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15A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15A
KR20190000515A KR1020170079611A KR20170079611A KR20190000515A KR 20190000515 A KR20190000515 A KR 20190000515A KR 1020170079611 A KR1020170079611 A KR 1020170079611A KR 20170079611 A KR20170079611 A KR 20170079611A KR 20190000515 A KR20190000515 A KR 2019000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ot air
heater
plate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265B1 (ko
Inventor
옥성민
박기선
최진영
박성진
박용종
윤부근
임희태
최정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265B1/ko
Priority to PCT/KR2018/007069 priority patent/WO2018236178A1/en
Priority to US16/015,844 priority patent/US20180371677A1/en
Publication of KR2019000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드럼을 지지하도록 드럼의 후방에 결합되고 드럼의 내주면 부근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열풍 공급부를 갖는 드럼 후방 지지판과, 드럼의 회전축에 인접한 영역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배치된 히터를 통해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 공급부로 안내하는 열풍 덕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건조 효율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CLOTHES DRYER}
본 발명은 드럼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드럼의 후방에 설치되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건조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의류가 수용된 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가운데 드럼의 내부로 열풍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드럼 내부의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의류 건조기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회전하는 드럼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장치와,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내부로 의류를 투입한 후 의류 건조기를 가동시키면, 구동 장치의 동작에 의해 드럼의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히터와 송풍 장치의 동작에 의해 드럼 내부로 열풍이 공급된다.
이러한 히터는 통상 드럼의 하부에 설치되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드럼의 하부에서 드럼의 후면으로 연장되는 덕트를 통해 드럼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열풍이 드럼 내부로 투입되기 전까지 공기의 저항을 크게 받기 때문에 열손실이 발생하고 열풍의 풍량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 후방에서 유입된 공기가 바로 히터를 거쳐 드럼으로 공급되도록 드럼의 후방에 히터가 설치된 의류 건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를 드럼으로 안내하는 유로 구조가 개선되고 드럼의 내주면 부근으로 열풍이 집중됨으로써 건조 효율이 향상된 의류 건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히터의 손상과 화재 사고 등이 방지되어 신뢰성과 안정성이 향상된 의류 건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지지하도록 상기 드럼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내주면 부근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열풍 공급부를 갖는 드럼 후방 지지판;과, 상기 열풍 공급부로 열풍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열풍 덕트로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열풍 덕트; 및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 를 포함한다.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열풍 공급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드럼의 반경의 절반의 반경을 갖는 원의 바깥쪽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의 하부의 일부 영역이 제외된 소정의 중심각 θ 도(180 < θ < 360 )를 갖는 부채꼴 형상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풍 덕트는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입구의 적어도 대다수는 상기 열풍 공급부 보다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열풍 공급부와 같은 중심각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열풍 공급부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건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지지하도록 상기 드럼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열풍 공급공이 형성된 드럼 후방 지지판; 및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의 후방에 마련되는 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소정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열 발열체와,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열 발열체와 상이한 반경을 갖는 제2열 발열체를 포함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열 발열체와 상기 제2열 발열체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히터 통공을 갖는 히터 하우징; 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 하우징은 전방 절연판과, 상기 전방 절연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방 절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전방 절연판과 상기 후방 절연판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히터 하우징은 상기 전방 절연판과 상기 후방 절연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 절연판과 상기 후방 절연판에 결합되는 히터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연판, 상기 후방 절연판, 상기 히터 지지판은 각각 상기 히터 통공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방 히터 통공, 후방 히터 통공, 지지판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지지판은 벤딩 가능하도록 마련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절연판과 상기 후방 절연판은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에 벤딩됨으로써 상기 전방 절연판과 상기 후방 절연판과 상기 히터 지지판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건조기는 상기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열풍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가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히터 지지판이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전열 면적을 확대하도록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을 향해 돌출되는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연판에는 상기 주름부가 