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869A - 파킨슨병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아이달로피르딘의 용도 - Google Patents

파킨슨병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아이달로피르딘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869A
KR20180133869A KR1020187030934A KR20187030934A KR20180133869A KR 20180133869 A KR20180133869 A KR 20180133869A KR 1020187030934 A KR1020187030934 A KR 1020187030934A KR 20187030934 A KR20187030934 A KR 20187030934A KR 20180133869 A KR20180133869 A KR 20180133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parkinson
treatment
patients
r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545B1 (ko
Inventor
용 잉게 이 엠 데
애런 쿠친스키
마틴 사터
Original Assignee
하. 룬드벡 아크티에셀스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 룬드벡 아크티에셀스카브 filed Critical 하. 룬드벡 아크티에셀스카브
Publication of KR2018013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45Indole-alkylamines; Amides thereof, e.g. serotonin, melaton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7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meprobamate, carbachol, ne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형, 보행 또는 동작이 손상되어 있는 CNS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특히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아이달로피르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킨슨병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아이달로피르딘의 용도
본 발명은 노인 환자, 예를 들어 파킨슨병에 걸린 노인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아이달로피르딘(idalopirdine)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아이달로피르딘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낙상은 노인에게 있어서 주요 사망 원인이며, 파킨슨병(PD)에 걸린 다수의 환자에서 입원 및 장기간 간병의 주요 레보도파(levodopa) 비민감성 원인이다. PD에서 낙상은 전뇌 콜린성 뉴런의 퇴화에 기인하였으며, 이러한 퇴화는 선조체 도파민 손실과 상호작용하여 균형, 보행 및 동작에 대한 인지 제어를 손상시킨다.
상기 질병이 주로 선조체 도파민 손실을 반영하는 운동 증상을 특징으로 하다는 점 이외에도, 낙상 성향을 포함한 두드러진 자율신경, 행동 및 인지 증상에 따르면 파킨슨병(PD)은 보다 광범위한 다계통 신경변성 과정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PD 환자2,3에서 및 또한 건강한 노인4에서의 낙상은 종종 장애를 초래하는 사건(disabling event)이다5,6. 운동 기반 프로그램7~9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에 의한 처리10,11는 둘 다 노인 및 PD 환자에서 낙상률(fall rate)을 감소시키지만, 낙상 경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구가 여전히 충족되지 않는다.
환자에서의 낙상이 다수의 위험 인자12~14와 연관이 있을지라도, 동작의 주의 통제(attentional supervision)에서의 손상이 주요 기여 인자(contributing factor)이며, 이는 익숙하지 않은 표면 및 장애물 또는 부차적인 과제가 보행, 균형, 및 동작 제어15~22를 어렵게 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보행, 균형 및 동작 실수는 정상적으로는 보상적 주의 제어(compensatory attentional control)를 유발한다. 그러나 또한 질병의 진행이 뇌의 주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동작을 구제하고 낙상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이 같은 주의 자원(attentional resource)의 보상적 배치를 점점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견해와 일치하게도, 종뇌 및 시상 영역(뇌의 주요 주의 시스템23,24)에 대한 기저 전뇌(BF) 콜린성 투영의 퇴화 및 시상 및 기저핵에 대한 콜린성 뇌간 투영의 퇴화는 둘 다 PD 환자에서 느린 보행 속도, 보행 동결 및 낙상과 상관관계가 있다25~29.
또한 루이소체 치매(LBD), 파라핵상 마비(PSP) 및 다계통 위축증(multi systems atrophy; MSA)과 같은 기타 CNS 질환에서 균형, 보행 및 동작은 콜린성 뉴런의 퇴화로 인해 손상된다30.
상기로부터 자명한 것은, 파킨슨병뿐만 아니라 콜린성 뉴런의 퇴화가 균형, 보행 및 동작의 손상을 초래하는 기타 CNS 질환에 걸린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치료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충족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아이달로피르딘"이란 INN 명칭을 갖는 N-(2-(6-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3-(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폭시) 벤질아민(하기에 도시됨)은 WO 02/078693에 최초로 개시되었으며, 이는 강력하고 선택적인 5-HT6 수용체 길항제로서 조현증(schizophrenia)과 연관된 인지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임상적 개발 단계에 있으며, AD에 대한 치료로서 임상적 개발 단계에 있다.
Figure pct00001
2012년에는 알츠하이머병(AD)의 치료에 사용되는 아이달로피르딘에 대한 임상 연구가 보고되었다. 데이터에 따르면 AD 인지 평가 척도(AD Assessment Scale-cognitive sub-scale; ADAS-cog))에 의해 측정할 때 10 ㎎/일의 도네페질(donepezil)과 아이달로피르딘의 조합은 도네페질과 플라시보(placebo)의 조합과 비교하여 AD에 걸린 278명의 환자에서 인지 기능을 유의하게 향상시킨 것으로 증명되었다. 아이달로피르딘은 도네페질 처리 환자와 비교하여 전반적인 인상 척도 및 일상 생활 활동 척도를 포함한 2차 종료점(secondary endpoint)에서 긍정적 결과를 나타냈다. 후속적인 단계 III 연구에서는 상기 결과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본 특허 출원에 포함된 결과는 전자 출판(doi: 10.111/ejn.13354; 2016년 7월 29일자로 공개됨)31에 일부 개시되어 있다. 나아가, 낙상, 보행 및 동작 멈춤에 미치는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시건 복합 운동 제어 과제(MCMCT)는 쿠신스키(Kucinski) 등에 의한 논문3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킴으로써 파킨슨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IDL)과 같은 5-HT6 수용체 길항제 및 도네페질(DON),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Riva) 또는 갈란타민(galantamine; GAL)과 같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AChEI)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네페질 및 아이달로피르딘의 동시 처리 또는 리바스티그민 및 아이달로피르딘의 동시 처리는 이중 선조체 도파민성/피질 콜린성 시스템 병변(DL) 래트(rat)에서 낙상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 결과에 따르면 AChEI 및 5-HT6 수용체 길항제에 의한 동시 처리는 PD 환자, 특히 산만 인자(distractor)에 의해 유발되거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비교적 짧은 동작 멈춤의 경향을 또한 나타내는 PD 환자에서 낙상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된다.
