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062B1 -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062B1
KR100760062B1 KR1020050135002A KR20050135002A KR100760062B1 KR 100760062 B1 KR100760062 B1 KR 100760062B1 KR 1020050135002 A KR1020050135002 A KR 1020050135002A KR 20050135002 A KR20050135002 A KR 20050135002A KR 100760062 B1 KR100760062 B1 KR 10076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customer
analysis
module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1497A (ko
Inventor
황순재
이강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지브롤터 마케팅 주식회사
푸르덴셜생명보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지브롤터 마케팅 주식회사, 푸르덴셜생명보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0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인적에 관련된 정보 및 재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고객정보입력모듈과,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재무상태분석모듈과,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로부터 분석된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바탕으로 고객에 대한 위험항목을 분석 및 설계하기 위한 위험분석/설계모듈과,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재무목표에 따라 분석 및 설계하기 위한 목표분석/설계모듈과,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 및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로부터 설계된 내용을 참조하여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을 총괄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조정하기 위한 총괄조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로부터 제공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고객의 전체 자산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위험과 재무목표를 구분하여 분석 및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고객에 대한 종합적인 자산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고객, 자산, 금융 컨설팅, 재무상태분석, 위험분석/설계, 목표분석/설계

Description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of consulting finance from analyzing customer's the total asse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재무상태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고객정보입력모듈, 200 : 재무상태분석모듈,
210 : 현금흐름분석부, 220 : 자산부채분석부,
230 : 재무현황 기본평가부, 240 : 재무현황 상세평가부,
250 : 투자성향분석부, 260 : 재무목표현황 분석부,
270 : 보유부동산분석부, 300 : 위험분석/설계모듈,
400 : 목표분석/설계모듈, 500 : 총괄조정모듈,
600 : 효과분석모듈
본 발명은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고객의 전체 자산을 분석하여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위험과 재무목표를 구분하여 분석 및 설계를 수행하여 해당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을 효율적으로 추천해줌으로써, 고객에 대한 종합적인 자산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무관리(Financial Management)는 광협의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넓은 의미로서의 재무관리는 기업재무, 자산투자의 분석 및 평가와 관련된 투자론, 금융기관의 경영과 관련된 금융기관 경영론, 금융기관과 금융제도 등과 관련된 화폐 금융론의 일부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연구분야를 포함한다.
한편, 좁은 의미의 재무관리란 기업경영의 하부체계(Subsystem)로서 인사관리, 생산관리, 마케팅 관리 및 회계 등과 더불어 기업을 효율적으로 경영하기 위하여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합리적으로 조달하고, 조달된 자금을 자산에 투자하여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관리기능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재무관리는 화폐를 매개로 하여 모든 경영활동을 전반적인 관점에서 계획-실행-통제하는 통합 적인 관리기능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이러한 재무관리는 기업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개인들도 자신의 재무자원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증식할 수 있을까 또한, 나에게 가장 적합한 재테크 방법은 무엇일까 하는 부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으로는 가족 가치관이 변화하면서 자녀에게 노후를 의지하는 것을 당연시하던 가치관이 퇴색함으로써, 자신의 노후 생활을 해결하기 위한 노후 대책의 필요에 따른 개인 재무관리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또한, 실제 투자자들은 하나의 자산에만 투자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자산에 투자함으로써 포트폴리오(Portfolio)를 소유하게 된다. 넓은 의미에서 포트폴리오는 자산의 조합을 말하나, 좁은 의미로는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 회사채 등 금융자산의 조합을 의미한다. 투자자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도 개별자산에 투자할 때와 마찬가지로 최상의 위험-수익관계를 얻으려 한다. 따라서,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측정하고 기대수익률을 계산하는 것이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개인이 재무관리를 위해서는 회계기준, 세제 및 각종 규제조항 등 제도에 정통하여야 하고, 자산운영에 정통해야할 뿐만 아니라 전략적 사고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각종 시장지수, 예를 들면 물가, 금리, 주가지수, 부동산 가격지수, 환율, 원유가, 경제성장률, 무역수지, 소비자태도지수 및 실업률 등의 정보 및 금융종합과세제도 등에 대한 정보를 확보해야만 하는 어려움 이 있었다.
그래서, 많은 수의 개인들은 자신의 자산운영을 위해 직접 전문가의 컨설팅을 거쳐 투자를 설계하고, 그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거나 위험이 따르더라도 직접 투자해야만 했다.
종래에는 이러한 재무관리(예컨대, 예금, 보험, 증권 및 부동산 등)를 따로따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있으나, 통합적 재무관리가 아니라 개별관리(예컨대, 보정설계, 은퇴설계, 교육결혼설계, 투자설계, 부동산 설계 및 세무상속설계 등)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보험사의 재정설계를 위한 프로그램은 보험을 가입하게 할 목적으로만 설계되어 있어 종합적인 재무관리를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으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고객의 전체 자산을 분석하여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위험플랜과 재무목표플랜을 구분하여 분석 및 설계를 수행하여 해당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을 효율적으로 추천해줌으로써, 고객에 대한 종합적인 자산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인적에 관련된 정보 및 재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고객정보입력모듈;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재무상태분석모듈;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로부터 분석된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바탕으로 고객에 대한 위험항목을 분석 및 설계하기 위한 위험분석/설계모듈;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재무목표에 따라 분석 및 설계하기 위한 목표분석/설계모듈; 및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 및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로부터 설계된 내용을 참조하여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을 총괄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조정하기 위한 총괄조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로부터 제공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고객의 전체 자산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위험과 재무목표를 구분하여 분석 및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을 효율적으로 추천하기 위한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은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현재 수입/지출 현황을 소득구분별 수입현황과 변동 및 고정지출에 대해 현금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현금흐름분석부;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현재 자산부채 현황을 자산의 성격과 부채 성격별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자산부채분석부;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 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현재 재무현황을 자산 및 부채의 성격에 따른 재무현황과 평균소득 및 저축과의 비교를 통해 평가하는 기초재무현황과 상기 입력된 고객정보를 근거로 한 재무강점 및 약점에 대해 제시한 기준을 토대로 평가하는 상세재무현황으로 구분하여 이를 평가하기 위한 재무현황 기본/상세평가부; 및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요구에 