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992A -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992A
KR20180137992A KR1020170078004A KR20170078004A KR20180137992A KR 20180137992 A KR20180137992 A KR 20180137992A KR 1020170078004 A KR1020170078004 A KR 1020170078004A KR 20170078004 A KR20170078004 A KR 20170078004A KR 20180137992 A KR20180137992 A KR 20180137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vehicle
signal
disposed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601B1 (ko
Inventor
김용호
손현제
황진규
임상훈
양태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01B1/ko
Priority to US15/827,481 priority patent/US10389042B2/en
Priority to CN201711328739.5A priority patent/CN109103571A/zh
Publication of KR2018013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66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using the mirror of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9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in or on other locations inside the vehicle or vehicl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9Combinations of different interacting antenna units for giving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통신하는 제1 안테나; 차량 루프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되어 V2X 신호,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통신하는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로부터 통신한 상기 V2X 신호,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하여 다이버시티 통신을 수행하는 튜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V2X Antenna and V2X Antenna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와,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제2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시스템은 V2V(Vehicle to Vehicle)과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고속 주행의 고속 도로 상황이나 일반 도로 상황 등 차량들이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서 전방으로부터 발생된 위험 상황을 차량간 통신을 통해 알려주거나, 차량 및 이동통신의 기지국간 통신하여 후방의 차량에 위험 상황을 전파하여 사고 예방을 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V2X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V2X 안테나가 루프에 배치되어, 다수의 안테나의 지향 방향이 한 방향으로 되어 있어 V2V 통신 위한 안테나 지향 방향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위치를 V2V 및 V2I 통신에 적합하도록 배치하여, V2V 및 V2I 통신에 적합한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안테나는 차량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배치되어 V2X 신호, LTE(Long Term Evolution)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통신하는 제1 안테나; 및 차량 루프 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통신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는 AM, FM, DMB 및 GPS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지향성을 가지고, 상기 차량의 전방부 신호를 커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차량의 상단 방향 및 평행 방향으로 지향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 30도 ~ 0도의 지향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안테나는 지향성을 가지고, 상기 차량의 후방부 신호를 커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V2X 신호, 상기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상단 방향 및 평행 방향으로 지향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V2X 신호, 상기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상단 방향 및 평행 방향으로 지향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는 0도 ~ 60도의 지향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2 안테나와 다른 방향으로 지향 방향을 가지고, 상기 지향 방향이 이원화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차량 전면 유리부 및 크래시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차량이 세단형인 경우, 기 설정된 지향각을 가지며, 상기 전면 유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지향 방향은 전방 상단, 전방 평행 및 후방 평행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되는 경우,
클러스터 뒤 상단, 클러스터 및 헤드 유닛 사이, 헤드 유닛 상단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차량이 SUV형인 경우, 기 설정된 지향각을 가지며, 상기 크래시 패드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크래시 패드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지향 방향은 전방 상단, 전방 평행 및 후방 평행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는 샤크 핀 안테나 및 마이크로 폴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안테나 시스템은 차량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차량 루프 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로부터 통신한 상기 V2X 신호,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하여 다이버시티 통신을 수행하는 튜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수신 신호를 구분하는 스플리터;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수신 신호 중 LTE 신호를 수신하는 LTE 모뎀;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수신 신호 중 V2X 신호를 수신하는 V2X 모뎀;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의 LTE 신호 및 V2X 신호 수신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LTE 신호 및 V2X 신호 수신율을 실시간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LTE 신호 및 V2X 신호 수신율이 가장 높은 방향으로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 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가 상기 수신율이 높은 방향으로 지향각을 조절하는 경우, 다른 안테나는 나머지 부분을 광범위하게 커버하기 위한 방향으로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상기 지향각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가 차량 전면 유리부 및 크래시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V2X 신호에 대응하여 다이버시티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가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V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에서 각각 수신한 V2V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가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I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에서 각각 수신한 V2I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가 크래시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V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에서 각각 수신한 V2V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가 크래시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I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에서 각각 수신한 V2I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통신 전계가 불규칙하게 변동하는 것과 같은 페이딩 발생 영향이 적어지도록 다이버시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V2X 통신에 있어 무선 전파 환경에서 통신 전계의 불규칙한 변동과 같은 페이딩 발생 영향을 적게 받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기존 방송통신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그래도 적용하면서 서로 상호간에 문제 없는 안테나 솔루션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V2X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는 안테나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차량간의 V2V 통신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차량간의 V2I 통신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V2X 통신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 및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제2 안테나를 통한 V2X 안테나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V2X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시스템은 차량(10) 내의 V2X 안테나 시스템(100)은 상대방 차량(20)과 V2V(Vehicle to Vehicle)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통신 대상물(30)과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차량(10) 및 상대방 차량(20)은 주행 중이거나 정지된 차량일 수 있다. 따라서, 정지하거나 주행중인 차량(10) 및 상대방 차량(20) 사이에서 V2V 통신이 행해질 수 있다.
