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451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451B1
KR102178451B1 KR1020130148645A KR20130148645A KR102178451B1 KR 102178451 B1 KR102178451 B1 KR 102178451B1 KR 1020130148645 A KR1020130148645 A KR 1020130148645A KR 20130148645 A KR20130148645 A KR 20130148645A KR 102178451 B1 KR102178451 B1 KR 10217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drying
sensing
fixed bent
dry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816A (ko
Inventor
배병원
염창배
장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451B1/ko
Priority to US14/551,323 priority patent/US9435070B2/en
Priority to CN201480065924.8A priority patent/CN105793483B/zh
Priority to PCT/KR2014/011646 priority patent/WO2015084007A1/en
Publication of KR20150063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816A/ko
Priority to US15/229,433 priority patent/US98162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캐비닛,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건조통 내부에 세탁물의 습기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센서격벽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습기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의류건조기의 최적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ing Dry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구조를 개선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열풍을 건조통 내로 강제 송풍시켜 건조통에 투입되어 있는 젖은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기본적으로 드럼세탁기와 그 외형에 있어 서로 비슷하며, 히터와 송풍팬을 통해 가열된 열풍을 건조통내로 강제 순환시켜 세탁물을 건조한다.
의류건조기는 전면에 도어가 마련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에 전후 방향으로 길기 설치된 원통 형상의 건조통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에 히터를 포함하여 공기를 열풍으로 변환시킨 후 건조통으로 안내하며 내부에 송풍팬이 설치되어 건조통에서 배출된 열풍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한다.
건조통의 내부에 젖은 세탁물은 건조한 열풍에 의해 수분을 빼앗기게 되고, 반복된 열풍의 순환에 의해 젖은 세탁물이 건조되어 세탁물이 건조하게 된다.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는 의류건조기 내부에 센서가 마련되어 이를 감지하게 된다. 센서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젖은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이 복수의 센서를 통전시키는 것으로, 세탁물의 건조한 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센서사이에 젖은 먼지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경우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어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상기 건조통 내부에 세탁물의 습기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센서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은, 상기 건조통의 내부에 대해 노출되는 습기감지센싱부; 상기 습기감지센싱부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습기감지센싱부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절곡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통과 연통되어 상기 건조통 내부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덕트와, 상기 건조통사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기감지센서유닛은, 상기 필터부재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외형을 이루는 필터부재본체; 상기 필터부재본체상에 마련되어, 상기 건조통 내부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도록 통공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기배출구; 상기 필터부재본체상에 마련되어, 상기 습기감지센서유닛이 배치되는 센서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서안착부는, 상기 습기감지센싱부가 안착되는 제 1 안착부; 상기 제 1 안착부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절곡부가 삽입 및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 2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부는, 누적된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서격벽은,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 사이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기감지센싱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서격벽은,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 사이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은, 상호 나란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는, 그 측면에 상기 고정절곡부의 상기 제 2 안착부로의 삽입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가 상기 필터부재에 삽입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은, 상기 습기감지센싱부의 타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자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상기 건조통의 내부를 향해 노출되는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와,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절곡부를 갖고, 상기 건조통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의 건조정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의 상호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격벽은,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 상호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습기감지센싱부격벽;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 상호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걸림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가 안착되며, 상기 건조통 내부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누적되지 않도록 일측에 배출개구를 갖는 제 1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걸림부격벽은 상기 제 1 공간을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걸림부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걸림부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 1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통과 연통되어 상기 건조통 내부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덕트와, 상기 건조통사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은, 상기 필터부재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는, 상기 건조통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는, 좌우방향에 대해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기는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감지하는 데 있어서, 정확도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른 건조기의 최적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면부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와 습기감지센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감지센서유닛에 관한 도면.
도 7,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제 1 위치에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제 2 위치에서의 도면.
도 11은 도 10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캐비닛(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통(30)과, 건조통(3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40)와, 건조통(30) 내부로의 공기 순환을 위한 흡기유로(10) 와 배기유로(20) 및 송풍장치(28)를 포함한다.