통과하는 주름 통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는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과 상기 전방 절연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건조기는 통기공이 형성된 후면판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후면판에 나란하고 유입공이 형성된 덕트 후면부를 갖는 열풍 덕트; 및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의 상기 후면판은 상기 통기공의 일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차폐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덕트의 상기 덕트 후면부는 상기 유입구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차폐 리브의 경사 방향과 상이한 경사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차폐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차폐 리브는 상기 통기공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차폐 리브는 상기 유입구의 하단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캐비닛 후방에서 유입된 공기가 바로 히터를 거쳐 드럼으로 공급되므로 열손실 및 풍량 저하가 저감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유로 구조가 개선되어 히터를 통한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고 포가 위치하는 드럼의 내주면 부근으로 열풍이 집중되어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드럼 내부로부터 의류의 린트 등이 히터로 침입하거나 드럼 후방으로부터 젓가락, 꼬챙이 등 각종 이물질이 히터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히터의 손상 및 화재 사고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드럼 후방 지지판, 히터, 열풍 덕트, 캐비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드럼 후방 지지판, 히터, 열풍 덕트, 캐비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외부 공기를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유로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외부 공기를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유로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드럼 후방 지지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히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히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히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의류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의류를 수용하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30)과, 드럼(30)의 내부로 열풍을 안내하도록 드럼(30)의 후방에 마련되는 열풍 덕트(50)와, 열풍 덕트(5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열풍 덕트(50)의 내부에 마련되는 히터(60)와,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4)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캐비닛(10)은 상부판(11), 바닥판(12), 전면판(13), 좌측면판(14), 우측면판(15) 및 후면판(16)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면판(14), 우측면판(15) 및 후면판(16)은 일체로 형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전면판(13)의 상부에는 의류 건조기(1)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2)이 마련될 수 있다. 후면판(16)에는 캐비닛(10) 외부의 공기가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통기공(18)이 형성될 수 있다. 후면판(16)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후면판 베이스(17)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개구가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럼(30)은 회전축(AX)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31)에는 드럼(30)의 회전 시에 의류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리프터(32)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의 외주면에는 드럼(30)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롤러(9)가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건조기(1)는 드럼(30)을 회전시키고 송풍팬(4)을 동작시키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6)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모터(6)의 회전축의 일단에는 송풍팬(4)이 연결되고 회전축의 타단에는 풀리(7)가 연결될 수 있다. 풀리(7)의 외주면과 드럼(30)의 외주면은 벨트(8)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 모터(6)의 구동력이 드럼(30)에 전달될 수 있다.
드럼(30)의 하부에는 내부에 송풍팬(4)이 장착되는 팬 케이스(5)가 마련될 수 있다. 팬 케이스(5)의 입구 측에는 드럼(30)에서 유출된 공기를 팬 케이스(5)로 안내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유닛(20)이 장착될 수 있다. 필터 유닛(20)은 드럼(30)의 하부에 연통되는 필터 케이스(21)와, 필터 케이스(21)의 입구에 형성되는 그릴(22)과, 필터 케이스(81)의 내부에 마련되는 필터 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케이스(5)의 출구 측에는 드럼(30)에서 유출된 공기를 의류 건조기(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덕트(25)가 연결될 수 있다.
드럼(30)은 드럼 전방 지지판(33)과 드럼 후방 지지판(4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드럼 전방 지지판(33)과 드럼 후방 후방 지지판(40)은 각각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드럼 전방 지지판(33)은 드럼(3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드럼 전방 지지판(33)은 드럼(3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34)와, 드럼(30)의 내부로 의류를 투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입구(35)를 가질 수 있다.
드럼 후방 지지판(40)은 드럼(30)의 후방에 결합되고, 드럼(30)의 후방 개구를 커버할 수 있다. 드럼 후방 지지판(40)은 드럼(3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41)를 가질 수 있다. 후방 지지부(41)는 드럼(30)의 내주면(31)에 인접하도록 드럼(3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드럼 후방 지지판(40)은 드럼(3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열풍 공급부(45)를 갖는다. 열풍 공급부(45)는 드럼 후방 지지판(4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열풍 공급공(46, 도 3)을 포함할 수 있다.
열풍 공급부(45)는 드럼(30)의 중심부가 아니라 드럼(30)의 내주면(31) 부근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드럼 후방 지지판(4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열풍 덕트(50)는 열풍 덕트(50) 외부의 공기가 열풍 덕트(5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구(52)를 갖는다. 열풍 덕트(50)는 유입구(5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드럼 후방 지지판(40)의 열풍 공급부(45)로 안내할 수 있다.
