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987A - 판독장치, 프로그램 및 유닛 - Google Patents

판독장치, 프로그램 및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987A
KR20180136987A KR1020187033377A KR20187033377A KR20180136987A KR 20180136987 A KR20180136987 A KR 20180136987A KR 1020187033377 A KR1020187033377 A KR 1020187033377A KR 20187033377 A KR20187033377 A KR 20187033377A KR 20180136987 A KR20180136987 A KR 2018013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image
unit
camera modul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697B1 (ko
Inventor
노리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타리스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타리스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타리스쿠
Publication of KR2018013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0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parallactic triangle with a base line
    • G02B7/32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parallactic triangle with a base line using active means, e.g. light emit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38Releasing-devices separate from shut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1Details
    • G06K7/015Aligning or centering of the sens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06K7/10722Photodetector array or CCD scanning
    • G06K7/10732Light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31Arrangement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manu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07/00Other aspects
    • G06K2207/1011Ai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직감적인 판독조작을 할 수 있는 판독장치, 프로그램 및 유닛을 제공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판독장치(2)는,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촬영화상에 포함되는 심벌(6)의 상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스마트폰(8a)과, 이 스마트폰(8a)에 장착되는 유닛(30)을 구비한다. 당해 유닛(30)은, 카메라 모듈의 촬영범위(S) 내에 마커(62)를 표시하는 반도체 레이저(42)를 구비한다. 이 마커(62)가 심벌(6)에 겹치도록 판독장치(2)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스마트폰(8a)의 판독처리에 의하여 심벌(6)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독장치, 프로그램 및 유닛
본 발명은, 1차원 심벌(1次元 symbol)이나 2차원 심벌 등의 심벌로부터 정보를 판독(判讀)하는 판독장치(判讀裝置), 프로그램(program) 및 유닛(unit)에 관한 것이다.
물품에 부착된 심벌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장치로서, 데스크톱이나 랩탑(laptop) 등의 처리단말에 디지털 카메라가 외부에 부착된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당해 처리단말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여 생성된 촬영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取得部)와, 촬영화상을 해석하여 당해 촬영화상에 포함되는 심벌을 복호화하는 복호부(復號部)를 구비하고 있고, 복호화하여 얻은 심벌의 정보를 재고관리처리나 판매관리처리 등 다양한 정보처리에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을 내장한 스마트폰이 판독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당해 스마트폰은, 상기 처리단말과 마찬가지로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촬영화상에 포함되는 심벌을 복호화하는 복호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온라인 쇼핑을 가능하게 한 기술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19697호 공보
그러나 처리단말에 디지털 카메라를 외부에 부착한 종래의 판독장치나 상기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에는, 유저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상을 보면서 피사체(被寫體)에 있는 심벌의 위치맞춤을 할 필요가 있어, 직감적인 판독조작이 곤란하다. 특히 촬영소자의 고화소화(高畵素化)에 의한 정보량의 증대에 따라 촬영화상의 생성처리가 지연되거나, 심벌을 검출하기 위한 복호처리가 고부하로 되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대한 촬영화상의 표시에 지연이 생길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카메라에 대한 심벌의 위치를 리얼타임으로 파악할 수 없어 위치맞춤에 시간이 걸린다는 스트레스가 생겨 버린다.
또 이러한 문제는, 1차원 심벌이나 2차원 심벌뿐만 아니라,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나 마크라는 서로 다른 심벌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당해 심벌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때에도 동일하게 생긴다.
본 발명은, 직감적으로 판독조작을 할 수 있는 판독장치, 프로그램 및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판독장치는,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생성되는 화상을 해석하고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심벌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컴퓨터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범위를 지표하는 마커를 표시시키는 광원을 갖는 상기 컴퓨터와는 별체의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가 휴대정보단말이고, 상기 유닛은 상기 휴대정보단말에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컴퓨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마커가, 상기 컴퓨터에 의한 상기 심벌의 가독범위를 지표하는 범위마커와, 상기 범위마커 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모양 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마커가, 상기 컴퓨터에 의한 상기 심벌의 가독범위를 지표하는 범위마커와, 상기 범위마커의 중심을 지표하는 중심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한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선모양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선모양 마커 부분의 화소를 대상으로 복호를 하는 복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한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범위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범위마커 내의 화소를 대상으로 복호를 하는 복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렌즈를 갖고, 상기 컴퓨터가, 상기 심벌의 판독거리를 지표하는 거리정보와 상기 렌즈의 합초위치의 대응관계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거리정보를 유저가 입력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거리정보에 따른 상기 렌즈의 합초위치를 상기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구하고 상기 합초위치로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 모듈에 설정을 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상기의 판독장치의 컴퓨터에,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 상기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상기 마커의 상을 검출하는 스텝, 상기 마커의 상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심벌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닛은,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화상에 포함되는 심벌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컴퓨터와 함께 사용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범위를 지표하는 마커를 출력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독조작을 할 때에 카메라 모듈의 촬영범위를 지표(指標)하는 마커가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심벌에 당해 마커를 위치맞춤하면 된다. 따라서 유저는 직감적인 판독조작을 할 수 있다.
도1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판독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상기 판독장치를 구성하는 스마트폰 및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3은, 상기 판독장치의 블록도이다.
도4는, 상기 유닛의 회로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 플로도이다.
도6은, 상기 유닛의 레이저광에 의한 마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판독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에 있어서, (a)는 변형예1에 관한 마커의 표시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다른 표시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또 다른 표시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에 있어서, (a)는 변형예3에 있어서의 스마트폰의 동작 플로도이고, (b)는 GUI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다른 G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변형예3에 있어서의 스마트폰의 동작 플로도이다.
도11은, 변형예4에 있어서의 광학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판독장치(判讀裝置), 프로그램(program) 및 유닛(unit)에 대하여 각각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판독장치(2)는, 물품(4)에 부착된(본 예에서는 페트병의 라벨에 인쇄된) 1차원 심벌(6)(이하, 간단하게 「심벌(6)」이라고 한다)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장치로서, 휴대정보단말인 스마트폰(8a)과, 유닛(30)을 구비하고 있다.
