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27A -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 Google Patents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27A
KR20190000327A KR1020180123441A KR20180123441A KR20190000327A KR 20190000327 A KR20190000327 A KR 20190000327A KR 1020180123441 A KR1020180123441 A KR 1020180123441A KR 20180123441 A KR20180123441 A KR 20180123441A KR 20190000327 A KR20190000327 A KR 20190000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api
information
calculator
pl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302B1 (ko
Inventor
강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재무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재무컨설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재무컨설팅
Priority to KR1020180123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3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과 이를 기반으로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여,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단말기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는 가입회원의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 계정모듈과, 상기 가입회원의 재무정보를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오픈 API로부터 수집하기 위한 재무정보 수집모듈과,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재무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 DB를 포함하며, 상기 자산관리 계정모듈에서는 가입회원을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로 구분하여 관리하되,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에서는 상기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컨설팅 연계가 이루어진 경우, 재무설계사가 연계된 금융소비자에 한하여 상기 오픈 API를 통해 수집되는 재무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비대면 연계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계된 금융소비자에 대한 재무설계사의 컨설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A financial design platform using open API and financial planner matching method using of the same }
본 출원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 번호 10-2017-0079282호의 분할출원이며, 본 발명은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비대면 연계를 위한 기술로,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과 이를 기반으로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무관리(Financial Management)는 금융기관의 예금 등 부채가 주어진 것으로 보고 금융기관의 유동성, 안정성 및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종 자산을 어떻게 보유하고 관리할 것인가를 말하며, 최근에는 기업은 물론 일반인들도 자신의 재무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증식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금융 지식이 부족한 기업이나 특히, 개인의 경우에는 자산 위험, 신용 위험, 시장 위험, 금리 위험, 유동성 위험 등의 각종 재무 위험의 함정에 빠지기 쉽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전문적인 금융 지식을 보유한 재무설계사가 기업 또는 개인과 연계되어 재무 위험을 방지하면서 재무자원의 증식을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상기 재무설계사는 고객의 생활환경, 재무상황 및 장래계획을 파악하여 고객의 생애주기에 적합한 금융 및 자산설계를 지원하고 보험상품, 펀드, 은행상품, 대출 등 고객에게 적합한 솔루션을 권유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재무설계사는 고객의 가족구성, 직업 등의 생활환경과 수입, 지출, 자산, 부채 등의 재무상황을 파악한다.
이와 같이 파악한 정보를 토대로 고객의 결혼계획, 자녀교육계획, 자녀결혼계획 등의 장래계획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위험관리, 저축 및 투자계획, 증여 및 상속, 노후자금관리, 세금대책 등에 대하여 상담한다.
또한, 고객의 목표달성을 위한 단기 및 중장기 솔루션으로서 보험, 펀드, 은행상품, 대출 등을 설명하고 가입을 권유하며, 고객이 원하면 상품가입 혹은 계약 등의 절차를 설명한다.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한 후에는 고객의 투자방침, 위험관리, 절세 등의 전반적인 자산설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펀드가입자에게는 수익상황 동향을 수시로 분석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업을 위해서는 재무설계사와 기업 또는 개인이 직접 대면하거나 온라인을 통해 다수의 관련 서류를 작성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재무분석을 위한 정보의 작성 시에는 기재항목의 수가 상당하며 기입 정보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은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개인의 경우에는 관련 서류의 작성에 대한 거부감을 가짐에 따라 재무설계사의 영업활동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60062 “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에는 고객으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고객의 전체 자산을 분석하여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위험플랜과 재무목표 플랜을 분석 및 설계하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고객에게 필요한 금융상품을 효율적으로 추천해줌으로써 고객에 대한 종합적인 자산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여전히 자산 정보를 고객이 직접 입력 또는 제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컨설팅 시스템 설계 구조에 따른 분석만 가능할 뿐 재무설계사와 같은 전문가의 종합적인 컨설팅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0-0072653 “ 개인자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에서도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금융업무처리용 클라이언트 서버,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웹 통합 서버, 금융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시스템 등의 자원을 통합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금융/비금융 개인자산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자산현황에 대한 사용자입력 없이 금융거래 실적을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자산변동 내역과 수입/지출에 대한 거래 기록 관리가 가능한 이점은 있으나, 상당한 규모의 시스템 구성이 요구되며 재무설계사를 통한 종합적인 컨설팅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KR 10-0760062 B1 KR 2000-0072653 A1
