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735A -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735A
KR20180134735A KR1020177030871A KR20177030871A KR20180134735A KR 20180134735 A KR20180134735 A KR 20180134735A KR 1020177030871 A KR1020177030871 A KR 1020177030871A KR 20177030871 A KR20177030871 A KR 20177030871A KR 20180134735 A KR20180134735 A KR 20180134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rssi
rssi value
terminal device
change 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233B1 (ko
Inventor
용린 조우
파하이 첸
Original Assignee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3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1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낮은 동력 소비량 블루투스(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를 공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은 단말 기기에 적용되고, 수신한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신호에서 해석하여 얻은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하는 단계; RSSI값의 변화 규율에 따라,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를 더 공개한다. 선행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고,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또한, 실내에 iBeacon 또는 블루투스 AP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타깃 BLE 종속 기기에 대한 빠른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가 필요하지 않기에, 하드웨어의 원가를 저하시킨다.

Description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낮은 동력 소비량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수많은 전자 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밴드, 착용가능한 기기, 센서 등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위치 결정 기술을 지원한다. 위치 결정은 실내 환경에서 위치 결정을 실현하는 것이며, 이는 무선 통신, 기지국 위치 결정, 관성 항법 위치 결정 등 다양한 기술이 집적되어 형성된 하나의 실내 위치 결정 시스템을 주로 적용한다. 통신 네트워크의 셀룰러(cellular) 위치 결정 기술 외에, 흔히 보는 실내 무선 위치 결정 기술에는, 무선랜(Wi-Fi), 블루투스, 적외선, 초광대역, 무선 주파수 식별(RFID), 지그비(ZigBee) 및 초음파 등이 더 있다.
선행기술의 위치 결정 방법은, 대부분 블루투스 AP와 서버가 구성하는 모바일 기기-기반 위치 결정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그 위치 결정은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방송 정보를 블루투스 AP를 통하여 구축한 송신 통신 네트워크와 서버에 반복하여 통신하여, 서버를 통하여 산출한 후, 현재 모바일 기기의 위치 정보를 얻는 발명이고, 위치 정보를 모바일 기기에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위치 결정 방법은 iBeacon에 의한 블루투스 위치 결정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위치 결정 시스템은 iBeacon 정보 확산(Information Diffusion) 시스템, iBeacon 기지국 및 모바일 기기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정보 확산 시스템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관리 시스템, 서비스 인증 인터페이스, 무선주파수 안테나로 이루어진다. 기지국은 데이터 저장 모듈과 블루투스 무선주파수 안테나로 조성된다. 모바일 기기는 데이터 처리 모듈,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무선 송수신 모듈, 블루투스 무선주파수 송수신 안테나, 무선주파수 송수신 안테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행기술은 수많은 단점을 구비한다: 1. 블루투스 송신 네트워크 구축이 복잡하고, 수많은 블루투스 AP를 구성해야 하기에, 유지 작업이 불편하고, 하드웨어 원가가 높다. 2. 블루투스 AP가 송신한 데이터를 처리할 전문 서버가 필요하며, 데이터 네트워크가 지연되고 및 데이터 대역폭의 문제가 나타나게 되며, 마찬가지로 시스템 원가도 증가한다. 3. 적용된 로컬(local) 위치 결정 장치는 고정된 것이고, 충분히 원활하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 결정 방법의 업그레이드와 변경을 할 수 없다. 4. 모두 위치 결정 모바일 기기의 위치이고, 물체를 찾을 경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분실되거나 숨겨진 물체에 대하여 위치 결정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또한, 실내에 iBeacon 또는 블루투스 AP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타깃 BLE 종속 기기에 대한 빠른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가 필요하지 않기에, 하드웨어 원가를 저하시킨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 기기에 적용된다. 상기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은,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한 후,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신호에서 수신 신호 강도 지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값을 해석하여 얻는 단계;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하는 단계; RSSI값의 변화 규율에 따라,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를 더 제공하고, 단말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는,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 모듈;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한 후, 타킷 BLE 종속 기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수신한 상기 신호에서 수신 신호 강도 지시(RSSI) 값을 해석하여 얻기 위한 해석 모듈;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모듈;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 모듈; RSSI값의 변화 규율에 따라,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한 후,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에서 RSSI값을 해석하여 얻고,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하며, RSSI값의 변화 규율에 따라,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생성한다.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클 경우,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찾은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따라서,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또한, 실내에 iBeacon 또는 블루투스 AP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타깃 BLE 종속 기기에 대한 빠른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가 필요하지 않기에, 하드웨어 원가를 저하시킨다.