반면, 통신 대상물(30)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거나 이동 중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대상물(30)이 기지국인 경우, 주행 중이거나 정지된 차량(10)과 건물 또는 도로변에 위치한 기지국 간 V2I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이 타 차량(20)과 V2V 통신을 하고, 상기 통신대상물(30)과 V2I 통신을 하여, 상기 V2V 통신 및 V2I 통신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차량(10) 내의 V2X 안테나 시스템(100)은 차량(10) 내부에 설치된 제1 안테나를 통해 타 차량(20)과 V2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 내의 V2X 안테나 시스템(100)은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2 안테나를 통해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10) 내의 V2X 안테나 시스템(100)은 통신 대상물(30)에 대한 상부 방향과 전방 차량에 대한 하부 방향을 모두 커버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V2X 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차량에 설치된 V2X 안테나는 차량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지향 방향은 - 30도 ~ 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는 V2X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V2X 통신 거리를 증대하기 위한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안테나는 V2I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부 및 루프에 영향으로 안테나가 방향성 있게 통신거리를 유지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는, V2V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부의 노이즈 간섭을 최적화하여 안테나 성능을 최대화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는 차량 전면 유리부 및 크래시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V2X 안테나는 차량 루프 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지향 방향은 0도 ~ 6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는 샤크 핀 안테나 및 마이크로 폴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차량 전방 또는 후방 및 상단 또는 하단의 다양한 지향 방향 패턴을 형성하는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의 종류에 의해 세단, SUV(sport utility vehicle)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V2X 통신을 위한 적합한 안테나 위치 선정이 필요하다. 상기 차량의 종류를 기준으로 차량 내부에 제1 안테나 및 차량 외부에 제2 안테나가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 내외에 장착된 제1 및 제2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화살표로 표기하였다.
또한, 차량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세단 및 SUV 등의 차량 구조로 인하여, 차량의 V2X 통신 거리가 차량별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종류에 따라 제1 안테나를 전방 유리부 및 크래시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다.
도2(a)를 참조하면, 제1 안테나는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110)는 박스형 안테나 일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110)는 차량이 세단형인 경우, 기 설정된 지향각을 가지며 전면 유리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내부 및 루프에 영향으로 안테나가 방향성 있게 통신거리를 유지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2 안테나와 동일한 전장방향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는 상기 차량 내부 및 루프에 영향으로 안테나가 방향성 있게 통신거리를 유지하는 위치에 배치되기 위하여,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전폭에 기초하여 상기 전폭의 가운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는 전방 상단, 전방 하단 및 후반 하단 신호가 통신되는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는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는 차량 루프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120)는 루프형 안테나 일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제1 안테나는 크래시 패드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110)는 박스형 안테나 일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110)는 차량이 SUV형인 경우, 기 설정된 지향각을 가지며 크래쉬 패드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내부 및 루프에 영향으로 안테나가 방향성 있게 통신거리를 유지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2 안테나와 동일한 전장방향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는 상기 차량 내부 및 루프에 영향으로 안테나가 방향성 있게 통신거리를 유지하는 위치에 배치되기 위하여,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전폭에 기초하여 상기 전폭의 가운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는 전방 상단, 전방 하단 및 후반 하단 신호가 통신되는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는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는 차량 루프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120)는 루프형 안테나 일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V2X 안테나 시스템(200)은 차량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110), 차량 루프 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120)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120)로부터 수신한 상기 V2X 신호에 대응하여 다이버시티(Diversity) 통신을 수행하는 튜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가 통신하는 신호는 지역 상황에 따라 다르게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지역별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가 통신하는 신호는 아래 [표1]를 참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제1 안테나(110)는 LTE, V2X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110) 는 지향성이 있어 차량의 전방부 신호를 커버하여 차량 외부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2안테나(120)는 LTE, V2X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120)는 지향성이 있어 차량의 후방부 신호를 커버하여 차량 외부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비교적 주파수가 긴 AM(Amplitude Modulation)/FM(frequency modulation),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신호는 제2 안테나를 통해서만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2 안테나(120)의 신호를 구분하는 스플리터, 상기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의 수신 신호 중 LTE 신호를 수신하는 LTE 모뎀, 및 상기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의 수신 신호 중 V2X 신호를 수신하는 V2X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제2 안테나(120)(120)에 LTE 신호와 V2X 신호 함께 수신되는 경우, 이를 각각 구분하여, 상기 LTE 신호를 LTE 모뎀으로 출력하고, 상기 V2X 신호를 V2X 모뎀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LTE 모뎀은 사기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로부터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LTE 모뎀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일 수 있다.