맞는 투자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투자성향분석부;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재무목표를 필요한 시기에 따라 재무목표별 필요자금 현가와 종가를 계산하여 이를 분석하기 위한 재무목표현황 분석부; 및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이 보유한 부동산의 현황과 주가지수를 대비하여 분석하기 위한 보유부동산분석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에서 상기 고객에 대한 위험항목은 사망위험, 노후위험, 과세위험 또는 부채위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에서 상기 고객의 재무목표는 노후목표, 자녀교육목표, 자녀결혼목표 또는 주택마련목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총괄조정모듈은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 및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로부터 설계된 내용을 참조하여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과 연계하여 총괄적으로 파악하고, 미 할당 가용자산 리스트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금융상품을 추천하기 위하여 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객의 위험항목별 및 재무목표별 설계 전/후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효과분석모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계 전/후 비교의 대상은 만기구조, 현금흐름, 자산/부채흐름, 종합과세, 종신보험 또는 자산배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고객정보입력모듈, 재무상태분석모듈, 위험분석/설계모듈, 목표분석/설계모듈 및 총괄조정모듈을 포함한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을 이용한 고객의 금융 컨설팅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로부터 인적에 관련된 정보 및 재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을 통해 상기 분석된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바탕으로 고객에 대한 위험항목을 분석 및 설계하는 단계; (d)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을 통해 상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재무목표에 따라 분석 및 설계하는 단계; 및 (e) 상기 총괄조정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c) 및 단계(d)에서 설계된 내용을 참조하여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을 총괄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전술한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 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은, 고객정보입력모듈(100), 재무상태분석모듈(200), 위험분석/설계모듈(300), 목표분석/설계모듈(400), 총괄조정모듈(500) 및 효과분석모듈(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100)은 인적에 관련된 정보 및 재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인적에 관련된 정보는 고객의 가족대표정보(예컨대, 성명, 부녀세대주여부, 주민번호, 생년월일, 자택주소, 자택전화, 직업, 부서/직위, 직장전화, 이메일, 휴대폰, 취미, 결혼기념일, 은퇴연령, 희망수명, 흡연여부, 운전여부, 혈압 및 체중/신장 등), 배우자정보(예컨대, 성명, 주민번호, 생년월일, 직업, 부서/직위, 직장전화, 취미, 이메일 및 휴대폰 등) 또는 부양가족정보(예컨대, 관계, 성명, 생년월일, 학년, 부양여부 및 장애여부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무와 관련된 정보는 고객의 재무관심사정보(예컨대, 자녀/본 인결혼자금마련, 부채 줄이기, 본인/배우자 사망을 대비한 가족의 현 생활유지, 은퇴계획 자금마련 및 연금, 자녀 고등교육, 상속설계 및 증여테크닉, 주택의 전세 및 구입, 부동산 투자 및 투자를 통한 재산증식 등), 재무목표정보(예컨대, 노후자금, 자녀교육/결혼자금, 주거/투자용 부동산 자금 및 기타 재무목표자금 등), 보유자산정보(예컨대, 예적금, 보험, 신탁/펀드, 주식/채권, 주거/부동산, 기타 사용자산 및 주요 반영률 등), 수입/지출 및 부채정보(예컨대, 본인/배우자 근로소득, 기타 및 사업소득, 월 지출 및 본인/배우자 대출 등) 또는 세무정보(예컨대, 상속증여 및 증여계획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무목표정보 중에서 노후자금정보는 예컨대, 기본생활비(월 생활비), 추가생활비(월 생활비), 의료비(년간 의료비), 여행/취미(년간 여행/취미 비용) 또는 실버타운 보증금(1회 지출 보증금)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자녀교육/결혼자금정보는 예컨대, 자녀명(부양가족정보 참조), 구분(대학, 대학원, 유학), 시작나이(구분에 해당하는 교육의 시작나이), 교육기간(년수), 연간필요자금, 결혼연령 또는 필요자금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거/투자용 부동산 자금정보는 예컨대, 소유자(본인, 배우자, 부양가족 성명), 유형(자가, 전세, 투자), 구입시점(예상 구입시점 연령), 필요자금, 임대보증금(전세), 현금화(목표 달성 후 다시 매각하는 시점 연령) 또는 주소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타 재무목표자금정보는 예컨대, 재무목표, 시작/종료연령, 주기(년간), 필요자금 또는 현금화(재무목표가 또 다른 자산의 획득인 경우)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유자산정보 중에서 예/적금정보는 예컨대, 예금주, 상품명, 가입목적, 가입년월, 가입구분(거치, 적립, 수시입출), 저축금액, 저축기간(개월), 금리, 부리방법(확정, 변동), 과세구분(일반, 세금우대, 비과세, 분리과세), 이자지급(연지급, 만기지급) 또는 현잔고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보험정보는 예컨대, 계약자, 피보험자, 수익자, 가입년월, 납입기간, 만기, 재무목표, 상품종류(연금/저축, 보장성), 연금개시(연금이 시작되는 연령), 연금액, 보험료, 일반사망보험금, 재해사망보험금, 암사망보험금 또는 해약환급금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신탁/펀드정보는 예컨대, 예금주, 상품명, 재무목표, 가입년월, 가입구분(거치, 적립), 저축금액(거치의 경우 예금, 적립의 경우 적금으로 구분), 저축기간(개월), 금리, 운용유형(채권형, 주식형, 채권혼합형, 주식혼합형), 과세구분(일반, 세금우대, 비과세, 저율과세, 분리과세) 또는 현잔고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주식/채권정보는 예컨대, 투자자, 자산유형(채권, 주식), 최대주주여부, 상장여부, 재무목표, 투자기간(개월 수) 또는 평가금액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주거/부동산정보는 예컨대, 소유자, 유형(자가, 전세, 투자), 재무목표, 구입시점, 취득가(취득시점의 금액), 현 평가액, 임대(차)보증금, 상승률, 주소, 현금화 계획(금융자산으로 전환하는 시점) 또는 현금화%(현금화시점 가치의 몇%를 현금화 할 것인가 결정)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기타 사용자산정보는 예컨대, 소유자, 자산유형, 현 평가액, 상승률, 재무목표, 현금화 계획(금융자산으로 전환하는 시점) 또는 현금화%(현금화시점 가치의 몇%를 현금화 할 것인가 결정)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주요 반영률정보는 예컨대, 미래 저축률, 물가상승률, 은퇴 전/후 기대수익률 또는 부동상 상승률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입/지출 및 부채정보 중에서 본인/배우자 근로소득정보는 예컨대, 소득원, 연소득(세전연간소득), 소득증가율(연간 소득 상승률), 퇴직연령(현재직장에서 최종직장으로 가정) 또는 입사(퇴직정산)년월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기타 및 사업소득정보는 예컨대, 소득원, 소득구분(사업, 임대, 금융, 연금, 배당, 기타), 발생주기(년간), 기간(시작/종료연령), 세 후 월 소득 또는 소득처리방법(미래자산반영, 펀드풀반영, 일반소득처리)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월 지출 및 본인/배우자 대출정보는 월 생활비(식품/외식비, 의류비, 주택관리비, 보건의료비, 교양/오락비, 교통/통신비), 가족대표 용돈, 월 대출상환, 보장성 보험료, 본인/배우자 공적연금(국민, 공무원, 군인, 사학연금), 본인/배우자 공적연금보험료, 막내 독립전/후 생활비, 교육비, 월 저축액, 기타지출, 긴급예비자금, 사후정리자금, 대출자, 대출구분(신용대출, 담보대출), 상환방법(원리금균등, 원금균등, 만기일시상환), 대출목적, 대출년월, 상품명, 대출원금(최초 대출시의 대출금액), 대출이율, 기치기간(월단위/이자만 계산하는 구간) 또는 상환기간(월단위/이자만 계산하는 구간) 등의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200)은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현금흐름분석부(210), 자산부채분석부(220), 재무현황 기본평가부(230), 재무현황 상세평가부(240) 및 투자성향분석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현금흐름분석부(210)는 고객의 현재 수입/지출 현황을 소득구분별(예컨대, 정기소득 또는 부정기소득 등) 수입현황과 변동 및 고정지출에 대해 현금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수입/지출 현황은 월 단위 현금흐름으로 비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소득의 경우 월로 환산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정기소득은 본인/배우자의 월간근로소득+사업/임대/금융/기타소득 중 현재 연령 기준 소득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소득기간이 1년 이상이고 주기가 1년인 것을 정기소득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정기소득의 경우 몇 가지 조건(예컨대, 소득기간에 당해 년도의 연령 포함, 소득기간이 1년 이하 및 주기가 1년이 아님 등)을 모두 만족하는 사업 및 본인/배우자 기타 소득에 대해서 부정기소득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동지출은 가족 생활비(예컨대, 식품/외식비, 의류비, 주택관리비, 보건의료비, 교양/오락비 및 교통/통신비 등), 본인 생활비(예컨대, 가족대표 용돈 금액 등) 및 교육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출은 월 대출 상환액, 보장성 보험료, 공적보험료, 건강보험, 근로소득세 및 기타 지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축 및 투자는 월 지출정보 중 월 저축액을 반영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지차는 수입총계에서 지출총계를 뺀 금액이다.