건조통(30)은 원통부(33)와 후면부(32)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원통부(33)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원통부(33)의 전면에는 전면부(31)가 결합되며, 후면에는 후면부(32)가 설치된다.
캐비닛(1)의 전면과 전면부(31)에는 건조통(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a, 31a)가 형성되고, 캐비닛(1)의 전면에는 투입구(1a, 31a)를 개폐하는 도어(35)가 설치된다.
구동장치(40)는 캐비닛(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1)와, 구동모터(41)의 동력을 건조통(30)에 전달하는 풀리(42)와, 회전벨트(43)를 포함한다. 회전벨트(43)는 건조통(30)의 외면과 구동모터(41)의 축에 결합된 풀리(42)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흡기유로(10)는 건조통(30) 내부로 외기의 유입을 안내한다. 흡기유로(10)는 건조통(3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3)와 건조통(3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4)가 마련된 제1덕트(12)를 포함한다. 제1덕트(12)는 건조통(30)의 후면부(3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흡기유로(10)는 건조통(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덕트(12)와 결합되는 가열덕트(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덕트(11) 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2)가 설치된다.
배기유로(20)는 건조통(3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한다. 배기유로(20)는 전방부(31) 하부의 필터부재(100)와 건조통(30)의 하부에 설치된 송풍장치(28)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덕트(24)와, 송풍장치(28)의 출구와 캐비닛(1)의 후면 외측이 연통되도록 캐비닛(1)의 하측에 설치된 제2덕트(25)를 포함한다.
송풍장치(28)는 송풍장치 하우징(28b)과, 송풍장치 하우징(28b)의 내측에 위치하는 송풍팬(28a)을 포함한다. 송풍팬(28a)의 작동으로 인해 건조통(30) 내측의 습공기를 배출하거나 히터(2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방 덕트(24)에는 건조통(3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내부필터부재(26)가 설치된다. 내부필터부재(26)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 내부필터부재(26)를 전방 덕트(24)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27)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필터부재(26)의 주위로는 내부필터부재(26)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필터부재(1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면부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와 습기감지센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필터부재(100)는 건조통(30) 내부를 거친 건조한 공기가 젖은 세탁물을 거친 후 배출되면서, 전방덕트(24) 내부로 이물질이나 세탁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재(100)는 건조통(30)과 연통되어 건조통(30) 내부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전방덕트(24)와, 건조통(30)사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터부재(100)는 필터부재본체(110), 공기배출부(120), 센서안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본체(110)는 건조통(30)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통(30)의 전면 하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공기배출부(120)는 필터부재본체(110)상에 마련되어 건조통(30)을 거친 공기가 전방덕트(2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센서안착부(130)는 필터부재본체(110)상에 마련되며, 공기배출부(120)와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안착부(130)의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안착부(13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은 건조통(30) 내부에 배치되는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의 배치와 작동원리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필터부재(100)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은 습기감지센싱부(160)와 고정절곡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습기감지센싱부(160)는 건조통(30)의 내부에 대해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습기감지센싱부(160)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이 마련된다. 건조통(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세탁물이 습기감지센싱부(160)에 접하게 되면서 건조된 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젖은 세탁물이 한 쌍의 습기감지센싱부(160)에 접하게 되면 상호간에 통전이 되는 데, 그 정도를 측정하여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는 건조통(30)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간에 겹치지 않도록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의 단부는 상하방향인 제 1 방향(W1)에 대해 겹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습기감지센싱부(160)의 일단부가 인접한 습기감지센싱부(160)의 일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의 단부가 좌우방향인 제 2 방향(W2)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습기감지센싱부(160)에 의해 하부에 배치되는 습기감지센싱부(160)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절곡부(170)는 습기감지센싱부(160)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습기감지센싱부(160)가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고정절곡부(170)는 습기감지센싱부(160)와 함께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이 마련된다.
