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144B1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144B1
KR101926144B1 KR1020170060936A KR20170060936A KR101926144B1 KR 101926144 B1 KR101926144 B1 KR 101926144B1 KR 1020170060936 A KR1020170060936 A KR 1020170060936A KR 20170060936 A KR20170060936 A KR 20170060936A KR 101926144 B1 KR101926144 B1 KR 10192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motion
water
pulsato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214A (ko
Inventor
권오신
김근주
문병현
이동수
정재용
채애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144B1/ko
Priority to US16/612,032 priority patent/US11603618B2/en
Priority to PCT/KR2018/005686 priority patent/WO2018212614A2/ko
Priority to CN201880032497.1A priority patent/CN110637119B/zh
Priority to BR112019024076-4A priority patent/BR112019024076B1/pt
Priority to AU2018271006A priority patent/AU2018271006B2/en
Publication of KR2018012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6Tim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와 서브드럼에 각각 세탁수가 수용된 채 드럼과 서브드럼을 동시에 회전시켰을 때 과부하로 인하여 모터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서브드럼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이 함께 회전함에 따라 드럼과 서브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류가 동시에 형성되는 바스켓모션과 오로지 펄세이터가 회전함에 따라 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류가 형성되는 펄세이터모션이 반복됨에 따라 세탁 또는 헹굼이 수행되는 수류형성단계 및 수류형성단계의 시작 이후에 수행되며, 수류형성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승한 구동부의 온도가 하강하도록 구동부가 정지 또는 기준치 이하의 출력량으로 작동하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과부하 방지를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및 건조와 세탁을 함께 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캐비닛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과,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프론트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며,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 및 세탁물의 낙하 충격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드럼 세탁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드럼 세탁 방식은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탑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내부에 드럼이 구비되고, 드럼 내부에 공급된 세탁수에 세탁물이 잠긴 상태에서 세탁이 이루어지며, 다시 펄세이터(pulsator) 방식과 아지테이터(agitator)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펄세이터 방식은 세탁기의 내부에서 세탁물과 세탁수를 제공받는 드럼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펄세이터로 세탁수와 피세탁물을 회전시켜 세탁을 실행하는 방식이고, 아지테이터 방식은 드럼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아지테이터로 세탁수와 피세탁물을 회전시켜 세탁을 실행하는 방식이다.
탑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이나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아지테이터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과 세제의 작용으로 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길 정도로 세탁수가 공급되어야만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세탁수가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드럼에서 세탁물의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의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 적어도 두 번의 세탁과정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는 횟수가 많아져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자 드럼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드럼이 추가되어 사용되게 되었다. 이러한 서브드럼은 세탁수를 터브와 별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해 서브드럼 내부에서 수류를 형성시켜 드럼과 별도로 세탁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브드럼은 용량이 작고 기존의 드럼에 설치된 펄세이터와 같은 와류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가 곤란하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와류 발생 빈도가 메인 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서브드럼에 의한 세탁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브와 서브드럼에 세탁수가 공급된 후 서브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브드럼이 결합한 드럼을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드럼과 서브드럼에 각각 세탁수를 공급한 후 서브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드럼을 회전시키는 경우, 드럼과 터브에 수용된 세탁수간의 마찰뿐만 아니라 서브드럼의 내측면과 서브드럼에 수용된 세탁수간의 마찰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며, 서브드럼에 수용된 세탁수의 무게만큼의 힘이 추가로 모터에 가해짐에 따라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에 하중이 많이 가해져 모터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터브와 서브드럼에 각각 세탁수가 수용된 채 드럼과 서브드럼을 동시에 회전시켰을 때 과부하로 인하여 모터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세탁력이 유지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서브드럼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이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류가 동시에 형성되는 바스켓모션과 오로지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 함에 따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류가 형성되는 펄세이트모션이 반복됨에 따라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수류형성단계; 및 상기 수류형성단계의 시작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수류형성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승한 구동부의 온도가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부가 정지하거나 상기 수류형성단계에서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기준치 이하의 출력량으로 작동하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상기 펄세이터모션이 수행되는 시간의 총 합이 상기 바스켓모션이 수행되는 시간의 총 합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에 세탁수가 추가될 때 상기 드럼와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는 추가급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트모션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바스켓모션들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펄세이터모션들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터브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터브의 수위가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드럼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급수가이드를 단일한 급수부의 하측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과 제동을 반복하는 각도제어모션이 수행되는 동안 세탁수가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과 상기 드럼이 상기 기준치 미만의 rpm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저속회전모션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휴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지단계는 상기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모션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에 세탁수가 추가될 때 상기 드럼와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는 추가급수단계;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과 상기 드럼이 상기 기준치 미만의 rpm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저속회전모션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휴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급수단계와 상기 휴지단계는 각각 한 번 이상 수행되며, 상기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모션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추가급수단계와 상기 휴지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을 상기 드럼 내부의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펄세이터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는 밸런스모션이 수행되는 포풀림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풀림단계는 상기 밸런스모션이 한 번 이상 수행되며,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포풀림단계가 수행되는 후기(後期)세탁행정 또는 후기(後期)헹굼행정의 시작 전에 종료하는 전기(前期)세탁행정 또는 전기(前期)헹굼행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과 상기 드럼이 상기 기준치 미만의 rpm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저속회전모션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휴지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풀림단계는 상기 펄세이트모션과 상기 휴지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상기 바스켓모션이 마지막으로 수행되며 상기 수류형성단계의 종료 후 상기 터브와 상기 서브드럼으로부터 세탁수를 탈수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상기 터브로부터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배수펌프가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서브드럼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이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 내부에 세탁수의 수류가 동시에 형성되는 바스켓모션에 의해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제1수류형성단계; 및 오로지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 내부에 세탁수의 수류가 형성되는 펄세이트모션에 의해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제2수류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 및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는 각각 복수 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의 총 합은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의 총 합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드럼에 세탁수가 추가될 때 상기 드럼와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는 추가급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과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 사이에 한 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의 상기 바스켓모션들 사이에 한 번 이상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의 상기 펄세이터모션들 사이에 한 번 이상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터브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터브의 수위가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드럼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급수가이드를 단일한 급수부의 하측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과 제동을 반복하는 각도제어모션이 수행 후 세탁수가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과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과 상기 드럼이 상기 기준치 미만의 rpm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저속회전모션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휴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급수단계와 상기 휴지단계는 각각 한 번 이상 수행되며,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과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추가급수단계와 상기 휴지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을 상기 드럼 내부의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펄세이터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는 밸런스모션이 수행되는 포풀림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풀림단계는 한 번 이상 수행되며,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포풀림단계가 수행되는 후기(後期)세탁행정 또는 후기(後期)헹굼행정의 시작 전에 종료하는 전기(前期)세탁행정 또는 전기(前期)헹굼행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포풀림단계는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 이후 상기 휴지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의 수행 이후에 배수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세탁수가 배수되는 배수단계; 및 상기 세탁수가 배수되는 단계의 수행 이후에 상기 터브와 상기 서브드럼으로부터 세탁수가 탈수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기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로부터 세탁수가 배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브와 서브드럼에 각각 세탁수가 수용된 채 드럼과 서브드럼을 동시에 회전시켰을 때 모터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세탁력이 유지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럼에 장착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서브드럼이 드럼에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구동부의 온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용소를 다른 구성용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용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10), 캐비닛(10)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미도시),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20), 터브(2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후술하는 드럼(30)과 펄세이터(3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4), 구동부(14)에 연결되어 구동부(14)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30), 드럼(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부(14)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펼세이터(35),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드럼(30)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5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세탁을 위한 세탁수와 도어 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는 모두 세탁수라 칭하며, 드럼(30)은 메인 드럼으로 명칭할 수 있다.