한편, 상기 현금흐름분석부(210)에서 분석된 모든 결과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의 차트 또는 테이블 형태로 나타냄이 바람직하 다.
상기 자산부채분석부(220)는 고객의 현재 자산부채 현황을 자산의 성격과 부채 성격별(예컨대, 현금자산, 투자자산, 사용자산, 신용부채 및 담보부채 등)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현금자산은 본인/배우자/기타(자녀)의 예/적금, 보험의 해약환급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투자자산은 본인/배우자/기타(자녀)의 신탁/펀드, 주식/채권, 주거/부동산 중 투자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산(생활자산)(예컨대, 골프회원권, 콘도회원권 및 자동차 등)은 본인/배우자/기타(자녀)의 주거/부동산중 자가, 임차 기타/사용자산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산들의 비중(현금자산+투자자산+사용자산=전체합, 해당 금액/전체합=비중)을 계산하여 분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신용부채와 상기 담보부채는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100)로부터 입력받은 본인/배우자/기타(자녀)의 부채정보를 반영할 수 있으며, 상기 부채들의 비중을 계산(신용부채+담보부채=전체합, 해당금액/전체합=비중)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순자산(자산계-부채계)을 계산하여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만기까지의 남아 있는 기간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상기 자산/부채의 만기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채의 만기구조는 "대출년월+(거치기간+상환기간)=만기년월", "만기년월 분석기준년월=남아 있는 기간"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자산의 만기구조는 "가입년월+저축기간=만기년월", "만기년월-분석기준년월=남아 있는 기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채권의 경우 "투자기간=남아 있는 기간"으로 간주함이 바람직하며, 기간이 없는 자산의 처리는 주식 및 금융자산이면서 기간구분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자산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산부채분석부(220)에서 분석된 모든 결과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의 차트 또는 테이블 형태로 나타냄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무현황 기본평가부(230)는 고객의 현재 재무현황을 기초재무현황(예컨대, 자산 및 부채의 성격에 따른 재무현황과 평균소득 및 저축과의 비교 등)으로 구분하여 이를 평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초재무현황은 구체적으로 금융자산 안전성, 부채상환 스케줄 및 소득수준비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융자산 안전성은 확정금리와 변동(실적배당)금리 상품의 비율에 대한 비교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확정금리는 예/적금 중 확정금리로 선택된 상품을 나타내며, 상기 변동 및 실적배당은 금융상품 중 확정금리 상품을 제외한 모든 상품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금융자산 안전성 및 수익구조는 확정금리와 변동금리의 비중을 통한 안정과 수익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확정금리 비중이 높으면 안정적이지만, 수익구조에서는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채상환 스케줄은 현재(분석시점)를 기준으로 종료연도까지 부채별 만기구조를 예컨대, 그래프 형태로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소득수준비교는 예컨대, 통계청 기준 소득 10분위(소득 10분위별 가계수지 테이블 참조) 평균과 개인 수준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통계청 기준 소득 10분위 자료를 참조하여 저축수준을 비교할 수도 있다.
상기 재무현황 상세평가부(240)는 고객의 현재 재무현황을 상세재무현황으로 구분하여 이를 평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표 1과 같은 형태로 평가항목에 따른 가계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Figure 112005078293569-pat00001
또한, 상기 상세재무현황은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근거로 한 재무강점(Strength) 및 약점(Weakness)에 대해 제시한 기준을 토대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무현황 기본평가부(230) 및 상기 재무현황 상세평가부(240)에서 평가된 모든 결과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의 차트 또는 테이블 형태로 나타냄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자성향분석부(250)는 고객의 요구에 맞는 투자성향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하기의 표 2와 같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고객의 투자성향을 분석하고, 고객의 투자성향에 맞는 모델 포트폴리오(Model Portfolio)(후술하는 자산배분 방법론에 따름)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설문지 없이 투자성향을 직접 선택하여 동일한 분석을 진행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13217713-pat00002
상기와 같은 설문지 내용을 바탕으로 고객의 투자성향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설문결과를 이용해 투자성향 하기와 같은 상수(R)값을 산출할 수 있다.
R=(Score-MinMark(12)) / (MaxMark(102)-MinMark(12))×100
여기서, 상기 스코어(Score)는 고객이 설문에서 선택한 답의 배점을 합한 금액이고, 상기 최소마크(MinMark)는 해당 설문지에서 문항을 전체 기입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최소 스코어(Score)이며, 상기 최대마크(MaxMark)는 해당 설문지에서 문항을 전체 기입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최대 스코어(Score)이다.
한편, 상기의 설문지 방법이 아니라 사용자가 5가지 투자성향(예컨대, 보수적, 안정적, 중립적, 적극적 및 공격적 등)과 그 기대수익률 및 위험을 보고 직접 투자성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5분류의 투자성향에 맞는 상수(R)의 평균값을 지정 후 그 결과 값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자성향 산출결과는 상기 산출된 상수(R)값에 따라 하기의 표 3과 같이 해당되는 투자성향 및 성향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다. 또한, 투자성향을 직접 선택한 경우에도 해당 투자성향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다.
Figure 112005078293569-pat00003
한편, 상기 투자성향분석부(250)에서 분석된 모든 결과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의 차트 또는 테이블 형태로 나타냄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모델 포트폴리오(Model Portfolio)구축을 위한 자산배분 방법론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효율적 프론티어(Efficient Frontier)의 구성
1) 효율적 프론티어(Efficient Frontier) 도출을 위한 사용 데이터는 다음 각 필요 데이터베이스(DB)의 3년 치 통계 데이터를 사용한다.
(1) 현금성 : CD 유통수익률 월 평균 금리, (2) 주식형 : 월 평균 종합주가지수(일간 주가지수의 월 평균), (3) 채권형 : 국고채 3년물 월 평균 수익률
2) 효율적 프론티어(Efficient Frontier)의 구성
(1) 각 자산군의 기대수익률(E(R)) 측정
① 현금성 : 연간기대수익률 E(R) = Average(최근 3년간 수익률)
② 채권형 : 연간기대수익률 E(R) = Average(최근 3년간 수익률)
③ 주식형 : 월간 지수 수익률 산출 : Ln(Pt/Pt-1), 연간기대수익률 E(R) = Average(최근 3년간 월간수익률)×12
그리고, 주식형 자산의 경우에는 기대수익률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하여 보여주고, 실제 효율적 프론티어를 구성할 때는 관리자가 설정한 값을 사용한다.
