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076A - 로즈워터 및 천연 워터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 유아용 세제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로즈워터 및 천연 워터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 유아용 세제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076A
KR20190002076A KR1020170082457A KR20170082457A KR20190002076A KR 20190002076 A KR20190002076 A KR 20190002076A KR 1020170082457 A KR1020170082457 A KR 1020170082457A KR 20170082457 A KR20170082457 A KR 20170082457A KR 20190002076 A KR20190002076 A KR 20190002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rbon atoms
liquid detergent
detergent composi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102017008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076A/ko
Publication of KR2019000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Methods for using cleaning compositions
    • C11D11/0005Special cleaning or washing methods
    • C11D11/0011Special cleaning or 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 C11D11/0017"Soft" surfaces, e.g. text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47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pH regulate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 C11D2111/12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탄소수 12 ~ 18의 2급 알칸설폰산염 1 ~ 6 중량%, 및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량이 3 ~ 5인 탄소수 10 ~ 18의 폴리옥시에틸렌에 테르 황산에스테르염 3 ~ 10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량이 7 ~ 15인 탄소수 10
~ 18의 알킬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5 ~ 15 중량%, 및 탄소수 10 ~ 14의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5 ~ 15 중량%; 하이드로트로프제 1 ~ 8 중량%; 살균제 0.1 ~ 2 중량%; 피부자극 완화제 0.1 ~ 5 중량%; 수용성 세탁 증강제 0.1 ~ 5 중량%; 로즈마리 플로럴워터, 쑥추출물 및 하이알루로닉 애시드를 1:1:0.5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효 혼한물 0.1~5 중량% 및 나머지 물을 포함하는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은 종래 액상세제에 비하여 세척력이 우수하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세탁물의 살균효과를 지니며, 자극을 유발하는 불용성 침전물을 형성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한 저점도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즈워터 및 천연 워터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 유아용 세제 및 제조방법{Baby detergents containing rosewater and natural water and meethods of making}
본 발명은 로즈워터 및 천연 플로럴워터를 이용한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살균력이 우수하므로 유아용 의복과 아동용 의복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아용 액상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세제는 사용할 때 계량이 편리하고 분말세제에 비해 분진이 날리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보관중에도 분말세등 등과 같은 덩어리 발생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액상 세제는 제형의 제한으로 인하여 분말이나 과립 형태의 제형에 비해 세정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액상 세제가 세정성능이 떨어지는 이유는 분말세제의 경우에는 고농도의 세정 증강제(금속이온봉쇄제) 및 알카리제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반면, 액상 세제는 상안정성 및 사용상의 안전성 등의 이유로 계면활성제와 증강제 및 알카리제 등을 고농도로 함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액상 세제들은 분말세제에 비해 과량을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과 함께 세척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특히 면 함량이 높은 유아용 의류 및 기저귀 같은 경우에는 만족할 만한 세척력을 갖기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액상 세제들은 증강제를 함유하지 않아 세탁시 물중의 칼슘 이온과 마그네슘 이온 등이 세척력을 저하시키며, 이들로 인해 생긴 불용성 물질들이 의류에 잔류하게 되면 피부자극을 일으키게 된다.따라서 기존의 액상세제들을 유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통상의 액상세제에는 살균제가 포함 되어있지 않아 세탁 후에도 균이 잔존할 수 있어 비위생적인 세탁이 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히드록시아세트산이나 페놀유도체 화합물, TCC(Trichlorocarbanilide) 등을 각각 함유하는
액상세제 조성물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액상세제 조성물도 만족할 만한 살균력을보여주지 못할 뿐 아니라 피부에 자극이 있어 유아용 제품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기존의 다른 액상세제에 비하여 세척력이 우수하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세탁물의 살균효과를 지닌 로즈워터 및 천연 플로럴 워터를 이용한 유아용 액상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아용 액상세제 조성물에 있어서,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탄소수 12 ~ 18의 2급 알칸설폰산염 1 ~ 6 중량%, 및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량이 3 ~ 5인 탄소수 10 ~ 18의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3 ~ 10 중량%;
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량이 7 ~ 15인 탄소수 10 ~ 18의 알킬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5 ~ 15 중량%, 및 탄소수 10 ~ 14의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5 ~ 15 중량%;
3) 하이드로트로프제 1 ~ 8 중량%;
4) 살균제 0.1 ~ 2 중량%;
5) 피부자극 완화제 0.1 ~ 5 중량%;
6) 수용성 세탁 증강제 0.1 ~ 5 중량%;
7) 로즈마리 플로럴워터, 쑥추출물 및 하이알루로닉 애시드를 1:1:0.5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효 혼한물 0.1~5 중량%
8) 나머지 물
을 포함하는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로즈워터 및 천연 워터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 유아용 세제 조성물은 종래 액상세제에 비하여 세척력이 우수하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세탁물의 살균효과를 지니며, 자극을 유발하는 불용성 침전물을 형성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한 저점도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로즈마리 플로럴워터, 쑥추출물 및 하이알루로닉 애시드를 혼합한 유효 혼합물 제조과정