도 1에는 모터가 직접 회전축(17)과 연결되어 드럼(30)을 구동하는 직결식 구동 구조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1)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는 캐비닛(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도어(미도시)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드럼(30) 및 서브드럼(50)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드럼(30) 및 서브드럼(50)의 내부로부터 세탁물을 빼낼 수 있다.
한편, 드럼(30) 및 서브드럼(50)으로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급수하도록 급수부(18)가 캐비닛 커버(11)에 구비된다.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후술하게 될 서브드럼(5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터브(20)의 내부를 통해 드럼(30)으로 급수되거나 서브드럼(50)으로 급수된다.
터브(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채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터브(20)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터브커버(21)를 포함한다.
터브커버(21)는 드럼(30) 및 서브드럼(50)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캐비닛(10)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탁물 투입구(580)가 형성된다.
한편, 터브커버(21)는 세탁물 투입구(58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터브커버(21)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버절곡부(21a)를 포함한다.
커버절곡부(21a)는 드럼(30)의 회전력에 의해 터브(20)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하면서 상승한 세탁수가 드럼(30)으로 인입되어 낙하하도록 한다. 이때 서브드럼(50)은 드럼(30에 장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브(20)는 하부면이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터브(20)는 하부면이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직접 지지되므로 자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터브(20)는 드럼(30)과 달리 구동부(14)로부터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스프링(24)과 댐퍼(23)가 터브(20)의 하부면에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24)과 댐퍼(23)는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댐퍼(23)는 터브(20)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스프링(24)은 터브(20)의 상부면에 연결되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터브(20)의 하부면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연결된다. 배수장치는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1), 일단이 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12) 및 일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비닛(10) 일측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부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수관(13)을 포함한다. 제1 배수관(12)은 터브(20)의 진동이 배수펌프(11)에 전달되지 않도록 밸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4)는 로터(15)와 스테이터(16)로 이루어진 모터와 로터(15)에 연결되는 회전축(17)을 포함하며, 내부에 클러치(미도시)가 구비됨에 따라 구동력을 드럼(30)과 펄세이터(3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에 고정된 채 드럼(30)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펄세이터(35)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드럼(30)에 고정된 채 펄세이터(35)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드럼(30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위에서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드럼(3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채 나머지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에 의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드럼(30)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조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채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형성된 드럼(30) 및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드럼(50)이 구비된다.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되며 횡단면이 대략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회전축(17)에 직결되어 구동부(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33)이 측벽 즉, 윈주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은 터브(2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터브(2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드럼(30)은 세탁수에 잠기면서 일부 세탁수가 통공(33)을 통하여 드럼의 내부로 인입된다.
드럼(30)은 상단부에 구비되는 드럼커버(31)를 포함한다. 드럼커버(31)는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터브커버(21)의 하측에 배치된다. 드럼커버(31)의 상부면과 터브커버(21)의 하측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배출유로(47)가 형성된다. 배출유로(47)는 서브드럼(50)의 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세탁수가 터브(20)의 내부로 안내한다.
드럼커버(31)는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서브드럼(50)이 장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드럼커버(31)는 제1드럼의 내부에서 세탁물이 쏠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밸런서(311)가 내측에 구비된다.
또한, 드럼커버(31)는 서브드럼(50)이 탈착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제1 요철부(315)가 구비되며, 제1 요철부(315)에 안착한 서브드럼(50)의 고정부(93)를 간섭하여 드럼(30)이 상부 이동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312)가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부(93)는 손잡이부(510)와 연동하여 서브드럼(50)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체 세탁과정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100, 도 5 참조) 및 제동부(110, 도 5 참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게 될 급수와 관련된 서브드럼(50)의 각도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제1 센서부(54) 및 제2 센서부(25) 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1 센서부(54)는 서브드럼(50)의 회전수를 감지하도록 제1 홀센서(Hall sensor, 55) 및 제1 자석부(56)로 이루어진다. 제1 홀센서(55)는 터브(20)커버의 상면에 구비되거나 터브(20)커버의 내측 테두리면에 구비되며, 제1 자석부(56)는 제1 홀센서(55)에 의해 감지되도록 서브드럼(5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이 회전하면 제1 홀센서(54)가 제1 자석부(56)를 감지한 후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일한 홀 센서 및 단일한 자석으로 이루어진 제1 센서부(54)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센서부(54)는 복수의 홀 센서 및 복수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도록 단일한 제2 홀센서(26) 및 제2 자석부(27)로 이루어진다, 제2 홀센서(26)는 터브(20)의 하부면 하측에 구비되며, 제2 자석부(27)는 제2 홀센서(26)에 의해 감지되도록 로터(15)의 상부면 외주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드럼(30)이 회전하면 제2 홀센서(26)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한 후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정확한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 자석부(27)의 자석들이 등 간격으로 로터(15)에 구비되며, 구비되는 자석의 갯수가 증가할 수록 드럼(30)의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부(25)에 의해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한다.
한편, 로터(15)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로터(15)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00)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예를 들어,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등)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킨다.
특히, 제어부(100)는 제1 센서부(54)와 제2 센서부(25)가 생성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4),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18) 및 회전하는 드럼(30)을 제동하는 제동부(110) 등을 제어한다.
제동부(110)는 회전하는 드럼(30)에 제동력을 가하여 드럼(30)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서브드럼(50)에 대하여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표시된 A-A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드럼(30)에 장착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서브드럼(50)은 드럼(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드럼(3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횡단면이 대략 타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서브드럼(50)은 드럼(30)과 분리되어 세탁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들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나누어 수용시킨 후 동시에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횟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브드럼(50)은 드럼(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세탁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다.
서브드럼(5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 서브드럼바디(53), 서브드럼바디(53)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서브드럼커버(51), 서브드럼(50)의 고속회전시 서브드럼(5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0) 및 드럼(30)에 안착한 서브드럼(50)을 드럼(30)에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고정부(93)를 포함한다.
서브드럼바디(53)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세탁수의 수류를 형성하도록 마찰리브(534)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와 같은 탑 로딩 타입의 경우, 세제의 작용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드럼의 회전 등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한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로 인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 서브드럼바디(53)는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므로, 황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드럼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킨다. 와류에 의해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이 증가하므로, 서브드럼(50)은 타원형의 횡단면에 의해 세탁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바디(53)는 내주면을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곡률부(C1) 및 제1 곡률보다 더 작은 제2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 곡률부(C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곡률부(C1)는 서브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 곡률은 드럼커버(31)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면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제2 곡률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곡률부(C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되 한 쌍을 이룬다.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곡률부(C1)와 제2 곡률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의 횡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구비된다.
또한, 서브드럼바디(53)는 내주면은 서브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근거리부(C2)와 서브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원거리부(C1)로 구분할 수 있다. 원거리부(C1)는 제1 곡률부(C1)에 대응하며, 근거리부(C2)는 제2 곡률부(C2)에 대응한다.