(2) 각 자산군의 위험(s) 산출 : 각 자산군(스타일)의 월간 수익률의 표준편차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최근 3년간 월간수익률 사용).
Figure 112005078293569-pat00004
여기서, s는 표준편차이고,
Figure 112005078293569-pat00005
는 I자산의 k기간 수익률이며,
Figure 112005078293569-pat00006
는 I자산의 평균 수익률이다.
(3) 투자자산간 상관관계 분석
VCV 매트릭스 생성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05078293569-pat00007
여기서, COV(i,j)는 자산클래스 i와 자산클래스 j간의 공분산(Covariance)이고, r은 자산군(스타일) 수익률이고,
Figure 112005078293569-pat00008
는 자산군(스타일) 수익률의 평균이고, T는 각 자산군(스타일)별 3년간의 월간데이터 개수이다.
(4) 효율적 프론티어(Efficient Frontier)의 구성 : 난수 생성을 통해 현금, 주식 및 채권으로 구성된 10만여 개의 포트폴리오(Portfolio) 조합을 도출하고, 지배원리를 적용하여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점들의 조합을 효율적 프론티어 라인으로 그려낸다.
전술한 자산배분 방법론은 투자 가능한 자산 각각의 기대수익률과 위험도(표준편차), 각 자산간의 상호연관성(상관계수)을 바탕으로 하여 최소의 위험 속에서 최대의 수익을 얻도록 투자자산의 투자비중을 제시하고, 자산배분의 이론적 배 경은 Markowitz의 평균분산 모형이며, 상기 투자성향 진단은 설문지 방법에 의한 스코링(Scoring) 방법을 사용하며, 스코링(scoring)된 투자성향 값을 기준으로 각 점수대에 상응하는 최적 자산배분군의 조합을 산출하며, 배분 대상 자산은 현금성, 채권형 및 주식형 자산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모델 포트폴리오(Model Portfolio)는 위험과 기대수익률로 나타나는 사분면 상의 효율적 프론티어 위에 고객의 투자성향에 맞는 투자조합점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5가지 투자성향을 구분하는 상수(R)값의 범위에 따라 사분면의 x축을 나누고 해당 구간의 평균값을 구하여 각 구간별 모델 포트폴리오를 산출하고, 고객의 투자성향에 해당되는 구간의 모델 포트폴리오를 고객의 모델 포트폴리오로 제시하며, 해당 모델 포트롤리오를 위험과 기대수익률 사분면 위에서 나타내고 파이차트로 해당 모델 포트폴리오의 자산배분 비중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산배분 비교는 현재 포트폴리오, 모델 포트폴리오 및 설계 후 포트폴리오의 자산배분 현황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현재 포트폴리오는 현재 보유중인 금융자산(보험 제외)을 예컨대, 현금성(예적금과 잔액 합산), 채권형(채권은 평가금액 합계, 신탁/펀드는 개별 상품의 운용유형에 따라 아래의 주식비율을 참조, (1-주식비율)를 채권비율로 가정하여 개별상품 중 채권으로 편입될 부분을 산출하고 이를 합산) 및 주식형(주식 평가금액 합계, 신탁/펀드는 주식비율을 적용하여 채권형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 등으로 구분하여 여러 모양의 차트 또는 테이블 형태로 나타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델 포트폴리오는 모델 포트폴리오 구성방법과 동일하고, 상기 설계 후 포트폴리오는 설계 후 새로 구성된 상품을 기준으로 포트폴리오 현황을 나타내며, 구성방법은 현재 포트폴리오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자산배분에 대한 시뮬레이션은 자산배분 방법론에 따라 효율적 프론티어를 구성하고, 효율적 프론티어 위에 자산군 조합을 나타내는 점을 사용자가 마우스 스크롤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해당 점이 효율적 프로티어 위에서 이동함에 따라 해당 점에서의 자산배분 현황 및 기대수익률과 위험을 변화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200)은 고객의 재무목표를 필요한 시기에 따라 재무목표별 필요자금 현가와 종가를 계산하여 이를 분석하는 재무목표현황 분석부(260) 및 고객이 보유한 부동산의 현황과 주가지수를 대비하여 분석하는 보유부동산분석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는 상기 재무목표현황 분석부(260)에서 분석하는 내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재무목표 필요시기
1) 생활비 : 매년 발생
2) 은퇴시기 : 가족대표정보의 은퇴연령이며 은퇴와 관련된 다음의 재무목표 포함할 수 있다. 즉, 노후기본생활비 : 은퇴시작연령부터 기대여명까지, 노후의료비 : 은퇴시작연령부터 기대여명까지, 은퇴후 취미/여가 : 은퇴시작연령부터 기대여명까지, 추가노후생활비 : 은퇴시작연령부터 기대여명까지, 실버타운입주 : 은퇴시작연령 1회.
3) 초/중고교육 : 자녀별 연령 및 학년으로 파악, 부양가족 정보 입력 시 학년을 자동으로 선택할 경우는 하기의 표 4와 같은 원칙에 따라 학년을 유추할 수 있다.
5 6 7 8 9 10 11 12 13 14 15
유치1 유치2 초등1 초등2 초등3 초등4 초등5 초등6 중1 중2 중3
16 17 18 19
고1 고2 고3 대1
이때, 부양가족정보 입력 시 학년을 입력한 경우 고객이 제공한 학년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4) 대학교육 : 기본적으로 19세이며 학년을 입력한 경우 고3 다음해를 대학입학 시기로 보며, 기본값은 입력된 고객정보 중 자녀교육 결혼자금을 참조할 수 있다.
5) 자녀결혼 : 상기 자녀교육 결혼자금 입력의 연령.
6) 주거/부동산 자금 : 주거/투자용 부동산 자금의 구입시점 연령.
7) 기타 재무목표 : 기타 재무목표자금의 시작연령.
