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324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324B1
KR100585324B1 KR1020040095998A KR20040095998A KR100585324B1 KR 100585324 B1 KR100585324 B1 KR 100585324B1 KR 1020040095998 A KR1020040095998 A KR 1020040095998A KR 20040095998 A KR20040095998 A KR 20040095998A KR 100585324 B1 KR100585324 B1 KR 10058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ifter
rotating drum
groove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6804A (ko
Inventor
황성하
변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324B1/ko
Publication of KR20060056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6Target humidity for the drying process, e.g. very-dry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드럼 내에 세탁물을 걸어서 고정하기 용이하고, 복수의 세탁물을 함께 고정할 수 있는 보조건조장치를 갖춘 의류건조기를 개시한 것이다.
개시한 의류건조기는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복수의 리프터를 갖춘 회전드럼과, 회전드럼 내에 세탁물을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건조장치를 포함하며, 보조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망과, 건조망의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걸이부재를 포함하고, 리프터들은 걸이부재들을 걸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걸이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es Dry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보조건조장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리프터와 보조건조장치의 걸이부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부케이스, 12: 도어,
20: 회전드럼, 22: 전방지지판,
23: 후방지지판, 30: 구동장치,
40: 흡입유로, 50: 배기유로,
60: 송풍장치, 70: 보조건조장치,
71: 건조망, 72: 걸이부재,
75: 걸이홈, 76: 고정홈.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회전드럼 내에 걸어 지지할 수 있는 보조건조장치를 갖춘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물이 수용된 회전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가운데 회전드럼의 내부로 열풍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세탁물이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관계로 세탁물에 충격이 가해지고 세탁물이 꼬이거나 뭉치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연약하고 섬세한 세탁물의 경우 건조과정에서 심한 구김이나 손상이 생길 수 있었다. 따라서 연약하고 섬세한 세탁물을 건조할 때는 회전드럼 내에 세탁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보조건조장치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66890호(2000년 11월 01일 공고)에는 의류건조기에서 사용하는 보조건조장치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보조건조장치는 의류를 수납한 상태로 드럼 내에 설치되는 망상의 자루부재와, 자루부재를 드럼 내에 고정시키는 폭이 넓은 핀치들과, 핀치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드럼 내면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180도 위치)에 마련되는 소형 배플들을 구비하고 있다. 자루부재를 드럼 내에 고정시킬 때는 자루부재를 삼각단면 형태를 이루도록 접은 후 양측의 핀치들이 드럼 내면의 배플들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건조장치는 세탁물이 담긴 자루부재를 접은 상태에서 드럼 내에 고정하는 구조이고, 폭이 넓은 핀치들이 드럼의 축 방향으로 고정되는 구 조이기 때문에 드럼 내에 여러 벌의 세탁물을 함께 고정시켜 건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보조건조장치는 자루부재를 드럼 내에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배플들을 마련해야 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드럼 내에 세탁물을 걸어서 고정하기 용이할 뿐 아니라 복수의 세탁물을 함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건조장치를 갖춘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복수의 리프터를 갖춘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 내에 세탁물을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망과, 상기 건조망의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걸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들은 상기 걸이부재들을 걸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걸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걸이부재는 상기 걸이홈에 진입하여 걸리는 T형 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터의 걸이홈은 상기 T형 걸이부가 걸릴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T형으로 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터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에는 상기 고정홈에 진입하여 걸리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홈은 상기 T형 걸이부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의 단부 쪽이 개방되며, 상기 리프터의 단부에는 상기 걸이홈의 개방부를 덮는 마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망은 대응하는 크기의 제1면과 제2면이 겹치도록 접히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의 둘레부분이 상호 착탈 가능한 접착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20), 회전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 회전드럼(20) 내부로의 공기 순환을 위한 흡기유로(40)와 배기유로(50), 그리고 송풍장치(60)를 포함한다.
회전드럼(2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세탁물을 상승시켜 낙하시키도록 내면에 산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리프터(21)를 구비한다. 또 외부케이스(10)의 내측에는 회전드럼(20)의 전면 및 후면개방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전면 및 후면개방부를 덮도록 외부케이스(10)의 전면부 내측과 후면부 내측에 각각 고정되는 전방지지판(22)과 후방지지판(23)이 설치된다.
전방지지판(22)과 후방지지판(23)에는 회전드럼(20)의 전면개방부와 후면개방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드럼(20)의 전면개방부와 후면개 방부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돌출하는 전방지지턱(24)과 후방지지턱(25)이 마련된다. 또한 전방 및 후방지지턱(24,25)과 회전드럼(20) 사이에는 회전드럼(20)의 회전 시 마찰을 줄이는 부직포 등의 마찰감소부재(26)가 개재되고, 전방지지판(22)과 후방지지판(23) 하부에는 회전드럼(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롤러들(27)이 설치된다.