스마트폰(8a)은, 한 손으로 파지(把持)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한 판모양의 정보단말로서, 정면(10)에 액정 디스플레이(12)를 구비하고 있다. 배면(14)의 상측 가장자리부(16)(짧은 가장자리부의 일방(一方))에는, 크기가 크거나 작은 원형창(圓形窓)(18, 20)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작은 지름의 원형창(20)의 내측방향에는 플래시용의 광원(光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이 배치되어 있다.
큰 지름의 원형창(18)의 내측방향에는, 렌즈(22) 및 촬영소자(撮影素子)(24)가 배면(14)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촬영소자(24)의 촬영면(撮影面)(24a)에 대하여 렌즈(22)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렌즈(22)의 중심선 상에, 원형창(18)의 중심 및 촬영소자(24)의 촬영면(24a)의 중심이 배치되어 있어, 당해 중심선이 수광계(受光系)의 광축(光軸)(La)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형창(18)으로부터 들어가는 광(光)은, 렌즈(22)를 통과하여 촬영소자(24)의 촬영면(24a)에 결상(結像)된다. 또 본 예에서는 단일의 렌즈(22)를 사용하고 있지만, 복수의 렌즈를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촬영소자(24)는, 예를 들면 CCD 촬영소자나 CMOS 촬영소자 등 복수의 수광소자(受光素子)가 2차원적으로 배치된 센서로서, 화상처리 프로세서(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화상처리 프로세서(26)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촬영면(24a)에 결상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신호를 화상처리 프로세서(26)에 입력한다. 화상처리 프로세서(26)는,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화상(이하, 「촬영화상」이라고 한다)을 생성한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22), 촬영소자(24) 및 화상처리 프로세서(26)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74)이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74)은 스마트폰(8a)의 메인기판(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도1).
메인기판(28)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고 한다)나 기억부(記憶部)(76)(도3)인 메모리 등이 실장되어 있다. 메모리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판독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판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처리 프로세서(26)로부터 촬영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取得部)(78), 취득한 촬영화상 중에 포함되는 마커(marker)의 상(像)(이하, 「마커상」이라고 한다)을 검출하는 검출부(檢出部)(80) 및 촬영화상에 포함되는 심벌(symblo)(6)의 상(像)(이하, 「심벌상」이라고 한다)을 복호하는 복호부(復號部)(82)로서 기능한다.
도1 및 도2로 되돌아가서, 이와 같은 스마트폰(8a)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닛(30)이 외부에 부착된다. 유닛(30)은, 스마트폰(8a)과는 별체(別體)이며, 그 하우징(32)에 반도체 레이저(42) 및 커넥터(46)가 갖추어져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32)은 베이스부(34) 및 커넥터부(54)를 갖는다. 베이스부(34)는, 스마트폰(8a)과 대략 동일한 폭이고, 스마트폰(8a)보다 약간 긴 판모양으로 성형되어 있고, 스마트폰(8a)의 배면(14)을 따라 배치된다. 베이스부(34)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貫通hole)(36, 38)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관통홀(36, 38)은, 하우징(32)이 스마트폰(8a)의 배면(14)을 따라 배치되었을 때에, 스마트폰(8a)에 있어서 크기가 크거나 작은 원형창(18, 20)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36)은 사발(bowl)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이 수광계의 광축(La)(렌즈(22)의 중심선)과 동일 축 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홀(36)로 들어가는 광은 렌즈(22)를 통과하여 촬영소자(24)의 촬영면(24a)에 결상된다. 관통홀(38)은 작은 지름의 원형창(20)보다 지름이 크고, 그 중심이 작은 지름의 원형창(20)의 중심축과 동일 축 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4)의 배면(40)에 있어서, 크기가 크거나 작은 관통홀(36, 38)의 근방에는, 광축(La)과 평행한 적색의 레이저광(L1)을 발생시키는 반도체 레이저(42)의 출사창(出射窓)(44)이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 레이저(42)는, 도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소드가 커넥터(46)의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애노드가 저항기(抵抗器)(48)를 통하여 스위치(50)의 일방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50)의 타방(他方)은 커넥터(46)의 전원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50)는 베이스부(34)의 측면(52)에 배치되어 있어(도2), 유저에 의하여 조작된다.
도1 및 도2로 되돌아가서, 커넥터(46)는 하우징(32)의 커넥터부(54)에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54)는 베이스부(34)로부터 스마트폰(8a)이 배치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 커넥터부(54)의 측면(56)으로부터, 커넥터(46)가 베이스부(34)와 평행하게 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유닛(30)의 커넥터(46)가, 스마트폰(8a)의 하면(58)에 설치된 커넥터(60)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유닛(30)이 스마트폰(8a)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판독장치(2)가 형성된다.
판독장치(2)에서는, 커넥터(60, 46)를 통하여 스마트폰(8a)으로부터 유닛(30)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 때문에 유저가 스위치(50)를 조작하면, 유닛(30)의 반도체 레이저(42)가 점등하게 되거나 또는 소등하게 된다. 반도체 레이저(42)가 점등되면, 레이저광(L1)은 카메라 모듈(74)의 촬영범위(S)의 일부를 조사(照射)한다. 이에 따라 촬영범위(S)에는 점모양의 마커(62)가 표시된다.
촬영범위(S)에 마커(62)가 표시된 상태에서, 도5에 나타내는 판독처리가 스마트폰(8a)에 의하여 실행된다. 또 당해 판독처리는, 심벌(6)의 정보(이하, 「심벌정보」라고 한다)를 사용한 정보처리(서비스)를 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실행된다.
우선 스마트폰(8a)의 CPU는 카메라 모듈(74)(도3)로부터 촬영화상을 취득한다(s11). 구체적으로는 CPU는, 촬영화상의 송신을 요구하는 커맨드를 화상처리 프로세서(26)로 송신한다. 화상처리 프로세서(26)는 당해 커맨드를 수신하면, 촬영소자(24)를 제어하여 촬영면(24a)에 결상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당해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촬영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촬영화상을 CPU로 송신한다.
