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15A -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15A
KR20190001515A KR1020180066803A KR20180066803A KR20190001515A KR 20190001515 A KR20190001515 A KR 20190001515A KR 1020180066803 A KR1020180066803 A KR 1020180066803A KR 20180066803 A KR20180066803 A KR 20180066803A KR 20190001515 A KR20190001515 A KR 2019000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displayed
scree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904B1 (ko
Inventor
쇼타로 야마모토
데츠야 나카지마
요시유키 도다
요시히로 구시다
유타카 아라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4660A external-priority patent/JP72331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4659A external-priority patent/JP718235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0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B51/00 - A01B75/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ixing or overlaying two or more graphic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 내에서, 다양한 정보 화상을 시인성 높게 표시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콤바인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30)이며, 화면부(34)와, 화면부(34)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가 구비되고, 화면 제어부는, 화면부(34)를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으로 나누도록 구성되고, 또한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의 형상을 화면부(34)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서 상이하게 함과 함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마다, 그 형상에 따른 태양에 의해, 적어도 콤바인의 기체 또는 콤바인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30)이며, 화면부(34)와, 화면부(34)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가 구비되고, 화면 제어부는, 화면부(34)를, 적어도 콤바인의 기체 또는 콤바인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 중, 특정한 정보에 따른 특정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고정 표시 영역(52)과, 각종 정보 중,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시키는 정보를 변경 가능한 가변 표시 영역(53)으로 나누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INCLUDED IN WORK MACHINE}
본 발명은,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는, 작업기로서의 콤바인에 구비된다. 당해 콤바인은, 기체에 주행부, 예취부, 탈곡부, 선별부, 저류부, 배출부, 조종부 등의 작업부 및 이들의 동력원으로서의 엔진이 구비되어 있다.
조종부에는, 조종석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에 콤바인을 조작하는 조작구나, 콤바인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배치된다.
당해 표시 장치에 구비된 액정 표시기에는, 주행 속도, 엔진의 회전 속도, 곡립 저류량, 연료 잔량, 탈곡부 부하, 선별부 부하, 운전 시간, 변속 표시 및 각종 경보 등의 다양한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76315호 공보
그러나 액정 표시기는, 표시 영역이 유한한 이상, 다양한 정보 화상을 한 번에 표시하려면, 각 정보 화상의 표시를 작게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 내에서, 다양한 정보 화상을 시인성 높게 표시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의 특징 구성은,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이며,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화면부를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으로 나누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의 형상을 상기 화면부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서 상이하게 함과 함께, 상기 임의 표시 영역마다, 그 형상에 따른 태양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작업기의 기체 또는 상기 작업기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상기 작업기의 기체 또는 상기 작업기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를, 화면부에 있어서 표시하게 되는 임의 표시 영역의 형상에 따라서 상이하게 함과 함께, 그 형상에 따른 태양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작업기의 기체 또는 상기 작업기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임의 표시 영역마다, 상기 각종 정보 중,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선택된 정보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것, 또는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어느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도 표시시키지 않는 것이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필요한 정보만을 화면부에 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을, 적어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에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시인성 높게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표시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접하는 임의 표시 영역 중 한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하고,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하지 않을 때에는, 양 임의 표시 영역에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할 때보다, 상기 한쪽 임의 표시 영역을 상기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측으로 확장 또는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종 정보에, 적어도 수치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수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 중 상기 화면부에 있어서 가장 끝에 위치하는 임의 표시 영역에만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종 정보에, 적어도 수치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수치 정보와, 적어도 바 그래프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증감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데 있어서, 당해 수치 정보 화상을 표시하게 되는 임의 표시 영역을, 당해 임의 표시 영역에, 상기 증감 정보에 따른 증감 정보 화상을 표시시킬 때보다,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바 그래프는,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을 따라 단위 눈금이 배치되고, 상기 각종 정보에 따라서 상기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표시 색을 표시시키도록 구성된 구성이다. 한편, 수치 정보는, 구체적인 수치에 의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수치 정보의 쪽이, 표시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충분한 공간을 할당함으로써, 수치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각종 정보 각각에 따른 상기 정보 화상을, 상기 각종 정보에 따른 태양에 의해 상기 화면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각종 정보 각각을, 각각의 대응에 의한 정보 화상을 사용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시인성이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의 특징 구성은,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이며,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화면부를, 적어도 상기 작업기의 기체 또는 상기 작업기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 중, 특정한 정보에 따른 특정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고정 표시 영역과, 상기 각종 정보 중,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시키는 정보를 변경 가능한 가변 표시 영역으로 나누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작업기의 기체 또는 상기 작업기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 중, 고정 표시 영역에는 특정한 정보에 따른 특정 정보 화상을 표시하고, 가변 표시 영역에는 필요한 정보를 임의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변 표시 영역은, 각각, 상기 각종 정보 중,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선택된 정보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것, 또는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어느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도 표시시키지 않는 것이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고정 표시 영역과,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을, 적어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에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시인성 높게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표시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접하는 임의 표시 영역의 사이에, 상기 고정 표시 영역을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고정 표시 영역을 화면부의 중앙 부근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시인성 높게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표시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접하는 임의 표시 영역 중 한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하고,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하지 않을 때에는, 양 임의 표시 영역에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할 때보다, 상기 한쪽 임의 표시 영역을 상기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측으로 확장 또는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종 정보에, 적어도 수치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수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 중 상기 화면부에 있어서 가장 끝에 위치하는 임의 표시 영역에만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종 정보에, 적어도 수치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수치 정보와, 적어도 바 그래프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증감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데 있어서, 당해 수치 정보 화상을 표시하게 되는 임의 표시 영역을, 당해 임의 표시 영역에, 상기 증감 정보에 따른 증감 정보 화상을 표시시킬 때보다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바 그래프는,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을 따라 단위 눈금이 배치되고, 상기 각종 정보에 따라서 상기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표시 색을 표시시키도록 구성된 구성이다. 한편, 수치 정보는, 구체적인 수치에 의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수치 정보의 쪽이, 표시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충분한 공간을 할당함으로써, 수치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바 그래프는, 소정의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사이즈, 또한 소정의 표시 색의 도형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증감 정보에 따라서, 상기 도형의 적어도 사이즈 또는 표시 색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증감 정보에 따라서, 표시하는 도형의 적어도 사이즈 또는 표시 색을 변경함으로써, 당해 증감 정보의 시인성이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증감 정보에 중요도의 고저가 설정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증감 정보일수록, 상기 바 그래프로 표시하는 상기 도형의 폭을 넓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증감 정보에, 중요도의 고저를 설정해 두고,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보다, 바 그래프의 단위 눈금 사이에 표시되는 도형의 사이즈,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을 따른 바 그래프이면 폭을 넓게 함으로써 시인성이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각종 정보 각각에 따른 상기 정보 화상을, 상기 각종 정보에 따른 태양에 의해 상기 화면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각종 정보 각각을, 각각의 대응에 의한 정보 화상을 사용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시인성이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특정 정보 화상에 관한 특정한 정보와, 상기 가변 표시 영역에 표시 가능한 선택 정보 화상에 관한 정보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고정 표시 영역과 가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가려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종 정보에, 상기 작업기에 구비된 동력원의 회전 속도가 포함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동력원의 회전 속도를, 상기 고정 표시 영역에, 단위 눈금이 원호형으로 배치된 눈금반 영역과, 상기 동력원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상기 눈금반 영역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회전 속도에 따른 값을 가리키는 지침으로 구성된 타코미터에 의해 표시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눈금반 영역의 외주를 따르도록, 적어도 상기 고정 표시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임의 표시 영역을 표시하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정보에 따른 태양에 의해 표시를 하고, 그때, 타코미터의 눈금반 영역의 외주를 따르도록, 적어도 상기 고정 표시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임의 표시 영역을 표시시키기 때문에,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을 유효하게 사용하면서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종 정보 중 상기 가변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정보를 상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화면 상태를 기억 가능한 표시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표시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면 상태 중 상기 화면부에 표시시키는 화면 상태를,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작업의 장면마다 적절한 화면 상태를 미리 준비해 두고, 작업의 장면에 따라서 화면 상태를 임의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표시 제어 장치 및 기체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주야의 전환의 설명도.
도 6은 임의 표시 영역에서의 표시의 변경의 설명도.
도 7은 임의 표시 영역에서의 표시의 변경의 설명도.
도 8은 화면 상태의 전환 및 정보 표시 모드와 설정 모드의 전환의 설명도.
도 9는 설정 모드에 대한 설명도.
도 10은 이상 정보의 설명도.
도 11은 중도의 경보 정보의 설명도.
도 12는 경도의 경보 정보의 설명도.
도 13은 경도의 경보 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의 설명도.
도 14는 자기 진단 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의 설명도.
도 15는 경도의 경보 정보와 자기 진단 정보가 혼재할 때의 설명도.
도 16은 지시 정보의 설명도.
도 17은 조작 화상의 설명도.
도 18은 카메라 화상 모드의 설명도.
도 19는 환기 화상의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의 설명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작업기〕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30)가 구비된 보통형 콤바인(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에 상당함)(1)이 나타나 있다.
보통형 콤바인(1)(이하, 콤바인(1)이라고 함)은, 기체에 주행부(도시하지 않음), 예취부(2), 탈곡부(3), 선별부(4), 저류부(5), 배출부(6), 조종부(9) 등의 작업부 및 이들의 동력원으로서의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됨과 함께, 각 작업부 및 엔진을 제어하는 기체 제어 장치(20)(도 4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부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부로 구성되고, 기체를 전진, 후진 및 선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부에는, 기체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주행 속도 센서(1a)(도 4 참조)나, 주차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가 걸려 있음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1b)(도 4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행부는, 크롤러식 주행부에 한정되지 않고, 휠식 주행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취부(2)는, 기체 중 전방부에, 기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기체의 전진에 수반하여 포장의 곡물을 기립시켜 예취하고, 탈곡부(3)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부(3)는, 기체 중 예취부(2)의 좌측 후방에 설치되고, 예취부(2)로부터 보내져 온 곡물을 수취하여, 급동에 의해 탈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된 처리물(이하, 탈곡 처리물이라고 함)은, 선별부(4)로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부(3)에는, 탈곡부(3)의 부하를 검출하는 급동 센서(3a)(도 4 참조)나, 급동의 커버가 적절하게 폐쇄되어 있지 않음을 검출하는 커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선별부(4)는, 기체 중 탈곡부(3)의 하방에 설치되고, 탈곡부(3)로부터 보내져 온 탈곡 처리물을, 비중 선별 등의 선별 방식에 의해, 선별의 목적물인 벼와, 배출 짚 등의 배출물로 분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벼는 저류부(5)로 보내지고, 배출물은 콤바인(1)의 외부로 배출된다. 선별부(4)에는, 선별부(4)의 부하를 검출하는 시브 센서(4a)(도 4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저류부(5)는, 기체 중 선별부(4)의 우측에 설치되고, 선별부(4)로부터 보내져 온 벼를 저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류부(5)에는, 저류부(5)에 저류되어 있는 벼의 수분·단백의 함유율을 검출하는 식미 센서(5a)(도 4 참조) 및 저류부(5)에 저류되어 있는 벼의 수량을 검출하는 수량 센서(5b)(도 4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배출부(6)는, 기체 중 저류부(5)의 상방에 설치된, 이른바 언로더이며, 저류부(5)에 저류되어 있는 벼를 콤바인(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출부(6)에는, 언로더의 선회를 검출하는 선회 센서(6a)(도 4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은, 디젤 경유를 연료로서 구동하는 디젤 엔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엔진에는, 엔진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센서(7a)(도 4 참조), 엔진의 수온을 검출하는 수온 센서(7b)(도 4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디젤 경유가 저류되는 연료 탱크에는, 그 잔량을 검출하는 연료 센서(7c)(도 4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1)의 기체에는 카메라(8)가 구비되어, 콤바인(1)의 후방을 촬영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종부(9)는, 기체 중 예취부(2)의 우측 후방이며, 저류부(5)의 전방에 설치되고, 콤바인(1)을 조종하는 작업원이 탑승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종부(9)에, 운전석(10), 운전 조작부(11), 표시 장치(3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10)은, 작업원의 장시간의 착석을 가능하게 하는 착석감이 좋은 좌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원은 운전석(10)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부(12)를 통해 운전석(10)에 오르고 내릴 수 있다.
