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24A -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624A
KR20190002624A KR1020187034530A KR20187034530A KR20190002624A KR 20190002624 A KR20190002624 A KR 20190002624A KR 1020187034530 A KR1020187034530 A KR 1020187034530A KR 20187034530 A KR20187034530 A KR 20187034530A KR 20190002624 A KR20190002624 A KR 2019000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textile material
textile
stan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007B1 (ko
Inventor
콜린 베일리
킴 디 바샤크
올리비아 에이 에콜스
스테이시 엘 한센
루카스 하트만
레베카 피 허드
애덤 파킨슨
섀넌 케이 레델
데이빗 세이건
수잔 케이 소콜로우스키
스튜어트 비 브라운
매튜 제이 핸콕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to KR102020702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5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41D27/285Means for ventilation with closure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41D31/125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through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20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양태들은 설계 형성된 개구(120), 벤팅 및/또는 스탠드-오프 구조의 사용을 통해 체온 조절을 촉진시키는 의류 제품(100)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의류 제품(100)의 20 내지 45%는 설계 형성된 개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제품 내로 공기를 채널링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의류 제품 상에서 많은 양의 공기 흐름을 겪는 영역에 벤트들이 위치될 수 있다. 스탠드-오프 구조는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여기서 이들은 의류 제품과 착용자의 신체 표면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돕고 증발 냉각을 촉진함으로써 착용자를 냉각시키는 것을 돕는다.

Description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본 발명의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운동복 제품(item)은 단열재를 제공하도록 또는 열 방산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이들 피처 모두를 달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이들은 종종 특정 환경 조건(예를 들어, 더운 날씨 또는 추운 날씨)으로 제한된다. 또한, 열 방산을 돕도록 구성되는 경우, 열 방산량은 종종 운동 선수를 최적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데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적어도 제1 에지 및 제2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 상기 개구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복원성(elastically resilient) 트림 부재(trim piece)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하는 의류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 복원성 트림 부재는 개구의 적어도 제1 에지에 결합된다.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 재료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되고, 개구는 의류 제품의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의 공기 흐름을 허용한다. 트림 부재는 개방 상태에서 개구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아치형 형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또한 텍스타일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텍스타일 재료의 적어도 일부 상에 복수의 텍스타일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텍스타일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트위스팅하는 단계, 트위스팅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팅된 텍스타일 세그먼트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타일 재료로부터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의류 제품은 상기 텍스타일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트위스팅된 텍스타일 세그먼트는 상기 의류 제품의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더 많은 양의 공기 흐름 또는 공기 압력을 받는 상기 의류 제품의 영역에 위치된다. 복수의 텍스타일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는 텍스타일 재료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다. 복수의 텍스타일 세그먼트는 의류 제품의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복수의 텍스타일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트위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타일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텍스타일 세그먼트의 제1 단부를 결합 해제하는 단계, 상기 텍스타일 세그먼트를 트위스팅하는 단계; 및 텍스타일 세그먼트의 제1 단부를 텍스타일 재료에 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위스팅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팅된 텍스타일 세그먼트를 고정하는 단계는 텍스타일 세그먼트를 텍스타일 재료의 제1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2 텍스타일 재료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텍스타일 재료는 비-신축성 재료를 포함한다. 복수의 텍스타일 세그먼트는 의류 제품의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의류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표면 및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제1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텍스타일 재료는 제1 에지, 상기 제1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에지, 상기 제1 텍스타일 재료에 부착된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고 상기 제1 텍스타일 재료에 부착된 제2 단부에 의해 한정된 주변 형상을 갖는 플랩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텍스타일 재료의 제1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2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플랩의 상기 제1 에지는 제2 텍스타일 재료에 부착된다. 제2 텍스타일 재료는 비-신축성 재료이다. 플랩의 제1 에지를 제2 텍스타일 재료에 부착하면 플랩이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제1 표면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이다. 제2 표면은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이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텍스타일 재료에 장력 변형을 생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텍스타일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상기 텍스타일 재료에 장력을 가하는 단계; 및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하에 있는 동안 텍스타일 재료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표면 처리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용되는 표면 처리는 실리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 잉크 중 하나 이상이다. 장력은 텍스타일 재료에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가해진다. 장력은 텍스타일 재료에 x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가해진다. 상기 방법은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하에 있는 동안 표면 처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텍스타일 재료에 가해지는 장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장력을 해제하는 단계 후에, 표면 처리가 적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텍스타일 재료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장력이 해제된 후에 상기 텍스타일 재료에 스팀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텍스타일 재료는 장력 유지 장치 상에 위치되고, 장력 유지 장치는 텍스타일 재료에 장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장력 유지 장치는 표면 처리가 텍스타일 재료에 적용되는 위치와 텍스타일 재료의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는 위치 사이의 레지스트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표면 처리는 가변 패턴의 텍스타일 재료에 적용된다. 표면 처리는 텍스타일 재료에 반복 패턴으로 적용된다. 표면 처리의 하나 초과의 층이 텍스타일 재료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도포된다.
본 명세서의 양태들은 또한 텍스타일 재료 상에 인장 변형을 생성시키는 방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을 갖는 텍스타일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텍스타일 재료의 제1 표면에 제1 장력을 가하고 텍스타일 재료의 제2 표면에 제2 장력을 가하는 단계 - 상기 제2 장력은 상기 제1 장력보다 작고, 상기 제1 및 제2 장력은 동일한 방향으로 가해짐 - ; 및 상기 텍스타일 재료가 인장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텍스타일 재료에 표면 처리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장력 및 제2 장력은 롤러에 의해 가해진다. 상기 방법은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하에 있는 동안 표면 처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표면 처리가 적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텍스타일 재료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갖는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하는 의류 제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표면 처리의 적용을 통해 인장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제2 부분은 장력 없는 휴지(resting) 상태로 유지된다. 텍스타일 재료는 직조(woven) 재료를 포함한다. 텍스타일 재료는 니트 재료를 포함한다. 인장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부분은 110 내지 160% 신장 상태로 유지된다. 표면 처리는 냉각제를 포함한다. 표면 처리는 텍스타일 재료의 제1 표면에 적용된다. 제1 표면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또는 외부 대향 표면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스탠드-오프 구조는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스탠드-오프 구조는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또는 외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된다. 스탠드-오프 구조는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대해 z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의류 제품의 표면적의 20% 내지 45%가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도록 관통 연장되는 복수의 개구; 및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고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 구조 - 상기 복수의 스탠드-오프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2.5 ㎜ 내지 6 ㎜의 높이를 가짐 - 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 요소를 포함하는 의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의류 제품은 착용자의 상반신을 위한 의류 제품을 포함한다. 복수의 개구는 텍스타일 요소가 휴지 상태에 있을 때 폐쇄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는 하나 이상의 인장력이 상기 텍스타일 요소에 가해질 때 개방된다.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 요소를 기계적으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 요소는 자극 반응성 얀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일부는 자극 반응성 얀이 용해되도록 자극 반응성 얀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 요소는 의류 제품의 전방 패널 또는 후방 패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트림 부재를 포함한다. 트림 부재는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를 포함한다. 트림 부재는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중공 코어를 갖는 튜브형 구조를 포함한다. 트림 부재는 제1 에지; 제2 에지; 및 상기 제1 에지와 상기 제2 에지 사이에 개재된 재료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의 패널은 상기 복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 요소는 복수의 폴드(fold)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복수의 폴드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 구조는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는 제1 테이프 에지; 제2 테이프 에지; 및 상기 제1 테이프 에지와 상기 제2 테이프 에지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상기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는 의류 제품에 통합되어, 상기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는 제1 및 제2 테이프 에지와 비-평면 관계에 있고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과 비-평면 관계에 있게 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 구조는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중공 코어를 갖는 관형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관형 구조는 의류 제품의 시임으로 통합된다. 상기 관형 구조는 의류 제품 상에 형성된 채널에 통합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 구조는 의류 제품의 제1 패널 에지와 제2 패널 에지 사이에 형성된 시임을 포함하고, 상기 시임은 상기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 구조는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 내의 하나 이상의 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폴드는 상기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연장된다. 의류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몰딩 가능한 얀으로 형성되고, 상기 몰딩 가능한 얀들로 형성된 의류 제품의 부분은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몰딩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 구조는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드를 형성하도록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 구조는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신축되는 자극 반응성 얀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 구조는 폴리우레탄 재료, 발포 재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료, 실리콘 재료, 또는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에 적용되는 고무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설계 형성된(engineered) 천공을 갖는 예시적인 벤팅된(vented) 의류 제품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1의 예시적인 벤팅된 의류 제품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1의 예시적인 벤팅된 의류 제품의 클로우즈-업 도면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천공 크기를 도시한다.
도 8a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설계 형성된 천공의 형태로 벤팅 구조를 갖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8a의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9a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설계 형성된 천공의 형태로 벤팅 구조를 갖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9a의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설계 형성된 천공의 형태로 벤팅 구조를 갖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개구를 드러내기 위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이되는 구조를 갖는 예시적인 텍스타일 요소를 도시한다.
도 11c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11a 및 도 11b의 예시적인 텍스타일 요소를 통합하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스탠드-오프 노드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스탠드-오프 노드에 대한 대안적인 형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스탠드-오프 노드를 갖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스탠드-오프 노드를 갖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a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의 일부의 클로우즈-업 도면을 도시한다.
도 19b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19a의 예시적인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를 통합하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20의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20의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의 추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 20의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5a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비 인장 상태에서 텍스타일에 통합된 예시적인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b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가 인장된 상태에서 텍스타일에 통합되어 있는 도 25a의 예시적인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모노 필라멘트 파이프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26의 예시적인 모노 필라멘트 파이프 구조를 통합하는 텍스타일을 도시한다.
도 28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의류 제품에 통합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슬릿 구조를 도시한다.
도 29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의류 제품에 통합되도록 구성된 대안적인 슬릿 구조를 도시한다.
도 30a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의류 제품이 도 29의 슬릿 구조를 통합하는 휴지 상태의 예시적인 의류 제품을 도시한다.
도 30b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인장 상태에서의 도 30a의 예시적인 의류 제품을 도시한다.
도 31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의류 제품에 통합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방향성 시임을 도시한다.
도 32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절단 선(32-32)을 따라 취해진 도 31의 예시적인 방향성 시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의류 제품에 통합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방향성 주름을 도시한다.
도 34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방향성 주름 또는 시임을 통합하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을 도시한다.
도 35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의류 제품에 통합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몰딩된 구조를 도시한다.
도 36a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주름 구조가 의류 제품에 통합되도록 구성된 휴지 상태에서의 예시적인 주름 구조를 도시한다.
도 36b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인장 상태에서의 도 36a의 예시적인 주름 구조를 도시한다.
도 37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 재료의 개구 내에 위치된 트림 부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도 38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 재료로부터 절개되어 트위스팅된 텍스타일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도 39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트위스팅된 텍스타일 세그먼트가 제2 텍스타일 재료에 부착되어 있는 도 38의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도 40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 세그먼트의 제1 단부가 텍스타일 재료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텍스타일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도 41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 세그먼트가 트위스팅되어 있는 도 40의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도 42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 세그먼트의 제1 단부가 텍스타일 재료와 재결합되어 있는 도 41의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도 43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 세그먼트가 제1 단부에서 텍스타일 재료로부터 절개되고, 중앙 앵커링 부분 주위에서 트위스팅되고, 제1 단부에서 텍스타일 재료에 재결합되는 복수의 텍스타일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도 44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제2 텍스타일 재료에 부착되는 플랩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도 45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장력 변형 공정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탠드-오프 구조를 갖는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6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제1 부분이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제1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도 47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절단 선(47-47)에서 취해진 도 46의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8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제1 부분이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제1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9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장력 변형 공정을 통해 생성된 벤트 구조를 갖는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0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45의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1 내지 도 52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 재료에서 장력 변형을 생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3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장력 유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54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또 다른 예시적인 장력 유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55a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제1 상태의 친수성 재료의 예시적인 패턴을 갖는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도 55b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친수성 재료의 예시적인 패턴이 제2 상태에 있는 도 55a의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법정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특이성을 가지고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자는 개시된 또는 청구된 주제가 다른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들과 관련되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단계 또는 단계의 조합과 유사한 상이한 단계 또는 단계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하였다. 또한, 여기에서 "단계" 및/또는 "블록"이라는 용어가 채용된 방법의 다른 요소들을 암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용어는 개별 단계의 순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그리고 명시적으로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단계들 중에서 또는 다양한 단계들 사이에 특정 순서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광범위한 환경 조건에 걸쳐 체온 조절을 촉진시키도록 구성된 일체형 특징 및/또는 구조를 갖는 의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의류 제품은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 자주 훈련하는 운동 선수에게 적합하다. 체온 조절을 실현하는 한 가지 방법은 휴지 및/또는 더 시원한 조건 동안 보온을 촉진하고 운동 중에 및/또는 더운 조건 동안 착용자가 겪는 증발 열 전달량을 최적화하는 것(예를 들어, 착용자의 피부 상에서의 땀의 증발로 인한 열 제거)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증발 열 전달은 의류 제품에 공기를 포획하고 퍼널링하기(funneling) 위한 기회를 최적화하기 위해 의류 제품에 전략적으로 위치되는 벤팅 구조를 이용하여 의류 제품에서 사전 정의된 수준의 "개방도" 또는 투과도를 달성하기 위해 피처 및/또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으며 및/또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의류 제품과 착용자의 신체 표면 사이에 미리 정의된 수준의 스탠드-오프를 생성하기 위해 피처 및/또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계속해서, 휴지 및/또는 더 시원한 조건 동안 보온을 촉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피처 및/또는 구조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착용자가 체온을 유지하도록 돕기 위해 착용자가 더 이상 활성 상태가 아닐 때 제1 활성 상태에서 제2 휴지 상태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의류 제품의 개구 또는 천공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이되어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벤팅 구조는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이되어 의류 제품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조에 의해 생성된 스탠드-오프의 양은 감소할 수 있다. 설명된 전이는 예를 들어 체온의 저하 또는 땀의 감소에 반응하여 및/또는 착용자 운동의 감소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바와 같이, "개방도"란 용어는 예를 들어 의류 제품이 탑의 형태일 때 슬리브 개구, 네크라인 개구 및 허리 개구, 그리고 의류 제품이 반바지 또는 바지의 형태일 때 다리 개구 및 허리 개구를 제외한 설계 형성된 천공 또는 개구로 구성된 의류 제품의 표면적의 백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의류 제품은 이들 값의 위 및 아래의 값이 고려될지라도 예를 들어 20% 내지 45%의 개방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피처 및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생성된 미리 결정된 개방도를 가짐으로써, 다량의 공기가 의류 제품에 진입 및 이탈하여 증발 열 전달을 촉진시키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은 125 Pa에서 측정될 때 100 CFM(cubic feet per minute) 내지 1200 CFM, 300 CFM 내지 1100 CFM, 또는 600 CFM 내지 1000 CFM 범위의 공기 투과도를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이들 값의 위 및 아래의 공기 투과도 수준도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더 낮은 수준의 공기 투과도는 의류 제품이 더 시원한 기상 조건에서 사용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에, 의류 제품이 따뜻한 기상 조건 또는 격렬한 훈련을 위해 구성될 때, 일반적으로 의류 제품을 착용하지 않은 착용자(즉, 누드 상태의 착용자)가 달성한 수준의 개방도를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스탠드-오프라는 용어는 의류 제품이 마모되었을 때 착용자의 신체 표면을 향하는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측에 위치한 피처 및/또는 구조에 관련된다. 달리 말하면, 스탠드-오프 피처 및/또는 구조는 착용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을 착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데 도움을 주어 예를 들어 증발 열 전달을 촉진시킴으로써 공기가 순환하여 착용자를 냉각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미리 결정된 공간을 생성한다. 증발 열전달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도록, 스탠드-오프의 양은 예를 들어 2.5 ㎜ 내지 7 ㎜ 또는 4 ㎜ 내지 6 ㎜일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열 방산을 달성하는 것을 돕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스탠드-오프 피처 또는 구조는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의 적어도 20%, 30%, 40%, 50%, 60%, 70% 또는 8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사용된 바와 같이, "벤트" 또는 "벤트 구조"라는 용어는 의류 제품의 외부 환경과 의류 제품 내부 환경 사이에 유체 연통 경로를 형성하는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으로부터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까지 연장되는 소정 유형의 개구를 의미한다. 또한 의류 제품 위로 흐르는 공기를 포획하도록 최적화된 특정 구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벤팅 구조는 의류 제품 위로 이동하는 공기를 트래핑하는 것을 돕는 "스쿠프 모양"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벤팅 구조는, 예를 들어 공기 흐름 맵 및/또는 인체의 공기 압력 맵에 기초하여 의류 제품 상에 전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벤팅 구조를 전략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의류 제품에 공기를 포획하고 퍼널링하는 기회가 최적화된다. 예를 들어, 벤팅 구조는 유입 벤트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의류 제품의 전방 면과 후방 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대개 공기 흐름 맵 및/또는 인체의 공기 압력 맵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공기 흐름과 관련되고 및/또는 더 큰 공기 압력을 겪는다. 벤팅 구조는 이들이 유출 벤트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의류 제품의 측면 및/또는 의류 제품의 어깨 영역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역은 일반적으로 공기 흐름 맵 및/또는 공기 압력 맵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보다 적은 양의 공기 흐름과 관련되고 및/또는 보다 적은 공기 압력을 겪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양태는 텍스타일 요소의 표면적의 20% 내지 45%가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도록 관통 연장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 요소를 포함하는 의류 제품에 관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 구조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고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대해 z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스탠드-오프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2.5 ㎜ 내지 6 ㎜의 높이를 갖는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서, "의류 제품"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셔츠, 바지, 조끼, 모자, 양말, 재킷 등과 같은 훈련 중에 운동 선수가 착용하는 임의의 개수의 상이한 용품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외측, 내측 등과 같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방향 용어는 일반적으로 해부학적 위치에 있는 가상의 착용자에 의한 착용 상태의 의류 제품에 대해 사용된다. 스탠드-오프와 같은 피처를 설명할 때,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은 스탠드-오프가 x, y 평면에 대해 양 또는 음의 z 방향으로 발생하도록 일반적으로 x, y 평면을 따른 것으로 가정된다.