2. 주요 재무목표별 필요자금의 계산
1) 생활비 :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300)에서 계산하며, 주요 재무목표별 필요자금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2) 노후기본생활비(추가 생활비와 동일함)
① 필요자금 종가 : 은퇴시점 기본생활비=기본생활비×(1+물가상승률)(은퇴연령-현재나이), 은퇴시점 누적기본생활비(필요자금 종가)=은퇴시점 기본생활비×(V(기대여명-은퇴연령+1)-1)/(V-1), V=(1+물가상승률)/(1+은퇴후 기대수익률)
② 필요자금 현가 : 필요자금 종가/(1+은퇴전 기대수익률)(은퇴연령-현재연령)
③ 여분
3) 노후의료비
① 노후의료비 필요자금 종가 : 은퇴시점 노후의료비=노후의료비×(1+물가상승률)(은퇴연령-현재나이), 은퇴시점 누적노후의료비(필요자금 종가)=은퇴시점 노후의료비×(V(기대여명-은퇴연령+1)-1)/(V-1), V=(1+물가상승률)/(1+은퇴후 기대수익률)
② 노후의료비 필요자금 현가 : 노후의료비 필요자금종가/(1+은퇴전 기대수익률)(은퇴연령-현재연령)
③ 여분
4) 은퇴후 취미 여가
① 은퇴후 취미/여가 필요자금 종가 : 은퇴후 취미/여가비용=은퇴후 취미/여가비용×(1+물가상승률)(은퇴연령-현재나이), 은퇴후 누적취미/여가비용(필요자금 종가)=은퇴후 취미/여가비용×(V(기대여명-은퇴연령+1)-1)/(V-1), V=(1+물가상승률)/(1+은퇴후 기대수익률)
② 은퇴후 누적취미/여가비용 필요자금 현가 : 은퇴후 취미/여가 필요자금 종가/(1+은퇴전 기대수익률)(은퇴연령-현재연령)
③ 여분
5) 실버타운 입주 보증금
① 필요자금 종가 : 실버타운 보증금 입력값×(1+물가상승률)
② 필요자금 현가 : 필요자금 종가/(1+은퇴전 기대수익률)
6) 초/중/고 교육 필요자금 : 라이프 플랜(Life Plan)상 매년의 수입/지출 흐름에는 반영하지만, 주요 재무목표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7) 대학교육(대학원, 어학연수동일 방법)
① 필요자금 종가 : 년간 교육필요자금 종가=년간 교육필요자금×(1+물가상승률)(교육시작나이-현재나이), 누적필요자금 종가=년간 교육필요자금 종가×(V(교육기간)-1)/(V-1)
② 필요자금 현가 : 필요자금 종가/(1+은퇴전 기대수익률)(교육시작나이-현재나이), 상기 교육시작나이 및 상기 현재나이는 자녀 기준이다.
8) 결혼자금
① 필요자금 종가 : 결혼필요자금 종가=결혼필요자금×(1+물가상승률)(결혼나이-현재나이)
② 필요자금 현가 : 필요자금 종가/(1+ 은퇴전 기대수익률)(결혼나이-현재나이)
9) 기타 재무목표
① 일정기간 비용 발생의 경우 : 노후생활비 또는 교육필요자금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한다.
② 1회 발생의 경우 : 결혼자금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한다.
10) 주택마련목표
① 필요자금 종가 : 주택마련 필요자금 종가 = 주택필요자금×(1+부동산상승률)(구매나이-현재나이)
② 필요자금 현가 : 필요자금 종가/(1+ 은퇴전 기대수익률)(결혼나이-현재나이)
11) 은퇴전생활비 : 은퇴전생활비 현가=현생활비(본인제외)×(V(은퇴연령-현재연령+1)-1)/(V-1), V=(1+물가상승률)/(1+은퇴전 기대수익률)
이하에는 상기 보유부동산분석부(270)에서 분석하는 내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보유부동산분석부(270)는 고객의 부동관련 자산현황 및 관심부동산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투자용 부동산 및 주거용 부동산에 대한 현황분석 및 투자에 필요한 비용, 세금 및 수익률 등에 대한 각종 분석을 지원한다.
이때, 보유부동산 현황 평가는 고객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의 가격 및 수익률 등 세부적인 현황을 다양한 차트 또는 테이플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수익 분석 시뮬레이션은 부동산에 대한 임대수익성을 수입/지출 현금흐름(Cash Flow)을 통해서 NPV 및 내부수익률을 산출하여 투자 적정성을 제시할 수 있다.
1. 보유 부동산 현황평가
1) 보유 부동산 현황 및 평가는 하기의 표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78293569-pat00009
여기서, 상기 자산명은 입력된 해당 부동산의 주소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소유자는 입력값이고, 상기 보유기간은 기준일(현재일자)-취득일(입력값)이고, 상기 취득가는 입력값이고, 상기 평가액은 입력값이고, 상기 대출/임대보증금은 임대보증금 및 대출금의 합이고, 상기 순자산은 평가액 부채(대출/임대보증금)이고, 상기 누적수익률은 (평가금액/취득가액)×100(%)이고, 상기 연평균수익률은 (평가금액/취득가액)(1/보유기간)- 1 이고, 상기 가중 연평균 수익률은 (각 개별부동산의 연평균수익률×개별부동산 비중)이고, 상기 취득가, 상기 평가금액, 상기 대출/임대보증금 및 상기 순자산은 합계를 표시한다.
2) 부동산 자산구성비는 부동산 현황 및 평가표에 나타낸 자산 및 평가금액 기준으로 다양한 차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3) 주가지수 대비 구입시점은 (취득기간이 가장 오래된 부동산 구입시점 - 6개월)부터 현재시점까지의 주가지수 그래프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2. 수익분석 시뮬레이션
상기 수익분석 시뮬레이션은 1개 또는 2개 부동산에 대한 임대소득 사업성 분석을 진행할 수 있고, 각 부동산 입력시 기 입력된 부동산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임의의 부동산을 가정하여 분석을 진행할 수 있으며, 부동산을 선택하는 경우 취득가격, 대출금 및 대출이자율은 해당부동산의 정보를 가져올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분석은 해당 부동산을 현재시점에 '취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입력된 임대사업 기간 내에 발생되는 현금흐름을 기준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300)은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200)로부터 분석된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바탕으로 고객에 대한 위험항목을 분석 및 설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객에 대한 위험항목은 사망위험, 노후위험, 과세위험 또는 부채위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400)은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재무목표에 따라 분석 및 설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객의 재무목표는 노후목표, 자녀교육목표, 자녀결혼목표 또는 주택마련목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노후목표에 따른 분석은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노후목표 정보를 바탕으로 은퇴 후 생활자금 충당을 위한 노후자금을 분석하여 예상필요자금, 예상준비자금 및 추가저축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후목표 정보는 예컨대, 고객의 현재연령, 은퇴 예상연령, 기대수명 및 저축기간 단축 시(해당 기간까지 저축기간을 단축하는 경우) 연령 등의 기본정보 항목과, 예상 은퇴생활비 등의 필요자금 항목과, 현 기준 은퇴 시 퇴직금, 현 준비일시금(현재 보유중인 금융자산 중 은퇴를 대비하여 은퇴 시까지 금융기간에 보유할 자산, 재무목표를 위한 비용지출 시점까지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자산을 구별하여 설정함), 월 저축 가능금액(은퇴 생활비 지출을 대비하여 은퇴 시까지 매월 저축 가능한 금액 즉, 분석시점부터 노후생활 시작 시점까지의 월 저축액), 세전급여, 공적연금 가입연령 및 월납보험료 등의 준비자금 항목과, 물가상승률, 기대수익률 및 소득상승률 등의 분석값 항목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예상필요자금에는 예컨대, 노후 생활비 불변가격과 노후 생활비 경상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노후 생활비 불변가격은 "고객이 입력한 예상노후 월간 생활비 금액×(1+물가상승률)(노후시작연령현재연령)"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노후 생활비 경상가격은 상기 노후 생활비의 불변가격에 물가상승률을 적용한 것으로서, "해당연령의 노후생활비 경상가격=노후생활비 불변가격×(1+물가상승률)(해당연령-노후시작연령)" 및 "노후 시작연령에서의 노후 일시자금의 미래가치=∑ 매년 노후 생활비 경상가격/(1+은퇴 후 기대수익률)(해당연령 노후시작연령), 여기서, 상기 해당연령은 노후시작연령에서 기대수명까지"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상준비자금은 공적연금 즉, 연금수급 연령부터 매년 물가상승률만큼 기본 연금액을 증액한 것으로서, "연도별 국민연금=기본 연금액×(1+물가상승률)n, 여기서, n은 0부터 기대수명 연금수급연령까지"와, 노후 시작 연령에서의 준비일시자금은 노후생활 시작 연령으로 현가 할인하여 모두 더한 것으로서, "국민연금 일시자금=∑(연도별 국민연금)÷(1+은퇴 후 기대수익률)n, 여기서, n은 연금수급연령 노후생활 시작연령부터 기대수명 노후생활시작연령까지"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저축(매월 P씩 현재연령부터 노후시작연령까지(노후시작연령-현재연령)년(n년)간 불입한 원리금 계산(월단리 연복리 설정), 매년 A%만큼 월 저축액 증가, P×(12+6.5×i)×{(1+i)(n)-1}/i}, 여기서, i=고객 입력수익률) 및 준비일시금(현재 설정된 준비일시금(P)을 노후시작 연령까지 연복리로 부리, P×(1+은퇴 전 기대수익률)(노후시작연령-현재연령)"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저축비용에는 부족자금(노후생활 시작연령에서의 필요일시자금과 준비자금과의 차액: 필요일시자금-공적연금-예상퇴직금-저축-준비 일시금)과, 추가 저축 및 준비일시금 금액 즉, 부족자금이 발생할 경우 "추가저축금액=부족자금×i/[(12+6.5×i)×{(1+i)n-1}], 여기서, n=노후시작연령-현재연령, i=은퇴 전 기대수익률" 또는 "추가 준비일시금=부족자금÷(1+은퇴 