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629A -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629A
KR20190003629A KR1020187034214A KR20187034214A KR20190003629A KR 20190003629 A KR20190003629 A KR 20190003629A KR 1020187034214 A KR1020187034214 A KR 1020187034214A KR 20187034214 A KR20187034214 A KR 20187034214A KR 20190003629 A KR20190003629 A KR 20190003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s
screen
bezel
display screen
fl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어셩 리
안위 리우
샨롱 리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02F2001/133325
    • G02F2001/133388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4Electronic books and readers

Abstract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전자 기기 분야에 속한다. 상기 전자 기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201) 및 베젤(202)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202)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은 4개의 스크린 코너(2011)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2011)는 원각이며, 상기 베젤(202)은 4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변 중 어느 1개의 변은 다른 3개의 변 중의 2개의 변과 교차하고, 1개의 변과 평행되어, 4개의 베젤 코너(2021)를 형성하고, 상기 4개의 베젤 코너(2021)는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2011)와 각각 대응하며, 상기 4개의 베젤 코너는 원각이며, 서로 대응되는 스크린 코너(2011)의 정점과 베젤 코너(2021)의 정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지 않다. 상기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은 전자 기기의 좁은 베젤화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610860812.2이고, 출원일이 2016년 9월 28일인 중국특허출원에 기반하며, 당해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당해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되어 참고로 한다.
본 개시는 전자 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핸드폰, 태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 기기가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 전자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에 관심을 보이는 이외에, 전자 기기의 구조에도 점점 관심을 보인다.
전자 기기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 당해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1) 및 베젤(102)을 포함하고, 베젤(102)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01)의 측면을 둘러싼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01)의 4개의 스크린 코너(1011)는 모두 직각이고, 베젤(102)의 4개의 베젤 코너(bezel corners)(1021)는 원각이다. 베젤(102)의 4개의 변의 너비는 서로 대응되는 스크린 코너(1011)의 정점과 베젤 코너(1021)의 정점 사이의 지정된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관련 기술에서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하기와 같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전자 기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4개의 스크린 코너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는 원각이고;
상기 베젤은 4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변 중 어느 1개의 변은 다른 3개의 변 중의 2개의 변과 교차하고, 1개의 변과 평행되어, 4개의 베젤 코너를 형성하고;
상기 4개의 베젤 코너는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와 각각 대응하고, 상기 4개의 베젤 코너는 원각이며;
서로 대응되는 스크린 코너의 정점과 베젤 코너의 정점 사이의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지 않다.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의 곡률은 상기 4개의 베젤 코너의 곡률과 같다.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에 대응되는 중심각과 상기 4개의 베젤 코너에 대응되는 중심각이 서로 같다.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최초의 4개의 직각을 원호 모양으로 각각 절단한 후 형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서의 전자 기기에 응용되며,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조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은 검은색 플로우팅 층이고, 상기 제2 부분은 투명 플로우팅 층이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분계선은 원호형의 평활한 곡선임 -;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페이지의 상층에 상기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4개의 스크린 코너의 에지에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를 막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페이지의 상층에 상기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상기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는 화소가 검은색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분계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각의 에지의 내측에 위치한다.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길이과 같고, 상기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너비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너비와 같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수단은 하기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기기와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4개의 스크린 코너와 베젤의 4개의 베젤 코너를 모두 원각으로 설치하는 것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즈가 변하지 않음을 확보하는 상황하에서, 4개의 스크린 코너의 정점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심에 더 접근하도록 하며, 서로 대응되는 스크린 코너의 정점과 베젤 코너의 정점 사이의 지정된 거리가 당해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지 않은 것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여전히 베젤의 4개의 변의 너비를 줄일 수 있고, 전자 기기의 좁은 베젤화를 구현한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할 수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개시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냈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관련 기술에 따라 나타내는 전자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 2a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전자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2b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원각의 개략도이고;
도 2c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전자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2d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지정된 거리의 개략도이고;
도 2e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원호 곡률의 개략도이며;
도 2f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중심각의 개략도이고;
도 2g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중심각의 개략도이며;
도 3a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b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전자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3c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분계선의 개략도이고;
도 3d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개략도이며;
도 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목적, 기술적 수단과 장점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아래에 도면을 결합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그의 설명은 본 개시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개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하기에 도면과 결합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전자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전자 기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201) 및 베젤(202)을 포함하고, 당해 베젤(202)은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측면을 둘러싼다.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은 4개의 스크린 코너(2011)를 포함하고, 당해 4개의 스크린 코너(2011)는 원각이며, 당해 베젤(202)은 4개의 변을 포함하고, 이 4개의 변 중 어느 1개의 변은 다른 3개의 변 중의 2개의 변과 교차되고, 1개의 변과 평행되어, 4개의 베젤 코너(2021)를 형성하고, 당해 4개의 베젤 코너(2021)는 당해 4개의 스크린 코너(2011)와 각각 대응하며, 당해 4개의 베젤 코너(2021)는 원각이다.