계속해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부착된", "고정된", "결합된" 등과 같은 용어는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또는 영구적으로 고정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스티칭, 본딩, 스냅, 버튼, 후크, 지퍼, 후크 앤 루프 패스너, 용접, 접착제의 사용 등과 같은 공지된 부착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트림 부재"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의류 제품에 통합되는 임의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림 부재는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것과 분리된 제조 공정에서 형성되고 그 다음에 의류 제품에 통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의류 제품은 편조, 직조 또는 부직조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 용어 "텍스타일 재료"는 천연 또는 인공 섬유 네트워크로 구성된 임의의 편조, 직조 또는 부직조 텍스타일 또는 천을 의미한다. 텍스타일 재료는 위빙(weaving), 니트, 크로셰잉, 노팅, 펠팅, 브레이딩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텍스타일 세그먼트"라는 용어는 텍스타일 재료로부터 부분적으로 절개된 텍스타일 재료의 임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텍스타일 재료에 일부 유형의 연결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텍스타일 세그먼트는 텍스타일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텍스타일 재료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 있도록 텍스타일 재료로부터 부분적으로 절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의류 제품에는 하나 이상의 트림 부재가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양태에서, 의류 제품의 전체 또는 그 일부는 높은 공기 투과도를 나타내는 직물(예를 들어, 100 이상의 입방 피트/미터(CFM) 값 또는 등급을 갖는 직물)로 형성될 수 있어 의류 제품 안팎으로의 공기 이동을 촉진한다. 의류 제품의 전체 또는 그 일부가 낮은 공기 투과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직물(예를 들어 100 이하의 CFM 값 또는 등급을 갖는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낮은 공기 투과도 특성을 갖는 직물(들)의 의류 제품(또는 그 일부)을 형성함으로써, 의류 제품으로 퍼널링되는 주위 공기는 의류 제품에 더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예를 들어 증발 열 전달을 위한 증가된 기회를 개선시킬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의류 제품의 전체 또는 의류 제품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수분 관리 특성을 나타내는 직물(즉, 직물의 내부 대향 표면으로부터 수분이 증발할 수 있는 직물의 외부 대향 표면으로 수분을 전달하는 능력을 갖는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의류 제품의 전체 또는 그 하나 이상의 부분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얀과 같은 낮은 수분/땀 흡수율을 나타내는 얀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낮은 물/땀 흡수율을 나타내는 얀을 사용함으로써, 착용자의 땀은 착용자의 피부 표면 상에 남을 가능성이 더 많아서, 공기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 표면 사이의 스탠드-오프 공간에서 순환할 때 더 큰 증발 열 전달을 초래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의류 제품의 개방도, 벤팅 및/또는 스탠드-오프에 기여하는 것을 돕는 피처 및/또는 구조는 자체의 제목 하에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비록 별도로 설명되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징들 및/또는 구조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원하는 수준의 개방도, 벤팅 및/또는 스탠드-오프를 달성하는 것을 돕기 위해 서로 조합하여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설계 형성된 천공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의류 제품은 미리 정해진 수준의 개방도를 달성하고 및/또는 벤팅 구조로서 작용하도록 설계 형성된 천공을 이용할 수 있다. 실제 니팅(또는 위빙) 공정을 통해 개구 또는 천공(예를 들어, 재료를 느슨하게 니팅하거나 또는 위빙함으로써 생성된 개구)이 형성되는 보다 전통적인 메쉬와 유사한 직물과 대조적으로, 설계 형성된 천공은 예를 들어 천공을 생성하기 위해 의류 제품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이것은 천공을 생성하기 위해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 재료를 기계적으로 절개하거나, 또는 천공을 생성하기 위해 용융 또는 용해 가능한 얀을 이용함으로써, 또는 기타 방법을 이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천공을 설계 형성하면 더 많은 개수의 천공 및/또는 직경이 큰 천공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의류 제품 상에 천공을 전략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것은 전형적인 니팅 또는 위빙 공정에 의해 메쉬 개구의 크기, 위치 및 잠재적으로 개수가 제한되는 전통적인 메쉬와 같은 직물에 반대되는 것이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체온 조절을 촉진시키도록 구성되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100)의 전방 사시도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의류 제품(100)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네크라인 개구(112), 우측 슬리브 개구(사시도 때문에 도시되지 않음), 좌측 슬리브 개구(114), 및 허리 개구(116)를 한정하는 것을 돕는 (도면 부호 210으로 표시되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적어도 전방 패널(110) 및 후방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벤팅된 의류 제품(100)은 선택적인 슬리브 부분(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제품(100)은 전방 패널(110) 및 후방 패널(210)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의류 제품(100)은 단일 패널(예를 들어, 원형 니팅, 플랫 니팅 또는 위빙 공정을 통해) 또는 하나 이상의 시임에 함께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패널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의류 제품(100)이 슬리브 없는 셔츠로 도시되어 있지만, 의류 제품(100)은 모자 또는 1/4 슬리브를 갖는 셔츠, 전장 슬리브, 3/4 슬리브를 갖는 셔츠, 재킷, 후드, 지프-업 셔츠 또는 재킷, 바지, 반바지, 양말, 모자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선택적인 슬리브 부분, 슬리브 개구, 네크라인 및 허리 개구 및 상이한 구성(재킷, 양말, 모자 등)에 관한 의류 제품(100)의 설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의류 제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제품(100)은 전방 패널(110)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천공(120)을 포함하여 이들은 의류 제품(100) 외부의 환경과 의류 제품(100)의 내부 사이의 유체 연통 경로를 형성한다(본 개시에 걸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유체"는 공기, 가스, 액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천공(120)은 전방 패널(110)의 표면적의 60% 초과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되지만, 천공(120)은 일반적으로 전방 패널(110)의 표면적의 적어도 1% 내지 적어도 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천공(120)은 전방 패널(110)의 표면적의 20% 내지 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의류 제품(100)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제품(100)은 의류 제품(100) 외부의 환경과 의류 제품(100)의 내부 사이의 유체 연통 경로를 형성하도록 후방 패널(210)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천공(220)을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천공(220)은 후방 패널(210)의 표면적의 60%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되지만, 천공(220)은 후방 패널(210)의 표면적의 적어도 1% 내지 적어도 60%를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천공(220)은 후방 패널(210)의 표면 영역의 20% 내지 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 제품(100)이 슬리브 및/또는 후드와 같은 부가적인 피처를 포함할 때, 천공은 이들 영역으로 또한 연장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전에 간략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천공(120 및 220)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설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120, 220)은 전방 패널(110) 및/또는 후방 패널(210)을 기계적으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기계적 절개는 레이저 절단, 다이 절단, 초음파 절단, 워터 제트 절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천공(120 및 220)은 전방 패널(110) 및 후방 패널(210)을 니팅하거나 또는 위빙할 때 자극 반응성 얀,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얀,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를 활성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예시적인 자극은, 예를 들어 물, 땀, 습기, 화학 물질, 광, 초음파, 무선 주파수 파동, 열, 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준비 단계 동안, 자극 반응성 얀,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는 천공(120 및 220)을 형성하도록 선택된 영역에서 활성화 자극의 적용에 의해 용해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120 및 220)을 형성하기 위해 물, 광, 화학적 화합물, 열 또는 냉기가 선택된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천공(120, 220)을 형성하는 것은 보다 전통적인 메쉬와 같은 직물과 대조적으로 더 많은 개수의 천공 및/또는 더 큰 직경의 천공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천공(120, 220)을 형성함으로써, 천공(120 및 220)은 의류 제품(100) 상에 전략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즉, 제1 영역에 위치되지만 제2 영역에는 위치되지 않음).
다른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천공(120, 220)은 전방 패널(110) 및 후방 패널(210)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니팅 또는 위빙 공정으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전방 및 후방 패널(110, 210)이 니팅 및/또는 위빙됨에 따라, 니팅 또는 위빙 공정은 선택된 영역에 천공(120 및 220)을 형성하도록 변형된다(예를 들어, 스티치 드롭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도 1 및 도 2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천공(120, 220)은 대략 10 ㎜ 내지 14 ㎜의 직경을 갖는 대체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3에 도시되고 참조 부호 312로 표시됨).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천공(120 및 220)은, 예를 들어 사각형, 다이아몬드, 육각형, 삼각형, 타원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천공(120, 220)은 회사의 브랜드 또는 로고를 반영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형상화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천공(120, 2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 및/또는 로우에 의해 정렬될 수 있거나, 또는 천공(120, 220)은 의류 제품(100)의 전방 및 후방 패널(110, 210) 상에 무작위로 위치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천공(120 및 220)에 대한 다른 치수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천공 크기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4는 각각 약 4 ㎜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천공(410)을 나타낸다. 도 5는 각각 약 6 ㎜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천공(510)을 도시한다. 도 6은 각각 약 8 ㎜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천공(610)을 도시하고, 도 7은 각각 약 12 ㎜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천공(710)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천공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들과 다른 치수를 가질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천공은 예를 들어, 1.5 ㎜ 내지 16 ㎜의 임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천공(120 및 220)과 같은 천공의 직경은 천공의 개수/단위 면적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천공의 직경이 작을수록, 천공의 개수/단위 면적이 더 커지고, 천공의 직경이 클수록, 천공의 개수/단위 면적이 더 작아진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천공의 개수/단위 면적 및/또는 직경은 천공을 포함하는 의류 제품의 표면적의 백분율이 일반적으로 20% 내지 45%가 되도록 결정되거나 또는 선택된다. 달리 말하면, 천공의 개수/단위 면적 및/또는 직경은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이 일반적으로 20% 내지 45%가 되도록 결정된다.
도 1 내지 도 2로 돌아가면,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120 및 220)은 의류 제품(100) 전체에 걸쳐 균일한 크기 및 분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의류 제품(100) 전체에 천공의 크기 및/또는 천공의 개수/단위 면적의 그라데이션이 있을 수 있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천공(120 및 220)은 의류 제품(100)의 전방 및 후방 패널(110 및 210)의 수직 중간선 쪽으로 위치될 때 보다 큰 직경 및/또는 개수/단위 면적을 가질 수 있고, 의류 제품(100)의 측면 또는 측 방향 마진 쪽으로 위치될 때 더 작은 직경 및/또는 개수/단위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천공(120 및 220)은 의류 제품(100)의 수직 중간선 쪽으로 위치될 때 보다 작은 직경 및/또는 개수/단위 면적을 가질 수 있고, 의류 제품(100)의 측면 쪽으로 위치될 때 더 큰 직경 및/또는 개수/단위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의류 제품(100)의 상부 마진을 향한 더 작은 직경 및/또는 개수/단위 면적 및 의류 제품(100)의 하부 마진을 향한 더 큰 직경 및/또는 개수/단위 면적, 또는 그 반대와 같은 다른 그라데이션 패턴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천공의 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천공은 의류 제품(100)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어깨 영역에 걸쳐 밴드 또는 구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천공은 의류 제품의 전방, 후방 및/또는 측면을 통해 흐르는 공기를 포획하고 채널링하기 위한 기회를 최적화하도록 배치된 벤팅 구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천공이 벤팅 구조로 사용될 때, 천공의 개수 및/또는 밀도는 예를 들어 20% 내지 45% 개방도와 같은 미리 결정된 수준의 개방도를 달성하도록 여전히 선택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천공 형태의 벤팅 구조를 갖는 의류 제품(800)의 정면도 및 후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8a와 관련해서, 의류 제품(800)은 역 U자형 구성으로 의류 제품(800)의 전방 위에 위치된 제1 세트의 천공(810)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구성된 제2 세트의 천공(816)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제품(800)의 후방에 위치된다. 천공(810 및 816)의 위치는 의류 제품(800)의 이들 부분이 높은 정도의 공기 흐름(또는 공기 압력)을 겪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 공기 흐름 맵 및 공기 압력 맵에 기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공(810 및 816)은 유입 벤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비교적 큰 크기의 천공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2.5 ㎜ 내지 10 ㎜의 직경을 갖는 천공과 같은 더 작은 크기의 천공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의 세트의 천공이 의류 제품(800)의 측면을 따라 위치된 천공(812) 및/또는 의류 제품(800)의 어깨 영역에 위치된 천공(814)과 같은 의류 제품(800)의 다른 영역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이들 영역은 통상적으로 적은 공기 흐름 및/또는 낮은 공기 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천공(812, 814)은 의류 제품(800)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유출 벤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양태에 따른 의류 제품(900) 상의 천공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9a는 의류 제품(900)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의류 제품(900)의 전방 위에 수직 밴드로 구성된 천공 세트(910)를 갖는다. 유사하게, 도 9b는 의류 제품(900)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의류 제품(900)의 후방 위로 수직 밴드로서 구성된 천공 세트(916)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추가의 세트의 천공이 의류 제품(900)의 측면[천공(912) 위에(천공(912)) 및/또는 의류 제품(900)의 어깨 영역 위에(천공(914)]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의류 제품(900)과 유사하게, 천공(910, 912, 914, 및 916)은 도시된 것들과 상이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천공을 위한 또 다른 대안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의류 제품(1000)의 우측에 위치된 제1 수직 밴드 천공(1010) 및 의류 제품(1000)의 좌측의 제2 수직 밴드 천공(1012)을 갖는 의류 제품(10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의류 제품(1000)은 선택적으로 어깨 영역 및/또는 측면 영역에 위치한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제품(1000)의 배면도는 정면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 천공을 포함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2개의 수직 밴드), 또는 의류 제품(1000)의 배면은 도 8b 또는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이한 패턴으로 구성된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천공에 대한 추가적인 구성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계 형성된 천공과 같은 천공은 또한 정강이 가드, 허벅지 패드, 어깨 패드 등과 같은 양말 및/또는 보호 의류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정강이 가드를 예로 들면, 정강이 가드의 내부와 정강이 가드 외부의 환경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강이 가드의 길이를 따라 설계 형성된 천공을 위치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천공은 마모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정강이 가드에 대해 대체로 동일한 우측 및 좌측 반쪽으로 정강이 가드를 양분하는 가상의 수직 중간선의 양측에 정강이 가드의 길이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이며, 설계 형성된 천공이 예시적인 정강이 가드 상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천공(120 및 220)의 그라데이션 패턴, 직경 및/또는 개수/단위 면적, 및/또는 위치는 또한 예를 들어 인체의 열 맵, 땀 맵 및/또는 접촉 맵에 의존할 수도 있다[의류 제품(100)이 착용자의 신체와 어떻게 접촉하는지에 대한 맵]. 예로서, 천공(120, 220)은 의류 제품(100)이 마모되었을 때 높은 열 또는 땀 발생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의류 제품(100)의 영역에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천공(120, 220)의 그라데이션 패턴, 직경, 개수/단위 면적 및/또는 위치는 의류 제품(100)이 이용되도록 의도되는 스포츠 또는 운동 활동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런닝과 같은 운동 활동의 경우, 공기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전면 위로 흐른다. 따라서, 의류 제품(100)의 전면에 걸쳐 더 큰 개수, 더 큰 직경 및/또는 더 큰 개수/단위 면적의 천공을 위치시키고, 의류 제품(100)의 측면 및/또는 어깨 영역에 걸쳐 더 작은 개수, 더 작은 직경 및/또는 더 작은 개수/단위 면적의 천공을 위치시킴으로써, 의류 제품(100)으로 흐르는 공기가 최적화될 수 있다. 전진 런닝과 후진 런닝을 많이 포함하는 농구와 같은 운동 활동의 경우, 더 큰 개수, 더 큰 직경 및/또는 더 큰 개수/단위 면적의 천공이 의류 제품(100)의 전면 및 배면에 걸쳐 위치될 수 있고, 및/또는 더 작은 개수, 더 작은 직경, 및/또는 더 작은 개수/단위 면적의 천공이 의류 제품(100)의 측면 및/또는 어깨 영역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의류 제품(100)이 더 시원한 환경 조건에서 이용될 것으로 고려될 때, 천공(120, 220)의 개수, 직경 및/또는 개수/단위 면적은 의류 제품(100)의 개방도 백분율을 감소시키도록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천공(120 및 220)은 예를 들어 주로 의류 제품(100)의 측면을 따라 운동하는 동안 상당한 공기 흐름에 노출되지 않는 의류 제품(100)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천공(120, 220)은 예를 들어 착용자에 의해 개시되는 운동에 응답하여, 착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땀 또는 습기에 응답하여, 주변 온도의 상승에 응답하여, 착용자의 체온의 상승 등에 응답하여,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동적으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운동 선수가 휴지 상태에 있을 때, 운동 선수는 근육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체온을 유지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그러나 선수가 운동으로 인해 열을 발생시키기 시작하면, 운동 선수가 최적의 온도 범위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열을 방산시키는 것이 유익하다. 예를 들어, 의류 제품(100)은 착용자의 움직임 또는 다른 자극에 응답하여 제로에 가까운 개방도 백분율로부터 예를 들어 20% 내지 45% 범위의 개방도 전이되도록 구성되어, 의류 제품(100)이 매우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사용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천공의 주변에 재료(예를 들어, 라미네이트)가 도포될 수 있으며, 이 재료는 예를 들어 형상 기억 중합체(SMP)를 포함할 수 있다. SMP 재료는 제1 온도 또는 수분 레벨에서 제1 형상을 가지며 제2 온도 또는 수분 레벨에서 제2 형상을 갖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결정된 온도 및/또는 수분 레벨에 도달할 때, SMP 재료는 천공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게 하도록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 및/또는 수분 레벨이 미리 결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SMP 재료는 천공을 다시 폐쇄 상태로 전이시키도록 제1 형상으로 다시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적응성 얀이 의류 제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응성 얀은 예를 들어 온도 또는 습기와 같은 상이한 자극에 노출될 때 치수가 변형된다. 예를 들어, 적응성 얀은 의류 제품의 일 표면에 집중될 수 있고, 치수 안정성 얀은 의류 제품의 제2 대향 표면 상에 집중될 수 있다. 일련의 슬릿이 의류 제품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착용자가 휴지 상태에 있을 때 슬릿은 비교적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자극(예를 들어, 습기, 열)에 노출되면, 적응성 얀은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얀의 크기의 증가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얀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따라서 슬릿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 또는 천공을 생성하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제2 표면을 향해 컬링되게 된다.