한편, 근거리부(C2)와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이 서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됨에 따라 후술하게 될 제1 급수유로(573)가 형성된다.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 중 제2 곡률부(C2)가 가리키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면이 아닌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곡률부(C2) 보다 근거리부(C2)로 명칭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곡률부(C1), 제2 곡률부(C2), 원거리부(C1), 근거리부(C2), 결합부(C1) 및 이격부(C2)는 특정 영역을 가리킨다. 위 특정 영역에 포함되면 모두 위의 용어로 명칭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브드럼바디(53) 및 서브드럼커버(51) 각각의 일 부분을 위 용어를 사용하여 명칭한다.
한편, 서브드럼바디(53)는 드럼(30)이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는 것과 달리 서브드럼(50)은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드럼바디(53)는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세탁수가 원주면이나 하부면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될 뿐이며 서브드럼(50)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다.
마찰리브(534)는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찰리브(534)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복수 개로 구비되며, 서브드럼바디(5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리브(534)는 서브드럼바디(53)의 회전 시 세탁수와의 마찰력에 의해 세탁수를 서브드럼바디(53)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마찰리브(534)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 리브(531)와 형상 및 기능이 다르다.
서브드럼커버(51)는 서브드럼바디(53)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횡단면이 서브드럼바디(53)의 횡단면과 동일하다.
따라서, 서브드럼커버(51)의 원주면 역시 제1 곡률부(C1)와 제2 곡률부(C2)로 구분되며, 제1 곡률부(C1)는 원거리부(C1)로 명칭할 수 있으며, 제2 곡률부(C2)는 근거리부(C2)로 명칭할 수 있다. 또한, 서브드럼바디(53)의 제1 곡률부(C1) 및 제2 곡률부(C2)와 달리 서브드럼커버(51)는 제1 곡률부(C1)가 드럼커버(31)의 내주면에 결합하므로 이격부(C2)로 명칭될 수 있으며, 제2 곡률부(C2)가 드럼커버(3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이격부(C2)로 명칭될 수 있다.
서브드럼커버(51)는 세탁물 투입을 위한 상부면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580), 세탁물 투입구(58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경사 가이드(581), 사용자가 파지할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510),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내부로 안내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외측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안내하는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순환하는 세탁수가 충돌에 의해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끌어올려진 후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부로 낙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리브(531)를 포함한다.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에 한 쌍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bar)의 형상의 작동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작동부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고정부(93)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이 이루어진다.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커버(51)의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사용자가 드럼(30)으로부터 서브드럼(50)을 분리할 때의 충격에 의해 세탁수의 쏠림이 발생하는 경우, 서브드럼(50)은 한 쌍의 원거리부(C1)를 통과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좌우로 흔들리는 롤링이 발생할 수 있다. 손잡이부(510)가 제2 곡률부(C2) 즉, 근거리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되면, 서브드럼(50)의 상하진동을 진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손잡이부(510)는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에 구비되되, 원거리부(C1) 즉 결합부(C1)에 구비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을 포함한다,
오목부(561)는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에 부딪힌 후 주위로 흩어지지 않도록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급수홀(562)은 오목부(561)의 내측면 중 세탁물 투입구(580)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세탁물 투입구(580)와 오목부(561)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수가 오목부(561)로부터 급수홀(562)을 통해 세탁물 투입구(580)로 가이드 됨에 따라, 급수홀(562)은 세탁수를 서브드럼(50)으로 가이드 하는 제2 급수유로(56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오목부(561)에 일시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서브드럼커버(51) 주위로 흩어지지 않으며, 이후 급수홀(562) 즉 제2 급수유로(562)를 통해 세탁물 투입구(580)로 배출되어 서브드럼(50) 내부로 안내된다.
한편,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의 하측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드럼커버(51)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서브드럼커버(51)에 구비되되, 근거리부(C2) 즉, 이격부(C2)에 구비된다. 즉,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이격된 채 분리되어 구비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하나의 급수부(18)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서브드럼(50)은 드럼(30)과 함께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분리되어 구비되더라도 단일한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드럼(30) 및 서브드럼(5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이격부(C2)의 모서리 부분이 서브드럼커버(51)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바닥면이 서브드럼커버(51)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이격부(C2)와 드럼(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 급수유로(573)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안내된다.
가이드 리브(5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 하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일측면이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 리브(531)는 상측이 서브드럼커버에 결합하고 일측면이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바디(53) 내부의 세탁수는 서브드럼(50)의 회전력에 의해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가이드 리브(531)와의 충돌에 의해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상승할 수 있을 뿐만 충돌 후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서브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해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531)는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부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며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수직부(532) 및 서브드럼바디(53)의 바닥을 향하는 하측면에 형성되며 리브 수직부(532)로부터 서브드럼(50)의 중심부로부터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브 경사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 경사부(533)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과 예각을 이루며 서브드럼바디(53)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리브 경사부(533)가 가이드 리브(531)의 하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드럼바디(53) 내부를 세탁수와 함께 회전하여 유동하는 세탁물이 덜 간섭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유동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세탁물간의 마찰이 증가하여 세탁력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드럼(50)이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부의 세탁수의 수면보다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의 세탁수의 수면이 더 높다. 따라서,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에 충돌하여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이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드럼커버(51)의 근거리부(C2)에 배치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과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은 동일하다. 따라서, 세탁수의 높이가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를 통과할 때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할 때보다 더 높이 형성되므로, 서브드럼(50)이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더라도 가이드 리브(531)는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세탁수와 충돌하는 일면 및 일면에 반대편에 위치한 타면이 세탁수가 흐르는 방향을 향하여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볼 때, 하부 단면의 폭이 상부 단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를 일면 및 타면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도 3상에서 서브드럼(50)의 가로길이가 399mm이고 높이가 309.2mm일 때, 가이드 리브(531)는 높이(H)가 70mm이고 폭(W)이 65mm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후술하는 경사 가이드(581)와 함께 높은 세탁력을 발휘한다. 다른 수치는 동일하고 가이드 리브(531)의 높이(H)가 50mm 및 90mm로 각각 설정한 상태에서 실험을 하면, 일부 오염물질에 대해 좀 더 우수한 세탁력을 보이나 평균값은 가이드 리브(531)의 높이(H)가 70mm로 설정된 상태보다 낮다. 한편, 이러한 수치는 실험에 의한 일 예에 불과하며 서브드럼(50)과 가이드 리브(531)의 형상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리브(5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부(C2)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거리부(C1)에 추가로 각각 구비되어 총 두 쌍을 이룰 수도 있다.