도 1
로드 횡단(rod traversal) 도중의 낙상(N = 70, 그룹 당 n = 14 및 성별 당 n = 7). 모든 시험 조건 전반에 걸쳐, DL 래트는 SH/VEH 래트보다 더 빈번하게 낙상하였다. 게다가, DL/VEH 래트와 비교하여 DON + IDL에 의한 처리는 낙상률을 유의하게 낮추었다(A). 개개의 시험 조건(B~E)을 검토한 결과, 익숙하지 않은 시계 방향(cw)으로 회전하는 로드 및 cw 및 반시계 방향(cc)으로 교대로 회전하는 로드의 횡단과 연관된 낙상의 감소가 DL 래트에서의 DON + IDL의 전반적인 효과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도면 및 하기 도면에 따르면 결과 섹션에 개시되어 있는 ANOVA로부터의 유의한 결과에 기반을 두고 있는 사후 다중 비교(post-hoc multiple comparison)의 결과가 나타나 있다(*, **, ***, P < 0.05, 0.01, 0.001; 본 도면 및 하기 도면에서 사용된 약어: SH: 모조 수술; DL: 이중 기저 전뇌 콜린성 및 선조체 도파민성 병변; DON: 도네페질, IDL: 아이달로피르딘, Riva: 리바스티그민).
도 2
도어프레임 산만 인자(doorframe distractor)의 효과(N = 70, 그룹 당 n = 14 및 성별 당 n = 7). DL/DON + IDL 래트를 제외한 모든 DL 래트는 이러한 수동 산만 인자에 노출되는 경우에 SH/VEH 래트보다 더 빈번하게 낙상하였다(A,B). DON + IDL의 효과를 매개하는 잠재적인 행동 기작에 대한 통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DL/VEH 및 DL/DON + IDL 래트의 도어프레임 연관 행동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도어프레임 연관 낙상은 래트가 프레임에 접근하거나 도달함에 따라 동작을 멈추거나 보행을 동결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DL/VEH 및 DL/DON + IDL 래트 둘 다에서 보다 긴 동결은 보다 많은 낙상과 연관되어 있다(C). 실제로, 보다 긴 동결과 연관된 낙상은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D). 그러나 동결이 비교적 짧게 유지되는 경우(2초 미만) DON + IDL 처리 래트는 유의하게 낮은 빈도로 낙상하였다. 단기 동결 자체의 비율은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 E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단기 동결 이후 및 심지어는 래트가 낙상하지 않는 경우에도, DL/VEH 래트는 비교적 느리게 전방 동작을 재개하였으며, 일반적으로 꼬리는 비교적 낮게 위치하였으며,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였다(이러한 래트는 문을 통과한 이후에 미끄러진다는 것을 주목한다). 대조적으로, 종종 깡충 뛰기 시작하면서(본원에 도시된 바와 같음) DL/DON + IDL 래트가 전방 동작을 재개하는 경우, 이들은 신속하게 보통의 횡단 속도 및 유연한 전방 동작을 회복하였으며, 꼬리 위치는 높고 빳빳하며, 직립 자세를 취하였다.
도 3
능동 산만 인자 과제에 대한 수행(N = 70, 그룹 당 n = 14 및 7/성별). 부차적인 과제의 영향을 모델링(modeling)하기 위해, 래트가 회전 로드(rotating rod)를 횡단하는 동안 물을 제공하였다(상부 사진 참조; 평행 1일 SAT 시험으로 인해 래트에 절수하였다). DL 래트는, 물을 회수하려는 보다 적은 횟수의 시도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쟁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낮았다(A). 또한 DL 래트는 낙상의 발생 없이 물을 회수할 가능성이 더 낮았다(B). 어떠한 약물 치료(도네페질(DON) 또는 아이달로피르딘(IDL) 단독 또는 함께)도 이러한 능동 산만 인자의 존재 하에 DL 래트의 수행을 유의하게 개선시키지 못했다.
도 4
2일째 날부터 5일째 날까지 조합된 낙상의 총 횟수. 10일 동안 비히클(vehicle), 1 ㎎/㎏의 리바스티그민, 10 ㎎/㎏의 아이달로피르딘에 의한 처리 또는 처리 조합 이후 이중 병변(DL) 래트 또는 모조 수술한 래트에서 기록된 낙상의 총 횟수(y축)가 도시되어 있다. 바(bar)는 평균 ± 평균의 표준 오차(SEM)를 나타내고, DL + 비히클 대비 *** P < 0.001. N 횟수는 괄호 안에 나타냄.
