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454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8454B1 KR102178454B1 KR1020130148647A KR20130148647A KR102178454B1 KR 102178454 B1 KR102178454 B1 KR 102178454B1 KR 1020130148647 A KR1020130148647 A KR 1020130148647A KR 20130148647 A KR20130148647 A KR 20130148647A KR 102178454 B1 KR102178454 B1 KR 102178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support member
- drying shelf
- shelf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8—Detachable or door-mounted drying arrangements for wash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캐비닛,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건조통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선반, 건조선반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로서, 건조선반의 일측을 캐비닛 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위치와, 지지부재가 건조선반에 안착되는 제 2 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건조선반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선반의 지지구조를 개선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열풍을 건조통 내로 강제 송풍시켜 건조통에 투입되어 있는 젖은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기본적으로 드럼세탁기와 그 외형에 있어 서로 비슷하며, 히터와 송풍팬을 통해 가열된 열풍을 건조통내로 강제 순환시켜 세탁물을 건조한다.
의류건조기는 전면에 도어가 마련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에 전후 방향으로 길기 설치된 원통 형상의 건조통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에 히터를 포함하여 공기를 열풍으로 변환시킨 후 건조통으로 안내하며 내부에 송풍팬이 설치되어 건조통에서 배출된 열풍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한다.
건조통의 내부에 젖은 세탁물은 건조한 열풍에 의해 수분을 빼앗기게 되고, 반복된 열풍의 순환에 의해 젖은 세탁물이 건조되어 세탁물이 건조하게 된다.
이 때, 여러 종류의 옷감이 뒤엉키면서 옷감이 늘어나거나 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건조기 내에서 건조를 하면 옷감이 쉽게 손상되는 경우, 또는 운동화와 같이 일반 세탁물과 동일하게 취급하여 세탁할 수 없는 세탁물은 따로 건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조선반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조를 개선한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상기 건조통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선반; 상기 건조선반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로서, 상기 건조선반의 일측을 상기 캐비닛 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건조선반에 안착되는 제 2 위치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건조선반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건조선반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선반은, 건조 대상물이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부가 힌지결합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이라 할때,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제 2 위치의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상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제 2 위치의 상기 지지부재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안착홈상에 마련되며, 인접한 상기 안착홈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는 이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통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원통부; 상기 건조통 내부로 건조된 공기가 유입되는 배출구를 갖고, 상기 원통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걸림부는 상기 배출구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선반은, 건조 대상물이 안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일 때,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와 둔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통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후면부에 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거치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건조선반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한 쌍의 거치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상기 건조통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선반; 상기 건조선반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갖고, 상기 건조선반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로서, 상기 건조선반을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건조선반에 안착되는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선반은, 건조 대상물이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부가 힌지결합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좌우방향인 제 1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가 둔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건조통의 후면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거치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건조통후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고정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상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대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 2 위치인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캐비닛;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부를 갖고,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하는 건조통;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베이스를 갖고, 상기 건조통의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선반; 상기 건조선반이 상기 후면부에 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메인지지부재; 일단은 상기 건조선반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은 상기 후면판에 지지되는 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을 상기 후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보조지지부재가 상기 건조선반에 안착되는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재는, 상기 보조지지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건조선반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기 보조지지부재가 안착하도록 인접한 상기 베이스 표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건조선반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외부충격이나 과도진동시에도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건조선반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외부충격이나 과도진동시에도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건조선반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면부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와 습기감지센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감지센서유닛에 관한 도면.
도 7,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제 1 위치에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제 2 위치에서의 도면.
도 11은 도 10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면부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와 습기감지센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감지센서유닛에 관한 도면.
도 7,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제 1 위치에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제 2 위치에서의 도면.
도 11은 도 10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캐비닛(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통(30)과, 건조통(3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40)와, 건조통(30) 내부로의 공기 순환을 위한 흡기유로(10) 와 배기유로(20) 및 송풍장치(28)를 포함한다.
건조통(30)은 원통부(33)와 후면부(32)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원통부(33)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원통부(33)의 전면에는 전면부(31)가 결합되며, 후면에는 후면부(32)가 설치된다.