또 다른 예에서, 의류 제품은 천공을 또한 갖는 제2 표면 재료에 반응 재료에 의해 결합되는 일련의 천공을 포함하는 제1 표면 재료를 갖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1 표면 재료는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표면 재료는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재료는 형상 기억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 재료는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온도 및/또는 수분과 같은 상이한 자극에 반응할 수 있다. 이러한 수축 또는 팽창은 제1 및 제2 표면 재료의 평면 시프팅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2개의 층 각각에서의 천공이 서로 정렬되거나 또는 서로로부터 오프셋되게 함으로써 천공을 동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의류 제품은 미리 결정된 개방도 레벨을 달성하도록 설계 형성된 천공을 이용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의류 제품으로 들어가도록 허용하고 증발 열 전달을 촉진함으로써 착용자를 냉각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개방도 레벨이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방도 레벨은 휴지 동안 및/또는 더 시원한 기상 조건에서의 훈련 동안 열 유지를 돕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의류 제품은 벤팅 구조로서 설계 형성된 천공을 이용할 수 있다. 천공은 높은 공기 흐름에 노출되는 의류 제품의 부분에 전략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천공은 의류 제품으로 공기를 포획하고 퍼널링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이 경우 공기는 증발 열 전달을 촉진할 수 있다.
허니컴 구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의류 제품은 재료에 형성된 구멍 또는 천공의 격자를 포함하는 허니컴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멍 또는 천공은 의류 제품의 착용자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에 반응하여 동적으로 개방 및 폐쇄된다. 개방 상태에 있을 때, 구멍의 격자는 의류 제품의 개방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허니컴 구조는 높은 공기 흐름을 겪는 영역에서 의류 제품 상에 위치될 때 벤팅 구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텍스타일(1100)의 일부 상에 위치된 예시적인 허니컴 구조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텍스타일(1100)은 의류 제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텍스타일(1100)은 예를 들어 트림 부재(1112)의 형태로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는 슬릿형 개구(1118)를 형성하도록 제1 개구 에지(1114) 및 제1 개구 에지(1114)로부터 이격된 제2 개구 에지(1116)를 적어도 갖는 트림 부재(1112)를 도시한다. 슬릿형 개구(1118)는 도 11a에 대해 폐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11b에 대해서는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트림 부재(1112)는 텍스타일(1100)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또는 제거하고 결과적인 공간 내에 트림 부재(1112)를 삽입하여 부착함으로써 텍스타일(1100)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트림 부재(1112)는 의류 제품의 2개의 인접한 패널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림 부재(1112)는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 상이한 패널 사이의 시임 라인에서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허니컴 구조는 의류 제품의 일체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니컴 구조는 예를 들어,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니팅 또는 위빙 공정을 변형하거나 또는 변경함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11a는 휴지 상태에 있는 텍스타일(1100)을 도시한다. 다시 말해서, 도 11a는 임의의 인장력이 가해지기 전의 텍스타일(1100)을 도시한다. 도 11b는 인장력(1120)이 가해진 후의 텍스타일(11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슬릿 타입 개구(1118)는 착용자 운동에 의해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인장력(1120)이 슬릿 타입 개구(1118)의 장축에 대체로 수직이 되도록 텍스타일(1100) 상에 배향된다. 인장력(1120)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착용자가 운동 움직임을 시작할 때 개시될 수 있다. 인장력(1120)은 제1 개구 에지(1114)를 제2 개구 에지(1116)로부터 멀리 당기도록 도움을 주어 슬릿 타입 개구(1118)가 개구(1110)를 확장시켜 노출시키게 한다. 일단 노출되면, 주위 공기는 개구(1110)를 통해 텍스타일(110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 부재(1112)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개구(1110)는 트림 부재(1112)가 통합되어 있는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개구(1110)는 인장력(1120)이 제거될 때(예를 들어, 착용자가 운동을 정지할 때) 재료가 그 휴지 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 정도를 나타내는 재료를 사용하여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니컴 유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그 휴지 상태로 복귀하는 경향은 제1 개구 에지(1114) 및 제2 개구 에지(1116)를 서로를 향해 다시 편향시켜서 트림 부재(1112)를 폐쇄시키는 것을 돕는다. 인장력(1120)이 제거될 때 폐쇄 상태로 다시 전이됨으로써,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은 감소될 수 있고, 의류 제품이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신체 열을 보유하기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허니컴 구조는 또한 벤팅 구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는 트림 부재의 형태로 복수의 상이한 허니컴 구조를 갖는 의류 제품(115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트림 부재(1152)는 의류 제품(1150)의 전방 중간선에 위치되고, 트림 부재(1154 및 1156)는 의류 제품(1150)의 측면을 따라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림 부재(1154, 1156)는 의류 제품(1150)의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의류 제품(1150)의 하부 외측면으로 의류 제품(1150)의 전방을 따라 비스듬하게 배향된다. 인서트로서 도시되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명세서에서는 허니컴 구조는 의류 제품(1150)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트림 부재(1152, 1154 및 1156)의 위치는 예를 들어 인체의 공기 흐름 맵 및/또는 공기 압력 맵에 기초할 수 있으며, 또한 운동 중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장력의 방향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정면은 종종 운동 중에 높은 공기 흐름을 겪는다. 더욱이, 이 위치는 착용자가 운동할 때 인장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림 부재(1152, 1154 및 1156)를 의류 제품(1150)의 수직 중간선 및 측면을 따라 위치시킴으로써,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장력은 트림 부재(1152, 1154 및 1156)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다. 높은 공기 흐름 위치에서의 트림 부재의 위치 때문에, 의류 제품(1150) 내로 공기를 포획 및 퍼널링할 기회가 증가된다. 트림 부재(1152, 1154 및 1156)의 위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트림 부재(1152, 1154 및 1156)는 예를 들어 공기 흐름 또는 공기 압력 맵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의류 제품(1150)의 후방 또는 의류 제품(1150)의 어깨를 따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또한, 트림 부재의 개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트림 부재가 있을 수 있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기술된 바와 같이, 허니컴 구조는 의류 제품의 개방도를 증가시키고 및/또는 벤팅 구조로서 작용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인장력에 반응하여 허니컴 구조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이될 수 있는 능력은 착용자가 운동 중에 열을 방산시키고 휴지 동안 열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스탠드- 오프 노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의류 제품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고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대해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오프 노드 또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어 의류 제품과 착용자의 신체 표면 사이에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키고 착용자를 냉각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스탠드-오프 노드 또는 구조는 또한 별도의 처리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속적으로 예시적인 의류 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및/또는 스탠드-오프 노드 또는 구조는 의류 제품에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마무리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별도의 처리 단계에서 형성되고 후속적으로 의류 제품에 적용될 때, 스탠드-오프 노드는 폴리우레탄 재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료, 실리콘 재료, 반응성 또는 적응성 재료, 레이저 절단 스페이서 메쉬 재료, 발포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스탠드-오프 노드는 열 전달 공정, 접착제, 초음파 용접, 기계적 부착(예를 들어, 스티칭) 등을 통해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스탠드-오프 노드는 하나 이상의 재료 패널에 적용될 수 있고, 이어서 재료 패널은 의류 제품에 통합될 수 있다. 스탠드-오프 노드가 형상 기억 중합체와 같은 반응성 또는 적응성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스탠드-오프 노드는 습기, 땀, 광, 열 등과 같은 상이한 자극에 응답하여, 비-존재 상태에서 존재 상태로, 및/또는 로우 높이 상태에서 하이 높이 상태로 동적으로 전이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의류 제품에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마무리 또는 처리를 통해 스탠드-오프 노드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스탠드-오프 노드는 물, 퍼프 접착제 전달, 자수 패턴, 발포 재료, 퍼프 잉크, 플로킹(flocking) 등과 같은 자극에 응답하여 팽창되거나 또는 확창되는 의류 제품에 도포되는 인쇄 가능한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처리 또는 마무리는 텍스타일 재료에 도포되고 경화된 후 씻겨지는 폴리비닐 알콜(PVA) 잉크(일본, 교토의 유니카세이(Unikasei)에 의해 제조된 폴리검 RP5와 같은)를 포함한다. PVA 잉크의 도포는 PVA 잉크가 씻겨진 후에도 유지되는 텍스타일 재료에 영구적인 변형을 발생시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변형된" 영역은 스탠드-오프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이한 마무리 또는 처리와 관련하여, 마무리 또는 처리는 상이한 자극에 응답하여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이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탠드-오프 노드가 비-존재 상태에서 존재 상태로 동적으로 전이되게 하고, 및/또는 로우 높이 상태에서 하이 높이 상태로 전이될 수 있게 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도 55a 및 도 5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 코팅이 본 명세서의 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패턴(5510)의 텍스타일 재료(5500)의 일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텍스타일 재료(5500)가 상반신 의복과 같은 의복에 통합될 때, 패턴(5510)은 의복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패턴(5510)은 의복의 적어도 몸통 부분의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패턴(5510)은 예를 들어 인체의 클링 맵(cling map)에 기초하여 높은 클링과 관련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위치는 의복의 상부 가슴 영역 및/또는 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5a 및 도 55b에 도시된 패턴(5510)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친수성 코팅은 본 명세서의 양태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도포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55a와 관련해서, 패턴(5510)은 제1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제1 상태는 텍스타일 재료(5500)가 습기(예컨대, 물, 땀 등)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5510)은 제1 양(5512)만큼 텍스타일 재료(5500)의 표면 평면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5b와 관련해서, 패턴(5510)은 제2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제2 상태는 텍스타일 재료(5500)가 습기에 노출된 상태를 포함한다. 이 도면에서, 패턴(5510)은 제1 양(5512)보다 큰 제2 양(5514)만큼 z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수분에 반응하여, 패턴(5510)은 예를 들어 물의 흡수를 통해 팽창 또는 확장되어, 텍스타일 재료(5500)의 표면 평면으로부터 멀리 더 연장되어 스탠드-오프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텍스타일 재료(5500)가 착용자가 착용한 의복에 통합될 때, 패턴(5510)은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습기(예를 들어, 땀)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변할 것이다. 착용자가 땀을 흘리기 시작할 때, 패턴(5510)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이될 것이며, 착용자가 더 이상 땀을 흘리지 않고 의복이 건조되기 시작할 때, 패턴(5510)은 다시 제1 상태로 전이될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스탠드-오프 노드의 클로우즈-업 도면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스탠드-오프 노드는 전술한 임의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련의 스탠드-오프 노드(1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와 관련한 논의는 예를 들어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임의의 스탠드-오프 노드에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각각의 스탠드-오프 노드(1200)는 2.5 ㎜와 8 ㎜ 사이, 3 ㎜ 내지 7 ㎜, 또는 4 ㎜ 내지 6 ㎜의 높이(H)(1210)를 가질 수 있지만, 이들 값의 이상 및 이하의 높이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인접 노드들(1200) 사이의 간격(D)(1212)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노드들(1200)의 높이(1210)의 2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예를 들어, D ≥ 2H). 계속해서, 각 노드(1200)는 인접한 노드들(1200) 사이의 거리(1212)의 1/10, 1/2 또는 1/3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 또는 폭(T)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T ≤ D/10 또는 D/5 또는 D/3). 노드(1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들 및 칼럼들에 의해 선형 정렬될 수 있거나, 또는 노드(1200)는 스태거링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높이(H)(1210)를 갖도록 스탠드-오프 노드(1200)를 구성함으로써,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충분한 크기의 공간 또는 보이드가 생성되어 공기가 자유롭게 순환할 수 있게 한다. 스탠드-오프 노드(1200)가 예를 들어 2.0 ㎜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때, 공기 이동은 최소화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이것은 단열 효과를 얻는데 유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단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0.5 ㎜ 내지 2.0 ㎜와 같은, 스탠드-오프 노드(1200)에 대한 더 작은 높이가 선택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거리(D)(1212)만큼 스탠드-오프 노드(1200)를 이격시킴으로써, 공기 순환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드-오프 노드(1200)가 서로 밀접하게 이격되어 있다면, 스탠드-오프 노드(1200)는 공기 흐름에 저항하거나 또는 공기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오프 노드(1200)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직경 또는 폭(T)(1214)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탠드-오프 노드(1200)는 공기 흐름을 차단하지 않도록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탠드-오프 노드(1200)의 높이, 간격 및 폭은 의류 제품의 열 방산 특성에 기여하는 최적의 공기 흐름 패턴을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오프 노드가 적응성 얀 또는 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될 때, 높이, 폭, 및/또는 간격과 같은 스탠드-오프 노드와 관련된 치수는 자극의 존재 또는 부존재에 응답하여 또는 자극의 레벨 또는 강도에 응답하여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인체의 공기 압력 맵, 공기 흐름 맵, 땀 맵 및 접촉 맵은 노드(1200)의 위치를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제품이 셔츠 형태인 경우, 노드(1200)는 의류 제품의 측면 및/또는 의류 제품의 중앙 전방 또는 중앙 후방과 같이 착용자의 피부와 높은 접촉량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의류 제품의 영역에 집중될 수 있다. 이 영역들에 노드(1200)를 위치시킴으로써, 클링의 인식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노드(1200)는 높은 정도의 공기 흐름 또는 공기 압력을 겪고 및/또는 높은 정도의 발한을 겪는 착용자의 몸통의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의류 제품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의 예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고, 이 도 1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의류 제품(1700)의 내부 대향 표면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의류 제품(1700)은 의류 제품(1700)의 중심 정면 위에 위치된 일련의 스탠드-오프 노드(1710)를 포함한다. 착용자가 착용했을 때, 이 영역은 일반적으로 열 및/또는 땀을 많이 생성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의류 제품(1700)은 의류 제품(1700)의 측면 또는 외측 마진에 더 가까이 위치된 스탠드-오프 노드(1712)의 세트를 더 포함한다. 이들 영역은 또한 비교적 높은 열 및/또는 땀 발생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높은 열 및/또는 땀 발생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드(1710 및 1712)를 위치시킴으로써, 의류 제품(1700)의 내부 대향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의 공기 이동은 증발 열 전달의 결과적인 증가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스탠드-오프 노드를 포함하지 않는 의류 제품(1700)의 영역이 있을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의류 제품(1700)이 보다 느슨하게 피팅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의류 제품(1700)의 하부 전방 몸통 영역은 착용자의 신체 표면과 상당한 양의 접촉을 겪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영역에는 스탠드-오프 노드가 없거나 또는 직물의 자연스러운 드레이핑이 자동으로 이 영역에서 스탠드-오프를 생성하기 때문에 스탠드-오프 노드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스탠드-오프 노드들의 유사한 패턴이 의류 제품(1700)의 후방 패널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의류 제품은 그들의 내부 대향 표면의 대부분 위에 위치되는 스탠드-오프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는 도 18에 도시되어 있고, 이 도 1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의류 제품(1800)의 내부 대향 표면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의류 제품(1800)은 의류 제품(1800)의 내부 대향 전방 표면의 대부분 위에 위치된 스탠드-오프 노드(1810)를 포함한다. 