고정절곡부(170)는 습기감지센싱부(160)와 함께 통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절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고정절곡부(170)는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의 단부에 마련되므로, 습기가 누적되어 습기감지센서유닛(150)에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수명을 단축시키도록 할 수 있으므로 통풍이 되도록 개방된 공간인 제 1 공간(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공간(140)은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방되도록 배출개구(136)가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되어 습기가 누적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물이 배출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고정절곡부(170)는 좌우방향인 제 2 방향(W2)에 대해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절곡부(170)에 의해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절곡부(170)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재(100)에는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이 배치되도록 센서안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안착부(130)는 제 1 안착부(132)와, 제 2 안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착부(132)는 습기감지센싱부(160)가 안착되도록, 습기감지센싱부(160)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즉, 습기감지센싱부(160)의 형상에 대응되어 인접한 필터부재(100)의 표면보다 오목하게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습기감지센싱부(160)에 대응되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1 안착부(132)는 건조통(30)의 회전방향에 따른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간에 겹치지 않도록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은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 1 안착부(132)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안착부(134)는 고정절곡부(170)가 안착되도록, 고정절곡부(170)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제 2 안착부(134)는 제 1 공간(140)과 동일한 구성이며, 제 1 공간(140)의 설명과 동일하다. 고정절곡부(170)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 2 안착부(134)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안착부(134)의 각각은 복수의 고정절곡부(1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후 설명하는 고정절곡부격벽(19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안착부(134)는 좌우방향인 제 2 방향(W2)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고정절곡부(170)에 대응하여, 제 2 방향(W2)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은 단자연결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연결부(180)는 습기감지센서유닛(150)으로부터 감지되는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단자연결부(18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습기감지센싱부(16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형상을 가진다. 단자연결부(180)에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감지센서유닛에 관한 도면이다.
센서격벽(190)은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을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을 구획함으로서 물기를 머금은 린트나, 이물질이 사이에 끼게되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센서격벽(190)은 센싱부격벽(192)과 고정절곡부격벽(194)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격벽(192)은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1 안착부(132) 사이에는 센싱부격벽(192)이 마련될 수 있다.
센싱부격벽(192)은 제 1 안착부(132)에 안착된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 사이에 물기를 머금은 린트나, 이물질이 끼게되어 습기감지에 있어서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마련된다. 센싱부격벽(192)은 제 1 안착부(132)상에서 제 1 안착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 1 안착부(132)보다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센싱부격벽(19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안착부(132)에 안착된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를 구획할 수 있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고정절곡부격벽(194)은 복수의 고정절곡부(170)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2 안착부(134) 사이에는 고정절곡부격벽(194)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절곡부격벽(194)은 제 2 안착부(134)에 안착된 복수의 고정절곡부(170) 사이에 물기를 머금은 린트나, 이물질이 끼게 되어 습기감지에 있어서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마련된다. 고정절곡부격벽(194)은 제 2 안착부(134)상에서 복수의 고정절곡부(170)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고정절곡부격벽(194)은 고정절곡부(170)가 제 2 안착부(134)로 삽입되는 투입공(138)이 마련되는 제 1 면(134a)으로부터 고정절곡부(170)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형성되어 복수의 고정절곡부(170)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면(134a)으로부터, 제 1 면(134a)과 마주보는 제 2 면(134b)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습기감지센싱부(160)는 제 1 안착부(132)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며, 고정절곡부(170)는 삽입공에 삽입되어 제 2 안착부(134)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고정절곡부(170)는 걸림경사면(17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경사면(172)은 고정절곡부(170)의 제 2 안착부(134)로의 삽입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필터부재(100)에 마련된 걸림턱(112)에 걸리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절곡부(170)가 제 2 안착부(134)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고정절곡부(170)가 삽입공을 통해 제 2 안착부(134)에 안착되면, 걸림경사면(172)이 걸림턱(112)에 걸림으로서, 고정절곡부(170)가 제 2 안착부(134)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배치에 관한 도면이다.
건조통(30)은 원통부(33)와 후면부(32)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원통부(33)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원통부(33)의 전면에는 전면부(31)가 결합되며, 후면에는 후면부(32)가 설치된다.