캐비닛(1)의 전면과 전면부(31)에는 건조통(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a, 31a)가 형성되고, 캐비닛(1)의 전면에는 투입구(1a, 31a)를 개폐하는 도어(35)가 설치된다.
구동장치(40)는 캐비닛(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1)와, 구동모터(41)의 동력을 건조통(30)에 전달하는 풀리(42)와, 회전벨트(43)를 포함한다. 회전벨트(43)는 건조통(30)의 외면과 구동모터(41)의 축에 결합된 풀리(42)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흡기유로(10)는 건조통(30) 내부로 외기의 유입을 안내한다. 흡기유로(10)는 건조통(3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3)와 건조통(3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4)가 마련된 제1덕트(12)를 포함한다. 제1덕트(12)는 건조통(30)의 후면부(3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흡기유로(10)는 건조통(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덕트(12)와 결합되는 가열덕트(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덕트(11) 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2)가 설치된다.
배기유로(20)는 건조통(3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한다. 배기유로(20)는 전방부(31) 하부의 필터부재(100)와 건조통(30)의 하부에 설치된 송풍장치(28)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덕트(24)와, 송풍장치(28)의 출구와 캐비닛(1)의 후면 외측이 연통되도록 캐비닛(1)의 하측에 설치된 제2덕트(25)를 포함한다.
송풍장치(28)는 송풍장치 하우징(28b)과, 송풍장치 하우징(28b)의 내측에 위치하는 송풍팬(28a)을 포함한다. 송풍팬(28a)의 작동으로 인해 건조통(30) 내측의 습공기를 배출하거나 히터(2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방 덕트(24)에는 건조통(3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내부필터부재(26)가 설치된다. 내부필터부재(26)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 내부필터부재(26)를 전방 덕트(24)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27)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필터부재(26)의 주위로는 내부필터부재(26)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필터부재(1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면부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와 습기감지센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필터부재(100)는 건조통(30) 내부를 거친 건조한 공기가 젖은 세탁물을 거친 후 배출되면서, 전방덕트(24) 내부로 이물질이나 세탁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재(100)는 건조통(30)과 연통되어 건조통(30) 내부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전방덕트(24)와, 건조통(30)사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터부재(100)는 필터부재본체(110), 공기배출부(120), 센서안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본체(110)는 건조통(30)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통(30)의 전면 하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공기배출부(120)는 필터부재본체(110)상에 마련되어 건조통(30)을 거친 공기가 전방덕트(2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센서안착부(130)는 필터부재본체(110)상에 마련되며, 공기배출부(120)와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안착부(130)의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안착부(13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은 건조통(30) 내부에 배치되는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의 배치와 작동원리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필터부재(100)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은 습기감지센싱부(160)와 고정절곡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습기감지센싱부(160)는 건조통(30)의 내부에 대해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습기감지센싱부(160)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이 마련된다. 건조통(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세탁물이 습기감지센싱부(160)에 접하게 되면서 건조된 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젖은 세탁물이 한 쌍의 습기감지센싱부(160)에 접하게 되면 상호간에 통전이 되는 데, 그 정도를 측정하여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는 건조통(30)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간에 겹치지 않도록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의 단부는 상하방향인 제 1 방향(W1)에 대해 겹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습기감지센싱부(160)의 일단부가 인접한 습기감지센싱부(160)의 일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의 단부가 좌우방향인 제 2 방향(W2)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습기감지센싱부(160)에 의해 하부에 배치되는 습기감지센싱부(160)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절곡부(170)는 습기감지센싱부(160)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습기감지센싱부(160)가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고정절곡부(170)는 습기감지센싱부(160)와 함께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이 마련된다.