유사 패턴의 스탠드-오프 노드가 의류 제품(1800)의 후방 패널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 패턴은 의류 제품(1800)의 내부 대향 표면의 대부분이 잠재적으로 착용자의 신체 표면과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의류 제품(1800)이 형태 피팅 층을 포함할 때 유리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설계 형성된 천공과 관련하여 위에서 전술한 정강이 가드의 예로 돌아가서, 정강이 가드 및 다른 유형의 보호 장비에서 스탠드-오프 노드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스탠드-오프 노드는 착용자의 정강이로부터 스탠드-오프를 제공하고 이 공간에서 필요한 공기 이동을 촉진시키도록 정강이 가드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스탠드-오프 노드는 정강이 가드의 전방 측면에서 정강이 가드의 길이를 따라 대체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 흐름을 촉진하는 것 외에도, 스탠드-오프 노드는 또한 정강이 가드에 적용되는 임의의 충격력을 감쇠시키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의류 제품이 더 추운 기후 조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될 때, 스탠드-오프 노드의 위치 및 크기는 단열 효과를 더 많이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드-오프 노드의 높이는 2.0 ㎜ 이하로 선택될 수 있다. 스탠드-오프를 이용하지 않는 의류 제품에 비해 높이가 2.0 ㎜ 이하인 스탠드-오프 노드를 사용할 때 실제로 증발에 대한 내성이 증가될 수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유형의 벤팅 또는 스탠드-오프를 갖지 않는 베이스 셔츠는 약 2.0 ㎜의 스탠드 노드를 갖는 셔츠보다 더 적은 증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로우-높이" 스탠드-오프 노드는 예를 들어 의류 제품의 전방 및 후방 표면 위와 같이 더 많은 단열을 필요로 하는 영역에서 의류 제품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노드들이 어패럴 제품에 통합될 때, 노드(1200)와 같은 노드와 관련된 간격 및/또는 치수에 그라데이션이 있을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는 또한 예를 들어 공기 압력 맵, 공기 흐름 맵, 땀 맵 및 인체의 접촉 맵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노드는 벤팅 구조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때 더 작은 높이 및/또는 폭을 가질 수 있고, 노드는 벤팅 구조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노드는 벤팅 구조에 더 가깝게 위치될 때 더 가깝게 이격될 수 있으며, 이 영역에서 공기 흐름에 대한 임의의 임피던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벤팅 구조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더 멀리 이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더 높은 레벨의 단열이 요구되는 영역에는 보다 작은 높이(예를 들어, 2.0 ㎜ 이하)의 노드가 위치될 수 있고, 더 많은 양의 공기 흐름이 필요한 영역에는 예를 들어, 2.0 ㎜보다 큰 높이를 갖는 노드가 위치될 수 있다. 이들은 단지 예이며 다른 그라데이션 패턴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스탠드-오프 노드는 복수의 예시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2와 관련하여, 스탠드-오프 노드(1200)는 편평한 상단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을 포함한다. 도 13은 스탠드-오프 노드(1300)에 대한 다른 형상 구성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노드(1300)는 원통형이고, 노드(1300)의 상단은 보다 스퀘어-오프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스탠드-오프 노드(1300)는 로우 및 칼럼에 의해 정렬되는 대신에 스태거링된 패턴으로 도시된다. 도 14는 둥근 상단을 갖는 원통형 스탠드-오프 노드(1400)를 나타낸다. 이러한 형상 구성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착용자의 편안함을 증진시키는 스탠드-오프 노드의 표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5는 스탠드-오프 노드(1500)의 탑-다운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스탠드-오프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지만, 스탠드-오프 노드(1500)는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도 16의 스탠드-오프 노드(1600)에 대해 도시된 것과 같은 난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스탠드-오프 노드(1500 또는 1600)의 장축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정렬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인체의 공기 흐름 맵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장축이 (공기 흐름에 직각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공기 흐름의 방향에 있다. 스탠드-오프 노드(1500 또는 1600)가 장축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의류 제품 내의 결정된 공기 흐름 패턴과 정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고 더 효과적인 공기 흐름 패턴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공기가 스탠드-오프 노드의 존재로 인해 보다 적은 임피던스 또는 막힘을 겪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탠드-오프 노드는 다른 예시적인 형상을 취할 수 있고 및/또는 정사각형, 삼각형, 직사각형, 불규칙한, 곡선 등의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기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의류 제품은 미리 결정된 수준의 스탠드-오프를 달성하기 위해 스탠드-오프 노드를 이용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스탠드-오프의 레벨은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공기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서 순환하여 증발 열 전달을 촉진함으로써 착용자를 냉각시키는 것을 돕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스탠드-오프의 레벨은 착용자를 단열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선택될 수 있다.
모노 필라멘트 구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의류 제품은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높이고, 벤팅 구조로 작용하고, 및/또는 스탠드-오프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모노 필라멘트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모노 필라멘트 구조는 예를 들어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 및 모노 필라멘트 파이프 구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면 부호 1900으로 전체적으로 참조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의 일부가 본 명세서에서 양태들에 따라 도 19a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1900)는 제2 테이프 에지(1912)로부터 이격된 제1 테이프 에지(19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나일론으로 형성된 복수의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1914)는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1914)가 테이프(190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이격되도록 제1 테이프 에지(1910)와 제2 테이프 에지(1912) 사이에 위치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1914)는 각각의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1914) 사이에 남겨진 소량의 개방 공간과 함께 밀접하게 이격되어 있다. 개방 공간은 주변 공기(또는 다른 가스 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테이프(1900)의 제1 표면(예를 들어, 외부 표면)으로부터 테이프(1900)의 제2 표면(예를 들어, 내부 표면)까지의 유체 연통 경로를 포함한다.
도 19b는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1956)에 의해 제2 테이프 에지(1954)로부터 이격된 제1 테이프 에지(1952)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1950)를 도시한다.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1956)가 테이프(195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이격되는 대신에,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1956)는 그룹으로 클러스터링되고, 인접한 그룹 사이에는 더 큰 크기의 공간(1916)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테이프(1900 및/또는 1950)가 의류 제품에 통합될 때 다른 얀이 모노 필라멘트와 혼합되어 착용자의 편안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대형 데니어 폴리에스테르, 면, 또는 블렌딩된 얀은 착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기 위해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 중 일부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에 기능적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특수한 얀,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모노 필라멘트와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성 모노 필라멘트 또는 금속성의 성질을 갖는 모노 필라멘트가 착용자로부터 멀리 또는 착용자를 향해 열을 반사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가 의류 제품에 통합될 때,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는 벤팅 구조로 작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는 (예를 들어, 시임 라인에서) 의류 제품의 상이한 패널 사이에 테이프 에지를 위치시키고 테이프 에지를 패널 에지에 부착시킴으로써 의류 제품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는 의류 제품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 부분에 테이프 에지를 삽입하고 예를 들어 접착, 접착제, 스티칭, 용접 등에 의해 테이프 에지를 고정시킴으로써 통합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벤팅 구조로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2010)를 이용하는 예시적인 의류 제품(2000)이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되어 있고, 이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의류 제품(2000)의 외부 대향 표면의 전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2010)는 예를 들어 제1 세그먼트(2012), 제2 세그먼트(2014) 및 제3 세그먼트(2016)를 포함하는 역전된 U자 형상으로 의류 제품(2000)의 전방에 통합된다. 상이한 세그먼트(2012, 2014 및/또는 2016)의 위치는 예를 들어 인체의 공기 흐름 맵 및/또는 공기 압력 맵에 기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제1, 제2 및/또는 제3 세그먼트(2012, 2014 및/또는 2016)는 의류 제품의 전방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포획하는 유입 벤트로서 작용하고 의류 제품(2000) 내로 공기를 퍼널링하도록 높은 공기 흐름 및/또는 공기 압력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제1 세그먼트(2012)는 의류 제품(2000)을 일반적으로 동일한 좌측 및 우측으로 양분하는 가상의 수직 중간선(2018)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2012)는 일반적으로 수직 배향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제1 세그먼트(2012)는 수직 배향으로부터 기울어질(skewed) 수 있어, 벤트가 의류 제품(2000)의 상단 또는 상부 에지로부터 바닥 또는 하부 에지로 향하여 진행할 때 도 22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선(2018)을 향해 내측으로 각도를 형성한다. 기울어짐은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서 착용자의 허리 영역으로 발생하는 자연적인 테이퍼링을 반영할 수 있다. 의류 제품(2000)이 착용된 구성에 있을 때, 제1 세그먼트(2012)는 착용자의 전방 우측 몸통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계속해서, 제2 세그먼트(2014)는 일반적으로 가상의 수직 중간선(2018)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된다. 제2 세그먼트(2014)는 일반적으로 수직 배향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제2 세그먼트(2014)는 수직 배향으로부터 기울어질 수 있어, 세그먼트(2014)가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서 착용자의 허리 영역으로 발생하는 자연적인 테이퍼링을 반영하기 위해 의류 제품(2000)의 상단 또는 상부 에지로부터 바닥 또는 하부 에지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중간선(2018)을 향해 내측으로 각도를 형성한다. 의류 제품(2000)이 착용된 구성에 있을 때, 제2 세그먼트(2014)는 착용자의 전방 좌측 몸통 영역에 대체로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1 세그먼트(2012) 및 제2 세그먼트(2014) 모두는 의류 제품(2000)의 바닥 마진까지 연장될 수 있고,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1 및 제2 세그먼트(2012 및 2014)는 의류 제품(2000)의 바닥 마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종료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제3 세그먼트(2016)는 일반적으로 수평 배향을 갖는다. 제3 세그먼트(2016)의 제1 단부는 제1 세그먼트(2012)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제3 세그먼트(2016)의 제2 단부는 제2 세그먼트(2014)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3 세그먼트(2016)가 의류 제품(2000)이 착용될 때 착용자의 상부 가슴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일반적으로 의류 제품(2000)의 상단 부분에 위치되게 한다.
이제 도 21을 참조하면, 도 20의 의류 제품(2000)의 외부 대향 표면의 배면도가 본 명세서의 양태에 따라 제공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의류 제품(2000)의 배면은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2010)의 유사한 역전된 U자형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인체의 공기 흐름 맵 및/또는 공기 압력 맵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후진으로 런닝하는(예를 들어 축구 및 농구)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일부 운동 상황에서는, 공기 흐름이 착용자의 배면 위에서 증가될 수 있다. 이 영역에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2010)를 위치시킴으로써, 이 공기 흐름을 포획하고 퍼널링하기 위한 기회가 증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U자형 구성은 제4 세그먼트(2112), 제5 세그먼트(2114) 및/또는 제6 세그먼트(21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제4 세그먼트(2112)는 수직 중간선(2018)의 제1 측면에 위치된다. 제4 세그먼트(2112)는 일반적으로 수직 배향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제4 세그먼트(2112)는 수직 배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 세그먼트(2112)가 의류 제품(2000)의 상단 또는 상부 에지로부터 바닥 또는 하부 에지를 향해 이동하고 착용자의 상부 배면 영역으로부터 착용자의 허리 영역으로의 자연적인 테이퍼링을 반사함에 따라, 수직 중간선(2018)을 향해 내측으로 각도를 형성한다. 의류 제품(2000)이 착용된 구성에 있을 때, 제4 세그먼트(2112)는 착용자의 배면 좌측 몸통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제5 세그먼트(2114)는 수직 중간선(2018)의 우측에 위치한다. 제5 세그먼트(2114)는 일반적으로 수직 배향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제5 세그먼트(2114)는 수직 배향으로부터 기울어질 수 있어, 세그먼트(2114)가 의류 제품(2000)의 상단 에지 또는 상부 에지로부터 바닥 또는 하부 에지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도 21과 관련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2018)을 향해 내측으로 각도를 형성한다. 의류 제품(2000)이 착용된 구성에 있을 때, 제5 세그먼트(2114)는 착용자의 배면 우측 몸통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4 및 제5 세그먼트(2112, 2114)는 모두 의류 제품(2000)의 바닥 마진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4 및 제5 세그먼트(2112, 2114)는 의류 제품(2000)의 바닥 마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종료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계속해서, 제6 세그먼트(2116)는 일반적으로 수평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제6 세그먼트(2116)의 제1 단부는 대체로 제4 세그먼트(2112)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6 세그먼트(2116)의 제2 단부는 제5 세그먼트(2114)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6 세그먼트(2116)가 의류 제품(2000)의 상부 부분에 대체로 위치되게 하여, 의류 제품(2000)이 착용될 때 착용자의 상부 배면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의류 제품(2000)의 각각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제공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2010)는 선택적으로 도 22에 도시된 제7 세그먼트(2212) 및 도 23에 도시된 제8 세그먼트(2312)로서 의류 제품(2000)의 중간 겨드랑이 라인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공기 흐름 맵 및/또는 공기 압력 맵에 기초하여, 이들 위치는 비교적 낮은 공기 흐름 및/또는 공기 압력의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2212 및 2312)를 이들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세그먼트(2212 및 2312)는 의류 제품(2000)에 있는 공기가 의류 제품(2000)을 빠져나가게 하는 유출 벤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24는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2010)의 선택적인 추가적인 위치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테이프(2010)의 추가적인 세그먼트는 의류 제품(2000)의 어깨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깨 세그먼트(2410)는 의류 제품(2000)의 우측 어깨 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어깨 세그먼트(2412)는 의류 제품(2000)의 좌측 어깨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세그먼트(2212 및 2312)와 유사하게, 세그먼트(2410 및 2412)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기 흐름 및/또는 공기 압력을 겪는 의류 제품(2000)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의류 제품(2000) 내에 있는 공기가 의류 제품(2000)을 빠져나가게 하는 유출 벤트를 나타낼 수 있다. 의류 제품(2000) 상의 테이프(2010)의 상이한 세그먼트의 위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테이프(2010)는 도시되지 않은 상이한 및/또는 추가적인 위치에 통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19a 및 도 19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이 테이프의 제1 표면과 테이프의 제2 반대 표면 사이의 연통 경로로서 작용하는 각각의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의류 제품(2000)과 같은 의류 제품에 통합될 때 벤팅 구조로서 작용하는 것 이외에,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는 또한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는 또한 의류 제품의 내부 표면과 착용자의 신체 표면 사이에 스탠드-오프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휴지 상태 또는 비-인장 상태에서,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편평하거나 또는 평면이다. 따라서, 의류 제품(2000)과 같은 의류 제품에 통합될 때, 테이프의 표면 평면은 일반적으로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평행하다(즉, 이는 z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스탠드-오프를 생성하기 위해, 테이프는 테이프 에지가 서로를 향해 편향되어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가 굴곡되거나 또는 만곡되게 하도록 의류 제품에 통합될 수 있다. 이것은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도 25a 및 도 25b는 본 명세서의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2512)에 통합된 테이프(2510)의 단면도이다. 도 25a와 관련해서, 테이프(2510)는 비-인장 상태에서 텍스타일(2512)로 통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테이프 에지(2514)는 텍스타일(2512)의 제1 에지에 부착되고, 제2 테이프 에지(2516)는 텍스타일(2512)의 제2 에지에 부착되어,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2518)가 텍스타일(2512)의 에지에 걸쳐 뻗어 있다. 테이프(2510)는 비-인장 상태에서 텍스타일(2512)에 통합되기 때문에,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2518)는 텍스타일(2512)의 표면 평면에 대해 평면 관계에 있다.
