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401B1 - 이름학습용 퍼즐 - Google Patents

이름학습용 퍼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401B1
KR101534401B1 KR1020130124341A KR20130124341A KR101534401B1 KR 101534401 B1 KR101534401 B1 KR 101534401B1 KR 1020130124341 A KR1020130124341 A KR 1020130124341A KR 20130124341 A KR20130124341 A KR 20130124341A KR 101534401 B1 KR101534401 B1 KR 10153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ock member
name
user
pu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102A (ko
Inventor
김남극
Original Assignee
김남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극 filed Critical 김남극
Priority to KR102013012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4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이름학습용 퍼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름학습용 퍼즐은,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으로 형성한 문자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가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인 문자로 형성하여 마련되는 블록부재; 및 상기 블록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들이 놀이를 통한 반복 학습으로 자신의 이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고, 실내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름학습용 퍼즐{PUZZLE FOR STUDYING NAME}
본 발명은 이름학습용 퍼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들이 놀이를 통한 반복 학습으로 자신의 이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고, 실내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름학습용 퍼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름은 사람의 성 뒤에 붙여 다른 사람과 구별할 수 있도록 태어날 때 부모님이 지어주는 명칭이며, 인명(人名)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이름은 첫돌 행사 때 입체적으로 도형화되어 하객들에게 공개된다.
그러나 첫돌 행사 때 공개되는 이름은 사진촬영의 연출을 위한 소도구로의 기능만 할 수 있도록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형상화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렇게 스티로폼으로 형상화한 이름은 일회성 장식품에 지나지 않아 유아들이 성장하면서 이를 간직하거나 활용할 수 없고, 제작에 따른 비용부담과 자원의 낭비로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유아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놀이를 통한 반복 학습으로 자신의 이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고 반영구적인 보관을 통해 실내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름학습용 퍼즐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유아들이 놀이를 통한 반복 학습으로 자신의 이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고 실내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름학습용 퍼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으로 형성한 문자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가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인 문자로 형성하여 마련되는 블록부재; 및 상기 블록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름학습용 퍼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블록부재는, 상기 문자를 형성하는 자음과 모음이 일체로 형성되되 바닥면에 자립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부재는, 배면에 사용자의 정보 등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정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부재는, 한글, 영문, 한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상기 블록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는, 목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상기 블록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는, 사용자인 유아의 안전성과 장기 보존이 가능하도록 표면 전체에 천연오일로 형성되는 습기차단물질이 적어도 일 회 이상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름학습용 퍼즐에 의하면, 하우징의 수용부로부터 블록부재를 인출한 뒤 자신의 이름 순서대로 배열하거나 블록부재 각각의 문자를 인지하여 습득하는 반복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이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고, 수용부에 블록부재를 인입시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하여 실내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름학습용 퍼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름학습용 퍼즐의 하우징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름학습용 퍼즐의 블록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름학습용 퍼즐의 마감부재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름학습용 퍼즐의 사용상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름학습용 퍼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름학습용 퍼즐의 하우징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름학습용 퍼즐의 블록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름학습용 퍼즐의 마감부재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름학습용 퍼즐의 사용상태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름학습용 퍼즐(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으로 형성한 문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22)가 마련되는 하우징(20)과,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인 문자로 형성하여 마련되는 블록부재(30)와, 그리고 하우징(20)의 배면에 결합되는 마감부재(40)를 포함한다.
하우징(2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름학습용 퍼즐(10)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으로 형성한 문자를 보관할 수 있는 수용부(22)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하우징(2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중량이 가벼운 소재인 목재로 마련된다.