고정절곡부(170)는 습기감지센싱부(160)와 함께 통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절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고정절곡부(170)는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의 단부에 마련되므로, 습기가 누적되어 습기감지센서유닛(150)에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수명을 단축시키도록 할 수 있으므로 통풍이 되도록 개방된 공간인 제 1 공간(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공간(140)은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방되도록 배출개구(136)가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되어 습기가 누적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물이 배출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고정절곡부(170)는 좌우방향인 제 2 방향(W2)에 대해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절곡부(170)에 의해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절곡부(170)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재(100)에는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이 배치되도록 센서안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안착부(130)는 제 1 안착부(132)와, 제 2 안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착부(132)는 습기감지센싱부(160)가 안착되도록, 습기감지센싱부(160)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즉, 습기감지센싱부(160)의 형상에 대응되어 인접한 필터부재(100)의 표면보다 오목하게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습기감지센싱부(160)에 대응되어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1 안착부(132)는 건조통(30)의 회전방향에 따른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간에 겹치지 않도록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은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 1 안착부(132)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안착부(134)는 고정절곡부(170)가 안착되도록, 고정절곡부(170)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제 2 안착부(134)는 제 1 공간(140)과 동일한 구성이며, 제 1 공간(140)의 설명과 동일하다. 고정절곡부(170)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 2 안착부(134)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안착부(134)의 각각은 복수의 고정절곡부(1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후 설명하는 고정절곡부격벽(19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안착부(134)는 좌우방향인 제 2 방향(W2)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고정절곡부(170)에 대응하여, 제 2 방향(W2)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은 단자연결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연결부(180)는 습기감지센서유닛(150)으로부터 감지되는 세탁물의 건조된 정도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단자연결부(18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습기감지센싱부(16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형상을 가진다. 단자연결부(180)에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감지센서유닛에 관한 도면이다.
센서격벽(190)은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을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습기감지센서유닛(150)을 구획함으로서 물기를 머금은 린트나, 이물질이 사이에 끼게되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센서격벽(190)은 센싱부격벽(192)과 고정절곡부격벽(194)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격벽(192)은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1 안착부(132) 사이에는 센싱부격벽(192)이 마련될 수 있다.
센싱부격벽(192)은 제 1 안착부(132)에 안착된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 사이에 물기를 머금은 린트나, 이물질이 끼게되어 습기감지에 있어서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마련된다. 센싱부격벽(192)은 제 1 안착부(132)상에서 제 1 안착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 1 안착부(132)보다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센싱부격벽(19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안착부(132)에 안착된 복수의 습기감지센싱부(160)를 구획할 수 있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고정절곡부격벽(194)은 복수의 고정절곡부(170)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2 안착부(134) 사이에는 고정절곡부격벽(194)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절곡부격벽(194)은 제 2 안착부(134)에 안착된 복수의 고정절곡부(170) 사이에 물기를 머금은 린트나, 이물질이 끼게 되어 습기감지에 있어서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마련된다. 고정절곡부격벽(194)은 제 2 안착부(134)상에서 복수의 고정절곡부(170)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고정절곡부격벽(194)은 고정절곡부(170)가 제 2 안착부(134)로 삽입되는 투입공(138)이 마련되는 제 1 면(134a)으로부터 고정절곡부(170)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형성되어 복수의 고정절곡부(170)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면(134a)으로부터, 제 1 면(134a)과 마주보는 제 2 면(134b)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습기감지센싱부(160)는 제 1 안착부(132)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며, 고정절곡부(170)는 삽입공에 삽입되어 제 2 안착부(134)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고정절곡부(170)는 걸림경사면(17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경사면(172)은 고정절곡부(170)의 제 2 안착부(134)로의 삽입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필터부재(100)에 마련된 걸림턱(112)에 걸리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절곡부(170)가 제 2 안착부(134)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고정절곡부(170)가 삽입공을 통해 제 2 안착부(134)에 안착되면, 걸림경사면(172)이 걸림턱(112)에 걸림으로서, 고정절곡부(170)가 제 2 안착부(134)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배치에 관한 도면이다.
건조통(30)은 원통부(33)와 후면부(32)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원통부(33)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원통부(33)의 전면에는 전면부(31)가 결합되며, 후면에는 후면부(32)가 설치된다.
건조통(30)은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원통부(33)와 후면부(32)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통부(33)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후면부(32)는 고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원통부(33)의 내부에는 원통부(33)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프터(33a)가 배치될 수 있다. 리프터(33a)는 세탁물을 상승, 낙하시켜 세탁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한다.
