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171A -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171A
KR20180134171A KR1020170071702A KR20170071702A KR20180134171A KR 20180134171 A KR20180134171 A KR 20180134171A KR 1020170071702 A KR1020170071702 A KR 1020170071702A KR 20170071702 A KR20170071702 A KR 20170071702A KR 20180134171 A KR20180134171 A KR 20180134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acid
present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126B1 (ko
Inventor
이도행
손연경
차지윤
이나영
Original Assignee
(주) 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이텍 filed Critical (주) 바이텍
Priority to KR102017007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12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4Linol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8Oleic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최적화된 농도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높은 안정성을 기반으로 하여, 피부 보습도 개선, 피부보호 장벽 개선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손상 저해 효과를 가져 미세먼지와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의 손상에 대하여 종합적인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더욱이 상기 효과들에 더불어, 항산화, 항염증 효과,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어, 우수한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가진다. 종합적으로 근본적인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순한 식품부터 건강기능식품, 식품 첨가물 및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of skin conditions, comprising the substances obtained from the refined fish oil as the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체온조절, 분비, 배설, 흡수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고, 특히 인체의 최외부에 존재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피는 인체의 외부와 내부로부터 방어작용을 하고, 진피는 피부의 탄력 및 지지 역할, 피하지방은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콜라겐 분해효소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라는 효소는 노화방지 및 상처개선에 관여한다. 즉,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거나 자외선 조사에 의해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콜라겐을 분해하는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의 발현이 감소되면 상처가 잘 아물지 않게 된다.
한편, 활성 산소종은 여러 신호전달 과정을 변경하여 유전자 발현, 세포흡착, 물질대사, 세포주기, 세포사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활성 산소종이 유도하는 신호전달에는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NF-κB (nuclear factor-κB), PI3K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53, β-catenin/Wnt를 매개로 하는 신호전달이 알려져 있다. 최근, 활성 산소종에 의한 인체 내 손상을 보호하는 항산화를 통한 노화방지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잘 먹고 잘사는 웰빙(well-being) 트랜드에 부응하여, 상기와 같이 보호, 탄력 및 지지역할을 하는 피부에 이용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서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고, 고품질의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피부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물질로서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등을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레티노익산은 불안정하여 제형화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안정성의 측면에서 제한이 있고, 동물 태반 유래 단백질은 광우병에 걸린 소의 적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피부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물질을 발견하고자 많은 연구를 수행한 끝에,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다양한 물질들을 최적화된 농도로 포함하여 구성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상태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0124호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97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icd) 및 DHA(Docosahexaeno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및 DHA를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및 D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식품 첨가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및 D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최적화된 농도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높은 안정성을 기반으로 하여, 피부 보습도 개선, 피부보호 장벽 개선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손상 저해 효과를 가져 미세먼지와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의 손상에 대하여 종합적인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더욱이 상기 효과들에 더불어, 항산화, 항염증 효과,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어, 우수한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가진다. 종합적으로 근본적인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순한 식품부터 건강기능식품, 식품 첨가물 및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MTT 분석을 통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손상 저해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DPPH 및 HaCaT 세포주에서의 ROS, SOD, GSH 변화량을 통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DPPH에 관한 결과, 도 2b는 ROS에 관한 결과, 도 2c는 SOD에 관한 결과, 도 2d는 GSH에 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구체적으로, ELISA 분석법을 통한 IL-1β(도 3a) 및 TNF-α(도 3b)의 농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와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한 COX-2(도 3c) 및 PGE2(도 3d)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조성물의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구체적으로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한 MMP-1(도 4a), PCOLA1(도 4b) 및 Elastin(도 4c)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조성물의 피부 보습, 피부재생효과 및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한 임상시험의 절차 진행 과정을 도식화한 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임상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임상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피부보호 장벽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본 발명은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일례로, 본 