본 발명의 목적은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를 효율적으로 연결시켜 재무컨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를 연계시키기 위한 재무설계사 연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여,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단말기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는 가입회원의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 계정모듈과, 상기 가입회원의 재무정보를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오픈 API로부터 수집하기 위한 재무정보 수집모듈과,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재무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 DB를 포함하며, 상기 자산관리 계정모듈에서는 가입회원을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로 구분하여 관리하되,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에서는 상기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컨설팅 연계가 이루어진 경우, 재무설계사가 연계된 금융소비자에 한하여 상기 오픈 API를 통해 수집되는 재무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는 은행 공동 오픈 플랫폼과 증권사 오픈 플랫폼 및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포탈이 포함되어 가입된 금융소비자의 재무정보와 함께 금융소비자에게 제공할 금융관련 정보의 수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는 국세청 오픈 플랫폼이 더 포함되어 금융소비자의 소득공제증명 정보의 수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는 설문항목을 통해 수집되는 금융소비자의 성향정보가 포함되며, 상기와 같이 수집되는 성향정보는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의 컨설팅 연계시 재무설계사에게 재무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에 있어서,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통해 재무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설치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금융소비자 및 재무설계사의 회원가입이 수행되며, 회원가입 이후 컨설팅 연계를 위한 금융소비자 및 재무설계사의 부가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부가정보의 노출 여부와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연계 요청 여부가 선택되며, 선택된 정보에 따른 금융소비자의 연계대상 LIST가 구성되는 선택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선택단계에서 연계 요청이 이루어진 금융소비자의 LIST가 재무설계사의 알림 항목에 노출되고, 노출된 금융소비자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연계가 수락되는 연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계단계를 통해 연계가 이루어진 재무설계사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오픈 API를 통해 연계된 금융소비자의 실시간 재무정보를 조회하여 재무관리 컨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단계에서는 회원가입자가 금융소비자일 경우 적어도 비재무성향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단계가 더 수행되며, 상기 설문단계에서는 금융소비자의 부채에 대한 생각, 투자시 고려사항, 지출시 심리, 가족 관련 사항, 노후관련 설문 항목을 통해 설문항목에 대한 총점을 수집하고, 수집결과를 분석하여 재무관리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성향이 분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활용하면 은행권, 증권사, 금융감독원 및 국세청 등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를 통해 금융소비자가 직접 입력하는 재무관련 정보가 상당부분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픈 API를 통해 수집되는 재무 정보는 조회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며, 금융소비자가 입력한 정보가 아닌 관련 기관의 신뢰도 높은 재무 정보를 활용함에 따라 조회 결과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금융소비자가 관련 설문항목을 통해 자신의 재무성향과 비재무성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입력된 설문항목은 점수로 환산되어 종합적인 재무성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무설계사가 금융소비자의 재무 성향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재무설계사는 금융소비자의 재무성향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재무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활용하는 재무설계사는 오픈 API를 활용하여 다양하고 정확한 금융정보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연계된 금융소비자에게 재무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고객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활용할 경우 개인적인 접근이 어려운 오픈 API를 통해 금융소비자의 보다 정확한 재무 정보에 접근할 수 있으며, 재무설계사는 이와 같은 구조를 활용하여 금융상품의 판매를 통한 수익 창출 이외에도 자문료 및 관리수수료 등의 항목으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통한 재무정보의 수집 및 조회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가 연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20은 금융소비자 및 재무설계사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도 3 은 로딩과 로그인 및 회원가입을 안내하기 위하여 도시되는 실행화면.
도 4 는 프로필관리 및 자격관리를 안내하기 위하여 도시되는 실행화면.
도 5 는 금융소비자의 재무성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시되는 실행화면.
도 6 및 도 7 은 도 5의 실행화면에서 도시되는 설문항목을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별 카테고리 확인을 위하여 도시되는 실행화면.
도 9 는 재무알리미 기능의 선택 조작에 따른 실행화면.
도 10 내지 도 14 는 재무설계사와 연계된 금융소비자의 조회 항목별 재무 상태 확인을 위하여 도시되는 실행화면.
도 15 는 재무 정보의 선택 조작에 따른 실행화면.
도 16 은 세무 계산기 기능의 선택 조작에 따른 실행화면.
도 17 은 부채 계산기 기능의 선택 조작에 따른 실행화면.