도 5
교대 로드(alternating rod)로부터의 낙상의 총 횟수(5일째 날). 10일 동안 비히클, 1 ㎎/㎏의 리바스티그민, 10 ㎎/㎏의 아이달로피르딘에 의한 처리 또는 처리 조합 이후 이중 병변(DL) 래트 또는 모조 수술한 래트에서 기록된 낙상의 총 횟수(y축)가 도시되어 있다. 바는 평균 ± SEM을 나타내고, DL + 비히클 대비 *** P < 0.001, ** P < 0.01. N 횟수는 괄호 안에 나타냄.
도 6
반시계 방향 로드(counterclockwise rod)로부터의 낙상의 총 횟수(4일째 날). 10일 동안 비히클, 1 ㎎/㎏의 리바스티그민, 10 ㎎/㎏의 아이달로피르딘에 의한 처리 또는 처리 조합 이후 이중 병변(DL) 래트 또는 모조 수술한 래트에서 기록된 낙상의 총 횟수(y축)가 도시되어 있다. 바는 평균 ± SEM을 나타내고, DL + 비히클 대비 *** P < 0.001. N 횟수는 괄호 안에 나타냄.
도 7
고정 로드(stationary rod)로부터의 낙상의 총 횟수. 10일 동안 비히클, 1 ㎎/㎏의 리바스티그민, 10 ㎎/㎏의 아이달로피르딘에 의한 처리 또는 처리 조합 이후 이중 병변(DL) 래트 또는 모조 수술한 래트에서 기록된 낙상의 총 횟수(y축)가 도시되어 있다. 바는 평균 ± SEM을 나타내고, DL + 비히클 대비 *** P < 0.001. N 횟수는 괄호 안에 나타냄.
정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아이달로피르딘"(종종 IDL로 약칭됨)이란 용어는 유리 염기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같은 임의의 형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유리 염기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무수 형태 및 수화물과 같은 용매화 형태를 포함한다. 무수 형태는 비정질 형태 및 결정 형태를 포함하고, 용매화물은 결정 형태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네페질"(종종 DON로 약칭됨)이란 용어는 유리 염기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같은 임의의 형태의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본 문맥에서 "AChEI"로 약칭됨)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효소가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것을 억제하며, 따라서 신경 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작용 수준 및 기간을 둘 다 증가시키는 화학물질 또는 약물이다. 본 문맥에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의 예로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노인 환자"란 용어는 적어도 60세, 예를 들어 적어도 65세, 예를 들어 적어도 70세, 75세, 80세, 85세 또는 90세인 사람을 지칭한다.
본 문맥에서, 아이달로피르딘이 AChEI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이는 상기 2개의 화합물이 예를 들어 화합물을 둘 다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이달로피르딘이 AChEI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이는 상기 2개의 화합물이 개개의 적합한 약학 조성물로 개별적으로 투여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개개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아침 또는 저녁에 일정한 간격으로 1일 1회 투여되는 것과 같이 동시에 투여될 수 있거나, 이들은, 예를 들어 하나의 화합물이 아침에 일정한 간격으로 1일 1회 투여되고 다른 화합물은 저녁에 일정한 간격으로 1일 1회 투여되는 것과 같이 독립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문맥에서, "약학 조성물"은 투여 형태, 예를 들어 고체 경구 투여 형태와 같은 경구 투여 형태, 전형적으로는 정제 또는 캡슐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특허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에 나타나 있는 모든 약학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 문맥에서, "약학적 부형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사용되는 불활성 고체 희석제 또는 충전제, 멸균 수용액 및 다양한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본 문맥에서, "단위 투여 형태"는 약학 조성물의 제형 단위, 예를 들어 하나의 정제 또는 하나의 캡슐을 지칭한다.
본 문맥에서,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상기 화합물의 투여를 포함한 치유적 중재 시에 소정의 질병 및 이의 합병증의 임상 징후를 치료, 완화 또는 부분적으로 저지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이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양을 "치료적 유효량"으로 정의한다. 각각의 목적을 위한 유효량은 개체의 체중 및 일반적인 상태뿐만 아니라 질병 또는 상처의 중증도에 의존할 것이다. 적절한 투여량의 결정은 값의 행렬을 구성하고 행렬에서 상이한 점을 시험함으로써 통상 실험을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숙련된 의사의 통상적인 지식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콜린성 뉴런에서의 기능 손상"이란 용어는 콜린성 뉴런의 정상 기능이 최대 능력에 비해 떨어진 건강 상태이다.
"콜린성 뉴런의 퇴화"란 용어는 콜린성 뉴런의 진행중인 퇴화가 뇌에서 발생되는 건강 상태이다.
본 문맥에서, "치료" 또는 "치료하기"는 질병의 임상 징후의 진행을 완화, 저지, 부분적으로 저지 또는 지연시키거나, 질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환자의 관리 및 간병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치료" 또는 "치료하기"는 예방적 처치를 지칭한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 또는 "치료하기"는 (치유적) 처치를 지칭한다. 치료되는 환자는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이다.