운전 조작부(11)는, 주행 조작구로서의 조작 레버부(13), 변속 조작구로서의 주 변속 레버(14), 클러치 레버(15) 및 조작 패널부(16) 등을 갖고 있다.
조작 레버부(13)는, 운전석(10)의 우측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부(13)는, 전후 좌우의 십자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고, 예를 들어 조작 레버부(13)가 우측 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콤바인(1)이 우측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주행부가 제어되고, 조작 레버부(13)가 좌측 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콤바인(1)이 좌측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주행부가 제어된다.
또한, 기체의 좌우에는 윙커 램프(18, 19)가 설치되고, 윙커 램프(18, 19)는, 조작 패널부(16)에 설치된 윙커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점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윙커 램프(18, 19)는, 윙커 스위치의 재조작에 의해, 또는 조작 레버부(13)의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의 종료에 수반하여, 점멸이 종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부(13)가 전방 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예취부(2)가 하강하고, 조작 레버부(13)가 후방 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예취부(2)가 상승한다. 또한, 조작 레버부(13)에는, 수평면에 대한 기체의 전후 좌우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 장치를 위한 경사각 수동 조절 스위치군이 설치되어 있다.
주 변속 레버(14)는, 전후로 요동 가능하고, 예를 들어 주 변속 레버(14)가 전방으로 요동 조작되면, 콤바인(1)이 전진하도록 주행부가 제어되고, 주 변속 레버(14)가 후방으로 요동 조작되면, 콤바인(1)이 후진하도록 주행부가 제어된다. 또한, 주 변속 레버(14)에는, 주행 속도 영역과 작업 속도 영역을 전환하는 부 변속 스위치나, 통상 시와 도복 시에 있어서 탈곡 깊이를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15)는, 전후로 요동 가능하고, 그 조작에 따라서 탈곡 클러치 및 예취 클러치의 온 오프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패널부(16)는, 운전석(10)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부(16)에는,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전환 스위치, 예취 높이의 조절 노브, 차속의 조절 노브 및 탈곡 대상물의 선택 노브 등의 노브류나, 언로더의 자세 변경 버튼, 언로더에 의한 벼 배출의 개시 버튼 및 벼 배출의 정지 버튼 등의 버튼류 등을 갖는 조작 버튼군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제어 장치(20)에, 기체 제어부(21), 기체 통신부(22) 및 기체 기억부(23)가 구비되고, 상술한 각 작업부에 구비된 주행 속도 센서(1a), 브레이크 센서(1b), 급동 센서(3a), 시브 센서(4a), 식미 센서(5a), 수량 센서(5b), 선회 센서(6a), 회전 속도 센서(7a), 수온 센서(7b) 및 연료 센서(7c)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속도, 주차 브레이크의 상태, 짚 처리의 상태(커터, 드로퍼), 부 변속기의 상태, 예취 높이, 탈곡 대상물의 종별(벼, 보리, 겉보리), 급동의 부하 레벨, 시브의 부하 레벨, 식미, 수량, 언로더의 선회, 엔진의 회전 속도, 수온, 요소 SCR 잔량, 및 연료 레벨 등의 각종 정보를 취득하거나, 카메라(8)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을 취득하거나, 기체 통신부(22) 및 표시 통신부(42)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조종부(9)측으로부터 취득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각 작업부 및 엔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1)에 의한 작업 개시 시에, 표시 제어 장치(40)에 있어서 입력된 패스워드 신호를 수신하여, 이것이 맞으면 엔진을 시동시키고, 맞지 않으면 엔진을 시동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체 제어 장치(20)는, CPU, ROM, RAM, I/O 등이 기판에 실장된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콤바인(1)은, 조종부(9)에 있어서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의 동력을 각 작업부에 전달하고, 주행부에 의해 콤바인(1)을 주행시키면서, 예취부(2)에 의해 포장의 곡물을 예취하고, 탈곡부(3)에 의해 탈곡하고, 선별부(4)에서 분별하고, 저류부(5)에서 벼를 저류한다고 하는 각 작업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
표시 장치(30)는, 예를 들어 주행 속도, 연료 레벨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며, 운전석(10)에 착좌한 작업원이 시인 및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전석(10)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30)는, 운전석(10)에 착좌한 작업원의 시계의 전방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포장의 전방을 넓게 바라보면서 작업이 가능해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30)는, 하우징(31)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표시부(32)가 구비되고, 우측에 조작부(33)가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31)의 내부에, 표시부(32)에 구비된 화면부(34)에 표시하는 각종 정보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40)(도 4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화면부(34)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에는, 주행 속도, 주차 브레이크의 상태, 짚 처리의 상태(커터, 드로퍼), 부 변속기의 상태, 예취 높이, 탈곡 대상물의 종별(벼, 보리, 겉보리), 급동의 부하 레벨, 시브의 부하 레벨, 식미, 수량, 언로더의 선회, 엔진의 회전 속도, 수온, 요소 SCR 잔량, 및 연료 레벨, 운전 시간, 일시 등의 각종 정보, 조작부(33)의 조작 내용, 각종 통지 정보 등이 포함되고, 표시 제어 장치(40)는, 필요에 따라서 표시 통신부(42) 및 기체 통신부(22)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기체 제어 장치(20)가 갖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1)은, 예를 들어 수지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이고, 또한 각 코너부는 둥그스름한 형상이며, 또한 조작부(33)에 있어서의 표면이, 표시부(32)에 있어서의 표면에 대해 전방측으로 경사지면서 상승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조작부(33)측을 작업원에게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원의 손가락이 닿기 쉬워 조작성이 좋다.
하우징(31)은, 적어도 조작부(33)측에 있어서, 그 두께가, 작업원이 손으로 쥘 수 있도록 구성되고, 조작부(33)는 작업원이 조작부(33)를 쥔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작업원은, 엄지 손가락에 의해 조작부(33)를 조작하는 데 있어서, 하우징(31)의 이면에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으로 감싸 하우징(31)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콤바인(1)의 주행 중과 같이 기체가 흔들리는 상황하에 있어서도 확실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31)은, 정면에서 보아, 조작부(33)측의 하측 코너부가 절결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작업원의 승강 시나 착석하였을 때, 작업원의 다리부, 특히 무릎부가 접촉하기 어렵다. 따라서, 작업원의 승강 시에 방해가 되기 어려워, 착석 시에 양 발을 벌리는 등의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원이 조작부(33)를 쥐었을 때, 조작부(33)에 구비되어 있는, 후술하는 조작구(38)에 손가락이 닿기 쉽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표시부〕
하우징(31)은 표시부(32)측에 직사각형 개구부(31a)와 가늘고 긴 개구부(31b)가 구비되고, 조작부(33)측에 사다리꼴 개구부(31c)가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31)은, 정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개구부 및 가늘고 긴 개구부의 이면에는 패널체(31d)가 구비되어 있다.
화면부(3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표시 영역을 갖는 컬러 액정 모니터로 구성되어 있다. 컬러 액정 모니터는, 시인성, 공간 절약, 가격 등의 관점에서 7인치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화면부(34)는, 표시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되고,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패널체(31d)는, 수지성 평판으로 구성되고, 화면부(34)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개소에 있어서, 광 투과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31)의 정면에서 보아, 화면부(34)와 조작부(33) 사이에 있어서, 화면부(34)와 간격을 두고, 콤바인(1)의 작업 부하의 레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엔진의 부하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하 표시부(35)가 구비되어 있다.
콤바인(1)의 작업 부하의 레벨로서 엔진의 부하의 상태는, 적절한 작업의 계속의 관점에서, 중요도가 높은 정보이며, 이러한 중요도가 높은 정보를, 화면부(34)와는 별도로, 표시부(32)보다 작업원 가까이에 설치한 부하 표시부(35)에 의해, 그 밖의 각종 정보와는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인성이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33)를 작업원 가까이에 배치함으로써 조작성이 높게 되어 있다.
화면부(34)의 동일한 표시 영역 내에, 작업 부하의 레벨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려고 하면, 작업 부하의 레벨을 나타내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해지거나, 그 밖의 정보 화상을 표시할 공간이 적어져 버리기 때문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큰 표시 영역을 갖는 화면부(34)가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컬러 액정 모니터는, 표시 영역이 큰 것일수록, 하우징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또한 고가가 되어 버린다. 화면부(34)와 부하 표시부(35)로 나눔으로써, 작업 부하의 레벨을 나타내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큰 표시 영역을 갖는 화면부(34)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화면부(34)와 부하 표시부(35)로 나눔으로써, 화면부(34)가 무언가의 원인에 의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을 때에도, 부하 표시부(35)에 의한 작업 부하의 레벨을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다.
부하 표시부(35)는, 화면부(34)의 우측의 한 변을 따라 배치된 가늘고 긴 개구부(31b) 내에, 상하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발광부,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내부에 구비된 기판(36)에 실장된 복수의 백색의 LED 소자(35z)에 의해 각 세그먼트(35a 내지 35e)가 구성된 레벨 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나 수치에 의해 엔진의 부하의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원은 용이하게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하 표시부(35)는, 상하 방향으로 곧게 구비되어 있어도 되고, 다소 만곡되어 구비되어도 된다.
패널체(31d)는, 각 세그먼트(35a 내지 35e)가 배치되어 있는 개소에 있어서 광 투과성을 가지면서도, 세그먼트(35a 내지 35c)에 대응하는 개소는 녹색으로, 세그먼트(35d)에 대응하는 개소는 주황색으로, 세그먼트(35e)에 대응하는 개소는 적색으로 착색되어 구성되어 있다.
