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042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042B1
KR100599042B1 KR1020040108209A KR20040108209A KR100599042B1 KR 100599042 B1 KR100599042 B1 KR 100599042B1 KR 1020040108209 A KR1020040108209 A KR 1020040108209A KR 20040108209 A KR20040108209 A KR 20040108209A KR 100599042 B1 KR100599042 B1 KR 100599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ositioning
plate
drying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115A (ko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0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덕트와 하부덕트와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 사이에 설치되며 히터가 장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조덕트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와 플레이트 중 하나는 위치결정돌기를 가지고, 나머지 두 부재는 그에 대응되는 위치결정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덕트 자체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와 위치결정홈을 이용함으로써, 건조덕트의 조립을 위해 별도의 위치결정돌기가 설치된 작업대가 필요 없으므로, 건조덕트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 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설치되는 건조덕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설치되는 건조덕트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8: 히터 50: 건조덕트
51: 하부덕트 52: 상부덕트
53: 플레이트 60: 플랜지
61: 위치결정홈 68: 테두리부
70: 위치결정돌기 74: 플랜지
75: 위치결정홈 76: 체결공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가 설치되는 건조덕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조덕트는 상부덕트와 하부덕트와 상부덕트와 하부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히터가 장착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부덕트와 하부덕트와 플레이트에는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어서, 건조덕트를 조립시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상부덕트와 하부덕트 및 플레이트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체결공을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일치시키는 작업이 번거로웠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49278호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플랜지부 상에 위치결정홀을 형성하고, 상기 상, 하부덕트를 안착시켜 조립하기 위한 작업대 상에는 상기 위치결정홀에 대응 삽입될 수 있는 위치결정돌기를 돌설시켜, 상기 위치결정돌기에 상, 하부덕트와 플레이트의 위치결정홀을 삽입하면 각각의 플랜지부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공은 모두 동일선상에 위치됨으로써 상,하부덕트 및 플레이트의 결합이 용이한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의 결합구조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조덕트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작업대상에 설치된 위치고정돌기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위치결정돌기가 없는 곳에서 조립시에는 건조덕트를 조립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면, 각 가정에서 건조기를 사용하다 건조덕트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건조덕트를 분해한 다음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상, 하부덕트와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공을 모두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다음 체결해야 함으로써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덕트의 조립을 위해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으며,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건조덕트를 구비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덕트와 하부덕트와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히터가 장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조덕트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와 플레이트 중 하나는 위치결정돌기를 가지고, 나머지 두 부재는 그에 대응되는 위치결정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덕트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상자형상으로 된 외부케이스(10), 외부케이스(10)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12), 회전조(12)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4)를 포함한다. 또 이 의류건조기는 회전조(12) 내부로 외부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급기유로(20)와 배기유로(21) 및 송풍장치(30)를 포함한다.
회전조(12)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면에 건조대상물을 상승시켜 낙하시키는 복수의 리프터(12a)를 구비한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0)의 내측에는 이러한 회전조(12)의 전면개방부와 후면개방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조(12)의 전면 및 후면개방부를 덮도록 외부케이스(10)의 전면부 내측과 후면부 내측에 각각 고정되는 전면지지판(22a)과 후면지지판(22b)이 설치된다. 이때 회전조(12)는 전면개방부와 후면개방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될 수 있도록 전면지지판(22a)과 후면지지판(22b)으로부터 회전조(12)의 전면개방부와 후면개방부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돌출하는 전면지지턱(23a)과 후면지지턱(23b)을 통해 지지된다. 또한 전면 및 후면지지턱(23a,23b)과 회전조(12)의 전면 및 후면개방부 사이에는 회전조(12)의 회전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 등으로 된 마찰감소부재(24)가 개재된다. 전면지지판(22a)과 후면지지판(22b)의 하부에는 회전조(12)의 하부를 지지하는 롤러(25)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회전조(12)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것이다.
외부케이스(10)의 전면에는 건조대상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한 개구들(26)이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들(26)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7)가 설치된다.
회전조(12)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4)는 외부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31)의 동력을 회전조(12)에 전달하는 것으로 풀리(32) 및 회전벨트(33)를 포함한다. 이때 회전벨트(33)는 회전조(12)의 외면과 구동모터(31)의 축에 결합된 풀리(32)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이는 구동모터(31)가 회전할 때 회전조(12)의 감속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회전조(12)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급기유로(20)는 회전조(12) 하부로부터 외부케이스(10) 내측 후면공간에 설치되는 열풍안내덕트(36)와 후면지지판(22b)에 형성된 공기유입구(37)를 통해 구성된다.