여기서, 당해 4개의 변은 제1변(2022), 제2변(2023), 제3변(2024)과 제4변(2025)을 포함하고, 당해 제1변(2022)과 당해 제2변(2023)은 평행되고, 당해 제3변(2024)과 당해 제4변(2025)은 평행되며, 당해 제1변(2022)은 당해 제3변(2024) 및 당해 제4변(2025)과 각각 교차되고, 당해 제2변(2023)은 당해 제3변(2024) 및 당해 제4변(2025)과 각각 교차된다.
여기서, 원각는 일단이 각의 양변과 서로 접하는 원호로 원래의 각을 교체하여 형성하는 원호형의 각을 가리킨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는 AOB의 정점이고, 사선 OD과 사선 OE는 AOB의 2개의 변을 형성한다. 는 하나의 AD 및 BE와 서로 접하는 원호이다. 접점이 점(A)와 점(B)이면, 사선(AD)과 사선(BE)은 하나의 원각을 형성할 수 있다.
당해 4개의 스크린 코너(2011)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최초의 4개의 직각을 원호 모양으로 각각 절단한 후 형성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최초의 4개의 각은 모두 직각이고, 도 2c에 도시된 원호에 따라 각각 절단한 후, 4개의 원각(2011)를 바로 얻을 수 있다.
이 외에,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절단하는 공정은 레이저 절단 공정, 물 절단 공정 등을 포함하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스크린 코너(2011)는 4개의 베젤 코너(2021)와 각각 대응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왼쪽 상단 코너는 당해 베젤(202)의 왼쪽 상단 코너에 대응되고,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왼쪽 하단 코너는 당해 베젤(202)의 왼쪽 하단 코너에 대응되며,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오른쪽 상단 코너는 당해 베젤(202)의 오른쪽 상단 코너에 대응되고,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오른쪽 상단 코너는 당해 베젤(202)의 오른쪽 상단 코너에 대응되는 것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대응되는 스크린 코너(2011)의 정점과 베젤 코너(2021)의 정점 사이의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지 않다.
여기서, 당해 미리 설정된 거리는 스크린 코너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최소 거리를 가리키는 바, 정점 사이의 거리가 당해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을 경우, 스크린 코너의 외측 베젤 너비가 너무 작아, 당해 스크린 코너가 매우 쉽게 마손되는 것을 초래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원각의 정점은 당해 원각를 형성하는 원호의 중점, 이른바 당해 원호에서 원호 양단과의 거리가 같은 점을 가리킨다. 왼쪽 상단 코너를 예로 들면, 스크린 코너(2011)와 베젤 코너(2021)의 확대도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고, 점(E)와 점(F)는 각각 당해 베젤 코너(2021)와 당해 스크린 코너(2011)의 정점이다. 2개의 정점(E와 F) 사이의 거리(L)는 지정된 거리이고, 당해 지정된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지 않다.