"DL 래트"는 이중 선조체 도파민성/피질 콜린성 시스템 병변을 경험한 래트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아이달로피르딘 및 도네페질의 조합 또는 아이달로피르딘 및 리바스티그민의 조합이 동물 모델에서 낙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PD에 걸린 환자 및 노인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치료적 처치를 위한 이들 2개의 물질의 조합의 잠재성을 나타낸다. 간단히 말해서, 피질 콜린성 및 선조체 도파민성 손실을 나타낸 래트(DL 래트)에서 도네페질(DON) 및 아이달로피르딘(IDL)의 효과를 시험하였으며, 이때 상기 래트는 회전 로드를 횡단하고 지속 주의 과제(SAT)를 수행하였다. 주요 발견에 따르면 DON + IDL에 의한 처리는 도어프레임 산만 인자에 의해 유발된 낙상뿐만 아니라 회전 로드 상에서의 낙상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DON + IDL은 주로 비교적 짧은 동작 멈춤 이후에 회전 로드의 횡단의 재개 효율 및 활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낙상을 예방하였다. DON + IDL로 처리된 DL 래트는 회전 로드를 횡단하는 동안에 기타 DL 그룹보다 적은 낙상을 나타냈으며, 이들은 비교적 짧은 도어프레임 유발 멈춤과 관련하여 보다 낮은 빈도로 낙상하였다. 나아가, Riva + IDL에 의한 DL 래트의 처리는 또한 비히클만으로 처리된 DL 래트와 비교할 때 DL 래트에서의 낙상 횟수의 감소를 나타냈다.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실험 섹션을 참고한다.
DL 래트에서와 같이, 인간 낙상 환자에서도 산만 인자에 의해 유발되거나 명백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느린 보행 속도 및 동작 멈춤은 전방 동작을 불안정하게 하며, 낙상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자세 및 보행 제어에서의 불안정성뿐만 아니라 멈춤 또는 보행의 동결은 동작 선택 및 계획의 붕괴를 수반하며, 따라서 이 같은 멈춤은 선조체 도파민의 손실만이 아니라 피질-선조체 소통의 붕괴를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낙상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인 환자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킴으로써 파킨슨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 또는 임의의 이들 2개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경구, 점막 경유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아이달로피르딘 및/또는 AChEI는 이 같은 투여를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는 둘 다 약학적 고체 엔터티(entity)의 형태로, 적절하게는 정제 또는 캡슐로서 투여되거나, 주사용 현탁액, 용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로 투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문헌{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2 Edition, Hauber,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에 개시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기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뿐만 아니라 임의의 기타 공지된 보조제 및 부형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제는 활성 성분을 보조제 및/또는 희석제와 같은 보통의 담체와 혼합하고, 후속적으로 타정 기기에서 혼합물을 압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 담체 및 부형제로는 불활성 고체 희석제 또는 충전제, 멸균 수용액 및 다양한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고체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옥수수 전분, 락토오스, 백토(terra alba), 수크로오스, 사이클로덱스트린, 활석, 젤라틴, 한천, 펙틴, 아카시아,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및 셀룰로오스의 저급 알킬 에테르가 있다. 액체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시럽, 땅콩 오일, 올리브 오일, 인지질, 지방산, 지방산 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및 물이 있다.
또한 착색제, 향료 및 보존제와 같은 임의의 기타 보조제 또는 첨가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단 이들은 활성 성분과 상용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유효량의 아이달로피르딘 및/또는 AChEI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이어, 본 발명에서 사용된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된 약학 조성물은 개시된 투여 경로에 적합한 다양한 투여 형태로 용이하게 투여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학적 활성 성분, 즉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는 단일 투여량 또는 다수의 투여량으로, 순수한 화합물로서 단독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경구, 직장, 비강, 폐, 국소(협측 및 설하 경로를 포함함), 경피 및 비경구(피하, 근육 내 및 정맥 내 경로를 포함함) 경로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경로에 의한 투여를 위해 특별히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때 경구 경로가 바람직하다. 투여 경로는 치료될 개체의 일반적인 상태 및 연령, 치료될 병태의 특성 및 선택된 활성 성분에 의존할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및 과립과 같은 고체 경구 투여 형태; 및 용액, 유화액, 현탁액 및 시럽과 같은 액체 경구 투여 형태뿐만 아니라 적절한 액체에 용해되거나 현탁될 분말 및 과립을 포함한다.
고체 경구 투여 형태는 개별 단위(예를 들어, 정제 또는 경질 또는 연질 캡슐)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는 소정 양의 활성 성분 및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적합한 부형제를 함유한다. 적절한 경우, 고체 투여 형태는 장용 코팅과 같은 코팅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이들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지연 또는 연장 방출과 같이 활성 성분의 변형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고체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구강 분산성 정제(orodispersible tablet)와 같이 타액에서 붕해되는 투여 형태일 수 있다. 고체 경구용 제형에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미정질 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 락토오스, 만니톨, 포비돈,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croscarmellose sodium), 수크로오스, 사이클로덱스트린, 활석, 젤라틴, 펙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및 셀룰로오스의 저급 알킬 에테르를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고체 제형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하이프로멜로스(hypromellose)와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지연 또는 연장 방출형 제형을 위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물질이 경구 투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형은,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혼합하고, 후속적으로 통상적인 타정 기기에서 혼합물을 압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거나; 제형은, 예를 들어 경질 캡슐, 예를 들어 분말, 펠릿(pellet) 또는 미니 정제 형태에 넣을 수 있다. 고체 부형제의 양은 매우 다양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투여 단위 당 약 25 ㎎ 내지 약 1 g의 범위일 것이다.
