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063A -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063A
KR20190004063A KR1020170084155A KR20170084155A KR20190004063A KR 20190004063 A KR20190004063 A KR 20190004063A KR 1020170084155 A KR1020170084155 A KR 1020170084155A KR 20170084155 A KR20170084155 A KR 20170084155A KR 20190004063 A KR20190004063 A KR 2019000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lutch
pair
side gears
support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178B1 (ko
Inventor
서신원
정맹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1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조작부의 작동에 기초하여, 각각 구동 가능한 한 쌍의 주행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로서, 미션 케이스에 설치된 지지축에 지지되어,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센터 기어; 센터 기어의 좌우 양측에서, 지지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센터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의 각각의 이동에 따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의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되는 좌우 한 쌍의 클러치 부재; 및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의 이동을 조작하는 사이드 기어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Side Clutch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주행 및 조향 기능을 담당하는 변속 부재 중 사이드 클러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클러치의 레버와 유압 부재를 커넥터를 통해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레버의 복원력을 증진시켜서 기어 간의 정확한 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콤바인은 농토를 주행하면서 농작물을 베는 예취 작업과, 예취되어 이송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 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농업용 기기이다. 이러한 콤바인은, 엔진에서의 동력을 이용하여 궤도를 작동시키는 주행부와, 벼나 보리와 같은 농작물을 베는 예취부와, 예취된 농작물의 이삭을 탈곡하는 탈곡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콤바인의 주행부는, 엔진에서의 동력이 유압무단변속기(HST)와 트랜스미션을 거쳐 전달되는 차축의 회전에 의하여 무한궤도가 회전하면서 전체적인 콤바인을 주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1234788호에는 콤바인의 주행과 조향 제어를 위한 주행 제어 장치 및 주행 제어 방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미션에는 상기 콤바인의 두 개의 주행 장치 각각에 동력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사이드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클러치는 작동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접촉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는 상기 레버로 작동력을 전달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한다. 피스톤로드는 콤바인의 양측에 설치된 두 개의 궤도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좌측 피스톤로드와 우측 피스톤로드로 구분된다. 또한, 각 피스톤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양 차축, 즉, 두 개의 궤도에 대한 동력 전달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의 양측에 설치된 두 개의 궤도 중 좌측 궤도의 동작을 정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우측 피스톤로드가 하강 이동하여 좌측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좌측 차축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좌측 차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우측 피스톤로드가 상승 이동하여 상기 우측 피스톤로드와 좌측 레버가 원 위치로 상승 이동될 수 있다.
종래에는 위와 같은 레버의 상승 이동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콤바인의 장기간 사용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약해지는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상기 레버의 상승 이동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주행 또는 조향 신호에도 불구하고, 궤도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사고 등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보 제10-12347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궤도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차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유압 장치의 피스톤로드가 상승하더라도 레버가 정위치로 회전하지 못하여 정상적인 궤도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기어의 파손 또는 마모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향 조작부의 작동에 기초하여, 각각 구동 가능한 한 쌍의 주행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로서, 미션 케이스에 설치된 지지축에 지지되어,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센터 기어; 센터 기어의 좌우 양측에서, 지지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센터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의 각각의 이동에 따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의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되는 좌우 한 쌍의 클러치 부재; 및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의 이동을 조작하는 사이드 기어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의 클러치 부재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 사이에는, 사이드 기어의 가압 부재를 지지축을 따라 클러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이드 기어 조절 수단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와 결합되어, 축방향으로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회동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를 이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절환 포크; 일단부가 절환 포크의 회동축과 동축으로 결합되어, 절환 포크에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회동력을 부여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클러치 레버; 및 사이드 클러치 레버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유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환 포크는, 사이드 기어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계합부에 삽입되어, 사이드 기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압 장치는, 유압 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피스톤로드; 및 피스톤로드의 