관련 기술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4개의 스크린 코너는 모두 직각이고, 베젤의 4개의 베젤 코너는 모두 원각이며, 베젤 4개의 변의 너비는 서로 대응되는 스크린 코너의 정점과 베젤 코너의 정점 사이의 지정된 거리에 의해 결정되고, 각 스크린 코너를 충분히 보호하기 위해, 각 지정된 거리는 당연히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지 않아야 하는데, 이러면 베젤 4개의 변의 너비가 무제한으로 줄일 수 없는 것을 조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사이즈가 변하지 않음을 확보하는 상황하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4개의 스크린 코너(2011)를 원각로 설치하여, 4개의 스크린 코너(2011)의 정점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중심에 더 접근하도록 하는데, 그러면, 설사 베젤 4개의 변의 너비를 줄이더라도, 서로 대응되는 스크린 코너(2011)의 정점과 베젤 코너(2021)의 정점 사이의 지정된 거리가 당해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지 않은 것을 확보할 수 있어, 여전히 디스플레이 스크린(20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당해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 텔레비전, 태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일 수 있는 바,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4개의 스크린 코너와 베젤의 4개의 베젤 코너를 모두 원각으로 설치하는 것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즈가 변하지 않음을 확보하는 상황하에서, 4개의 스크린 코너(2011)의 정점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중심에 더 접근하도록 하며, 서로 대응되는 스크린 코너의 정점과 베젤 코너의 정점 사이의 지정된 거리가 당해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지 않은 것을 만족시키는 조건하에서, 여전히 베젤의 4개의 변의 너비를 줄일 수 있고, 전자 기기의 좁은 베젤화를 구현한다. 이 외에, 원형의 스크린 코너 및 좁은 베젤을 배치하는 것을 통해, 전자 기기의 미관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전자 기기의 미관도를 향상하기 위해, 당해 4개의 스크린 코너(2011)의 곡률과 당해 4개의 베젤 코너(2021)의 곡률은 같다.
여기서, 당해 곡률은 원호의 벤딩 정도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곡률이 클수록, 당해 원호의 벤딩 정도도 커진다. 원호의 곡률과 원호의 반경은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고, 당해 스크린 코너(2011)와 당해 베젤 코너(2021)의 곡률이 같은 것을 확보하려면, 당해 스크린 코너(2011)와 당해 베젤 코너(2021)의 원호의 반경을 같게 하기만 하면 된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O1, O2는 각각 스크린 코너(2011)와 베젤 코너(2021)의 원호의 원심이고, 당해 스크린 코너(2011)와 당해 베젤 코너(2021)의 원호의 반경은 모두 R0이면, 당해 스크린 코너(2011)와 당해 베젤 코너(2021)의 곡률은 같다.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당해 4개의 스크린 코너(2011)에 대응되는 중심각과 당해 4개의 베젤 코너(2021)에 대응되는 중심각이 서로 같다.
하나의 원호에 있어서, 당해 원호에 대응되는 중심각은 정점이 당해 원호에 대응되는 원심에 있고, 2개의 변이 당해 원호의 2개의 끝점을 통과하는 각을 가리킨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는 원O3에서의 일단의 원호이고, 점(O3)은 원심이며, 당해 에 대응되는 중심각은GO3I이고, 당해GO3I의 2개의 변 O3G와 O3I는 2개의 끝점 점G와 점I를 각각 통과한다.
당해 4개의 스크린 코너(2011)에 대응되는 중심각과 당해 4개의 베젤 코너(2021)에 대응되는 중심각이 서로 같다는 것은, 당해 스크린 코너(2011)의 원호의 원심은 당해 베젤 코너(2021)의 원호의 원심과 서로 같고, 또한 스크린 코너(2011)의 중심각의 2개의 변의 연장선은 베젤 코너(2021)의 중심각의 2개의 변의 연장선과 중첩되는 것을 가리킨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코너(2011)와 베젤 코너(2021)에 대응되는 중심각은 모두MO4N이다.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은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당해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에는 많은 화소 전극이 설치될 수 있고, 당해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당해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절단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 화소 전극을 다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 기타 유형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도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모든 선택 가능한 기술적 수단은, 임의의 결합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를 형성하는 바, 여기서는 다시 일일이 서술하지 않는다.