외부케이스(10)의 전면(11)과 전방지지판(22)에는 회전드럼(20)의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한 개구들(11a,22a)이 형성되고, 외부케이스(10)의 전면(11)에는 이러한 개구들(11a,22a)을 개폐하는 도어(12)가 설치된다.
회전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는 외부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31)의 동력을 회전드럼(20)에 전달하는 풀리(32)와 회전벨트(33)를 포함한다. 회전벨트(33)는 회전드럼(20)의 외면과 구동모터(31)의 축(34)에 결합된 풀리(32)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흡기유로(40)는 회전드럼(20) 내부로 외기의 유입을 안내한다. 이 흡기유로(40)는 회전드럼(20) 하부의 외부케이스(10) 내에 설치되는 하부 흡기덕트(41), 후방지지판(23) 상부에 형성되는 흡입구(23a)와 하부 흡기덕트(41)를 연결하기 위해 후방지지판(23)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흡기덕트(4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흡기덕트(41) 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3)가 설치된다.
배기유로(50)는 회전드럼(20) 내부공기의 배출을 안내한다. 이 배기유로(50)는 전방지지판(22) 하부의 배기구(22b)와 회전드럼(20)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장치(60)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배기덕트(51), 송풍장치(60)의 출구와 외부케이스(10)의 후면부 외측이 연통하도록 외부케이스(10)의 하측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후방 배기덕트(52)를 포함한다.
송풍장치(60)는 회전드럼(2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1)의 축(34, 풀리 반대편으로 연장된 축)에 설치된 송풍팬(61)과, 송풍팬(61)의 주위를 감싸며 전방 및 후방 배기덕트(51,52)와 각각 연결되는 입구(62a)와 출구(62b, 도 2 참조)를 갖춘 송풍케이스(6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인 의류의 건조를 수행할 때 구동모터(31)의 동작에 의해 회전드럼(2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회전드럼(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드럼(20)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이 상승하였다가 낙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동시에 회전드럼(20) 내부로 외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회전드럼(20) 내부의 세탁물이 빠르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기의 송풍동작은 회전드럼(20) 내부의 습공기가 전방 배기덕트(51), 송풍케이스(62), 후방 배기덕트(5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공기만큼의 새로운 공기가 하부 흡기덕트(41)와 후방 흡기덕트(42)를 통하여 회전드럼(2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부 흡기덕트(4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히터(43)를 통해 가열된 후 회전드럼(20) 내부로 유입되므로 세탁물을 빠르게 건조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연약하고 섬세한 세탁물을 건조하는 경우 세탁물을 회전드럼(2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회전드럼(20) 내에 설치되는 보조건조장치(70)를 포함한다.
보조건조장치(7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물을 펼친 상태로 수용하는 건조망(71)과, 건조망(71)의 둘레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이부재(72)를 포 함한다. 그리고 회전드럼(20) 내의 각 리프터(21)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건조장치(70)를 회전드럼(2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이홈(75)과 고정홈들(76)이 형성된다.
건조망(7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격자형 망체로 이루어지며, 상호 대응하는 크기의 제1면(711)과 제2면(712)이 겹치도록 구성된다. 또 제1면(711)과 제2면(712)의 둘레부분에는 세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호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일명 벨크로테이프라 불리는 접착천(713)이 마련된다. 이는 건조망(71)의 제1면(711)과 제2면(712)이 분리되도록 펼친 상태에서 건조망(71) 내에 세탁물을 펴 넣은 후 접착천(713)을 통해 제1면(711)과 제2면(712)의 둘레를 부착시킴으로써 세탁물을 펼친 상태로 수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걸이부재들(72)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망(71)의 둘레부분에 연결 끈(721)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걸이부재(72)는 금속 또는 수지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리프터(21)의 걸이홈(75)에 진입하여 걸리는 T형 걸이부(722)와, 리프터(21)의 고정홈(76)에 진입하여 걸리는 고정돌기(724)가 마련된 고정부(723)를 포함한다. 고정부(723)는 T형 걸이부(722)와 연결되며 T형 걸이부(722)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된다. 또 고정부(723)는 고정돌기(724)가 그 단부 쪽에 마련되고 고정돌기(724)를 리프터(21)의 고정홈(76)에 착탈 시킬 수 있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걸이부재(72)를 결합을 위해 각 리프터(21)에 마련되는 걸이홈(75)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리프터(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T형 홈으로 이루 어지며, 걸이부재(72)의 T형 걸이부(722)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리프터(21)의 단부 쪽이 개방된다. 또 리프터(21)의 단부에는 걸이홈(75)의 개방부를 덮을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77)가 설치된다. 또한 마개(77)에는 착탈 가능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후크 형태로 된 결합턱들(771)이 형성되고, 리프터(21)의 단부에는 결합턱(771)과 결합을 이루는 결합홈들(772)이 형성된다.