상기 V2X 모뎀은 통신구조물(30), 타 차량(20) 또는 보행자(V2P: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모듈일 수 있다.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튜너 모듈은 제1 안테나(110) 및 제2 안테나(120)의 통신 전계가 불규칙하게 변동하는 것과 같은 페이딩 발생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서 다이버시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튜너 모듈은 제1 안테나(110) 및 상기 제2 안테나(120)에서 각각 수신한 V2X 신호 중 신호의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110)가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V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110) 및 상기 제2 안테나(120)에서 각각 수신한 V2V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110)가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I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110) 및 상기 제2 안테나(120)에서 각각 수신한 V2I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110)가 크래시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V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110) 및 상기 제2 안테나(120)에서 각각 수신한 V2V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110)가 크래시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I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110) 및 상기 제2 안테나에서 각각 수신한 V2I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의 LTE 신호 및 V2X 신호 수신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LTE 신호 및 V2X 신호 수신율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튜너 모듈은 가장 수신율이 높은 방향으로 제1 및 제2 안테나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의 지향각 조절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너 모듈이 제 1 및 제2 안테나 중 한 개의 안테나 지향각을 LTE 신호 및 V2X 신호의 수신율이 높은 방향으로 조절되는 경우, 다른 안테나는 나머지 부분을 광범위하게 커버하기 위한 방향으로 지향각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 모듈이 지향각을 조절하는 경우, 제 1및 제2 안테나의 지향 방향의 변경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는 안테나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110)는 주변 이형 금속 및 노이즈 간섭을 최적하고, 상기 제1 안테나(110)의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110)는 차량의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안테나(110)는 클러스터 뒤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안테나(110)는 클러스터 및 헤드 유닛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안테나(110)는 헤드 유닛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차량간의 V2V 통신 예시도이다.
V2V 통신을 위한 적합한 안테나 위치 선정이 필요하다. 차량 기준으로 외부에 루프안테나와 내부에 박스형 안테나가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 내외 장착된 안테나의 신호 송신패턴을 화살표로 표기하였다.
다양한 차량 구조로 인한 V2V 통신 거리가 차량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1 안테나를 차량 내부에 차량 전면 유리부 또는 크래시 패드에 배치함으로써 적합한 V2V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가 차량 내 크래시 패드에 배치된 차량의 V2V 통신 예시도이다.
제1차량(510)이 후방에 있는 제2차량(520)과 V2V 통신하는 경우, 제1차량(51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상단 신호는 제1차량(510)의 루프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제1차량(51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하단 신호는 제1차량(510)의 내부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상기 제1차량(51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제1차량(510)의 제2안테나는 후방에 있는 제2차량(520)에게 후방 하단 및 후방 상단신호를 제2차량(520)에게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상기 제1차량(51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량(510)은 제1차량(510)의 제2안테나를 통해 제2차량(520)과 V2V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이 전방에 있는 제1차량(510)과 V2V 통신하는 경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서 출력된 전방 하단 신호는 제2차량(520)의 내부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제2차량(52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전방 상단 신호는 제1차량(510)에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량(51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는 전방에 있는 제1차량(510)에게 전방 하단 및 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량(51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차량(510)과 V2V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이 후방에 있는 제3차량(530)과 V2V 통신하는 경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서 출력된 후방 상단 신호는 제2차량(520)의 루프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제2차량(52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하단 신호는 제3차량(5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차량(53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는 전방에 있는 제1차량(510)에게 전방 하단 및 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차량(53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3차량(530)과 V2V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3차량(530)이 전방에 있는 제2차량(520)과 V2V 통신하는 경우, 제3차량(530)의 제1 안테나에서 출력된 전방 하단 신호는 제3차량(530)의 내부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제3차량(53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전방 상단 신호는 제2차량(520)에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상기 제3차량(53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3차량(530)의 제2 안테나는 전방에 있는 제2차량(520)에게 전방 하단 및 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10)은 상기 제3차량(53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차량(520)은 제3차량(530)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차량(520)과 V2V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가 차량 전면 유리부 에 배치에 따른 통신 V2V 예시도이다.