하나 또는 다수개 실시예는 그와 대응되는 도면을 통하여 예시적 설명을 진행한다. 이러한 예시적 설명은 실시예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구비된 소자는 유사한 소자를 표시한다. 특별한 설명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도면은 비례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의 블록도; 및
도 6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의 블록도.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장점을 더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하기에서는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독자들이 본원 발명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많은 기술적 세부사항을 제공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세부사항과 하기 각 실시형태에 의한 여러 가지 변경과 수정이 없더라도, 본원 발명이 보호하고자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고, 단말 기기에 적용된다. 구체적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단말 기기의 낮은 동력 소비량 블루투스(BLE) 스위치를 켜고,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한다.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BLE 종속 기기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예컨대, BLE 종속 기기는 액티브(active) 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BLE 종속 기기와 단말 기기에서의 블루투스는 bluetooth 4.1/4.2의 프로토콜(protocol)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의 블루투스를 위하여 스위치 이네이블 키를 설정하고, 스위치 이네이블 키가 트리거(trigger)될 경우, 단말 기기는 부근의 BLE 종속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BLE 종속 기기를 검색할 경우, 검색 결과를 리스트의 형식으로 열거해낸다. 또한, 리스트에서 나타난 BLE 종속 기기는 BLE 종속 기기의 명칭, 물리적 주소(MAC 주소), RSSI값(수신 신호 강도 지시)등 정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102: 타깃 BLE 종속 기기가 스캔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스캔되었으면 단계 103에 진입하고; 스캔되지 못하였으면, 단계 101로 돌아간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BLE 종속 기기의 명칭 또는 MAC 주소에 따라, 스캔 리스트에서 찾고자 하는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을 수 있다. 상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기 위한 가상 버튼을 누른다. 단말 기기가 타깃 BLE 종속 기기에 대한 찾기 인스트럭션을 수신할 경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부분으로는, 실제 설계 과정에 있어서, 기타 방식을 통하여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기기에 미리 각 BLE 종속 기기를 저장할 수 있다.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하기 전, 먼저 미리 저장된 BLE 종속 기기로부터 하나의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선택하고, 다음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한 후, 사용자가 타깃 BLE 종속 기기 찾기를 누른 후 하기 알고리즘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타깃 BLE 종속 기기를 누를 경우, 즉 단말 기기가 찾기 인스트럭션을 수신할 경우,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신호를 수신한다. 또는 사용자가 타깃 BLE 종속 기기를 누를 경우, 즉 단말 기기가 찾기 인스트럭션을 수신할 경우, 수신한 신호에서 신호 강도 RSSI 값을 해석하여 얻는다.
단계 103: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신호를 수신한다.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단말 기기와 타깃 BLE 종속 기기는 낮은 동력 소비량 블루투스(BLE)를 사용하여 통신을 진행한다. 사용자가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사용할 경우, 단말 기기가 블루투스를 켤 필요가 있다. 다음 단말 기기와 타깃 BLE 종속 기기는 매칭 연결을 진행하며, 연결이 성공된 후,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사용하여 단말 기기에서 조작을 진행한다. 사용자가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타깃 BLE 종속 기기와 단말 기기는 연결을 차단한다. 이때, 타깃 BLE 종속 기기는 공고(Advertising) 상태에 놓이고, 타깃 BLE 종속 기기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adv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단말 기기는 스캔(scanning) 상태에 놓이고, Scan 인스트럭션을 송신하며, 부근의 타깃 BLE 종속 기기를 검색할 수 있고, 타깃 BLE 종속 기기가 송신한 adv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단계 104: 수신한 신호에서 신호 강도 RSSI값을 해석하여 얻는다.
단계 105: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작으면, 단계 106에 진입하고; 작지 않으면,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음을 설명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단말 기기가 놓이는 구역 범위로 확정지을 수 있기에, 종료된다.
단계 106: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한다.
예컨대,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RSSI값의 변화 규율은 커지다, 작아지다, 변하지 않는다 및 먼저 커지고 다음 작아진다 등일 수 있다.