회전조(1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유로(21)는 전방지지판(22a) 하부의 공기배출구(40)와 회전조(12)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장치(30)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열풍배출덕트(41)와, 송풍장치(30)의 출구와 외부케이스(10)의 후면부 외측이 연통하도록 외부케이스(10)의 하측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배기덕트(45)를 통해 구성된다.
송풍장치(30)는 회전조(1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1)의 축에 설치된 송풍팬(39)과, 송풍팬(39)의 주위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열풍배출덕트(41) 및 배기덕트(45)와 각각 연결되어 형성된 송풍덕트(43)를 포함한다.
열풍안내덕트(36)는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38)가 설치된 건조덕트(50)와 연결된다.
건조덕트(50)의 후방은 모터(31)를 고정하는 모터브라켓(35)에 고정지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덕트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건조덕트(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덕트(51)와 덕트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덕트(52)와 하부덕트(51)와 상부덕트(52) 사이에 설치되고, 히터(38)가 장착되는 플레이트(53)로 크게 이루어진다.
하부덕트(51)의 측면에는 공기흐름이 적을 경우나 공기흐름이 정지될 경우 히터의 전원(55)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하이 리미트 써모스탯(Hi-Limit Thermostat)(56)과 하이 리미트 써모스텟(56)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여 주는 세이프티 써모스탯(Safety Thermostat)(57)과 히터(38)가 연결되는 연결단자인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58)이 장착된다.
상기 써모스탯(56,57)은 상기 히터(38)의 가열에 의해 건조대상물이 손상을 입거나 건조기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온도 이상시 스위치가 떨어지는 바이메탈로 구성되어, 히터(38)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과 각각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히터(38)의 과열시 스위치가 떨어져 히터(38)에 전원이 공급되는 배선을 단선시키는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
하부덕트(51)에는 상부덕트(52)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개의 사각형상의 위치결정홈(61)과 결합공(62)이 형성된 플랜지부(60)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덕트(51)의 후방에는 모터브라켓(35)에 고정지지하기 위해 체결수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6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덕트(51) 상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53)에는 8자 모양으로 히터(38)를 장착하기 위한 플레이트(53)로부터 수직 돌출한 복수개의 히터지지부재(65)가 형성되며, 상기 히터지지부재(65)에는 히터(38)가 설치된다. 히터지지부재(65)는 플레이트(53)의 상면과 하면 양면에서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히터지지부재(65)에 지지되는 히터(38)는 상하 대칭을 이루며 2개가 장착된다. 따라서, 많은 열량을 낼 수 있다.
히터지지부재(65)의 단부에는 히터(38)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6)가 형성되어 있어, 히터(38)를 쉽게 고정할 수 있다. 플레이트(53)에 장착되는 히터(38)는 외부전원을 인가 받아 고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나의 전열선이 다수회 감겨진 코일 타입의 히터이다.
상기 히터지지부재(65)는 전열선의 전류가 덕트를 타고 다른 곳으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성을 가진 애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5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테두리부(68)에는 조립을 할 때 상부덕트(52)와 하부덕트(51)를 고정시키기 위해 단면이 사각형인 기둥형상의 위치결정돌기(70)와 건조덕트를 최종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돌기(70)는 플레이트(53)의 상면과 하면 양면에서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있 다.
상부덕트(52)는 하부덕트(51)와 대칭되는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덕트(52)의 플랜지부(74)에는 플레이트(53)의 위치결정돌기(70)와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위치결정홈(75)과 건조덕트를 최종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7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하부덕트(51)의 위치결정홈(61)에 플레이트(53)의 위치결정돌기(70)를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덕트(52)의 위치결정홈(75)을 플레이트(53)의 위치결정돌기(70)에 맞추어 플레이트(53)의 위치결정돌기(70)가 상부덕트(52)의 위치결정홈(75)에 삽입되도록 한다.
위치결정돌기(70)는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기둥형상이며, 위치결정홈(61,75) 또한 사각형상을 지니는바, 가고정 되면 상부덕트(52) 및 하부덕트(51)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위치결정돌기(70)가 위치결정홈(61,75)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상부덕트(52)와 하부덕트(51)의 플랜지(60,74)에 형성된 체결공(62,76)과 플레이트(53)의 테두리부(68)에 형성된 체결공(71)은 정확하게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고정 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부재(51,52,53)를 체결수단(80)을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을 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덕트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덕트(50)는 덕트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덕트(51)와 덕트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덕트(52)와 하부덕트(51)와 상부덕트(52) 사이에 설치되고, 히터(38)가 장착되는 플레이트(53)로 크게 이루어진다.