전 기대수익률)n, 여기서, n=노후시작연령-현재연령"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녀교육목표에 따른 분석은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자녀교육목표 정보를 바탕으로 자녀의 교육자금을 충당하기 위한 자녀교육자금을 분석하여 예상필요자금, 예상준비자금 및 추가저축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녀교육목표 정보는 예컨대, 자녀별 현재연령, 대학입학연령, 교육기간 및 연간비용 등의 기본정보 항목과, 자녀별 월 저축 가능금액(대학 교육비용 지출을 대비하여 자녀의 대학 입학 시점까지 저축 가능한 금액) 및 현 준비 일시금(현재 보유중인 금융자산 중 자녀의 대학교육충당을 위해 대학 입학시점까지 금융기간에 보유할 자산) 등의 준비자금 항목과, 교육비 상승률 및 기대수익률 등의 분석기준 항목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예상필요자금에는 예컨대, 지출자금 불변가격과 지출자금 경상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출자금 불변가격은 고객이 입력한 예상 연간교육비용이며, 상기 지출자금 경상가격은 "∑ 지출자금 불변가격×(1+교육비 상승률)k, 여기서, k=입학연령-현재연령에서 (입학연령-현재연령-1)까지+기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상준비자금은 저축(매월 P씩 현재연령부터 대학입학 연령까지(입학연령-현재연령)년(n년)간 불입한 원리금 계산(월단리 연복리 설정), 매년 A%만큼 월 저축액 증가, P×(12+6.5×i)×{(1+i)(n)-1}/i}, 여기서, i=기대수익률) 및 준비 일시금(현재 설정된 준비일시금(P)을 입학연령까지 연복리로 부리, P×(1+기대수익률)(입학연령-현재연령))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저축비용에는 부족자금(필요자금-준비자금)과, 추가 저축 및 준비일시금 금액 즉, 부족자금이 발생할 경우 "추가저축금액=부족자금×i/[(12+6.5×i)×{(1+i)n-1}], 여기서, n=구입연도-현재연도, i=기대수익률" 또는 "추가 준비일시금=부족자금÷(1+기대수익률)n, 여기서, n=구입연도-현재연도"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녀결혼목표에 따른 분석은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자녀결혼목표 정보를 바탕으로 자녀의 결혼자금을 충당하기 위한 자녀결혼자금을 분석하여 예상필요자금, 예상준비자금 및 추가저축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녀결혼목표 정보는 예컨대, 자녀별 현재연령, 결혼예정연령 및 예상비용 등의 기본정보 항목과, 자녀별 월 저축 가능금액 및 준비일시금 등의 추가저축비용 항목과, 물가상승률 및 기대수익률 등의 분석값 항목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예상필요자금에는 예컨대, 지출자금 불변가격과 지출자금 경상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출자금 불변가격은 고객이 입력한 예상 자녀결혼비용이며, 상기 지출자금 경상가격은 "지출자금 불변가격×(1+상승률)(예정연령-현재연령)"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상준비자금은 저축(매월 P씩 현재연령부터 결혼예정 연령까지(예정연령-현재연령)년(n년)간 불입한 원리금 계산(월단리 연복리 설정), 매년 A%만큼 월 저축액 증가, P×(12+6.5×i)×{(1+i)(n)-1}/i}, 여기서, i=기대수익률) 및 준비일시금(현재 설정된 준비일시금(P)을 결혼예정연령까지 연복리로 부리, P×(1+기대수익률)(예정연령-현재연령))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저축비용에는 부족자금(필요자금-준비자금)과, 추가 저축 및 준비일시금 금액 즉, 부족자금이 발생할 경우 "추가저축금액=부족자금×i/[(12+6.5×i)×{(1+i)n-1}], 여기서, n=예상연령-현재연령, i=기대수익률" 또는 "추가 준비일시금=부족자금÷(1+기대수익률)n, 여기서, n=예상연령-현재연령"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택마련 목표에 따른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주택마련목표 정보를 바탕으로 미래의 주택 구입자금을 충당하기 위한 주택자금을 분석하여 예상필요자금, 예상준비자금 및 추가저축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택마련목표 정보는 주택구입유형 및 구입예정연도 등의 기본정보항목과, 예상 구입비용 등의 필요자금 항목과, 보유주택현재가, 월 저축 가능금액(주택자금지출을 대비하여 주택자금 시까지 저축 가능한 금액) 및 현 준비 일시금(현재 보유중인 금융자산 중 노후를 대비하여 은퇴 시까지 금융기간에 보유할 자산) 등의 준비자금 항목과, 주택가격 상승률 및 기대수익률 등의 분석기준값 항목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예상필요자금에는 예컨대, 구입자금 불변가격과 구입자금 경상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입자금 불변가격은 고객이 입력한 예상 주택구입자금비용이며, 상기 구입자금 경상가격은 "구입자금 불변가격×(1+주택가격 상승률)(구입연도-현재연도)"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상준비자금은 저축(매월 P씩 현재연도부터 주택구입 연도까지(주택구입 연도-현재연도)년(n년)간 불입한 원리금 계산(월단리 연복리 설정), 매년 A%만큼 월 저축액 증가, P×(12+6.5×i)×{(1+i)(n)-1}/i}, 여기서, i=기대수익률)과, 준비 일시금(현재 설정된 준비일시금(P)을 주택구입 연도까지 연복리로 부리, P×(1+기대수익률)(구입연도-현재연도))과, 보유주택 평가금액(주택 구입연도까지 보유 주택에 대한 평가금액으로서, 보유주택 불변가격=고객이 입력한 예상 보유주택금액, 보유주택 경상가격=보유주택 불변가격×(1+주택가격 상승률)(구입연도-현재연도))과, 기타자금(부모 지원금 등의 기타자금의 경우 자금 유입 시기에 따라 다름, 기타자금 불변가격=고객이 입력한 예상 기타자금, 기타자금 경상가격=기타자금 불변자금×(1+기대수익률)(구입연도-현재연도), 자금 유입 시기가 현재일 경우 불변가격을 사용하며, 구입 시점인 경우에는 경상가격을 사용"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저축비용에는 부족자금(=필요자금-준비자금, 신규 구입일 경우(준비자금=저축+준비일시금+기타자금), 구입인 경우(준비자금=저축+준비일시금+보유주택 경상가격+기타자금), 추가 구입인 경우(준비자금=저축+준비일시금+기타자금))과, 추가 저축 및 준비일시금 금액 즉, 부족자금이 발생할 경우 "추가저축금액=부족자금×i/[(12+6.5×i)×{(1+i)n-1}], 여기서, n=구입연도-현재연도, i=기대수익률" 또는 "추가 준비일시금=부족자금÷(1+기대수익률)n, 여기서, n=구입연도-현재연도"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총괄조정모듈(500)은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300) 및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400)로부터 설계된 내용을 참조하여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을 총괄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총괄조정모듈(500)은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300) 및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400)로부터 설계된 내용을 참조하여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과 연계하여 총괄적으로 파악하고, 미 할당 가용자산 리스트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금융상품을 추천하기 위하여 조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과분석모듈(600)은 고객의 위험항목별 및 재무목표별 설계 전/후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설계 전/후 비교의 대상은 만기구조, 현금흐름, 자산/부채흐름, 종합과세, 종신보험 또는 자산배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상기 효과분석모듈(600)에서는 고객의 재무목표별로 설계 전 적립/거치 현황과 설계 후 적립/거치의 변화를 확인하고 달성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현금흐름 비교를 통해 설계 전/후의 가계지출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산/부채흐름 비교를 통해 설계 전/후의 미래 순자산흐름을 비교함으로써, 주요 재무목표시점에서 자산의 감소가 일어나는 지와 부채발생 시 자산이 감소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합과세 비교를 통해 고객이 현재 보유한 금융상품을 기준으로 연도별 과세대상 소득 및 종합과세 납부세액을 산출하고 이를 상품재설계 후의 연도별 종합과세 산출액과 비교함으로써, 설계 전 종합과세액 산출표에서 고객의 현재 보유자산 기준의 연도별 과세대상 소득 및 종합과세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설계 후 종합과세액 산출표에서 상품재설계 이후 자산 기준의 연도별 과세대상 소득 및 종합과세액 및 절세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신보험 비교를 통해 종신보험을 가입한 경우와 보험료를 적립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보험가입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경과기간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보험료를 일반 저축하는 경우와 종신보험 보험금의 혜택을 받는 경우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산배분 비교를 통해 현재 포트폴리오(고객의 현재 보유 자산을 기준으로 한 자산배분 비율) 및 모델 포트폴리오(고객의 투자성향에 따른 적정 자산배분 비율), 설계 후 포트폴리오(상품 재설계 이후의 자산을 기준으로 한 자산배분 비율)의 자산배분 비율을 다양한 차트 또는 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고객정보입력모듈(100, 도 1 참조)에 의해 인적에 관련된 정보 및 재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입력받고(S100), 재무상태분석모듈(200, 도 1 참조)을 통해 상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분석한다(S200).