건조선반(200)이 건조통(30)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건조선반(200)의 전단은 필터부재(100)에 지지되며, 건조선반(200)의 후단은 건조통(30)의 후면인 후면부(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건조선반(200)의 전단 및 후단이 모두 지지되므로 무거운 세탁물이 건조선반(200)에 얹혀지더라도 건조선반(200)은 안정적으로 세탁물을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잇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제 1 위치에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제 2 위치에서의 도면, 도 11은 도 10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건조선반(200)의 전단은 필터부재(100)에 지지되고, 후단은 건조통(30)의 후면인 후면부(32)에 지지된다. 필터부재(100)는 투입구(1a,31a)의 형상에 의해 상부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건조선반(200)의 전단에는 필터부재(100)의 상부에 안착하기 위해 필터부재(100) 상부형상에 대응되는 안착리브(202)가 마련될 수 있다.
건조선반(200)은 베이스(210), 거치돌기(220), 걸림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건조 대상물이 얹혀지도록 마련되며, 건조 대상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통공(212)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원통부(33)에 배치된 건조 대상물과 같이 회전을 통해 건조 대상물을 상승, 낙하 시켜 건조되는 것과는 달리, 건조선반(200)에 배치되는 건조 대상물은 베이스(210)에 얹혀진 상태로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선반(200)의 위치가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베이스(210)는 건조통(30) 내부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건조통(30) 내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치돌기(220)는 베이스(210)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건조선반(200)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거치돌기(220)는 베이스(210)로부터 건조통(30)의 후면부(32)를 향해 돌출형성되도록 마련된다. 거치돌기(220)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거치돌기(220)가 구비되어, 건조선반(200)의 후단 양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후면부(32)에는 거치돌기(2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건조통(3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안착부(32a)가 마련될 수 있다. 돌기안착부(32a)는 거치돌기(220)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돌기안착부(32a)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재(230)는 이후 설명하는 지지부재(250)가 건조선반(20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걸림부재(2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이후 설명하는 지지부재(250)의 회동부(252)가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건조선반(200)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x1)이라고 할 때, 걸림부재(230)는 제 1 방향(x1)에 수직한 제 2 방향(x2)으로 베이스(210)로부터 돌출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230)의 제 2 방향(x2)에 대한 연장선상에는 베이스(210)와의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지지부재(250)가 걸림부재(2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는 건조통(30) 내부에 안착된 건조선반(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건조선반(200)을 지지한다. 지지부재(250)는 건조선반(20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건조선반(200)을 지지하거나, 건조선반(200)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지지부재(250)는 건조선반(200)의 일측을 캐비닛(1) 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위치(P1)와, 지지부재(250)가 건조선반(200)에 안착되는 제 2 위치(P2)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지지부재(250)는 건조선반(2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건조선반(200)을 건조통(30) 내부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1 위치(P1)로 회동시켜 건조선반(200)을 지지하도록 하고, 건조선반(200)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에는 제 2 위치(P2)로 회동시켜 건조선반(200)에 안착되도록 한다.
지지부재(250)는 회동부(252), 지지대(254)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252)는 건조선반(200)에 일측에 지지부재(250)가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를 회동가능하도록한다. 회동부(252)는 걸림부재(230)에 회동가능하게 걸리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부(252)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250)는 회동부(252)를 통해 건조선반(200)에 힌지결합되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를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동부(252)를 통해 지지부재(250)는 제 2 방향(x2)을 중심축으로 회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지지대(254)는 회동부(252)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건조선반(2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회동부(252)로부터 연장형성되고 건조통(30)의 후면부(32)에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건조선반(200)을 지지하게 된다. 지지대(254)는 건조선반(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건조선반(200)과, 건조선반(200)위에 얹혀지는 건조 대상물을 지탱하게 된다. 그러나 건조선반(200)이 상하좌우방향으로 이탈될 수도 있으므로, 단단한 막대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건조선반(200)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지지부재(250)는 고정걸림부(2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걸림부(256)는 지지대(254)의 단부에 마련되어 건조통(30)의 후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지지대(254)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된다.
고정걸림부(256)는 건조통(30)의 후면에 걸리도록 구비되어, 건조통(30)의 회전이나 진동에 의해 건조선반(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고정걸림부(256)에 대응되는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통(30)의 내부로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는 배출구에 걸리도록 마련된다.