수용부(22)는 하우징(20)의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으로 형성한 문자, 즉 후술하는 블록부재(3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수용부(22)는 블록부재(3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수용부(22)는 블록부재(30)가 하우징(20)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된 후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즉, 블록부재(30)는 하우징(20)의 전면에 마킹된 상태에서 전동실톱에 의해 절단되어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하우징(20)에 블록부재(3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22)가 형성되는 것이다.
하우징(20)은 수용부(22)의 가장자리에 수용부(22)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24)이 마련된다. 즉, 경사면(24)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블록부재(30)를 수용부(22)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하우징(20)과 블록부재(30)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이에 블록부재(30)를 수용부(22)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20)은 수용부(22)에 블록부재(30)를 수용시켜 보관하게 됨으로써 블록부재(30)의 정리와 보관이 편리하면서도 분실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블록부재(30)는 하우징(20)에 마련된 수용부(22)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즉, 블록부재(30)는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으로 형성하여 마련되도록 하우징(20)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 형성된다. 이때, 블록부재(30)를 형성하는 각각의 문자는 자음 및 모음이 서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면서도 바닥면에 자립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블록부재(30)는 사용자인 유아가 각각의 문자를 이름 순서대로 배열하는 퍼즐방식 혹은 각각의 문자를 인지하여 습득하는 학습방식을 통한 반복 학습으로 자신의 이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유아는 블록부재(30)를 이용한 놀이방식을 통해 자신의 한글이름, 영문이름, 한문이름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블록부재(30)는 사용자의 한글이름 ‘정아람’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블록부재(30)는 사용자의 영문이름 혹은 한문이름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이름이 영문으로 형성되는 경우, 블록부재(30)는 ‘JUNG A RAM’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의 이름이 한문으로 형성되는 경우, 블록부재(30)는 ‘鄭娥攬’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블록부재(30)는 한글, 영문, 한문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지된 다양한 문자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블록부재(30)는 하우징(20)에 마련된 수용부(22)에 수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마감부재(40)는 하우징(20)의 배면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마감부재(40)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의 배면에 일체화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블록부재(30)는 수용부(22)에서 하우징(20)의 전면 방향으로만 인입 및 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마감부재(40)는 하우징(20)과 동일한 소재인 목재로 형성된다.
마감부재(40)는 배면에 사용자의 정보 등이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정보표시부(42)가 마련된다. 정보표시부(42)는 예를 들어서, 사용자의 이름, 태명, 생년월일시, 부모이름, 이름에 담긴 뜻 등의 내용이 기재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정보표시부(42)는 장기 보존시에도 글자의 선명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레이저 마킹을 통해 기재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름학습용 퍼즐(10)은 표면 전체에 천연오일로 형성되는 습기차단물질(50)이 일 회 이상 도포되며 이에 유아가 안전하게 사용하면서도 장기 보존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즉, 하우징(20), 블록부재(30) 및 마감부재(40)의 표면 전체에 천연오일로 형성되는 습기차단물질(50)을 도포하여 사용자인 유아에게 환경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도 생활 습기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도록 보호성을 높임으로써 안전성과 장기 보존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습기차단물질(50)은 사용자인 유아의 건강과 위생을 고려하고 습기를 차단할 수 있는 천연오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하우징(20), 블록부재(30) 및 마감부재(40)의 표면에는 천연오일 대신에 다양한 색채를 갖는 천연페인트가 도포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름학습용 퍼즐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에 마련된 수용부(22)로부터 블록부재(30)를 인출한 후 블록부재(30)를 자신의 이름 순서대로 맞게 배열하는 놀이방식 혹은 블록부재(30) 각각의 문자를 인지하여 습득하는 반복 학습을 통해 자신의 한글이름, 영문이름, 한문이름 등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부재(30)는 사용 뒤 하우징(20)에 마련된 수용부(22)에 인입시켜 보관함으로써, 정리와 보관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블록부재(30)는 하우징(20)에 마련된 수용부(22)에 수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이름학습용 퍼즐(10)을 실내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20), 블록부재(30) 및 마감부재(40)는 표면에 습기차단물질(50)이 도포됨에 따라 습기로부터 보호되어 장기 보존이 가능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름학습용 퍼즐(10)은, 하우징(20)의 수용부(22)로부터 블록부재(30)를 인출한 뒤 자신의 이름 순서대로 배열하거나 블록부재(30) 각각의 문자를 인지하여 습득하는 반복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이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고, 수용부(22)에 블록부재(30)를 인입시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하여 실내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름학습용 퍼즐(10)은, 하우징(20), 블록부재(30) 및 마감부재(40)의 표면에 습기차단물질(50)이 도포됨에 따라 습기로부터 보호되어 장기 보존이 가능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작에 따른 비용과 수고를 덜 수 있어 목재자원의 절약과 비용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 하우징 22: 수용부
24: 경사면 30: 블록부재
40: 마감부재 42: 정보표시부
50: 습기차단물질