도 18 내지 20 은 투자 계산기 기능의 선택 조작에 따른 실행화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통한 재무정보의 수집 및 조회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가 연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20에는 금융소비자 및 재무설계사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은 재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오픈 플랫폼과 연결되어 재무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재무정보를 연결되는 금융소비자 또는 재무설계사의 단말기(600)를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은 클라우드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무디자인 플랫폼(100)과 연결되는 단말기(6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재무정보의 조회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400)과 가입회원의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 계정모듈(200), 가입회원의 재무정보를 상기 오픈 플랫폼으로부터 수집하기 위한 재무정보 수집모듈(300) 및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 DB(5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400)은 상기 단말기(600)가 재무디자인 플랫폼(100)과 연결될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며,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단말기(600)일 경우 설치 안내 메시지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설치 링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600)는 스마트폰이나 PC 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장치는 모두 가능하며, 해당 장치의 운영체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또는 디자인 등의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반영한 업그레이드 정보 및 관련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말기(6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최신 버전의 형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산관리 계정모듈(200)은 가입회원의 고유 ID와, 비밀번호 및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개인정보에는 가입회원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입력하는 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입력정보에는 가입회원의 대표정보(성명, 세대주 여부, 주민번호, 생년월일, 연락처, 주소, 직업관련 정보, 기념일 정보 등)와, 배우자 정보, 또는 부양가족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산관리 계정모듈(200)은 회원가입 시 금융소비자(620)와 재무설계사(640)를 구분하게 되며, 재무설계사(640)의 경우에는 상기 오픈 플랫폼과 연결하여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관리자 코드가 할당되어 개인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재무설계사(640)의 경우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격 증명서가 첨부파일 형태로 개인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자격 증명서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재무설계사 회원가입을 제한함으로써 검증된 전문 재무설계사들이 본 플랫폼의 회원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300)은 전술한 관리자 코드를 통해 오픈 플랫폼에 접속하여 정보 조회를 요청하고, 요청한 정보를 수집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300)을 통해 정보 조회를 요청하는 오픈 플랫폼으로 은행권 공동 오픈 플랫폼(840)과, 증권사 오픈 플랫폼(860),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포탈(880)이 포함되며, 국세청 간소화 서비스 플랫폼(8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은 은행권 공동 오픈 플랫폼(840)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를 통해 잔액조회 API, 거래내역조회 API, 계좌실명조회 API, 입금이체 API, 출금이체 API, 사용자 인증 API, 관리 API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금융관련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 은행권 공동 오픈 플랫폼(840)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에 관한 추가 설명은“ https://twww.open-platform.or.kr/apt/content/openapi”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오픈 API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은행권 공동 오픈 플랫폼(840)에서 계약을 체결한 이후 사용가능하며, 계약의 체결을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오픈 API를 활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테스트와 해당 서비스의 보안성 점검 및 적합성 진단이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을 통해 재무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재무정보를 확인하여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를 연계하는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성 및 적합성이 확인됨으로써 계약 체결이 완료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권사 오픈 플랫폼(860)을 통해 금융회사, 유관기관, 핀테크 기업 등에 관한 데이터와 서비스를 오픈 API로 제공하며, 이에 관한 추가 설명은 “http://biz.koscom.co.kr/cpt/cmm/mainView.do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포탈(880)을 통해서도 재무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금융회사개요 API, 정기예금상품 API, 적금상품 API, 연금저축상품 API, 주택담보대출상품 API, 전제자금대출상품 API, 개인신용대출상품 API 등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된 추가 설명은 “http://finlife.fss.or.kr/main/main.do”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국세청 간소화 서비스(820)를 통해 소득공제증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오픈 플랫폼에서는 발급된 소득공제증명 전자문서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위변조 여부 검증용 API, 소득공제증명 전자문서 내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추출용 API가 제공되며, 이와 관련된 추가 설명은 “ http://www.yesone.go.kr/ntsapi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300)을 통해 전술한 각 오픈 플랫폼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는 상기 자산관리 DB(500)에 저장된다.
상기 자산관리 DB(500)는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산관리 계정모듈(200)과 연계하여 데이터를 구분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은 클라우드 서버로 구성될 경우 서버의 이중화나 백업서버를 더 구비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을 활용하여 금융소비자(620)와 재무설계사(640)가 연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소비자(620) 및 재무설계사(640)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하게 되면, 우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40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여 미설치 시 설치를 안내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설치단계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단계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면, 회원가입 및 부가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가 수행된다.
도 3 에는 로딩과 로그인 및 회원가입을 안내하기 위하여 도시되는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프로필관리 및 자격관리를 안내하기 위하여 도시되는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단계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딩 화면이 도시된 이후 로그인 화면이 도시되어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회원가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안내 동의를 요구하는 실행화면이 도시된다.
이용약관의 동의가 완료되면 개인회원, 기업회원, 재무설계사 별로 회원가입이 이루어지게 되며, 회원가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로그인을 통해 부가 항목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가항목의 입력 시에는 회원가입자의 대표정보, 배우자 정보 또는 부양가족정보 중 하나 이상이 선택 입력될 수 있으며, 재무설계사의 경우에는 금융관련 각종 자격증 등을 파일 형태로 업로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회원가입자가 금융소비자일 경우 적어도 재무성향 및 비재무성향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단계가 수행된다.