건조선반(200)은 안착홈(240)과 고정돌기(24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240)은 지지부재(250)가 제 2 위치(P2)에 배치되는 경우 즉, 건조선반(200)에 안착되는 경우 지지부재(250)가 건조선반(200)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인접한 건조선반(200)의 표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40)은 지지부재(250)의 길이에 대응되어 길게 형성되며, 지지부재(250)가 제 2 위치(P2)로 배치되는 경우 지지부재(25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정도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242)는 안착홈(240)에 안착된 지지부재(250)를 고정하도록 마련된다. 고정돌기(242)는 한 쌍이 마련되어, 지지부재(25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한 쌍의 고정돌기(242)는 탄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지지부재(250)의 삽입시에는 이격되고, 이탈시에는 다시 원위치가 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고정돌기(242)는 그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242a)가 구비되어, 고정돌기(242)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재(25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재(250)가 안착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2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홈(240)상에는 길이방향의 수직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이격홈(244)이 마련될 수 있다. 이격홈(244)은 인접한 안착홈(240)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사용자가 지지부재(250)를 안착홈(24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손가락을 삽입하여 지지부재(250)를 잡을 수 있도록 인접한 안착홈(240)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선반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회동부(252)에는 삽입공(252a)이 마련되어 지지부재(250)가 걸림부재(230)에 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걸림부재(230)의 중단에는 인접한 표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된 회동안착부(232)가 마련되어, 회동부(252)가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림부재(230)의 단부에는 회동안착부(2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회동삽입부(234)가 마련되어 회동부(252)가 걸림부재(230)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가 제 1 위치(P1)에 배치되는 경우, 지지부재(250)는 베이스(210)와 둔각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와 베이스(210)가 둔각으로 배치됨에 따라, 거치돌기(220)가 안착돌기로부터 이탈하더라도 건조선반(200)과 건조선반(200) 위에 얹혀지는 건조대상물의 무게중심을 베이스(210)의 후방측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서 건조선반(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해 다른 관점에서 이를 설명한다.
의류건조기는 캐비닛(1), 캐비닛(1) 내측에 위치하는 건조통(30), 건조통(30)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선반(200), 건조선반(200)을 지지하는 메인지지부재(270)와 보조지지부재(280)를 포함한다.
중복되는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메인지지부재(270)와 보조지지부재(280)는 각각 거치돌기(220)와 지지부재(250)와 동일한 구성이다. 메인지지부재(270)는 베이스(2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건조통(30)의 후면부(32)에 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된다. 보조지지부재(280)는 일단이 건조선반(20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은 후면부(32)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캐비닛 10 : 흡기유로
20 : 배기유로 30 : 건조통
40 : 구동장치
100 : 필터부재 110 : 필터부재본체
120 : 공기배출부 130 : 센서안착부
132 : 제 1 안착부 134 : 제 2 안착부
136 : 배출개구 140 : 제 1 공간
150 : 습기감지센서유닛 160 : 습기감지센서부
170 : 고정절곡부 172 : 걸림경사면
180 : 단자연결부 190 : 센서격벽
192 : 센싱부격벽 194 : 고정절곡부격벽
200 : 건조선반 202 : 안착리브
210 : 베이스 212 : 통공
220 : 거치돌기 230 : 걸림부재
232 : 회동안착부 234 : 회동삽입부
242 : 고정돌기 242a : 이탈방지돌기
244 : 이격홈 250 : 지지부재
252 : 회동부 252a : 삽입공
254 : 지지대 256 : 고정걸림부
270 : 메인지지부재 280 : 보조지지부재
20 : 배기유로 30 : 건조통
40 : 구동장치
100 : 필터부재 110 : 필터부재본체
120 : 공기배출부 130 : 센서안착부
132 : 제 1 안착부 134 : 제 2 안착부
136 : 배출개구 140 : 제 1 공간
150 : 습기감지센서유닛 160 : 습기감지센서부
170 : 고정절곡부 172 : 걸림경사면
180 : 단자연결부 190 : 센서격벽
192 : 센싱부격벽 194 : 고정절곡부격벽
200 : 건조선반 202 : 안착리브
210 : 베이스 212 : 통공
220 : 거치돌기 230 : 걸림부재
232 : 회동안착부 234 : 회동삽입부
242 : 고정돌기 242a : 이탈방지돌기
244 : 이격홈 250 : 지지부재
252 : 회동부 252a : 삽입공
254 : 지지대 256 : 고정걸림부
270 : 메인지지부재 280 : 보조지지부재
Claims (23)
-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및
상기 건조통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선반; 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통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개방된 후면을 커버하고,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선반은 건조 대상물을 올려 놓기 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거치돌기, 및 상기 건조선반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한 쌍의 거치돌기에 대응하는 한 쌍의 돌기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건조선반과 결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건조선반의 일측을 상기 캐비닛 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건조선반에 안착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건조선반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건조선반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부가 힌지결합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이라 할때,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제 2 위치의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 상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제 2 위치의 상기 지지부재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안착홈 상에 마련되며, 인접한 상기 안착홈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는 이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건조통 내부로 건조된 공기가 유입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걸림부는 상기 배출구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일 때,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와 둔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삭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한 쌍의 거치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및
