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31U - 한글글자형 액자 - Google Patents

한글글자형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831U
KR20190002831U KR2020180001974U KR20180001974U KR20190002831U KR 20190002831 U KR20190002831 U KR 20190002831U KR 2020180001974 U KR2020180001974 U KR 2020180001974U KR 20180001974 U KR20180001974 U KR 20180001974U KR 20190002831 U KR20190002831 U KR 201900028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main body
letter
neutral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121Y1 (ko
Inventor
박도윤
Original Assignee
박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도윤 filed Critical 박도윤
Priority to KR2020180001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2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글자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을 이루는 본체 전면재와 상기 본체 전면재의 이면 방향에 복수의 본체중공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본체자석;과 상기 본체부 상부인 상기 본체 전면재의 표면에 배치되도록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표현물보호부;와 상기 표현물보호부와 상기 본체 전면재 사이에 형성되는 표현물수용부;와 상기 표현물보호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사진보호부 전면에 배치되는 초성부; 및 상기 초성부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초성부를 포함하여 1 조의 한글자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중성부와 종성부; 를 포함하는 한글글자형 액자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글글자형 액자 { HANGUL TYPE PICTURE FRAME }
본 발명은 한글글자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이용하여 액자를 표현하도록 본체부(100), 본체전면재(101), 본체중공(102), 본체자석(103) ,표현물보호부(105) ,표현물수용부(106) ,초성부(201) ,중성부(202) ,종성부(203) ,제1중성부(202a) ,제2중성부(202b) ,글자중공(204) ,글자자석(205) 및 장식레이어(206)를 포함하는 한글글자형 액자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의 표현물을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액자 틀과, 상기 액자 틀의 후방에 결합되는 뒷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자는, 통상적으로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고, 장식장 등에 올려놓거나 벽에 걸어 장식미를 갖게하며 표현물의 보존, 전시,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대체로 사각형 형상이다.
액자를 만드는 재료로는 목재뿐만 아니라 경금속이나 유리,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종이를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액자 표면에 일반적으로 유리를 끼우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수채화, 판화, 소묘화, 사진 등을 보관하는 경우에 그러하고 유화의 경우에는 유리를 끼우지 않는 것이 원칙이고, 유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은 액자는 일반적으로 그 구성부품들이 서로 결합되어 있어 공구를 사용해야 분리할 수 있고, 분리하게 되면 일부가 손상되어 다시 결합하더라도 원래의 형상이 일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터치 식으로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여 액자를 구성하도록 한 것들이 있으나, 이들의 구성은 매우 복잡하여 누구나 쉽게 결합하고 분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액자는 그 외관 디자인이 특정된다. 즉, 액자의 외관 디자인은 액자를 만드는 재료의 재질에 따르거나, 표면의 색상이나 무늬 등으로 정해진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액자는 하나의 외관 디자인만을 가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액자를 일정 기간 사용하여 싫증이 나거나, 계절을 포함하는 주변환경이 바뀌어 액자와 주변이 어울리지 않게 되면, 다른 외관 디자인을 가진 새로운 액자를 구입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자 제조자 및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보다 다양한 종류의 액자를 제작하고 판매해야 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96642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못이나 나사 등과 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본체부와 글자부에 구비된 구조를 사용하여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글자액자의 분해와 조립 및 구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글을 액자에 표면에 배치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글자로 액자를 장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한글 전체를 수용하도록하는 액자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표현을 손쉽게 하고, 액자 제조자는 글자에 무관하게 표준화된 구성을 제공하여 생산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글자 표면에 반사 또는 난반사되는 장식면을 제공하여 미감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 본체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하여 액자 각각의 1 글자들이 의미있는 단어 또는 글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예와 관련된 한글글자형 액자는 그림 또는 사진과 같은 표현물을 끼우도록 표면을 이루는 본체 전면재와 상기 본체 전면재의 이면 방향에 복수의 본체중공이 배치되도록 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본체자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 상부인 상기 본체 전면재의 표면에 배치되도록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표현물보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표현물보호부와 