제1차량(510)이 후방에 있는 제2차량(520)과 V2V 통신하는 경우, 제1차량(51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상단 신호는 제1차량(510)의 루프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제1차량(510)의 제1 안테나에서 출력된 후방 하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상기 제1차량(51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차량(510)의 제2안테나는 후방에 있는 제2차량(520)에게 후방 하단 및 후방 상단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상기 제1차량(51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량(510)은 제1차량(510)의 제2안테나를 통해 제2차량(520)과 V2V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이 전방에 있는 제1차량(510)과 V2V 통신하는 경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서 출력된 전방 하단 신호 및 전방 상단 신호는 제1차량(510)에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량(51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는 전방에 있는 제1차량(510)에게 전방 하단 및 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량(51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차량(510)과 V2V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이 후방에 있는 제3차량(530)과 V2V 통신하는 경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서 출력된 후방 상단 신호는 제2차량(520)의 루프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제2차량(52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하단 신호는 제3차량(5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차량(53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는 전방에 있는 제1차량(510)에게 전방 하단 및 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차량(53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3차량(530)과 V2V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3차량(530)이 전방에 있는 제2차량(520)과 V2V 통신하는 경우, 제3차량(530)의 제1 안테나에서 출력된 전방 하단 신호 및 전방 상단 신호는 제2차량(520)에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상기 제3차량(53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3차량(530)의 제2 안테나는 전방에 있는 제2차량(520)에게 전방 하단 및 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10)은 상기 제3차량(53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차량(520)은 제3차량(530)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차량(520)과 V2V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차량 간의 V2I 통신 예시도이다.
V2I 통신을 위한 적합한 안테나 위치 선정이 필요하다. 차량 기준으로 외부에 루프안테나와 내부에 박스형 안테나가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 내외 장착된 안테나의 신호 송신패턴을 화살표로 표기하였다.
다양한 차량 구조로 인한 V2I 통신 거리가 차량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1 안테나를 차량 내부에 차량 전면 유리부 또는 크래시 패드에 배치함으로써 적합한 V2I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가 차량 내 크래시 패드에 배치된 차량의 V2I 통신 예시도이다.
제1차량(510)이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하는 경우, 제1차량(51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상단 신호는 제1차량(510)의 루프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제1차량(51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하단 신호는 제1차량(510)의 내부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대상물(30)은 상기 제1차량(51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제1차량(510)의 제2안테나는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에 후방 하단 및 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대상물(30)은 상기 제1차량(51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량(510)은 제1차량(510)의 제2안테나를 통해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이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하는 경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서 출력된 후방 상단 신호는 제2차량(520)의 루프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제2차량(52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하단 신호는 통신 대상물(30)에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대상물(3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는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에 후방 하단 및 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대상물(3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3차량(530)이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하는 경우, 제3차량(530)의 제2 안테나는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에 후방 하단 및 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대상물(30)은 상기 제3차량(53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차량(520)은 제3차량(530)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가 차량 전면 유리부 에 배치에 따른 통신 V2V 예시도이다.