도 25b는 인장된 상태로 텍스타일(2512)에 통합된 테이프(2510)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 테이프 에지(2514, 2516)는 도 25a와 비교하여 서로 더 근접하여 위치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2518)는 예컨대 스트랜드의 데니어 및/또는 이들의 조성물(예컨대 나일론)에 기인한 강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테이프 에지(2514, 2516)가 서로를 향해 편향될 때,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2518)는 테이프 에지(2514, 2516) 및 텍스타일(2512)과 비-평면 관계를 취한다. 달리 말하면, 스트랜드(2518)는 외측으로 휘거나 만곡된다(즉, z 방향으로 연장된다). 텍스타일(2512)이 의류 제품으로 형성될 때,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2518)의 만곡 부분은 의류 제품이 착용될 때 착용자의 신체 표면을 향해 또는 내측을 향해 위치될 수 있다. 만곡된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2518)는 이 경우 착용자의 몸으로부터 스탠드-오프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양태는 모노 필라멘트 파이프 구조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스탠드-오프를 생성하고 및/또는 의류 제품의 개방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고려한다. 일반적으로, 모노 필라멘트 파이프 구조는 중공 코어를 갖는 관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조작되는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나일론, 금속 모노 필라멘트 등)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모노 필라멘트 파이프 구조(2600)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개별 모노 필라멘트 스트랜드가 조작되어(예컨대, 브레이딩, 니팅, 위빙, 몰딩 등), 참조 번호(2610)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공 코어를 갖는 개방된 격자 튜브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공기는 파이프 구조(2600)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구조(2600)는 굴곡 가능하고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파이프 구조(2600)는 채널 내에 파이프 구조(2600)를 위치시키고 및/또는 의류 제품 상의 시임 내에 파이프 구조(2600)를 위치시킴으로써 의류 제품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은 텍스타일(2712) 상에 형성된 채널(2710)에 통합된 파이프 구조(26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채널(2710)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재료 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채널(2710)은 예를 들어 채널(2710)을 생성하기 위해 니팅 또는 위빙 공정을 수정함으로써 단일의 재료 층에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파이프 구조(2600)가 채널(2710)을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노출되도록 개구(2714)가 텍스타일(2712)에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섬유 연통 경로가 텍스타일(2712) 외부의 환경과 파이프 구조(2600) 사이에 형성된다.
텍스타일(2712)이 의류 제품으로 형성될 때, 파이프 구조(2600)는 튜브형 구조로 인해 스탠드-오프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굴곡 가능하고 신축 가능하기 때문에, 그것은 착용자의 신체의 만곡된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위치에서 의류 제품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텍스타일(2712)의 개구(2714)와 조합된 파이프 구조(2600)의 사용은 의류 제품의 현재 개방도에 기여할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 테이프 및 모노 필라멘트 파이프 구조는 스탠드-오프를 생성하고, 벤팅 구조로서 작용하며, 및/또는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의류 제품에 통합될 수 있다.
슬릿 구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의류 제품은 슬릿 구조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키고 및/또는 벤팅 구조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슬릿 구조는 착용자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에 응답하여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예시적인 슬릿 구조가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28에 도시되어 있다. 슬릿(2810)을 갖는 텍스타일(280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슬릿(2810)은 텍스타일(2800)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어, 유체 연통 경로가 텍스타일(2800)의 제1 표면과 텍스타일(2800)의 제2 대향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슬릿(2810)은 예를 들어, 기계적 절단, 레이저 절단, 워터 제트 절단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텍스타일(2800)이 반응성 또는 자극 반응성 얀을 사용하여 형성될 때, 슬릿(2810)은 반응성 얀을 선택된 위치에 용해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슬릿(2812)과 같은 특정 슬릿은 슬릿 경로를 따른 텍스타일(2800)의 부분이 절개되지 않도록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2812)은 상이한 슬릿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텍스타일 부분(2800a 및 2800b)을 갖는 제1 세그먼트(2812a), 제2 세그먼트(2812b) 및 제3 세그먼트(2812c)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특정 슬릿은 텍스타일(2800)의 부분이 상이한 세그먼트를 연결하도록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비-인장 상태 및 인장 상태 모두에서 텍스타일(2800)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2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슬릿 구조를 도시한다. 섬유(2900)의 일부는 복수의 슬릿(291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슬릿(2910)은 텍스타일(2900)의 제1 표면으로부터 텍스타일(2900)의 제2 대향 표면까지의 유체 연통 경로를 형성하도록 텍스타일(2900)의 두께를 통해 연장된다. 슬릿(2912)과 같은 각각의 슬릿(2910)은 도면 부호 2900a, 2900b, 2900c 및 2900d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슬릿 세그먼트들 사이에 텍스타일(2900)의 부분들이 남아 있도록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다시, 이러한 구성은 인장 및 비-인장 상태 모두의 경우에 텍스타일(2900)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슬릿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대안적인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명세서에서 고려한다. 예를 들어, 슬릿 구조는 일련의 수평 슬릿, 수직 슬릿, 원형 슬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라이너 층은 텍스타일의 일 측면 상의 슬릿 구조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라이너 층은 보다 큰 슬릿이 텍스타일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 수단으로 사용될 때 유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라이너 층은 예를 들어 메쉬 재료와 같이 공기에 대해 투과성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 구조를 갖는 텍스타일이 의류 제품에 통합될 때, 슬릿은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릿 구조는 벤팅 구조로 작용하기 위해 높은 공기 흐름 및/또는 높은 공기 압력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이 도 30a 및 도 30b에 도시되어 있고, 이들 도 30a 및 도 30b는 본 명세서의 양태에 따라 의류 제품(3000)의 전방 위에 주로 위치된 슬릿(3010)을 갖는 의류 제품(3000)을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30a는 휴지 또는 비-인장 상태의 의류 제품(3000)을 나타내고, 도 30b는 인장된 상태의 의류 제품(3000)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 제품의 전방은 종종 운동 또는 움직임 중에 높은 공기 흐름 및/또는 공기 압력의 영역을 나타낸다.
도 30a와 관련해서, 슬릿(3010)이 의류 제품(3000)을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기 때문에, 이들은 착용자가 휴지 중이거나 운동하지 않는 경우에도(즉, 의류 제품(3000)이 비-인장 상태에 있을 때) 의류 제품(3000)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공기의 이동을 허용한다. 도 30b는 인장된 상태의 의류 제품(3000)을 도시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착용자가 움직임을 시작하거나 또는 운동하기 시작한 것이 원인일 수 있다. 착용자의 움직임은 의류 제품(3000) 상의 다양한 위치에서 장력을 발생시킨다. 이들 인장력 중 일부는 슬릿(3010)의 에지가 서로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슬릿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더 많은 양의 공기가 의류 제품(30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교환되도록 허용한다. 또한,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슬릿 에지는 의류 제품(3000)의 전방 위로 이동하는 공기를 포획하는 것을 돕는 스쿠프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추가적인 슬릿 구조가 의류 제품(3000)의 측면 및 배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릿 구조는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벤팅 구조로 작용할 수 있다. 착용자가 휴지할 때의 폐쇄 상태에서 착용자가 움직이고 있을 때의 개방 상태로 전이될 수 있는 능력은 착용자가 휴지를 취하고 있을 때 신체의 열을 유지하고 운동 중에 신체 열을 방산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 재료(3618)의 슬릿 또는 개구 내에 위치된 트림 부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3618)를 도시한다. 텍스타일 재료(3618)는 편조, 직조 또는 부직조 재료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타일 재료(3618)의 일부는 제1 단부(3626), 제2 단부(3628), 제1 에지(3630) 및 제2 에지(3632)에 의해 한정된 개구(3624)를 포함하여 도시되어 있다. 개구(3624)는 텍스타일 재료(3618)를 절개하여 제1 및 제2 에지(3630 및 3632)를 생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구(3624)는 개구(3624)를 생성하기 위해 텍스타일 재료(3618)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니팅 또는 위빙 공정을 변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텍스타일 재료(3618)는 기계적 절개, 워터 제트 절단, 초음파 절단, 레이저 절단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절개될 수 있다.
개구(3624)가 형성된 후에, 개구(3624)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복원성 트림 부재(3620)가 개구(362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 복원성을 가진 트림 부재(3620)는 힘에 반응하여 변형될 수 있고 힘이 제거되면 그 휴지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재료는 예를 들어, 트림 부재(3620)를 생성하기 위해 니팅, 위빙, 브레이딩 또는 다르게 조작되는 모노 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단지 하나의 예이며, 트림 부재(3620)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재료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트림 부재(3620)는 휴지 상태에서 "아치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치 형상은 개구(3624)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트림 부재(3620)를 탄성 복원성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트림 부재(3620)는 외력에 응답하여 휘어지거나, 굴곡되거나, 직선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림 부재(3620)가 의류 제품에 통합될 때, 트림 부재(3620)가 휘어지고 굴곡될 수 있는 능력은 착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고 착용자의 자유 이동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텍스타일 재료(3618) 내의 개구(3624)는 텍스타일 재료(3618)로부터 형성된 의류 제품의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개구(3624)는 벤팅 구조로서 작용하기 위해, 의류 제품의 전방 몸통 영역과 같은 높은 공기 흐름 및/또는 높은 공기 압력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개구(3624) 및 트림 부재(3620)는 크기 및 형상이 변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구조 및 형상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양태 및 모든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4000)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텍스타일 재료는 편조, 직조 또는 부직조 재료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타일 재료(4000)로부터 형성된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를 갖는 텍스타일 재료(400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는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를 형성하도록 텍스타일 재료(4000)를 부분적으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예컨대, 2개의 대향 측면을 따라 텍스타일 재료(4000)를 절개함). 다른 양태에서,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는 텍스타일 재료(4000)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니팅, 위빙 또는 다른 제조 공정을 변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는 제1 위치(4014) 및 제2 위치(4016)에서 트위스팅된 폴드를 형성하도록 트위스팅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가 트위스팅된 후에,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는 텍스타일 재료(4000)의 제1 표면(4015)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2 텍스타일 재료(4012)에 트위스팅된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를 부착함으로써 트위스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제2 텍스타일 재료(4012)는 예컨대 메쉬 재료와 같은 공기에 대한 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적어도 제2 텍스타일 재료(4012)는 낮은 정도의 신축성을 나타내는 재료(예컨대, 비-신축성 재료)를 포함하여, 텍스타일 재료(4000)가 인장력을 받을 때 트위스팅된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의 왜곡을 최소화한다.
계속해서,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는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를 제2 텍스타일 재료(4012)에 영구적으로(또는 해제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임의의 방법을 통해 제2 텍스타일 재료(4012)와 결합되거나 또는 제2 텍스타일 재료(4012)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제는 그 중심(4018)에서의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를 제2 텍스타일 재료(4012)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는 제2 텍스타일 재료(4012) 상에 재봉되거나, 용접되거나, 접착되는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트위스팅된 폴드와 같은 텍스타일 세그먼트(4010)를 트위스팅함으로써 생성된 폴드는 벤트 타입 구조를 생성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텍스타일 재료(4000)와 제2 텍스타일 재료(4012) 사이에 스탠드-오프를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제2 텍스타일 재료(4012)를 메쉬형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구성은 텍스타일 재료(4000)를 통합하는 의류 제품의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구조는 높은 정도의 공기 흐름 또는 공기 압력을 겪는 영역에서 의류 제품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위치는 예를 들어, 의류 제품의 전방 부분(예를 들어, 상단의 중심 전방 몸통 영역을 따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39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40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5000)를 도시한다. 다시 한번, 텍스타일 재료(5000)는 편조, 직조 또는 부직조 재료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0에서,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의 제1 단부(5004)는 결합 해제 지점(5006)에서 텍스타일 재료(5000)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제1 단부(5004)는 레이저 절단, 기계 절개, 워터 제트 절단, 초음파 절단 등에 의해 결합 해제될 수 있다. 결합 해제 지점(5006)에서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가 텍스타일 재료(5000)로부터 결합 해제된 후에,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8에서 트위스팅된다.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가 트위스팅된 후에,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의 제1 단부(5004)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해제 지점(5006)인 5006에서 텍스타일 재료에 재-결합될 수 있다.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는 예컨대 접착제, 용접, 본딩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1 단부(5004)를 결합 해제 지점(5006)에 재봉함으로써 결합 해제 지점(5006)에서 텍스타일 재료(5000)에 재-부착될 수 있다.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의 절개,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의 트위스팅 및 텍스타일 재료(5000)에 대한 재-부착은 벤트 구조 또는 개구(5010)를 생성하고, 이 벤트 구조 또는 개구는 텍스타일 재료(5000)로 형성된 의류 제품의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공기 흐름은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를 트위스팅함으로써 생성된 폴드에 의해 더 용이해질 수 있다. 폴드는 텍스타일 재료(5000)와 예컨대 착용자의 신체 표면과 같은 하부 표면 사이에 스탠드-오프를 생성하는 것을 돕는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도 40 내지 도 42의 텍스타일 재료(5000)는 텍스타일 재료(5000)가 인장력을 받을 때 트위스팅된 텍스타일 세그먼트(5002)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신축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2에 도시된 구조는 높은 정도의 공기 흐름 또는 공기 압력을 겪는 영역의 의류 제품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위치는 예컨대, 의류 제품의 전방 부분(예컨대, 상단의 중심 전방 몸통 영역을 따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2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모든 양태 및 그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6000)를 도시한다. 텍스타일 재료(6000)는 편조, 직조 또는 부직조 재료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타일 재료(6000)는 각각의 제1 단부(6004)에서 텍스타일 재료(6000)로부터 결합 해제된 몇 개의 텍스타일 세그먼트(6002)를 포함한다. 결합 해제 후, 제1 단부(6004)는 중심 고정된 스트랩 또는 앵커링 스트랩(6006) 주위로 트위스팅된다. 그 다음에, 텍스타일 세그먼트(6002)는 각각의 제1 단부(6004)에서 텍스타일 재료(6000)에 재-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은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6008)를 생성한다.
