 횡단면이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하는 세탁수의 수위가 필터부(130)까지 상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리브경사면(538a, 538b)에 의해 세탁수가 필터부(130)로 안내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보다 원활한 안내를 위해 바디경사면(133a, 133b)과 리브경사면(538a, 538b)은 동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가 세탁수를 여과하는 과정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브드럼(50)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면 그에 따라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두 방향으로 반복 형성된다.
서브드럼(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세탁수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세탁수는 원심력이 증가함에 따라 서브드럼(50)의 측벽을 따라 점차 상승하면서 회전한다. 세탁수의 회전은 서브드럼(50)의 측벽과의 마찰에 의한 것이므로 서브드럼(50)의 측벽에 가까울수록 회전속도가 증가한다.
세탁수가 필터부(130)의 바디경사면(133a, 133b)과 충돌하면,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연통홀(135) 중 서브드럼(50)의 측벽에 가까운 바디연통홀(135)을 통해 바디(131)로 유입되며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바디연통홀(135)을 통해 바디(131)로 유입된 세탁수가 배출된다. 세탁수의 속도차이에 의한 수압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20: 터브 30: 드럼
50: 서브드럼 51: 상부커버
52: 하부커버 560: 내측 급수가이드
570: 외측 급수가이드 53: 바디
531: 가이드 리브
90, 100, 120, 130: 필터부

Claims (22)

  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를 상기 서브드럼 외부로 배출홀이 구비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세탁수가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승하는세탁수가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홀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서브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가 여과되도록 상기 서브드럼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에서 상기 배출부보다 상기 서브드럼의 중심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승하는 세탁수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에서 상기 서브드럼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어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서브드럼의 중심부를 향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제박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세제박스에 고정되어 상기 세제박스와 함께 상기 서브드럼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드럼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 및
    상기 서브드럼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부와 교대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결합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승하는 세탁수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유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를 여과하도록 상기 유로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바디;
    상기 유로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바디로 유입시키는 유입구;
    상기 바디로 유입된 세탁수를 여과하여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는 필터; 및
    상기 바디로 유입된 세탁수 중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되지 않은 세탁수를 상기 유로부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세탁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필터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필터가 고정되며, 상기 서브드럼의 내측을 향하는 전면패널; 및
    유로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상기 서브드럼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하단부에 상기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단부에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내부에 세탁수의 이동경로가 구비되는 유로바디;
    상기 유로바디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드럼의 세탁수를 유입하는 하부개구부;
    상기 유로바디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상부개구부; 및
    상기 필터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개구부는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바디는 상기 서브드럼 내부에 수류가 형성되도록 상기 서브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드럼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 및
    상기 서브드럼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부와 교대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결합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수류와 충돌하도록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가이드리브에 충돌하는 세탁수를 여과하도록 상기 가이드리브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서브드럼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바디연통홀; 및
    상기 바디연통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리브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횡단면은 상기 가이드리브의 측벽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수류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바디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연통홀은 바디경사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서브드럼의 측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세탁수로부터 더 작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84687A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87A KR102411847B1 (ko)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PCT/KR2018/007565 WO2019009609A1 (ko) 2017-07-04 2018-07-04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01880035891.0A CN110691874B (zh) 2017-07-04 2018-07-04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U2018296950A AU2018296950B2 (en) 2017-07-04 2018-07-04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2111395157.5A CN113981649B (zh) 2017-07-04 2018-07-04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16/611,096 US11505888B2 (en) 2017-07-04 2018-07-04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87A KR102411847B1 (ko)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47A true KR20190004447A (ko) 2019-01-14
KR102411847B1 KR102411847B1 (ko) 2022-06-22

Family

ID=6495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87A KR102411847B1 (ko)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05888B2 (ko)
KR (1) KR102411847B1 (ko)
CN (2) CN113981649B (ko)
AU (1) AU2018296950B2 (ko)
WO (1) WO201900960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694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세탁기의 세탁조용 여과망 구조
KR20020008451A (ko) * 2000-07-20 2002-01-31 윤종용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JP2010136904A (ja) * 2008-12-12 2010-06-24 Panasonic Corp 脱水兼用洗濯機
US20150059417A1 (en) * 2013-08-27 2015-03-05 Whirlpool S.A. Valved dispensing system for products in liquid form by inertial centrifugal action for household appliances
KR20160127676A (ko) * 2015-04-27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1162A (en) * 1968-05-08 1969-12-02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KR20000001694A (ko) 1998-06-12 2000-01-15 김영남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JP2010012143A (ja) 2008-07-07 2010-01-21 Toshiba Corp 洗濯機
US8601836B2 (en) * 2009-07-31 2013-12-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of the same
CN105624976A (zh) * 2014-10-31 2016-06-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694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세탁기의 세탁조용 여과망 구조
KR20020008451A (ko) * 2000-07-20 2002-01-31 윤종용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JP2010136904A (ja) * 2008-12-12 2010-06-24 Panasonic Corp 脱水兼用洗濯機
US20150059417A1 (en) * 2013-08-27 2015-03-05 Whirlpool S.A. Valved dispensing system for products in liquid form by inertial centrifugal action for household appliances
KR20160127676A (ko) * 2015-04-27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9609A1 (ko) 2019-01-10
AU2018296950A1 (en) 2019-12-05
CN113981649B (zh) 2023-08-11
CN110691874B (zh) 2021-12-10
US20200165766A1 (en) 2020-05-28
CN110691874A (zh) 2020-01-14
KR102411847B1 (ko) 2022-06-22
US11505888B2 (en) 2022-11-22
CN113981649A (zh) 2022-01-28
AU2018296950B2 (en)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24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606118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US20120144598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KR102206464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06130199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8368661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8991223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KR10232552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332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64652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741117B (zh) 衣物处理设备和控制该设备的方法
KR10206542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0443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0444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04623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2614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60071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6277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10832134B (zh) 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