다음에 스마트폰(8a)의 CPU는, 취득한 촬영화상에 대하여 마커상의 검출처리를 한다(s12). 당해 검출처리는 예를 들면 촬영화상이 RGB 색공간으로 표현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R값을 갖는 픽셀의 집합부분을 마커상으로서 판단한다. 검출처리에 의하여 마커상이 검출되지 않으면(s13 : No), 유저에 의한 반도체 레이저(42)의 발광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판독을 하는 타이밍이 아니거나 혹은 물품(4)(판독대상)이 적절한 판독위치에 없는 것(지나치게 가깝게 있거나 또는 지나치게 멀리 있는 것)으로 하여, 다시 촬영화상의 취득(s11)을 한다. 한편 마커상이 검출되었을 때(s13 : Yes)에는 CPU는 복호처리(s14)를 한다.
복호처리(s14)는, 소정의 복호 알고리즘(예를 들면 JISX0507에 규정의 참조 복호 알고리즘 등)을 사용하여, 촬영화상에 포함되는 심벌상의 검출을 하고, 검출된 심벌상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처리이다. 심벌상의 검출을 할 수 없을 때나 복호에 있어서 에러가 생겼을 때에는(s15 : No), 촬영화상의 취득(s11)으로부터 복호처리(s14)를 반복하여 한다.
한편 복호처리가 성공하였을 때(s15 : Yes) 즉 심벌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는, CPU는 판독처리를 종료하고, 판독한 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CPU는 정보처리부(84)(도3)로서 기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판독장치(2)는, 유닛(30)의 스위치(50)가 조작되면, 유닛(30)의 반도체 레이저(42)로부터 레이저광(L1)이 조사되어,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모양의 마커(62)가 카메라 모듈(74)의 촬영범위(S) 내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커(62)가 심벌(6)에 겹치도록 판독장치(2)의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심벌(6)이 카메라 모듈(74)의 촬영범위(S) 내에 위치하게 되어 심벌정보가 판독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판독장치(2)에 의하면, 유저는 물품(4) 및 마커(62)를 직접 보면서 위치맞춤을 할 수 있기(조준을 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직감적인 판독조작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12)에 대한 화상표시가 지연됨으로써 심벌의 위치맞춤에 시간이 걸린다는 난점도 생기지 않는다.
또 촬영소자(24)의 해상도나 렌즈(22)의 화각(畵角)에 따라 심벌(6)의 판독이 가능하게 되는 거리가 정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 당해 설명에 있어서,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거나 필요에 따라 언급하는 것에 그친다.
[제2실시형태]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컴퓨터(8)인 스마트폰(8a)에 유닛(30)이 외부에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제2실시형태의 판독장치(100)는,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퓨터(8)인 공지의 데스크톱(108)과 유닛(130)에 의하여 판독장치(100)가 구성되어 있다.
유닛(130)은, 데스크톱(108)과 함께 이용되며 액서스 포인트(access point)(AP)를 통하여 데스크톱(108)과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유닛(130)의 하우징(132)에 반도체 레이저(42), 카메라 모듈(74), 트리거 스위치(trigger switch)(150), 마이크로 컴퓨터(micro computer)(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통신모듈(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및 전원회로(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갖추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대표적인 통신모듈은 Wifi 모듈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Bluetooth(등록상표) 모듈 등의 무선통신모듈이더라도 좋고, USB 등의 유선통신모듈이더라도 좋다.
하우징(132)은, 트리거 스위치(150)가 설치된 그립부(grip部)(154)와, 그립부(154)의 상단(上端)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총신부(銃身部)(134)에 의하여 구성되는 건(gun)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총신부(134)의 선단부에는, 반도체 레이저(42)의 레이저광과 카메라 모듈(74)의 광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반도체 레이저(42)와 카메라 모듈(74)이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당해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카메라 모듈(74)에 광을 입광(入光)시키는 창(136)이 총신부(134)의 총구(銃口)에 형성되어 있다.
트리거 스위치(150)의 출력은 마이크로 컴퓨터의 입력(예를 들면 도4(b)의 마이크로 컴퓨터(64)의 입력단자(66))에 접속되어 있어 트리거 스위치(150)가 당겨지면, ON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는, 반도체 레이저(42)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예를 들면 도4(b)의 제어회로(6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트리거 스위치(150)로부터의 ON신호를 검지하면, 반도체 레이저(42)를 발광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42)가 발광하여 총구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되게 된다.
상기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카메라 모듈(74)의 화상처리 프로세서(2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트리거 스위치(150)로부터의 ON신호를 검지하면, 화상처리 프로세서(26)에 대하여 촬영시작의 커맨드를 송신한다. 촬영시작의 커맨드를 수신한 화상처리 프로세서(26)는, 촬영소자(24)를 제어하여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로 촬영화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촬영화상은 통신모듈에 의하여 데스크톱(108)으로 송신된다.
데스크톱(108)의 CPU는, 촬영화상을 취득하여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처리((s12)∼(s15))를 실행함으로써, 심벌(6)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판독장치(100)는, 유저에 의하여 트리거 스위치(150)가 당겨지면, 반도체 레이저(42)가 발광하여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74)의 촬영범위(S)에 마커(62)를 표시시킨다. 그 때문에 유저는 물품(4) 및 마커(62)를 직접 보면서 위치맞춤을 할 수 있으므로 직감적인 판독조작을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 이하의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한 각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거나 필요에 따라 언급하는 것에 그친다.
(변형예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원은 점모양의 마커(62)를 표시시키고 있지만, 당해 마커의 형상은 점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십자모양, 화살표 모양, 선모양 등 다른 형상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표시되는 마커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이더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도8(a), 도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에 대하여 가독범위(可讀範圍)를 지표(指標)하기 위하여 촬영범위 내에 4개의 마커(162a∼162d, 262a∼262d)를 표시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마커(162a∼162d, 262a∼262d)를 표시시키는 데에는,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관통홀(38)의 근방에 4개의 광원(42)을 배치하고, 각 광원(42)을 촬영범위(S)를 향하여 부착하는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도8(a)에서는, 마커(162a∼162d)가 촬영범위(S)와 동일한 정도의 범위를 지표하기 위하여 광학계에 의한 화각에 따라 각 광원(42)의 광축을 설정하고 있다. 도8(b)에서는, 마커(262a∼262d)가 촬영범위(S)의 특정범위(T)(중심 에어리어)에 표시되도록 광학계의 광축(L1)을 향하여 각 광원(42)의 광축을 설정하고 있다. 또한 마커의 형상을 임의 형상으로 하기 위하여 광원(42)의 출사창(44)의 일부에, 마커 형상에 대응한 슬릿을 형성하여, 출사창(44)의 다른 부분을 차광(遮光)하여도 상관없다. 이러한 복수의 마커(162a∼162d, 262a∼262d)는 가독범위를 유저에게 지표하는 범위마커(162, 262)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이외에는 도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독범위(특정범위(T))를 지표하는 범위마커(262)와, 당해 가독범위를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선모양 마커(362)를 동시에 표시시켜도 상관없다. 당해 선모양 마커(362)를 표시시키는 데에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34)의 배면(40)에 막대모양의 슬릿을 형성하고, 당해 슬릿의 깊이방향으로 복수의 광원(42)을 설치하는 태양이 채용된다. 또한 범위마커(262)와, 당해 범위마커(262)의 중심을 지표하는 점모양이나 십자모양의 중심마커(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동시에 표시시켜도 상관없다.