각 LED 소자는, 작업 부하의 레벨에 따라서, 세그먼트(35a)로부터 세그먼트(35e)에 걸쳐 발광 제어되고, 예를 들어 작업 부하의 레벨이 낮을 때는, 세그먼트(35a)만이 점등되고, 작업 부하의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점등되는 세그먼트가 증가하여, 작업 부하의 레벨이 가장 높으면 모든 세그먼트(35a 내지 35e)가 점등된다.
부하 표시부(35)는, 화면부(34)의 우측의 한 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각 세그먼트(35a 내지 35e)가 병설되고, 또한 작업 부하의 레벨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위에 있는 세그먼트(35e)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 부하가 높을수록 작업원의 주의를 끌기 쉽다.
직사각형 개구부(31a)와 가늘고 긴 개구부(31b)는, 세로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고, 부하 표시부(35)는 가늘고 긴 개구부(31b)의 세로 방향과 대략 동일한 길이에 걸쳐 각 세그먼트(35a 내지 35e)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하 표시부(35)는 화면부(34)의 우측의 한 변보다 길고, 직사각형 개구부(31a)의 세로 방향의 길이, 즉 화면부(34) 및 후술하는 표지 배치부(37)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화면부(34)와는 별도로 부하 표시부(35)를 설치함으로써, 부하 표시부(35)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그때, 부하 표시부(35)를, 화면부(34)와 조작부(33) 사이에 배치하면서도, 화면부(34)와 조작부(33)가 지나치게 이격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우징(31)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2)에는, 화면부(34)의 하방에, 화면부(34)와 간격을 두고 표지 배치부(37)가 구비되어 있다. 표지 배치부(37)는, 화면부(34)의 하측의 한 변과 동일한 가로 폭을 갖고, 당해 한 변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표지 배치부(37)에, 콤바인(1)에 관한 소정의 정보에 대응한 표지(37a 내지 37j)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지 배치부(37)에는, 윙커 램프(18)의 점멸과 동조하여 점멸하는 표지(37a), 충전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점등되는 표지(37b), 엔진의 회전 중에 있어서 윤활 계통이 이상일 때에 점등되는 표지(37c), 엔진에 관하여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점등되는 표지(37d), 주차 브레이크가 걸려 있을 때에 점등되는 표지(37e), 연료의 잔량이 적어졌을 때에 점등되는 표지(37f), 요소수의 품질 이상이 있을 때에 점등되는 표지(37g), 요소 SCR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점등되는 표지(37h), 작업등의 점등과 동조하여 점등되는 표지(37i), 윙커 램프(19)의 점멸과 동조하여 점멸하는 표지(37j)가 구비되어 있다.
패널체(31d)는, 각 표지(37a 내지 37j)가 배치되어 있는 개소에 있어서, 광 투과성을 가지면서도, 표지(37a, 37j)에 대응하는 개소는 녹색으로, 표지(37b, 37c, 37d, 37e, 37h)에 대응하는 개소는 적색으로, 표지(37f)에 대응하는 개소는 황색으로, 표지(37i)에 대응하는 개소는 청색으로 착색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36)에는, 각 표지(37a 내지 37j)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광부로서 복수의 백색의 LED 소자(37z)가 실장되어 있다. 각 표지(37a 내지 37j)에 대응하는 사상의 발생에 응답하여 각 LED 소자가 발광 제어됨으로써, 각 표지(37a 내지 37j)가 점등 내지 점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면부(34)와는 별도로 표지 배치부(37)를 설치하면서도, 하우징(31)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화면부(34), 부하 표시부(35) 및 표지 배치부(37)를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배치함으로써, 표시부(32)의 의장성이 높게 되어 있다.
〔조작부〕
조작부(33)는, 표시부(32)의 우측에 있어서, 작업원이 화면부(34)에 표시되는 정보 화상에 관한 조작을 하기 위한 것이며, 작업원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구(38)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구(38)는, 하우징(31)의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 상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구(38)가 작업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손가락이 닿기 쉽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조작구(38)는, 적어도 화면부(34)에 표시된 정보 화상의 스크롤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스위치군(38a 내지 38d), 구체적으로는, 상측 스위치(38a), 좌측 스위치(38b), 하측 스위치(38c), 우측 스위치(38d), 화면부(34)에 표시된 내용을 확정하는 확정 스위치(38e) 및 화면부(34)에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이 표시되는 정보 표시 모드(70)와 화면부(34)에의 표시에 관한 설정 화면이 표시되는 설정 모드(80)(도 8 참조)를 전환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38f)를 갖고 있다.
설정 스위치(38f)는, 조작 스위치군(38a 내지 38d)보다, 표시부(32)측, 구체적으로는, 좌측 스위치(38b) 및 하측 스위치(38c)의 좌측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설정 스위치(38f)는, 조작 스위치군(38a 내지 38d)과 비교하여 조작 빈도가 낮다. 따라서, 설정 스위치(38f)를 조작 스위치군(38a 내지 38d)보다 먼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설정 스위치(38f)를 오조작해 버릴 우려가 저감되어 있다.
조작구(38)는, 사다리꼴 개구부(31c)의 내부에 배치됨과 함께, 조작 스위치군(38a 내지 38d)의 조작면 및 설정 스위치(38f)의 조작면은, 하우징(31)의 표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원이 의도치 않게 표시 장치(30)에 접촉해 버려도, 조작구(38)를 오조작해 버릴 우려가 적다.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장치(40)는, 화면 제어부(41), 표시 통신부(42), 표시 기억부(43), 조작 입력부(44) 및 발광 제어부(45, 46)를 구비하고, 조작부(33)로부터의 조작 신호나, 기체 제어 장치(20)로부터 취득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30)를 제어하는 것이다. 표시 제어 장치(40)는, CPU, ROM, RAM, I/O 등이 기판(36)에 실장된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 제어부(41)는, 화면부(34)에 소정의 문자나 화상 등을 소정의 태양에 의해 표시한다. 표시 기억부(43)에는, 각종 정보에 따른 배경 화상이 기억되어 있고, 화면 제어부(41)는, 이것을 호출함과 함께, 예를 들어 만곡된 상하 방향을 따라 단위 눈금이 배치되고, 각종 정보에 따라서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표시 색을 표시시키도록 구성된 그래프형 화상으로서의 바 그래프나, 단위 눈금이 원호형으로 배치된 눈금반 영역과, 각종 정보에 따라서 눈금반 영역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각종 정보에 따른 값을 가리키는 지침으로 구성된 미터형 화상으로서의 타코미터를 화면부(34)에 표시시킨다. 또한, 소정의 표시 색이라 함은, 1색이어도 되고, 복수의 색이어도 된다. 또한, 색조나 명암 등이 단계적으로 변화되는 것도 포함된다.
도 2에 있어서, 화면부(34)에는, 주행 속도, 짚 처리의 상태(커터, 드로퍼), 부 변속기의 상태, 예취 높이, 탈곡 대상물의 종별(벼, 보리, 겉보리), 급동의 부하 레벨, 시브의 부하 레벨, 식미, 수량, 엔진의 회전 속도, 수온, 요소 SCR 잔량, 연료 레벨, 운전 시간, 일시 등의 정보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화면 제어부(41)는, 주야에 따라서 동일한 정보라도, 낮에는 휘도가 높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백색을 기조로 한 정보 화상에 의해 표시하고, 밤에는 휘도가 낮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흑색을 기조로 한 정보 화상에 의해 표시할 수 있어, 주야에 따른 표시에 의해 그 시인성이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전환은, 후술하는 설정 모드(80)에 있어서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시간대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화면부(34)에 표시되는 각종 화상에 대해 설명한다.
화면 제어부(41)는, 화면부(34)를, 수평 방향으로 직선형의 경계에 의해 상하로 이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이 메인 영역(50)이고, 하측이 서브 영역(51)이다. 또한, 메인 영역(50)과 서브 영역(51)의 경계는, 화면 제어부(41)에 의해 정의되어 있으면 되고, 반드시 사람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태양일 필요는 없다.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각 영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메인 영역〕
메인 영역(50)에는,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 중 주요한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화면부(34)의 대부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약 90%나 되는 공간이 할당되어 있다.
주요한 정보에는, 주행 속도, 짚 처리의 상태(커터, 드로퍼), 부 변속기의 상태, 예취 높이, 탈곡 대상물의 종별(벼, 보리, 겉보리), 급동의 부하 레벨, 시브의 부하 레벨, 식미, 수량, 엔진의 회전 속도, 수온, 요소 SCR 잔량, 연료 레벨, 조작부(33)의 조작 내용, 각종 통지 정보 등이 포함된다.
화면 제어부(41)는, 메인 영역(50)을, 다시 고정 표시 영역(52)과, 가변 표시 영역(53)으로 나누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 표시 영역(52)에는,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 중, 특정한 정보에 따른 특정 정보 화상이 표시된다. 특정한 정보에는, 콤바인(1)의 작업 중에 있어서, 항상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보이며, 주행 속도, 짚 처리의 상태(커터, 드로퍼), 부 변속기의 상태, 예취 높이, 탈곡 대상물의 종별(벼, 보리, 겉보리), 엔진의 회전 속도가 포함된다.
고정 표시 영역(52)은, 메인 영역(50) 중 중앙보다 약간 우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콤바인(1)의 주행 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치를 표시시키는 태양에 의해 콤바인(1)의 주행 속도가 표시되어 있다. 주행 속도에 따른 정보 화상의 주위에는, 타코미터에 의해 엔진의 회전 속도가 표시되어 있다.
타코미터는, 엔진의 회전 속도를, 단위 눈금이 원호형으로 배치된 눈금반 영역, 및 눈금반 영역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회전하고, 당해 회전 속도에 따른 값을 가리키는 지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 속도에 따른 정보 화상의 하방에는, 짚 처리의 상태(드로퍼), 부 변속기의 상태(부H), 예취 높이(예취L), 탈곡 대상물의 종별(벼)이 문자나 아이콘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 표시 영역(52)이, 화면부(34)의 중앙 부근에 배치됨으로써, 시인성 및 화면부(34)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의 의장성이 높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면 제어부(41)는, 가변 표시 영역(53)을, 고정 표시 영역(52)의 좌우에 2개소씩, 고정 표시 영역(52)의 눈금반 영역의 외주를 따르는 형상을 갖는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으로 나눈다.
화면 제어부(41)는,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마다, 각종 정보 중,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선택된 정보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것, 또는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어느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도 표시시키지 않는 것이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에 표시 가능한, 선택된 정보에는, 적어도 수치에 의해 설정 내지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와, 적어도 바 그래프에 의해 설정 내지 상태를 나타내는 증감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수치 정보로서, 식미, 수량, 연료 레벨을 예시할 수 있고, 증감 정보로서, 수량, 시브의 부하 레벨, 수온, 요소 SCR 잔량, 연료 레벨을 예시할 수 있다. 고정 표시 영역(52)에 표시되는 특정 정보 화상에 관한 특정한 정보와, 가변 표시 영역(53)에 표시 가능한 선택 정보 화상에 관한 정보는 상이하게 되어 있다. 고정 표시 영역(52)과 가변 표시 영역(53)에 표시되는 정보는 가려지지 않는다.