단계 107: RSSI값의 변화 규율에 따라,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생성할 경우, 단말 기기는 자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예컨대, "앞으로 이동", "뒤로 이동" 또는 "오른쪽으로/왼쪽으로 이동"이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와 타깃 BLE 종속 기기의 거리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RSSI값에도 변화가 발생한다. 예컨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단말 기기가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RSSI 신호가 점차 강해지면,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것을 설명한다. 단말 기기가 타깃 BLE 종속 기기를 향하여 이동하고, 타깃 BLE 종속 기기가 단말 기기의 이동 방향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사용자에게 "앞으로 이동"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기기가 새로운 위치에 있도록 제어하고,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얻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빠르게 찾는 데 도움을 준다.
두 번째로. RSSI 신호가 점차 약해지면,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것을 설명한다. 단말 기기가 타깃 BLE 종속 기기에서 멀어지면서 이동하고, 타깃 BLE 종속 기기가 단말 기기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사용자에게 "뒤로 이동"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기기가 새로운 위치에 있도록 제어하고,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얻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빠르게 찾는 데 도움을 준다.
세 번째로, RSSI 신호가 먼저 점차 강해지고 다음 점차 약해지면, 타깃 BLE 종속 기기가 단말 기기 이동 경로의 양측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사용자에게 "오른쪽으로/왼쪽으로 이동"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기기가 새로운 위치에 있도록 제어하고,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얻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빠르게 찾는 데 도움을 준다.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단말 기기가 새로운 위치로 이동한 후, 단계 103으로 돌아가며,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신호를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계속하여 수신한다. 또한,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실제 적용에 있어서, RSSI의 값이 기설정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단말 기기는 타깃 BLE 종속 기기를 향해, 타깃 BLE 종속 기기를 트리거하여 경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트리거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타깃 BLE 종속 기기는 자체의 모터, 버저(buzzer) 또는 LED 전구를 트리거하여 작업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모터의 진동 소리거나 버저의 소리를 들을 경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아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상기 내용을 통하여,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바, 본 실시형태는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빨리 찾을 수 있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또한, 실내에 iBeacon 또는 블루투스 AP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타깃 BLE 종속 기기의 빠른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가 필요하지 않기에, 하드웨어 원가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기초상에서 개선한 것이다.
구체적인 과정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내지 단계 206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단계 101 내지 단계 106과 동일하고,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207: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만약 커지면, 단계 208에 진입하고; 커지지 않으면, 단계 209에 진입한다.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에 대하여 차이값을 구한다. 차이값이 기설정 값보다 클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은 커지는 것이다. 상기 차이값이 기설정 값보다 작을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은 작아지는 것이다.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기설정 값은 일반적으로 0으로 설정된다. 즉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의 차이값이 0보다 클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은 커지는 것이다.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의 차이값이 0보다 작을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은 작아지는 것임을 설명한다. 그러나, 실제 측정에서, RSSI 값은 측정 과정에서 안정적이지 않기에, 오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실제 적용에 있어서, 기설정 값의 절대값을 0보다 큰 고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고정값은 ε로 표시한다.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의 차이값이 ε보다 클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은 커지는 것이다.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의 차이값이 -ε보다 작을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은 작아지는 것이다.
이 밖에, 설명할 만한 부분으로는, 동일한 설계에 있어서, 다수개 그룹의 ε값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RSSI값이 클수록, 측정한 RSSI값은 정확하며, 오차 ε는 작다. RSSI값이 작을수록, 측정한 RSSI값은 정확하지 않으며, 오차 ε는 크다. 따라서 RSSI값에 대하여 미리 그룹을 나눌 수 있으며, 또한, 각 그룹의 RSSI값은 상이한 ε값에 대응되어, 오차를 감소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타깃 종속 기기를 더 빨리 찾도록 한다.
단계 208: 원래 정한 방향에 따라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자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와 타깃 BLE 종속 기기의 거리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RSSI 값에도 변화가 발생한다. 예컨대, 단말 기기의 이동 과정에 있어서, RSSI 신호가 점차 강해지면,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것을 설명한다. 단말 기기가 타깃 BLE 종속 기기를 향하여 운동하고, BLE 종속 기기가 단말 기기의 이동 방향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사용자에게 "앞으로 이동"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기기가 새로운 위치에 있도록 제어하고,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편리하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빠르게 찾는 데 도움을 준다.