열풍 덕트(50)는 드럼 후방 지지판(4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열풍 덕트(50)는 드럼(30)의 회전축(AX)에 인접한 영역에서 열풍 덕트(5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풍 덕트(50)의 내부에는 열풍 덕트(50)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히터(60)가 장착될 수 있다. 열풍 덕트(50) 및 히터(6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구동 모터(6)가 가동되면 구동 모터(6)에서 발생한 구동력이 풀리(7) 및 벨트(8)를 거쳐 드럼(3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드럼(30)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 모터(6)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송풍팬(4)을 회전시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캐비닛(10) 후면판(16)의 통기공(18)과 열풍 덕트(50)의 유입구(52)를 통해 열풍 덕트(50)의 내부로 유입되고, 열풍 덕트(50) 내부에 배치된 히터(60)를 거쳐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드럼 후방 지지판(40)의 열풍 공급부(45)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의류를 건조시키고 습해지며, 습해진 공기는 드럼(30) 하부의 필터 유닛(20)과 배출 덕트(25)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후방 지지판(40), 열풍 덕트(50) 및 히터(6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드럼 후방 지지판, 히터, 열풍 덕트, 캐비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드럼 후방 지지판, 히터, 열풍 덕트, 캐비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외부 공기를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유로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외부 공기를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유로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드럼 후방 지지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히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히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히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드럼 후방 지지판(40)은 드럼(30)의 후단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후방 지지부(41)와, 열풍 덕트(50)와 결합되도록 후방 지지부(41)의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부(42)와, 드럼(30)의 후방 개구를 커버하도록 후방 지지부(41)의 내측에 형성되는 드럼 커버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지지부(41)는 드럼(30)의 내주면(31)에 인접하도록 드럼(3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41)는 드럼(30)의 내주면(3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42)는 나사, 핀, 리벳, 볼트 등의 체결 부재(S2)에 의해 열풍 덕트(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42)에는 체결공(43)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커버부(44)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열풍 공급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열풍 공급부(45)는 드럼 후방 지지판(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열풍 공급공(4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공급부(45)는 드럼(30)의 회전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열풍 공급부(45)는 드럼(30)의 내주면(31) 부근으로 열풍을 집중 공급하도록 드럼 커버부(44)의 중심부를 제외한 드럼 커버부(44)의 외곽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30)의 반경을 RA이라고 할 때, 열풍 공급부(45)는 드럼(30)의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하고 반경이 드럼(30)의 반경(RA)의 절반(RA/2)인 원(C)의 바깥쪽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의 회전 시에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원심력에 의해 드럼(30)의 내주면(31)에 밀착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로써 열풍 공급부(45)는 드럼(30)의 내주면(31) 부근으로 집중적을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의 건조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열풍 공급부(45)는 드럼 후방 지지판(40)의 하부의 일부 영역이 제외된 소정의 중심각 θ 도(180 < θ < 360 )를 갖는 부채꼴 형상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풍 공급부(45)는 드럼의 회전축(AX)을 지나는 수직선(V)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열풍 공급부(45)는 수직선(V) 우측에 중심각 θ/2 도를 갖는 부채꼴 형상의 영역(A1)과, 수직선(V) 좌측에 중심각 θ/2 도를 갖는 부채꼴 형상의 영역(A2)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드럼(30) 내부로부터 린트 등의 이물질이 열풍 공급부(45)를 통해 드럼(30) 후방에 배치된 히터(60)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히터(60)의 손상이 방지되고 의류 건조기(1)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열풍 덕트(50)는 드럼 후방 지지판(40)의 열풍 공급부(45)로 열풍을 안내하도록 드럼 후방 지지판(4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풍 덕트(50)에는 체결 부재(S2)가 체결되는 체결공(56)이 형성될 수 있다.
열풍 덕트(50)는 캐비닛(10)의 후면판 베이스(17)에 나란하도록 형성되는 덕트 후면부(51)를 포함하고, 덕트 후면부(51)에는 열풍 덕트(50) 외부의 공기가 열풍 덕트(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유입구(52)가 형성될 수 있다.