수치 정보로서의, 식미, 수량 및 연료 레벨은, 「식미·수량(통계)」, 「식미·수량」, 「식미」 및 「수량·연료」와 같이 분류되고, 증감 정보로서의, 수량, 시브의 부하 레벨, 수온, 요소 SCR 잔량 및 연료 레벨은 「벼 레벨」, 「시브 레벨」, 「요소 SCR 잔량」, 「연료 레벨」 및 「수온」과 같이 분류된다.
도 2에 나타낸 화면부(34)에 있어서는, 임의 표시 영역(53a)에는 「식미·수량(통계)」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으로서, 평균 단백……(%), 평균 수분……(%), 및 적산 중량……(kg)과 같이 문자 및 수치를 포함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진 화면부(34)에 있어서는, 임의 표시 영역(53b)에는 「수온」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으로서, 수온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만곡된 바 그래프를 포함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당해 바 그래프는, 당해,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된 소정의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사이즈, 또한 소정의 표시 색의 도형을 표시시킴으로써 수온이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눈금의 수는 8이며, 그 중 위의 하나가 역치 레벨로서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진 화면부(34)에 있어서는, 임의 표시 영역(53c)에는 「벼 레벨」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으로서, 벼 레벨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만곡된 바 그래프를 포함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당해 바 그래프는, 당해,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된 소정의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사이즈, 또한 소정의 표시 색의 도형을 표시시킴으로써 벼 레벨이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눈금의 수는 10이고, 그 중 위의 2개가 역치 레벨로서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진 화면부(34)에 있어서는, 임의 표시 영역(53d)에는, 「시브 레벨」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으로서, 시브 레벨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만곡된 바 그래프를 포함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당해 바 그래프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된 소정의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사이즈, 또한 소정의 표시 색의 도형을 표시시킴으로써 시브 레벨이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눈금의 수는 5이며, 그 중 위쪽 하나가 역치 레벨로서 설정되어 있다.
화면 제어부(41)는, 표시 기억부(43)에 기억되어 있는 배경 화상 중 각종 정보에 따른 배경 화상을 호출함과 함께, 예를 들어 수치나 문자, 소정의 눈금 사이에 소정의 표시 색을 표시시킴으로써, 각종 정보 각각에 따른 정보 화상을 형성하고, 각종 정보에 따른 태양에 의해 화면부(34)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부(34)가 정보 표시 모드(70)일 때, 조작구(38)의 확정 스위치(38e)를 조작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에 표시해야 할 정보 화상에 따른 정보를 선택 가능한 선택 모드(74)로 천이한다.
이 선택 모드(74)에 있어서는, 고정 표시 영역(52)에 대응하는 개소에 조작구(38)의 상측 스위치(38a) 또는 하측 스위치(38c)를 조작에 수반하여 상하로 회전하는 드럼 롤식의 선택지 화상(53e)이 배치된다. 조작구(38)의 상측 스위치(38a) 또는 하측 스위치(38c)를 조작함으로써, 선택지 화상(53e)을 회전시켜, 소정의 항목에 있어서 확정 스위치(38e)를 조작하면,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 중 전환의 대상인 임의 표시 영역에 표시해야 할 정보 화상에 따른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선택 모드(74)에 있어서, 좌측 스위치(38b) 또는 우측 스위치(38d)를 조작함으로써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 중, 표시해야 할 정보 화상에 따른 정보의 전환의 대상이 되는 임의 표시 영역을 전환 가능하다.
전환 가능한 정보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미·수량(통계)」, 「식미·수량」, 「식미」, 「수량·연료」와 같은 항목으로 분류된 수치 정보와, 「벼 레벨」, 「시브 레벨」, 「요소 SCR 잔량」, 「연료 레벨」, 「수온」과 같은 항목으로 분류된 증감 정보가 존재한다.
「식미·수량」을 선택하면, 이것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으로서는, 단백……(%), 수분……(%), 및 벼……(kg)과 같이 문자 및 수치를 포함한 화상이 표시된다.
「식미」를 선택하면, 이것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으로서는, 단백……(%), 및 수분……(%)과 같이 문자 및 수치를 포함한 화상이 표시된다.
「수량·연료」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으로서는, 벼……(kg), 연료 소비 수량……(L)과 같이 문자 및 수치를 포함한 화상이 표시된다.
「요소 SCR 잔량」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으로서는, 요소 SCR 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만곡된 바 그래프를 포함한 화상이 표시된다. 당해 바 그래프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된 소정의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사이즈, 또한 소정의 표시 색의 도형을 표시시킴으로써 요소 SCR 잔량이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눈금의 수는 1이며, 0 레벨로부터 만탱크 레벨 중 만탱크 레벨측의 10 내지 20% 정도에 역치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연료 레벨」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으로서는, 연료 레벨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만곡된 바 그래프를 포함한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당해 바 그래프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된 소정의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사이즈, 또한 소정의 표시 색의 도형을 표시시킴으로써 연료 레벨이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눈금의 수는 0 레벨로부터 만탱크 레벨까지의 1이며, 0 레벨로부터 만탱크 레벨 중, 만탱크 레벨측의 10 내지 20% 정도에 역치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수량, 시브의 부하 레벨, 수온, 요소 SCR 잔량, 연료 레벨은, 중요도의 고저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량, 시브의 부하 레벨은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수온, 요소 SCR 잔량, 연료 레벨은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벼 레벨」, 「시브 레벨」의 항목을 선택하였을 때에 표시되는 바 그래프의 단위 눈금 사이에 표시되는 도형의 적어도 폭은, 「요소 SCR 잔량」, 「연료 레벨」, 「수온」의 항목을 선택하였을 때에 표시되는 바 그래프의 단위 눈금 사이에 표시되는 도형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나아가, 그 표시 색의 휘도나 채도를 높게 하여, 시인성을 높여도 된다. 증감 정보에 따라서, 표시하는 도형의 적어도 사이즈, 또는 표시 색을 변경함으로써, 당해 증감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중요도가 높은 정보일수록 시인성이 높아지는 태양에 의해 표시되기 때문에, 작업원은 중요도가 높은 정보일수록 확인하기 쉽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수치 정보, 즉 「식미·수량(통계)」, 「식미·수량」, 「식미」 및 「수량·연료」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 중 화면부(34)에 있어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임의 표시 영역(53a)에만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임의 표시 영역(53a)에는, 「식미·수량(통계)」, 「식미·수량」, 「식미」, 「수량·연료」, 「벼 레벨」, 「시브 레벨」, 「요소 SCR 잔량」, 「연료 레벨」, 「수온」 및 어느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도 표시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없음」의 10항목 중에서 어느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 표시 영역(53a)에 대해, 표시해야 할 선택 정보 화상에 따른 정보를, 「식미·수량(통계)」로부터, 「요소 SCR 잔량」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치 정보, 여기서는 「식미·수량(통계)」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임의 표시 영역(53a)에 표시할 때에는, 당해 「식미·수량(통계)」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하게 되는 임의 표시 영역(53a)을, 당해 임의 표시 영역(53a)에, 증감 정보, 여기서는 「요소 SCR 잔량」에 따른 증감 정보 화상을 표시시킬 때보다,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미·수량(통계)」과 같은 수치 정보 화상과, 「요소 SCR 잔량」과 같은 증감 정보 화상에서는, 수치 정보 화상의 쪽이, 표시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충분한 공간을 할당함으로써, 수치 정보의 시인성이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선택 모드(74)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 표시 영역(53a)에 대해, 표시해야 할 선택 정보 화상에 따른 정보를, 「식미·수량(통계)」으로부터, 「없음」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화면 제어부(41)는, 임의 표시 영역(53b)에 있어서 표시되는 「수온」에 대한 선택 정보 화상이, 임의 표시 영역(53a)측으로 확장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기억부(43)에는, 동일한 정보, 여기서는 「수온」에 따른 정보 화상이라도, 폭이 상이한 배경 화상이 기억되어 있고, 화면 제어부(41)는 폭이 넓은 쪽 배경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눈금에 소정의 표시 색을 표시함으로써, 「수온」에 따른 정보 화상을 형성하고, 이것을 화면부(34)에 표시시킨다.
화면 제어부(41)는, 임의 표시 영역(53a) 이외의 임의 표시 영역(53b 내지 58)에는, 「벼 레벨」, 「시브 레벨」, 「요소 SCR 잔량」, 「연료 레벨」, 「수온」, 「없음」의 6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동일한 정보, 예를 들어 동일한 「연료 레벨」에 대한 정보라도, 그 정보 화상을, 임의 표시 영역(53a), 임의 표시 영역(53b), 임의 표시 영역(53c) 및 임의 표시 영역(53d)에 대해 각각 상이한 태양, 예를 들어 표시하는 화상의 형상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기억부(43)에는, 동일한 정보, 예를 들어 「연료 레벨」에 따른 정보 화상이라도, 좌우가 반전된 배경 화상이 기억되어 있고, 화면 제어부(41)는 표시하는 것이 선택된 임의 표시 영역에 대응한 형상의 배경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눈금에 소정의 표시 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정보를, 화면부(34)에 있어서 표시하게 되는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의 형상에 따라서 상이하게 하여, 시인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의장성이 높아지는 태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화면 제어부(41)는,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을, 화면부(34)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서 상이하게 함과 함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마다, 그 형상에 따른 태양에 의해,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에 표시시키는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면 제어부(41)는,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 전부에 동일한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시킬 수도 있고,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 중, 예를 들어 하나에만 항목 「벼 레벨」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하고, 그 밖의 임의 표시 영역에 항목 「없음」에 따른, 즉 어느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도 표시시키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제어 장치(40)는, 각종 정보 중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에 표시시키는 정보에 대해 선택된 화면 상태를 복수 패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3 패턴을 표시 기억부(43)에 기억 가능하게 구성되고, 화면 제어부(41)는 표시 기억부에 기억된 3 패턴의 화면 상태 중 화면부(34)에 표시시키는 화면 상태를,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조작구(38)의 좌측 스위치(38b) 및 우측 스위치(38d)의 조작에 의해 스크롤시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면 상태는, 표시 기억부(43)에 있어서 내부적으로 번호가 부여되거나 하여 구별되고, 예를 들어 화면 번호 71, 화면 번호 72, 화면 번호 73과 같이 구별되고, 콤바인(1)의 기동 시에는, 매회 특정한 화면 번호 71의 화면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각 화면 번호 71, 72, 73의 화면 상태로부터 설정 모드(80)로 천이한 후에, 정보 표시 모드(70)로 복귀될 때에는, 설정 모드(80)로 천이하기 직전의 화면 번호 71, 72, 73에 따른 화면 상태가 표시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모드(80)에 있어서는, 작업 탭(81), 미터 탭(82), PF 탭(83)을 선택하여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작업 탭(81)에 있어서는, 메인터넌스 시기, 경보 이력 및 유저의 각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유저 항목에 있어서는, 복수의, 예를 들어 6명의 유저의 등록 및 그 전환이 가능하다. 경보 이력 항목에 있어서는, 소정 수, 예를 들어 가장 최근의 7개의 이력의 기억 및 그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통지 정보는, 작업원이 확인할 수 있는 카테고리와, 확인할 수 없는 카테고리로 나누어도 된다.