경사 가이드(581)는 가이드 리브(531)의 상측에 구비되어 서브드럼(50)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경사 가이드(581)는 가이드 리브(531)의 상측에 위치한 세탁물 투입구(580)의 내측 즉,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경사 가이드(581)가 없다면, 가이드 리브(531)에 의해 상승한 세탁수는 서브드럼바디(53)의 내주면의 상부를 거쳐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의 하측을 따라 서브드럼바디(53)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한 후 포물선을 그리면서 서브드럼바디(53)의 내부로 자유낙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사 가이드(581)가 설치되면, 세탁수는 자유낙하하지 않는다. 즉, 세탁수는 서브드럼커버(51)의 상부면의 하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 가이드(581)에 하면에 의해 하측으로 급격하게 이동 방향이 변경되는 흐름(45)을 형성한다. 즉, 수평방향 성분의 속도의 일부가 수직방향 성분의 속도로 전환된다. 급격하게 이동 방향이 변경된 세탁수는 자유낙하하는 것보다 강하게 서브드럼바디(53)에 수용된 세탁물에 충돌한다. 이때 경사 가이드(581)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각(θ)이 대략 10도로 설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세탁수의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각도는 이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바디에 수용된 세탁물에 매우 강한 충격을 전달하여 세탁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위에서 경사각(θ)이 대략 10도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수치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러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서브드럼(50)이매우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하면, 서브드럼(50)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가 서로 충돌하여 세탁물 투입구(580) 측으로 튀어 오르게 된다. 이때 경사 가이드(581)는 튀어 오른 세탁수가 상면을 따라 서브드럼(50)내부로 이동하는 흐름(46)이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서브드럼(50)은 외주면에는 밸런서(311)의 내주면에 제1 요철부(315) 맞물린 채 안착하도록 형성된 제2 요철부(535)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요철부(535)는 서브용기바디(53)의 외주면 중 결합부(C1)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는 서브용기커버(51)의 외주면에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용기바디(53)에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서브용기커버(51)가 서브용기바디(53)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급수를 수행하기 전에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이후에 급수부(18)가 드럼(30) 및 서브드럼(50) 중 하나 이상에 급수한다. 이러한 과정은 제1 센서부(54), 제2 센서부(25), 제어부(100), 급수부(18), 구동부(14) 및 제동부(1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제1 센서부(54) 및 제2 센서부(25)가 발신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거나, 제1 센서부(54)가 발신하는 감지신호 및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를 기초로 소정의 판단과정을 거쳐 급수부(18), 모터(14) 및 제동부(110)를 제어한다. 제2 센서부(25)가 발신하는 감지신호와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는 모두 제어부(100)가 드럼(3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럼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제2 센서부(25)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급수하기 위한 구성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드럼(30)에만 세탁수를 공급하여야 하는지 또는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순차적으로 세탁수를 공급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우선 드럼(30)이 회전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한다(S610). 드럼(30)이 회전하면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한편, 제2 센서부(25)에 의해 드럼(30)의 회전각도가 360도인 것으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센서부(54)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S630-N).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가 드럼(30)으로 배출되는 급수를 수행하되(S670) 외측 급수가이드(570) 혹은 내측 급수가이드(560)가 급수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동부(18)와 제동부(110)를 제어하지 않는다.
한편, 제2 센서부(25)에 의해 드럼(30)의 회전각도가 360도인 것으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센서부(54)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00)는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한다(S630-Y).
서브드럼(50)이 드럼(3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켜 드럼(30)으로 급수하는 메인급수 및 메인급수 이후 서브드럼(5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킨 후 서브드럼(50)으로 급수하는 서브급수를 수행하게 된다(S650).
한편, 메인급수 이후 서브급수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서브급수 이후에 메인급수가 수행될 수도 있다.
급수가 시작되면 우선 급수부(18)를 통해 세탁수가 배출된다. 배출된 세탁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공급되며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드럼(30) 즉 터브(20)로 공급된다. 즉, 서브드럼(50)을 회전시켜 내측 급수가이드(560)와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는 각도제어에 의한 급수가 수행된다.
일 예를 들면, 제어부(100)는 급수를 위해 서브드럼(50)이 매우 낮은 rpm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rpm은 일 예로 3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내면, 제어부(100)는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낸 시점으로부터 서브드럼(50)을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만큼 회전시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각도는 제1 센서부(54),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급수부(18)의 배치관계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서브드럼(50)이 매우 낮은 rpm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2 센서부(25)에 의해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되어 제어부(100)로 전달된다. 제어부(100)는 측정된 회전각도가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서브드럼(50)이 정지하도록 제동부(110)를 제어한다.
서브드럼(50)의 rpm이 매우 낮으므로 서브드럼(50)이 제동부(110)가 작동하는 시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거리가 무시할 정도로 매우 작다. 서브드럼(50)이 제동부(110)에 의해 제동되면,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거의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드럼(50)의 위치 수정 없이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드럼(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통해 급수하기 위해 서브드럼(50)의 회전시켜 제동하는 것은 상술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급수하기 위해 서브드럼(50)의 회전시켜 제동하는 원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00)는 서브드럼(50)의 rpm을 상승시켜 서브드럼(50)이 제동이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rpm은 일 예로 15 내지 25 rpm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에서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낼 때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회전각도 역시 제1 센서부(54),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급수부(18)의 배치관계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다만 본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는 일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서브드럼의 슬라이딩하는 거리를 고려하여 위의 일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의 일 예와 마찬가지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동안 제2 센서부(25)에 의해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되어 제어부(100)로 전달된다. 제어부(100)는 측정된 회전각도가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서브드럼(50)이 정지하도록 제동부(110)를 제어한다.
서브드럼(50)은 자체 무게뿐만 아니라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로 인하여 제동이 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각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제2 센서부(25)가 서브드럼(50)의 슬라이딩 각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하면, 제어부(100)는 위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를 수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0)는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을 지나칠 정도로 서브드럼(50)의 슬라이딩 각도가 크면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 값이 작아지도록 수정하고 그 역의 경우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 값이 커지도록 수정한다.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드럼(50)은 급수는 예를 들면 3rpm과 같이 매우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거나 그보다 높더라도 예를 들면 15 내지 25 rpm으로 회전하는 것에 그치므로 구동부(14)에 매우 적은 하중을 가한다.
한편,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급수가 이루어진 후 구동부(14)가 드럼(30)과 서브드럼(50)을 회전시켜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물과 세탁수의 무게로 인하여 구동부(14)에 높은 부하가 가해져 구동부(14)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이 상승하는 문제점에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동부(14)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와 서브드럼(50)에 대한 급수, 세탁, 헹굼, 배수 및 탈수가 서로 분리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드럼(30)과 펄세이터(35)가 다양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서의 드럼(30)과 펄세이터(35)의 구동모션은 드럼(30)과 펄세이터(35)가 회전하는 rpm과 회전방향뿐만 아니라 이와 연관되어 구동부(14)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바스켓(basket)모션, 펄세이트펄세이트(pulsate)모션, 스톱(stop)모션, 각도제어모션, 밸런스(balalnce)모션, 저속회전모션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드럼(30)과 펄세이터(35)가 구동되는 다양한 구동모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바스켓(basket)모션은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모션으로서, 구동부(14)가 드럼(30)과 서브드럼(50)을 함께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각각 공급된 세탁수의 수류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수행되는 모션이다. 이때 펄세이터(35)는 회전하지 않는다.
즉, 바스켓(basket)모션은 터브(20)와 서브드럼(50)에 각각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각각 공급된 후에 구동부(14)가 드럼(30)에 회전력을 전달함에 따라 수행된다. 바스켓(basket)모션이 수행되는 동안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물이 세탁 또는 헹굼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는 높은 rpm으로 드럼(30)을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드럼(30)은 대략 90 rpm으로 회전하며,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과 세탁수의 무게에 따라 대략 75 내지 90 rpm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바스켓모션이 수행되면 구동부(14)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한편, 바스켓모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에 고정된 채 드럼(3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인 경우, 펄세이터(35)와 드럼(30)이 구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동일한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과 드럼(30)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인 경우, 드럼(30)은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며, 펄세이터(35)는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며 단지 수류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할 수 있을 뿐이다.