도 5 에는 금융소비자의 재무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 및 도 7 에는 도 5의 실행화면에서 도시되는 설문항목을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설문단계에서는 금융소비자의 부채에 대한 생각, 투자시 고려사항, 지출시 심리, 가족 관련 사항, 노후관련 질문항목을 통해 질문항목에 대한 총점을 수집하고, 수집결과를 분석하여 재무관리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문단계가 수행된 이후에는 금융소비자 및 재무설계사의 연계를 위하여 정보의 노출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선택단계에서는 재무관련 분야별 노출항목이 선택될 수 있으며, 금융소비자의 경우에는 노출 정보와 함께 연계 요청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출항목에는 세금, 상속, 투자, 보험, 은퇴 등의 관심분야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에서는 노출 정보의 선택이 완료된 금융소비자의 연계 대상 List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에 연계 대상 LIST가 구성되면, 금융소비자(620)와 재무설계사(640)의 연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세히, 도 8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별 카테고리 확인을 위하여 도시되는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9 에는 재무알리미 기능의 선택 조작에 따른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 내지 도 14 는 재무설계사와 연계된 금융소비자의 조회 항목별 재무 상태 확인을 위하여 도시되는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60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무관리, 투자계산기, 재무정보, 세무계산기, 부채계산기, 재무알리미 항목이 개별 선택 가능하도록 버튼 형태로 도시된다.
그리고, 단말기 좌측 상단의 메뉴 항목을 선택할 경우에는 상기 버튼 형태로 도시된 개별 항목에 포함된 기능 항목들이 확인될 수 있다.
한편, 개별 항목 중 재무 알리미 항목을 선택할 경우에는 연계 신청 LIST 또는 과소비 알림 LIST가 도시된다.
도 9 는 재무설계사의 단말기(600)에 도시되는 형태로 상기 매칭신청 LIST에는 매칭을 원하는 금융소비자의 LIST가 도시된다.
상기 과소비 알림 LIST는 재무설계사가 현재 관리하고 있는 금융소비자 중 과소비 범위에 포함된 금융소비자의 LIST가 도시되며, LIST 중 한 명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금융소비자의 목표사용 금액과 사용금액의 비교그래프가 도시되어 과소비 현황이 확인된다.
한편, 재무설계사가 도시된 LIST의 금융소비자 중 한 명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금융소비자의 이름과 연락처 및 재무관리 목표 등의 정보 및 수락과 거절 버튼이 함께 도시되며, 상기 수락 버튼을 누를 경우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의 연계가 완료된다. 반면, 상기 거절 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해당 금융소비자가 이후 연계 LIST에서 제외된다.
상기와 같이 연계가 완료되면, 상기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에서는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연계정보가 저장되며, 금융소비자 및 재무설계사의 단말기(600)로 각각 연계 완료 안내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연계가 완료되면, 재무설계사는 연계 된 금융소비자의 재무정보를 상기 오픈 플랫폼으로 요청하는 재무정보 요청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재무정보 요청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재무설계사가 연계된 금융소비자 중 한 명을 선택하여 재무상태, 현금흐름, 재무비율 등의 항목을 선택할 경우 자동으로 요청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재무설계사의 단말기(600)로부터 재무정보 요청이 이루어지면 상기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에서는 연계된 금융소비자의 고객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계약이 완료된 상기 은행 공동 오픈 플랫폼(840), 증권사 오픈 플랫폼(860)을 통해 연계 고객의 재무정보를 요청하게 되며, 오픈 API의 이용에 대한 대금이 지급된다.
그리고, 상기 재무정보의 요청단계가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각 오픈 플랫폼으로부터 연계된 금융소비자의 재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재무정보 수집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재무정보 수집단계는 재무정보 요청단계가 이루어질 때마다 실시간으로 재무정보를 요청하여 수집하게 되며, 수집된 결과는 상기 자산관리 DB(500)에 저장되어 재무설계사의 단말기(60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재무정보 수집단계를 통해 재무정보가 수집되면 재무설계사가 연계된 금융소비자에게 재무컨설팅을 수행하는 컨설팅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컨설팅 단계에서는 재무설계사의 단말기(600)를 통해 조회 항목을 선택하여 개별 항목별로 금융소비자의 재무정보를 구분 확인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1 과 같이 재무설계사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무상태표 항목을 선택할 경우에는 재무상태표에 자산과 부채 및 순자산 항목이 도시되며, 상기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에 수집된 정보에 해당하는 항목은 자동으로 입력되어 도시된다.
그리고, 조회가 되지 않는 항목을 선택할 경우에는 팝업 창으로 입력 화면이 도시되고, 도시된 입력 화면에는 재무설계사가 금융소비자와 대면하여 확인하거나 통화로 해당 내용을 확인하여 기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도 12와 같이 현금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현금흐름표 조회 항목이 더 포함되며, 해당 조회 항목에서도 수집된 정보는 자동으로 도시되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도 13과 같이 재무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 더 포함되며, 재무목표 항목이 선택될 경우에는 팝업 창으로 입력 화면이 도시되어 재무설계사가 해당 내용을 기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도 14와 같이 재무비율을 확인하기 위한 조회 항목이 더 포함되며, 조회된 전체 내용은 보고서 출력 항목을 통해 파일로 저장되어 SNS 또는 메일 등의 수단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는 재무설계사의 보다 효율적인 컨설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이 더 포함된다.