상기 건조통 내부에 마련되는 건조선반; 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통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개방된 후면을 커버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마련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선반은 건조 대상물을 올려 놓기 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거치돌기, 및 상기 건조선반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한 쌍의 거치돌기에 대응하는 한 쌍의 돌기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건조선반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갖고, 상기 건조선반을 상기 건조통의 후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건조선반에 안착되는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부가 힌지결합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좌우방향인 제 1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가 둔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삭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건조통 후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고정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 상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대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 2 위치인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캐비닛;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개방된 후면을 커버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마련되는 후면부를 갖고,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하는 건조통;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베이스를 갖고, 상기 건조통의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선반;
상기 건조선반이 상기 후면부에 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거치돌기; 및
일단은 상기 건조선반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은 상기 후면부에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한 쌍의 거치돌기에 대응하는 한 쌍의 돌기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을 상기 후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건조선반에 안착되는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건조선반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선반은,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하도록 인접한 상기 베이스 표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8647A KR102178454B1 (ko) | 2013-12-02 | 2013-12-02 | 의류건조기 |
US14/554,507 US9822479B2 (en) | 2013-12-02 | 2014-11-26 | Clothing dryer |
PCT/KR2014/011645 WO2015084006A1 (en) | 2013-12-02 | 2014-12-01 | Clothing dryer |
CN201480073561.2A CN105917041B (zh) | 2013-12-02 | 2014-12-01 | 干衣机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8647A KR102178454B1 (ko) | 2013-12-02 | 2013-12-02 | 의류건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3817A KR20150063817A (ko) | 2015-06-10 |
KR102178454B1 true KR102178454B1 (ko) | 2020-11-13 |
Family
ID=5326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8647A KR102178454B1 (ko) | 2013-12-02 | 2013-12-02 | 의류건조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822479B2 (ko) |
KR (1) | KR102178454B1 (ko) |
CN (1) | CN105917041B (ko) |
WO (1) | WO20150840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8451B1 (ko) * | 2013-12-02 | 2020-11-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건조기 |
EP3162952B1 (en) | 2015-10-26 | 2019-04-03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Laundry drying appliance with capacitive laundry drying degree sensing function |
US10266985B2 (en) * | 2016-06-03 | 2019-04-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llapsible drying rack for laundry dryer |
PL3562991T3 (pl) * | 2016-12-28 | 2022-01-03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Urządzenie do prania zawierające czujnik wilgotności |
AU2016434982B2 (en) | 2016-12-28 | 2023-09-28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Appliance with reliable information of a drying cycle |
CN107164932B (zh) * | 2017-06-21 | 2023-07-14 |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 干燥架及具有其的干衣机 |
WO2019037310A1 (zh) * | 2017-08-25 | 2019-02-28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干衣机 |
US10738409B2 (en) | 2017-10-31 | 2020-08-11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ensor |