펄세이트(pulsate)모션은 오로지 드럼(30)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모션으로서, 구동부(14)가 오로지 펄세이터(35)만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켜 드럼(30) 에 공급된 세탁수의 수류가 형성되도록 수행되는 모션이다. 이때 드럼(30)과 서브드럼(50)은 회전하지 않는다.
즉, 펄세이트모션은 터브(20)와 서브드럼(50)에 각각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각각 공급되거나, 오로지 터브(20)에만 세탁수가 공급된 후에 구동부(14)가 펄세이터(35)에 회전력을 전달함에 따라 수행된다. 펄세이트모션이 수행되는 동안 드럼(30)에 수용된 세탁물이 세탁 또는 헹굼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는 높은 rpm으로 펄세이터(35)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펄세이터(35)의 rpm은 대략 165rpm으로 설정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과 세탁수의 무게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된 건조 세탁물이 약 5kg인 경우 펄세이터(35)의 rpm은 대략 145 내지 165rpm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펄세이트모션이 수행되면 구동부(14)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다만 바스켓모션이 수행되는 경우보다 구동부(14)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지 않는다.
밸런스모션은 세탁물을 드럼(30) 내부의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한 모션으로서, 펄세이터(35)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는 모션이다. 이때 드럼(30)과 서브드럼(50)은 회전하지 않는다. 밸런스모션이 수행되는 동안 구동부는 펄세이터(35)를 펄세이트모션에서 펄세이터(35)가 회전하는 rpm보다 낮은 rpm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펄세이터(35)의 rpm은 대략 140rpm으로 설정되며,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과 세탁수의 무게에 따라 대략 130 내지 140rpm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밸런스모션이 수행되기 전에 바스켓모션이나 펄세이트모션이 수행되어 구동부(14)가 상승한 경우에는 밸런스모션이 이후에 수행됨에 따라 구동부(14)의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스톱모션은 드럼(30), 서브드럼(50) 및 펄세이터(35)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동부가 일시적으로 작동을 멈추는 모션이다. 구동부(14)가 작동하자 않으므로 상승한 구동부(14)의 온도가 하강하는 효과가 다른 모션에 비해 매우 크다.
각도제어모션은 서브드럼(50)에 형성된 외측 급수가이드(570)와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단일한 급수부의 하측에 위치시키도록 드럼(30)이 회전과 제동을 반복하는 단계이다. 각도제어모션에서 드럼(30)의 회전속도는 대략 15rpm 내지 25rpm의 범위 또는 대략 3rpm의 저속으로 설정되므로 바스켓모션이나 펄세이트모션이 수행되어 구동부(14)가 상승한 경우에 구동부(14)의 온도 하강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저속회전모션은 드럼(30)이 매우 낮은 속도로 회전하는 모션이다. 예를 들면, 드럼의 rpm은 대략 19 내지 21rpm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며, 특히 20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저속회전모션에 의해 드럼(30) 및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수에는 수류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주로 상승한 구동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드럼(30)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 또는 헹굼은 주로 펄세이터(35)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드럼(30)을 회전시켜 세탁 또는 헹굼이 수행될 수 있으나 펄세이터(35)를 회전하여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그 효과가 낮다.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 또는 헹굼은 드럼(30)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서브드럼(50)은 드럼(3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드럼(30)과 함께 회전하면서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한다. 펄세이터(35)는 서브드럼(50)와 연결되지 않는다.
서브드럼(50)을 회전시켜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30)을 정회전과 역회전을 시키는 경우, 드럼(30)과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와의 마찰력뿐만 아니라, 서브드럼(50)의 내측면과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물간의 마찰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며, 서브드럼에 수용된 세탁수의 무게만큼의 힘이 추가로 모터에 가해짐에 따라 구동부(14)에 매우 큰 양의 부하가 가해진다.
구동부(14)에 높은 부하가 가해지면 구동부(14)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으며, 급격히 상승한 온도는 구동부(14)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4)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은 드럼(30)이나 펄세이터(35)중 어느 하나를 오랫동안 회전시키거나, 드럼(30)의 회전과 펄세이터(35)를 복수 번 회전시키는 경우에 특히 자주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하기와 같은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수류형성단계(S722, S725) 및 냉각단계(S723, S724, S730, S7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류형성단계(S722, S725)는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각각 공급된 세탁수의 수류를 형성시켜 세탁 또는 헹굼이 수행되도록 드럼(30) 및 펄세이터(35)가 반복하여 회전하는 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류형성단계(S722, S725)에서는 바스켓모션과 펄세이트모션이 반복할 수 있으며 구동부(14)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수류형성단계(S722, S725)는 제1수류형성단계(S722)와 제2수류형성단계(S7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류형성단계(S722)는 바스켓모션이 수행됨에 따라, 구동부(14)가 드럼(30)과 서브드럼(50)을 함께 회전시켜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각각 공급된 세탁수의 수류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반복 수행되는 단계이다. 즉, 제1수류형성단계(S722)는 터브(20)와 서브드럼(50)에 각각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각각 공급된 후에 구동부(14)가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단계이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14)는 드럼(30)뿐만 아니라 펄세이터(35)에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류형성단계(S722)는 구동부(14)가 드럼(30) 및 드럼(30)의 내주면에 결합한 서브드럼(50)이 함께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때 드럼(30)의 표면과 터브(20)에 수용된 세탁물, 세탁수간의 마찰력, 드럼(30)과 서브드럼(50)의 무게와 각각에 수용된 세탁수의 무게, 서브드럼(50)의 내측면과 이에 수용된 세탁수의 간의 마찰력이 드럼(30)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저항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제1수류형성단계(S722)는 후술하는 제2수류형성단계(S725)를 포함하여 다른 세탁 및 헹굼단계에 비해 구동부(14)에 가해지는 부하의 양이 가장 크며 구동부(14)의 온도가 가장 급격하게 상승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제1수류형성단계(S722)는 구동부(14)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소정의 시간을 넘어서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약 1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드럼(30)과 서브드럼(50)의 용량, 구동부(14)의 성능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이러한 제1수류형성단계(S722)의 이후에는 제2수류형성단계(S725)를 비롯하여 후술하는 냉각단계(S723, S724, S730, S74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수류형성단계(S725)는 제1수류형성단계(S722)와 반복하여 수행되며, 펄세이트모션이 수행되는 단계 즉, 구동부(14)에 의해 펄세이터(35)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도록 하여 드럼(30) 내부의 세탁수에 수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제2수류형성단계(S725)는 터브(20)와 서브드럼(50)에 세탁수가 공급된 후에 구동부(14)가 펄세이터(35)에게 회전력을 전달하는 단계이다. 다만 서브드럼(50)이드럼(30)에 장착된 상태에서 터브(20)에만 세탁수가 공급된 후에 구동부(14)가 펄세이터(35)에게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수류형성단계(S725)에서는 펄세이트모션이 한 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제2수류형성단계(S725)는 펄세이터(35)의 표면과 드럼(30) 내부의 세탁물, 세탁수와의 마찰력이 펄세이터(35)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저항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제2수류형성단계(S725)는 제1수류형성단계(S722)가 구동부(14)에 가하는 부하보다 작은 부하가 구동부(14)에 가해지며, 제1수류형성단계(S722)에서 구동부(14)의 온도 상승률보다 작은 온도 상승률에 따라 구동부(14)의 온도가 상승한다.