열풍 덕트(50)는 드럼(30)의 회전축(AX)에 인접한 영역에서 열풍 덕트(5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풍 덕트(50)의 복수의 유입구(52)의 적어도 대다수는 열풍 공급부(45) 보다 드럼(30)의 회전축(AX)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입구(52)를 통해 열풍 덕트(5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드럼(30)의 회전축(AX)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유동하면서 히터(60)를 거쳐 열풍 공급부(45)로 안내될 수 있고, 열풍 덕트(50)의 내부에 배치된 히터(60)와의 효율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60)는 열풍 덕트(5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히터(60)는 드럼(30)의 회전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발열체(62)와, 발열체(62)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히터 하우징(70)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62)는 서로 반경이 상이한 복수의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발열체(62)는 제1반경(R1)을 갖는 제1열 발열체(63)와, 제1반경(R1) 보다 큰 제2반경(R2)을 갖는 제2열 발열체(64)와, 제2반경(R2) 보다 큰 제3반경(R3)을 갖는 제3열 발열체(6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발열체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각 발열체(63, 64, 65)는 드럼 후방 지지판(40)의 열풍 공급부(4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각 발열체(63, 64, 65)는 드럼 후방 지지판(40)의 열풍 공급부(45)와 같은 중심각 θ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각 발열체(63, 64, 65)의 반경(R1, R2, R3)은 드럼 후방 지지판(40)의 열풍 공급부(45)의 최소 반경(RH)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발열체(63, 64, 65)는 열풍 공급부(45)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각 발열체(63, 64, 65)는 공기와의 전열 면적을 확대하도록 드럼 후방 지지판(40)을 향해 돌출되는 주름부(66)를 가질 수 있다. 주름부(66)는 열풍 덕트(50)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과 대략 직교하게 되므로 발열체(62)와 공기의 전열 면적이 확대되고 열교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히터 하우징(70)은 전방 절연판(80)과, 전방 절연판(80)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방 절연판(90)과,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을 지지하도록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에 결합되는 히터 지지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은 발열체(62)를 고정하는 동시에 발열체(62)에서 발생하는 열이 다른 부속품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은 절연 성능이 뛰어난 마이카판(micanit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62)는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전방 절연판(80)에는 발열체(62)의 주름부(66)가 통과하도록 주름 통과 구멍(8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62)의 주름부(66)는 드럼 후방 지지판(40)과 전방 절연판(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조 및 조립 상의 편의를 위해 후방 절연판(90)에도 주름 통과 구멍(94)이 형성될 수 있으나 후방 절연판(90)의 주름 통과 구멍(94)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히터 지지판(100)은 히터 하우징(70)의 강성 보강을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히터 지지판(1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과 히터 지지판(100)의 상호 결합을 위해 히터 지지판(100)에는 결합 돌기(103)가 형성되고,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에는 각각 결합홈(83, 9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03)는 벤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83, 93)은 각각 전방 절연판(80)의 테두리(82)와, 후방 절연판(90)의 테두리(92)에 형성될 수 있다.
히터 지지판(100)의 결합 돌기(103)를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의 결합홈(83, 93)에 삽입한 후에 결합 돌기(103)를 벤딩 라인(L, 도 8)을 중심으로 벤딩함으로써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과 히터 지지판(10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터(60)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히터(60)를 열풍 덕트(50)의 내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히터(60)는 열풍 덕트(50)의 내부에 체결 부재(S1)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터 지지판(100)에는 체결공(105)이 형성되고, 열풍 덕트(50)에는 체결공(55)이 형성될 수 있다.
열풍 덕트(5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히터(60)와 공기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도록 히터(60)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히터 통공(61)이 형성될 수 있다.
히터 통공(61)은 발열체(63, 64, 65)의 사이에 형성되는 히터 통공(61b, 61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열 발열체(63)와 제2열 발열체(64)의 사이에 히터 통공(61b)이 형성되고, 제2열 발열체(64)와 제3열 발열체(65)의 사이에 히터 통공(61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히터 통공(61)은 발열체(62)의 외측에 형성되는 히터 통공(61a)을 포함할 수도 있다.