다음으로, 위험분석/설계모듈(300, 도 1 참조)을 통해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200)로부터 분석된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바탕으로 고객에 대한 위험항목을 분석 및 설계하고(S300), 목표분석/설계모듈(400, 도 1 참조)을 통해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재무목표에 따라 분석 및 설계한다(S400).
이후에, 총괄조정모듈(500, 도 1 참조)을 통해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300) 및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400)로부터 설계된 내용을 참조하여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을 총괄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조정한 후(S500), 효과분석모듈(600, 도 1 참조)을 통해 상기 고객의 위험항목별 및 재무목표별 설계 전/후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다(S600).
도 3은 도 2의 재무상태분석 과정(S200)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고객정보입력모듈(100, 도 1 참조)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현재 수입/지출 현황을 소득구분별 수입현황과 변동 및 고정지출에 대해 현금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한 후(S210), 고객의 현재 자산부채 현황을 자산의 성격과 부채 성격별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이를 분석한다(S230).
다음으로, 고객의 현재 재무현황을 기초/상세 재무현황으로 구분하여 이를 평가한 후(S250), 고객의 요구에 맞는 투자성향을 분석한다(S27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따르면, 고객으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고객의 전체 자산을 분석하여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위험플랜과 재무목표플랜을 구분하여 분석 및 설계를 수행하여 해당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을 효율적으로 추천해줌으로써, 고객에 대한 종합적인 자산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인적에 관련된 정보 및 재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고객정보입력모듈;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재무상태분석모듈;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로부터 분석된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바탕으로 고객에 대한 사망위험, 노후위험, 과세위험 또는 부채위험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항목을 분석 및 설계하기 위한 위험분석/설계모듈;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재무목표에 따라 분석 및 설계하기 위한 목표분석/설계모듈;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 및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로부터 설계된 내용을 참조하여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과 연계하여 총괄적으로 파악하고, 미 할당 가용자산 리스트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금융상품을 추천하기 위하여 조정하기 위한 총괄조정모듈; 및
    상기 고객의 위험항목별 및 재무목표별 만기구조, 현금흐름, 자산/부채흐름, 종합과세, 종신보험 또는 자산배분 중 적어도 하나의 설계 전/후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효과분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로부터 제공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고객의 전체 자산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위험과 재무목표를 구분하여 분석 및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을 효율적으로 추천하기 위한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은,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현재 수입/지출 현황을 소 득구분별 수입현황과 변동 및 고정지출에 대해 현금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현금흐름분석부;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현재 자산부채 현황을 자산의 성격과 부채 성격별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자산부채분석부;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현재 재무현황을 자산 및 부채의 성격에 따른 재무현황과 평균소득 및 저축과의 비교를 통해 평가하는 기초재무현황과 상기 입력된 고객정보를 근거로 한 재무강점 및 약점에 대해 제시한 기준을 토대로 평가하는 상세재무현황으로 구분하여 이를 평가하기 위한 재무현황 기본/상세평가부; 및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요구에 맞는 투자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투자성향분석부;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의 재무목표를 필요한 시기에 따라 재무목표별 필요자금 현가와 종가를 계산하여 이를 분석하기 위한 재무목표현황 분석부; 및
    상기 고객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고객이 보유한 부동산의 현황과 주가지수를 대비하여 분석하기 위한 보유부동산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에서 상기 고객의 재무목표는 노후목표, 자녀교육목표, 자녀결혼목표 또는 주택마련목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고객정보입력모듈, 재무상태분석모듈, 위험분석/설계모듈, 목표분석/설계모듈, 총괄조정모듈 및 효과분석모듈을 포함한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을 이용한 고객의 금융 컨설팅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고객정보입력모듈로부터 인적에 관련된 정보 및 재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재무상태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위험분석/설계모듈을 통해 상기 분석된 종합적인 재무상태를 바탕으로 고객에 대한 사망위험, 노후위험, 과세위험 또는 부채위험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항목을 분석 및 설계하는 단계;
    (d) 상기 목표분석/설계모듈을 통해 상기 입력받은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재무목표에 따라 분석 및 설계하는 단계; 및
    (e) 상기 총괄조정모듈을 통해 상기 단계(c) 및 단계(d)에서 설계된 내용을 참조하여 고객에 필요한 금융상품과 연계하여 총괄적으로 파악하고, 미 할당 가용자산 리스트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적절한 금융상품을 추천하기 위하여 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효과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고객의 위험항목별 및 재무목표별 만기구조, 현금흐름, 자산/부채흐름, 종합과세, 종신보험 또는 자산배분 중 적어도 하나의 설계 전/후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50135002A 2005-12-30 2005-12-30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0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002A KR100760062B1 (ko) 2005-12-30 2005-12-30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002A KR100760062B1 (ko) 2005-12-30 2005-12-30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497A KR20070071497A (ko) 2007-07-04
KR100760062B1 true KR100760062B1 (ko) 2007-09-18

Family

ID=3850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002A KR100760062B1 (ko) 2005-12-30 2005-12-30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0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07B1 (ko) 2011-04-29 2011-08-24 주식회사 알투소프트 중장기 재무계획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59106B1 (ko) 2011-04-29 2011-08-24 주식회사 알투소프트 재무위험 관리 시스템