미터 탭(82)에 있어서는, 도난 방지, 주/야 모드, 휘도 조정, 시계, 언어 및 카메라 표시의 각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PF 탭(83)에 있어서는, 수량 측정 이력, 작업 개시, 연료 소비량 리셋, 곡립 중량 경보, 수량 센서 0점 보정 및 단백 표시의 각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표시 제어 장치(40)는, 유저마다, 정보 표시 모드(70)에 있어서의 각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에 표시시키는 선택 정보 화상, 주/야 모드, 휘도 조정 및 시계에 있어서의 설정을 기억할 수 있다.
〔서브 영역〕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영역(51)은, 메인 영역(50)에 비해 좁은 공간으로 되어 있다. 서브 영역(51)에 표시되는 정보에는, 운전 시간, 일시, 각종 통지 정보 등이 포함된다.
화면 제어부(41)는, 서브 영역(51) 중 좌측 단부에 운전 시간(적산값)을 표시하고, 우측 단부에 일시를 표시한다. 또한, 운전 시간의 표시의 우측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종 통지 정보 등을 문자의 태양에 의한 간이 화상에 의해 표시한다. 또한, 각종 통지 정보 등을 아이콘에 의해서도 표시 가능하고, 이러한 경보에 따른 정보로서는, 요소 SCR 시스템에 관한 이상을 예시할 수 있다. 화면 제어부(41)는, 당해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서브 영역(51) 중 일시의 표시의 좌측에, 당해 이상에 따른 아이콘을 표시한다.
〔통지 정보〕
화면 제어부(41)는, 화면부(34)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 화상 외에,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관하여 통지해야 할 통지 정보에 따른 통지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통지 정보는, 복수의 카테고리, 예를 들어 이상 정보, 경보 정보, 자기 진단 정보 및 지시 정보로 분류되고, 또한 각 카테고리마다 중요도의 고저가 설정되어 있다. 표시 제어 장치(40)는, 기체 제어 장치(20)로부터 이들의 통지 정보를 취득한다.
화면 제어부(41)는, 각 카테고리마다, 상세 화상을 상이한 태양, 예를 들어 표시하는 화상의 크기, 색 등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화면부(34)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정보, 경보 정보, 자기 진단 정보 및 지시 정보는, 이 순서로 중요도의 고저가 설정되고, 화면 제어부(41)는,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통지 정보에 따른 통지 화상이 메인 영역(50)에 표시되고 있을 때에는,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통지 정보에 따른 통지 화상은 표시하지 않는다. 중요도가 높은 통지 정보일수록 그에 따른 통지 화상을 신속하게 표시함으로써, 작업원은 중요도가 높은 통지 정보일수록 조기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지하는 정보에 따라서는, 표지 배치부(37)에 있어서 대응하는 표지의 점등이 동시에 행해진다.
〔이상 정보〕
이상 정보로 분류되는 정보로서는, 엔진을 정지시키게 된 원인을 작업원에게 통지할 필요가 있는 정보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예취부(2)에 있어서 곡물이 막혀 버린 것을 통지하는 「예취 막힘」정보, 조종부(9)에 있어서 엔진 정지 스위치가 눌린 것을 통지하는 「엔진 정지 스위치」정보 등이 포함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예취 막힘」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예취 막힘」정보에 따른 이상 정보 화상(60)을 적어도 당해 이상의 원인이 해소될 때까지, 화면부(34)의 모든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이상 정보 화상(60)에는, 통지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틀 「예취 막힘」과, 그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된다. 또한, 구체적인 내용에, 통지 정보에 관한 일러스트와, 당해 통지 정보를 통지하게 된 사상에 대한 코멘트「예취부의 공급 반송부에 짚이 막혀 있습니다. 공급 반송부의 짚을 제거해 주십시오.」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타이틀 및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사용한 이상 정보 화상(60)을 상세 화상이라고 한다. 작업원은, 상세 화상에 포함되는 타이틀 및 그 구체적인 내용에 의해, 그 통지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통지 정보에 관한 일러스트와 통지 정보를 통지하게 된 사상에 대한 코멘트를 참조함으로써, 그 원인이 된 사상에 적확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6 및 도 19에 있어서의 콤바인(1)을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일러스트는 예시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제로는 경보 등의 내용에 따라서, 콤바인(1)을, 예를 들어 후방으로부터 본 일러스트나, 콤바인(1)의 주요부를 확대한 일러스트에, 통지 정보를 통지하게 된 사상이 발생되어 있는 개소에 대응하는 부분을 착색하거나, 표시를 부가하거나 함으로써, 그 개소의 파악이 용이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보 정보〕
경보 정보로 분류되는 정보로서는, 적절한 작업이 불가능한 것을 작업원에게 통지할 필요가 있는 정보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벼가 가득 차 있는 것을 통지하는 「벼」정보, 시브 케이스 상의 곡립이 많아진 것을 통지하는 「시브」정보, 연료가 적어진 것을 통지하는 「연료 급유」정보, 요소 SCR 시스템의 이상을 통지하는 「SCR 시스템 이상」정보, 요소수의 품질 이상을 통지하는 「요소수 품질 이상」정보 등이 포함된다.
〔중도 경보 정보〕
경보 정보 중 「연료 급유」정보, 「SCR 시스템 이상」정보, 「요소수 품질 이상」정보 등은, 이러한 상태가 통지되게 되면, 콤바인(1)의 주행에 지장이 있다는 점에서, 중도의 경보 정보로 분류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예를 들어 연료 센서(7c)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연료의 잔량이 적어졌음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연료 급유」정보에 따른 통지 화상으로서의 중도 경보 정보 화상(61)을 화면부(34)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중도 경보 정보 화상(61)은, 이상 정보에 따른 이상 정보 화상(60)보다는 작지만, 적어도 당해 통지의 원인이 해소될 때까지, 정보 표시 모드(70)에 있어서의 정보 화상에 겹치도록 화면부(34)에 표시된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중도 경보 정보 화상(61)을, 적어도 당해 통지의 원인이 해소될 때까지 화면부(34)의 모든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중도 경보 정보 화상(61)에는, 통지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틀 「연료 급유」와, 그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된다. 또한, 구체적인 내용에, 통지 정보에 관한 일러스트와, 당해 통지 정보를 통지하게 된 사상에 대한 코멘트「연료가 적어졌습니다. 엔진을 정지하고, 연료를 급유해 주십시오.」가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태양에 의한 경보 화면도 상세 화상이라고 한다.
〔경도 경보 정보〕
상기 중도의 경보 정보에 비해, 경보 정보 중, 「벼」정보나 「시브」정보는, 이들을 통지하는 상태가 되어도, 콤바인(1)의 주행에는 지장이 없다는 점에서, 경도의 경보 정보로 분류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수량 센서(5b)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저류부(5)에 저류되어 있는 벼가 가득 차 있음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벼」정보에 따른 통지 화상으로서의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을 화면부(34)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은, 화면부(34)에, 중도의 경보 정보에 따른 중도 경보 정보 화상(61)과 동일한 크기로 표시된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을, 적어도 당해 통지의 원인이 해소될 때까지, 화면부(34)의 모든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에는, 통지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틀 「벼」와, 그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된다. 또한, 구체적인 내용에, 통지 정보에 관한 일러스트와, 당해 통지 정보를 통지하게 된 사상에 대한 코멘트「벼가 가득 찼습니다. 작업을 정지하고, 벼를 배출해 주십시오.」가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태양에 의한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도 상세 화상이라고 한다.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관하여 통지해야 할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그 통지해야 할 내용을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 화상이 메인 영역(50)에 표시되기 때문에, 작업원은 용이하게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화면 제어부(41)는, 작업원에 의한 조작부(33)의 인위적인 조작, 예를 들어 조작구(38) 하측 스위치(38c)가 조작되면, 화면부(34)에 표시한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을 비표시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면 제어부(41)는, 당해 조작에 따라서, 서브 영역(51)에, 통지해야 할 내용을 간이하게 나타낸 간이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통지 정보로서 「벼」정보가 존재할 때, 조작구(38)의 하측 스위치(38c)가 조작되면, 메인 영역(50)에 표시되고 있던 「벼」정보에 따른 상세 화상이 비표시로 되어, 상세 화상에 있어서의 타이틀 「벼」가, 서브 영역(51)에 간이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이때 메인 영역(50)에는 정보 화상이 표시된다.
작업원은, 당해 상세 화상의 내용을 확인한 후에는 그 표시를 종료시켜,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메인 영역(50)에 다시 표시시킨다. 또한, 통지해야 할 사상의 내용을 간이하게 표시한 간이 화상이 서브 영역(51)에 표시되기 때문에, 운전이나 작업을 계속하면서도, 통지해야 할 사상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서브 영역(51)에 간이 화상으로서, 「벼」라는 문언을 표시하고 있을 때, 인위적인 표시 전환 지시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조작구(38)의 하측 스위치(38c)를 다시 조작함으로써, 메인 영역(50)에 표시하고 있던 정보 화상 대신에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의 상세 화상, 즉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을 나타내는 타이틀「벼」와, 그 구체적인 내용을 다시 표시한다. 그때, 서브 영역(51)에 표시하고 있는「벼」라는 문언을 비표시로 하기 때문에 표시가 용장하게 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경도의 경보 정보가 존재할 때, 조작구(38)의 조작에 따라서, 메인 영역(50)에 상세 정보의 태양으로 표시하거나, 서브 영역(51)에 간이 정보의 태양으로 표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특히 경도의 경보 정보로 분류되는 통지 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 메인 영역(50)에 복수의 통지 정보 각각에 따른 복수의 상세 화상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조작구(38)의 인위적인 표시 전환 지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세 화상을 순차 전환하여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지 정보로서, 「벼」정보와 「시브」정보가 존재할 때, 화면부(34)의 메인 영역(50)에는, 「벼」정보에 따른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구(38)의 좌측 스위치(38b) 또는 우측 스위치(38d)가 조작되면, 「시브」정보에 따른 경도 경보 정보 화상(63)이 전환 표시된다. 또한, 통지 정보에는 우선도가 설정되고, 우선도에 따라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작업원에 의한 조작부(33)의 인위적인 조작, 예를 들어 조작구(38)의 하측 스위치(38c)의 조작 시마다, 표시되고 있는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 63)을, 메인 영역(50)에 있어서의 표시로부터, 서브 영역(51)에 있어서의 간이 화상으로서의 표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지 정보로서, 「벼」정보와 「시브」정보가 존재할 때, 화면부(34)에는, 「벼」정보에 따른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구(38)의 하측 스위치(38c)가 조작되면, 메인 영역(50)에 표시되고 있던 「벼」정보에 따른 상세 화상이 비표시로 되어, 상세 화상에 있어서의 타이틀「벼」가, 서브 영역(51)에 간이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이때 메인 영역(50)에는 「시브」정보에 따른 경도 경보 정보 화상(63)의 상세 화상이 전환 표시된다.