상기 본체 전면재 사이에 형성되는 표현물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현물보호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표현물보호부 전면에 배치되는 초성부; 및 상기 초성부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초성부를 포함하여 1 조의 한글자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중성부와 종성부;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성부는 형성하려는 글자에 따라서 상기 초성부 우측에 배치되는 제 1 중성부와 상기 초성부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중성부로 구비되며, 상기 초성부, 상기 중성부 및 상기 종성부의 배면에는 글자중공이 구비되고, 상기 글자중공에는 글자자석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초성부, 상기 중성부 및 상기 종성부의 표면에는 장식레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성부와 상기 중성부의 상기 글자중공위치는 상기 본체중공의 위치에 서로 부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초성부와 상기 중성부의 글자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글자자석과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본체자석의 극성은 서로 대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성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중공은 4 개로 형성되며, 상기 초성부의 상기 글자중공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가 상하의 방향에서 자기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중성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중공은 8 개로 형성되며, 상기 중성부의 상기 글자중공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가 상하의 방향에서 자기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 중성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중공은 4 개로 형성되며, 상기 중성부의 상기 글자중공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가 상하의 방향에서 자기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성부의 글자중공위치는 상기 본체중공의 위치에 일부만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종성부의 상기 글자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글자자석과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본체자석의 극성은 서로 대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 일측 또는 양측에는 또다른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재를 더 포함하여 액자를 연속 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식레이어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면으로 형성되고 불규칙한 공간감과 깊이감이을 갖는 재질로 코팅되어 난반사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초성부, 상기 중성부 및 상기 종성부의 상기 장식레이어는 각각 서로 다른 난반사 규칙 또는 색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글자중공 및 상기 본체중공의 구경과 상기 글자자석 및 상기 본체자석의 구경은 서로 동일하여 상기 글자자석 및 상기 본체자석이 상기 글자중공 및 상기 본체중공에 억지끼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글자중공 및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글자자석 및 상기 본체자석은 상기 글자중공 및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고 접착제로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한글글자형 액자를 제공하여,
첫째, 못이나 나사 등과 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표현물 수용부를 글자와 자석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액자의 분해와 조립및 구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한글 글자를 액자에 표면에 배치하도록 제공하여 다양한 글자로 액자를 장식하고 표현할 수 있다.
셋째,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한글 전체를 수용하도록하는 액자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표현을 손쉽게 하고, 액자 제조자는 글자에 무관하게 표준화된 구성을 이용하여 생산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넷째, 글자 표면에 반사 또는 난반사되는 장식면을 제공하여 미감을 높이도록 한다.
다섯째, 액자 본체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하여 액자 각각의 1 글자들이 의미있은 단어 또는 글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글자형 액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글자형 액자에서 초성, 중성 및 종성이 결합되는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글자형 액자에서 1 조의 글자와 표현물보호부가 결합되는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글자형 액자에서 1 조의 글자와 표현물보호부가 자석을 통해서 서로 결합되는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글자형 액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글자형 액자에서 초성, 중성 및 종성이 결합되는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글자형 액자에서 1 조의 글자와 표현물보호부가 결합되는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 내지 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글자형 액자에서 1 조의 글자와 표현물보호부가 자석을 통해서 서로 결합되는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 또는 사진과 같은 표현물을 끼우도록 표면을 이루는 본체 전면재(101)와 상기 본체 전면재(101)의 이면 방향에 복수의 본체중공(102)이 배치되도록 본체부(1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중공(102)에 삽입되도록 본체자석(103)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00) 표면인 상기 본체 전면재(101)의 겉표면에 배치되도록 투명 재질로 표현물보호부(105)가 구비된다.