액체 경구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엘릭서(elixir), 시럽, 경구 점적(oral drop) 또는 액체 충전 캡슐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액체 경구 투여 형태는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위한 분말로서 제공될 수 있다. 액체 경구용 제형에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록사머, 소르비톨, 폴리소르베이트,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사이클로덱스트린, 코코넛 오일, 야자 오일 및 물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액체 경구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에 활성 성분을 용해 또는 현탁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거나, 활성 성분을 수중유 또는 유중수 액체 유화액 내로 혼입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착색제, 향미제 및 보존제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형제가 고체 및 액체 경구용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주사 또는 주입용 멸균된 수성 및 비수성 용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주사 또는 주입용 농축물뿐만 아니라, 사용 이전에 주사 또는 주입용 멸균 용액 또는 분산액에서 복원되는 멸균 분말을 포함한다. 비경구용 제형에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물, 코코넛 오일, 야자 오일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성 제형은 필요한 경우 적절히 완충되어야 하며, 충분한 염수 또는 글루코오스로 등장성이 되어야 한다.
기타 유형의 약학 조성물은 좌제, 흡입제, 크림, 겔, 경피 패치, 임플란트 및 협측 또는 설하 투여용 제형을 포함한다.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의 동시 투여가 고려되는 경우,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를 둘 다 함유하는 조성물이 특히 편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는 적합한 조성물의 형태로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의 개별적 단위 형태는 동시에 투여되며, 예를 들어 화합물은 둘 다 아침 또는 저녁에 일정한 간격으로 1일 1회 투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의 개별적 단위 형태는 독립적으로 투여되며, 예를 들어 아이달로피르딘은 아침에 일정한 간격으로 1일 1회 투여되고, AChEI는 저녁에 일정한 간격으로 1일 1회 투여되거나, 그 반대로 투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달로피르딘을 함유하는 개별적 단위 투여 형태 및 AChEI를 함유하는 개별적 단위 투여 형태를 포함하는 키트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동일한 용기 또는 팩(pack), 예를 들어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에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및 키트는 바람직하게는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를 치료적 유효량으로 포함한다. 아이달로피르딘의 1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 예를 들어 10 ㎎ 내지 120 ㎎, 예를 들어 10 ㎎ 내지 100 ㎎, 예를 들어 30 ㎎ 내지 90 ㎎, 예를 들어 30 ㎎ 내지 60 ㎎이다. 도네페질의 1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30 ㎎, 예를 들어 5 ㎎ 내지 23 ㎎, 예를 들어 10 ㎎이다. 리바스티그민의 1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20 ㎎이다. 갈란타민의 1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4 ㎎ 내지 24 ㎎, 예를 들어 8 ㎎ 내지 24 ㎎, 예를 들어 8 ㎎, 12 ㎎, 16 ㎎, 20 ㎎ 또는 24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하기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는 E1으로 나타내고, 제2 실시형태는 E2로 나타내는 등으로 개시되어 있다.
E1. 낙상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인 환자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
E2.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인 환자는 파킨슨병으로 진단받은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
E3. 루이소체 치매(LBD), 파라핵상 마비(PSP), 다계통 위축증(MSA)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CNS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로서, 파킨슨병의 치료는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낙상의 감소,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느린 보행 속도의 개선,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동작 멈춤의 감소,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보행 동결의 감소, 및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보행 제어의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CNS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
E4.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AChEI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
E5.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AChEI가 도네페질인 경우, 도네페질의 투여량은 1 내지 30 ㎎, 예를 들어 5 내지 23 ㎎이고; AChEI가 갈란타민인 경우, 투여량은 4 내지 24 ㎎이고; AChEI가 리바스티그민인 경우, 리바스티그민의 투여량은 1 내지 20 ㎎인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
E6.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이달로피르딘의 1일 투여량은 10 ㎎ 내지 120 ㎎, 예를 들어 10 ㎎ 내지 100 ㎎, 예를 들어 30 ㎎ 내지 90 ㎎, 예를 들어 30 ㎎ 내지 60 ㎎인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
E7.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 및 상기 AChEI가 동시에 투여되는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
E8.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 및 상기 AChEI는 독립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도네페질.
E9. 제1 내지 제8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 및 상기 AChEI는 별개의 단위 투여 형태에 함유되는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도네페질.
E10. 제1 내지 제7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 및 상기 AChEI는 동일한 단위 투여 형태에 함유되는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도네페질.
E11. 낙상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인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를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E12.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인은 파킨슨병으로 진단받은 것인 방법.
E13. 루이소체 치매(LBD), 파라핵상 마비(PSP), 다계통 위축증(MSA)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CNS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파킨슨병의 치료는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낙상의 감소,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느린 보행 속도의 개선,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동작 멈춤의 감소,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보행 동결의 감소, 및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보행 제어의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를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E14. 제11 내지 제13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AChEI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E15. 제11 내지 제14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AChEI가 도네페질인 경우, 도네페질의 치료적 유효량은 1 내지 30 ㎎, 예를 들어 5 내지 23 ㎎이고; AChEI가 갈란타민인 경우, 투여량은 4 내지 24 ㎎이고; AChEI가 리바스티그민인 경우, 상기 리바스티그민의 치료적 유효량은 1 내지 20 ㎎인 것인 방법.
E16. 제11 내지 제15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의 치료적 유효량은 10 ㎎ 내지 120 ㎎, 예를 들어 10 ㎎ 내지 100 ㎎, 예를 들어 30 ㎎ 내지 90 ㎎, 예를 들어 30 ㎎ 내지 60 ㎎인 것인 방법.