도 15 에는 재무 정보의 선택 조작에 따른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세히,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도시된 재무 정보를 선택할 경우에는 온라인상에 공개된 최신 경제 정보와 금융정보 등이 도시되어 실시간으로 조회될 수 있으며 재무설계사는 이와 같은 정보를 컨설팅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재무설계사가 컨설팅 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계산기 기능이 포함된다.
도 16 에는 세무 계산기 기능의 선택 조작에 따른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7 에는 부채 계산기 기능의 선택 조작에 따른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 내지 20 에는 투자 계산기 기능의 선택 조작에 따른 실행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세무계산기의 경우에는 컨설팅 과정에서 양도소득의 계산이 필요할 경우 바로 활용될 수 있다.
양도소득의 계산 시에는 양도자산의 종류와 보유기간, 명의 여부와 과세여부 및 취득가액 등의 항목을 입력하여 양도소득의 계산이 이루어진다.
부채 계산기의 경우에는 부채명과 원금, 상환기일 및 이율, 그리고 상환 방식 등을 입력하여 부채 계산이 이루어지며, 저축 계산기의 경우에는 저축종류, 금융상품명, 목표금액, 저축기간, 이율 및 단리와 복리 중 선택 등의 항목을 입력하여 월별 저축금액이 계산될 수 있다.
연금 계산기의 경우에는 현재나이와 은퇴나이, 매월 저축금액, 저축가능기간, 거치기간, 투자수익율, 물가 상승율, 투자·물가수익율 항목을 입력하여 예상연금 수령액이 계산된다. 더 상세하게는, 현재나이와 은퇴나이, 매월 저축금액, 저축가능기간, 거치기간, 투자수익율 및 물가 상승율 항목을 입력하면 연금 계산기 화면에 투자-물가수익률이 도시되고, 계산하기 버튼을 조작하면 예상연금 수령액이 계산된다. 투자-물가수익율이란 도 1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투자수익율에서 물가 상승율을 뺀 수치이다.
교육비 계산기의 경우에는 현재 자녀의 나이와 대학입학시까지 남은 기간, 투자수익율, 교육비 상승율, 투자·교육비수익율 및 현재 1년분 대학등록금 등의 항목을 입력하여 자녀의 대학 등록금 마련을 위한 매월 저축액이 계산된다. 더 상세하게는, 현재 자녀의 나이와 대학입학시까지 남은 기간, 투자수익율, 교육비 상승율 및 현재 1년분 대학등록금 등의 항목을 입력하면 교육비 계산기 화면에 투자-교육비수익율이 도시되고, 계산하기 버튼을 조작하면 자녀의 대학 등록금 마련을 위한 매월 저축액이 계산된다. 투자-교육비수익율이란 도 2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투자수익율에서 교육비 상승율을 뺀 수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금융소비자와 연계가 이루어진 재무설계사는 상기 재무디자인 플랫폼(100)으로부터 연계된 금융소비자의 실시간 재무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시간 최신 경제정보와 금융정보 및 다양한 계산기 기능을 활용하여 컨설팅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100........ 재무디자인 플랫폼 200........ 자산관리 계정모듈
300........ 재무정보 수집모듈 400........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
500........ 자산관리 DB 600........ 단말기

Claims (3)

  1.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여,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단말기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는 가입회원의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 계정모듈;
    상기 가입회원의 재무정보를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오픈 API로부터 수집하기 위한 재무정보 수집모듈;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재무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 DB를 포함하며,
    상기 자산관리 계정모듈에서는 가입회원을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로 구분하여 관리하되,
    상기 금융소비자에 의해 선택된 재무관련 분야별 노출항목에 따라 재무설계사에게 금융소비자의 연계 대상 List가 구성되고,
    상기 연계 대상 List에 도시된 금융소비자 중 한 명이 선택되는 경우, 재무설계사의 단말기에 선택된 금융소비자의 이름, 연락처, 재무관리 목표 및 수락/거절 버튼이 도시되어, 수락버튼을 누를 경우에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의 연계가 완료되고,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에서는 상기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컨설팅 연계가 이루어진 경우, 재무설계사가 연계된 금융소비자에 한하여, 상기 오픈 API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재무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는 은행 공동 오픈 플랫폼과 증권사 오픈 플랫폼이 포함되어, 가입된 금융소비자의 재무정보의 수집이 가능하고;
    상기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는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포탈이 포함되어, 금융소비자에게 제공할 금융관련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고;
    상기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는 국세청 오픈 플랫폼이 더 포함되어, 금융소비자의 소득공제증명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고;
    상기 은행권 공동 오픈 플랫폼은 잔액조회 API, 거래내역조회 API, 계좌실명조회 API, 입금이체 API, 출금이체 API, 사용자 인증 API 및 관리 API를 포함하고,
    상기 증권사 오픈 플랫폼은 금융회사, 유관기관 및 핀테크 기업의 데이터 및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포탈은 금융회사개요 API, 정기예금상품 API, 적금상품 API, 연금저축상품 API, 주택담보대출상품 API, 전세자금대출상품 API 및 개인신용대출상품 API를 포함하고,
