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894A -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 - Google Patents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894A
KR20160071894A KR1020140179642A KR20140179642A KR20160071894A KR 20160071894 A KR20160071894 A KR 20160071894A KR 1020140179642 A KR1020140179642 A KR 1020140179642A KR 20140179642 A KR20140179642 A KR 20140179642A KR 20160071894 A KR20160071894 A KR 20160071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object
object storage
mounting
perforated lin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호
Original Assignee
유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용호 filed Critical 유용호
Priority to KR102014017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894A/ko
Publication of KR2016007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8Weakened closure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입체물을 저장하는 포장 케이스가 개시되며, 상기 포장 케이스는 상기 입체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커버하는 입체물저장부; 및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에 입체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둘레면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천공되는 투시부 및 내부둘레면에 배경그림이 형성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물 저장부의 상기 스크린부가 펼쳐지도록 개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PACKING CASE AND PACKAGED TOY PRODUCT}
본원은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케이스는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포장 케이스는 거의 대부분 박스 형태인 종이에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이 인쇄되고, 또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비닐지가 코팅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포장 케이스는 내용물을 운반이 완료가 되면 대부분 재활용되지 못하고 쓰레기로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10-0782165에는 포장케이스를 재활용하기 위해 외면에 그림이 형성되어 있는 쿠키상자가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관 및 운반 기능 이외에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는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입체물을 저장하는 포장케이스는, 상기 입체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커버하는 입체물저장부; 및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에 입체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둘레면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천공되는 투시부 및 내부둘레면에 배경그림이 형성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상기 스크린부가 펼쳐지도록 개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된다.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패키지형 완구 제품은 입체물, 및 상기 입체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커버하는 입체물저장부 및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에 상기 입체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포장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둘레면 중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내부가 보이는 소정 영역을 절취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포장케이스를 거치대로 재활용되어, 포장 케이스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쓰레기 증가와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당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은 유아나 어린이들을 위한 학습 교구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 및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키지형 완구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물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입체물(200)을 저장하는 포장 케이스(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12) 및 거치부(12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100)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키지형 완구 제품(1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물(200)의 사시도이다.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100)(이하 '본 포장 케이스(10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포장 케이스(10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입체물(200)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포장 케이스(100)는 입체물(200)이 저장되는 공간을 커버하는 입체물저장부(110) 및 입체물저장부(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에 입체물(200)이 안착되는 안착부(121)를 포함하는 거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포장 케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인형과 같은 입체물(200)을 보관할 수 있는 입체물저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체물저장부(110)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면과 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물저장부(110)의 상부면은 도 1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면일 수 있으며, 둘레면은 상부면의 모서리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입체물저장부(110)의 둘레면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천공되는 투시부(111) 및 내부둘레면에 배경그림이 형성되는 스크린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투시부(111)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천공되되, 천공된 부분에 투명한 필름(111a)을 부착되어 내부의 입체물(2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투명한 필름(111a)은 비닐, 셀로판지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나 유리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린부(112)는 내부둘레면에 배경그림이 인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경그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물(200)이 팬더형상을 가질 경우, 대나무그림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배경그림은 입체물(200)과 관련된 그림일 수 있다. 또한, 배경그림은 미리 색상 등이 완전하게 인쇄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윤곽선만을 인쇄하여 사용자가 직접 배경그림에 색연필 등으로 색칠을 함으로써 색칠놀이나 색칠공부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거치부(120)는 입체물저장부(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에 입체물(200)이 안착되는 안착부(121)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거치부(120)는 원기둥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입체물(200)이 안착되는 안착부(121)가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2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구비되고, 점토 조성물(3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점토 조성물(300)은 거치부(120)의 하부면을 개방하여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상술한 점토 조성물(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포장 케이스(100)는 입체물저장부(110)의 스크린부(112)가 펼쳐지도록 개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개방이란 스크린부(112)가 완전히 분리되어 펼쳐지거나 스크린부(112)의 하부 일부분을 제외하고 절취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입체물저장부(110)의 상부모서리에는 제 1 절취선(101)이 형성되고, 