발명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icd) 및 DHA(Docosahexaeno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은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및 D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식품 첨가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팔미톨레산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30~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정제어유로부터 수득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자나무(sea buckthorn) 열매 오일에서 일반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팔미톨레산보다 더 많은 양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및 DHA의 조합으로부터 시너지 효과로서의 우수한 피부상태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합에 더하여 하기 표 1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상태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표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된 폴락 오일(refined pollock oil)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제된 폴락 오일은 정제 오일의 일종으로 정제방법을 달리하여 상기 표 1과 같은 피부개선효과에 최적화된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피부상태가 개선,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보습도 개선, 피부보호 장벽 개선, 세포손상의 저해 또는 주름의 개수를 줄이거나 피부 표면이 보다 탄력성 있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상태 개선'은 피부 관능성 평가시 피부의 밝기, 투명도 등 피부 상태 전반에 대한 개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나 피부 표면 막 개선에 의한 것,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노화 억제에 의한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또는 피부 표면막 개선'은 외부적 또는 내부적 요인에 의하여 피부의 진피를 포함한 전층에서 발생하는 피부 손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말하며, 특히 피부의 표피로 나타내는 손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노화 억제'는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억제시키거나 이의 발생을 지연시키고, 피부가 보다 탄력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항산화 또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한 MMP-1, 콜라겐 또는 엘라스틴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주름 개수 또는 피부 탄력성 증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자극'은 물리적 자극 또는 화학적 자극인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리적 자극은 전기적 자극, 기계적 자극, 열적 자극, 빛, 소리 등을 포함하고, 화학적 자극은 산, 알칼리, 화학물질 등에 의한 자극을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자극은 바람직하게는 화학적 자극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세먼지 등에 포함되는 화학물질에 의한 자극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이란 인간이 먹기 위하여 요리하거나 또는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모든 재료를 총칭하며, 이에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 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첨가물'은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을 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 혼합, 침윤, 기타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관한 것으로, 건강기능식품과 같이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특히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 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된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첨가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양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은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및 D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팔미톨레산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30~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는 인체의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모든 물건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상태 개선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이,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 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 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유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마스크팩,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 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페이스트, 팩, 세안제,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목욕용 파우더,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 (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 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 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 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 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 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상기 예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정제어유로부터 획득된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1
미국에서 채집한 알레스카 폴락(Alaska Pollock)으로부터 정제한 정제어유로부터 팔미톨레산 535.6±10.9 mg/g(최소 500 mg/g), 올레산 0.4±0.2, 리놀레산 0.2±0.1 mg/g 및 DHA 2.4±2.6 mg/g을 획득하였고, 보다 구체적으로 기타 염, 당 등을 포함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50% 이상의 팔미톨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하기 실험예 1에 사용할 때 하루에 1,000 mg의 양을 넘지 않도록 하였으며, 하기 표 1 내 나타낸 각 화합물은 0 mg/g 초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명칭 mg/g
C14:0 Myristic acid 4.4 ± 5.0
C14:1 Myristoleic acid(trans form) 1.2 ± 1.4
C14:1 Myristoleic acid(cis form) 0.8 ± 0.9
C16:0 Palmitic acid 257.3 ± 27.1
C16:1 n-7 Palmitoleic acid 535.6 ± 10.9
C16:3 n-3 Phytanic acid 1.4 ± 2.3
C18:0 Stearic acid 1.1 ± 1.0
C18:1 Oleic acid 0.3 ± 0.2
C18:1 n-9 Oleic acid(cis) 0.4 ± 0.2
C18:1 Vaccenic acid 0.2 ± 0.1
C18:3 n-6 gamma-linolenic acid 0.1 ± 0.1
C18:3 n-3 ALA(Linolenic acid) 0.2 ± 0.1
C18:4 n-3 SDA(Steridonic acid) 0.3 ± 0.2
C20:0 Eicosanoic acid 0.1 ± 0.2
C20:1 n-11 Gadoleic acid 0.3 ± 0.5
C20:1 n-9 Gondoic acid 0.2 ± 0.3
C20:4 n-6 Arachidonic acid 0.1 ± 0.1
C20:4 ETA(Eicosatetraenoic acid) 0.2 ± 0.3
C20:5 EPA(Eicosapentaenoic) 5.6 ± 6.4
C22:0 Docosanoic acid 0.1 ± 0.1
C22:1 n-11 Cetoleic acid 0.1 ± 0.4