건조통(30)은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원통부(33)와 후면부(32)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통부(33)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후면부(32)는 고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원통부(33)의 내부에는 원통부(33)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프터(33a)가 배치될 수 있다. 리프터(33a)는 세탁물을 상승, 낙하시켜 세탁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한다.
건조선반(200)이 건조통(30)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건조선반(200)의 전단은 필터부재(100)에 지지되며, 건조선반(200)의 후단은 건조통(30)의 후면인 후면부(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건조선반(200)의 전단 및 후단이 모두 지지되므로 무거운 세탁물이 건조선반(200)에 얹혀지더라도 건조선반(200)은 안정적으로 세탁물을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잇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제 1 위치에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제 2 위치에서의 도면, 도 11은 도 10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건조선반(200)의 전단은 필터부재(100)에 지지되고, 후단은 건조통(30)의 후면인 후면부(32)에 지지된다. 필터부재(100)는 투입구(1a,31a)의 형상에 의해 상부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건조선반(200)의 전단에는 필터부재(100)의 상부에 안착하기 위해 필터부재(100) 상부형상에 대응되는 안착리브(202)가 마련될 수 있다.
건조선반(200)은 베이스(210), 거치돌기(220), 걸림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건조 대상물이 얹혀지도록 마련되며, 건조 대상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통공(212)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원통부(33)에 배치된 건조 대상물과 같이 회전을 통해 건조 대상물을 상승, 낙하 시켜 건조되는 것과는 달리, 건조선반(200)에 배치되는 건조 대상물은 베이스(210)에 얹혀진 상태로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선반(200)의 위치가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베이스(210)는 건조통(30) 내부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건조통(30) 내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치돌기(220)는 베이스(210)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건조선반(200)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거치돌기(220)는 베이스(210)로부터 건조통(30)의 후면부(32)를 향해 돌출형성되도록 마련된다. 거치돌기(220)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거치돌기(220)가 구비되어, 건조선반(200)의 후단 양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후면부(32)에는 거치돌기(2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건조통(3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안착부(32a)가 마련될 수 있다. 돌기안착부(32a)는 거치돌기(220)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돌기안착부(32a)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재(230)는 이후 설명하는 지지부재(250)가 건조선반(20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걸림부재(2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이후 설명하는 지지부재(250)의 회동부(252)가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건조선반(200)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x1)이라고 할 때, 걸림부재(230)는 제 1 방향(x1)에 수직한 제 2 방향(x2)으로 베이스(210)로부터 돌출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230)의 제 2 방향(x2)에 대한 연장선상에는 베이스(210)와의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지지부재(250)가 걸림부재(2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는 건조통(30) 내부에 안착된 건조선반(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건조선반(200)을 지지한다. 지지부재(250)는 건조선반(20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건조선반(200)을 지지하거나, 건조선반(200)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지지부재(250)는 건조선반(200)의 일측을 캐비닛(1) 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위치(P1)와, 지지부재(250)가 건조선반(200)에 안착되는 제 2 위치(P2)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지지부재(250)는 건조선반(2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건조선반(200)을 건조통(30) 내부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1 위치(P1)로 회동시켜 건조선반(200)을 지지하도록 하고, 건조선반(200)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에는 제 2 위치(P2)로 회동시켜 건조선반(200)에 안착되도록 한다.
지지부재(250)는 회동부(252), 지지대(254)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252)는 건조선반(200)에 일측에 지지부재(250)가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를 회동가능하도록한다. 회동부(252)는 걸림부재(230)에 회동가능하게 걸리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부(252)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250)는 회동부(252)를 통해 건조선반(200)에 힌지결합되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를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동부(252)를 통해 지지부재(250)는 제 2 방향(x2)을 중심축으로 회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지지대(254)는 회동부(252)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건조선반(2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회동부(252)로부터 연장형성되고 건조통(30)의 후면부(32)에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건조선반(200)을 지지하게 된다. 지지대(254)는 건조선반(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건조선반(200)과, 건조선반(200)위에 얹혀지는 건조 대상물을 지탱하게 된다. 그러나 건조선반(200)이 상하좌우방향으로 이탈될 수도 있으므로, 단단한 막대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건조선반(200)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지지부재(250)는 고정걸림부(2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걸림부(256)는 지지대(254)의 단부에 마련되어 건조통(30)의 후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지지대(254)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된다.