KR101078868B1 (ko) * 2009-09-10 2011-11-02 최상민 금융 컨설팅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10891B1 (ko) * 2008-12-19 2012-03-13 삼성증권주식회사 금융상품 분석/관리 시스템
KR20190000327A (ko) 2018-10-16 2019-01-02 주식회사 더재무컨설팅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KR20210157767A (ko) 2020-06-22 2021-12-29 위플래너 주식회사 재무관리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33B1 (ko) * 2007-09-05 2010-03-19 이니텍(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금융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9932B1 (ko) * 2008-04-03 2010-09-03 김대현 재무 계산기의 사용법을 스토리를 사용하여 교육하는 컴퓨터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 및 재무 계산기의 사용법을 스토리를 사용하여 교육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00013888A (ko) * 2008-08-01 2010-02-10 (주)한국피비자산관리 네트워크를 통한 맞춤형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527386B2 (en) 2010-01-19 2013-09-03 Living Legacy System, L.L.C. Asset investment tool
US8527387B2 (en) 2011-01-18 2013-09-03 Living Legacy System, L.L.C. Asset investment tool
KR101273625B1 (ko) * 2011-05-02 2013-06-11 구경환 재무 상태 진단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WO2013058419A1 (ko) * 2011-10-19 2013-04-25 Kim Seong Kyu 온라인을 통한 지출 분석 및 자산 관리 시스템
KR101464672B1 (ko) * 2013-06-07 2014-11-27 이유진 라이프 사이클 기반 은퇴 금융 설계 방법 및 시스템
KR101516731B1 (ko) * 2014-01-17 2015-05-04 최윤화 자산 건전성 평가 기능을 갖는 복식부기식 가계부 시스템
KR101594921B1 (ko) * 2015-11-21 2016-02-17 주식회사 이재원 온라인 자산설계 시스템
KR101897115B1 (ko) * 2017-03-09 2018-10-22 주식회사 위펀딩 부동산 기반 자산 투자 시스템
KR102063872B1 (ko) * 2018-05-18 2020-01-08 중소기업은행 금융플랫폼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2168308B1 (ko) * 2018-09-04 2020-10-21 주식회사 위펀딩 부동산 기반 자산 투자 시스템
KR102315229B1 (ko) * 2021-01-11 2021-10-20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재정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17688249B (zh) * 2024-02-02 2024-04-19 上海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分析的投行智能匹配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5964A (ja) 1999-10-26 2001-05-11 Golden Chrat Sha:Kk 資産運用助言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収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44846A (ko) * 1999-11-01 2001-06-05 차종근 재정분석 방법
KR20040075195A (ko) * 2003-02-20 2004-08-27 삼성캐피탈 주식회사 고객의 생활 패턴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방법 및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50047246A (ko) * 2003-11-17 2005-05-20 교보생명보험 주식회사 재무목표달성을 위한 자산조정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5964A (ja) 1999-10-26 2001-05-11 Golden Chrat Sha:Kk 資産運用助言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収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44846A (ko) * 1999-11-01 2001-06-05 차종근 재정분석 방법
KR20040075195A (ko) * 2003-02-20 2004-08-27 삼성캐피탈 주식회사 고객의 생활 패턴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방법 및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50047246A (ko) * 2003-11-17 2005-05-20 교보생명보험 주식회사 재무목표달성을 위한 자산조정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891B1 (ko) * 2008-12-19 2012-03-13 삼성증권주식회사 금융상품 분석/관리 시스템
KR101078868B1 (ko) * 2009-09-10 2011-11-02 최상민 금융 컨설팅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59107B1 (ko) 2011-04-29 2011-08-24 주식회사 알투소프트 중장기 재무계획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59106B1 (ko) 2011-04-29 2011-08-24 주식회사 알투소프트 재무위험 관리 시스템
KR20190000327A (ko) 2018-10-16 2019-01-02 주식회사 더재무컨설팅 오픈 api를 활용한 재무디자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하는 재무설계사 연계방법
KR20210157767A (ko) 2020-06-22 2021-12-29 위플래너 주식회사 재무관리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497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062B1 (ko) 고객의 전체 자산 분석을 통한 금융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Hilscher et al. Inflating away the public debt? An empirical assessment
US8812379B2 (en) Method and system balancing net savings, resources and claims into retirement
Finkelstein et al. Selection effects in the United Kingdom individual annuities market
Greenwood et al. Expectations of returns and expected returns
US10223749B2 (en) Retirement planning method
Gan Housing wealth and consumption growth: Evidence from a large panel of households
Love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and children on savings and portfolio choice
KR100791650B1 (ko) 고객의 위험 상황별 금융 컨설팅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Bajtelsmit et al. Measures of retirement benefit adequacy: Which, why, for whom, and how much
Mwangi An investigation into factors that determine financial performance of insurance companies in Kenya
KR101594921B1 (ko) 온라인 자산설계 시스템
Linnainmaa et al. Costly Financial Advice: Conflicts of Interest or Misguided Beliefs
KR102121857B1 (ko) 재무설계 서비스 제공 방법
Ogilvie CIMA Official Learning System Financial Strategy
Muya An investigation into factors that determine financial performance of insurance companies in Kenya
Mason et al. National Transfer Accounts Manual: Draft Version 1.0
Pitschke et al. The impact of the New Basel Capital Accord on real estate developers
Bednarczyk et al. Life insurance with insurance capital funds as a form retirement savings: Determinants for the self-employed
Wafula Influence of Heterogeneity of Investors’ Behaviour on Corporate External Financing Decision by Listed Companies in Kenya
Huntley et al. What drives investors to chase returns?
Akin et al. Credit Card Debt: Nescience or Necessity?
Michelangeli et al. What Drives Investors to Chase Returns?
Noviarini Essays on retirement wellbeing in New Zealand
Keith Financial factor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at relate to the long-term debt of US four-year public colleges and univers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