제1차량(510)이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하는 경우, 제1차량(51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상단 신호는 제1차량(510)의 루프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제1차량(51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하단 신호는 통신 대상물(30)에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대상물(30)은 상기 제1차량(51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차량(510)의 제2안테나는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에 후방 하단 및 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대상물(30)은 상기 제1차량(51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량(510)은 제1차량(510)의 제2안테나를 통해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이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하는 경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서 출력된 후방 상단 신호는 제2차량(520)의 루프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제2차량(520)의 제1안테나로부터 출력된 후방 하단 신호는 통신 대상물(30)에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대상물(3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는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에 후방 하단 및 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대상물(30)은 상기 제2차량(52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량(520)은 제2차량(520)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3차량(530)이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하는 경우, 제3차량(530)의 제2 안테나는 후방에 있는 통신 대상물(30)에 후방 하단 및 후방 상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대상물(30)은 상기 제3차량(530)의 제2 안테나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차량(520)은 제3차량(530)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통신 대상물(30)과 V2I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시스템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V2X 안테나 시스템
110: 제1 안테나
120: 제2 안테나
130: 튜너 모듈

Claims (27)

  1. 차량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V2X(Vehicle to everything) 신호,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통신하는 제1 안테나; 및
    차량 루프 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통신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AM, FM, DMB 및 GPS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V2X 안테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지향성을 가지고, 상기 차량의 전방부 신호를 커버하는 V2X 안테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V2X 신호, 상기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상단 방향 및 평행 방향으로 지향각을 가지는 V2X 안테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 30도 ~ 0도의 지향각을 가지는 V2X 안테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지향성을 가지고, 상기 차량의 후방부 신호를 커버하는 V2X 안테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V2X 신호, 상기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상단 방향 및 평행 방향으로 지향각을 가지는 V2X 안테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0도 ~ 60도의 지향각을 가지는 V2X 안테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2 안테나와 다른 방향으로 지향 방향을 가지고, 상기 지향 방향이 이원화 되도록 배치되는 V2X 안테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부 및 크래시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V2X 안테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차량이 세단형인 경우, 기 설정된 지향각을 가지며, 상기 전면 유리부에 배치되는 V2X 안테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지향 방향은 전방 상단, 전방 평행 및 후방 평행 방향을 포함하는 V2X 안테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면 유리부는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 뒤 상단, 클러스터 및 헤드 유닛 사이, 헤드 유닛 상단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차량이 SUV형인 경우, 기 설정된 지향각을 가지며, 상기 크래시 패드에 배치되는 V2X 안테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크래시 패드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지향 방향은 전방 상단, 전방 평행 및 후방 평행 방향을 포함하는 V2X 안테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샤크 핀 안테나 및 마이크로 폴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17. 차량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통신하는 제1 안테나;
    차량 루프 후면에 배치되어 V2X 신호,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통신하는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로부터 통신한 상기 V2X 신호, LTE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하여 다이버시티 통신을 수행하는 튜너 모듈을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수신 신호를 구분하는 스플리터;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수신 신호 중 상기 LTE 신호를 수신하는 LTE 모뎀;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수신 신호 중 상기 V2X 신호를 수신하는 V2X 모뎀을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의 LTE 신호 및 V2X 신호 수신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LTE 신호 및 V2X 신호 수신율을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LTE 신호 및 V2X 신호 수신율이 가장 높은 방향으로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 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가 상기 수신율이 높은 방향으로 지향각을 조절하는 경우, 다른 안테나는 나머지 부분을 광범위하게 커버하기 위한 방향으로 지향각을 조절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각각의 상기 지향각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가 차량 전면 유리부 및 크래시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LTE 신호 및 V2X 신호에 대응하여 다이버시티 통신을 수행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가 상기 차량 전면 유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가 V2V(Vehicle to Vehicle)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에서 각각 수신한 상기 V2V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가 차량 전면 유리 인근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에서 각각 수신한 상기 V2I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가 상기 크래시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V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에서 각각 수신한 상기 V2V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가 크래시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차량과 V2I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에서 각각 수신한 상기 V2I 신호 중 수신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KR1020170078004A 2017-06-20 2017-06-20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KR10236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04A KR102368601B1 (ko) 2017-06-20 2017-06-20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US15/827,481 US10389042B2 (en) 2017-06-20 2017-11-30 V2X antenna and V2X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01711328739.5A CN109103571A (zh) 2017-06-20 2017-12-13 V2x天线和具有该v2x天线的v2x天线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04A KR102368601B1 (ko) 2017-06-20 2017-06-20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992A true KR20180137992A (ko) 2018-12-28