단부에서 피스톤로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피스톤로드가 하강 시, 사이드 클러치 레버의 타단부를 가압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상태에서, 걸림부와 사이드 클러치 레버의 타단부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거나, 서로 접하고 있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로드와 사이드 클러치 레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피스톤로드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피스톤로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파지부; 사이드 클러치 레버와 피봇 회전 결합되는 결합부; 및 파지부와 결합부를 연결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스톤로드가 상승되어 걸림부와 파지부의 하면이 접촉되면, 사이드 클러치 레버의 타단부가 피봇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걸림부와 사이드 클러치 레버의 타단부가 접촉시, 걸림부와 파지부의 하면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터 기어는, 지지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의 피스톤로드가 레버와 커넥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피스톤의 상승 이동에 대응하여 레버가 상향 회전 이동함으로써 항상 정상적인 궤도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궤도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차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커넥터 부재에 의해 레버의 복원력이 크게 향상되므로 기어 간의 정확한 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어의 파손 또는 마모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장치의 피스톤로드와 사이드 클러치 레버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사이드 클러치 구조가 작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사이드 클러치 구조가 작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유압 장치 및 커넥터에 의해 사이드 클러치 구조가 작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형태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작업 차량의 하나로서 콤바인은 엔진에서의 동력을 이용하여 궤도를 작동시키는 주행부와, 벼나 보리와 같은 농작물을 베는 예취부와, 예취된 농작물의 이삭을 탈곡하는 탈곡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주행부가 사이드 클러치 구조(1)를 통해 차축으로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콤바인의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고, 도 1을 참고하여, 사이드 클러치 구조(1)에 따른 콤바인의 조향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콤바인의 조향은 운전부에 설치된 조향 조작부(도시되지 않음)가 작동됨으로써 동작한다. 이러한 조향 조작부의 작동에 의해,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 주행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엔진의 구동력이 전달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즉,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 주행 장치에 각각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좌우의 주행 장치에 대해 엔진의 구동력을 차별적으로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콤바인의 운전자는 선회 시에 작업 차량이 비교적 큰 회전 궤적을 그리면서 선회하는 "완선회" 또는 작업 차량이 좌우 한 쌍의 주행 장치 중 하나의 주행 장치를 중심으로 하는 비교적 작은 회전 궤적을 그리면서 선회하는 "급선회"를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클러치 구조(1)는 작업 차량의 미션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50)과, 지지축(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기어로서의 센터 기어(10)와, 센터 기어(10)의 좌우 양측에서 지지축(5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축(5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20R, 20L)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20R, 20L)들과 선택적으로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참고로, 우측의 주행 장치의 동력 전달과 관련하는 구성들에 대해서는 부재번호 숫자에 "R"을 부가하고, 좌측의 주행 장치의 동력 전달과 관련하는 구성들에 대해서는 부재번호 숫자에 "L"을 부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1)는 센터 기어(10)를 중심으로 좌측(L)과 우측(R)의 주행 장치에 관련되는 구성들이 대칭이므로, 여기에서는 우측(R)의 주행 장치와 관련하는 사이드 클러치 구조(1)의 작동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조작부(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기초하여, 사이드 기어(20R)는 지지축(50)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며, 이러한 상대 이동에 의해 센터 기어(10)와 맞물리거나 그 맞물림이 해제된다. 사이드 기어(20R)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2 참조), 이는 동력 흐름 상 하류 측의 구동 전달 기어와 상시적으로 맞물려 있다. 따라서, 센터 기어(10)와 사이드 기어(20R)가 맞물려 일체로 회전하는 경우, 엔진의 구동력이 구동 전달 기어에 전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기어(20R)는 지지축(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센터 기어(1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측에는, 사이드 기어(20R)가 지지축(5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클러치 부재(30R)를 가압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가압 부재(21R)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부재(30R)와 사이드 기어(20R) 사이에는 탄성 부재(31R)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R) 주행 장치에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조작하는 경우, 도 1을 참고하면, 사이드 기어(20R)와 센터 기어(10)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사이드 기어(20R)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클러치 부재(30R)를 작동시키고, 이 때, 탄성 부재(31R)는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31R)는 사이드 기어(20R)의 가압 부재(21R)를 클러치 부재(30R)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
이러한 사이드 기어(20R)의 이동을 조절하는 사이드 기어 조절 수단은, 사이드 기어를 직접적으로 이동시키는 절환 포크(40R), 절환 포크(40R)를 피봇 회전 구동시키는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및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를 피봇 회전 구동시키는 유압 장치(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압 장치(100)의 일 예로서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기어(20R)를 이동시키는 절환 포크(40R)는, 사이드 기어(20R)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합부(22R)에 삽입되어 사이드 기어(20R)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형태로서, 사이드 기어(20R)와 결합하고 있다.