히터(60)의 히터 하우징(70)은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과, 히터 지지판(100)이 적층되어 형성되므로, 히터 통공(61)을 형성하도록 전방 절연판(80)과, 후방 절연판(90)과, 히터 지지판(100)에는 각각 전방 히터 통공(81)과, 후방 히터 통공(91)과, 지지판 통공(101)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후면판(16)은 통기공(18)의 일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차폐 리브(19)를 포함하고, 열풍 덕트(50)의 덕트 후면부(51)는 유입구(52)의 일단으로부터 제1차폐 리브(19)의 경사 방향과 상이한 경사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차폐 리브(5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차폐 리브(19)는 캐비닛(10)의 후면판 베이스(17)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차폐 리브(19)는 통기공(18)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차폐 리브(53)는 유입구(52)의 하단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차폐 리브(19)와 제2차폐 리브(52)가 서로 상이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먼지가 통기공(18)과 유입구(52)를 통해 히터(60)로 침투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은 물론, 꼬챙이와 같이 가늘고 긴 물건이 캐비닛(10)의 후방에서 통기공(18)과 유입구(52)를 통해 히터(60)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꼬챙이와 같이 가늘고 긴 물건이 제1차폐 리브(19)에 대응되는 경사로 기울여져서 통기공(18)을 통과한다고 해도 제1차폐 리브(19)와 다른 경사를 갖는 제2차폐 리브(53) 때문에 유입구(52)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로써, 의류 건조기(1)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의류 건조기 10 : 캐비닛
16 : 후면판 18 : 통기공
19 : 제1차폐 리브 30 : 드럼
31 : 내주면 40 : 드럼 후방 지지판
41 : 후방 지지부 42 : 결합부
44 : 드럼 커버부 45 : 열풍 공급부
46 : 열풍 공급공 50 : 열풍 덕트
51 : 덕트 후면부 52 : 유입구
53 : 제2차폐 리브 54 : 열풍 덕트 내부
60 : 히터 61, 61a, 61b, 61c : 히터 통공
62 : 발열체 63 : 제1열 발열체
64 : 제2열 발열체 65 : 제3열 발열체
66 : 주름부 70 : 히터 하우징
80 : 전방 절연판 90 : 후방 절연판
100 : 히터 지지판 AX : 드럼 회전축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지지하도록 상기 드럼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내주면 부근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열풍 공급부를 갖는 드럼 후방 지지판;
    상기 열풍 공급부로 열풍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열풍 덕트로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열풍 덕트; 및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 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열풍 공급공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드럼의 반경의 절반의 반경을 갖는 원의 바깥쪽 영역에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의류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의류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의 하부의 일부 영역이 제외된 소정의 중심각 θ 도(180 < θ < 360 )를 갖는 부채꼴 형상의 영역에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덕트는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입구의 적어도 대다수는 상기 열풍 공급부 보다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 의류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열풍 공급부와 같은 중심각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갖는 의류 건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열풍 공급부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갖는 의류 건조기.
  1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지지하도록 상기 드럼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열풍 공급공이 형성된 드럼 후방 지지판; 및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의 후방에 마련되는 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소정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열 발열체와,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열 발열체와 상이한 반경을 갖는 제2열 발열체를 포함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열 발열체와 상기 제2열 발열체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히터 통공을 갖는 히터 하우징; 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하우징은 전방 절연판과, 상기 전방 절연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방 절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전방 절연판과 상기 후방 절연판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의류 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하우징은 상기 전방 절연판과 상기 후방 절연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 절연판과 상기 후방 절연판에 결합되는 히터 지지판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절연판, 상기 후방 절연판, 상기 히터 지지판은 각각 상기 히터 통공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방 히터 통공, 후방 히터 통공, 지지판 통공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지지판은 벤딩 가능하도록 마련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절연판과 상기 후방 절연판은 상기 결합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에 벤딩됨으로써 상기 전방 절연판과 상기 후방 절연판과 상기 히터 지지판이 상호 결합되는 의류 건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열풍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가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히터 지지판이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에 결합되는 의류 건조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전열 면적을 확대하도록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을 향해 돌출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절연판에는 상기 주름부가 통과하는 주름 통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는 상기 드럼 후방 지지판과 상기 전방 절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 건조기.