여기서 다시 조작구(38)의 하측 스위치(38c)가 조작되면, 메인 영역(50)에 표시되고 있던 「시브」정보에 따른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의 상세 화상이 비표시로 되어, 당해 상세 화상에 있어서의 타이틀「시브」도, 서브 영역(51)에 간이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이때 메인 영역(50)에는 정보 화상이 표시된다.
화면 제어부(41)는, 통지 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 예를 들어 통지 정보로서, 「벼」정보와 「시브」정보가 존재할 때에, 서브 영역(51)에 복수의 통지 정보 각각에 따른 복수의 간이 화상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인위적인 표시 전환 지시, 예를 들어 조작구(38)의 좌측 스위치(38b) 또는 우측 스위치(38d)의 조작에 기초하여, 복수의 간이 화상, 즉, 「벼」정보에 따른 간이 화상과 「시브」정보에 따른 간이 화상을 순차 전환하여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서브 영역(51)에 간이 화상으로서, 「벼」 또는 「시브」라는 문언을 표시하고 있을 때, 인위적인 표시 전환 지시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조작구(38)의 하측 스위치(38c)를 다시 조작함으로써, 메인 영역(50)에 표시하고 있던 정보 화상 대신에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의 상세 화상, 즉 통지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틀「벼」와, 그 구체적인 내용을 표시함과 함께, 서브 영역(51)에 표시하고 있는「벼」 또는 「시브」라는 문언을 비표시로 한다. 메인 영역(50)에 있어서는, 조작구(38)의 좌측 스위치(38b) 또는 우측 스위치(38d)가 조작되면, 「시브」정보에 따른 경도 경보 정보 화상(63)이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 대신에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통지 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라도, 조작구(38)의 조작에 따라서, 메인 영역(50)에 상세 정보의 태양으로 표시하거나, 서브 영역(51)에 간이 정보의 태양으로 표시하거나 할 수 있다.
〔자기 진단 정보〕
자기 진단 정보로 분류되는 통지 정보로서는, 콤바인(1)의 기체의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아 메인터넌스가 필요함을 작업원에게 통지할 필요가 있는 정보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언로더(배출부(6))의 선회 센서(6a)(도 4 참조)의 미세 조정이 행해지지 않았음을 통지하는 「언로더」정보, 주 변속 레버(14)의 센서 신호에 이상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엔진의 시동을 할 수 없음을 통지하는 「주 변속 레버」정보 등이 포함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선회 센서(6a)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예를 들어 「언로더」정보에 따른 통지 화상으로서의 자기 진단 정보 화상(64)을 화면부(34)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의 자기 진단 정보 화상(64)은, 화면부(34)에는, 상술한 경도의 경보 정보에 따른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 63)과 마찬가지로, 정보 표시 모드(70)에 있어서의 정보 화상에 겹치도록 화면부(34)에 표시된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자기 진단 정보 화상(64)을 적어도 당해 통지의 원인이 해소될 때까지, 화면부(34)의 모든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조작구(38)를 조작하였을 때의 거동이나, 자기 진단 정보로 분류되는 통지 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의 거동은, 상술한 경도 경보에 대한 거동과 마찬가지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경도의 경보 정보인 「벼」정보와, 「시브」정보와, 자기 진단 정보인 「언로더」정보가 혼재할 때, 먼저, 메인 영역(50)에 「벼」정보에 따른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을 표시한다. 조작구(38)의 하측 스위치(38c)가 조작되면, 메인 영역(50)에 표시되고 있던 「벼」정보에 따른 상세 화상이 비표시로 되어, 상세 화상에 있어서의 타이틀 「벼」가, 서브 영역(51)에 간이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메인 영역(50)에 「시브」정보에 따른 상세 화면으로서의 경도 경보 정보 화상(63)이 전환 표시된다. 조작구(38)의 하측 스위치(38c)가 조작되면, 메인 영역(50)에 표시되고 있던 「시브」정보에 따른 상세 화상이 비표시로 되고, 상세 화상에 있어서의 타이틀 「시브」가, 서브 영역(51)에 간이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야, 메인 영역(50)에 「언로더」정보에 따른 상세 화면으로서의 자기 진단 정보 화상(64)이 전환 표시된다. 또한, 조작구(38)의 하측 스위치(38c)가 조작되면, 메인 영역(50)에 표시되고 있던 「언로더」정보에 따른 상세 화상이 비표시로 되고, 상세 화상에 있어서의 타이틀 「언로더」가, 서브 영역(51)에 간이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경도의 경보 정보와, 자기 진단 정보가 혼재할 때에는, 경도의 경보 정보의 쪽이 자기 진단 정보보다 중요도가 높다는 점에서, 경도의 경보 정보에 따른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 전부를 서브 영역(51)에 있어서의 간이 화상으로서의 표시로 전환하지 않는 한, 자기 진단 정보에 따른 자기 진단 정보 화상(64)을 메인 영역(50)에 표시시키지 않는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서브 영역(51)에 간이 화상으로서, 「벼」, 「시브」 또는 「언로더」라는 문언을 표시하고 있을 때, 인위적인 표시 전환 지시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조작구(38)의 하측 스위치(38c)를 다시 조작함으로써, 메인 영역(50)에 표시하고 있던 정보 화상 대신에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의 상세 화상, 즉 통지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틀 「벼」와, 그 구체적인 내용을 표시함과 함께, 서브 영역(51)에 표시하고 있는「벼」,「시브」및「언로더」라는 문언을 비표시로 한다.
〔지시 정보〕
지시 정보로 분류되는 정보로서는, 적절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작업원에게 통지할 필요가 있는 정보가 포함되고, 예를 들어 주차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로 되어 있음을 통지하는 「주차 브레이크」정보, 탈곡부(3)에 있어서 급동의 커버가 적절하게 폐쇄되지 않았음을 통지하는 「급동」정보 등이 포함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브레이크 센서(1b)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주차 브레이크」정보에 따른 통지 화상으로서의 지시 정보 화상(65)을 화면부(34)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지시 정보 화상(65)은, 이상 정보에 따른 이상 정보 화상(60)보다 작기는 하지만, 적어도 당해 통지의 원인이 해소될 때까지, 정보 표시 모드(70)에 있어서의 정보 화상에 겹치도록 화면부(34)에 표시된다.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지시 정보 화상(66)을 적어도 당해 통지의 원인이 해소될 때까지, 화면부(34)의 모든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 화상〕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인위적인 조작이 되었을 때, 당해 조작에 따른 조작 화상(66)을, 메인 영역(50)의 일부에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인위적인 조작으로서는, 조작 패널부(16)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전환 스위치, 주 변속 레버(14)에 설치되어 있는 부 변속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및 탈곡 깊이의 전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클러치 레버(15), 조작 버튼군에 설치되어 있는 예취 높이의 조절 노브, 차속의 조절 노브, 탈곡 대상물의 선택 노브 등의 노브류나, 언로더의 자세 변경 버튼, 언로더에 의한 벼 배출의 개시 버튼, 벼 배출의 정지 버튼 등의 버튼류의 조작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곡 깊이의 전환 스위치가 조작되면, 조작 검출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기체 제어 장치(20)를 통해 표시 제어 장치(40)에 전달된다. 조작 검출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취득한 표시 제어 장치(40)는, 탈곡 깊이의 전환 스위치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고, 화면 제어부(41)는, 조작 화상(66)을, 메인 영역(50)측에 있어서 메인 영역(50)과 서브 영역(51)의 경계를 따라 애니메이션의 태양에 의해 표시한다. 조작 화상(66)은, 연속된 움직임에 의해 표시되기 때문에, 이것을 보는 사람의 주의를 끌기 쉽다. 또한, 애니메이션은 페이드 인이나 커트 인을 예시할 수 있다.
조작 화상(66)은, 화면부(34)에 비해 작은 직사각형의 화상이며, 조작에 따른 정보가 문자, 수치, 아이콘 등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화면 제어부(41)는, 조작 화상(66)을, 가변 표시 영역(53)에 표시하지만, 고정 표시 영역(52)에는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원은, 조작에 따른 정보를 취득하면서, 고정 표시 영역(52)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의 취득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고정 표시 영역(52)이, 조작 화상(66)이 표시되지 않는 제1 표시 영역이고, 가변 표시 영역(53)이, 조작 화상(66)이 표시되는 제2 표시 영역이다.
화면 제어부(41)는, 표시한 조작 화상(66)을, 인위적인 조작의 개시로부터 일정 시간 후, 예를 들어 5초 후에, 메인 영역(50)측에 있어서 메인 영역(50)과 서브 영역(51)의 경계를 따라 애니메이션의 태양에 의해 비표시한다. 연속된 움직임에 의해 조작 화상(66)이 비표시로 되기 때문에, 이것을 보는 사람의 주의를 끌기 쉽다. 또한, 애니메이션은 페이드 아웃이나 커트 아웃을 예시할 수 있다.
인위적인 조작의 종료와 동시에, 당해 조작에 따라서 표시된 조작 화상(66)이 비표시로 되어 버리는 구성이면, 조작 화상(66)을 확인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인위적인 조작의 개시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는 비표시로 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 화상(66)을 확인하지 못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조작 화상(66)은 자동으로 비표시로 되기 때문에, 운전석에 있는 사람이, 당해 조작 화상(66)을 비표시로 하기 위한 작업은 불필요하다.
〔카메라 화상 모드〕
또한, 화면 제어부(41)는, 예를 들어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정보 표시 모드(70)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부(34)에 카메라 화상 영역이 포함되는 카메라 화상 모드(90)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콤바인(1)을 후진시키는 조작, 즉, 주 변속 레버(14)가 후방으로 요동 조작되면, 이것에 연동하여 화면 제어부(41)는 화면부(34)의 표시를 정보 표시 모드(70)로부터 카메라 화상 모드(90)에 의한 표시로 전환한다. 따라서, 작업원이 당해 전환을 위한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카메라 화상 모드(90)에 있어서는, 화면부(34)의 중앙의 카메라 화상 영역(54)에는, 카메라(8)가 촬영한 촬영 화상이 표시되고, 카메라 화상 영역(54)의 좌측의 특정 상태 정보 영역(55)에,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특정한 상태에 관한 특정 상태 정보로서,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른 정보 화상이 표시되고, 카메라 화상 영역(54)의 우측의 특정 상태 정보 영역(56)에,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특정한 상태에 관한 특정 상태 정보로서, 벼 레벨에 따른 정보 화상이 표시된다. 이들 정보는, 콤바인(1)이 후진 중이라도, 작업원이 항상 그것들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보이기 때문에, 카메라 화상 모드(90)에 있어서도 표시되는 것이다.