KR102368601B1 KR102368601B1 (ko) 2022-03-02

Family

ID=6465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004A KR102368601B1 (ko) 2017-06-20 2017-06-20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89042B2 (ko)
KR (1) KR102368601B1 (ko)
CN (1) CN1091035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366A (ko)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아모텍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611B1 (ko) * 2018-03-26 2018-09-13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Wave-v2x 및 c-v2x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탑재 장치 및 노변 기지국
US10931325B2 (en) * 2019-01-01 2021-02-23 Airgain, Inc. Antenna assembly for a vehicle
EP3706354A1 (en) * 2019-03-07 2020-09-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hicl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 vehicl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7010874B2 (ja) * 2019-04-23 2022-01-26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テナ
CN114930420A (zh) * 2019-12-05 2022-08-19 泽科恩钱伯斯私人有限公司 车辆引导、供电、通信系统及方法
US11800485B2 (en) * 2020-05-28 2023-10-24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positioning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20240088576A1 (en) * 2022-09-08 2024-03-14 Motional Ad Llc Wavelength based v2x antenn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52533A (zh) * 2004-02-04 2005-08-10 富士通天株式会社 接收装置
CN102469140A (zh) * 2010-11-18 2012-05-23 上海启电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行车安全的车载无线通信方法
CN106170924A (zh) * 2014-02-14 2016-11-30 大陆-特韦斯股份有限公司 车辆对x通信系统、车辆和用于发送车辆对x消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606A (ja) * 1998-11-19 2000-06-06 Harada Ind Co Ltd Its適合自動車用アンテナ装置
US6600896B2 (en) * 1999-06-25 2003-07-29 Cocomo Mb Communications, Inc. Exciter system and excitation methods for communications within and very near to vehicles
JP2004304542A (ja) 2003-03-31 2004-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Dsrc車載器
JP4075920B2 (ja) 2005-04-04 2008-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信装置
DE102006039357B4 (de) 2005-09-12 2018-06-28 Heinz Lindenmeier Antennendiversityanlage zum Funkempfang für Fahrzeuge
KR101360506B1 (ko) 2008-11-20 2014-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통합 안테나 장치
JP5392124B2 (ja) 2010-02-03 2014-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無線通信システム
JP5874780B2 (ja) 2013-10-07 2016-03-0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アンテナシステムおよびアンテナユニット
JP5907139B2 (ja) 2013-10-07 2016-04-20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装置
DE102013224514A1 (de) * 2013-11-29 2015-06-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Systems
US9985333B2 (en) * 2015-05-22 2018-05-29 Asahi Glass Company, Limited Window glass for vehicle and glass antenna
US10374653B2 (en) * 2015-08-13 2019-08-06 Laird Technologies, Inc. V2X antenna systems
US20170054204A1 (en) * 2015-08-21 2017-02-23 Laird Technologies, Inc. V2x antenna systems
KR101685540B1 (ko) * 2015-10-22 2016-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통신 시스템
KR101784712B1 (ko) * 2016-05-31 2017-10-12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쉬 패드 광대역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52533A (zh) * 2004-02-04 2005-08-10 富士通天株式会社 接收装置
CN102469140A (zh) * 2010-11-18 2012-05-23 上海启电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行车安全的车载无线通信方法
CN106170924A (zh) * 2014-02-14 2016-11-30 大陆-特韦斯股份有限公司 车辆对x通信系统、车辆和用于发送车辆对x消息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366A (ko)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아모텍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03571A (zh) 2018-12-28
KR102368601B1 (ko) 2022-03-02
US20180366838A1 (en) 2018-12-20
US10389042B2 (en)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7992A (ko) V2x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v2x 안테나 시스템
KR102566887B1 (ko)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US10405360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establishing millimetre connection
KR102624056B1 (ko)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US20220384955A1 (en) Antenna system mounted on vehicle
KR102578033B1 (ko)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US10553938B2 (en) In-vehicle antenna and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935681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11190267B2 (e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using drones focusing antenna beams
JP7238452B2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移動通信装置、車両、切替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40042087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US20230066184A1 (en) Antenna system mounted in vehicle
Marantis et al. ESPAR antenna positioning for truck-to-truck communication links
KR102656900B1 (ko) C-v2x 통신 및 wave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의 신호 간섭 방지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차량 탑재 장치
Ballesteros et al. Multi-antenna 3D pattern design for millimeter-wave vehicular communications
WO2021117299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車載移動局、無線制御局、送信ビームの制御方法、及び受信ビームの制御方法
WO2021060070A1 (ja) 路側機及び交通通信システム
KR20240043155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KR20240070594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KR20240042538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KR20240046895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KR20240042517A (ko)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