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855A -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 - Google Patents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855A
KR20170119855A KR1020160048032A KR20160048032A KR20170119855A KR 20170119855 A KR20170119855 A KR 20170119855A KR 1020160048032 A KR1020160048032 A KR 1020160048032A KR 20160048032 A KR20160048032 A KR 20160048032A KR 20170119855 A KR20170119855 A KR 20170119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cass
carvings
storage box
slide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호
김세례
박성연
Original Assignee
정승호
박성연
김세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호, 박성연, 김세례 filed Critical 정승호
Priority to KR1020160048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855A/ko
Publication of KR2017011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8Picture frames where the picture is inserted through a slit in one of the frame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는, 조각체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홀; 상기 상측면과 이웃하는 전면(前面)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상측면과 마주하는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의 광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광노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BOX FOR PUTTING SCULPTURE THEREON AND DISPLAY SET FOR SCULPTURE}
본 발명은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 해소 및 예술적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스토리텔링 기구에 관한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에 대한 것이다.
이미 시중에는 많은 페이퍼 커팅북이 판매되고 있다. 페이퍼 커팅북이란 소정의 밑그림이나 색상이 색칠되어진 페이퍼로 구성된 북으로서, 밑그림이나 색칠선이 커팅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하여, 해당 커팅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커팅을 할 경우, 심미적이고 예술적인 조각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페이퍼 커팅 북 뿐만 아니라 밑그림이 미리 제시되어 색칠하기만 하면 아름다운 그림 작품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컬러링북까지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페이퍼 커팅 북과 컬러링북은 어린 시절 색칠공부를 연상케하는 하나의 수단이 되고 있으며, 현재 환자 치료용으로도 쓰이는 등 많은 용도로 판매되고 있다. (페이퍼 커팅 관련 인터넷 공개 자료 : http://blog.paradise.co.kr/401 공개일 : 2016.03.11)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제품들은 단발성이고 제품 완성 후 소장가치성이 떨어진다. 컬러링북은 색칠 외엔 그 다음 활동이 없고, 커팅북은 완성 후 가이드라인이 없어서 방치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페이퍼 커팅된 제품들에 대한 단발성 문제와 소장가치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페이퍼 커팅된 제품들을 전시하고 적절하게 자신이 원하는 페이퍼 커팅된 제품들을 교체할 수도 있는 구성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시중에는 페이퍼 커팅된 제품들을 수납하고 전시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체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2015-0118288호 (공개일 : 2015.10.2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수납공간을 갖는 액자를 개시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액자는 페이퍼 커팅된 조각체들을 전시할 수는 있지만, 여러 개의 조각체들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페이퍼 커팅된 여러 개의 조각체들을 자유롭게 수납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조각체 수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한 스토리에 따라 여러 개의 조각체들을 수납하고 전시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 아이 육아를 위한 스토리텔링 도구로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 소품으로 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각체 수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는, 조각체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홀; 상기 상측면과 이웃하는 전면(前面)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상측면과 마주하는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의 광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광노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전시 세트는, 상술한 조각체 수납 박스와 상기 조각체 수납 박스의 슬라이드 홀 및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각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술성 있는 여러 개의 조각체를 수납하고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조각체 수납 박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페이퍼 커팅된 조각체 제품의 단발성 및 소장가치 하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각체 수납 박스는 페이퍼 커팅된 조각체들이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에 따라 수납 및 전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한 스토리텔링의 도구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조각체를 수시로 꽂아서 전시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미적인 조각체 전시로 인한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제공하고 키덜트 제품으로서의 소장가치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디서든 전시할 수 있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므로, 집안의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조각체에 빛을 비추도록 조명장치와 함께 사용할 경우, 또 다른 심미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조명기구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의 전면(前面)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의 상측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II‘및 III-III‘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의 하측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가 수납된 조각체 수납 박스의 일 예에 관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전시 세트의 일 예에 대한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10)는 빈 내부 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각체 수납 박스(10)는 사용자가 조각체를 전시하고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도록 전면(前面)(150)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1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조각체 수납 박스(10)는 빈 내부 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에 한하지 않으며 정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각체 수납 박스(10)는 6개의 면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상측면(110), 하측면(120), 우측면(130), 좌측면(140), 전면(前面)(150), 후면(後面)(160)으로 정의된다. 상측면(110)과 하측면(120)은 각각 I 및 II 방향에서 바라본 면이며, 서로 마주하는 면이다. 또한, 상측면(110)과 하측면(120)은 각각 조각체 수납 박스(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해당하는 면이다. 우측면(130)과 좌측면(140)은 상측면(110) 및 하측면(120)과 이웃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면이다. 또한, 전면(150)은 상측면(110), 하측면(120), 좌측면(140), 우측면(130)과 이웃하는 면으로서, 제시된 도면에서는 가장 넓은 면적의 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면(150)은 내부에 수납된 조각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가장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면(160)은 전면(150)과 마주하는 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체의 상측면(110)부터 설명하자면, 상측면(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홀(115)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홀(115)은 조각체가 본체 내로 삽입되는 홀이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홀(115)은 조각체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홀(115)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홀은 직사각형의 장변(長邊)과 단변(單變) 중 장변이 본체(100)의 상측면(110)의 장변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홀(115)은 상측면(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모양을 갖는다.