도 4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텍스타일 재료(6000)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2 텍스타일 재료(6010)가 존재할 수 있다. 제2 텍스타일 재료는 예컨대 메쉬 재료와 같이 공기에 대해 투과성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텍스타일 재료(6000)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을 돕고, 텍스타일 재료(6000)로 형성된 의류 제품에 어느 정도의 단정함을 제공하면서, 텍스타일 재료(6000)로 형성된 의류 제품의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도 43에 도시된 구조는 높은 정도의 공기 흐름 또는 공기 압력을 겪는 영역에서 의류 제품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위치는 예컨대 의류 제품의 전방 부분(예컨대, 상단의 중심 전방 몸통 영역을 따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3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모든 양태 및 그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텍스타일 구성을 도시한다. 도 44는 제1 텍스타일 재료(7000) 및 제2 텍스타일 재료(7002)를 포함한다. 제1 텍스타일 재료(7000)는 제1 표면(7020) 및 제1 표면(7020)에 대향하는 제2 표면(7018)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텍스타일 재료(7000)의 제1 표면(7020)은 텍스타일 재료(7000)로 형성된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을 포함하고, 텍스타일 재료(7000)의 제2 표면(7018)은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텍스타일 재료(7000)는 제1 텍스타일 재료(7000)로부터 절개되거나 또는 형성된 복수의 플랩(70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플랩(7010)은 제1 에지(7004) 및 제1 에지(7004)와 대향하는 제2 에지(7006)(정면을 향해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플랩(7010)은 텍스타일 재료(7000)로부터 연장되는 제1 단부(7012) 및 텍스타일 재료(7000)로부터 연장되는 제1 단부(7012)에 대향하는 제2 단부(7014)를 포함한다.
계속해서, 제2 텍스타일 재료(7002)는 제1 텍스타일 재료(7000)의 제1 표면(7020)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제2 텍스타일 재료(7002)는 재료의 팽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텍스타일 재료(7002)는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의 스트립을 사용하면 섬유 재료(7000, 70002)로 형성된 의류 제품을 가볍고 보다 통기성 있게 만드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각 플랩(7010)의 제1 에지(7004)는 부착 지점(7016)에서 제2 텍스타일 재료(7002)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텍스타일 재료(7002)에 플랩(7010)의 제1 에지(7004)를 부착하면 플랩(7010)이 개방 상태로 편향되고, 이는 도 44에 도시된 텍스타일 구성을 통합하는 의류 제품의 내부 및 외부 표면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도 44에 도시된 텍스타일 구성은 높은 정도의 공기 흐름 또는 공기 압력을 겪는 영역의 의류 제품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위치는 예를 들어 의류 제품의 전방 부분(예컨대, 상단의 중심 전방 몸통 영역을 따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4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대안적인 구조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방향성 주름 및 시임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의류 제품은 스탠드-오프를 생성하기 위해 방향성 주름 및 시임을 이용할 수 있고, 시임 및/또는 주름이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에 위치될 때, 방향성 시임 및 주름을 사용하여 의류 제품 위로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들은 의류 제품의 개구 또는 벤팅 구조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고, 여기서 의류 제품으로 채널링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방향성 시임(3110)을 갖는 예시적인 텍스타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방향성 시임(3111)과 같은 방향성 시임은 제1 재료 패널(3114)의 제1 에지(3112)를 제2 재료 패널(3118)의 제1 에지(3116)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어, 에지들(3112, 3116)은 시임(3111)의 길이를 따라 제1 및 제2 재료 패널(3114, 3118)의 표면 평면에 대해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명세서에서 양태에 따라 도 31의 절단 선(32-32)을 따라 취한 방향성 시임(311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재료 패널(3114)의 제1 에지(3112)는 제2 재료 패널(3118)의 제1 에지(3116) 위로 폴딩될 수 있다. 2개의 에지(3112, 3116)는 예를 들어 스티칭, 본딩,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에지(3112, 3116)는 제1 및 제2 재료 패널(3114, 3118)의 나머지 부분의 표면 평면과 비-평면 관계에 있다. 도 32의 시임(3111)의 도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제1 재료 패널(3114)의 제1 에지(3112)는 제2 재료 패널(3118)의 제1 에지(3116)와 중첩될 수 없거나, 또는 제2 재료 패널(3118)의 제1 에지(3116)는 제1 재료 패널(3114)의 제1 에지(3112)와 중첩되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시임(3111)과 같은 방향성 시임 대신에, 지향성 주름이 또한 형성되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의류 제품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3300) 상에 형성된 방향성 주름(33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양태에서, 텍스타일(3300)은 폴딩되어 주름(3310)을 생성한다. 주름(3310)의 대면하는 측면들은 함께 부착되어 주름(3310)이 텍스타일(3300)의 표면 평면에 대해 z 방향으로 연장된다.
의류 제품에 통합될 때, 방향성 시임 및/또는 주름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스탠드-오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논의된 스탠드-오프 노드와 유사하게, 방향성 시임 또는 주름은 공기가 효과적으로 순환하고 착용자를 냉각시킬 수 있는 공간을 생성하도록 2.5 ㎜ 내지 6 ㎜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향성 시임 또는 주름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에 위치될 때 클링의 인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방향성 주름 또는 시임은 본 명세서의 양태에 따라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드-오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경우, 주름 또는 시임은 가슴 또는 등 영역과 같이 착용자의 높은 열 생성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의복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클링의 인식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때, 주름 또는 시임은 의류 제품의 측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방향성 시임 또는 주름은 또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4는 의류 제품(3400)의 전면 위에 위치된 복수의 방향성 시임/주름(3410)을 갖는 의류 제품(3400)을 도시한다. 방향성 시임/주름(3410)의 위치 설정은 인체의 공기 흐름 맵에 기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방향성 시임/주름(3410)은 의류 제품(3400)의 전면을 통해 흐르는 공기를 의류 제품(3400)의 측면을 따라 위치된 벤팅 구조(3412)로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천공이 벤팅 구조(3412)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임의의 벤팅 구조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34에 도시된 방향성 시임/주름(3410) 및 벤팅 구조(3412)의 위치 및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위치 및 구성도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방향성 주름 또는 시임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때 스탠드-오프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때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몰딩된 구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의류 제품은 몰딩된 구조를 사용하여 벤팅 구조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스탠드-오프, 개방도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몰딩된 구조는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 직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몰딩된 구조는 의류 제품에 통합되는 트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은 수준에서, 몰딩된 구조는 예를 들어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즉, 양의 z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및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즉, 음의 z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갖는 개방된 프레임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에서,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돌출부는 벤팅 구조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돌출부는 스탠드-오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조의 개방된 프레임워크는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몰딩된 구조가 도 35에 도시되어 있고, 참조 번호(3500)에 의해 일반적으로 참조된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몰딩된 구조(3500)는 열 몰딩 공정과 같은 몰딩 공정을 사용하여 텍스타일(3510)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텍스타일(35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열 경화 또는 몰딩 가능한 섬유, 필라멘트 또는 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텍스타일(3510)은 열을 받을 때 부분적으로 용융되고 냉각될 때 재-경화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얀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TPU 얀의 로우는 평행한 코스에서 텍스타일(3510)로 니팅되거나 또는 위빙될 수 있다. 이어서, 텍스타일(3510)을 절개 또는 절단하여 개구(아래에서 설명됨)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TPU 코스의 방향은 절개 경로를 따를 수 있다. 텍스타일(3510)은 TPU 얀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기 위해 열 몰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몰딩된 구조(3500)는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후 예를 들어 스티칭, 본딩,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텍스타일(3510)에 통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추가의 예에서, 몰딩된 구조(3500)는 추가의 텍스타일 층을 사용하고 그리고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그 층을 텍스타일(3510)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복합 텍스타일은 이 경우 예를 들어 레이저를 사용하여 절단한 다음,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몰드를 사용하여 몰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텍스타일(3510)은 열에 노출될 때 유연한 직물에서 반-강성 직물로 변하는 "드라이파이어(dryfire)" 직물(즉, 난연성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몰딩 공정은 몰딩된 구조(3500)를 형성하기 위해 텍스타일(3510)에 열을 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몰딩된 구조(3500)는 제2 시리즈의 평행한 코스(3514)와 교호하는 제1 시리즈의 평행한 코스(3512)를 포함하며, 이 경우 코스(3512)는 일반적으로 코스(3514)에 부착되지 않는다. 각 코스(3512)는 텍스타일(3510)의 제1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제1 세트의 돌출부(3516)와, 텍스타일(3510)의 제2 대향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제2 시리즈의 돌출부(3518)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돌출부(3516)는 예를 들어 양의 z 방향으로 연장하고, 돌출부(3518)는 음의 z 방향으로 연장한다(또는 그 역으로 가능함).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특정 코스(3512)의 경우, 돌출부(3516)는 돌출부(3518)와 교호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코스(3514)는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코스(3514)는 텍스타일(3510)의 표면 평면과 평면 관계에 있고, 코스(3512)는 텍스타일(3510)의 표면 평면과 대체로 비-평면 관계에 있다. 제1 및 제2 코스(3512, 3514)의 구성으로 인해(예를 들어, 하나는 텍스타일(3510)의 표면 평면과 평면 관계에 있고, 다른 하나는 텍스타일(3510)과 비-평면 관계에 있음), 개구(3520)는 텍스타일(3510)의 제1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돌출부(3516) 및 텍스타일(3510)의 제2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돌출부(3518)에 의해 형성된다.
의류 제품에 통합될 때, 텍스타일(3510)의 제1 표면은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텍스타일(3510)의 제2 표면은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3516)는 의류 제품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돌출부(3518)는 내측으로(즉, 의류 제품이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신체 표면을 향해) 돌출할 것이다. 따라서, 돌출부(3516)는 의류 제품 위로 이동하는 공기를 포획하고, 예를 들어 개구(3520)를 통해 의류 제품 내로 공기를 퍼널링하는 것을 돕는 벤팅 구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돌기(3516)의 스쿠프형 구성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돌출부(3518)는 의류 제품과 착용자의 신체 표면 사이에 스탠드-오프를 생성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양태에서, 돌출부(3518)는 2.5 ㎜ 내지 6 ㎜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개구(3520)는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에 기여할 수 있다. 몰딩된 구조(3500)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다른 몰딩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텍스타일 얀 조작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의류 제품은, 예컨대 스탠드-오프를 생성하고 및/또는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z 방향으로 치수를 생성하도록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을 갖는 텍스타일 또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텍스타일의 선택된 영역에서의 얀은 텍스타일의 표면 평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위빙 공정, 니팅 공정, 브레이딩 공정, 트위스팅 공정, 루핑 공정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조작된 얀은 이산 노드,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곡선 세그먼트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얀은 또한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기계적으로 조작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은 착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수분을 위킹하거나(wick) 또는 운반하도록 구성된 얀과 같은 성능 얀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또는 적응성 얀이 또는 사용될 수 있는데, 물, 땀, 습기, 열 등과 같은 자극에 노출될 때 적응성 얀은 치수가 변형된다. 얀의 활성화는 얀이 팽창하거나 또는 연장되게 하여 z 방향의 치수 또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자극의 제거 시, 적응성 얀은 다시 전이되어 z 방향으로의 감소된 치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은 상이한 훈련 및/또는 기상 조건에 반응하여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의 존재 및/또는 높이를 동적으로 변경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시 또는 뜨거운 상태에서 착용자에 의해 발생된 땀, 열 또는 습기는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이 미리 결정된 높이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휴지 상태에 있을 때 또는 보다 시원한 조건에서 운동할 때, 얀은 활성화되지 않거나, 또는 z 방향의 치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은 정도로만 활성화(예를 들어, 2 ㎜ 이하의 높이를 갖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텍스타일이 의류 제품으로 형성되면, z 방향으로 치수를 생성시키는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은 예를 들어 의류 제품과 착용자의 신체 표면 사이에 스탠드-오프를 제공하고 및/또는 클링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얀은 2.5 ㎜ 내지 6 ㎜의 스탠드-오프 높이를 달성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때,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은 의류 제품의 중앙 전방, 중앙 후방에 또는 의류 제품의 측면을 따라 위치되어 스탠드-오프를 제공하고 및/또는 이러한 영역에서 클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은 또한, 예를 들어 의류 제품 위로 흐르는 공기를 유도하기 위해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된 얀이 하나 이상의 선형 세그먼트의 형태를 취할 때, 세그먼트는 공기 흐름을 하나 이상의 벤트 구조로 유도시키도록 의류 제품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도 34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방향성 주름/시임과 유사하다.
주름 구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의류 제품은 스탠드-오프를 제공하고, 공기 흐름을 유도하고 및/또는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름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주름 구조는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장력의 존재 또는 부존재에 응답하여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주름 구조의 팽창은 주름 구조의 구멍 또는 개구를 노출시켜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주름 구조(3600)가 본 명세서에서 양태들에 따라 도 36a 및 도 36b에 도시되어 있다. 주름 구조(3600)는 도 36a에서 휴지 상태 또는 비-인장 상태로 도시되고, 도 36b에서 인장 상태로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주름 구조(3600)는 텍스타일(3610) 상에서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폴드(3612)를 생성하도록 텍스타일(3610)을 폴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텍스타일(3610)은 의류 제품에 통합되는 트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텍스타일(3600)은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공간(3613)은 인접하는 폴드(3612) 사이에 형성된다. 폴드(3612)는 사용 중에 그들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열 경화될 수 있다. 열 경화가 보다 효과적이도록, 텍스타일(3610) 또는 그 일부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폴드(3612)는 텍스타일(3610)의 표면 평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즉, z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6b는 인장력(화살표 3616으로 표시됨)이 텍스타일(3610)에 가해진 후의 주름 구조(3600)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폴드(3612)는 폴드(3612) 사이에 위치된 선택적인 천공(3614)을 노출시키기 위해 멀리 당겨진다(인장력(3616)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에 위치될 때, 폴드(3612)는 착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스탠드-오프를 생성할 수 있다. 착용자가 휴지 상태에 있거나 또는 운동을 시작하지 않았을 때에 발생하는 바와 같이 비-인장 상태에 있을 때, 폴드들(3612) 사이의 공간(3613)은 착용자가 따뜻하게 유지되도록 돕는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따뜻한 공기를 트래핑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착용자가 운동을 시작했을 때에 발생하는 바와 같은 인장된 상태에 있을 때, 폴드(3612)에 의해 생성된 스탠드-오프의 영역은 증가되고, 예를 들어 증발 냉각을 촉진함으로써 공기가 착용자를 효과적으로 순환 및 냉각시키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텍스타일(3610)이 인장 상태에 있을 때 천공(3614)의 노출은 의류 제품의 개방도 백분율을 증가시키고, 의류 제품의 외부 환경과 의류 제품의 내부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때, 주름 구조(3600)는 의류 제품의 표면 위로 흐르는 공기를 유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구조(3600)가 인장 상태에 있을 때, 공기는 폴드(3612)를 따라 유동하여 천공(3614)으로 유도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에 위치되든 또는 외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든, 주름 구조(3600)는 착용 시 의류 제품의 신축 특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 구조(3600)의 모아진 재료와 관련된 본래의 신축성은 높은 정도의 운동을 받기 쉬운 의류 제품의 영역에서 증가된 신축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장력 변형
장력 변형은 일반적으로 텍스타일 재료에 장력을 가하고, 인장 상태에 있는 동안 텍스타일 재료에 표면 처리를 적용(및 필요할 경우 경화)하고, 장력을 해제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표면 처리는 적용되는 영역에서 인장된 상태로 텍스타일 재료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이 공정은 예를 들어, 스탠드-오프 및 벤팅 구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장력 변형을 겪은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 및 의류 제품이 도 45, 도 46, 도 48, 도 49 및 도 50에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바와 같이, "인장 상태"라는 용어는 그 원래 길이의 110% 내지 180%, 120% 내지 170%, 130% 내지 160% 또는 140% 내지 150%로 신장된 텍스타일 재료를 의미한다(원래의 길이는 또한 휴지 또는 비-인장 상태에서의 텍스타일 길이로 설명될 수도 있음). 신축은 텍스타일의 길이 방향 그레인, 가로 방향 그레인 및/또는 바이어스 그레인을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이것을 설명하는 또 다른 방법은 신축이 날실 방향 또는 씨실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것이다. 텍스타일 재료의 신축성을 측정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은 그것이 더 이상 신장될 수 없을 때까지(즉, 로크아웃까지) 그 날실 방향을 따라 텍스타일 재료를 신장시키는 것이다. 최종 신장된 길이는 신축성 백분율을 결정하기 위해 텍스타일 재료의 원래 길이로 나뉜다. 씨실 방향으로 신장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실 방향으로 58.5 cm에서 73.5 cm까지 신장되는 직물은 25.6%의 신축성을 가질 것이다. 로크아웃에서 측정된 신축성 백분율은 시험할 특정 텍스타일 재료에 대한 신축 방향(날실 또는 씨실)의 최대로 허용 가능한 신축성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텍스타일 재료가 상이한 얀 및/또는 상이한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신축성 백분율은 각 텍스타일 재료마다 다를 수 있다.