한편, 제2수류형성단계(S725)는 제1수류형성단계(S722)에서 구동부(14)의 온도가 지나치게 많이 상승한 경우, 제1수류형성단계(S722) 이후에 수행됨에 따라 오히려 구동부(14)의 온도를 소폭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수류형성단계(S722)가 계속해서 수행되면 구동부(14)에 하중이 많이 가해져 구동부(14)의 온도가 상승하지만, 제1수류형성단계(S722)와 제2수류형성단계(S725)가 반복해서 수행되면 구동부(14)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이 억제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냉각단계(S723, S724, S730, S740)는 수류형성단계(S722, S725)의 수행 중 상승한 구동부(14)의 온도가 하강하도록 드럼(30) 및 펄세이터(35) 중 적어도 하나가 일정한 시간 동안 회전하지 않는 단계이다. 냉각단계는 구동부(14)가 일정한 시간 동안 작동하지 않는 동안 열을 방출할 시간을 확보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단계는 수류형성단계(S722, S725)가 시작된 후 종료하기까지의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류형성단계(S722, S725)가 시작된 후에는 종료하기까지 구동부(14)의 온도가 적어도 한 번 급격히 상승하므로 구동부(14)를 알맞은 때에 냉각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류형성단계(S722, S725)가 종료한 후에는 드럼(30)과 서브드럼(50)이 세탁수를 배출한 채 회전하는 배수 및 탈수단계가 수행되는데, 이러한 배수 및 탈수단계가 구동부(14)에 가하는 부하는 수류형성단계(S722, S725)에서 구동부(14)에 가해지는 부하보다 낮다. 따라서 수류형성단계(S722, S725)가 종료한 후에는 배수 및 탈수단계의 수행만으로도 구동부의 냉각이 가능하다.
이러한 냉각단계는 추가급수단계(S723, S724), 포풀림단계(S730) 및 휴지(休止, pause, S740)단계를 포함한다.
추가급수단계(S723, S724)는 드럼(30)과 펄세이터(35)의 회전이 정지한 상태에서 터브(20)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터브(20)의 수위가 기준치보다 낮으면 세탁수가 터브(20)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터브(20)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는 스톱모션이 수행됨에 따라, 수위센서가 터브(20)의 수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 터브(20)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에 수류가 형성되지 않도록 드럼(30)과 펄세이터(35)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부(14)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 구동부(14)로부터 열이 방출될 수 있다.
세탁수가 터브(20)로 공급되는 단계는 터브(20)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수위가 기준치보다 낮으면 급수부(18)로부터 터브(20)로 세탁수가 추가로 공급된다. 터브(20)로 세탁수 추가공급을 위한 급수위치 설정을 하도록 각도제어모션이 수행됨에 따라 드럼(30)이 회전과 정지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드럼(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대략 3rpm 또는 대략 15 내지 25 rpm의 범위로 회전한다. 드럼(30)의 회전속도가 매우 낮으므로 구동부(14)의 발열량이 매우 적다.
따라서 구동부(14)의 온도가 지나치게 많이 상승한 경우라면, 이러한 드럼(30)의 매우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구동부(14)의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포풀림단계(S730)는 밸런스모션이 수행됨에 따라, 세탁이나 헹굼에서의 펄세이터(35)의 회전에 의해 엉킨 세탁물을 드럼(30)의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 펄세이터(35)가 매우 낮은 속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단계이다.
포풀림단계(S730)에서의 펄세이터의 회전속도는 제2수류형성단계(S725)에서 펄세이터(35)의 회전속도보다 매우 낮다. 구동부(14)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제2수류형성단계(S725)에서보다 포풀림단계(S730)에서 더 작게 발생한다. 따라서, 제2수류형성단계(S725)에서 구동부(14)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간 경우 포풀림단계(S730)을 수행함으로써 구동부(14)의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휴지단계(S740)는 스톱모션이 수행됨에 따라 구동부(14)의 작동을 정지시켜 드럼(30)과 펄세이터(35)가 회전하지 않거나, 저속회전모션이 수행됨에 따라 드럼(30)이 매우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단계이다. 구동부(14)의 온도 하강효과가 가장 큰 단계이다. 휴지단계(S740)는 사용자가 세탁장치의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세탁과정의 수행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드럼(30)이 매우 낮은 회전속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의 제어방법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단계가 일정한 패턴을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드럼(30)의 내주면에 서브드럼(50)이 장착되면, 터브(20)와 서브드럼(50)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S710)가 수행된다.
급수단계(S710)는 터브(2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에 의해 터브(20)에 공급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하며, 유량과 시간을 측정하여 서브드럼(50)에 공급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한다.
이후,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하도록 드럼(30)을 회전시키는 제1수류형성단계(S722)가 수행된다.
한편, 드럼(30)의 내주면과 터브(20)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 간의 마찰에 의해 드럼(30) 내부의 세탁수에서도 수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수류형성단계(S722)는 서브드럼(50)뿐만 아니라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하는 단계이기도 하다.
제1수류형성단계(S722)에서는 구동부(14)가 드럼(30)을 정회전 및 역회전 하도록 함에 따라 구동부(14)에 매우 큰 부하량이 가해지며, 이로 인해 구동부(14)의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간다. 따라서 제1수류형성단계(S722)는 소정의 시간을 넘어서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소정의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1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에 수용된 세탁물은 그 종류에 따라 급수단계(S710)는 물론 제1수류형성단계(S722)에서도 계속해서 세탁수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단계(S710)에서 수위센서로 측정한 세탁수의 양으로는 충분한 세탁력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다시 수위를 측정하여 추가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즉, 제1수류형성단계(S722)가 수행된 후 터브(20)의 수위가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23)와, 측정된 수위가 기준치 미만(S723-Y)이면 터브(20)에 추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S724)를 포함하는 추가급수단계(S723, S724)가 수행된다.
추가급수단계(S723, S724)는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동부(14)가 작동하지 않고 나아가 급수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드럼(30)의 회전속도가 매우 낮으므로 구동부(14)의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수위가 기준치 이상(S723-N)이거나 추가급수단계(S723, S724)에서 세탁수가 추가로 공급된 후에는 제2수류형성단계(S725)가 수행된다.
제2수류형성단계(S725)는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에 대한 세탁 또는 헹굼이 수행되기 위해 펄세이터(35)가 회전한다. 추가급수단계(S723, S724)의 수행에 의해 하강한 구동부(14)의 온도는 제2수류형성단계(S725)에 의해 다시 상승한다.
도 7에서 도시된 제1수류형성단계(S722), 추가급수단계(S723, S724) 및 제2수류형성단계(S725)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절차는 수 차례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n값에 최초로 0을 저장한 후 제2수류형성단계(S725)가 수행되면 n값에 1을 더한 후(S726) 이러한 n값이 기준치에 도달하지 않으면(S727-N) 다시 제1수류형성단계(S722) 가 수행되고 n값이 기준치이면(S727-Y)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기준치는 세탁물의 종류, 세탁물의 양, 세탁수의 양, 세탁수의 온도 등의 인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다.포풀림단계(S730)가 수행된다. 포풀림단계(S730)는 일반적으로 제1수류형성단계(S722), 추가급수단계(S723, S724) 및 제2수류형성단계(S725)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절차가 수차례 반복된 이후에 수행된다. 즉 세탁물이 어느 정도 엉킨 이후에 수행된다.