단계 209: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작아지면, 단계 210에 진입하고; 작아지지 않으면, RSSI값의 변화 규율이 0임을 설명하며, 즉 RSSI값은 변화를 발생하지 않았고, 단계 208에 진입하며, 원래 정한 방향을 따라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한다.
단계 210: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얻는다.
단계 211: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작아지면 단계 212에 진입하고; 작아지지 않으면 단계 213에 진입한다.
단계 212: 원래 정한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단말 기기를 이동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자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와 타깃 BLE 종속 기기의 거리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RSSI값에도 변화가 발생한다. 예컨대, 단말 기기가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RSSI 신호가 점차 약해지면, RSSI값의 변화 규율은 작아지는 것을 설명한다. 단말 기기가 타깃 BLE 종속 기기에서 멀어지면서 이동하고, 타깃 BLE 종속 기기가 단말 기기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사용자에게 "뒤로 이동"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기기가 새로운 위치에 있도록 제어하고,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편리하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빠르게 찾는 데 도움을 준다.
단계 213: 원래 정한 방향의 수직 방향을 따라 단말 기기를 이동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자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와 타깃 BLE 종속 기기의 거리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RSSI값에도 변화가 발생한다. 예컨대, 단말 기기가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RSSI 신호가 먼저 점차 강해지고 다음 점차 약해지면, 타깃 BLE 종속 기기가 단말 기기 이동 경로의 양측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사용자에게 "오른쪽으로/왼쪽으로 이동"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기기가 새로운 위치에 있도록 제어하고,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편리하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빠르게 찾는 데 도움을 준다.
설명할 부분으로는, 단말 기기가 방향을 변환할 경우 회전 각도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생성한 후, 단말 기기 자체의 자력계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단말 기기의 회전 각도를 지시할 수 있다.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단계 208, 단계 212 및 단계 213 다음, 모두 단계 214를 실행한다.
단계 214: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업데이트한다.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단말 기기가 새로운 위치로 이동하고,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업데이트한 후, 단계 203으로 돌아가며,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신호를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계속하여 수신한다.
상기 내용을 통하여, 쉽게 발견할 수 있다시피, 본 실시형태는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고,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또한, 실내에 iBeacon 또는 블루투스 AP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타깃 BLE 종속 기기에 대한 빠른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가 필요하지 않기에, 하드웨어의 원가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3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의 기초상에서 개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가 BLE 종속 기기가 송신한 데이터에서의 RSSI값을 얻을 경우, 두 방면의 영향을 받는다. 1. 상이한 BLE 종속 기기가 송신한 adv 데이터 패킷의 주기가 상이하기에, 단말 기기가 RSSI값을 얻는 속도에도 차이가 있다. 2. RSSI값 자체의 파동이 환경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는다. 예컨대, 동일한 위치에서, 상이한 시간에 얻은 RSSI값은 다소 다르다.
상기 두 방면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얻은 RSSI값에 대하여 전처리를 진행하는 단계와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두 개 RSSI값을 동적 저장하기 위한 완충 구역 대기 행렬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 구역 대기 행렬은 동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본 실시형태는 5개 RSSI값을 동적 저장하기 위한 완충 구역 대기 행렬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완충 구역 대기 행렬은 단말 기기가 얻은 RSSI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완충 구역 대기 행렬이 이미 5개 RSSI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하였으면, 단말 기기가 6번째 RSSI값을 얻을 경우, 완충 구역 대기 행렬에 이미 저장된 5개 RSSI값은 순차적으로 앞으로 한 개 단위 평행 이동하여, 6번째 RSSI값이 저장되도록 한다.
구체적 과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내지 단계 305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단계 101 내지 단계 105와 동일하고,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306: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N개 RSSI값에 대하여 필터링 알고리즘 처리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필터링 알고리즘에 있어서,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N개 RSSI값에 대하여 평균치를 구한다. 또는,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N개 RSSI값에 대하여 중앙치를 구한다. 또는,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5개 RSSI값에서 가장 큰 RSSI값 및/또는 가장 작은 RSSI값을 제거한 후, 나머지 RSSI값의 평균치 또는 중앙치를 구하고, 얻은 평균치 또는 중앙치는 필터링 후의 RSSI값이며, 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단계 307: 필터링 후의 RSSI값을 완충 구역 대기 행렬에 저장한다.