도 51은 본 명세서의 양태에 따라 텍스타일 재료에서 장력 변형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예시적인 공정(12000)을 도시한다. 공정(12000)을 시작하기 위해, 텍스타일 재료가 단계(12010)에서 제공된다. 텍스타일 재료는 편조, 직조 또는 부직조 재료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텍스타일 재료는 예를 들어 텍스타일 재료로 형성된 의류 제품을 착용한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정상적인 인장력에 반응하여 낮은 정도의 신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타일 재료는 스판덱스, 라이크라, 엘라스탄(elastane) 등과 같은 탄성 얀을 사용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텍스타일 재료는 예를 들어 스판덱스, 라이크라, 엘라스탄 등의 존재로 인해 어느 정도의 신축성(2-웨이 또는 4-웨이)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어서, 단계(12012)에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텍스타일 재료에 장력이 가해진다. 텍스타일 재료에 가해지는 장력은 x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 그레인) 및 y 방향(예를 들어, 가로 방향 그레인) 또는 단지 x 방향 또는 y 방향일 수 있다. 신축은 텍스타일의 바이어스 그레인을 따라 적용될 수도 있다. 이를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기 위해, 씨실 방향으로, 날실 방향으로, 씨실 및 날실 방향 모두로, 또는 씨실 및 날실 방향으로부터 오프셋된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하기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이한 장력 유지 장치가 텍스타일 재료에 장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로크아웃이 이루어질 때까지 장력이 텍스타일 재료에 가해질 수 있다(즉, 직물을 찢거나 또는 파단시키지 않고 더 이상의 신장이 가능하지 않음). 달리 말하면, 텍스타일 재료에 가해지는 장력은 재료의 파단 강도 바로 아래에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텍스타일 재료의 로크아웃 지점보다 작은 장력이 가해질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텍스타일 재료를 텍스타일 재료의 휴지 또는 원래 길이의 110%, 120%, 130%, 140%, 150%, 160%, 170% 또는 180%로 신장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단계(12014)에서,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하에 유지되는 동안 표면 처리가 텍스타일 재료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적용된다. 표면 처리는 예를 들어 실리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수지 잉크, 다른 엘라스토머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처리는 표면 처리에 기능 상의 이점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첨가제는 반사 재료, 자일리톨과 같은 냉각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처리의 적용은 스크린 인쇄, 3-D 인쇄, 필름 전사, 첨가제 제조, 열 전달 등과 같은 복수의 방법에 의한 것일 수 있다. 표면 처리는 복수의 상이한 형상 또는 구성으로 텍스타일 재료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 처리는 가변 패턴 또는 반복 패턴으로 텍스타일 재료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초과의 표면 처리 층이 텍스타일 재료의 부분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텍스타일 재료에 가해지는 장력량,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 적용된 표면 처리의 형상 구성, 및/또는 표면 처리의 층의 개수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특정 장력 변형 효과를 달성하도록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또는 조정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공정(12000)은 텍스타일 재료가 표면 처리의 적용 후에 경화되는 경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화 단계는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하에 유지되는 동안 발생한다. 경화는 예컨대 열, 자외선의 인가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일단 표면 처리가 경화되면, 텍스타일 재료에 가해지는 장력이 해제될 수 있다. 장력의 해제 후에, 텍스타일 재료의 일부가 원래 또는 휴지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촉진하고 텍스타일 재료의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팀이 텍스타일 재료에 가해질 수 있다. 공정(12000)의 결과는 장력 하에서 표면 처리가 적용되고 경화된 텍스타일 재료의 부분이 인장 상태(즉,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고, 표면 처리가 적용되지 않은 텍스타일 재료의 다른 부분은 원래의 또는 휴지 상태의 길이 또는 상태로 복귀한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하에 있는 동안 표면 처리의 적용 및 경화는 신장된 얀,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를 신장된 상태로 "로크" 또는 고정시키는 것을 돕는다.
선택적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표면 처리가 적용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텍스타일 재료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개구는 표면 처리의 적용을 통해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텍스타일 재료의 부분에서 텍스타일 재료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레이저 절단, 기계적 절단, 워터 제트 절단, 초음파 절단 등을 통해 공기 흐름을 촉진시키는 텍스타일 재료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장력이 해제된 후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하에 있는 동안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장력을 생성하기 위해, 텍스타일 재료는 텍스타일 재료에 미리 결정된 양의 장력을 가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 장력 유지 장치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되는 장력 유지 장치는 텍스타일 재료가 위치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고, 장력 변형 공정을 통해 텍스타일 재료에 장력이 가해지고 유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장력 유지 장치는 하나 이상의 길이, 폭 또는 원주에 대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장력 유지 장치가 원형인 경우). 특정 장력 유지 장치의 공지된 길이, 폭 및/또는 원주에 따라 그리고 로크아웃에서 텍스타일 재료의 특정 신축성 백분율에 따라, 텍스타일 재료의 크기가 작은 부분이 장치 상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유지 장치의 알려진 길이, 폭 및/또는 원주보다 더 신장되는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 텍스타일 재료는 장력 유지 장치의 공지된 길이, 폭 및/또는 원주보다 작은 길이, 폭 및/또는 원주를 갖도록 절단되거나 또는 형성된다. 이것을 또 다른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직물은 장력 유지 장치에 위치될 때 최대 신축성 백분율까지 신장될 수 있도록 절단되거나 또는 형성된다.
일 구성에서, 장력 유지 장치는 도 51과 관련하여 기술된 장력 변형 공정을 통해 텍스타일 재료를 유지하는 지그(jig)일 수 있다. 텍스타일 재료는 예를 들어 지그 상에 재봉되거나, 클램프를 통해 지그에 부착되거나, 지그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지그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3 및 도 54는 2개의 예시적인 장력 유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53에서, 텍스타일 재료(14008)는 편평한 프레임 형상의 장력 유지 장치(14010)에 고정되어 있다. 하나의 예에서, 이는 텍스타일 재료(14008)의 대향 측면에 포켓 또는 터널을 형성하고 로드를 포켓에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텍스타일 재료(14008)가 장력 유지 장치(14010)에 고정되면, 장력이 x 방향, y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텍스타일 재료(14008)에 가해질 수 있다. 도 53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들 및 그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 다른 예에서,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 유지 장치(15000)는 2개의 절반부(15010 및 1501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2개의 절반부(15010 및 15012)는 일 측면(예를 들어, 조개 껍질 모양의)을 따라 힌지 고정된다. 장력 유지 장치(15000)는 장력 변형 공정을 통해 그 구조를 유지하고 텍스타일 재료를 장력 하에 유지하는 금속 또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텍스타일 재료는 예를 들어 클램프, 재봉 등을 통해 2개의 절반부(15010 및 15012)의 측면 에지에 부착될 수 있다. 장력을 가하기 위해, 2개의 절반부(15010 및 15012)는 개방되어, 텍스타일 재료를 신장시키고 장력 변형 공정을 통해 유지되는 장력을 생성한다. 도 54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장력 유지 장치의 추가의 예는 길이를 생성하도록 텔레스코핑되는 편평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텍스타일 재료는 편평한 프레임에 고정된 길이로 부착된다. 그 다음, 장력 유지 장치는 텍스타일 재료에 장력을 생성하도록 팽창될 것이다. 다른 예는 3차원 구조(직사각형, 원통형 등)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서, 텍스타일 재료는 관형 구조로 형성되고, 텍스타일 재료에 장력을 생성하기 위해 3차원 구조에 걸려 드로잉될 것이다. 또 다른 예는 (바이어스 그레인을 따라) 날실 방향으로, 씨실 방향으로, 그리고 날실 및 씨실 방향으로부터 오프셋된 방향으로 동시에 장력을 가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원형 프레임을 갖는 지그를 포함한다. 장력 유지 장치의 추가 예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텍스타일 재료 상에 장력을 유지하는 것 이외에도,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력 유지 장치는 표면 처리가 텍스타일 재료에 적용되는 위치와 텍스타일 재료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는 위치 사이의 레지스트레이션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달리 말하면, 장력 유지 장치는 표면 처리가 적용되는 위치 및 개구가 형성될 위치의 레지스트레이션을 유지하면서 장력 하에 표면 처리를 텍스타일 재료에 적용하는 것과 같은 공정의 일 단계로부터 레이저 절단과 같은 후속 단계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3의 장력 유지 장치(14010)는 레지스트레이션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장력 유지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예컨대, 장력 유지 장치(14010)의 4개의 코너(14000, 14002, 14004 및 14006)은 장력 하에 표면 처리를 적용한 후 레이저 절단을 하는 것과 같은 복수의 단계를 위해 텍스타일 재료(14008)를 레지스트레이션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처리 단계 동안 4개의 코너(14000, 14002, 14004 및 14006) 중 하나 이상을 고정된 기준점과 관련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복수의 처리 단계 동안 텍스타일 재료를 균일한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력 유지 장치(14010)는 일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플립되거나 또는 반전될 수 있으며, 코너(14000, 14002, 14004 및 14006) 중 하나 이상은 고정된 기준점에 대해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면 처리가 적용되고 및/또는 개구들이 형성되는 텍스타일 재료 상의 상이한 위치들 사이에서의 레지스트레이션을 유지하면서 처리 단계가 텍스타일 재료의 대향 표면 상에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장력 변형은 또한 도 5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2 공정(13000)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정(13000)은 텍스타일 재료를 제조하는 제조 설비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갖는 텍스타일 재료가 단계(13010)에서 제공된다. 텍스타일 재료는 공정(12000)과 관련하여 기술된 텍스타일 재료와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다음에, 단계(13012)에서 제1 장력이 제1 표면에 가해지고, 제2 장력이 제2 표면에 가해진다. 제1 장력 및 제2 장력은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가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제1 및 제2 장력은 예를 들어 텍스타일 재료의 대향 표면 상에 작용하는 롤러에 의해 가해질 수 있다. 이 양태에서, 롤러는 다양한 속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회전하여, 텍스타일 재료의 대향 표면에 제1 및 제2 장력을 생성한다.
계속해서, 단계(13014)에서, 섬유 재료가 장력 하에 유지되는 동안 표면 처리가 텍스타일 재료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적용된다. 추가적으로, 도 51과 관련하여 기술된 제1 장력 변형 공정과 유사하게, 표면 처리를 받은 후에, 텍스타일 재료는 경화되어 표면 처리를 설정 또는 고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구가 또한 표면 처리가 적용된 곳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즉, 장력 하에 유지되는 영역에서) 텍스타일 재료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 기계적 절단 등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재료에 바람직한 패턴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개구는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하에 있는 동안 또는 장력이 해제된 후에 형성될 수 있다. 설명된 이러한 장력 변형 공정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이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력 변형 공정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갖는 텍스타일 재료의 형성을 발생시키며, 이 경우 제1 부분은 표면 처리의 적용을 통해 인장 상태로 유지되고 제2 부분은 장력 없는 상태 또는 휴지 상태(즉, 제2 부분 내의 얀,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가 휴지 길이에 있는 상태)에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부분은 텍스타일 재료의 휴지 길이보다 큰 미리 결정된 신축 레벨로 유지될 수 있고, 제2 부분은 텍스타일 재료의 휴지 길이에 있다.
예를 들어, 도 4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장력 변형 공정을 거친 텍스타일 재료(8000)의 제1 표면을 도시한다. 텍스타일 재료(8000)의 복수의 서로 다른 제1 부분(8010)에 장력 하에 표면 처리(8016)가 적용되어, 표면 처리가 경화된 후에 제1 부분(8010)이 인장되거나 또는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제1 부분(8010)은 비-인장 상태 또는 휴지 상태에 있는 제2 부분(801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비-인장된 또는 비-신장된 제2 부분(8014)에 인접한 인장되거나 또는 신장된 제1 부분(8010)의 위치 설정은 텍스타일 재료(8000)에서의 변형 또는 "링클링(wrinkling)"(8012)을 생성하여, 복수의 융기 부분 또는 스탠드-오프 구조(8015)가 생성된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1 부분(8010)은 표면 처리로 인해 110 내지 160% 신장 상태 사이에 유지되고, 제2 부분(8014)은 표면 처리가 없기 때문에 비-신장된 상태에 있다. 텍스타일 재료(8000)가 의류 제품에 통합될 때, 장력 변형 공정을 통해 생성된 스탠드-오프 구조는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이들은 의류 제품이 착용될 때 의류 제품의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45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텍스타일 재료(8000)의 제1 표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0에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타일(8000)의 제1 표면 상에 스탠드-오프 구조(8015)의 생성이 보다 잘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인장된 제2 부분(8014)에 인접한 인장된 제1 부분(8010)의 위치 설정은 스탠드-오프 구조(8015)를 생성한다. 스탠드-오프 구조(8015)는 텍스타일 재료(8000)의 표면 평면에 대해 z 방향으로 연장한다. 텍스타일 재료(8000)가 의류 제품에 통합될 때, 스탠드-오프 구조(8015)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순환되어 착용자를 냉각시킬 수 있는 의류 제품과 착용자 신체 표면 사이의 공간을 제공한다. 스탠드-오프 구조(8015)는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스탠드-오프 구조(8015)는 또한 의류 제품의 외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0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4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장력 변형 공정을 거친 또 다른 예시적인 텍스타일 재료(9000)를 도시한다. 텍스타일 재료(9000)는 복수의 제1 부분(9004) 및 복수의 제2 부분(9002)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복수의 제1 부분(9004)은 예컨대 필름일 수 있는 표면 처리의 적용을 통해 인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2 부분(9002)은 장력 없는 휴지 상태에 있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슬릿 에지(9006, 9008)가 제조되며, 표면 처리가 적용된 영역에서(즉, 제1 부분(9004)에서) 텍스타일 재료(9000)에 개구(9012)를 한정한다. 제1 부분(9004)(인장 상태) 및 제2 부분(9002)(비-인장 상태)을 병치시킴으로 인해, 제1 부분(9004)은 전술한 바와 같은 스탠드-오프 구조를 형성하도록 텍스타일 재료(9000)의 표면 평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예컨대, z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인장 상태에 있는 동안 텍스타일 재료(9000)에 표면 처리의 적용에 의해 형성된 스탠드-오프 구조 및 개구(9012)와 같은 개구의 조합은 텍스타일 재료(9000)의 제1 표면으로부터 제2 표면으로 공기를 채널링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벤트 구조를 생성한다. 장력 변형의 공정은 텍스타일 재료(9000) 상에 전략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개구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도 46과 관련하여 계속하자면,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의 제1 부분(900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용된 표면 처리의 형상 구성에 기인하여 일반적으로 아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치형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제1 부분(9004)은 예를 들어 원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타원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복수의 제1 부분(9004)의 형상은 회사의 브랜드 또는 로고를 반영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형상화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4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절단선(47-47)을 따라 취한 텍스타일 재료(9000)의 예시적인 제1 부분(9004)의 단면을 도시한다. 표면 처리(9010)는 텍스타일 재료(9000)가 장력 하에 있는 동안 텍스타일 재료(9000)에 적용되었다. 장력 하에 있는 동안 표면 처리(9010)가 제1 부분(9004)에 적용될 때, 그 위치에서의 텍스타일 재료(9000)는 편향되어 스탠드-오프 구조를 형성한다. 슬릿 에지(9006 및 9008)의 추가는 텍스타일 재료(9000)의 외부 및 내부 표면 사이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벤트 또는 개구(9012)를 생성한다.