하부덕트(51)에는 다수개의 사각형상의 위치결정돌기(81)와 결합공(82)이 형성된 플랜지부(80)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53)의 테두리부(84)에는 하부덕트(51)의 위치결정돌기(81)와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위치결정홈(85)과 건조덕트(50)를 최종적으로 조립하기 위한 체결공(86)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덕트(52)는 하부덕트(51)와 대칭되는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덕트(52)의 플랜지부(91)에는 하부덕트(51)의 위치결정돌기(81)와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위치결정홈(92)과 건조덕트(50)를 최종적으로 조립하기 위한 체결공(9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하부덕트(51)의 위치결정돌기(81)가 플레이트(53)의 위치결정홈(85)에 삽입되도록 플레이트(53)를 하부덕트(51)위에 올려놓는다. 이 상 태에서 상부덕트(52)의 위치결정홈(92)을 하부덕트(51)의 위치결정돌기(81)에 맞추어 하부덕트(51)의 위치결정돌기(81)가 상부덕트(52)의 위치결정홈(92)에 삽입되도록 상부덕트(52)를 플레이트(53)위에 올려놓는다.
위치결정돌기(81)는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기둥형상이며, 위치결정홈(85,92) 또한 사각형상을 지니는바, 상부덕트(52) 및 하부덕트(51)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위치결정돌기(81)가 위치결정홈(85,92)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상부덕트(52)와 하부덕트(51)의 플랜지(53)에 형성된 체결공(82,93)과 플레이트(53)의 테두리부(84)에 형성된 체결공(86)은 정확하게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고정 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부재를 체결수단(80)을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위치결정구조의 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건조덕트 자체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와 위치결정홈을 이용함으로써, 건조덕트의 조립을 위해 별도의 위치결정돌기가 설치된 작업대가 필요 없으므로, 건조덕 트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

Claims (5)

  1. 상부덕트와 하부덕트와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 사이에 설치되며 히터가 장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조덕트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와 플레이트 중 하나는 위치결정돌기를 가지고, 나머지 두 부재는 그에 대응되는 위치결정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덕트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위치결정돌기가 플레이트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에는 그에 대응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덕트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덕트의 상면에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상부덕트에는 그에 대응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덕트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위치결정돌기는 단면이 사각형인 기둥형상이고, 위치결정홈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덕트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돌기와 위치결정홈은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덕트와 하부덕트의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덕트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1020040108209A 2004-12-17 2004-12-17 의류건조기 KR10059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209A KR100599042B1 (ko) 2004-12-17 2004-12-17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209A KR100599042B1 (ko) 2004-12-17 2004-12-17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115A KR20060069115A (ko) 2006-06-21
KR100599042B1 true KR100599042B1 (ko) 2006-07-12

Family

ID=3716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209A KR100599042B1 (ko) 2004-12-17 2004-12-17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41B1 (ko) * 2009-01-09 2015-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51B1 (ko) * 2007-05-31 2008-11-04 김학열 의류건조기용 히터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071U (ko) * 1997-03-31 1998-11-16 배순훈 세탁기의 기포발생장치
KR100218966B1 (ko) 1997-06-30 1999-09-01 윤종용 세탁기
KR100245293B1 (ko) 1997-12-16 2000-02-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모우터 결합구조
KR100413457B1 (ko) 2001-10-10 200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071U (ko) * 1997-03-31 1998-11-16 배순훈 세탁기의 기포발생장치
KR100218966B1 (ko) 1997-06-30 1999-09-01 윤종용 세탁기
KR100245293B1 (ko) 1997-12-16 2000-02-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모우터 결합구조
KR100413457B1 (ko) 2001-10-10 200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41B1 (ko) * 2009-01-09 2015-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115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8030A1 (en) Laundry treatment equipment
JP7236205B2 (ja) 衣類処理装置
EP2527526B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KR20150059319A (ko) 의류처리장치
EP2206821B1 (en) Drum washing machine and drying unit thereof
KR20180066742A (ko) 의류 건조기
KR20210028486A (ko) 의류건조기
KR20070006491A (ko) 의류건조기
EP2592184A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KR100599042B1 (ko) 의류건조기
WO2015028227A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EP1584732B1 (en) Clothes dryer
KR20190000515A (ko) 의류 건조기
KR101059814B1 (ko) 의류건조기
KR100857779B1 (ko) 드럼세탁기의 건조용 히터장치
JP2001116451A (ja) 浴室用乾燥機
EP2631356B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KR20060062406A (ko) 의류건조기
KR100641426B1 (ko) 의류 건조기의 모터 장착 구조
KR100762329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EP3039181A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KR100610664B1 (ko) 의류건조기
KR20040013276A (ko) 가전제품용 히터의 코일 배치 구조
KR100857780B1 (ko)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와 건조히터 결합구조
KR100585323B1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