마커(62, 162, 262, 362)를 표시하는 광원은 반도체 레이저(42)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메라 모듈(74)의 촬영범위(S) 내의 일부를 조사하는 LED이더라도 좋다. 또한 반도체 레이저(42)나 LED를 병용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광의 출사창(44)이나 창(136)에, 마커(62, 162, 262, 362)의 형상에 대응한 슬릿을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또 LE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향성(指向性)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의 발광색은 적색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가시광색이더라도 좋다.
(변형예2―1)
특정범위(T)를 지표하는 범위마커(262)가 피사체(被寫體)에 표시되는 태양에 있어서는, 당해 특정범위(T) 내의 화상만을 복호처리의 대상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당해 피사체가 카메라 모듈(74)에 의하여 촬영되면, 4개의 마커(262a∼262d)의 상을 포함하는 촬영화상이 생성된다. 컴퓨터(8)의 CPU(취득부(78))는 당해 촬영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당해 CPU(검출부(80))는 검출처리(s13)을 실행한다. 검출처리(s13)에서는, R값이 높은 화소의 집합이 4군데 특정되고, 당해 부분이 4개의 마커(262a∼262d)의 상으로서 검출된다. 그리고 CPU(복호부(82))는 복호처리를 실행한다. 복호처리에서는, 우선 각 마커(262a∼262d)의 상의 좌표(이하, 「마커좌표」라고 한다)를 구하고, 이들 4개의 마커좌표를 정점으로 하는 사각형 영역 내 또는 4개의 마커좌표를 각 변에 포함하는 사각형 영역 내의 화소에 대하여 심벌상의 검출 등의 처리를 한다. 이에 따라 특정범위(T) 이외의 화소에 관한 복호처리가 생략되기 때문에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좌표는, 일반적으로는 촬영화상의 좌측 상부를 원점으로 하는 직교좌표에 있어서의 위치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영화상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직교좌표로서 산출하여도 좋다. 또한 마커좌표는, 마커상이라고 판단된 어느 하나의 화소의 좌표이면 좋다.
(변형예2―2)
선모양 마커(362)가 피사체에 표시되는 태양에 있어서는, 당해 선모양 마커(362)가 표시된 부분의 화상을 복호처리의 대상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당해 피사체가 카메라 모듈(74)에 의하여 촬영되면, 선모양 마커(362)의 상을 포함하는 촬영화상이 생성된다. 컴퓨터(8)의 CPU(취득부(78))는 당해 촬영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CPU(검출부(80))는 검출처리(s13)를 실행한다. 검출처리(s13)에서는, 주위보다 R값이 높은 선모양의 화소가 선모양 마커의 상으로서 특정된다. 그리고 CPU(복호부(82))는 특정된 화소에 대하여 복호처리를 한다. 이에 따라 선모양 마커(362) 이외의 화소에 관한 복호처리가 생략되기 때문에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2―3)
범위마커(262)와 선모양 마커(362)가 동시에 피사체에 표시되는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변형예2―1 및 변형예2―2의 복호처리의 어느 일방을 선택하여 실행하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 컴퓨터(8)의 CPU는, 촬영화상의 취득처리(s11)에 앞서, 유저가 판독하여야 할 심벌의 종류를 입력시키는 스텝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CPU는, 1차원 코드와 2차원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체크박스를 액정 디스플레이(12)나 모니터(112)에 표시시키고, 선택된 심벌에 대응하는 플래그(flag)를 세운다. 이와 같이 CPU는, 판독하여야 할 심벌의 종류를 유저가 입력시키는 입력부(86)(도3)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8)의 CPU(취득부(78))는 촬영화상의 취득처리(s11)를 한다. 다음에 CPU(검출부(80))는 마커의 검출처리(s12)를 하고, CPU(복호부(82))는 복호처리를 시작할 때에 상기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1차원 코드의 플래그가 서있는 경우에는, CPU는 변형예2―2의 복호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2차원 코드의 플래그가 서있는 경우에는, CPU는 변형예2―1의 복호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판독하여야 할 심벌에 적합한 복호처리가 CPU에 의하여 실행되어, 판독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3)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74)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렌즈유닛(88)(도3)을 구비하고, 컴퓨터(8)의 CPU는, 유저가 희망하는 피사체와의 판독거리에 적합한 초점을 조절하고, 당해 초점을 고정한 상태(포커스 록(focus lock))에서 판독처리를 실행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피사체와의 판독거리를 지표하는 거리정보마다 렌즈(22)의 합초위치(合焦位置)를 메모리(기억부(76))에 미리 기억시켜 둔다. 그리고 판독처리에 앞서 CPU는,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거리정보를 입력시키는 GUI를 액정 디스플레이(12)에 표시시키고(s21), 유저가 판독정보를 입력시킨다. GUI는, 예를 들면 근거리를 나타내는 푸시버튼(70a), 중거리를 나타내는 푸시버튼(70b) 및 원거리를 나타내는 푸시버튼(70c)이다. 유저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푸시버튼(70a∼70c)이 선택되면, 선택된 푸시버튼(70a∼70c)에 대응하는 플래그가 세트된다. 다른 GUI로서는 거리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바(slide bar)(72) 등이다. 유저에 의하여 슬라이드 바(72)가 조작되면, 당해 슬라이드 바(72)에 나타낸 값이 변수로 기억된다.