C21:5 n-3 HPA(Heneicosapentaenoic acid) 0.2 ± 0.3
C22:5 n-3 DPA(Docosapentaenoic acid) 0.2 ± 0.3
C22:6 n-3 DHA(Docosahexaenoic acid) 2.4 ± 2.6
전체 991.6 ± 45.8
실시예 2. 정제어유로부터 획득된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2
하기 실험예 2 내지 5에서는 70%(v/v) 에탄올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50 내지 58 중량부의 팔미톨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10배 희석시킨 후, PBS에 100배 추가 희석하여 제조한 물질(PA50)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 조성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손상 저해 효과 확인
MTT(3-(4,5-dimethythiazol-2-yl)-2-5-dipheny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통하여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주의 증식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손상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HaCaT 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USA)에서 구매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세포는 DMEM 배지, 10% 소태아혈청, 50 U/ml P/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에서 37℃, 습도 95%, 5%의 CO2, CO2 incubator(Sanyo, Japan) 조건 하에서 배양한 세포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먼저, HaCaT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2×105 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고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을 100 nl/ml 농도로 처리하였고, 이 후 정상대조군(Vehicle)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군에 1 mM H2O2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TT 분석법을 수행하였으며,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사멸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피부각질세포인 HaCaT 세포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손상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항산화 관련 인자, 즉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및 HaCaT 세포주에서의 ROS, SOD, GSH의 농도 변화를 통한 본 발명 조성물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HaCaT 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USA)에서 구매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세포는 DMEM 배지, 10% 소태아혈청, 50 U/ml P/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에서 37℃, 습도 95%, 5%의 CO2, CO2 incubator(Sanyo, Japan) 조건 하에서 배양한 세포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2-1. DPPH (α, α- diphenyl -β- picrylhydrazyl ) 자유라디칼 소거능 확인
대표적인 항산화 지표로 널리 알려진 아스코르브산(비타민C, VitC)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실시예 2의 조성물의 농도를 1 mg/mL로 맞추었다. 이 후 상기 실험군 10 μL와 DPPH 용액(126 μg/mL) 90 μL를 섞은 후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하여 배양하였으며,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a에 나타내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VitC 대비 약 70% 이상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2-2. ROS (reactive oxygen species) 농도 변화 확인
HaCaT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2×105 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을 100 nl/ml 농도로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이 후 정상대조군(Vehicle)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군에 1 mM H2O2를 처리하여 1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PBS와 DCFDA(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를 5000:1로 희석시킨 용액을 배지와 동량으로 처리하여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형광발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ROS의 농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처리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2-3. SOD( Superoxide Dismutase ) 활성 변화 확인
HaCaT 세포를 세포배양용 플레이트(SPL사, 100 cm2)에 5×106 세포/ml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을 100 nl/ml 농도로 처리하였고, 이 후 정상대조군(Vehicle)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군에 1 mM H2O2를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 분쇄액이 희석된 완충액을 샘플로 하여 샘플 10 ㎕에 radical detector 200 ㎕, Xanthine oxidase 20 ㎕를 넣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440~460 nm 범위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c에 나타내었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산화 방어기작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SOD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2-4. GSH ( Glutathione ) 활성 변화 확인
HaCaT 세포를 세포배양용 플레이트 (SPL, 100 cm2)에 5×106 세포/ml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을 100 nl/ml 농도로 처리하였고, 이 후 정상대조군(Vehicle)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군에 1 mM H2O2를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 분쇄액이 희석된 완충액을 샘플로 하여 샘플 50 ㎕에 MES buffer, cofactor mixture, enzyme mix, DTNB를 혼합한 reaction buffer 150 ㎕를 넣고 암실에서 가볍게 섞어준 후, 30분 이내로, 405~414 nm 범위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d에 나타내었다.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산화 방어기작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GSH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3. 본 발명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 확인
3-1. ELISA 분석법을 통한 IL- , TNF -α의 농도 변화 확인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HaCaT 세포에서 분비되는 항염증 인자, 즉 IL-1β, TNF-α의 농도 변화를 통한 본 발명 조성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HaCaT 세포주는 ATCC에서 구매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세포는 DMEM 배지, 10% 소태아혈청, 50 U/ml P/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에서 37℃, 습도 95%, 5%의 CO2, CO2 incubator(Sanyo, Japan) 조건 하에서 배양한 세포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우선 상기 HaCaT 세포를 2×105 세포/웰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을 100 nl/ml 농도로 처리하였고, 이후 정상대조군 (Vehicle)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군에 1 mM H2O2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aCaT 세포 배양액을 샘플로 하여 IL-1β 및 TNF-α 생성량을 측정 하였다.