단계 308: 완충 구역 대기 행렬이 다 찼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다 차면, 단계 309에 진입하고; 다 차지 않으면, 단계 303으로 돌아가며,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신호를 계속하여 수신한다.
완충 구역 대기 행렬에서의 헤드부 RSSI값을 지난번 RSSI값으로 하고, 완충 구역 대기 행렬에서의 말단부 RSSI값을 현재 RSSI값으로 한다.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실제 적용에 있어서, 말단 기기는 BLE 종속 기기가 송신한 신호를 빈번히 수신하게 되며, 신호 강도 RSSI값을 해석하여 얻는다. 매번 RSSI값을 해석할 경우, RSSI값과 인접한 지난번 RSSI값에 대하여 모두 차이를 두면, 단말 기기의 동력 소비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현재 RSSI값과 인접한 지난번 RSSI값이 비교적 근접하게 되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정확하게 산출하지 못한다. 따라서, 현재 RSSI값의 처음 M개 RSSI값을 지난번 RSSI값으로 하고,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에 대하여 차이값을 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 대기 행렬의 길이는 5이고, 즉 M=4이다.
단계 310: 현재 RSSI값에서 지난번 RSSI값을 빼고, 양자의 차이값을 RSSI값의 변화 규율로 한다.
단계 311 내지 단계 318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단계 207 내지 단계 214는 동일하고,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을 통하여, 쉽게 발견할 수 있다시피, 본 실시형태는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또한, 실내에 iBeacon 또는 블루투스 AP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타깃 BLE 종속 기기에 대한 빠른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가 필요하지 않기에, 하드웨어의 원가를 저하시킨다.
상기 여러 방법의 단계 구획은, 단지 설명의 명료성을 위한 것이고, 실현할 경우 하나의 단계로 병합시키거나 어떤 단계에 대하여 분할을 진행하여, 다수개 단계로 분해할 수 있다. 동일한 논리 관계를 포함하기만 하면, 모두 본 특허의 보호범위 내에 있다. 알고리즘이거나 과정에 대하여 중요하지 않은 수정을 추가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설계를 인입하더라도 그 알고리즘과 과정의 핵심설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 모두 상기 특허의 보호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는 단말 기기에 적용되고,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 모듈(41);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한 후, 타킷 BLE 종속 기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42); 수신한 상기 신호에서 수신 신호 강도 지시(RSSI) 값을 해석하여 얻기 위한 해석 모듈(43);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모듈(44);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 모듈(45); RSSI값의 변화 규율에 따라,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46)을 포함한다.
쉽게 발견할 수 있다시피, 본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서로 대응되는 장치 실시예이고, 본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서로 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관련 기술적 세부사항은 본 실시형태에서 여전히 유효하고, 중복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응하게, 본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관련 기술적 세부사항은 제1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내용을 통하여, 쉽게 발견할 수 있다시피, 본 실시형태는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또한, 실내에 iBeacon 또는 블루투스 AP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타깃 BLE 종속 기기에 대한 빠른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가 필요하지 않기에, 하드웨어 원가를 저하시킨다.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 언급된 각 모듈은 모두 논리적 모듈이라는 점이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하나의 논리적 유닛은 하나의 물리적 유닛일 수 있으며, 하나의 물리적 유닛의 일부일 수도 있고, 다수개 물리적 유닛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진보성 부분을 뚜렷이 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된 기술적 과제와의 관계가 그다지 밀접하지 않은 유닛을 인입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형태에 기타 유닛이 존재하지 않음을 표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5 실시형태는 제4 실시형태에서 개선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캔 모듈(41), 수신 모듈(42), 해석 모듈(43), 제1 판정 모듈(44), 산출 모듈(45), 생성 모듈(46)은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 밖에, 생성 모듈(46)은,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서브 모듈(461);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경우, 원래 정한 방향에 따라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 하기 위한 프롬프팅 서브 모듈(462);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 서브 모듈(463);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경우, 방향을 변환하여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서브 모듈(464)을 포함한다.
이 밖에, 프롬프팅 서브 모듈(462)은,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경우,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얻기 위한 서브 획득 모듈(4621);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경우, 원래 정한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고,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경우, 원래 정한 방향의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는 서브 프롬프팅 모듈(4622)을 포함한다.