CN109797531A (zh) * | 2017-11-17 | 2019-05-24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一种干衣机湿度传感器的安装结构及干衣机 |
US10774462B2 (en) | 2017-12-08 | 2020-09-15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separate container |
US10398285B2 (en) * | 2018-01-26 | 2019-09-03 | Jason E. Blackman | Stationary rack attachable to a clothes dryer |
WO2019170233A1 (en) | 2018-03-07 | 2019-09-12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Appliance with capacitive humidity sensor |
EP3762532B1 (en) * | 2018-03-07 | 2023-10-18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Laundry appliance with user sensing functionality |
CN110952293A (zh) * | 2018-09-26 | 2020-04-03 |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 干衣架及干衣机 |
KR20220079319A (ko) | 2020-12-04 | 2022-06-13 | 주식회사 대창 | 열 공급 모듈 |
CN113584828A (zh) * | 2021-08-30 | 2021-11-02 | 创维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可折叠的干衣机支架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2499A (ja) * | 2000-03-14 | 2001-09-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衣類乾燥具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95231A (en) * | 1987-09-14 | 1990-01-23 | Sharp Kabushiki Kaisha | Carrying case |
JPH04307096A (ja) * | 1991-04-02 | 1992-10-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衣類乾燥機 |
KR101067770B1 (ko) | 2003-12-10 | 2011-09-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건조기용 건조랙의 구조 |
KR101067956B1 (ko) | 2003-12-10 | 2011-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 선반이 구비된 건조기 |
US7126084B2 (en) * | 2004-05-20 | 2006-10-24 | Campbell Hausfeld/Scott Fetzer Company | Welder |
KR101100160B1 (ko) * | 2004-07-20 | 2011-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건조기용 건조랙의 구조 |
KR100634793B1 (ko) | 2004-10-06 | 2006-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건조기 |
ITPN20050004U1 (it) | 2005-02-10 | 2006-08-11 | Electrolux Home Prod Corp | Asciugabiancheria domestica con cesto perfezionato |
KR101225502B1 (ko) * | 2005-10-20 | 2013-0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건조기 |
KR20100041032A (ko) * | 2008-10-13 | 2010-04-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건조기 |
US8201687B2 (en) * | 2010-04-22 | 2012-06-19 | Atoz Design Labs Co., Limited | Tablet PC cover with stowable input device |
US20120211453A1 (en) * | 2011-02-17 | 2012-08-23 |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 Appliance with a support rack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elements |
-
2013
- 2013-12-02 KR KR1020130148647A patent/KR1021784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11-26 US US14/554,507 patent/US9822479B2/en active Active
- 2014-12-01 CN CN201480073561.2A patent/CN105917041B/zh active Active
- 2014-12-01 WO PCT/KR2014/011645 patent/WO201508400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2499A (ja) * | 2000-03-14 | 2001-09-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衣類乾燥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153104A1 (en) | 2015-06-04 |
KR20150063817A (ko) | 2015-06-10 |
CN105917041B (zh) | 2018-08-14 |
US9822479B2 (en) | 2017-11-21 |
WO2015084006A1 (en) | 2015-06-11 |
CN105917041A (zh) | 2016-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8454B1 (ko) | 의류건조기 | |
KR102178451B1 (ko) | 의류건조기 | |
EP2287387B1 (en) | Dryer door and dryer comprising the same | |
CN106574426B (zh) | 衣物干燥机 | |
KR102656144B1 (ko) | 세탁기 | |
EP2175064B1 (en) | Clothing dryer | |
KR101180532B1 (ko) | 응축수 저장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 |
US20060086001A1 (en) |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 |
BR112012028154B1 (pt) | método de controle de equipamento para tratamento de roupas | |
KR20100040478A (ko) |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 |
EP3124676A1 (en) | Method to position a rack in a laundry dryer and laundry dryer including a rack | |
WO2006004264A1 (en) | Drum washing machine | |
JP4844525B2 (ja) | ドラム式洗濯乾燥機 | |
ES2371481T3 (es) | Instalación de almacenamiento para el almacenamiento de artículos húmedos en un tambor de una secadora de colada y tambor de una secadora. | |
KR102201860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조립방법 | |
KR101033599B1 (ko) |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012387B1 (ko) | 캐비닛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장치 | |
KR102360869B1 (ko) | 의류 건조기 | |
EP3124683B1 (en) | Laundry dryer | |
KR101143765B1 (ko) | 건조기의 건조 선반구조 | |
JP5457719B2 (ja) | 衣類乾燥機 | |
KR20100053036A (ko) | 세탁기 | |
KR101067956B1 (ko) | 건조 선반이 구비된 건조기 | |
KR101012947B1 (ko) | 건조기의 건조 선반구조 | |
KR100585324B1 (ko) | 의류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