이러한 포풀림단계(S730)는 펄세이터(35)가 매우 낮은 회전속도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므로 위 일련의 절차의 수행에 의해 상승한 구동부(14)의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휴지단계(S740)는 포풀림단계(S730)의 수행 이후에 수행된다. 나아가 휴지단계(S740)는 구동부(14)의 온도 하강효과가 가장 큰 단계이며, 제1수류형성단계(S722)의 수행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미리 휴지단계(S740)가 수행되도록 하여 구동부(14)의 온도를 충분히 낮춘 후 제1수류형성단계(S722)를 수행하도록 하면, 제1수류형성단계(S722)에서 구동부(14)의 온도 상승 폭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구동부(14)의 온도가 구동부(14)의 고장에 이르는 온도까지 도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1수류형성단계(S722)에서 형성되는 서브드럼(50)내의 수류의 강도가 제2수류형성단계(S725)에서 형성되는 드럼(30)내의 수류의 강도보다 낮기 때문에 제1수류형성단계(S722)가 제2수류형성단계(S725)보다 더 많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수류형성단계(S722)는 배수 및 탈수단계(S760)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하는 수류형성단계(S722, S725)는 제1수류형성단계(S722)의 종료와 함께 종료할 수 있다.
배수단계에서 터브(20)와 서브드럼(50)으로부터 세탁수를 모두 배출하며, 따라서 탈수단계에서 구동부(14)가 드럼(30)와 펄세이터(35)를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구동부(14)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제1수류형성단계(S722)는 물론 제2수류형성단계(S725)에서 구동부(14)에 가해지는 부햐량보다 작다.
따라서 제1수류형성단계(S722)가 배수 및 탈수단계(S760)이전에 수행되는 것은 배수 및 탈수단계(S760)가 수행되는 동안 제1수류형성단계(S722)에서 상승한 구동부(14)의 온도가 하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수류형성단계(S722) 다시 말하면 수류형성단계(S722, S725)가 수행된 이후에는 별도의 냉각단계가 수행되지 않으며 배수 및 탈수단계(S76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수류형성단계(S722)와 제2수류형성단계(S725)가 세탁을 위해 수행되는 경우, 배수 및 탈수단계(S760)에서 탈수는 간이 탈수이며, 제1수류형성단계(S722)와 제2수류형성단계(S725)가 헹굼을 위해 수행되는 경우, 배수 및 탈수단계(S760)에서 탈수는 본 탈수이다.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 과정 동안 수류형성단계(S722, S725)와 냉각단계가 수행되는 패턴의 다른 실시예가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구동부(14)의 온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세탁과정이 도시된다. 여기서 제1수류형성단계(S722)는 S1로 표시되고, 제2수류형성단계(S725)는 S4로 표시되고, 추가급수단계(S723, S724)는 S2로 표시되고, 포풀림단계(S730)는 S7로 표시되고, 휴지단계(S740)는 S5로 표시되고, 배수 및 탈수단계(S760)는 S9로 표시된다.
제2수류형성단계(S4)가 최초로 수행되며, 제1수류형성단계(S1)와 추가급수단계(S2)와 제1수류형성단계(S1)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절차(S10)가 수 차례 반복하여 수행된다. 모두 제1수류형성단계(S1)에서 구동부(14)의 온도가 상승하고 추가급수단계(S2)에서 구동부(14)의 온도가 하강하거나 온도 상승률이 둔해진다.
한편, 상술한 일련의 절차(S10) 사이에는 제2수류형성단계(S4)와 휴지단계(S5)가 수행된다.
상술한 일련의 절차(S1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3번 반복하고 종료되며, 이후 제2수류형성단계(S4)가 수행된다. 상술한 일련의 절차(S10)가 3번 반복됨에 따라 구동부(14)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한 상태이므로 제2수류형성단계(S4)가 수행됨에도 구동부(14)의 온도가 낮아지는 형태를 나타낸다.
이후 포풀림단계(S7)와 휴지단계(S5)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포풀림단계(S7)와 휴지단계(S5)가 수행되면 이후 제1수류형성단계(S1)와 제2수류형성단계(S4)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면서 구동부(14)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후 다시 포풀림단계(S7)와 휴지단계(S5)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포풀림단계(S7) 이후 휴지단계(S5)가가 수행됨에 따라 구동부(14)의 온도가 충분히 하강한다.
이후 제1수류형성단계(S1)가 마지막으로 수행된 후 배수단계와 탈수단계가 수행된다. 배수단계와 탈수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제1수류형성단계(S1)에서 상승한 구동부(14)의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헹굼과정이 도시된다. 제1수류형성단계(S1)가 최초로 수행되며 이후 제2수류형성단계(S4)와 추가급수단계(S2)와 다시 제1수류형성단계(S1)가 수행된다.
이후, 세탁물의 엉킴을 풀어주는 포풀림단계(S7)가 수행되며 이후 추가급수단계(S2)가 수행되어 구동부(14)의 온도를 충분히 하강시킨 후 제1수류형성단계(S1)가 수행된다.
헹굼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와 달리 휴지단계(S5)가 수행되지 않는다. 헹굼과정은 세탁과정보다 짧으므로 구동부(14)의 온도 상승 폭이 비교적 작으며, 세제의 용해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20: 터브 30: 드럼
50: 서브드럼 560: 내측 급수가이드
570: 외측 급수가이드 51: 서브드럼커버
53: 서브드럼바디 531: 가이드 리브
70: 배출부

Claims (28)

  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서브드럼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이 함께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류가 동시에 형성되는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만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류가 형성되는 펄세이터모션이 수행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모션이 반복됨에 따라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수류형성단계; 및
    상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도중, 상기 수류형성단계의 시작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수류형성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승한 구동부의 온도가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부가 정지하거나 상기 수류형성단계에서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기준치 이하의 출력량으로 작동하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단계의 수행 시점은 기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서브드럼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이 함께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류가 동시에 형성되는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만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류가 형성되는 펄세이터모션이 수행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모션이 반복됨에 따라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수류형성단계; 및
    상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도중, 상기 수류형성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승한 구동부의 온도가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부가 정지하거나 상기 수류형성단계에서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기준치 이하의 출력량으로 작동하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상기 펄세이터모션이 수행되는 시간의 총 합이 상기 바스켓모션이 수행되는 시간의 총 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에 세탁수가 추가될 때 상기 드럼와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는 추가급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모션 사이에 수행되거나,
    상기 바스켓모션과 바스켓모션 사이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펄세이터모션과 펄세이터모션 사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터브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터브의 수위가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드럼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급수가이드를 단일한 급수부의 하측에 위치시키는 각도제어모션이 된 후, 세탁수가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을 상기 드럼 내부의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펄세이터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는 밸런스모션이 수행되는 포풀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전기(前期)세탁행정 또는 전기(前期)헹굼행정에서 수행되며, 후기(後期)세탁행정 또는 후기(後期)헹굼행정에는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풀림단계가 수행되면서 상기 전기(前期)세탁행정 또는 전기(前期)헹굼행정에서 후기(後期)세탁행정 또는 후기(後期)헹굼행정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과 상기 드럼이 기준치 미만의 rpm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저속회전모션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휴지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풀림단계는 상기 펄세이터모션과 상기 휴지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과 상기 드럼이 상기 바스켓모션에서의 rpm보다 작은 rpm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저속회전모션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휴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단계는 상기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모션 사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에 세탁수가 추가될 때 상기 드럼와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는 추가급수단계;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과 상기 드럼이 기준치 미만의 rpm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저속회전모션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휴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급수단계와 상기 휴지단계는 각각 한 번 이상 수행되며,
    상기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모션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추가급수단계와 상기 휴지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상기 바스켓모션이 마지막으로 수행되며,
    상기 수류형성단계의 종료 후,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에서 상기 터브로부터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배수펌프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모션에서 배수가 종료된 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터브와 상기 서브드럼으로부터 세탁수를 탈수하는 탈수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서브드럼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이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 내부에 세탁수의 수류가 동시에 형성되는 바스켓모션에 의해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제1수류형성단계; 및
    오로지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 내부에 세탁수의 수류가 형성되는 펄세이터모션에 의해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제2수류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 및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는, 상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도중, 각각 복수 번 수행되며,