이 밖에, 산출 모듈(45)은,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에 대하여 차이값을 구하기 위한 산출 서브 모듈(451); 상기 차이값이 기설정값보다 큰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 서브 모듈(452); 상기 차이값이 기설정값보다 클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차이값이 기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것으로 판정하기 위한 판정 서브 모듈(453)을 포함한다.
이 밖에, 단말 기기가 방향을 변환할 경우 회전 각도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는,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생성한 후, 자력계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단말 기기의 회전 각도를 지시하기 위한 각도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2 실시형태와 본 실시형태가 서로 대응되기에, 본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와 서로 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관련 기술적 세부사항은 본 실시형태에서 여전히 유효하며, 제2 실시형태에서 도달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는 본 실시형태에서도 마찬가지로 실현할 수 있고, 중복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응하게, 본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관련 기술적 세부사항은 제2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내용을 통하여, 발견할 수 있다시피, 본 실시형태는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또한, 실내에 iBeacon 또는 블루투스 AP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타깃 BLE 종속 기기에 대한 빠른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가 필요하지 않기에, 하드웨어 원가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이다. 제6 실시형태는 제4 실시형태 또는 제5 실시형태에서 개선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캔 모듈(41), 수신 모듈(42), 해석 모듈(43), 제1 판정 모듈(44), 산출 모듈(45), 생성 모듈(46), 제1 판정 서브 모듈(461), 프롬프팅 서브 모듈(462), 업데이트 서브 모듈(463), 프롬프팅 서브 모듈(464), 서브 획득 모듈(4621), 서브 프롬프팅 모듈(4622), 산출 서브 모듈(451), 제2 판정 서브 모듈(452), 판정 서브 모듈(453)은 제5 실시형태에서의 각 모듈과 동일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 밖에, 산출 모듈(45)은,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N개 RSSI값에 대하여 필터링 알고리즘 처리를 진행하고, N개 RSSI값의 평균치를 얻으며, 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인 필터링 알고리즘 서브 모듈(454)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필터링 알고리즘 처리 서브 모듈은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 대하여 필터링 알고리즘 처리를 진행하고, 구체적으로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 대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또는,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 대하여 중앙치를 구하며; 또는,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서의 최대치 및/또는 최소치를 제거한 후, 나머지 RSSI값의 평균치 또는 중앙치를 구한다.
산출 모듈(45)은, 적어도 두 개 RSSI값을 동적 저장하기 위한 완충 구역 대기 행렬을 미리 설정하고,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하기 전, 필터링 후의 RSSI값을 완충 구역 대기 행렬에 저장하는 저장 서브 모듈(455); 완충 구역 대기 행렬이 다 찼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3 판정 서브 모듈(456)을 더 포함한다. 완충 구역 대기 행렬이 다 찼을 경우, 산출 서브 모듈(451)은 완충 구역 대기 행렬에서의 헤드부 RSSI값을 지난번 RSSI값으로 하고, 완충 구역 대기 행렬에서의 말단부 RSSI값을 현재 RSSI값으로 하며,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에 대하여 차이값을 구한다.
제3 실시형태와 본 실시형태가 서로 대응되기에, 본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와 서로 배합하여 실시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관련 기술적 세부사항은 본 실시형태에서 여전히 유효하며, 제3 실시형태에서 도달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는 본 실시형태에서 마찬가지로 실현될 수 있고, 중복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응하게, 본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관련 기술적 세부사항은 제3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내용을 통하여, 쉽게 발견할 수 있다시피, 본 실시형태는 타깃 BLE 종속 기기의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찾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또한, 실내에 iBeacon 또는 블루투스 AP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타깃 BLE 종속 기기에 대한 빠른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가 필요하지 않기에, 하드웨어 원가를 저하시킨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 방법에서의 전부 또는 부분적 단계의 실현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관련 하드웨어를 인스트럭팅하여 완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다수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여 하나의 기기(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칩 등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processor)가 본원 발명의 각 실시예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적 단계를 실시하도록 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상기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실현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고, 형식에서 및 세부적으로 이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변경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14)

  1. 낮은 동력 소비량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에 적용되고,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한 후, 상기 타깃 BLE 종속 기기(slave unit)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신호에서 수신 신호 강도 지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값을 해석하여 얻는 단계;