상기 표현물보호부(105)와 상기 본체 전면재(101) 사이에는 표현불 수용부(106)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표현물보호부(105)를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표현물보호부(105) 전면에는 배치되는 초성부(201)이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초성부(201)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초성부(201)를 포함하여 1 조의 한글자를 형성하도록 중성부(202)와 종성부(203)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성부(202)는 형성하려는 글자에 따라서 상기 초성부(201) 우측에 배치되는 제 1 중성부(202a)와 상기 초성부(201)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중성부(202b)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초성부(201), 상기 중성부(202) 및 상기 종성부(203)의 배면에는 글자중공(204)이 구비되며 상기 글자중공(204)에는 글자자석이(205)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초성부(201), 상기 중성부(202) 및 상기 종성부(203)의 표면에는 장식레이어(206)가 구비되어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표현 대상물을 보호하고 진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초성부(201)와 상기 중성부(202)의 상기 글자중공(204)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102)의 위치와 서로 부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초성부(201)와 상기 중성부(202)의 상기 글자중공(204)에 삽입되는 상기 글자자석(205)과 상기 본체중공(102)에 삽입되는 상기 본체자석(103)의 극성은 서로 대르게 배치하여 자력으로 상기 본체부(100)에 상기 초,중,종성부(201-203)이 강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에 상기 초성부(201)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중공(102)은 4 개로 형성되어 상기 초성부(201)의 상기 글자중공(204)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102)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가 각각 상하 방향에서 자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중성부(202a)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중공(102)은 8 개로 형성되어 상기 중성부(202)의 상기 글자중공(204)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102)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가 각각 상하 방향에서 자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중성부(202b)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중공(102)은 4 개로 형성하여 상기 중성부(202)의 상기 글자중공(204)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102)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가 각각 상하 방향에서 자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도록 구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종성부(203)의 상기 글자중공(204)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102)의 위치와 일부만이 일치 되도록 하고 상기 종성부(203)의 상기 글자중공(204)에 삽입되는 상기 글자자석(205)과 상기 본체중공(102)에 삽입되는 상기 본체자석(102)의 극성은 서로 대르게 배치하여 서로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또 다른 본체부(100)를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액자를 연속 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재(미도시)는 일측 도는 양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내부에 감춰지도록 배치되는 자석재가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장식레이어(206)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면으로 형성되고 불규칙한 공간감과 깊이감이을 갖는 재질로 코팅되어 난반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초성부(201), 상기 중성부(202) 및 상기 종성부(203)의 상기 장식레이어(206)는 각각 서로 다른 난반사 규칙 또는 색상을 형성하여 소비자의 선택폭이 커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글자중공(204) 및 상기 본체중공(102)의 구경과 상기 글자자석(205) 및 상기 본체자석(103)의 구경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하여 상기 글자자석(205) 및 상기 본체자석(103)이 상기 글자중공(204) 및 상기 본체중공(102)에 억지끼움되도록 구비되어 자석재가 이탈이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글자중공(204) 및 상기 본체중공(102)에 삽입되는 상기 글자자석(205) 및 상기 본체자석(103)은 상기 글자중공(204) 및 상기 본체중공(102)에 삽입되고 접착제로 고정되도록 하여 강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못이나 나사 등과 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표현물 수용부를 글자와 자석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액자의 분해와 조립및 구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되먀, 한글을 액자에 표면에 배치하도록 제공하여 다양한 글자로 액자를 장식하고 표현할 수 있으며,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한글 전체를 수용하도록하는 액자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자기 이름과 같은 다양한 표현을 손쉽게 하고, 액자 제조자는 글자에 무관하게 표준화된 구성을 제공하여 생산 효율을 높이며, 글자 표면에 반사 또는 난반사되는 장식면을 제공하여 미감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본체부
101 ... 본체 전면재
102 ... 본체중공
103 ... 본체자석
105 ... 표현물보호부
201 ... 초성부
202 ... 중성부
203 ... 종성부
202a ... 제 1 중성부
202b ... 제 2 중성부
205 ... 글자자석

Claims (8)

  1. 그림 또는 사진과 같은 표현물을 끼우도록 구비되는 액자에 있어서,
    전면방향의 표면을 이루는 본체 전면재와 상기 본체 전면재의 이면 방향에 복수의 본체중공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본체자석;
    상기 본체부 상부면인 상기 본체 전면재의 표면에 착탈 배치되도록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표현물보호부;
    상기 표현물보호부와 상기 본체 전면재 사이에 형성되는 표현물수용부;
    상기 표현물보호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사진보호부 전면에 배치되는 초성부; 및
    상기 초성부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초성부를 포함하여 1 조의 한글자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중성부와 종성부; 를 포함하되,
    상기 중성부는 형성하려는 글자에 따라서 상기 초성부 우측에 배치되는 제 1 중성부와 상기 초성부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중성부로 구비되며,
    상기 초성부, 상기 중성부 및 상기 종성부의 배면에는 글자중공이 구비되고,
    상기 글자중공에는 글자자석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초성부, 상기 중성부 및 상기 종성부의 표면에는 장식레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글자형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부와 상기 중성부의 상기 글자중공위치는 상기 본체중공의 위치에 서로 부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초성부와 상기 중성부의 글자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글자자석과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본체자석의 극성은 서로 대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글자형 액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중공은 4 개로 형성되며,
    상기 초성부의 상기 글자중공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가 상하의 방향에서 자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도록 구비되어 상기 초성부와 상기 본체 전면재 사이에 상기 표현물보호부와 표현물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중성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중공은 8 개로 형성되며,
    상기 중성부의 상기 글자중공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가 상하의 방향에서 자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 중성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중공은 4 개로 형성되며,
    상기 중성부의 상기 글자중공의 위치는 상기 본체중공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가 상하의 방향에서 자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글자형 액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성부의 글자중공위치는 상기 본체중공의 위치에 일부만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종성부의 상기 글자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글자자석과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본체자석의 극성은 서로 대르게 배치되어 상기 종성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정부분 변경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글자형 액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일측 또는 양측에는 또다른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재를 더 포함하여 액자를 연속 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글자형 액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레이어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면으로 형성되고 불규칙한 공간감과 깊이감이을 갖는 재질로 코팅되어 난반사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초성부, 상기 중성부 및 상기 종성부의 상기 장식레이어는 각각 서로 다른 난반사 규칙 또는 색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글자형 액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중공 및 상기 본체중공의 구경과 상기 글자자석 및 상기 본체자석의 구경은 서로 동일하여 상기 글자자석 및 상기 본체자석이 상기 글자중공 및 상기 본체중공에 억지끼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글자형 액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중공 및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는 상기 글자자석 및 상기 본체자석은 상기 글자중공 및 상기 본체중공에 삽입되고 접착제로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글자형 액자.