E17. 제11 내지 제16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 및 상기 AChEI는 동시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E18. 제11 내지 제16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 및 상기 AChEI는 독립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E19. 제11 내지 제18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 및 상기 AChEI는 개별적 단위 투여 형태에 함유되는 것인 방법.
E20. 제11 내지 제17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 및 상기 AChEI는 동일한 단위 투여 형태에 함유되는 것인 방법.
E21. 낙상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인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의 용도.
E22. 제2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인은 파킨슨병으로 진단받은 것인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의 용도.
E23. 루이소체 치매(LBD), 파라핵상 마비(PSP), 다계통 위축증(MSA)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CNS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의 용도로서, 파킨슨병의 치료는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낙상의 감소,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느린 보행 속도의 개선,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동작 멈춤의 감소,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보행 동결의 감소, 및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보행 제어의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의 용도.
E24. 제21 내지 제23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AChEI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의 용도.
E25. 제21 내지 제24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AChEI가 도네페질인 경우, 상기 약제는 1 내지 30 ㎎, 예를 들어 5 내지 23 ㎎의 도네페질을 포함하고; AChEI가 갈란타민인 경우, 투여량은 4 내지 24 ㎎이고; AChEI가 리바스티그민인 경우, 상기 약제는 1 내지 20 ㎎의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것인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의 용도.
E26. 제21 내지 제25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아이달로피르딘을 10 ㎎ 내지 120 ㎎, 예를 들어 10 ㎎ 내지 100 ㎎, 예를 들어 30 ㎎ 내지 90 ㎎, 예를 들어 30 ㎎ 내지 60 ㎎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의 용도.
E27.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E28. 제27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AChEI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E29. 제27 또는 제28 실시형태에 있어서, 30 ㎎ 내지 60 ㎎의 아이달로피르딘을 포함하며, 이때 AChEI가 도네페질인 경우, 상기 약제는 1 내지 30 ㎎, 예를 들어 5 내지 23 ㎎의 도네페질을 포함하고, AChEI가 갈란타민인 경우, 상기 약제는 4 내지 24 ㎎을 포함하고; AChEI가 리바스티그민인 경우, 상기 조성물은 1 내지 20 ㎎의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E30. 제27 또는 제28 실시형태에 있어서, 30 ㎎ 내지 60 ㎎의 아이달로피르딘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E31. 제27 내지 제30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낙상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인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인 약학 조성물.
E32. 제3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인 환자는 파킨슨병으로 진단받은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E33. 제27 내지 제30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루이소체 치매(LBD), 파라핵상 마비(PSP), 다계통 위축증(MSA) 및 파킨슨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CNS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파킨슨병의 치료는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낙상의 감소,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느린 보행 속도의 개선,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동작 멈춤의 감소,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보행 동결의 감소, 및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보행 제어의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E34. 아이달로피르딘 및 AChEI를 포함하는 키트.
E35. 제34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AChEI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키트.
E36. 제34 또는 제35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 및 상기 AChEI의 동시 투여에 적합한 것인 키트.
E37. 제34 또는 제35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이달로피르딘 및 상기 AChEI의 독립적인 투여에 적합한 것인 키트.
본원에서 인용된 간행물, 특허 출원 및 특허를 포함한 모든 참고문헌은 그 전체가 참고로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의 참고문헌이 개별적이고 구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정도로 포함되어 있고, 본원에서 그 전체가 (법이 허용하는 최대 범위까지)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 이는 본원의 다른 부분에 임의로 개별적으로 포함된 특정 문헌과도 무관하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문맥에서 "하나"란 용어 및 유사한 지시 대상의 사용은 내용상 본원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거나 명백히 부인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화합물"이란 문구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 또는 특정의 개시된 양태의 다양한 "화합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구성요소(들)과 관련하여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 "갖는", 또는 "함유하는"과 같은 용어를 사용한 임의의 양태 또는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한 본원에서의 설명은, 내용상 달리 언급하지 않거나 명백히 부인되지 않는 한, 특정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거나",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특정 구성요소(들)을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유사한 양태 또는 본 발명의 양태를 뒷받침하도록 의도된다(예를 들어, 본원에서 특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된 조성물은, 내용상 달리 언급하지 않거나 명백히 부인되지 않는 한, 이러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또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
본원에 언급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실시형태, 구현예 및 특징부는 독립적으로 청구되거나 임의의 조합으로 청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1. Langston JW. The Parkinson's complex: Parkinsonism is just the tip of the iceberg. Ann Neurol 2006; 59(4): 591~596.
2. Balash Y, Peretz C, Leibovich G, Herman T, Hausdorff JM, Giladi N. Falls in out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frequency, impact and identifying factors. J Neurol 2005; 252(11): 1310~1315.
3. Wood BH. Incidence and prediction of falls in Parkinson's disease: a prospective multidisciplinary study.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2002; 72(6): 721~725.
4. Tinetti ME, Speechley M, Ginter SF.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 Engl J Med 1988; 319(26): 1701~1707.
5. Baker SP, Harvey AH. Fall injuries in the elderly. Clin Geriatr Med 1985; 1(3): 501~512.
6. Dellinger AM, Stevens JA. The injury problem among older adults: mortality, morbidity and costs. J Safety Res 2006; 37(5): 519~522.
7. Cameron ID, Gillespie LD, Robertson MC, et al.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in older people in care facilities and hospital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 12: CD005465.