다음에 CPU는, 상기 플래그나 변수로 세트된 거리정보에 대응하는 합초위치를 메모리(기억부(76))로부터 추출한다(s23). 그리고 CPU는, 추출한 합초위치까지 렌즈(22)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 모듈(74)로 설정신호를 송신한다(s24). 이에 따라 유저가 희망하는 판독거리에서 카메라 모듈(74)의 초점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CPU는, 거리정보를 유저가 입력시키는 입력부(86)와, 입력된 거리정보에 따른 합초위치를 구하여 합초위치로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 모듈(74)에 설정을 하는 설정부(90)(도3)로서 기능한다. 또 렌즈유닛(88)은, 대표적으로는 렌즈(22)와, 렌즈(22)에 부착된 자석(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과,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자석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로 구성된다.
(변형예4)
카메라 모듈(74)의 초점조절은, 상기의 변형예3의 태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영화상 중의 마커상에 의거하여 실행되어도 상관없다. 당해 초점을 맞추는 합초처리(s16)는,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독처리의 복호처리(s14)에 있어서 정보의 취득에 실패하였을 경우(s15 : No)에 실시된다. 이하, 변형예4―1부터 변형예4―5에서 상기 합초처리(s16)의 예를 설명한다.
(변형예4―1)
본 변형예의 합초처리(s16)는, 촬영화상 중의 마커좌표에 의거하여 최적의 합초위치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것은, 마커좌표가 판독거리의 장단에 따라 변위하는 것에 주목한 것이다. 즉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광계의 광축(La)과 반도체 레이저(42)의 레이저광(L1)이 평행한 경우에 있어서는, 마커좌표는, 피사체와의 판독거리가 길 때에는 촬영화상의 중심좌표 부근에 있고, 판독거리가 짧아지게 됨에 따라 당해 중심좌표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마커좌표와 판독거리의 관계를 실험에 의하여 측정하고, 또한 측정한 판독거리의 각각에 대하여 최적의 렌즈(22)의 합초위치를 실험에 의하여 측정한다. 이러한 실험결과에 의거하여, 마커좌표마다 렌즈(22)의 최적의 합초위치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정해진다. 당해 테이블은, 합초처리(s16)를 실시하기에 앞서 컴퓨터(8)의 메모리(기억부(76))에 저장된다. 그리고 컴퓨터(8)의 CPU(설정부(90))는, 합초처리(s16)에 있어서 촬영화상 중에서 마커상을 검출하고, 그 마커좌표를 구하고, 마커좌표에 대응하는(근사하는) 합초위치를 메모리(기억부(76))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CPU는, 추출한 합초위치까지 렌즈(22)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 모듈(74)에 대하여 설정신호를 송신한다.
상기의 변형예4―1에서는, 수광계의 광축(La)과 반도체 레이저(42)의 레이저광(L1)이 평행한 경우(도1)의 합초처리(s16)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양 광축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 예를 들면 도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광계의 광축(La)과 반도체 레이저(42)의 레이저광(L1)이 소정의 판독거리(Rd)에서 교차하는 경우에도 마커좌표에 의거하여 최적의 합초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마커좌표는, 소정의 판독거리(Rd)에 있어서 촬영화상의 중심좌표에 위치하고, 또한 판독거리(Rd)가 길어지게 됨에 따라 당해 중심좌표로부터 일방을 향하여 변위하고, 반대로 판독거리(Rd)가 짧아지게 됨에 따라 당해 중심좌표로부터 반대방향을 향하서 변위한다. 이러한 마커좌표와 판독거리(Rd)의 관계는 실험에 의하여 측정되고, 또한 측정된 판독거리(Rd)의 각각에 대하여 최적의 렌즈(22)의 합초위치가 실험에 의하여 측정된다. 이러한 실험에 의하여, 마커좌표마다 최적의 렌즈(22)의 합초위치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정해지고, 당해 테이블이 합초처리(s16)를 실시하기에 앞서 컴퓨터(8)의 메모리(기억부(76))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의 변형예4―1에서는 단일의 반도체 레이저(42)를, 심벌(6)에 대하여 카메라 모듈(74)의 방향을 맞추기 위한 조준기(照準器) 및 초점을 맞추기 위한 거리계(距離計)로서 사용하였지만, 도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준기로서 기능하는 하나의 반도체 레이저(42a)와, 거리계로서 기능하는 다른 반도체 레이저(42b)를 구비하는 형태이더라도 좋다. 당해 형태에 의하면, 소정의 판독범위(Ra)에서 취득한 촬영화상에는 양 반도체 레이저(42a, 42b)에 의한 마커상이 포함되게 된다. 촬영화상에 포함되는 마커상은, 판독거리에 따라 서로의 좌표간 거리가 변화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거하여 스마트폰(8a)의 메모리에는, 2개의 마커좌표의 좌표간 거리와, 당해 좌표간 거리에 대응하는 렌즈(22)의 합초위치가 미리 저장된다. 그리고 스마트폰(8a)의 CPU(설정부(90))는, 합초처리(s16)에 있어서 2개의 마커좌표를 구하고, 이들의 좌표간 거리를 산출하여, 좌표간 거리에 대응하는 합초위치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CPU는, 추출한 합초위치까지 렌즈(22)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 모듈(74)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변형예4―2)
수광계의 광축(La)에 대하여 소정의 조사각(照射角)(빔각)으로 넓어지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사용한 경우에는, 합초처리로서 촬영화상 중의 마커상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합초위치로 렌즈(22)를 이동시키는 처리가 채용되어도 좋다. 당해 처리는, 촬영화상 중의 마커상의 사이즈가 판독거리의 장단에 따라 확대축소되는 것, 구체적으로는 판독거리가 길어지게 됨에 따라 마커상의 사이즈가 확대되는 것에 주목한 것이다. 이러한 마커상의 사이즈와 판독거리의 관계는 실험에 의하여 측정되고, 또한 측정된 판독거리의 각각에 대하여 최적의 렌즈(22)의 합초위치가 실험에 의하여 측정된다. 이 실험에 의하여, 마커상의 사이즈마다 최적의 렌즈(22)의 합초위치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정해지고, 당해 테이블이 합초처리(s16)를 실시하기에 앞서 컴퓨터(8)의 메모리(기억부(76))에 저장된다. 합초처리(s16)에서는, 컴퓨터(8)의 CPU(설정부(90))는 촬영화상에 있어서의 마커상의 사이즈를 구하고, 당해 사이즈에 대응하는 합초위치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CPU는, 추출한 합초위치까지 렌즈(22)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 모듈(74)에 대하여 설정신호를 송신한다.