KR2020180001974U 2018-05-04 2018-05-04 한글글자형 액자 KR200492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74U KR200492121Y1 (ko) 2018-05-04 2018-05-04 한글글자형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74U KR200492121Y1 (ko) 2018-05-04 2018-05-04 한글글자형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31U true KR20190002831U (ko) 2019-11-13
KR200492121Y1 KR200492121Y1 (ko) 2020-08-28

Family

ID=6853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974U KR200492121Y1 (ko) 2018-05-04 2018-05-04 한글글자형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2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330A (ko) * 2004-11-30 2006-06-05 이정곤 조립식 다기능 액자
KR20060096642A (ko) 2005-03-02 2006-09-13 민은홍 조립 용이성을 갖는 액자
KR20110075080A (ko) * 2009-12-28 2011-07-06 송미숙 자석 부착식 한글학습교구
JP3194693U (ja) * 2014-09-24 2014-12-04 ラーソン・ジュール・ニッポン株式会社 写真立て
KR20160004069U (ko) * 2015-05-19 2016-11-29 김수영 한글 활용 도자기 메세지 보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693B2 (ja) * 1995-10-13 2001-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ザレーダ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330A (ko) * 2004-11-30 2006-06-05 이정곤 조립식 다기능 액자
KR20060096642A (ko) 2005-03-02 2006-09-13 민은홍 조립 용이성을 갖는 액자
KR20110075080A (ko) * 2009-12-28 2011-07-06 송미숙 자석 부착식 한글학습교구
JP3194693U (ja) * 2014-09-24 2014-12-04 ラーソン・ジュール・ニッポン株式会社 写真立て
KR20160004069U (ko) * 2015-05-19 2016-11-29 김수영 한글 활용 도자기 메세지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121Y1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8933A1 (en) Collapsible 3D display and a method of assembling said 3D display
US8336720B2 (en) Illusion storage rack
AU4704500A (en) Display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5941573A (en) Greeting card
KR20190002831U (ko) 한글글자형 액자
KR20200104116A (ko) 디지털시계가 부설된 액자
US20120279880A1 (en) Try me packaging for an ultraviolet reveal feature
US6125564A (en) Shadow box type transparency display device
US11790809B2 (en) Glass-inclusive sample viewer, and/or associated methods
KR200438172Y1 (ko) 반사판을 구비한 광고용 장식품
KR20160071894A (ko)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
JP2021047375A (ja) テーブルフォトブース及びテーブルフォトブースセット
KR200458956Y1 (ko) 지지대를 이용한 장식판
KR101224478B1 (ko) 스케치가 가능한 박스
KR200383718Y1 (ko) 광디스크 장식케이스
JP2008073300A (ja) ジグソーパズル用額縁
KR200360172Y1 (ko) 탁상용 달력
JP4227669B2 (ja) ジグソーパズル用額縁
KR101853937B1 (ko) 벽장식용 조형물
KR100721115B1 (ko) 액자 기능을 갖는 투명체 장식구
KR20200126050A (ko) 입체감을 갖는 장식품
KR200222425Y1 (ko) 조형물을 내장한 축하 카드
CN205457676U (zh) 立体感装饰板
JP3139813U (ja) 本型展示物
KR20170119855A (ko)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