8. Gillespie LD, Robertson MC, Gillespie WJ, et al.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in o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 9: CD007146.
9. Shen X, Wong-Yu IS, Mak MK. Effects of exercise on falls,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rkinson's disease: A aeta-analysi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5.
10. Chung KA, Lobb BM, Nutt JG, Horak FB. Effects of a central cholinesterase inhibitor on reducing falls in Parkinson disease. Neurology 2010; 75(14): 1263~1269.
11. Henderson EJ, Lord SR, Brodie MA, et al. Rivastigmine for gait stability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ReSPonD):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2 trial. Lancet Neurol 2016 [Epub ahrad of print].
12. van der Marck MA, Klok MP, Okun MS, et al. Consensus-based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the examination and management of fall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arkinsonism Relat Disord 2014; 20(4): 360~369.
13. Montero-Odasso M, Verghese J, Beauchet O, Hausdorff JM. Gait and cognition: a complementary approach to understanding brain function and the risk of falling. J Am Geriatr Soc 2012; 60(11): 2127~2136.
14. Ensrud KE, Blackwell TL, Mangione CM, et al. Central nervous system-active medications and risk for falls in older women. J Am Geriatr Soc 2002; 50(10): 1629~1637.
15. Allcock LM, Rowan EN, Steen IN, Wesnes K, Kenny RA, Burn DJ. Impaired attention predicts falling in Parkinson's disease. Parkinsonism Relat Disord 2009; 15(2): 110~115.
16. LaPointe LL, Stierwalt JAG, Maitland CG. Talking while walking: Cognitive loading and injurious falls in Parkinson's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2010; 12(5): 455~459.
17. Theill N, Martin M, Schumacher V, Bridenbaugh SA, Kressig RW. Simultaneously measuring gait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cognitively healthy and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s: the Basel motor-cognition dual-task paradigm. J Am Geriatr Soc 2011; 59(6): 1012~1018.
18. Brown LA, Shumway-Cook A, Woollacott MH. Attentional demands and postural recovery: the effects of aging.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1999; 54(4): M165~171.
19. Woollacott M, Shumway-Cook A. Attention and the control of posture and gait: a review of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Gait Posture 2002; 16(1): 1~14.
20. Hausdorff JM, Doniger GM, Springer S, Yogev G, Simon ES, Giladi N. A common cognitive profile in elderly fallers and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the prominence of impaired executive function and attention. Exp Aging Res 2006; 32(4): 411~429.
21. Yogev-Seligmann G, Hausdorff JM, Giladi N. The role of executive function and attention in gait. Mov Disord 2008; 23(3): 329~342.
22. Amboni M, Barone P, Hausdorff JM. Cognitive contributions to gait and falls: evidence and implications. Mov Disord 2013; 28(11): 1520~1533.
23. Hasselmo ME, Sarter M. Modes and models of forebrain cholinergic neuromodulation of cognition. Neuropsychopharmacology 2011; 36(1): 52~73.
24. Gritton HJ, Howe WM, Mallory CS, Hetrick VL, Berke JD, Sarter M. Cortical cholinergic signaling controls the detection of cues. Proc Natl Acad Sci USA 2016; 113(8): E1089~1097.
25. Bohnen NI, Frey KA, Studenski S, et al. Gait speed in Parkinson disease correlates with cholinergic degeneration. Neurology 2013; 81(18): 1611~1616.
26. Bohnen NI, Albin RL. Cholinergic denervation occurs early in Parkinson disease. Neurology 2009; 73(4): 256~257.
27. Bohnen NI, Frey KA, Studenski S, et al. Extra-nigral pathological conditions are common in Parkinson's disease with freezing of gait: an in vivo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Mov Disord 2014; 29(9): 1118~1124.
28. Bohnen NI, Muller MLTM, Koeppe RA, et al. History of falls in Parkinson disease is associated with reduced cholinergic activity. Neurology 2009; 73(20): 1670~1676.
29. Yarnall A, Rochester L, Burn DJ. The interplay of cholinergic function, attention, and falls in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2011; 26(14): 2496~2503.
30. Bohnen NI, Albin RL. The Cholinergic System and Parkinson Disease. Behav Brain Res. 2011; 221(2): 564~573.
31. Kucinski A, de Jong I, Sarter M. Reduing falls in Parkinson's disease: Interactions between donepezil and the 5-HT6 receptor antagonist idalopirdine on falls in a rat model of impaired cognitive control of complex movements. doi:10.1111/ejn.13354
32. Kucinski, A. et al. Modelling fall propensity in Parkinson's disease: Deficits in the attentional control of complex movements in rats with cortical-cholinergic and striatal-dopaminergic deafferentation. J Neurosci, 2013; 33, 16522~16539
실시예
실시예 1: 도네페질 및 아이달로피르딘으로 처리된 DL 래트에서 낙상의 감소
재료 및 방법
개체
3개월 내지 6개월령의 성숙한 수컷 및 암컷 스프라그 다울리(Sprague Dawley) 래트(할란(Harlan); N = 70; 35마리의 수컷 및 35마리의 암컷)을 온도 및 습도 제어 환경(23℃, 45%)에서 불투명한 단일 표준 케이지(27.70 ㎝ x 20.30 ㎝)에서 개별적으로 사육하였다. 실험 내내 수컷 래트의 체중은 암컷보다 무거웠지만(F(1,69) = 460.29, P < 0.001; 수컷: 359.86 ± 4.27 g, 암컷: 249.24 ± 2.48 g), 체중은 실험 그룹별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그룹 및 성별 x 그룹별 주요 효과: 둘 다 F < 0.29, 둘 다 P > 0.88). 동물을 12:12시간 명/암 스케줄(8:00 AM에 점등) 하에 유지하였다. 먹이(로덴트 차우(Rodent Chow); 할란 테클라드(Harlan Teklad))는 임의로 이용 가능하였다. 수술 전 및 수술 후 행동 시험 이전 주에 물에 대한 접근은 7일의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제한하였다(하루에 12시간, 8시간, 5시간, 3시간, 1시간, 0.5시간, 0.25시간 물에 대한 접근). 시험 도중에 물은 SAT 수행 도중에 정확한 반응에 대한 보상으로서 제공되었으며, MCMCT 시에 평형대 횡단 이후에 제공되었다(하기 참조). 또한 매일 SAT 수행 이후에 15분 동안 임의로 래트에 물을 제공하였다.