또한, 유압 장치(100)는 유압 실린더(110R)의 유압에 의해 직선으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로드(111R)를 구비하고 있으며, 피스톤로드(111R)의 단부에는 피스톤로드(111R)의 직경보다 큰 걸림부(112R)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압 장치(100)와 절환 포크(40R) 사이에는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가 배치됨으로써, 피스톤로드(111R)의 작동에 의하여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가 피봇 회전되는 경우,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축(201R)과 절환 포크(40R)의 회동축(41R)이 동축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절환 포크(40R)도 함께 회전 구동되고, 사이드 기어(20R)가 지지축(50)을 따라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및 도 2를 참고하면, 유압 장치(100)는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를 피봇 회전 운동시키고,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는 절환 포크(40R)를 회동시키며, 절환 포크(40R)는 사이드 기어(20R)를 이동시키고, 사이드 기어(20R)는 클러치 부재(30R)을 작동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피스톤로드(111R)의 걸림부(112R)는 사이드 클러치 레버의 타단부(203R)와 소정의 거리(d1)로 이격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장치(100)의 피스톤로드(111R)와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가 커넥터(120R)에 의해 연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이러한 커넥터(120R)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111R)와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는 커넥터(120R)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120R)는 피스톤로드(111R)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피스톤로드(111R)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파지부(121),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일 지점(202R)에서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와 피봇 회전 결합하는 결합부(123), 및 파지부(121)와 결합부를 연결하는 지지부(122)로 구성된다.
또한, 피스톤로드(111R)와 파지부(121)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피스톤로드(111R)가 상승하는 경우, 파지부(121)의 하면(124)은 피스톤로드(111R)에 형성된 걸림부(112R)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부(112R)는 일 예로 볼트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1)의 작동관계를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좌측(L)과 우측(R)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는 대칭이므로, 우측(R)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의 작동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1)에 있어서, 초기 상태로부터 사이드 클러치 구조(1)가 작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조향 조작부(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키면, 유압실린더에 유압이 공급됨으로써, 피스톤로드(111R)가 하강하면서 걸림부(112R)가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타단부(203R)를 가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부의 작동이 시작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걸림부(112R)와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타단부(203R)는 소정의 거리(d1)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112R)가 이러한 소정의 거리(d1)를 이동한 이후에 실질적으로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타단부(203R)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일단부(201R)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112R)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타단부(203R)가 이동하는 경우, 도면상으로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는 일단부(201R)을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피봇 회전 운동된다.
또한,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일단부(201R)는 절환 포크(40R)의 회동축(41R)과 동축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시계 방향 회전은, 절환 포크(40R)의 시계 방향 회전을 야기하고, 절환 포크(40R)와 결합된 사이드 기어(20R)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이드 기어(20R)는 센터 기어(10)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사이드 기어(20R)가 좌측으로 더욱 이동하면서 가압 부재(21R)가 클러치 부재(30R)을 작동시켜 우측(R) 주행 장치에 브레이크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 때, 탄성 부재(31R)에는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1)에 있어서, 탄성 부재(31R)의 탄성력에 의해 사이드 클러치 구조(1)가 작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장치(100)에서 유압에 의해 피스톤로드(111R)가 상승하고, 탄성 부재(31R)에 보유되어 있던 탄성력에 의해, 사이드 기어(20R), 절환 포크(40R),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및 피스톤로드(111R)가 구동되어, 클러치 부재(30R)에 작용되는 브레이크력이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1)에 있어서, 탄성 부재(31R)의 탄성력에 의한 작동 외에, 유압 장치(100)에 의해 추가적으로 사이드 클러치 구조(1)가 작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탄성 부재(31R)의 수명 또는 상태 이상으로 탄성 부재(31R)가 충분한 탄성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구성 요소들 간의 마찰 등으로 인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경우, 전술한 구성 요소들 모두가 초기 상태의 위치로 돌아갈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시점에서 구성 요소들이 정지할 수도 있다.
이 때, 전술한 커넥터(120)를 통해, 유압 장치(100) 내부의 피스톤로드(111R)의 복귀력을 이용함으로써, 사이드 기어(20R), 절환 포크(40R),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를 초기 상태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압 장치(100) 내부의 복귀력에 의하여, 피스톤로드(111R)는 소정의 거리(d1)만큼 상승될 것이고, 피스톤로드(111R)는 커넥터(120)의 파지부(12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것이다.