도 1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특정 상태 정보 영역(55)에는, 엔진의 회전 속도가, 단위 눈금이 원호형으로 배치된 눈금반 영역과,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눈금반 영역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회전 속도에 따른 값을 가리키는 지침으로 구성된 타코미터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카메라 화상 모드(90)에 있어서의 타코미터는, 정보 표시 모드(70)에 있어서 고정 표시 영역(52)에 나타내어지는 타코미터보다, 눈금반 영역의 곡률 반경이 크다.
도 1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특정 상태 정보 영역(56)에는, 벼 레벨이, 벼 레벨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하 방향을 따라 단위 눈금이 배치되고, 벼 레벨에 따라서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사이즈, 또한 소정의 표시 색을 표시시키도록 구성된, 조금 만곡된 바 그래프에 의해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눈금의 수는 10이고, 그 중 2개가 역치 레벨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화상 모드(90)에 있어서의 바 그래프는, 정보 표시 모드(70)에 있어서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에 나타내어지는 벼 레벨에 따른 바 그래프보다, 단위 눈금의 곡률 반경이 크다.
정보 모드에 있어서는, 엔진의 회전 속도나 벼 레벨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크게 확보함으로써, 시인성을 높이는 태양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화상 모드(90)에 있어서는,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충분히 확보한 후, 그 이외의 영역에 엔진의 회전 속도나 벼 레벨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최저한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도,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제어부(41)는, 정보 표시 모드(70)에 있어서 또한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관하여 통지해야 할 통지 정보에 따른 통지 화상이며, 통지해야 할 내용을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고, 카메라 화상 모드(90)에 있어서, 화면부(34) 중 특정 상태 정보 영역(56)에, 통지 정보에 따른 통지 화상이며, 통지 정보의 존재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 화상(67)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환기 화상(67)은, 특정 상태 정보 영역(55)에 표시되어도 된다. 환기 화상(67)을 표시함으로써 통지 정보의 존재를 환기하면서도, 그 표시가 카메라 화상 영역(54)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 화상이 보이지 않게 되는 일이 없다.
또한, 환기 화상(67)은, 카메라 화상 모드(90)로부터 정보 표시 모드(70)로 전환되면, 통지 정보의 통지 화상으로서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경도 경보 정보 화상(62)으로 전환하여 표시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30)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우징(31)은, 정면에서 보아, 조작부(33)측의 하측 코너부가 절결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31)의 좌우의 단부 중, 조작부(33)측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폭이 단계적으로 또는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상측 코너부가 절결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부(33)측에 있어서 하우징(31)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30)는, 하우징(31)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표시부(32)가 구비되고, 우측에 조작부(33)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30)는, 하우징(31)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표시부(32)가 구비되고, 좌측에 조작부(33)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지 배치부(37)는, 화면부(34)의 하방에, 화면부(34)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지 배치부(37)는, 화면부(34)의 상방에 화면부(34)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표지 배치부(37)는, 화면부(34)의 네 변 중 부하 표시부(35)를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 변과는 다른 한 변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제어 장치(40)는, 기체 제어 장치(20)와 별체로 구성되고, 표시 장치(30)의 하우징(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30)의 하우징(3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표시 제어 장치(40)는, 기체 제어 장치(20)와 일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면 제어부(41)는,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 중, 인접하는 임의 표시 영역(53b, 53c) 사이에, 고정 표시 영역(52)을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화면 제어부(41)는 인접하는 임의 표시 영역(53b, 53c)의 사이 이외의 위치, 예를 들어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의 옆에, 고정 표시 영역(52)을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면 제어부(41)는, 가변 표시 영역(53)은, 고정 표시 영역(52)과,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을,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가변 표시 영역(53)은, 고정 표시 영역(52)과,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을 종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종방향과 횡방향을 조합하여 배치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한된 크기의 표시 영역에서, 각종 정보의 시인성 및 그 표시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면 제어부(41)는, 어느 가변 표시 영역(53)의 사이에 고정 표시 영역(52)을 배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고정 표시 영역(52)은 없어도 된다. 그 경우는, 화면 제어부(41)는, 화면부(34)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으로 나누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면 제어부(41)는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 중, 어느 인접하는 임의 표시 영역 중 한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정보 화상을 표시하고,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정보 화상을 표시하지 않을 때에는, 양 임의 표시 영역에 정보 화상을 표시할 때보다, 한쪽 임의 표시 영역을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측으로 확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면 제어부(41)는,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53a 내지 53d) 중, 어느 인접하는 임의 표시 영역 중 한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정보 화상을 표시하고,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정보 화상을 표시하지 않을 때에는, 양 임의 표시 영역에 정보 화상을 표시할 때보다, 한쪽 임의 표시 영역을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통지 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 화면 제어부(41)는, 서브 영역(51)에, 복수의 통지 정보 각각에 따른 복수의 간이 화상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인위적인 표시 전환 지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간이 화상을 순차 전환하여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지 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 화면 제어부(41)는, 서브 영역(51)에, 복수의 통지 정보 각각에 따른 복수의 간이 화상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소정 시간마다, 복수의 간이 화상을 순차 전환하여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작업원은, 인위적인 조작을 하는 일 없이, 모든 내용을 차례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면 제어부(41)는, 경도의 경보 정보로 분류되는 통지 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 메인 영역(50)에 복수의 통지 정보 각각에 따른 복수의 상세 화상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인위적인 표시 전환 지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세 화상을 순차 전환하여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면 제어부(41)는, 메인 영역(50)에, 복수의 통지 정보 각각에 따른 복수의 상세 화상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소정 시간마다, 복수의 상세 화상을 순차 전환하여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작업원은, 인위적인 조작을 하는 일 없이, 모든 내용을 차례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면 제어부(41)는, 화면부(34)를 상측이 메인 영역(50)이고, 하측이 서브 영역(51)이 되도록 이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면 제어부(41)는, 화면부(34)를, 하측이 메인 영역(50)이고, 상측이 서브 영역(51)으로 되도록 이분해도 되고, 또한 화면부(34)를 좌우로 이분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면 제어부(41)는, 표시한 조작 화상(66)을, 인위적인 조작의 개시로부터 일정 시간 후에 비표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면 제어부(41)는, 표시한 조작 화상(66)을, 인위적인 조작의 종료로부터 일정 시간 후에 비표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인위적인 조작의 종료와 동시에, 당해 조작에 따라서 표시된 조작 화상(66)이 비표시로 되어 버리는 구성이면, 조작 화상(66)을 확인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인위적인 조작의 종료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는 비표시로 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 화상(66)을 확인하지 못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조작 화상(66)은 자동으로 비표시로 되기 때문에, 운전석에 있는 사람이, 당해 조작 화상(66)을 비표시로 하기 위한 작업은 불필요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 화상(66)에 의해 일시적으로 표시가 되지 않게 되어도 되는 정보를 메인 영역(50)에 표시하고, 조작 화상(66)에 의해 일시적이라고 해도 표시가 되지 않게 되는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서브 영역(51)에 표시할 수 있다. 조작 화상(66)이, 메인 영역(50)측에 있어서 메인 영역(50)과 서브 영역(51)의 경계를 따라 표시되고, 또한 비표시로 되기 때문에, 의장성도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면 제어부(41)는, 메인 영역(50)을, 제1 표시 영역과, 제1 표시 영역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눔과 함께, 조작 화상(66)을 제2 표시 영역에만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그때, 조작 화상(66)에 의해 일시적으로 표시가 되지 않게 되어도 되는 정보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조작 화상(66)에 의해 일시적이라고 해도 표시가 되지 않게 되는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조작 화상(66)이, 메인 영역(50)측에 있어서 메인 영역(50)과 서브 영역(51)의 경계를 따라 표시되고, 또한 비표시로 되기 때문에, 의장성도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표시 영역은,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 중, 특정한 정보에 따른 특정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고정 표시 영역(52)이고, 제2 표시 영역은, 각종 정보 중,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시키는 정보를 변경 가능한 가변 표시 영역(53)이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 중 중량의 정보는 특정한 정보로서 고정 표시 영역(52)에 항상 표시하고, 그렇지 않은 정보를 임의로 가변 표시 영역(53)에 표시하는 식으로 화면부(34)의 표시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 화상 영역(54)의 좌측의 특정 상태 정보 영역(55)에,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른 정보 화상이 표시되고, 카메라 화상 영역의 우측의 특정 상태 정보 영역(56)에, 벼 레벨에 따른 정보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 화상 영역의 우측의 특정 상태 정보 영역(56)에,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른 정보 화상이 표시되고, 카메라 화상 영역(54)의 좌측의 특정 상태 정보 영역(55)에, 벼 레벨에 따른 정보 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특정 상태 정보가 엔진의 회전 속도 및 벼 레벨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의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이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면 제어부(41)는, 화면부(34)를,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에 구비된 카메라(8)가 촬영한 촬영 화상을 표시 가능한 카메라 화상 영역(54)과, 카메라 화상 영역을 좌우에서 집듯이 배치되는,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특정한 상태에 관한 특정 상태 정보에 따른 특정 상태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2개의 특정 상태 정보 영역(55, 56)으로 나눔과 함께, 특정 상태 정보 화상에 관한 특정 상태 정보를, 바 그래프 또는 타코미터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면 제어부(41)는, 화면부(34)를,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에 구비된 카메라(8)가 촬영한 촬영 화상을 표시 가능한 카메라 화상 영역과, 카메라 화상 영역을 상하에서 집듯이 배치되는, 적어도 콤바인(1)의 기체 또는 콤바인(1)에 의한 작업에 대한 특정한 상태에 관한 특정 상태 정보에 따른 특정 상태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2개의 특정 상태 정보 영역으로 나눔과 함께, 특정 상태 정보 화상에 관한 특정 상태 정보를, 바 그래프 또는 타코미터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30)는, 운전석(10)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따라서, 우측 전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승강부(12)와는 반대에 있으면 승강 시에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30)가, 작업기로서의 보통형 콤바인(1)에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30)는, 작업기로서의 자탈형 콤바인(1)에 구비되어도 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어진 자탈형 콤바인(1)에 대해, 도 1에 나타내어진 보통형 콤바인(1)에 있어서의 각 부와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작업기가 보통형 콤바인(1)인 경우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30)는, 운전석(10)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작업기가 자탈형 콤바인인 경우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30)는, 운전석(10)의 중앙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30)는 운전석에 착좌한 작업원의 시계의 좌측 전방 또는 우측 전방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포장의 좌측 전방 또는 우측 전방을 주시하면서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30)는, 작업기로서의 콤바인(1)에 한정되지 않고, 트랙터나 백호우 등의 작업기에 구비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일례이고, 당해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부의 구체적 구성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가 발휘되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설계 가능하다.