  19. 통기공이 형성된 후면판을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후면판에 나란하고 유입공이 형성된 덕트 후면부를 갖는 열풍 덕트; 및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열풍 덕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의 상기 후면판은 상기 통기공의 일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차폐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덕트의 상기 덕트 후면부는 상기 유입구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차폐 리브의 경사 방향과 상이한 경사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차폐 리브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 리브는 상기 통기공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차폐 리브는 상기 유입구의 하단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는 의류 건조기.
KR1020170079611A 2017-06-23 2017-06-23 의류 건조기 KR102364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11A KR102364265B1 (ko) 2017-06-23 2017-06-23 의류 건조기
PCT/KR2018/007069 WO2018236178A1 (en) 2017-06-23 2018-06-22 DRYER
US16/015,844 US20180371677A1 (en) 2017-06-23 2018-06-22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11A KR102364265B1 (ko) 2017-06-23 2017-06-23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15A true KR20190000515A (ko) 2019-01-03
KR102364265B1 KR102364265B1 (ko) 2022-02-17

Family

ID=6469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611A KR102364265B1 (ko) 2017-06-23 2017-06-23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371677A1 (ko)
KR (1) KR102364265B1 (ko)
WO (1) WO2018236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9662B2 (en) 2020-02-11 2022-05-03 Chuck DEWALD Drying apparatus and drum
CN112538724B (zh) * 2020-12-18 2022-06-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面板组件和洗衣机
US20220341084A1 (en) * 2021-04-27 2022-10-27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ion panel for back panel of laundry appli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87A (ja) * 1991-07-04 1993-01-19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H05184786A (ja) * 1992-01-10 1993-07-27 Rinnai Corp 衣類乾燥機
KR20140065265A (ko) * 2012-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9464A (en) * 1966-09-16 1968-09-03 Gen Electric Clothes dryer
JP3012788U (ja) * 1994-12-21 1995-06-27 台湾電熱工業股▲分▼有限公司 乾燥機における熱風発生装置
US5935471A (en) * 1998-03-31 1999-08-10 Camco Inc. Heater coil support and mounting bracket
JP3696853B2 (ja) * 2002-07-23 2005-09-21 株式会社アサヒ製作所 乾燥機
DE102010021165A1 (de) * 2010-02-19 2011-08-25 Epcos Ag, 81669 Heizanordnung
US10378143B2 (en) * 2011-04-29 2019-08-13 Tai-Her Yang Heat reflux drying machine utilizing inlet/outlet air temperature difference to condense water
KR101880589B1 (ko) * 2012-01-13 201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2178451B1 (ko) * 2013-12-02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2407646B1 (ko) * 2015-07-17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87A (ja) * 1991-07-04 1993-01-19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H05184786A (ja) * 1992-01-10 1993-07-27 Rinnai Corp 衣類乾燥機
KR20140065265A (ko) * 2012-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6178A1 (en) 2018-12-27
KR102364265B1 (ko) 2022-02-17
US20180371677A1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816B2 (en) Clothes dryer and door thereof
KR20110098382A (ko) 건조기
JP4170708B2 (ja) 衣類乾燥機
KR102364265B1 (ko) 의류 건조기
WO2014024393A1 (ja) 衣類乾燥機
EP1595993B1 (en) Clothes dryer
CN210104319U (zh) 衣物处理设备
EP1584732B1 (en) Clothes dryer
CA2506502C (en) Laundry dryer with novel exhaust pipe installation structure
KR101059814B1 (ko) 의류건조기
CN111748985A (zh) 衣物处理设备
CN112301625A (zh) 衣物处理设备
JP5441860B2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KR100651865B1 (ko) 의류 건조기
KR100641426B1 (ko) 의류 건조기의 모터 장착 구조
KR100610664B1 (ko) 의류건조기
JP6572434B2 (ja) 衣類乾燥装置
CN215412887U (zh) 滚筒烘干机
KR100599042B1 (ko) 의류건조기
CN212103358U (zh) 衣物处理设备
JP2771722B2 (ja) 乾燥機
KR100570529B1 (ko) 의류건조기
US20050134157A1 (en) Cabinet for home appliance
CN112856972A (zh) 滚筒烘干机
KR20150118859A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