따라서, 탄성 부재(31R)의 탄성력에 의해 구성 요소들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더라도,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타단부(203)와 피스톤로드 걸림부(112R)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d2)가 되었을 때, 커넥터(120)의 파지부(121)의 하면(124)이 걸림부(112)와 접촉함으로써 커넥터(120)가 피스톤로드(110R)와 함께 상승되어, 도면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가 추가적으로 피봇 회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압 장치(110)의 복귀력이 탄성 부재(31)의 복귀력을 보조할 수 있으며, 사이드 기어(20)가 항상 정상적으로 이동과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콤바인의 선회 조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좌우의 주행 장치에 동일한 속도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경우, 콤바인은 직진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조향 조작부를 이용하여 콤바인을 우측(R)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유압 장치(100)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 기어(20R)가 좌측으로 이동되고, 사이드 기어(20R)와 센터 기어(10)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결과, 우측(R)의 주행 장치로 구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좌측(L)의 주행 장치로만 구동력이 전달되어, 콤바인은 우측(R)으로 비교적 큰 회전 궤적을 그리면서 선회하는 "완선회"가 실시될 수 있다.
계속하여, 유압 장치(100)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 기어(20R)가 더욱 좌측으로 이동되면, 좌측의 우측 클러치 부재(31R)가 작동된다. 이 결과, 우측(R)의 주행 장치에 브레이크력이 발생되어, 콤바인은 우측(R)의 주행 장치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궤적을 그리면서 우측으로 갑자기 선회하는 "급선회"가 실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클러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의 변형된 실시 형태는 도 1의 일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유압 장치(100)의 피스톤로드(111R)의 길이가 더 연장되어 있다. 도 1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로드(111R)의 걸림부(112R)가 사이드 클러치 레버의 타단부(203R)와 소정의 거리(d1)로 이격되어 있는데, 도 8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로드(111R)의 걸림부(112R)가 사이드 클러치 레버의 타단부(203R)와 접하고 있고 커넥터(120R)의 파지부(121)의 하면(124)이 피스톤로드(111R)의 걸림부(112R)와 소정의 거리(d3)로 이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1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부(112R)가 이러한 소정의 거리(d1)를 이동한 이후에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타단부(203R)를 가압할 수 있으나, 도 8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부(112R)가 이동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타단부(203R)를 가압할 수 있다.
피스톤로드(111R)의 걸림부(112R)가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의 타단부(203R)를 가압하는 시점의 차이 이외에는 도 1의 일 실시 형태의 작동과 도 8의 변형된 실시 형태의 작동은 거의 동일하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들에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한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사이드 클러치 구조
10 센터 기어 20R, 20L : 사이드 기어
21R, 21L : 가압 부재 22R, 22L : 계합부
30R, 30L : 클러치 부재 31R, 31L : 탄성 부재
40R, 40L : 절환 포크 41R, 41L : 회동축
50 : 지지축 100 : 유압 장치
110R, 110L : 유압 실린더 111R, 111L : 피스톤로드
112R, 112L : 걸림부 120R, 120L : 커넥터
121 : 파지부 122 : 지지부
123 : 결합부 124 : 파지부 하면
200R, 200L : 사이드 클러치 레버 201R, 201L : 레버 일단부
202R, 202L : 레버의 일 지점 203R, 203L : 레버 타단부

Claims (12)

  1. 조향 조작부의 작동에 기초하여, 각각 구동 가능한 한 쌍의 주행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로서,
    미션 케이스에 설치된 지지축(50)에 지지되어,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센터 기어(10);
    상기 센터 기어(10)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지지축(5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5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센터 기어(1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20R, 20L);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20R, 20L)의 각각의 이동에 따라,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20R, 20L)의 가압 부재(21R, 21L)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되는 좌우 한 쌍의 클러치 부재(30R, 30L);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20R, 20L)의 이동을 조작하는 사이드 기어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러치 부재(30R, 30L)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20R, 20L)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 기어(20R, 20L)의 가압 부재(21R, 21L)를 상기 지지축(50)을 따라 상기 클러치 부재(30R, 30L)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31R, 31L)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기어 조절 수단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20R, 20L)와 결합되어, 축방향으로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회동에 의해,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기어(20R, 20L)를 이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절환 포크(40R, 40L);
    일단부가 상기 절환 포크(40R, 40L)의 회동축(41R, 41L)과 동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절환 포크(40R, 40L)에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회동력을 부여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200L); 및