또한, 슬라이드 홀(115)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는 내부에 삽입된 조각체가 면밀히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35, 14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35, 145)은 본체의 내부면에 형성되되, 좌측면(140)과 우측면(130) 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35, 145)은 각각이 좌측면(140)과 우측면(130)의 장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35, 145)은 조각체의 측면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조각체가 흔들리거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정홈(135, 145)은 슬라이드 홀(115)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135, 145)은 슬라이드 홀(11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홀(115)을 통해 본체 내에 삽입된 조각체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방향 그대로 고정홈(135, 145)에 안착되도록, 각 슬라이드 홀(115)과 고정홈(135, 145)은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135, 145)의 폭(w2)과 슬라이드 홀(115)의 폭(w1)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고정홈(135, 145)은 본체의 하측면(120)과 소정 간격 이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홈(135, 145)에 고정된 조각체는 본체의 하측면(120)과 이격하게 되는데, 본체의 하측면(120)은 광이 입사되는 영역이므로, 너무 가까이에서 조각체가 광과 맞닿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빛 번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의 하측면(120)에는 광노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광노출부(125)는 본체의 하부에서 발하는 광이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 달성을 위해, 광노출부(125)는 개구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광노출부(125)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는 전면(150) 상에 본체의 내부 공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55)를 포함한다.
개구부(155)는 전면(150)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전면(15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조각체가 사용자의 시야에 충분히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2에서는 개구부(155)는 전면(150)에 대응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후면(160)은 내부 공간을 노출시키는 추가 개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 개구부는 본체의 전면(150)에 형성된 개구부(155)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의 후면(160)은 추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고 막혀있는 벽체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본체의 후면(160)은 외부로부터 투영된 빔 프로젝터의 영상이 투영 될 수 있는 색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흰 색 바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10)는 조각체를 수납하고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나, 소형 빔 프로젝터를 통하여 박스(10)의 후면(160)에 특정 영상을 투영시킬 수 있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조각체 수납 박스(10)는 별도의 조각체 없이 투영된 영상의 컨텐츠만으로 스토리텔링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는 조각체 수납 박스(10)의 슬라이드 홀(115) 및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각체는 페이퍼류, 아크릴류 및 스틸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각체는 커팅된 페이퍼 조각일 수 있다. 커팅된 페이퍼 조각이란 기본적인 사각형 형상의 페이퍼로부터 내부의 일 영역이 칼로 커팅되어 특정 형상을 나타내는 조각을 의미한다. 종래에 널리 판매되고 있는 페이퍼 커팅 북의 페이퍼로부터 조각된 대상체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시중의 페이퍼 조각체는 나비, 꽃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조각체는 조각체 수납 박스(10) 내에 삽입되어 고정홈(135, 14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규격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사각형 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7과 같이 조각체(P2)가 중심 부분에 특정 형상의 조각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더라도, 조각체 수납 박스(10)의 슬라이드 홀(115), 고정홈(135, 145) 및 하측면(120)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 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조각체 수납 박스(10)가 상기 본체의 하측면(120)을 지지면으로 하여 세워진 후, 슬라이드 홀(115)을 통해 조각체가 삽입되었을 때 적어도 세워진 채로 지지될 수 있도록, 조각체의 하부 영역은 조각체 수납 박스(10)의 내부공간 중 하측면(120)과 대응하는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조각체 수납 박스(10)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조각체가 세트로 구비되는 경우, 각 조각체의 규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되, 각 조각체 별로 다른 모양의 특정 형상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조각체(P1, P2)의 전체 틀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지만, 도 6과 도 7의 조각체(P1, P2)는 서로 다른 형상이나 그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각체는 배경 조각체와 전경 조각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전경 조각체는 임의의 객체에 관한 조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며, 배경 조각체는 상기 객체가 위치한 환경이나 풍경에 관한 조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의 조각체(P1)는 배경 조각체이며, 도 7의 조각체(P2)는 전경 조각체라 할 수 있다.