    상기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상기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RSSI값의 변화 규율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경우, 원래 정한 방향을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고,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경우, 방향을 변환하여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고,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경우, 상기 방향을 변환하여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는 단계는,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경우,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얻는 단계; 및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경우, 원래 정한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고;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경우, 원래 정한 방향의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 후에,
    자력계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회전 각도를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에 대하여 차이값을 구하고, 상기 차이값이 기설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은 커지는 것이고, 상기 차이값이 기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은 작아지는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에 대하여 차이값을 구하는 단계 전에,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 대하여 필터링 알고리즘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며;
    상기 필터링 알고리즘은,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 대하여 평균치를 구하는 단계;
    또는,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 대하여 중앙치를 구하는 단계; 및
    또는,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서의 최대치 및/또는 최소치를 제거한 후, 나머지 RSSI값의 평균치 또는 중앙치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에 대하여 차이값을 구하는 단계는,
    현재 RSSI값의 처음 M개 RSSI값을 지난번 RSSI값으로 하고,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에 대하여 차이값을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8.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로서,
    단말 기기에 적용되고,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하도록 구성된 스캔 모듈;
    타깃 BLE 종속 기기를 스캔한 후, 상기 타킷 BLE 종속 기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수신한 상기 신호에서 수신 신호 강도 지시(RSSI) 값을 해석하여 얻도록 구성된 해석 모듈;
    상기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모듈;
    상기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 모듈; 및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 이동 방향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를 상기 RSSI값이 기설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서브 모듈;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경우, 원래 정한 방향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서브 모듈; 및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롬프팅 서브 모듈은 또한,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경우, 방향을 변환하여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롬프팅 서브 모듈은,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경우,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을 얻기 위한 서브 획득 모듈; 및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경우, 원래 정한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고, 지난번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경우, 원래 정한 방향의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단말 기기를 이동하도록 프롬프팅하는 서브 프롬프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는, 자력계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회전 각도를 지시하기 위한 각도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모듈은,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에 대하여 차이값을 구하기 위한 산출 서브 모듈;
    상기 차이값이 기설정값보다 큰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 서브 모듈; 및
    상기 차이값이 기설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커지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차이값이 기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RSSI값의 변화 규율이 작아지는 것으로 판정하기 위한 판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모듈은,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 대하여 필터링 알고리즘 처리를 진행하도록 구성되고,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인 필터링 알고리즘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 알고리즘 처리 서브 모듈은,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 대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또는,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 대하여 중앙치를 구하며;
    또는, N개 RSSI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N개 RSSI값에서의 최대치 및/또는 최소치를 제거한 후, 나머지 RSSI값의 평균치 또는 중앙치를 구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서브 모듈은,
    현재 RSSI값의 처음 M개 RSSI값을 지난번 RSSI값으로 하고, 지난번 RSSI값과 현재 RSSI값에 대하여 차이값을 구하도록 더 구성되되,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에 의한 위치 결정 장치.
KR1020177030871A 2017-05-08 2017-05-08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990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3507 WO2018205112A1 (zh) 2017-05-08 2017-05-08 基于蓝牙ble的定位方法及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735A true KR20180134735A (ko) 2018-12-19
KR101990233B1 KR101990233B1 (ko) 2019-06-17

Family

ID=6401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871A KR101990233B1 (ko) 2017-05-08 2017-05-08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99078B2 (ko)
EP (1) EP3499987B1 (ko)
KR (1) KR101990233B1 (ko)
CN (1) CN109496437B (ko)
WO (1) WO20182051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17942A1 (en) * 2019-01-03 2020-07-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ehicle occupants
JP7271994B2 (ja) * 2019-02-19 2023-05-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641939A (zh) * 2019-03-01 2020-09-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定位、寻物、追踪方法、系统和装置