텍스타일 재료(9000)를 포함하는 의류 제품(9050)이 도 48에 도시되어 있고, 이 도 48은 의류 제품(905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의류 제품(9050)은 본 명세서의 양태에 따라 복수의 벤트 또는 개구(9012)를 갖는다.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의류 제품(9050)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네크라인 개구(9053) 및 허리 개구(9060)를 한정하는 것을 돕는 전방 패널(9052) 및 후방 패널(9054)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제품(9050)은 제1 슬리브(9056) 및 제2 슬리브(90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제품(9050)은 전방 패널(9052) 및 후방 패널(9054)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 제품(9050)은 단일 패널(예를 들어, 원형 니팅, 플랫 니팅 또는 위빙 공정을 통해)로부터 또는 하나 이상의 시임에서 함께 부착된 하나 이상의 추가 패널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48의 의류 제품(9050)은 슬리브가 있는 셔츠로 도시되어 있지만, 의류 제품(9050)은 슬리브 없는 셔츠, 모자 또는 1/4 슬리브가 있는 셔츠, 전체 길이의 슬리브, 3/4 슬리브를 갖는 셔츠, 재킷, 후디, 지프-업 셔츠 또는 재킷, 바지, 반바지, 양말, 모자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복수의 제1 부분(9004)은 도 48에 도시된 의류 제품(90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 및/또는 로우에 의해 정렬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제1 부분(9004)은 의류 제품(9050)의 전방 패널(9052) 및 후방 패널(9054) 상에 무작위로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제1 부분(9004)은 의류 제품(9050)의 전방, 후방, 측면 또는 어깨 영역에 걸쳐 밴드 또는 구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복수의 제1 부분(9004)은 의류 제품(9050)의 전방, 후방 및/또는 측면을 통해 흐르는 공기를 포획하고 채널링하는 기회를 최적화하도록 배치된 벤팅 구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제품(9050)은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의 제1 부분(9004)을 포함하고, 제2 부분(9002)은 휴지 또는 비-신장된 상태에 있다. 슬릿 에지(9006, 9008)는 전방 패널(9052)을 통해 연장되어, 이들은 의류 제품(9050) 외부의 환경과 의류 제품(9050)의 내부 사이의 유체 연통 경로를 형성한다. 개구(9012)의 위치는 의류 제품(9050)의 이들 부분이 의류 제품(9050)의 다른 영역과 반대로 높은(또는 보다 높은) 정도의 공기 흐름(또는 공기 압력)을 겪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 공기 흐름 맵 및 공기 압력 맵에 기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9012)는 유입 벤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개구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개구(9012)는 크기가 변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48에 도시된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발명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4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장력 변형 공정을 거친 텍스타일 재료(10000)에 대한 또 다른 대안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9에서, 텍스타일 재료는(10000)는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의 제1 부분(10004) 및 장력 없는 또는 휴지 상태에 있는 제2 부분(10002)을 포함한다. 개구(10006)는 공기가 텍스타일 재료(10000)의 제1 표면으로부터 제2 표면으로 유동할 수 있는 제1 부분(10004)에 형성될 수 있다. 이 특정 예에서, 적용된 표면 처리의 형상은 텍스타일 재료(10000)를 통해 흐르는 공기를 유도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보다 긴 터널 형상의 개구를 생성한다. 장력 변형 공정을 거친 텍스타일 부분 및 의류 제품에 대한 추가적인 구성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49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대안적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임의의 및 모든 양태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본 명세서의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장력 변형 공정은 의류 제품을 통해 미리 설정된 수준의 공기 흐름을 달성하고 증발 열 전달을 촉진함으로써 착용자를 냉각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의류 제품에서 스탠드-오프 구조 및/또는 벤팅 구조를 생성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처리의 적용을 통해 장력 하에 유지되는 의류 제품의 부분은 높은 공기 흐름에 노출되는 의류 제품의 부분에 전략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공기가 증발 열 전달을 촉진할 수 있는 의류 제품으로 공기를 포획하고 퍼널링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결론
본 명세서의 양태들은 넓은 범위의 조건에 걸쳐 체온 조절을 달성하기 위해 스탠드-오프, 개방도 및 벤팅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구조들 및 특징들을 이용하는 의류 제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 및 구조는 이러한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사용될 때, 특징 및/또는 구조는 운동 선수가 최적의 범위 내에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운동 기록에 있어서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의류 제품으로서,
    상기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의류 제품의 표면 평면에 대해 z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탠드-오프(stand-off)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탠드-오프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2.5 ㎜ 내지 6.0 ㎜의 높이를 갖는 것인 의류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제품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설계 형성된(engineered) 개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의류 제품의 20% 내지 45%가 상기 복수의 설계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의류 제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계 형성된 개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스탠드-오프 구조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것인 의류 제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계 형성된 개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의류 제품이 휴지 상태(resting state)에 있을 때 폐쇄되고, 상기 복수의 설계 형성된 개구 중 상기 적어도 일부는 인장력이 상기 의류 제품에 가해질 때 개방되는 것인 의류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탠드-오프 구조의 일부는 물에 노출될 때 팽창되거나 또는 확장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의류 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탠드-오프 구조의 일부는 습기에 노출될 때 2.5 ㎜ 내지 6.0 ㎜의 높이를 갖는 것인 의류 제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제품은 텍스타일(textile)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의류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재료는 편조 재료 또는 직조 재료(woven material)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의류 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탠드-오프 구조의 일부는 상기 텍스타일 재료에 표면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의류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탠드-오프 구조의 일부는 인장된 상태에 있을 때 110 내지 160%의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의류 제품.
  11. 스탠드-오프 구조를 갖는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텍스타일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텍스타일 재료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탠드-오프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하에 있는 동안 상기 텍스타일 재료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표면 처리를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재료는 상기 의류 제품을 위한 패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은 x 방향 및 y 방향 중 하나 이상으로 가해지는 것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은 상기 텍스타일 재료가 휴지 길이의 110 내지 160%로 신장되도록 가해지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는 상기 텍스타일 재료의 제1 표면에 적용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재료가 장력 하에 있는 동안 상기 표면 처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재료에 가해진 상기 장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이 해제된 후 상기 텍스타일 재료에 스팀(steam)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재료로 상기 의류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재료가 상기 의류 제품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텍스타일 재료의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의류 제품의 내부 대향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187034530A 2016-05-31 2017-05-30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KR102144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22556A KR102271582B1 (ko) 2016-05-31 2017-05-30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3540P 2016-05-31 2016-05-31
US62/343,540 2016-05-31
US201662429505P 2016-12-02 2016-12-02
US62/429,505 2016-12-02
US15/606,308 2017-05-26
US15/606,308 US11330851B2 (en) 2016-05-31 2017-05-26 Apparel thermo-regulatory system
PCT/US2017/034946 WO2017210160A1 (en) 2016-05-31 2017-05-30 Apparel thermo-regulatory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556A Division KR102271582B1 (ko) 2016-05-31 2017-05-30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24A true KR20190002624A (ko) 2019-01-08
KR102144007B1 KR102144007B1 (ko) 2020-08-12

Family

ID=6042068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421A KR102413803B1 (ko) 2016-05-31 2017-05-30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KR1020187034530A KR102144007B1 (ko) 2016-05-31 2017-05-30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KR1020207022556A KR102271582B1 (ko) 2016-05-31 2017-05-30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KR1020227021283A KR102454017B1 (ko) 2016-05-31 2017-05-30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421A KR102413803B1 (ko) 2016-05-31 2017-05-30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556A KR102271582B1 (ko) 2016-05-31 2017-05-30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KR1020227021283A KR102454017B1 (ko) 2016-05-31 2017-05-30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330851B2 (ko)
EP (1) EP3462953A1 (ko)
KR (4) KR102413803B1 (ko)
CN (2) CN109496131B (ko)
CA (1) CA3025426C (ko)
WO (1) WO20172101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400B1 (ko) * 2022-03-14 2023-02-28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돌기가 형성되는 의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9806A1 (en) * 2015-04-27 2016-10-27 Malachi Israel McGee Compression Shirt with Grip-Enhancing Features
US10271580B2 (en) * 2015-09-14 2019-04-30 Nike, Inc. Apparel item configured for reduced cling perception
US11284651B2 (en) * 2016-01-11 2022-03-29 Nike, Inc. Engineered surface for increased drag on article
US10285463B2 (en) * 2016-01-11 2019-05-14 Nike, Inc. Apparel item with integrated parachute structure
US11330851B2 (en) 2016-05-31 2022-05-17 Nike, Inc. Apparel thermo-regulatory system
CN111263596B (zh) * 2017-08-31 2022-09-2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类物品的鞋底结构和相关方法
USD821761S1 (en) * 2017-10-20 2018-07-03 Nike, Inc. Garment
USD819982S1 (en) * 2017-10-20 2018-06-12 Nike, Inc. Garment
USD820604S1 (en) 2017-10-20 2018-06-19 Nike, Inc. Garment
USD837483S1 (en) * 2017-10-25 2019-01-08 Nike, Inc. Garment
US20190174834A1 (en) * 2017-12-07 2019-06-13 Anthony Gaskins Thermally insulated garment assembly
IT201800002423A1 (it) * 2018-02-06 2019-08-06 Geox Spa Inserto traspirante perfezionato per capo d'abbigliamento e calzatura, capo d'abbigliamento e calzatura con tale inserto
USD879431S1 (en) 2018-08-03 2020-03-31 Nike, Inc. Shoe
USD879432S1 (en) 2018-08-03 2020-03-31 Nike, Inc. Shoe
US11684094B2 (en) * 2018-08-30 2023-06-27 Nike, Inc. Flexible cooling garment system
US11425944B2 (en) 2018-08-30 2022-08-30 Nike, Inc. Flexible cooling garment system
US11122846B2 (en) * 2018-10-25 2021-09-21 Cornell University Breathable fabrics with smart pores
US11744325B2 (en) 2018-12-20 2023-09-05 Under Armour, Inc. Article of footwear
US11358367B2 (en) 2018-12-20 2022-06-14 Under Armour, Inc.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of apparel
USD885012S1 (en) * 2019-01-30 2020-05-26 Nike, Inc. Jacket
USD873536S1 (en) * 2019-01-30 2020-01-28 Nike, Inc. Jacket
USD872975S1 (en) * 2019-01-30 2020-01-21 Nike, Inc. Jacket
USD872974S1 (en) * 2019-01-30 2020-01-21 Nike, Inc. Jacket
NL2023381B1 (en) * 2019-06-25 2021-02-01 Tiesnitsch Beheer B V Cooling garment
US20210045476A1 (en) * 2019-08-12 2021-02-18 Nike, Inc. Apparel with adaptive fit
WO2022055746A1 (en) * 2020-09-08 2022-03-17 Nike Innovate C.V. Flexible cooling garment system
US11766811B1 (en) 2022-05-17 2023-09-26 John Robert Larsen Gel-foam body amalgama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307A (ko) * 2002-10-15 2004-04-28 벤텍스 주식회사 숨구멍을 갖는 3층구조의 고흡습 초속건 원단
KR20040042073A (ko) * 2002-11-12 2004-05-20 벤텍스 주식회사 이면돌출층과 이면배수로를 갖는 흡습속건성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5916A (en) 1992-10-14 1999-12-21 Technisca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with wavefields using inverse scattering techniques
CA2228566A1 (en) * 1995-08-31 1997-03-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verse gravure kiss coating system with output roller
US6401250B1 (en) 2001-01-24 2002-06-11 Mcnabb Mark J. Ventilated athletic support garment
ES2240793T3 (es) * 2001-07-03 2005-10-16 Corovin Gmbh Dispositivo de perforacion de tejido no tejido y procedimiento correspondiente.
US20030041953A1 (en) 2001-08-31 2003-03-06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Method of making a bonded nonwoven web
WO2003041525A1 (en) 2001-11-14 2003-05-22 Fagerdala Tuotanto Oy A breathable garment or protective device and the use thereof
US7437774B2 (en) * 2004-03-19 2008-10-2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zoned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US7669250B2 (en) * 2004-10-14 2010-03-02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n embossed material
WO2007143980A1 (de) 2006-06-12 2007-12-21 X-Technology Swiss Gmbh Bekleidungsstück
JP5154045B2 (ja) 2006-09-14 2013-02-27 日本ゴア株式会社 耐摩耗性に優れた布帛、複合布帛、および、繊維製品、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CN102188053A (zh) * 2010-03-15 2011-09-21 香港纺织及成衣研发中心 一种透气服饰
US9220306B2 (en) * 2010-12-07 2015-12-29 Anthony E. Majoros Apparel liner
FR2975944B1 (fr) 2011-06-03 2014-10-24 Lainiere De Picardie Bc Procede de fonctionnalisation d’un textile en vue de lui conferer des proprietes anti-abrasives
CN103402468A (zh) * 2012-03-01 2013-11-20 爱乐康株式会社 伤口处理用品
EP3372100B1 (en) * 2012-08-27 2020-01-22 NIKE Innovate C.V. Dynamic materials intergrated into articles for adjustable physical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US10492550B2 (en) * 2014-01-28 2019-12-03 Under Armour, Inc. Article of apparel including thermoregulatory textile
US11330851B2 (en) 2016-05-31 2022-05-17 Nike, Inc. Apparel thermo-regulator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307A (ko) * 2002-10-15 2004-04-28 벤텍스 주식회사 숨구멍을 갖는 3층구조의 고흡습 초속건 원단
KR20040042073A (ko) * 2002-11-12 2004-05-20 벤텍스 주식회사 이면돌출층과 이면배수로를 갖는 흡습속건성 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400B1 (ko) * 2022-03-14 2023-02-28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돌기가 형성되는 의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007B1 (ko) 2020-08-12
US20170340037A1 (en) 2017-11-30
KR102413803B1 (ko) 2022-06-29
KR102271582B1 (ko) 2021-07-02
US11857003B2 (en) 2024-01-02
CN109496131B (zh) 2021-10-15
CA3025426A1 (en) 2017-12-07
EP3462953A1 (en) 2019-04-10
US20220202113A1 (en) 2022-06-30
KR20210071102A (ko) 2021-06-15
KR20200096690A (ko) 2020-08-12
CN109496131A (zh) 2019-03-19
US11330851B2 (en) 2022-05-17
US20240122276A1 (en) 2024-04-18
CA3025426C (en) 2021-07-13
WO2017210160A1 (en) 2017-12-07
CN114009873A (zh) 2022-02-08
KR102454017B1 (ko) 2022-10-12
KR20220093009A (ko) 202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007B1 (ko) 의류 체온 조절 시스템
CN108135291B (zh) 运动激活通风系统
US9700077B2 (en) Article of apparel with variable air permeability
KR102207589B1 (ko) 단열성 의복
US10765158B2 (en) Foam nodes for creating stand off on apparel items
US20100242151A1 (en) Article Of Apparel With Variable Air Permeability
CN107750130B (zh) 制造具有动态通风缝隙的服装物品的方法
JP7148831B2 (ja) 吸収性、吸湿性、拡張性のあるバンドロール、ウエストバンド、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衣服
CN109788815B (zh) 使用无纺聚合物材料区段形成的保温通风服装
CN115530455A (zh) 通气服装
CN109788814B (zh) 使用无纺聚合物片材形成的保温通风服装
CN220360144U (zh) 装饰件、服装物品、复合层压材料、上身衣服和衣服
US20230404205A1 (en) Headwear with Absorbent, Wicking, Expandable Band
JP4910070B1 (ja) 通気帯
TWM653345U (zh) 用於在服裝中使用的裝飾件、服裝物品、複合層壓材料、上身衣服及衣服
JP6376674B2 (ja) 衣服
JP2023069336A (ja) 膨張規制ステッチ付き空調被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