    상기 바스켓모션에 의한 상기 구동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하나의 바스켓모션의 최대 수행시간은 하나의 펄세이터모션의 최대 수행시간과 같거나 작게 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의 총 합은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의 총 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세탁수가 추가될 때 상기 드럼와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는 추가급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과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 사이에 한 번 이상 수행거나,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의 상기 바스켓모션들 사이에 한 번 이상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의 상기 펄세이터모션들 사이에 한 번 이상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터브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터브의 수위가 기준치보다 낮으면, 상기 서브드럼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급수가이드를 단일한 급수부의 하측에 위치시키는 각도제어모션이 수행된 후, 세탁수가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과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과 상기 드럼이 상기 바스켓모션에서의 rpm보다 작은 rpm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저속회전모션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휴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급수단계와 상기 휴지단계는 각각 한 번 이상 수행되며,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과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추가급수단계와 상기 휴지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을 상기 드럼 내부의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펄세이터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는 밸런스모션이 수행되는 포풀림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전기(前期)세탁행정 또는 전기(前期)헹굼행정에서 수행되며, 후기(後期)세탁행정 또는 후기(後期)헹굼행정에는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스톱모션과 상기 드럼이 기준치 미만의 rpm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저속회전모션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휴지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풀림단계는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 이후 상기 휴지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4.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서브드럼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이 함께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서브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류가 동시에 형성되는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만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세탁수의 수류가 형성되는 펄세이터모션이 수행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모션이 반복됨에 따라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수류형성단계; 및
    상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도중, 상기 수류형성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승한 구동부의 온도가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부가 정지하거나 상기 수류형성단계에서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기준치 이하의 출력량으로 작동하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드럼에 세탁수가 추가될 때 상기 드럼와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는 추가급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상기 바스켓모션과 상기 펄세이터모션 사이에 수행되거나,
    상기 바스켓모션과 바스켓모션 사이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펄세이터모션과 펄세이터모션 사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서, 상기 펄세이터모션이 수행되는 시간의 총 합이 상기 바스켓모션이 수행되는 시간의 총 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형성단계는 상기 바스켓모션이 마지막으로 수행되어 종료되고,
    상기 수류형성단계 종료 후, 배수펌프가 작동하여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가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급수단계는 세탁행정에서 복수 회 수행되며, 상기 추가급수단계의 수행 시점은 기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8. 삭제
KR1020170060936A 2017-05-17 2017-05-17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2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936A KR101926144B1 (ko) 2017-05-17 2017-05-17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6/612,032 US11603618B2 (en) 2017-05-17 2018-05-17 Garment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8/005686 WO2018212614A2 (ko) 2017-05-17 2018-05-17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01880032497.1A CN110637119B (zh) 2017-05-17 2018-05-17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BR112019024076-4A BR112019024076B1 (pt) 2017-05-17 2018-05-17 Método de controle de um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s para lavar
AU2018271006A AU2018271006B2 (en) 2017-05-17 2018-05-17 Garment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936A KR101926144B1 (ko) 2017-05-17 2017-05-17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798A Division KR102060071B1 (ko) 2018-11-30 2018-11-30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214A KR20180126214A (ko) 2018-11-27
KR101926144B1 true KR101926144B1 (ko) 2019-02-26

Family

ID=6427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936A KR101926144B1 (ko) 2017-05-17 2017-05-17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03618B2 (ko)
KR (1) KR101926144B1 (ko)
CN (1) CN110637119B (ko)
AU (1) AU2018271006B2 (ko)
WO (1) WO2018212614A2 (ko)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7627A (en) 1982-12-16 1984-08-28 Whirlpool Corporation Pump for a dispensing system for an automatic washer
KR19980039510A (ko) * 1996-11-27 1998-08-17 배순훈 세탁기 모터의 부하 제어방법 및 부하 제어장치
KR200144415Y1 (ko) * 1996-12-20 1999-06-15 오상수 파킹케이블 가이드
KR100689338B1 (ko) * 2001-01-16 2007-03-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20030045447A (ko) * 2001-12-04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KR100400760B1 (ko) * 2001-12-17 200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행정 제어방법
DE10361405A1 (de) * 2003-12-29 2005-07-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einer Steueranordnung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Motors
KR101157826B1 (ko) * 2004-10-26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70860B1 (ko) * 2006-05-26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실 장치의 건조 방법
KR101609681B1 (ko) * 2009-06-30 2016-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1330B1 (ko) * 2009-11-02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45759A (ko) * 2009-10-27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716191B1 (ko) * 2009-12-04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KR101668697B1 (ko) * 2010-02-02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752895B1 (ko) * 2010-09-15 201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547724B (zh) * 2011-04-14 2016-05-04 Lg电子株式会社 洗涤方法
KR20130048453A (ko) * 2011-11-02 2013-05-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모터 부하 제어방법
CN103572545B (zh) * 2012-08-03 2017-12-29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洗涤方法及洗衣机
JP2014054276A (ja) * 2012-09-11 2014-03-27 Panasonic Corp 洗濯機
CN104278480B (zh) 2013-07-09 2019-02-1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双滚筒洗衣机
KR20150041855A (ko) * 2013-10-10 201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442244A (zh) * 2014-08-12 2016-03-30 深迪半导体(上海)有限公司 一种洗衣机振动控制方法及洗衣机
US9982381B2 (en) * 2014-08-19 2018-05-29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903060B2 (en) * 2015-01-13 2018-02-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nduction motor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phase controlled alternating current
US11060229B2 (en) * 2015-04-27 2021-07-13 Lg Electronics Inc. Cloth-treating apparatus
CN106149288A (zh) * 2016-09-08 2016-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洗衣方法和装置
KR102622717B1 (ko) * 2016-11-23 202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214A (ko) 2018-11-27
BR112019024076A2 (pt) 2020-06-02
CN110637119B (zh) 2022-06-24
WO2018212614A2 (ko) 2018-11-22
US20210140088A1 (en) 2021-05-13
AU2018271006B2 (en) 2020-12-10
US11603618B2 (en) 2023-03-14
AU2018271006A1 (en) 2019-12-05
CN110637119A (zh) 2019-12-31
WO2018212614A3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24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2504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332283B1 (ko) 세탁기 및 그 포 풀림 제어방법
KR10206006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74935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25633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WO2013073140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52279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KR10192614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130482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204623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1184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38901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N110770384B (zh) 衣物处理设备和控制该设备的方法
CN110741117B (zh) 衣物处理设备和控制该设备的方法
KR1024118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3719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KR102065428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2223442A (ja) 洗濯機
KR10254117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3052055A (ja)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10691874B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4872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770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4130375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