도 3a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디스플레이 방법은 도 3a에서의 전자 기기에 응용되고,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에서,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floating layer)을 획득한다.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조성되고, 당해 제1 부분은 검은색 플로우팅 층이고, 당해 제2 부분은 투명 플로우팅 층이며, 당해 제1 부분과 당해 제2 부분 사이의 분계선은 원호형의 평활한 곡선이다.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길이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길이와 같고,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너비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너비와 같다. 여기서,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길이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좌측변과 우측변 사이의 거리를 가리키고,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너비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측변과 하측변 사이의 거리를 가리킨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길이는 L1이고, 너비는 L2이다.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은 기술자에 의해 당해 전자 기기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은 당해 전자 기기에 의해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당해 전자 기기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이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바, 당해 사이즈 정보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길이, 너비, 및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크린 코너의 반경, 원호 길이 등 정보를 포함하고, 당해 전자 기기는 당해 사이즈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만들어,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길이 및 너비가 각각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길이 및 너비와 같도록 하고,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크린 코너의 반경, 원호 길이 등 정보에 따라,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고, 제1 부분은 검은색 플로우팅 층으로 설치하고, 제2 부분은 투명 플로우팅 층으로 설치하여, 당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분계선이 원호형의 평활한 곡선이 되도록 하며, 또한 당해 분계선이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에지의 내측에 위치하는 바, 그러면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제1 부분이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에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4개의 각은 직각 또는 원각일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당해 분계선은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각의 에지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상단 코너를 예로 들면,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의 왼쪽 상단 코너를 직각으로부터 원각로 절단한 경우, 절단 공정의 제한으로 당해 왼쪽 상단 코너의 에지가 그다지 평활하지 않은 것을 초래하기에, 에지에서의 복수의 화소는 톱니 모양을 형성하는데, 그러면,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이 디스플레이할 경우, 디스플레이하는 페이지의 에지가 평활하지 않은 것을 초래하여, 사용자의 관람에 영향을 준다.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제1 부분(점선)과 제2 부분의 분계선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당해 분계선은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에지의 톱니의 내측에 위치하며,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당해 제1 부분은 에지의 톱니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막을 수 있다.
단계 302에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당해 페이지의 상층에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디스플레이하여, 당해 제1 부분이 당해 페이지를 막도록 한다.
당해 전자 기기는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맨 위층에 설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바, 이러면 당해 전자 기기가 임의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때마다, 당해 페이지의 상층에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으로써,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제1 부분이 당해 페이지에서 당해 제1 부분과 중첩되는 구역을 막고, 당해 제2 부분과 중첩되는 구역을 막지 않음을 확보하여, 사용자가 페이지를 볼때 단지 당해 제2 부분과 중첩되는 구역만 볼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당해 구역의 에지가 평활하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검은색 구역은 당해 제1 부분이고, 당해 제1 부분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원각에 있는 톱니를 막을 수 있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사용자가 보이는 페이지는 당해 제2 부분이 있는 구역, 즉 당해 분계선 내의 구역이며, 당해 구역의 경계는 평활한 곡선이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경계도 평활하다.
당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당해 전자 기기는 당해 제1 부분이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는 화소가 검은색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이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이즈와 일치하기에, 양자는 서로 대응될 수 있고, 이러면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일부분 화소는 당해 제1 부분과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일부분은 제2 부분과 대응될 수 있고, 이러면 당해 제1 부분이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는 화소는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분계선의 외측에 위치한 화소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 당해 제1 부분이 디스플레이하는 페이지를 막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실제로 조작할 경우, 당해 전자 기기가 당해 제1 부분이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는 화소가 검은색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데, 즉 이러한 화소의 밝기를 0으로 제어함으로써, 4개의 스크린 코너의 에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페이지를 막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획득하고,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제1 부분은 검은색 플로우팅 층이고, 제2 부분은 투명 플로우팅 층이며, 검은색 플로우팅 층과 투명 플로우팅 층 사이의 분계선은 원호형의 평활한 곡선이고,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당해 페이지 위에 디스플레이하고,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에서의 검은색 플로우팅 층이 당해 페이지의 원각부분을 막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페이지에서 평활하지 않은 곳을 가리는 것을 통해, 당해 페이지에서의 원각이 평활하게 변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한다.
도 3a에 도시된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에지는 평활하지 않는데, 이는 최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4개의 직각을 원각으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 공정 조건의 제한으로 인해, 절단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크린 코너가 매우 거칠고, 에지의 화소는 사각형 모양이기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에지가 톱니 모양임을 나타내고, 평활하지 않음을 초래한다.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자 경우,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에지의 톱니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좋지 않은 시각 효과를 줄 수 있다.
당해 절단 공정의 조건의 제한으로 인해 초래하는 에지가 평활하지 않은 상황을 제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당해 페이지의 상층에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디스플레이하고,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은 두 부분으로 나누며, 일부분은 검은색 플로우팅 층으로서, 당해 페이지의 에지의 평활하지 않은 곳을 가리기 위한 것이며, 일부분은 투명 플로우팅 층으로서, 당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며, 검은색 플로우팅 층과 투명 플로우팅 층 사이의 분계선은 평활한 곡선이므로, 당해 페이지에서 제2 부분과 중첩되는 구역만 사용자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 구역의 에지가 평활한 것을 통해, 디스플레이 페이지의 에지가 평활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한다.