리프터(21)의 고정홈들(76)은 걸이부재(72)의 고정돌기(724)가 진입하여 걸릴 수 있도록 리프터(21)의 외면 양측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리프터(2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건조망(71)에 세탁물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각 걸이부재(72)를 각 리프터(21)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걸이부재(72)를 고정시킬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21) 단부의 마개(77)를 분리한 후, 걸이부재(72)의 T형 걸이부(722)가 걸이홈(75)의 개방된 단부 쪽으로부터 걸이홈(75)에 진입하도록 걸어준다. 이때 T형 걸이부(722)는 걸이홈(7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걸이부재(72)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걸이부재(72)의 고정돌기(724)가 리프터(21)의 고정홈(76)에 걸리도록 하면 걸이부재(72)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걸이부재(72)의 고정이 완료된 후에는 리프터(21)의 마개(77)를 닫아준다. 이렇게 하면, 건조망(7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20) 내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터(21)의 걸이홈(75)이 리프터(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리프터(21) 외면에 복수의 고정홈들(76)이 마련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 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세탁물을 회전드럼(20) 내에 함께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보조건조장치(70)를 이용하여 복수의 세탁물을 함께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걸이부재(72)의 T형 걸이부(722)가 리프터(21)의 걸이홈(75)에 걸린 상태에서 T형 걸이부(722)를 리프터(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간격이 조절된 후에는 걸이부재(72)의 고정돌기(724)를 리프터(21)의 고정홈(76)에 진입시켜 걸리도록 함으로써 걸이부재(72)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회전드럼의 리프터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T형 걸이홈을 구비하고, 걸이부재의 T형 걸이부를 T형 걸이홈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이 담긴 건조망을 회전드럼 내에 고정시키기 용이할 뿐 아니라 건조망의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회전드럼의 내에 복수의 건조망을 함께 고정시킬 수 있어 다수의 세탁물을 함께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이부재의 고정돌기가 리프터의 고정홈에 고정되기 때문에 건조를 수행하는 동안 회전드럼이 회전하더라도 건조망들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유지시킬 수 있어 건조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복수의 리프터를 갖춘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 내에 세탁물을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건조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건조망과, 상기 건조망의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걸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들은 상기 걸이부재들을 걸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걸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이부재는 상기 걸이홈에 진입하여 걸리는 T형 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터의 걸이홈은 상기 T형 걸이부가 걸릴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T형으로 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에는 상기 고정홈에 진입하여 걸리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은 상기 T형 걸이부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의 단부 쪽이 개방되며, 상기 리프터의 단부에는 상기 걸이홈의 개방부를 덮는 마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망은 대응하는 크기의 제1면과 제2면이 겹치도록 접히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의 둘레부분이 상호 착탈 가능한 접착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40095998A 2004-11-22 2004-11-22 의류건조기 KR10058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998A KR100585324B1 (ko) 2004-11-22 2004-11-22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998A KR100585324B1 (ko) 2004-11-22 2004-11-22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804A KR20060056804A (ko) 2006-05-25
KR100585324B1 true KR100585324B1 (ko) 2006-06-01

Family

ID=3715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998A KR100585324B1 (ko) 2004-11-22 2004-11-22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3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804A (ko)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454B1 (ko) 의류건조기
EP2287387A2 (en) Dryer door and dryer comprising the same
KR20060097239A (ko) 의류 건조기와 의류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방법
EP271145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05144151A (ja) 衣類乾燥機
JP2015000153A (ja) 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KR100732550B1 (ko) 의류건조기
KR20100120048A (ko) 의류 건조기
KR101225502B1 (ko) 의류건조기
KR20100094726A (ko) 건조기
JP567170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585324B1 (ko) 의류건조기
KR101059814B1 (ko) 의류건조기
EP2990520B1 (en) Laundry dryer including a heat pump system
KR100643699B1 (ko) 의류건조기
KR100751785B1 (ko) 옷걸이 착탈식 리프터가 구비되는 건조기
JP2012071069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KR101034195B1 (ko) 의류건조기
KR10220186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2373024B1 (ko) 의류 건조기
JP4639552B2 (ja) 洗濯乾燥機
KR100634793B1 (ko) 의류건조기
KR20030041385A (ko) 의류건조기
JP2010075216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KR100610664B1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