Claims (6)

  1.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으로 형성한 문자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가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이름을 입체적인 문자로 형성하여 마련되는 블록부재; 및
    상기 블록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블록부재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후 상기 블록부재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수용부의 입구 가장자리에 따라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블록부재 및 마감부재는 사용자의 안전성과 장기 보존이 가능하도록 표면 전체에 천연오일 또는 천연페인트로 형성되는 습기차단물질이 일회 이상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름학습용 퍼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재는,
    상기 문자를 형성하는 자음과 모음이 일체로 형성되되 바닥면에 자립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름학습용 퍼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배면에 사용자의 정보 등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정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름학습용 퍼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재는,
    한글, 영문, 한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름학습용 퍼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기 블록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는, 목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름학습용 퍼즐.
  6. 삭제
KR1020130124341A 2013-10-18 2013-10-18 이름학습용 퍼즐 KR10153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341A KR101534401B1 (ko) 2013-10-18 2013-10-18 이름학습용 퍼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341A KR101534401B1 (ko) 2013-10-18 2013-10-18 이름학습용 퍼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02A KR20150045102A (ko) 2015-04-28
KR101534401B1 true KR101534401B1 (ko) 2015-07-09

Family

ID=5303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341A KR101534401B1 (ko) 2013-10-18 2013-10-18 이름학습용 퍼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922Y1 (ko) * 2019-11-01 2022-02-08 채영미 액세서리 포장 패키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8977U (ko) * 1987-03-20 1988-09-30
KR200173474Y1 (ko) * 1999-08-02 2000-03-15 나기상 유아교육용 블록완구
KR200230082Y1 (ko) * 2000-11-14 2001-07-03 양헌욱 이름표기판
KR20120053644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유니온앤이씨 학습용 목질계 퍼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8977U (ko) * 1987-03-20 1988-09-30
KR200173474Y1 (ko) * 1999-08-02 2000-03-15 나기상 유아교육용 블록완구
KR200230082Y1 (ko) * 2000-11-14 2001-07-03 양헌욱 이름표기판
KR20120053644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유니온앤이씨 학습용 목질계 퍼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02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itannica Me and You
US2875531A (en) Educational device of interlocked puzzle pieces
US1330780A (en) Receptacle
Lévi-Strauss The other face of the moon
KR101534401B1 (ko) 이름학습용 퍼즐
KR101371588B1 (ko) 투명 입체 퍼즐
KR200455377Y1 (ko)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Scott Frame-making and Frame-breaking in Picturebooks
CN205541487U (zh) 点读词典
KR20170119855A (ko) 조각체 수납 박스 및 조각체 전시 세트
US9370240B2 (en) Toothbrush including kit for decorating the toothbrush
KR200457919Y1 (ko) 자가검증용 한글교습구
Fisher Trans Pride: A Coloring Book
KR101926926B1 (ko) 휴대용 이쑤시개 케이스
KR100525596B1 (ko) 유아지능개발용 복합 교구 테이블
BÎZDOACĂ ASPECTS OF THE SUBLIME IN ANN RADCLIFFE’S THE ITALIAN
KR101486557B1 (ko) 미관상 수려한 안전펜스 판
Harrison The heart of the matter?
류린 Tapestry Figures: Weaving and Unweaving Dante, Virgil, Geryon and Arachne in Inferno XVI and XVII
JP3164329U (ja) 入浴剤用包装袋
Macris Three poems about my son, who has autism
KR20180003476U (ko) 단어 우체통 교구
Ransom Tooth Fairy's Night
Vander Molen The Object Parade (Book Review)
Robilotta Destruction of the cute and delic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