일반적으로, 액상 세제 조성물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절하게 혼용하면 우수한 세척력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경우 세척력은 우수하지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피부 자극성이 크므로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세척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사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피부자극성을 최소화하고 세척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량을 조절하고 여기에 수용성 세탁증강제와 완충제를 포함함으로써 세정력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살균력과 함께 피부자극이 없거나 극히 낮은 수준의 살균제를 사용하고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지닌 식물추출물을 첨가하면 기존의 다른 액상세제에 비해 훨씬 저자극성인 유아용 액상세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전체 사용량은 조성물에 대하여 10 ~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중량%인 것이 좋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일 때는 충분한 세척력을 기대하기 어렵고, 40 중량%를 초과하여 과량일 때는 피부자극이 발생할 수 있고, 점도가 상승하며 액체세제 조성물이 불안정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2 ~ 18의 2급 알칸설폰산염,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량이 3 ~ 5인 탄소수 10 ~ 18의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급 알칸설폰산염과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급 알칸설폰산염의 사용량은 1 ~ 6 중량%로 사용하고,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은 3 ~ 1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급 알칸 설폰산염의 사용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세척력이 저하되며, 6 중량%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의 사용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세척력이 저하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량이 7 ~ 15인 탄소수 10 ~ 18의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탄소수 10 ~ 14의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량이 7 ~ 15인 탄소수 10 ~ 18의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와 탄소수 10 ~ 14의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를 혼합하여 사용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의 경우 여기에 부가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분자량이 7분자 미만이거나 15분자 이상일 때는 저온에서의 상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세척력이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수준에 미달할 수가있다.
상기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의 사용량은 5 ~ 15 중량%이고,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의 사용량은 5 ~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와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의 각 사용량이 상기 범위들을 벗어나면 우수한 세척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은 하이드로트로프제(Hydrotrope)를 포함한다. 상기 하이드로프로프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트로프제의 사용량은 1 ~ 8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이드로트로프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하이드로 트로프제로서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8 중량%를 초과하면 비용의 증가와 충분한 세척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은 항균성능이 뛰어나고 저독성의 장점을 지닌 살균제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제는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염 유도체(SK케미칼사의 SKYBIO 112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제의 사용량은 0.1 ~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8 ~ 2.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제의 사용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항균력을 기대하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비용증가와 제형 및 안정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 하지 않다.
본 발명의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은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는 특성을 지닌 식물추출물을 피부자극 완화제로 포함한다. 상기 피부자극 완화제로 사용되는 식물추출물은 마치현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자극 완화제의 사용량은 은
0.1 ~ 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부자극 완화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충분한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 중량%를 초과하면 비용증가와 안정성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은 가용성 중합체인 수용성 세탁 증강제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세탁 증강제는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테트라나트륨 또는 테트라칼륨 피로포스페이트, 가용성 시트레이트 염, 알코일 타우레이트, 알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중합체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시스템, 및 이온교환수지로 작용하는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공지 화합물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세탁 증강제의 최적 농도는 선택된 증강제에 따라 조절할 수 있지만, 그 사용량이 0.1 ~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수용성 세탁증강제의 사용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세정 증대효과를 발휘할수 없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및 안정성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은 로즈마리 플로럴워터, 쑥 추출 및 하이 알루로닉 애시드를 1:1:0.5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효 혼합물을 0.1~5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로즈마리 플로럴워터는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하이드로졸로, 로즈마리를 70~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제조하며, 로즈마리 추출물로써 화장품 제조시 사용되는 인공적인 기본 베이스 대신 사용되어 폴리페놀 성분과 1.8-니네올 성분의 아로마 성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로즈마리의 가열 온도가 80℃를 초과하면 하이드로졸 생성이 어려울 수 있고, 70℃ 미만이면 로즈마리의 유효성분 추출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쑥 추출물은 쑥을 초고압 처리, 가열 처리, 초음파 처리, 마이크로 웨이브 처리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쑥 추출물을 제조하되, 상기 초고압 처리는 초고압 처리기를 이용하여 300MPa~400MPa의 압력으로 30~50초 간 처리하고, 생성된 가수분해물을 100~120℃의 물에 가열 처리한 후, 냉각 및 여과하며, 상기 가열 처리는 90~110℃의 온도로 4~96시간 동안 가열하고, 상기 초음파 처리는 초음파 처리기를 이용하여 4~96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며,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처리는 마이크로 웨이브 처리기를 이용하여 2~20시간 동안 마이크로 웨이브 처리한다.
이때 상기 쑥 추출물 제조시 초고압 처리를 이용할 경우 압력이 400MPa을 초과하면 추출효율 증가 폭이 둔화되어 비경제적이고, 300MPa 미만이면 추출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열 처리시 가열 온도가 110℃를 초과하거나 가열 시간이 96시간을 초과할 경우 추출효율이 저하되어 비경제적이고, 90℃ 미만이거나 4시간 미만이면 유효성분 변화율이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찬가지로 초음파 처리 및 마이크로 웨이브 처리시에도 상기 설정된 시간 범위를 초과하면 추출효율이 저하되어 비경제적이고, 시간 범위 미만이면 유효성분 변화율이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나머지 성분으로 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은 액상 세제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pH 조정제, 연화제, 오물 현탁제, 점도 개선제, 형광증백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제의 사용량은 0.1 ~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의 pH는 선택된 특정 성분에 따라 좌우되며, 바람직한 안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선택되는데 세정능력과 피부자극을 고려하여 중성에서 약알카리 정도인 6 ∼ 13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
기 pH 조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하여 조절하며, 이중에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즈마리 플로럴워터, 쑥 추출 및 하이 알루로닉 애시드를 혼합하여 유효 혼합물을 만드는 과정