1 : 콤바인(작업기)
1a : 주행 속도 센서
1b : 브레이크 센서
2 : 예취부
3 : 탈곡부
3a : 급동 센서
4 : 선별부
4a : 시브 센서
5 : 저류부
5a : 식미 센서
5b : 수량 센서
6 : 배출부
6a : 선회 센서
7a : 회전 속도 센서
7b : 수온 센서
7c : 연료 센서
8 : 카메라
9 : 조종부
10 : 운전석
11 : 운전 조작부
12 : 승강부
13 : 조작 레버부
14 : 주 변속 레버
14a : 부 변속 스위치
15 : 클러치 레버
16 : 조작 패널부
18 : 윙커 램프
19 : 윙커 램프
20 : 기체 제어 장치
21 : 기체 제어부
22 : 기체 통신부
23 : 기체 기억부
30 : 표시 장치
31 : 하우징
31a : 직사각형 개구부
31b : 가늘고 긴 개구부
31c : 사다리꼴 개구부
31d : 패널체
32 : 표시부
33 : 조작부
34 : 화면부
35 : 부하 표시부
35a : 세그먼트
35b : 세그먼트
35c : 세그먼트
35d : 세그먼트
35e : 세그먼트
35z : LED 소자
36 : 기판
37 : 표지 배치부
37a : 표지
37b : 표지
37c : 표지
37d : 표지
37e : 표지
37f : 표지
37g : 표지
37h : 표지
37i : 표지
37j : 표지
37z : LED 소자
38 : 조작구
38a : 상측 스위치
38b : 좌측 스위치
38c : 하측 스위치
38d : 우측 스위치
38e : 확정 스위치
38f : 설정 스위치
40 : 표시 제어 장치
41 : 화면 제어부
42 : 표시 통신부
43 : 표시 기억부
44 : 조작 입력부
45 : 발광 제어부
46 : 발광 제어부
50 : 메인 영역
51 : 서브 영역
52 : 고정 표시 영역
53 : 가변 표시 영역
53a : 임의 표시 영역
53b : 임의 표시 영역
53c : 임의 표시 영역
53d : 임의 표시 영역
54 : 카메라 화상 영역
55 : 특정 상태 정보 영역
56 : 특정 상태 정보 영역
60 : 이상 정보 화상
61 : 중도 경보 정보 화상
62 : 경도 경보 정보 화상
63 : 경도 경보 정보 화상
64 : 자기 진단 정보 화상
65 : 지시 정보 화상
66 : 조작 화상
67 : 환기 화상
70 : 정보 표시 모드
74 : 선택 모드
80 : 설정 모드
90 : 카메라 화상 모드

Claims (19)

  1.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이며,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화면부를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으로 나누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의 형상을 상기 화면부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서 상이하게 함과 함께, 상기 임의 표시 영역마다, 그 형상에 따른 태양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작업기의 기체 또는 상기 작업기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임의 표시 영역마다, 상기 각종 정보 중,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선택된 정보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것, 또는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어느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도 표시시키지 않는 것이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을, 적어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접하는 임의 표시 영역 중 한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하고,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하지 않을 때에는, 양 임의 표시 영역에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할 때보다, 상기 한쪽 임의 표시 영역을 상기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측으로 확장 또는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정보에, 적어도 수치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수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 중 상기 화면부에 있어서 가장 끝에 위치하는 임의 표시 영역에만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정보에, 적어도 수치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수치 정보와, 적어도 바 그래프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증감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데 있어서, 당해 수치 정보 화상을 표시하게 되는 임의 표시 영역을, 당해 임의 표시 영역에, 상기 증감 정보에 따른 증감 정보 화상을 표시시킬 때보다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각종 정보 각각에 따른 상기 정보 화상을, 상기 각종 정보에 따른 태양에 의해 상기 화면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8.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이며,
    화면부와, 상기 화면부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화면부를, 적어도 상기 작업기의 기체 또는 상기 작업기에 의한 작업에 대한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 중, 특정한 정보에 따른 특정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고정 표시 영역과, 상기 각종 정보 중,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시키는 정보를 변경 가능한 가변 표시 영역으로 나누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표시 영역은, 각각, 상기 각종 정보 중,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선택된 정보에 따른 선택 정보 화상을 표시하는 것, 또는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어느 정보에 따른 정보 화상도 표시시키지 않는 것이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고정 표시 영역과,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을, 적어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접하는 임의 표시 영역의 사이에, 상기 고정 표시 영역을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접하는 임의 표시 영역 중 한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하고,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하지 않을 때에는, 양 임의 표시 영역에 상기 정보 화상을 표시할 때보다, 상기 한쪽 임의 표시 영역을 상기 다른 쪽 임의 표시 영역측으로 확장 또는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정보에, 적어도 수치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수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 중 상기 화면부에 있어서 가장 끝에 위치하는 임의 표시 영역에만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정보에, 적어도 수치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수치 정보와, 적어도 바 그래프에 의해 상기 설정 내지 상태가 표시되는 증감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수치 정보에 따른 수치 정보 화상을, 상기 복수의 임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데 있어서, 당해 수치 정보 화상을 표시하게 되는 임의 표시 영역을, 당해 임의 표시 영역에, 상기 증감 정보에 따른 증감 정보 화상을 표시시킬 때보다 확장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 그래프는, 소정의 단위 눈금 사이에, 소정의 사이즈 또한 소정의 표시 색의 도형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증감 정보에 따라서, 상기 도형의 적어도 사이즈 또는 표시 색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증감 정보에 중요도의 고저가 설정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증감 정보일수록, 상기 바 그래프로 표시하는 상기 도형의 폭을 넓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6.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각종 정보 각각에 따른 상기 정보 화상을, 상기 각종 정보에 따른 태양에 의해 상기 화면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7.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특정 정보 화상에 관한 특정한 정보와, 상기 가변 표시 영역에 표시 가능한 선택 정보 화상에 관한 정보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8.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정보에, 상기 작업기에 구비된 동력원의 회전 속도가 포함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동력원의 회전 속도를, 상기 고정 표시 영역에, 단위 눈금이 원호형으로 배치된 눈금반 영역과, 상기 동력원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상기 눈금반 영역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회전 속도에 따른 값을 가리키는 지침으로 구성된 타코미터에 의해 표시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눈금반 영역의 외주를 따르도록, 적어도 상기 고정 표시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임의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19.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정보 중 상기 가변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정보를 상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화면 상태를 기억 가능한 표시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표시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면 상태 중 상기 화면부에 표시시키는 화면 상태를, 인위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180066803A 2017-06-26 2018-06-11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KR102566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4660 2017-06-26
JPJP-P-2017-124659 2017-06-26
JP2017124660A JP7233159B2 (ja) 2017-06-26 2017-06-26 作業機に備えられる表示装置
JP2017124659A JP7182355B2 (ja) 2017-06-26 2017-06-26 作業機に備えられる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15A true KR20190001515A (ko) 2019-01-04
KR102566904B1 KR102566904B1 (ko) 2023-08-16

Family

ID=6482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803A KR102566904B1 (ko) 2017-06-26 2018-06-11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6904B1 (ko)
CN (1) CN1091096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4224A (zh) * 2019-06-28 2022-01-11 株式会社久保田 作业车辆
USD1007203S1 (en) * 2021-03-31 2023-12-12 Lakeshore Learning Materials, Llc Furniture noo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61755A (ja) * 2022-04-26 2023-11-08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方法、作業車両及び作業システ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802A (ja) * 1998-01-30 1999-08-10 Mazd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における走行表示装置
JP2010188961A (ja) * 2009-02-20 2010-09-02 Kubota Corp 作業機の表示構造
JP2014042470A (ja) * 2012-08-24 2014-03-13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4176314A (ja) * 2013-03-13 2014-09-25 Yanmar Co Ltd エンジン作業機の表示装置
JP2014176315A (ja) 2013-03-13 2014-09-25 Yanmar Co Ltd 作業機の表示装置
JP2016088509A (ja) * 2014-10-29 2016-05-23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用走行車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6562A (ja) * 1997-07-31 1999-02-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モニタ装置
JP4887577B2 (ja) * 2001-07-02 2012-02-2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7129939A (ja) * 2005-11-09 2007-05-3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モニタ表示制御装置
CN106794770B (zh) * 2014-10-29 2019-12-31 三菱马恒达农机有限公司 作业用行驶车辆
JP2017108665A (ja) * 2015-12-15 2017-06-22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802A (ja) * 1998-01-30 1999-08-10 Mazd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における走行表示装置
JP2010188961A (ja) * 2009-02-20 2010-09-02 Kubota Corp 作業機の表示構造
JP2014042470A (ja) * 2012-08-24 2014-03-13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4176314A (ja) * 2013-03-13 2014-09-25 Yanmar Co Ltd エンジン作業機の表示装置
JP2014176315A (ja) 2013-03-13 2014-09-25 Yanmar Co Ltd 作業機の表示装置
JP2016088509A (ja) * 2014-10-29 2016-05-23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用走行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4224A (zh) * 2019-06-28 2022-01-11 株式会社久保田 作业车辆
USD1007203S1 (en) * 2021-03-31 2023-12-12 Lakeshore Learning Materials, Llc Furniture noo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09664A (zh) 2019-01-01
CN109109664B (zh) 2023-11-07
KR102566904B1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1515A (ko)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JPH1146562A (ja) コンバインのモニタ装置
JP4355542B2 (ja) 作業車両における制御装置
JP7034732B2 (ja) 作業機に備えられる表示装置及び該表示装置が備えられたコンバイン
JP7233159B2 (ja) 作業機に備えられる表示装置
JP6827374B2 (ja) 作業機に備えられる表示装置及び該表示装置が備えられたコンバイン
KR20190001513A (ko)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및 당해 표시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
KR20190001514A (ko)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KR102557234B1 (ko) 표시 장치 및 해당 표시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
KR102493811B1 (ko) 작업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및 해당 표시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
JP7182355B2 (ja) 作業機に備えられる表示装置
JP7190804B2 (ja) 作業機に備えられる表示装置
JP7274812B2 (ja) 作業機に備えられる表示装置
JP6925182B2 (ja) 作業機に備えられる表示装置
JP2003325024A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制御装置
JP7034734B2 (ja) 表示装置が備えられたコンバイン
JP7034733B2 (ja) 表示装置
JP4886240B2 (ja) コンバインの表示装置
JP2007068515A (ja)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4746382B2 (ja) コンバインの表示装置
JP2007054008A (ja)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7111008A (ja) コンバイン
JP4886250B2 (ja) コンバインの表示装置
JP2007082448A (ja)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4778281B2 (ja) コンバイン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