투시부(111)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제 2 절취선(102)이 연장 형성되며, 투시부(111)의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제 3 절취선(103)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입체물저장부(110)의 하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제 4 절취선(10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포장 케이스(100)는 절취선을 따라 모두 절취하였을 때의 도 2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포장 케이스(100)는 제 4 절취선(104)을 따라 절취함으로써, 입체물저장부(110)와 거치부(120)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절취선(101)을 따라 절취하여 입체물저장부(110)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체물저장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입체물(200)을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또한, 제 2 절취선(102) 및 제 3 절취선(103)을 절취하여, 투시부(111)와 스크린부(112)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절취선을 따라 모두 절취한 후, 투시부(111) 및 입체물저장부(110)의 상부면을 제거하고, 스크린부(112)는 입체물(200)의 후방에 위치시켜 미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 4 절취선(104)은 입체물저장부(110)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스크린부(112)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분만 형성되어 스크린부(112)가 안착부(121)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입체물저장부(110)와 거치부(120)는 제 4 절취선(104)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포장 케이스(100)는 원기둥형상으로 제작되어, 상부면, 하부면, 및 둘레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둘레면의 중앙부에 둘레방향으로 제 4 절취선(104)이 형성되고, 제 4 절취선(104)을 중심으로 일측이 입체물저장부(110), 타측이 거치부(120)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일측은 도 1의 상부방향일 수 있으며, 타측은 도 1의 하부방향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린부(112)는 안착부(121)에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거치홈(121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112)는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사(112a)가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좌우방향이란 도 2의 좌측(9시 방향) 및 우측(3시 방향)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체물저장부(110)가 원기둥형상일 경우, 스크린부(112)는 일정곡률을 가지게 고정되어,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도 완전히 평면상태로 되지 않고 일정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스크린부(112)는 내부에 철사(112a)를 포함하여, 평면상태로 쉽게 만들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크린부(112)가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 형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원력이 높지 않은 철사(112a)를 스크린부(112)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스크린부(112)를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키지형 완구 제품(10)(이하, ‘본 패키지형 완구 제품(10)’이라 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패키지형 완구 제품(10)은 입체물(200) 및 포장케이스(10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장케이스(100)는 입체물(200)이 저장되는 공간을 커버하는 입체저장부(110) 및 입체물저장부(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에 입체물(200)이 안착되는 안착부(121)를 포함하는 거치부(120)를 포함한다.
입체물(200)은 입체물저장부(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입체물저장부(110)의 둘레면은 투명한 필름(111a)을 부착하여 구성되는 투시부(111)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입체물(200)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체물저장부(110)의 둘레면 중 입체물저장부(110)의 내부가 보이는 소정 영역을 절취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취선은 입체물저장부(110)의 내부가 보이는 소정 영역의 상부, 하부, 및 양측부에 절취선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입체물저장부(110)의 내부가 보이는 소정 영역의 상부에 형성되는 절취선은 제1절취선(101)일 수 있고, 하부에 형성되는 절취선은 제4절취선(104)일 수 있으며, 양측부에 형성되는 절취선은 제2절취선(102) 및 제3절취선(103)일 수 있다.
본 패키지형 완구 제품(10)은 거치부(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점토 조성물(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토 조성물(300)은 입체물(200)의 표면에 소정 두께로 접착 가능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점토 조성물(300)은 사용자에 의해 입체물(200)의 형상을 따라서 접착될 수 있고, 점토 조성물(300)의 형태나 크기는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다. 입체물(200)의 표면은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코팅 처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포장 케이스(100)의 외부 면에 도시된 완성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입체물(200)은 완성품의 뼈대 혹은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입체물(200)에 점토 조성물(300)을 부착하여 완성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점토 조성물(300)은 인체에 무해한 점토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점토 조성물(300)은 전분 약 21 내지 약 31 중량부, 염화나트륨 약 2 내지 약 12 중량부, 글루텐 약 1 내지 약 10 중량부, 글리세린 약 5 내지 약 15 중량부, 구아검 약 0.5 내지 약 5 중량부, 유지 약 1 내지 약 10 중량부, 및 물 약 25 내지 약 35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점토 조성물(300)은 전분 21 내지 31 중량부, 염화나트륨 2 내지 12 중량부, 글루텐 1 내지 10 중량부, 글리세린 5 내지 15 중량부, 유지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15 내지 25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점토 조성물(300)은 물에 염화나트륨 및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형성하고, 글루텐, 구아검, 및 전부 가루를 혼합액에 첨가하여 반죽을 형성하며, 반죽에 유지를 첨가한 후 숙성하고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토 조성물(300)은 인체에 무해한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염화나트륨, 글루텐, 글리세린, 구아검, 및 유지를 포함함으로써 영유아들의 점토 조성물 섭취를 방지하고, 또한 섭취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한 점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점토 조성물(300)은 전체 중량부에 대하여 높은 수분 함량을 가짐으로써 염료와의 혼합에 의해 착색이 용이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염료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점토 조성물(300)의 착색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점토 조성물(300)을 교육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술실습용 수채 물감을 점토 조성물(300)에 혼합함으로써 쉽게 착색시킬 수 있고, 착색된 점토 조성물(300) 간에도 혼합이 용이하므로 영유아의 색채 교육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패키지형 완구 제품(10)은 입체물(200)이 위치하는 입체물저장부(110)와 점토 조성물(300)이 위치하는 거치부(120)를 포함함으로써, 다시 말해 점토 조성물(300)과 입체물(200)을 각각 다른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이동시 서로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서 입체물(2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입체물(200)은 특정 사물 또는 동물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입체물(200)은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몸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안착부(121)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체물(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더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팬더의 몸체가 몸체부(210)일 수 있다.