(변형예4―3)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닛(30)은,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46)를 통하여 스마트폰(8a)의 CPU와 통신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64)를 구비하고, 당해 마이크로 컴퓨터(64)는 CPU의 명령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42)를 점등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합초처리(s16)로서 마커상의 검출 타이밍에 대응하는 합초위치로 렌즈(22)를 이동시키는 처리가 채용되어도 좋다. 당해 처리는, 판독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광원의 반사광을 수광할 때까지의 시간(수광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것, 즉 판독거리의 장단에 따라 광원의 발광으로부터 마커상의 검출까지의 시간이 변화하는 것에 주목한 것이다. 이러한 검출시간과 판독거리의 관계가 실험에 의하여 측정되고, 또한 측정된 판독거리의 각각에 대하여 최적의 렌즈(22)의 합초위치가 실험에 의하여 측정된다. 이 실험에 의하여, 검출시간마다 최적의 렌즈(22)의 합초위치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정해지고, 당해 테이블이 합초처리(s16)를 실시하기에 앞서 스마트폰(8a)의 메모리(기억부(76))에 저장된다. 스마트폰(8a)의 CPU(설정부(90))는, 합초처리(s16)에 있어서 유닛(30)의 마이크로 컴퓨터(64)에 대하여 점등명령을 송신한다. 그 후에 CPU는, 화상을 계속하여 촬영하고, 촬영화상에 대하여 마커(62)의 검출처리를 하여, 마커(62)가 검출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CPU는 측정된 시간에 대응하는 합초위치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CPU는, 추출한 합초위치까지 렌즈(22)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 모듈(74)에 대하여 설정신호를 송신한다.
(변형예4―4)
상기의 변형예4―1부터 변형예4―3에 있어서, 미리 메모리(기억부(76))에 기억하여 두는 정보는 테이블에 한정되지 않으며 함수이더라도 좋다. 당해 함수는, 마커상의 좌표·크기·검출시간 등에 따라 최적의 렌즈(22)의 합초위치가 구해진다. 컴퓨터(8)의 CPU(설정부(90))는, 이러한 함수에 검출된 마커상의 좌표나 사이즈 또는 측정한 마커(62)의 검출시간을 대입함으로써 렌즈(22)의 합초위치를 취득하고, 당해 합초위치까지 렌즈(22)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 모듈(74)에 대하여 설정신호를 송신한다.
(변형예4―5)
합초처리(s16)는, 예를 들면 촬영화상 중의 마커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가 가장 높아지게 되도록 초점을 맞추는 처리로서, 렌즈(22)를 이동시키면서 화상을 취득하고, 각 촬영화상 중의 마커상의 콘트라스트를 측정하고, 측정된 콘트라스트가 가장 높았던 촬영화상에 대응하는 렌즈(22)의 위치까지 렌즈(22)를 되돌리는 처리이더라도 좋다.
(변형예5)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닛(30)은,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46)를 통하여 스마트폰(8a)의 CPU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된 마이크로 컴퓨터(64)와, 마이크로 컴퓨터(64)의 입력단자(66)에 접속된 스위치(50)와, 마이크로 컴퓨터(64)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반도체 레이저(42)를 구동하는 제어회로(68)를 구비하는 태양이더라도 좋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64)는, 스위치(5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감시하여 스위치(50)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 제어회로(68)에 대하여 발광신호를 출력한다. 발광신호는 반도체 레이저(42)를 발광시키기 위한 신호로서, 본 예에서는 제어회로(68)인 트랜지스터를 ON 상태로 하는 신호이다. 트랜지스터가 ON 상태로 되면, 반도체 레이저(42)에 전력이 공급되어 레이저광(L1)(도1)이 조사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64)는, 유저에 의한 스위치(50)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및 반도체 레이저(42)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로서 기능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64)는, 발광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스마트폰(8a)의 CPU에 대하여 판독처리의 시작을 리퀘스트하는 판독 리퀘스트를 송신하는 태양이더라도 좋다. 당해 태양에 있어서는, 스마트폰(8a)의 CPU는 판독 리퀘스트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의 판독처리(도5)를 시작한다.
(변형예6)
컴퓨터(8)의 CPU(복호부(82))는, 상기한 실시형태나 변형예2에 한정되지 않으며, 취득한 촬영화상에 있어서 마커상을 기준으로 한 일정영역 내에 있는 부분을 복호처리의 대상으로 하여도 좋다.
(변형예6―1)
예를 들면 컴퓨터(8)의 CPU는, 마커의 검출처리(s12)에 있어서 마커상을 검출하면, 검출한 마커상에 의거하여 기점(基點)을 인정하고, 인정한 기점에 의거하여 일정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 내의 화상에 대하여 복호를 한다.
예를 들면 촬영화상 중의 마커상이 1개의 점모양, 원모양, 직선모양 또는 십자모양일 때에는, 그 마커상의 중심점의 좌표가 기점으로서 인정된다. 또한 마커상이 화살표 모양일 때에는, 그 화살표가 나타내는 선단점의 좌표가 기점으로서 인정된다. 또한 마커상이 프레임 모양일 때에는, 프레임 내의 중심점이 기점으로서 인정된다.
그리고 영역의 특정은, 예를 들면 마커상이 1개의 점모양, 원모양, 직선모양 또는 십자모양일 때에는, 기점인 마커상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사각형 영역 내의 화소가 복호의 대상으로서 정해진다. 또한 마커상이 1개의 화살표 모양일 때에는, 기점인 마커상의 선단점을 정점으로 하는 일정한 사각형 영역 내의 화소가 복호의 대상으로서 정해진다. 이와 같이 기점을 포함하는 일정영역 내의 화소가 복호의 대상으로서 정해진다. 또한 마커상이 프레임 모양일 때에는, 기점인 프레임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영역 내의 화소가 복호의 대상으로서 정해진다.