FR3094170A1 (fr) * 2019-03-18 2020-09-25 Crowdloc Méthodes et systèmes de localisation d'objets communicants
US11115811B2 (en) * 2019-04-04 2021-09-07 Qualcomm Incorporated Address management for Bluetooth devices
CN112261582B (zh) * 2019-07-05 2023-01-20 汉朔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价签移动位置确定方法、装置及系统
CN110493719A (zh) * 2019-08-30 2019-11-2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基于ble的室内定位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572805A (zh) * 2019-09-10 2019-12-13 中化信息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0764048A (zh) * 2019-09-10 2020-02-07 清研讯科(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目标的寻找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US11375356B2 (en) 2019-10-02 2022-06-28 Bitstrata System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protocol with disconnection tolerance
US20220366745A1 (en) * 2019-10-07 2022-11-17 Carrier Corporation Using combination of gps and ble beaconing to locate a lock box
CN112702696B (zh) * 2019-10-22 2023-04-25 中移(成都)信息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065047A (zh) * 2019-12-09 2020-04-24 金华送变电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iBeacons的变电站安全管理方法及系统
CN112165681A (zh) * 2020-09-17 2021-01-01 精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低能耗蓝牙的方向判断方法及系统
CN112135246B (zh) * 2020-09-23 2023-04-07 中科芯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基于ssd目标检测的rssi更新的室内定位方法
CN115065931A (zh) * 2022-07-27 2022-09-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搜寻蓝牙设备的方法和装置
CN116798196B (zh) * 2023-08-28 2023-10-27 湖南天联城市数控有限公司 燃气安全报警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35042A1 (en) * 2012-11-15 2014-05-15 James Buchheim Locator Beacon and Radar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66318A (zh) * 2006-10-18 2008-04-23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利用移动通讯装置搜寻物品的方法及其相关的移动通讯装置模组
CN102854491A (zh) 2012-08-24 2013-01-02 东莞中山大学研究院 一种基于蓝牙技术实现定位的方法及系统
US9967713B2 (en) * 2012-11-15 2018-05-08 SSI America, Inc. Locator beacon and radar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CN103235283B (zh) 2013-04-08 2015-03-25 苏州迈普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判别运动趋势的方法
CN104702320B (zh) * 2014-04-11 2018-02-09 上海智向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蓝牙的近场支付判定方法以及系统
CN104270710A (zh) 2014-09-25 2015-01-07 郭利敏 一种基于iBeacon的蓝牙室内定位系统
CN104320751B (zh) * 2014-10-14 2017-08-15 浙江大学 一种基于蓝牙信号强度的物件寻找方法
CN105101404B (zh) * 2015-05-19 2019-06-18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及终端
US9801158B1 (en) * 2016-06-14 2017-10-2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lective call routing and notification for multi-endpoint terminals
WO2018027239A1 (en) * 2016-08-05 2018-02-08 Neon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lo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35042A1 (en) * 2012-11-15 2014-05-15 James Buchheim Locator Beacon and Radar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233B1 (ko) 2019-06-17
EP3499987B1 (en) 2021-04-14
EP3499987A1 (en) 2019-06-19
CN109496437B (zh) 2021-06-22
EP3499987A4 (en) 2019-06-19
CN109496437A (zh) 2019-03-19
US20180324553A1 (en) 2018-11-08
US10299078B2 (en) 2019-05-21
WO2018205112A1 (zh)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233B1 (ko) Ble에 의한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US10299240B2 (en) Positioning parameter coordin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9584972B2 (en) Positioning method, client and positioning system
JP5135946B2 (ja) 無線測位システム
EP3047689B1 (en) Ap location query
EP3621351B1 (en) Positioning assistance data configu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storage mediums
WO2018145289A1 (zh) 基于蓝牙ble的定位方法及装置
KR20190099271A (ko) 채널 지연 결정 방법, 측위 방법, 및 관련 장치
WO2014049950A1 (en) Scan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gram
US20180124732A1 (en) Beacon sensor based network fingerprint
US20160109554A1 (en) ADAPTIVE OPTIMIZATION OF TIME OF FLIGHT (ToF) EXCHANGE
JP2010204028A (ja) 管理サーバ、位置推定用設備システム及び位置推定システム
JP2007306540A (ja) 位置推定方法及び位置推定システム並びに無線通信端末
JP2011203000A (ja) 位置推定システム、位置推定装置及び位置推定プログラム
CN106231561B (zh) 一种定位方法和装置
CN106455052B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JP4876140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セルリスト作成方法
CN111385817A (zh) 邻区上报方法、装置、e-smlc及终端
EP3800858A1 (en) Access to a service
KR102253118B1 (ko) 와이파이 핑거프린트 기반 위치인식용 라디오맵 자동 업데이트 방법
EP4300127A1 (en) Positioning method, gateway, and positioning device
CN113466840B (zh) 测距方法、定位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101333272B1 (ko) 이웃 노드 홉 수의 평균을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인식 방법
JP6462639B2 (ja) 無線通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engherbia et al. The influence of k-NN parameters on the localization accuracy of WSNs in indoor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