IL-1β 및 TNF-α 생성량은 인간 IL-1β ELISA 키트 (Abcam, Cambridge, MA)와 인간 TNF-α ELISA 키트 (Abcam, Cambridge, M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 플레이트에 차례대로 HaCaT 세포 배양액 100 ㎕를 넣고 실온에서 2시간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바이오틴으로 표지된 IL-1β 및 TNF-α 검출 항체(각 항체는 키트에서 제공하는 항체를 사용)를 100 ㎕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배양물을 세척한 후, HRP-스트렙타아비딘 용액 100 ㎕를 첨가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실온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이 후 50 ㎕의 스탑 용액(stop solution)을 첨가한 후, 450 nm의 흡광도에서 실험 결과를 측정하였다. IL-1β에 대한 결과는 도 3a에 나타내었고, TNF-α에 대한 결과는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a 및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H2O2에 의한 활성산소 증가로 인하여 염증반응이 일어나며, 이 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한 IL-1β 및 TNF-α의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3-2. 웨스턴 블로팅을 통한 COX-2, PGE 2 농도 변화 확인
웨스턴 블로팅을 통해 HaCaT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인 COX-2(Cyclooxygenase-2) 및 PGE2(prostaglandin E2)의 농도 변화를 통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HaCaT 세포주는 ATCC에서 구매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세포는 DMEM 배지, 10% 소태아혈청, 50 U/ml P/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에서 37℃, 습도 95%, 5%의 CO2, CO2 incubator(Sanyo, Japan) 조건 하에서 배양한 세포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먼저, 10%의 소태아혈청을 첨가한 DMEM 배양액에 상기 HaCaT 세포주를 2×105 세포/ml의 농도로 분주하였다. 12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첨가하였으며, 첨가 후 1시간이 경과한 후에 1 mM H2O2를 처리하였다. 24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세포 내 단백질에 RIPA 버퍼를 처리하였으며, 4 ℃에서 15,000 rpm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이 후 단백질 정량은 BCA 단백질 분석 시약(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정량된 단백질 표본을 이용하여 이 기술 분야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전기영동을 한 후, 웨스턴 블로팅을 수행하였다. 상기 웨스턴 블로팅 수행시, COX-2 및 PGE2에 대한 항체(cell signalling)는 1:1,000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때 β-액틴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대조군으로서 추가실험을 수행하였다. 이후, 수퍼시크널 웨스트 듀라 익스텐디드 듀레이션 기질(supersignal west dura extended duration substrate, Thermo, Rockford, CA, USA)을 사용하여 케미 이미저 분석기 시스템(chemi imager analyzer system; Alpha Innotech, San Leandro, CA, USA)에서 감광시켰다. 그 결과는 도 3c 및 3d에 나타내었다.
도 3c 및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H2O2에 의한 활성산소 증가로 인하여 염증반응이 발생한 세포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한 COX-2 및 PGE2의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실험예 4. 본 발명 조성물의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웨스턴 블로팅을 통해 HaCaT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인 MMP-1, 프로콜라겐 유형 1, 엘라스틴의 농도 변화를 통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우수한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은 COX-2 및 PGE2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는 것 대신, MMP-1, 프로콜라겐 유형 1(PCOLA1) 및 엘라스틴에 대한 항체(cell signalling)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것 외에는 상기 실험예 3-2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H2O2에 의한 활성산소 증가로 인하여 염증반응이 발생한 세포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화학적 자극에 의해 발생한 MMP-1, 프로콜라겐 유형 1, 엘라스틴의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어, 종합적으로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상기 실험 결과는 Student's t-test와 ANOVA를 동시에 수행하여 나타낸 것이며,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실험예 5. 본 발명 조성물의 피부 보습, 피부재생효과 및 안정성 확인
5-1. 임상 시험 대상 선별
임상 시험 자원자들은 임상시험 수탁기관인 주식회사 에코덤의 피부과 전문의인 시험책임자의 진찰 하에 병력조사, 문진 및 시진과 필요한 경우 촉진 등을 통해 피험자의 선정 및 제외기준에 적합한 18명을 선발하였고, 최종 시험 종료 시점에서 1명의 탈락자를 제외하여, 통계의 대상이 된 자원자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선정 및 제외기준은 임상실험에서 고려해야할 일반적인 기준을 지칭하며, 탈락자 1인은 약속시간 준수와 참여철회를 자발적으로 요청한 경우이다.