고정걸림부(256)는 건조통(30)의 후면에 걸리도록 구비되어, 건조통(30)의 회전이나 진동에 의해 건조선반(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고정걸림부(256)에 대응되는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통(30)의 내부로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는 배출구에 걸리도록 마련된다.
건조선반(200)은 안착홈(240)과 고정돌기(24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240)은 지지부재(250)가 제 2 위치(P2)에 배치되는 경우 즉, 건조선반(200)에 안착되는 경우 지지부재(250)가 건조선반(200)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인접한 건조선반(200)의 표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40)은 지지부재(250)의 길이에 대응되어 길게 형성되며, 지지부재(250)가 제 2 위치(P2)로 배치되는 경우 지지부재(25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정도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242)는 안착홈(240)에 안착된 지지부재(250)를 고정하도록 마련된다. 고정돌기(242)는 한 쌍이 마련되어, 지지부재(25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한 쌍의 고정돌기(242)는 탄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지지부재(250)의 삽입시에는 이격되고, 이탈시에는 다시 원위치가 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고정돌기(242)는 그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242a)가 구비되어, 고정돌기(242)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재(25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재(250)가 안착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2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홈(240)상에는 길이방향의 수직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이격홈(244)이 마련될 수 있다. 이격홈(244)은 인접한 안착홈(240)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사용자가 지지부재(250)를 안착홈(24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손가락을 삽입하여 지지부재(250)를 잡을 수 있도록 인접한 안착홈(240)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회동부(252)에는 삽입공(252a)이 마련되어 지지부재(250)가 걸림부재(230)에 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걸림부재(230)의 중단에는 인접한 표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된 회동안착부(232)가 마련되어, 회동부(252)가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림부재(230)의 단부에는 회동안착부(2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회동삽입부(234)가 마련되어 회동부(252)가 걸림부재(230)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가 제 1 위치(P1)에 배치되는 경우, 지지부재(250)는 베이스(210)와 둔각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와 베이스(210)가 둔각으로 배치됨에 따라, 거치돌기(220)가 안착돌기로부터 이탈하더라도 건조선반(200)과 건조선반(200) 위에 얹혀지는 건조대상물의 무게중심을 베이스(210)의 후방측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서 건조선반(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해 다른 관점에서 이를 설명한다.
의류건조기는 캐비닛(1), 캐비닛(1) 내측에 위치하는 건조통(30), 건조통(30)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선반(200), 건조선반(200)을 지지하는 메인지지부재(270)와 보조지지부재(280)를 포함한다.