상기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복호처리가 되는 화상이 일정영역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복호속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6―2)
마커상에 부가하여 좌표와 심벌상의 좌표에 의거한 판독처리이더라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8)의 CPU는, 검출처리(s12)에 있어서 마커상을 검출하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마커좌표를 구한다. 또한 CPU는, 촬영화상의 전체에 대하여 복호처리를 하여 촬영화상에 포함되는 모든 심벌상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정보에 대응하는 심벌상의 좌표(이하, 「심벌좌표」라고 한다)를 구한다. 상기 심벌좌표는 마커좌표와 동일한 좌표계로 나타내고, 예를 들면 심벌상의 중심좌표가 심벌좌표로서 인정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심벌상이 촬영화상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CPU는 각 심벌좌표를 구한다. 그리고 마커좌표에 가장 근접하는 심벌좌표에 대응한 심벌정보만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마커좌표보다 상측에 있는 심벌정보만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마커좌표와 일정 거리에 있는 심벌정보만을 채용하여도 좋다.
(변형예7)
판독장치(2)가 판독하는 심벌은, 1차원 심벌에 한정되지 않으며 2차원 심벌이나 문자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색채로 이루어지는 색채패턴이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심벌을 동시에 판독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타입의 심벌을 동시에 판독하여도 좋다.
(변형예8)
유닛(30)에 있어서 큰 지름의 관통홀(36)에 확대렌즈(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설치하여도 좋다. 확대렌즈는, 카메라 모듈(74)의 촬영범위(S)의 중심부분을 확대하여 촬영소자(24)의 촬영면(24a)에 결상시키는 렌즈로서, 확대렌즈의 중심선이 수광계의 광축(La)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확대렌즈에 의하면 멀리 위치하고 있는 심벌(6)을 판독할 수 있다.
(변형예9)
유닛(30)의 하우징(32)은, 수광계의 광축(La)을 유닛(30)의 상방으로 굴곡(屈曲)시키는 반사판(反射板)(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내장하고, 당해 굴곡된 광축을 통과하는 관통홀과, 상방을 향하여 설치된 반도체 레이저(42)의 레이저광(L1)을 통과시키는 관통홀을 하우징(32)의 상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변형예10)
카메라를 구성하고 있는 렌즈(22), 촬영소자(24) 및 화상처리 프로세서(26)는 모듈화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변형예1∼10의 각각을 임의로 조합시킨 판독장치(2)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지식에 의거하여 다양한 개량, 수정, 변형을 가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들의 태양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100 : 판독장치
4 : 물품
6 : 1차원 심벌
8 : 컴퓨터
8a : 스마트폰
8b : 데스크톱
22 : 렌즈
24 : 촬영소자
26 : 화상처리 프로세서
30·130 : 유닛
42 : 반도체 레이저
S : 촬영범위

Claims (10)

  1.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에 의하여 생성되는 화상(畵像)을 해석하고, 상기 화상에 포함되는 심벌(symbol)로부터 정보를 판독(判讀)하는 컴퓨터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범위를 지표(指標)하는 마커(marker)를 표시시키는 광원(光源)을 갖는, 상기 컴퓨터와는 별체의 유닛(unit)을
    구비하는 판독장치(判讀裝置).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휴대정보단말이고,
    상기 유닛은, 상기 휴대정보단말에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컴퓨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을 송신(送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컴퓨터에 의한 상기 심벌의 가독범위(可讀範圍)를 지표하는 범위마커(範圍marker)와,
    상기 범위마커 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모양 마커를
    포함하는 판독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컴퓨터에 의한 상기 심벌의 가독범위를 지표하는 범위마커와,
    상기 범위마커의 중심을 지표하는 중심마커(中心marker)를
    포함하는 판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取得部)와,
    상기 취득한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선모양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부(檢出部)와,
    상기 검출된 선모양 마커 부분의 화소를 대상으로 복호(復號)를 하는 복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한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범위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범위마커 내의 화소를 대상으로 복호를 하는 복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렌즈를 갖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심벌의 판독거리를 지표하는 거리정보와 상기 렌즈의 합초위치(合焦位置)의 대응관계를 기억하는 기억부(記憶部)와,
    상기 거리정보를 유저가 입력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거리정보에 따른 상기 렌즈의 합초위치를 상기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구하고, 상기 합초위치로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 모듈에 설정을 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판독장치의 컴퓨터에,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기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
    상기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상기 마커의 상(像)을 검출하는 스텝,
    상기 마커의 상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심벌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program).
  10.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화상에 포함되는 심벌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컴퓨터와 함께 사용되는 유닛으로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범위를 지표하는 마커를 출력하는 광원(光源)을 구비하는 유닛.
KR1020187033377A 2016-08-09 2017-07-03 판독장치, 프로그램 및 유닛 KR102079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6369 2016-08-09
JP2016156369 2016-08-09
PCT/JP2017/024411 WO2018030028A1 (ja) 2016-08-09 2017-07-03 読取装置、プログラム、及び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987A true KR20180136987A (ko) 2018-12-26
KR102079697B1 KR102079697B1 (ko) 2020-02-20

Family

ID=611620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377A KR102079697B1 (ko) 2016-08-09 2017-07-03 판독장치, 프로그램 및 유닛
KR1020197032796A KR102480593B1 (ko) 2016-08-09 2018-06-29 판독시스템 및 카메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796A KR102480593B1 (ko) 2016-08-09 2018-06-29 판독시스템 및 카메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00089924A1 (ko)
EP (1) EP3499400B1 (ko)
JP (2) JP6387478B2 (ko)
KR (2) KR102079697B1 (ko)
CN (2) CN109478225A (ko)
WO (1) WO2018030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8110A (zh) * 2020-12-18 2021-03-12 深圳简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图片中局部信息精准抓取的方法和系统
JP2022136727A (ja) * 2021-03-08 2022-09-2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CN113988240B (zh) * 2021-12-27 2022-04-01 深圳市成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读写器的解码方法、读写器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996A (ko) * 2002-05-30 2003-12-11 아이신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코드 판독 장치
KR20030093997A (ko) * 2002-05-30 2003-12-11 아이신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코드 판독 장치
KR20040010275A (ko) * 2002-07-24 2004-01-3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KR20130134334A (ko) * 2012-05-30 2013-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실내 이동자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219697A (ja) 2014-05-16 2015-12-07 株式会社AliveCast 電子商取引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4085B1 (en) * 1988-08-31 2005-12-13 Intermec Ip Corp. System for reading optical indicia
JP2936896B2 (ja) * 1991-07-24 1999-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光学的情報読取り装置
CN1080415A (zh) * 1992-04-29 1994-01-05 欧林巴斯光学工业株式会社 具有光扫描器的售货点系统
JP3698788B2 (ja) * 1995-02-01 2005-09-21 シンボ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学システムおよび光ポインタモジュール
US6607134B1 (en) * 1997-07-17 2003-08-19 Symbol Technologies, Inc. Finger-mounted readers with low power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JP2003018443A (ja) 2001-06-29 2003-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7331523B2 (en) * 2001-07-13 2008-02-19 Hand Held Products, Inc. Adaptive optical image reader
US7086596B2 (en) * 2003-01-09 2006-08-08 Hand Held Products, Inc. Decoder board for an optical reader utilizing a plurality of imaging formats
JP2004192167A (ja) 2002-12-09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及び情報入力装置
US7066388B2 (en) * 2002-12-18 2006-06-27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RFID reads
JP4058529B2 (ja) * 2003-09-08 2008-03-12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光学情報読取装置
FR2883398B1 (fr) * 2005-03-21 2007-10-05 Groupe Tx Com Sa Dispositif portable de lecture de symboles optiques et procede de lecture mis en oeuvre au moyen de ce dispositif.