도 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내는 전자 기기(4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00)는 모바일 전화, 컴퓨터, 디지털 라디오모바일 단말기, 메시지 발신 수신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 기기, 의료 기기, 헬스 기기, 피디에이 등일 수 있다.
도4를 참고하면, 장치(400)는 처리 어셈블리(402), 메모리(404), 전원 어셈블리(406),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408), 오디오 어셈블리(4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412), 센서 어셈블리(414)와 통신 어셈블리(416)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402)는 통상적으로 제어 장치(400)의 전체 조작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된 조작을 처리한다. 처리 어셈블리(4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4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방법 중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어셈블리(402)는 처리 어셈블리(402)와 다른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티브에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어셈블리(402)는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408)와 처리 어셈블리(402) 사이의 인터랙티브에 편리하도록 멀티 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400)에서의 조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데이터의 예시로는 장치(400)에서 조작되는 모든 앱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인 데이터, 전화 통신록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404)는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 램(SRAM), 이이피롬(EEPROM), 이피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이다.
전원 어셈블리(406)는 장치(4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어셈블리(4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및 장치(400)를 위해 전력을 생성, 관리 및 할당하기 위한 다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408)는 스크린을 포함하며, 당해 스크린은 당해 장치(400)와 사용자 사이에 존재하고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당해 스크린의 4개의 각은 원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 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한다. 당해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액션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과 압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408)는 전치 카메라 및/또는 후치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4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인 경우, 전치 카메라 및/또는 후치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치 카메라 및/또는 후치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으며, 또는 초점거리와 광학 초점 변경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장치(4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인 경우, 카메라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404)에 진일보하여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4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인터페이스(412)는 처리 어셈블리(4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당해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들 버튼은 홈페이지 버튼, 볼륨 버튼, 부팅 버튼과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에 대해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진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의 켜짐과 닫힘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 포지셔닝을 검출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어셈블리는 장치(400)의 디스플레이와 키패드이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 또는 장치(400)의 하나의 어셈블리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장치(400)의 접촉의 존재 여부, 장치(400)의 방위 또는 가속 및 감속, 장치(400)의 온도 변화도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경우에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결상 응용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당해 센서 어셈블리(414)는 가속 센서, 자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416)는 장치(400)와 기타 다른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400)는 통신 표준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3G, 4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접속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416)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거쳐 외부 브로드캐스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오는 브로드캐스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4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인식(RFID) 기술, 국제적외선통신데이터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 통신(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과 기타 다른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4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다른 전자 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당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404)를 더 제공한다. 당해 명령은 장치(400)의 프로세서(420)에 의해 수행되어 당해 방법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램(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픽 디스크 및 광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당해 저장 매체에서의 명령이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당해 방법은,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조성되고, 당해 제1 부분은 검은색 플로우팅 층이고, 당해 제2 부분은 투명 플로우팅 층이며, 당해 제1 부분과 당해 제2 부분 사이의 분계선은 원호형의 평활한 곡선이고,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당해 페이지의 상층에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디스플레이하여, 당해 제1 부분이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4개의 스크린 코너의 에지에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를 막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당해 분계선의 위치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각의 에지에 위치한 화소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길이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길이와 같고, 당해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너비는 당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너비와 같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및 여기에서 개시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개시의 기타 실시 형태를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개시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며, 본 개시에 개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 상식 또는 관용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며,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지적된다.