중복되는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메인지지부재(270)와 보조지지부재(280)는 각각 거치돌기(220)와 지지부재(250)와 동일한 구성이다. 메인지지부재(270)는 베이스(2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건조통(30)의 후면부(32)에 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된다. 보조지지부재(280)는 일단이 건조선반(20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은 후면부(32)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캐비닛 10 : 흡기유로
20 : 배기유로 30 : 건조통
40 : 구동장치
100 : 필터부재 110 : 필터부재본체
120 : 공기배출부 130 : 센서안착부
132 : 제 1 안착부 134 : 제 2 안착부
136 : 배출개구 140 : 제 1 공간
150 : 습기감지센서유닛 160 : 습기감지센서부
170 : 고정절곡부 172 : 걸림경사면
180 : 단자연결부 190 : 센서격벽
192 : 센싱부격벽 194 : 고정절곡부격벽
200 : 건조선반 202 : 안착리브
210 : 베이스 212 : 통공
220 : 거치돌기 230 : 걸림부재
232 : 회동안착부 234 : 회동삽입부
242 : 고정돌기 242a : 이탈방지돌기
244 : 이격홈 250 : 지지부재
252 : 회동부 252a : 삽입공
254 : 지지대 256 : 고정걸림부
270 : 메인지지부재 280 : 보조지지부재

Claims (18)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상기 건조통 내부에 세탁물의 습기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센서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은,
    상기 건조통의 내부에 대해 노출되는 습기감지센싱부; 및
    상기 습기감지센싱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습기감지센싱부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된 고정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과 연통되어 상기 건조통 내부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전방덕트; 및
    상기 건조통과 상기 전방덕트의 사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기감지센서유닛은,
    상기 필터부재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외형을 이루는 필터부재본체;
    상기 필터부재본체 상에 마련되어, 상기 건조통 내부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도록 통공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기배출구;
    상기 필터부재본체 상에 마련되어, 상기 습기감지센서유닛이 배치되는 센서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안착부는,
    상기 습기감지센싱부가 안착되는 제 1 안착부;
    상기 제 1 안착부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절곡부가 삽입 및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 2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착부는,
    누적된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격벽은,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 사이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격벽은,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 사이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절곡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은 상호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는,
    그 측면에 상기 고정절곡부의 상기 제 2 안착부로의 삽입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가 상기 필터부재에 삽입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은,
    상기 습기감지센싱부의 타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자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2.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상기 건조통의 내부를 향해 노출되는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와,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절곡부를 갖고, 상기 건조통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의 건조정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의 상호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격벽은,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 상호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격벽;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 상호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절곡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가 안착되며, 상기 건조통 내부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누적되지 않도록 일측에 배출개구를 갖는 제 1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걸림부격벽은 상기 제 1 공간을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4. 삭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절곡부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 1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과 연통되어 상기 건조통 내부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전방덕트; 및 상기 건조통과 상기 전방덕트의 사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은,
    상기 필터부재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는,
    상기 건조통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절곡부는,
    좌우방향에 대해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130148645A 2013-12-02 2013-12-02 의류건조기 KR10217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645A KR102178451B1 (ko) 2013-12-02 2013-12-02 의류건조기
US14/551,323 US9435070B2 (en) 2013-12-02 2014-11-24 Clothing dryer
CN201480065924.8A CN105793483B (zh) 2013-12-02 2014-12-01 干衣机
PCT/KR2014/011646 WO2015084007A1 (en) 2013-12-02 2014-12-01 Clothing dryer
US15/229,433 US9816223B2 (en) 2013-12-02 2016-08-05 Clothing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645A KR102178451B1 (ko) 2013-12-02 2013-12-02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816A KR20150063816A (ko) 2015-06-10
KR102178451B1 true KR102178451B1 (ko) 2020-11-13

Family

ID=5326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645A KR102178451B1 (ko) 2013-12-02 2013-12-02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435070B2 (ko)
KR (1) KR102178451B1 (ko)
CN (1) CN105793483B (ko)
WO (1) WO2015084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51B1 (ko) * 2013-12-02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MX2017014521A (es) * 2015-05-14 2018-06-11 Saati Spa Construccion de filtro inteligente para aparatos electricos, en particular maquinas de secar/lavar-secar, metodo para hacer la construccion, y metodo para detectar en tiempo real un atascamiento parcial o total de la construccion y un valor de humedad residual para optimizar el ciclo de operacion del aparato.