항목 내용
평균 나이 45.9 ± 4.5 (살)
성별 여성
5-2. 시험 방법
시험 수행 0주 차에 1회 방문을 요청하여, 임상시험 동의서 확보, 피험자 선정/제외 기준 확인, 다음 방문일 지정, 초기 피부상태 기록 및 평가(혈액 검사 포함), 실시예 1의 시험 제품 배부, 피험자 일지 교부 및 다음 방문일 지정을 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의 시험 제품은 하루 1회 식전 2정 복용을 요청하였다. 이 후 시험 수행 1주 및 6주가 경과하였을 때는 안정성 확인을 위하여 전화 기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나서 시험 수행 12주차에 1회 방문을 요청하여, 유효성 평가 및 재발 여부, 이상 반응(혈액 검사 포함), 부작용 문진 기록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절차 진행 과정에 대해서는 도 5에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이때 피부평가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생물공학적 측정기기를 이용하며, 피부표면의 정전부하용량(capacitance)의 복용 전후 시기별 변화를 관찰하고,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이나 1% SLS 첩포패치(SLS closed patch)와 같은 비침습적 피부 각질층 손상을 유도한 후 피부장벽 회복기능을 총체적으로 관찰하였다. 동시에, 일반적으로 수행행되는 혈액 검사를 수행하여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alanine aminotransferase)의 수치 변화를 확인하였다.
상기 자원자들은 대상으로 진행된 본 시험은 임상시험 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GCP(Good Clinical Practice) 및 인권 윤리정신을 준수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국내 관련법규에 적합하도록 수행하였다.
5-3. 시험 결과
5-3-1. 피부보습도 개선 확인
피부보습도와 관련된 피부표면의 정전부하용량(capacitance)을 관찰한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용 12주 후에 관찰한 정전부하용량 값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정전부하용량의 증가는 피부 표면의 수분량이 증가함을 의미하는 바,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보습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5-3-2. 피부보호장벽 기능 개선 효과 확인
피부보호장벽을 확인하는 기준인 경표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을 관찰한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스트리핑이나 SLS 첩포패치와 같은 물리적인 자극이 있어도 경표피수분손실도 값 차이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피부보호장벽 기능이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5-3-3. 안정성 확인
시험을 수행하는 동안 별다른 이상징후를 나타내는 피실험자는 없었으며, 혈액검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AST 및 ALT 모두 정상 수치 범위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안정성을 가진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도 6 및 7에 나타낸 값은 실험예 5-2에서 수행한 관찰 결과를 SAS 프로그램을 통한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기반으로 계산하여 수치화한 것이며,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정성을 가지는 물질로 피부 보습력을 높여주면서, 동시에 피부보호 장벽 기능을 개선시키는 바, 우수한 피부상태를 개선 효과를 가지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높은 안정성을 기반으로 하여, 피부 보습도, 피부보호장벽 개선,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손상 저해 효과를 가져 미세먼지와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의 손상에 대하여 종합적인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더욱이 상기 효과들에 더불어, 항산화, 항염증 효과,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어, 상기 효과들에 더불어 우수한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순한 식품부터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한다.
제제예 1. 식품 제제의 제조
1.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 건강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 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2. 화장료 제제의 제조
1. 유연화장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1중량%
1,3-부틸렌글리콜 5.2중량%, 올레일알코올 1.5중량%
에탄올 3.2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중량%
벤조페논-9 2.0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글리세린 3.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2. 밀크로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1중량%
글리세린 5.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중량%
유동파라핀 4.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
스쿠알란 3.1중량%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6중량%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중량%
프로필파라벤 0.6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3. 영양크림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2.1중량%
유동파라핀 5.3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6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중량%
폴리솔베이트 60 3.2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4. 마사지크림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유동파라핀 24.0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1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중량%
폴리솔베이트 60 2.4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Claims (10)

  1.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icd) 및 DHA(Docosahexaeno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미톨레산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및 DHA 중 1종 이상은 정제된 폴락 오일(refined pollock oil)로부터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 개선은 피부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또는 피부 표면막 개선에 의한 것인, 피부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자극은 물리적 자극 또는 화학적 자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 개선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노화 억제인 것인, 피부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및 D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식품 첨가물.