    상기 국세청 오픈 플랫폼은 소득공제증명 정보, 위변조 여부 검증용 API 및 데이터 추출용 API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에 재무관리, 투자계산기, 재무정보, 세무계산기, 부채계산기 및 재무알리미 항목이 포함되어 개별 선택 가능하도록 도시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는 설문항목을 통해 수집되는 금융소비자의 성향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성향정보는 금융소비자의 부채에 대한 생각, 투자시 고려사항, 지출시 심리, 가족 관련 사항 및 노후관련 질문항목을 포함하여 질문항목에 대한 총점을 수집하고, 수집결과를 분석하여 재무관리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상기와 같이 수집되는 성향정보는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의 컨설팅 연계시 재무설계사에게 재무정보와 함께 제공되며;
    상기 재무관리 항목은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재무목표, 재무비율 및 보고서 출력 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재무상태표 기능은 자산, 부채 및 순자산을 도시하고,
    상기 자산에는 현금성자산, 정기적금, 정기예금 및 투자자산이 포함되고,
    상기 부채 및 순자산에는 단기부채, 신용카드잔액, 마이너스통장, 단기신용대출잔액 및 장기부채가 포함되고,
    상기 재무목표 기능은 재무적 이슈, 필요 시기, 필요 자금, 준비 자금 및 부족 자금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재무목표를 도시하고,
    상기 세무계산기는 양도소득, 상속세, 증여세, 종합소득세 및 연말정산 계산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양도소득은 양도 자산, 보유 기간, 명의 여부, 과세 여부 및 취득가액을 입력받아 계산되고,
    상기 부채계산기는 부채명, 원금, 상환기일, 이율 및 상환방식을 입력받아 부채를 계산하고,
    상기 투자계산기는 저축계산기, 연금계산기 및 교육비계산기를 포함하여,
    상기 저축계산기는 저축종류, 금융상품명, 목표금액, 저축기간, 이율 및 단리/복리 선택 항목을 입력받아 월별 저축금액을 계산하고,
    상기 연금계산기는 현재나이, 은퇴나이, 매월 저축금액, 저축가능기간, 거치기간, 투자수익률 및 물가 상승율 항목을 입력받으면 연금 계산기 화면에 투자-물가수익률이 도시되어, 계산 버튼을 조작하면 예상 연금 수령액을 계산하고,
    상기 교육비계산기는 현재 자녀의 나이, 자녀의 대학입학까지 남은 기간, 투자수익율, 교육비 상승률 및 현재 1년분 대학등록금을 입력받으면 교육비 계산기 화면에 투자-교육비수익률이 도시되어, 계산 버튼을 조작하면 자녀 대학 등록금 마련을 위한 매월 저축액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2.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여,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단말기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는 가입회원의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 계정모듈;
    상기 가입회원의 재무정보를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오픈 API로부터 수집하기 위한 재무정보 수집모듈;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재무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 DB를 포함하며,
    상기 자산관리 계정모듈에서는 가입회원을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로 구분하여 관리하되,
    상기 금융소비자에 의해 선택된 재무관련 분야별 노출항목에 따라 재무설계사에게 금융소비자의 연계 대상 List가 구성되고,
    상기 연계 대상 List에 도시된 금융소비자 중 한 명이 선택되는 경우, 재무설계사의 단말기에 선택된 금융소비자의 이름, 연락처, 재무관리 목표 및 수락/거절 버튼이 도시되어, 수락버튼을 누를 경우에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의 연계가 완료되고,
    상기 재무정보 수집모듈에서는 상기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컨설팅 연계가 이루어진 경우, 재무설계사가 연계된 금융소비자에 한하여, 상기 오픈 API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재무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는 은행 공동 오픈 플랫폼과 증권사 오픈 플랫폼이 포함되어, 가입된 금융소비자의 재무정보의 수집이 가능하고;
    상기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는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포탈이 포함되어, 금융소비자에게 제공할 금융관련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고;
    상기 계약된 오픈 플랫폼에는 국세청 오픈 플랫폼이 더 포함되어, 금융소비자의 소득공제증명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고;
    상기 은행권 공동 오픈 플랫폼은 잔액조회 API, 거래내역조회 API, 계좌실명조회 API, 입금이체 API, 출금이체 API, 사용자 인증 API 및 관리 API를 포함하고,
    상기 증권사 오픈 플랫폼은 금융회사, 유관기관 및 핀테크 기업의 데이터 및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포탈은 금융회사개요 API, 정기예금상품 API, 적금상품 API, 연금저축상품 API, 주택담보대출상품 API, 전세자금대출상품 API 및 개인신용대출상품 API를 포함하고,
    상기 국세청 오픈 플랫폼은 소득공제증명 정보, 위변조 여부 검증용 API 및 데이터 추출용 API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에 재무관리, 투자계산기, 재무정보, 세무계산기, 부채계산기 및 재무알리미 항목이 포함되어 개별 선택 가능하도록 도시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는 설문항목을 통해 수집되는 금융소비자의 성향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성향정보는 금융소비자의 부채에 대한 생각, 투자시 고려사항, 지출시 심리, 가족 관련 사항 및 노후관련 질문항목을 포함하여 질문항목에 대한 총점을 수집하고, 수집결과를 분석하여 재무관리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상기와 같이 수집되는 성향정보는 재무설계사와 금융소비자의 컨설팅 연계시 재무설계사에게 재무정보와 함께 제공되며;
    상기 재무관리 항목은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재무목표, 재무비율 및 보고서 출력 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재무상태표 기능은 자산, 부채 및 순자산을 도시하고,
    상기 자산에는 현금성자산, 정기적금, 정기예금 및 투자자산이 포함되고,
    상기 부채 및 순자산에는 단기부채, 신용카드잔액, 마이너스통장, 단기신용대출잔액 및 장기부채가 포함되고,