Claims (7)

  1. 유아용 액상세제 조성물에 있어서,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탄소수 12 ~ 18의 2급 알칸설폰산염 1 ~ 6 중량%, 및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량이 3 ~ 5인 탄소수 10 ~ 18의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3 ~ 10 중량%;
    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량이 7 ~ 15인 탄소수 10 ~ 18의 알킬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5 ~ 15 중량%, 및 탄소수 10 ~ 14의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5 ~ 15 중량%;
    3) 하이드로트로프제 1 ~ 8 중량%;
    4) 살균제 0.1 ~ 2 중량%;
    5) 피부자극 완화제 0.1 ~ 5 중량%;
    6) 수용성 세탁 증강제 0.1 ~ 5 중량%;
    7) 로즈마리 플로럴워터, 쑥추출물 및 하이알루로닉 애시드를 1:1:0.5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효 혼한물 0.1~5 중량%
    8) 나머지 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가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염 유도체인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자극 완화제가 마치현추출물인 액상세제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세탁 증강제가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테트라나트륨 또는 테트라칼륨 피로포스페이트, 가용성 시트레이트 염, 알코일 타우레이트, 알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중합체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시스템, 및 이온교환수지로 작용하는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 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

    면활성제의 함량이 10~50중량%인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트로프제가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인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이 pH 조정제, 연화제, 오물 현탁제, 점도 개선제, 형광증백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는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
KR1020170082457A 2017-06-29 2017-06-29 로즈워터 및 천연 워터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 유아용 세제 및 제조방법 KR20190002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57A KR20190002076A (ko) 2017-06-29 2017-06-29 로즈워터 및 천연 워터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 유아용 세제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57A KR20190002076A (ko) 2017-06-29 2017-06-29 로즈워터 및 천연 워터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 유아용 세제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76A true KR20190002076A (ko) 2019-01-08

Family

ID=6502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457A KR20190002076A (ko) 2017-06-29 2017-06-29 로즈워터 및 천연 워터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 유아용 세제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0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295A1 (ko) * 2022-04-14 2023-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트 클리닝을 위한 세제 조성물
WO2023200296A1 (ko) * 2022-04-14 2023-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트 클리닝을 위한 세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295A1 (ko) * 2022-04-14 2023-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트 클리닝을 위한 세제 조성물
WO2023200296A1 (ko) * 2022-04-14 2023-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트 클리닝을 위한 세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295B1 (ko) 희석 가능한 점성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0214868B1 (en) Surfactants for use in cleaning compositions
CN103013715B (zh) 一种透明皂
AU2009281851B2 (en) Ultra concentrated liquid laundry detergent
US3700607A (en)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n-oxide-aminocarboxylates
DE2161768A1 (de) Gerüststoffmischungen
IE862867L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KR20190002076A (ko) 로즈워터 및 천연 워터류의 유효 성분을 포함한 유아용 세제 및 제조방법
WO2003097779A1 (en) Light duty liquid composition containing an acid and zinc chloride
US3312626A (en) Toilet bar
US5707955A (en) High foaming nonionic surfactant based liquid detergent
EP1757674B1 (en)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US3594322A (en) Liquid detergent
JP3634217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4175846A (ja) 抗菌液体洗浄剤
US3586632A (en)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curd dispersants
JP6684547B2 (ja) 液体洗浄剤
JP2956790B2 (ja) 皮膚刺激の少ない食品、食器清浄用洗浄剤及びそれを用いた除菌方法
JP3428170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20030023394A (ko) 유아용 액상 세제 조성물
WO2018097289A1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7203596B2 (ja) 繊維製品用の液体洗浄剤組成物
JPH1180780A (ja) 陰イオン性界面活性剤及びそれを含む洗浄剤組成物
JP3995814B2 (ja) 増泡剤
KR101221981B1 (ko) 약산성 의류 세탁 세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