  8.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렌산 및 D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팔미톨레산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스크팩,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겔, 크림, 에센스, 에멀전, 팩, 세안제 및 목욕용 파우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인 것인,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71702A 2017-06-08 2017-06-08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0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02A KR102006126B1 (ko) 2017-06-08 2017-06-08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02A KR102006126B1 (ko) 2017-06-08 2017-06-08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171A true KR20180134171A (ko) 2018-12-18
KR102006126B1 KR102006126B1 (ko) 2019-08-01

Family

ID=6495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702A KR102006126B1 (ko) 2017-06-08 2017-06-08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1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148A (ko) * 2019-05-10 2020-11-18 (주) 바이텍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31075A1 (ko) * 2019-05-10 2020-11-19 (주) 바이텍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45383A (ko) * 2019-06-21 2020-12-30 (주) 바이텍 정제어유 유래 오메가-7 및 홍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8241A (ja) * 2014-04-24 2015-11-24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健康食品
WO2016071927A2 (en) * 2014-11-07 2016-05-12 Kocheri Paul Thomson Optimized nutrient fatty acid composition
KR20160109764A (ko) 2015-03-13 2016-09-2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구기자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0124A (ko) 2015-08-13 2017-02-22 (주)퓨젠바이오농업회사법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8241A (ja) * 2014-04-24 2015-11-24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健康食品
WO2016071927A2 (en) * 2014-11-07 2016-05-12 Kocheri Paul Thomson Optimized nutrient fatty acid composition
KR20160109764A (ko) 2015-03-13 2016-09-2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구기자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0124A (ko) 2015-08-13 2017-02-22 (주)퓨젠바이오농업회사법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leo Sci., 59(6), pp.315-319, 2010. 사본 1부.* *
Journal of Aquatic Food Product Technology, vol.14(1), pp.73-91, 2005. 사본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148A (ko) * 2019-05-10 2020-11-18 (주) 바이텍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31075A1 (ko) * 2019-05-10 2020-11-19 (주) 바이텍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45383A (ko) * 2019-06-21 2020-12-30 (주) 바이텍 정제어유 유래 오메가-7 및 홍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126B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0954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KR102006126B1 (ko)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37163A (ko) 당 비함유 파인애플 추출물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JP5162174B2 (ja) 育毛剤及び抗肥満剤
AU2012348700B2 (en) Skin anti-ageing composition
JP6482930B2 (ja) 皮膚化粧料および飲食品
WO2023109290A1 (zh) 包含微生物油脂和植物油脂的组合物及其应用
JP2005068015A (ja) 抗炎症剤及び抗アレルギー剤
JP2007210962A (ja) 抗酸化剤及び抗老化剤、並びに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JP5702961B2 (ja) 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及び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作用を有する医薬品
JP5534654B2 (ja) 抗炎症剤
JP2005220100A (ja) 抗老化剤、血小板凝集抑制剤、抗酸化剤、抗アレルギー剤、皮膚化粧料及び飲食品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JP5307366B2 (ja) 育毛剤
KR20140073835A (ko) 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TW202102250A (zh) 黑米萃取發酵物及其製備與應用
KR102256823B1 (ko) 도코사헥사노엔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 아토피피부염 개선 및 피부 장벽 강화용 복합 조성물
KR102286969B1 (ko) 정제어유 유래 오메가-7 및 홍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4902967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102568146B1 (ko)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및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 모공 축소 및 피부 각질 개선용 조성물
US20240058261A1 (en) Anti-aging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propolis
KR102032830B1 (ko) 쌀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967752B1 (ko) 다이플렉트리아 바르바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42219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JP2006213648A (ja) 脂肪細胞の脂肪蓄積阻害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