    상기 재무목표 기능은 재무적 이슈, 필요 시기, 필요 자금, 준비 자금 및 부족 자금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재무목표를 도시하고,
    상기 세무계산기는 양도소득, 상속세, 증여세, 종합소득세 및 연말정산 계산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양도소득은 양도 자산, 보유 기간, 명의 여부, 과세 여부 및 취득가액을 입력받아 계산되고,
    상기 부채계산기는 부채명, 원금, 상환기일, 이율 및 상환방식을 입력받아 부채를 계산하고,
    상기 투자계산기는 저축계산기, 연금계산기 및 교육비계산기를 포함하여,
    상기 저축계산기는 저축종류, 금융상품명, 목표금액, 저축기간, 이율 및 단리/복리 선택 항목을 입력받아 월별 저축금액을 계산하고,
    상기 연금계산기는 현재나이, 은퇴나이, 매월 저축금액, 저축가능기간, 거치기간, 투자수익률 및 물가 상승율 항목을 입력받아 예상 연금 수령액을 계산하고,
    상기 교육비계산기는 현재 자녀의 나이, 자녀의 대학입학까지 남은 기간, 투자수익율, 교육비 상승률 및 현재 1년분 대학등록금을 입력받아 자녀 대학 등록금 마련을 위한 매월 저축액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에 있어서,
    재무디자인 플랫폼을 통해 재무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설치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금융소비자 및 재무설계사의 회원가입이 수행되며, 회원가입 이후 컨설팅 연계를 위한 금융소비자 및 재무설계사의 부가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부가정보의 노출 여부와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연계 요청 여부가 선택되며, 선택된 정보에 따른 금융소비자의 연계대상 LIST가 구성되는 선택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금융소비자와 재무설계사의 연계가 수락되는 연계단계;
    상기 연계단계 후, 오픈 플랫폼으로부터 금융소비자의 재무정보를 요청하는 재무정보 요청단계;
    상기 재무정보 요청단계 후, 연계된 금융소비자의 재무정보를 오픈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재무정보 수집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계단계를 통해 연계가 이루어진 재무설계사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오픈 API를 통해 연계된 금융소비자의 실시간 재무정보를 조회하여 재무관리 컨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입력단계에서는,
    회원가입자가 금융소비자일 경우 적어도 비재무성향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단계가 더 수행되며, 상기 설문단계에서는 금융소비자의 부채에 대한 생각, 투자시 고려사항, 지출시 심리, 가족 관련 사항 및 노후관련 설문 항목을 통해 설문항목에 대한 총점을 수집하고, 수집결과를 분석하여 재무관리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성향이 분석되어 저장되고;
    상기 재무디자인 플랫폼의 단말기에는 재무관리, 투자계산기, 재무정보, 세무계산기, 부채계산기, 저축계산기, 연금계산기, 교육비계산기 및 재무알리미 기능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KR1020180123441A 2018-10-16 2018-10-16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KR101944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41A KR101944302B1 (ko) 2018-10-16 2018-10-16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41A KR101944302B1 (ko) 2018-10-16 2018-10-16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282 Division 2017-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27A true KR20190000327A (ko) 2019-01-02
KR101944302B1 KR101944302B1 (ko) 2019-01-31

Family

ID=6502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441A KR101944302B1 (ko) 2018-10-16 2018-10-16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3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770B1 (ko) * 2021-09-06 2022-06-29 배정환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심리 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114112A (ko) * 2021-02-08 2022-08-17 유용래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45157B1 (ko) * 2022-09-02 2024-03-08 (주)한국재무심리연구소 재무심리 분석에 의한 머니타입 유형별 머니튜터링 파이낸셜 컨설팅 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653A (ko) 2000-09-18 2000-12-05 민태홍 개인자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5194A (ko) * 2003-02-20 2004-08-27 삼성캐피탈 주식회사 재무 구조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60062B1 (ko) 2005-12-30 2007-09-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1463A (ko) * 2009-11-10 2011-05-18 윤상봉 자동분개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38126A (ko) * 2011-10-07 2013-04-1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세무 회계 서비스 시스템 및 세무 회계 서비스 방법
KR20140091886A (ko) * 2013-01-14 2014-07-23 정우식 고객의 재무심리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6734B1 (ko) * 2014-01-17 2015-05-06 최윤화 재무 컨설턴트에 의한 재무 컨설팅이 가능한 가계부 시스템