조각체가 이와 같이 배경 및 전경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경우, 스토리텔링의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유아용 그림책은 한 페이지에 하나의 그림만 도시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와 조각체 수납 박스(10)를 이용할 경우, 부모가 배경 조각체를 먼저 삽입하여 아이에게 이야기의 전제 부분을 얘기할 수 있도록 하고, 이야기 전개상 주인공이 나타날 경우, 전경 조각체를 삽입함으로써 이야기의 본론 부분을 지속적으로 얘기해 나갈 수 있다. 이때, 전경 조각체를 삽입함으로써 장면이 전환됨을 나타냄과 동시에 전경 조각체의 빈 공간 사이로 배경 조각체의 일부 영역이 보이도록 하여 심미적인 효과까지 제공함으로써 이야기를 듣는 아이로 하여금 창의력까지 유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의 배경 조각체(P1)를 박스(10)에 수납할 경우, 도 8과 같은 형태를 나타내게 되며, 이어서, 도 7의 전경 조각체(P2)를 박스(10)에 수납할 경우, 도 9와 같은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각체 및 조각체 수납 박스(10)로 이루어진 조각체 전시 세트는 조각체 수납 박스(10)의 하측면(120)에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할 경우, 도 10과 같은 형태의 전시품이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내 조명장치로 활용할 수도 있고, 침실 조명 장식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조각체 수납 박스 110: 상측면
115 : 슬라이드 홀 120 : 하측면
125 : 광노출부 130 : 우측면
140 : 좌측면 135 , 145 : 고정홈
150 : 전면 155 : 개구부
160 : 후면

Claims (16)

  1. 조각체 수납 박스에 있어서,
    조각체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홀;
    상기 상측면과 이웃하는 전면(前面)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상측면과 마주하는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의 광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광노출부;
    를 포함하는, 조각체 수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면은 상기 상측면 및 하측면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인, 조각체 수납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홀은,
    장변(長邊)이 상기 상측면의 장변(長邊)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조각체 수납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홀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인, 조각체 수납 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드 홀을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조각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상측면 및 하측면과 이웃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은 서로 마주하는 면인 것인, 조각체 수납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인, 조각체 수납 박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과 마주하는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노출시키는 추가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조각체 수납 박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과 마주하는 후면은,
    외부로부터 투영된 빔 프로젝터의 영상이 투영 될 수 있는 색상 및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조각체 수납 박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노출부는,
    개구 영역으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조각체 수납 박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상기 조각체 수납 박스의 슬라이드 홀 및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각체를 포함하는, 조각체 전시 세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체는,
    페이퍼류, 아크릴류 및 스틸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인, 조각체 전시 세트.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체는,
    커팅된 페이퍼 조각인 것인, 조각체 전시 세트.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체는,
    상기 조각체 수납 박스가 상기 본체의 하측면을 지지면으로 하여 세워진 후, 상기 슬라이드 홀을 통해 삽입되었을 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조각체 수납 박스의 내부공간에 대응하는 사각형 틀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인, 조각체 전시 세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체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각 조각체의 규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되, 각 조각체 별로 다른 모양의 특정 형상을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것인, 조각체 전시 세트.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체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조각체는 배경 조각체와 전경 조각체로 구성되는 것인, 조각체 전시 세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경 조각체는 임의의 객체에 관한 조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경 조각체는 상기 객체가 위치한 환경이나 풍경에 관한 조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인, 조각체 전시 세트.
KR1020160048032A 2016-04-20 2016-04-20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 KR20170119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32A KR20170119855A (ko) 2016-04-20 2016-04-20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32A KR20170119855A (ko) 2016-04-20 2016-04-20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55A true KR20170119855A (ko) 2017-10-30

Family

ID=6030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032A KR20170119855A (ko) 2016-04-20 2016-04-20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9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400823A1 (en) * 2020-06-18 2021-12-23 Will Uebelacker Display frame with multiple slide-in pan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400823A1 (en) * 2020-06-18 2021-12-23 Will Uebelacker Display frame with multiple slide-in pan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720B2 (en) Illusion storage rack
EP2560525B1 (en) Equipment for displaying information carriers, especially for advertising purposes
WO2000074538A1 (en) Display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5011446A (en) Transparent toy house
KR101371588B1 (ko) 투명 입체 퍼즐
KR20170119855A (ko)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
US20150239285A1 (en) Reversible Interchangeable Art Images
JP2007106430A (ja) フラワーボックス
JP3234968U (ja) 展示ケース
KR20170119857A (ko) 조각체 수납 박스 안착용 도킹 스테이션 및 조각체 전시 조명 시스템
US20050263463A1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device
KR101315138B1 (ko) 투명 입체 퍼즐
JP4227669B2 (ja) ジグソーパズル用額縁
US2836916A (en) Combined frame holder and perforated object
KR101534401B1 (ko) 이름학습용 퍼즐
JP7373141B2 (ja) 被飾体保持具
US11937711B1 (en) Item display case and system
JP7178518B1 (ja) 組み立て式展示ケース
KR101414189B1 (ko) 투명 입체 퍼즐
JP3091687U (ja) 展示用組合せ容器
JP3112050U (ja) 包装体
KR200481948Y1 (ko) 벽걸이 액자
KR20140062301A (ko) 액자
JP4468835B2 (ja) 展示具
JPH0872499A (ja) 額 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