몸체부(210)는 내부에 중심추(2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체물(200)은 석고로 제작되어 무게가 가벼워 쉽게 넘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몸체부(210)는 내부의 하부에 중심추(211)가 위치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부(12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는 하부에 고정홈(212)이 형성되고, 안착부(121)는 상부면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돌출부가 고정홈(212)에 삽입되어 입체물(200)이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 되지 않고, 몸체부(210)의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안착부(121)의 상부면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입체물(200)이 고정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물(200)은 팬더 형태일 수 있으며, 점토 조성물(300)은 검은색을 가져, 검은색의 점토 조성물(300)을 입체물(200)에 부착하여 팬더형태의 조형물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완성된 조형물을 안착부(121)의 상부면에 고정 또는 위치시키고, 입체물(200)의 후방에 스크린부(112)를 위치시켜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거치부(120)의 내부에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안착부(121)를 불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여,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빛이 입체물(200)로 발산되어 미적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처럼 해당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은 부모나 선생님의 지도 하에서 유아나 어린이들을 위한 학습 교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점토 조성물(300)은 인체에 무해한 전분을 주성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아나 어린이가 섭취하는 경우에도 건강 상에 문제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패키지형 완구 제품
100 : 포장 케이스
110 : 입체물저장부
111 : 투시부 111a : 필름
112 : 스크린부 112a : 철사
120 : 거치부 121 : 안착부
121a : 거치홈
101 : 제1절취선 102 : 제2절취선
103 : 제3절취선 104 : 제4절취선
200 : 입체물
210 : 몸체부 211 : 중심추
212 : 고정홈
300 : 점토 조성물

Claims (11)

  1.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입체물을 저장하는 포장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입체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커버하는 입체물저장부; 및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에 입체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둘레면은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천공되는 투시부 및 내부둘레면에 배경그림이 형성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상기 스크린부가 펼쳐지도록 개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되는 포장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상부모서리에는 형성되는 제 1 절취선;
    상기 투시부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절취선;
    상기 투시부의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 절취선; 및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하부에는 상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4 절취선을 포함하는 포장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에 점토 조성물이 구비되는 것인 포장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그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사를 포함하는 포장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스크린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거치홈이 형성되는 포장 케이스.
  6. 패키지형 완구 제품에 있어서,
    입체물; 및
    상기 입체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커버하는 입체물저장부 및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에 상기 입체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포장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둘레면 중 상기 입체물저장부의 내부가 보이는 소정 영역을 절취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되는 패키지형 완구 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소정 영역의 상부, 하부, 및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패키지형 완구 제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점토 조성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토 조성물은 상기 입체물의 표면에 소정 두께로 접착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는 것인 패키지형 완구 제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물은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패키지형 완구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중심추를 포함하는 패키지형 완구 제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은 하부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입체물이 고정되는 패키지형 완구 제품.
KR1020140179642A 2014-12-12 2014-12-12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 KR20160071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42A KR20160071894A (ko) 2014-12-12 2014-12-12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42A KR20160071894A (ko) 2014-12-12 2014-12-12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894A true KR20160071894A (ko) 2016-06-22

Family

ID=5636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642A KR20160071894A (ko) 2014-12-12 2014-12-12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18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080A (ko) 2020-07-13 2022-01-20 이시은 이중 포장 케이스
KR20220054089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패키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080A (ko) 2020-07-13 2022-01-20 이시은 이중 포장 케이스
KR20220054089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패키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4335A1 (en) KIT FOR COMPILING IMAGES.
KR20160071894A (ko) 포장 케이스 및 패키지형 완구 제품
KR101565092B1 (ko) 입체공간 채우기 교육용 완구
US8376137B2 (en) Try me packaging for an ultraviolet reveal feature
JP2019136056A (ja) 装飾玩具、装飾玩具を装着した装飾物品、及び装飾物品の組み立てキット
CN212998387U (zh) 一种立体拼接式玩具
US20140068981A1 (en) Self-Adhering Graphics
US20160340074A1 (en) Three-Dimensional Gift Wrap
US20140014540A1 (en) Packaging for Puzzles or Board Games and an Assembly of such a Packaging and the Objects Forming Part of a Puzzle or Board Game
JP3207011U (ja) スノーグローブ
KR101224478B1 (ko) 스케치가 가능한 박스
JP3132100U (ja) 遊べるぬり絵
RU2603556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набор для декорирования указанной зубной щетки
JPH055153Y2 (ko)
KR200492121Y1 (ko) 한글글자형 액자
CN210314098U (zh) 一种仿儿童玩具氢气球贴纸
US20160144655A1 (en) Decorative egg system and method
JP3119184U (ja) 販売用弁当箱
USD942176S1 (en) Disinfecting cap dispenser
KR200453030Y1 (ko) 흥미를 유발하는 학습용 책
JP2005271961A (ja) 簡易バッグ
JP3132206U (ja) 達磨
KR100422829B1 (ko) 유아용 인쇄물
KR20220073930A (ko) 접이식 박스
KR200423613Y1 (ko) 쿠키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