이해되어야 하는 바로는, 본 개시는 위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수정되고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부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9)

  1.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4개의 스크린 코너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는 원각이고;
    상기 베젤은 4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변 중 어느 1개의 변은 다른 3개의 변 중의 2개의 변과 교차하고, 1개의 변과 평행되어, 4개의 베젤 코너를 형성하고;
    상기 4개의 베젤 코너는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와 각각 대응하고, 상기 4개의 베젤 코너는 원각이며;
    서로 대응되는 스크린 코너의 정점과 베젤 코너의 정점 사이의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지 않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의 곡률은 상기 4개의 베젤 코너의 곡률과 같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에 대응되는 중심각과 상기 4개의 베젤 코너에 대응되는 중심각이 서로 같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스크린 코너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최초의 4개의 직각을 원호 모양으로 각각 절단한 후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 기기에 응용되고,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조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은 검은색 플로우팅 층이고, 상기 제2 부분은 투명 플로우팅 층이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분계선은 원호형의 평활한 곡선임 -;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페이지의 상층에 상기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4개의 스크린 코너의 에지에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를 막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페이지의 상층에 상기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상기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는 화소가 검은색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분계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원각의 에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길이과 같고, 상기 미리 설정된 플로우팅 층의 너비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너비와 같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87034214A 2016-09-28 2016-12-20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900036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60812.2 2016-09-28
CN201610860812.2A CN106527580B (zh) 2016-09-28 2016-09-28 电子设备和显示方法
PCT/CN2016/111040 WO2018058813A1 (zh) 2016-09-28 2016-12-20 电子设备和显示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629A true KR20190003629A (ko) 2019-01-09

Family

ID=5834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214A KR20190003629A (ko) 2016-09-28 2016-12-20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088393A1 (ko)
EP (1) EP3301539A1 (ko)
JP (1) JP2019500631A (ko)
KR (1) KR20190003629A (ko)
CN (1) CN106527580B (ko)
RU (1) RU2690748C1 (ko)
WO (1) WO2018058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3389B (zh) * 2017-01-09 2022-08-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180098466A (ko) * 2017-02-25 201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너가 둥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JP6907036B2 (ja) * 2017-06-12 2021-07-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7103893B (zh) * 2017-06-30 2019-09-27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改善圆形显示屏边缘显示效果的方法
CN107315501B (zh) * 2017-06-30 2020-07-03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7391073B (zh) * 2017-07-26 2020-07-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07643885A (zh) * 2017-10-13 2018-0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幕、图像显示方法以及终端和存储介质
CN107656791A (zh) * 2017-10-18 2018-02-0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显示的方法、终端设备、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CN107817918B (zh) * 2017-10-18 2021-03-16 上海闻泰信息技术有限公司 显示设备、显示调整方法及移动终端
CN107797785A (zh) * 2017-10-24 2018-03-13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屏幕效果优化方法、移动终端以及存储装置
USD884743S1 (en) * 2018-02-11 2020-05-1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Foldable screen
CN109375978A (zh) * 2018-10-17 2019-02-22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圆角屏幕的显示方法、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WO2020215207A1 (zh) * 2019-04-23 2020-10-29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图层的方法和装置
KR20210127283A (ko) * 2020-04-13 2021-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101924B (zh) * 2020-08-25 2024-04-26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激光切割屏幕的工艺
CN112788859B (zh) * 2021-01-21 2022-04-01 上海望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屏蔽框钢网开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253966A (zh) * 2021-07-07 2021-08-13 湖北亿咖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用户界面圆角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2591A4 (en) * 2010-04-19 2014-08-20 Sharp Kk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WO2014010463A1 (ja) * 2012-07-09 2016-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452288B1 (ko) * 2012-11-19 2014-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2324B1 (ko) * 2013-01-15 2020-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131825B1 (ko) * 2013-03-2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3513925B (zh) * 2013-07-02 2016-08-17 中体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动态效果显示装置
JP2015064845A (ja) * 2013-09-26 2015-04-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方法、システム、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39024A (ko) * 2013-10-01 2015-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3763414A (zh) * 2014-01-08 2014-04-30 孟祥吉 一种屏幕最大化的手持移动终端设计
CN104090734B (zh) * 2014-06-03 2017-12-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27580B (zh) 2020-08-04
US20180088393A1 (en) 2018-03-29
WO2018058813A1 (zh) 2018-04-05
RU2690748C1 (ru) 2019-06-05
JP2019500631A (ja) 2019-01-10
EP3301539A1 (en) 2018-04-04
CN106527580A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3629A (ko)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16206201A1 (zh) 移动终端、显示控制方法及装置
KR101343591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90622B1 (ko) 입체영상 처리 장치 및 입체영상 처리 장치의 칼리브레이션 방법
EP292778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picture
US2015028910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94576B1 (ko) 단말기 스크린의 표시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7886037B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2011054069A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1999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false touch on edge, and storage medium
KR20170142839A (ko) 단말기의 작업모드 확정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6503599B (zh) 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8900903B (zh) 视频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372516B2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display of floating window
KR20150119834A (ko) 웹페이지 조정 방법 및 장치와 전자 장치
JP6159892B2 (ja) カーソルの位置決め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032482A1 (en) P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12463084A (zh) 分屏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034838A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6333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0166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gesture operation and storage medium
KR102372249B1 (ko)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저장 매체
CN111273979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19492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8073836B (zh) 显示界面的调整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