KR20150099654A (ko) * 2014-02-21 2015-09-01 양승호 대행 행위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8769A (ko) * 2015-02-11 2016-08-19 조현주 세금 관리 기능을 갖는 가계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3736A (ko) * 2016-09-26 2017-03-06 김주호 회계 및 재무 정보 생성을 통한 경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5137A (ko) * 2015-09-22 2017-03-30 최용규 개인 성향 정보를 이용하는 자산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수행 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653A (ko) 2000-09-18 2000-12-05 민태홍 개인자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5194A (ko) * 2003-02-20 2004-08-27 삼성캐피탈 주식회사 재무 구조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60062B1 (ko) 2005-12-30 2007-09-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1463A (ko) * 2009-11-10 2011-05-18 윤상봉 자동분개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38126A (ko) * 2011-10-07 2013-04-1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세무 회계 서비스 시스템 및 세무 회계 서비스 방법
KR20140091886A (ko) * 2013-01-14 2014-07-23 정우식 고객의 재무심리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6734B1 (ko) * 2014-01-17 2015-05-06 최윤화 재무 컨설턴트에 의한 재무 컨설팅이 가능한 가계부 시스템
KR20150099654A (ko) * 2014-02-21 2015-09-01 양승호 대행 행위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8769A (ko) * 2015-02-11 2016-08-19 조현주 세금 관리 기능을 갖는 가계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5137A (ko) * 2015-09-22 2017-03-30 최용규 개인 성향 정보를 이용하는 자산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수행 시스템
KR20170023736A (ko) * 2016-09-26 2017-03-06 김주호 회계 및 재무 정보 생성을 통한 경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112A (ko) * 2021-02-08 2022-08-17 유용래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13770B1 (ko) * 2021-09-06 2022-06-29 배정환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심리 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45157B1 (ko) * 2022-09-02 2024-03-08 (주)한국재무심리연구소 재무심리 분석에 의한 머니타입 유형별 머니튜터링 파이낸셜 컨설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302B1 (ko)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Financial inclusion in India: Select issues
JP5191737B2 (ja) 取引成立促進装置及びシステム
US848410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bill pay setup for online bill pay systems
KR102046557B1 (ko) 오픈 api를 통해 수집된 금융소비자의 자산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재무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7848978B2 (en) Enhanced transaction resolution techniques
JP4950271B2 (ja) 個人又は小規模の投資家などに証券又は他の資産又は負債のポートフォリオを費用効率的に構築および管理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900941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nancial account management
US20100268667A1 (en) Venture exchange system
JP2002507015A (ja) 個人又は小規模の投資家などに証券又は他の資産又は負債のポートフォリオを費用効率的に構築および管理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944302B1 (ko)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JP641156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rgamo The Effect of Agency Banking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Commercial Banks in Kenya in 2014: A Case Study of Chase Bank
KR100942828B1 (ko) 전자바우처를 이용한 사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우처 정산방법
Awasthi et al. The Benefits of Electronic Tax Administration in Developing Economies: A Korean Case Study and Discussion of Key Challenges
JP201816025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01917A (ko) 여신 고객에 대한 조기경보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090086370A (ko) 여신 고객등급 처리방법
KR20090001940A (ko) 부실여신 거래 기업의 사전 선정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Saputra et al. E-Governance and Public Services in Local Governments: Study of The Taspen Smart Card Programfor Pension Fund Services in Makassar City and Pinrang Regency
Shkolnyk et al. Fintech innovations and transparency of finance: world practices and Ukrainian realities
Pun E-banking and its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 Nepalese commercial bank
Lindert et al. Eligibility And Enrollment
Win CUSTOMER ADOPTION OF INTERNET BANKING SERVICES IN MAB BANK
Vadher et al. A Study on Customer Perception Towards E-Banking at Bhilai Supela (CG)
Khaing Effect of Bank Expansion on Performance of Shwe B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