KR102460252B1 (ko) * 2015-07-17 2022-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US10266985B2 (en) * 2016-06-03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lapsible drying rack for laundry dryer
US10260194B2 (en) 2016-07-15 2019-04-16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ensor
EP3538706B1 (en) * 2016-11-14 2021-01-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ing machine
US10443182B2 (en) 2016-12-29 2019-10-15 Whirlpool Corporation Customer selection of desired remaining moisture in clothing via user interface at machine 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087572B2 (en) * 2017-02-16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KR102364265B1 (ko) * 2017-06-23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US10398285B2 (en) * 2018-01-26 2019-09-03 Jason E. Blackman Stationary rack attachable to a clothes dryer
CN110820284B (zh) * 2018-07-23 2022-01-04 上海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过滤支架及干衣机
US11761134B2 (en) 2019-05-23 2023-09-1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US11377772B2 (en) 2019-05-23 2022-07-0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US20220356632A1 (en) * 2021-05-06 2022-11-10 Whirlpool Corporation Pet hair removal assembly for laundry appliances
US11851805B2 (en) 2021-11-22 2023-12-26 Whirlpool Corporation Deflector assembly for laundry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323B1 (ko) * 2003-04-28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건조기의 센서 장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9542A (en) * 1960-04-25 1963-07-30 Gen Motors Corp Drying air heat control and moisture removal apparatus
US4621438A (en) * 1980-12-04 1986-11-11 Donald M. Thompson Energy efficient clothes dryer
US4899464A (en) * 1988-11-14 1990-02-13 Whirlpool Corporation Dryer outlet grill with sensor
JPH0698994A (ja) 1992-09-21 1994-04-12 Hitachi Ltd 洗濯乾燥機
US5709040A (en) * 1996-12-04 1998-01-20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Exhaust air particulate contamination sensing for tumbler dryers
US6845290B1 (en) * 2000-05-02 2005-01-1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ryer appliance
US6385862B1 (en) * 2001-06-06 2002-05-14 Mayta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rticles having internal cavities within a clothes dryer
WO2003087459A1 (en) * 2002-04-10 2003-10-23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A laundry appliance
KR100568521B1 (ko) 2004-06-16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0638938B1 (ko) * 2005-03-31 200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습도 센서 장착 구조
KR100672490B1 (ko) * 2006-04-1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 장치용 스팀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의류처리 장치
CA2599375C (en) * 2006-09-06 2011-06-21 Lg Electronics Inc.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KR101217968B1 (ko) * 2006-10-09 201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히터 제어 방법
WO2009026591A1 (en) * 2007-08-23 2009-02-26 Meb Ip, Llc Heat delivery system for a fabric care appliance
KR100989509B1 (ko) * 2008-04-23 2010-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1663610B1 (ko) * 2009-05-28 2016-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1667713B1 (ko) 2010-01-27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US8387274B2 (en) * 2010-07-16 2013-03-05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airflow in laundry dryer having variable air inlet
US8555522B2 (en) * 2010-10-21 2013-10-1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inlet temperature compensation
KR20120065628A (ko) 2010-12-13 201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US8561320B2 (en) * 2011-08-31 2013-10-2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atus of a drying cycle and for controlling a dryer
EP2581490B1 (en) * 2011-10-13 2018-04-0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64268A (ko) * 2011-12-08 201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78451B1 (ko) * 2013-12-02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2178454B1 (ko) * 2013-12-02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323B1 (ko) * 2003-04-28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건조기의 센서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4007A1 (en) 2015-06-11
KR20150063816A (ko) 2015-06-10
US9816223B2 (en) 2017-11-14
US20150152588A1 (en) 2015-06-04
US20160340822A1 (en) 2016-11-24
CN105793483B (zh) 2020-03-03
US9435070B2 (en) 2016-09-06
CN105793483A (zh)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451B1 (ko) 의류건조기
KR102178454B1 (ko) 의류건조기
KR100638938B1 (ko) 의류 건조기의 습도 센서 장착 구조
CN106574426B (zh) 衣物干燥机
EP3124684B1 (en) Laundry dryer
JP5799267B2 (ja) 衣類処理装置
KR20060120755A (ko) 응축수 저장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JP484452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20180363232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KR20180136687A (ko)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KR10220186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91822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EP3124683B1 (en) Laundry dryer
KR101012387B1 (ko) 캐비닛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장치
KR20050095434A (ko) 의류건조기
US20180363234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KR20100053036A (ko) 세탁기
KR10189161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5661530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89160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4024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36677A (ko)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KR20140099055A (ko) 드럼 세탁기
KR2013009458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60039307A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