JP2006277478A (ja) * 2005-03-30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読取装置
US7244944B2 (en) 2005-06-28 2007-07-17 Symbol Technologies, Inc Triggering system and method
KR101156681B1 (ko) * 2005-12-12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가변적인 노이즈 레벨을사용하는 자동 포커싱 방법
JP4582152B2 (ja) * 2008-01-25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914788B2 (en) * 2009-07-01 2014-12-16 Hand Held Products, Inc. Universal connectivity for non-universal devices
US8256678B2 (en) * 2009-08-12 2012-09-04 Hand Held Products, Inc. Indicia reading terminal having image sensor and variable lens assembly
JP5310422B2 (ja) * 2009-09-11 2013-10-09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5379118B2 (ja) * 2010-12-17 2013-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9022280B2 (en) * 2011-06-24 2015-05-05 Verisign, Inc. Multi-mode barcode resolution system
US9092683B2 (en) * 2012-07-10 2015-07-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loud-based system for processing of decodable indicia
US10248821B2 (en) * 2012-10-04 2019-04-02 The Code Corporation Target generating structure for a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US9710685B2 (en) * 2012-10-04 2017-07-18 The Code Corporation Barcode-reading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with a high resolution color camera
GB2514746B (en) 2012-11-07 2016-01-27 Koamtac Inc Connectivity sled for electronic pairing and physical cooper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CN103048765A (zh) * 2012-12-18 2013-04-17 天津三星光电子有限公司 一种相机调焦装置及方法
US20160259958A1 (en) * 2014-02-20 2016-09-08 Welcat Inc. Code reading device
US9224027B2 (en) * 2014-04-01 2015-12-29 Hand Held Products, Inc. Hand-mounted indicia-reading device with finger motion triggering
JP2016033767A (ja) 2014-07-31 2016-03-10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携帯型情報コード読取装置
US9092684B1 (en) * 2015-01-08 2015-07-28 Symbol Technologies, Llc Wearable system for, and method of, electro-optically reading a symbol at which a user's finger is generally pointed
JP6229667B2 (ja) * 2015-01-13 2017-11-15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情報コード読取システムおよび情報コード読取装置
JP2016157240A (ja) 2015-02-24 2016-09-01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情報コード読取装置及び情報コードの読取方法
US20160292477A1 (en) * 2015-03-31 2016-10-06 Hand Held Products, Inc. Aimer for barcode scanning
US9747482B2 (en) * 2015-04-08 2017-08-29 Cognex Corporation Aimer accessory for capturing a coded image
US10491806B2 (en) * 2015-08-03 2019-11-26 Light Labs Inc. Camera device control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996A (ko) * 2002-05-30 2003-12-11 아이신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코드 판독 장치
KR20030093997A (ko) * 2002-05-30 2003-12-11 아이신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코드 판독 장치
KR20040010275A (ko) * 2002-07-24 2004-01-3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KR20130134334A (ko) * 2012-05-30 2013-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실내 이동자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219697A (ja) 2014-05-16 2015-12-07 株式会社AliveCast 電子商取引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028A1 (ja) 2018-02-15
JP7158698B2 (ja) 2022-10-24
KR20190132506A (ko) 2019-11-27
US20210312148A1 (en) 2021-10-07
KR102079697B1 (ko) 2020-02-20
KR102480593B1 (ko) 2022-12-22
JPWO2018030028A1 (ja) 2018-08-09
JP2019016999A (ja) 2019-01-31
EP3499400A1 (en) 2019-06-19
US20200089924A1 (en) 2020-03-19
CN110678869A (zh) 2020-01-10
EP3499400A4 (en) 2020-04-01
CN109478225A (zh) 2019-03-15
EP3499400B1 (en) 2024-03-13
CN110678869B (zh) 2023-10-13
JP6387478B2 (ja)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1039B2 (en) Depth sensor based auto-focus system for an indicia scanner
CN106055172B (zh) 光学导航芯片、光学导航模块以及光学编码器
US10262177B2 (en) Optical information reading device
US8450708B2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uniform distributed illumination pattern for imaging reader
US20210312148A1 (en) Reader, program, and unit
US20230100386A1 (en) Dual-imaging vision system camera, aim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TWI355613B (en) Information reader for optically reading code
US11828847B2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deriving 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deriving program for distance measurement
US10733748B2 (en) Dual-pattern optical 3D dimensioning
US10641896B2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distance measurement method, and distance measurement program
US10489621B2 (en) Read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11047980B2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control program for distance measurement
US20180180736A1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control program for distance measurement
US2019007265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Laser Distance Measurement Device
US10353070B2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distance measurement method, and distance measurement program
JP5962720B2 (ja) 光照射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15246B2 (en) Code reader with extended reading range
KR100876821B1 (ko) 촬영 영역 내에서 정확하게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
JP2020056777A (ja) 非接触測定装置
JP6327294B2 (ja) 光照射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605627B2 (ja) パターンまたは画像読み取り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