    상기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200L)의 타단부(203R, 203L)를 이동시키는 유압 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포크(40R, 40L)는, 상기 사이드 기어(20R, 20L)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계합부(22R, 22L)에 삽입되어, 상기 사이드 기어(20R, 20L)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장치(100)는,
    유압 실린더(110R, 110L)의 유압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피스톤로드(111R, 111L); 및
    상기 피스톤로드(111R, 111L)의 단부에서 상기 피스톤로드(111R, 111L)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11R, 111L)가 하강 시, 상기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200L)의 타단부(203R, 203L)를 가압하는 걸림부(112R, 112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6. 제 5 항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112R, 112L)와 상기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200L)의 타단부(203R, 203L)는 소정의 거리(d1)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7. 제 5 항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112R, 112L)와 상기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200L)의 타단부(203R, 203L)는 서로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111R, 111L)와 상기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200L)의 타단부(203R, 203L)를 연결하는 커넥터(120R, 120L)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20R, 120L)는, 상기 피스톤로드(111R, 111L)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피스톤로드(111R, 111L)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파지부(121);
    상기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200L)와 피봇 회전 결합되는 결합부(123); 및
    상기 파지부(121)와 상기 결합부(123)를 연결하는 지지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111R, 111L)가 상승되어 상기 걸림부(112R, 112L)와 상기 파지부(121)의 하면(124)이 접촉되면, 상기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200L)의 타단부(203R, 203L)가 피봇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2R, 112L)와 상기 사이드 클러치 레버(200R, 200L)의 타단부(203R, 203L)가 접촉 시, 상기 걸림부(112R, 112L)와 상기 파지부(121)의 하면(124)은 소정의 거리(d3)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기어(10)는, 상기 지지축(5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1).
KR1020170084155A 2017-07-03 2017-07-03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 KR10223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155A KR102239178B1 (ko) 2017-07-03 2017-07-03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155A KR102239178B1 (ko) 2017-07-03 2017-07-03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063A true KR20190004063A (ko) 2019-01-11
KR102239178B1 KR102239178B1 (ko) 2021-04-12

Family

ID=6502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155A KR102239178B1 (ko) 2017-07-03 2017-07-03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17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885U (ko) * 1986-03-10 1987-09-14
KR910021326A (ko) * 1989-10-24 1991-12-20 미노 시게가즈 작업차의 주행전동구조
JPH061125U (ja) * 1992-06-10 1994-01-1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H09156531A (ja) * 1995-12-11 1997-06-17 Kubota Corp 作業車の操向操作装置
KR101234788B1 (ko) 2011-11-30 2013-02-20 (주)네스트아이앤씨 콤바인의 주행과 조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콤바인의 주행과 조향의 제어 방법
JP2016188051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操向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885U (ko) * 1986-03-10 1987-09-14
JPH041025Y2 (ko) * 1986-03-10 1992-01-14
KR910021326A (ko) * 1989-10-24 1991-12-20 미노 시게가즈 작업차의 주행전동구조
JPH061125U (ja) * 1992-06-10 1994-01-1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H09156531A (ja) * 1995-12-11 1997-06-17 Kubota Corp 作業車の操向操作装置
KR101234788B1 (ko) 2011-11-30 2013-02-20 (주)네스트아이앤씨 콤바인의 주행과 조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콤바인의 주행과 조향의 제어 방법
JP2016188051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操向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178B1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7408C1 (ru) Раздаточ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автомобиля с приводом на четыре колеса
US20090107277A1 (en) Reverse gear locking mechanism for vehicle
US4352418A (en) Hub clutch
US5012907A (en) Transmission for separately drivable right and left wheels
JP4629881B2 (ja) 乗用型水田作業機
KR20190004063A (ko) 작업 차량의 사이드 클러치 구조
JPH0146740B2 (ko)
JP3583064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KR101699163B1 (ko) 트랙터 차동 잠금장치
JP4454141B2 (ja) 作業車
JPH09220946A (ja) 作業用走行車
JPH0356650Y2 (ko)
JPS6218131Y2 (ko)
JP6268515B2 (ja) 作業車両の車軸駆動装置
JP2002362402A (ja) クローラ型作業車両の操向制御装置
JPS63306924A (ja) 4輪駆動トラクタ−の前輪増速機構
JPH0735779Y2 (ja) 操向輪増速装置の速比切換機構における緩衝構造
JP3368597B2 (ja) 移動農機の走行伝動装置
JP3984700B2 (ja) 四輪駆動車両
JP2002347457A (ja) 水田作業機
JP3652268B2 (ja) スプール弁の操作装置
JP2000185564A (ja) 農作業車の走行用伝動装置
JP2003200747A (ja) 変速操作装置
JPH0723601A (ja) 農用作業車
JP2002104229A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