실험 일정
SAT 시에 초기에 동물을 훈련시켰다(약 2개월 동안 매일 훈련; 약 9:00~11:00 AM). 최종 훈련 단계에 도달하면, 동물은 14일 연속하여 이러한 단계에서 유지하였다. 최종 6일간의 훈련 도중에 래트는 또한 오후에 MCMCT에 대해 훈련하였다(약 2:00~4:00 PM). 이전 실험에 따르면 래트가 동일한 날에 과제 둘 다에 대해 훈련한 경우에 각각의 과제에 대한 수행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본 발명자가 이전에 래트의 1일 주기 리듬(circadian rhythm)이 1일 SAT 실습에 동조하여 강력한 주행성 표현형을 생성한다는 것을 증명하였기 때문에 모든 행동 시험은 주간에 동물의 활성기 도중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수술 전 훈련 이후, 동물은 입체 병변 수술을 받은 후, 4주간 회복하였다. 최종 회복 주간 동안에 동물에게 물을 점진적으로 제한하였다. 이어 SAT 및 MCMCT 기간에 12일 연속하여 약물 효과를 평가하였다(다수의 MCMCT 시험 조건에 대해 표 1을 참고한다):
MCMCT 시험 순서
수술 전 순서
시험 유형 회전(10 rpm) 산만 인자 시험 횟수
1 판자 6
2 판자 6
3 판자 6
4 로드 6
5 로드 6
6 로드 cc 6
수술 후 순서
1 판자 6
2 로드 고정 6
3 로드 cc 6
4 로드 cw 6
5 로드 cc-cw-cc-cw-cc-cw 6
6 로드 cc-cw-cc-cw-cc-cw 도어프레임 산만 인자 6(도어프레임 존재 시 3회)
7 로드 cc-cw-cc-cw-cc-cw 도어프레임 산만 인자 6(도어프레임 존재 시 3회)
8 로드 cc-cw-cc-cw 능동 산만 인자 8(4: 쉐이핑(shaping); 4: 검정 시험)
9 로드 cc-cw-cc-cw 능동 산만 인자 8 (4: 쉐이핑; 4: 검정 시험)
10 로드 cc-cw-cc-cw-cc-cw-cc-cw-cc-cw 능동 산만 인자 10
11 로드 cc-cw-cc-cw-cc-cw-cc-cw-cc-cw 도어프레임 산만 인자 10(도어프레임 존재 시 6회)
12 로드 cc-cw-cc-cw-cc-cw-cc-cw-cc-cw 능동 산만 인자 10
cc: 반시계 방향, cw: 시계 방향
약물 또는 비히클 주사액은 SAT 수행 30분 전에 투여하였으며(약 9:30에 주사, SAT 시험: 10:00~10:45 a.m.), MCMCT 시험 이전에 오후에 투여하였다(약 3:30~6:00 p.m.). MCMCT 실행을 위해, 시험이 각각의 동물을 위한 주사 30분 이후에 정확히 시작하도록 래트에 각각 주사하였다.
병변
70마리의 래트 중 56마리(28마리는 암컷이고 28마리는 수컷임)는 이중 선조체 도파민성/피질 콜린성 시스템 병변(DL)을 갖게 되었으며, 수술 이후에 4개의 처리 조건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였다(n = 14/그룹, 7/성별). 14마리의 래트(7/성별)는 모의 병변을 갖게 되었다. 6-OHDA를 배후 선조체(dorsal striatum)에 있는 도파민 신경 말단에 양방으로 전달하였다(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주입 당 6.0 ㎍/2 ㎕, 볼루스(bolus); 0.1% 아스코르브산과 함께 0.9% NaCl에 용해됨; 반구체 당 2개의 주사 부위: AP +1.2 및 +0.2 ㎜; 브레그마(bregma) 대비 ML ± 2.5 및 ± 3.0 ㎜; 두개골로부터 DV -4.8 및 -5.0 ㎜).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의 보호를 위해 수술 30분 전에 6-OHDA 수액을 맞은 래트에 염산데시프라민(10 ㎎/㎏; 복강 내 투여; 시그마-알드리치)을 투여하였다4. 양방으로 주입된 aCSF 중의 면역 독소인 192 IgG-사포린(192 IgG-saporin; 어드밴스드 타겟팅 시스템즈(Advanced Targeting Systems))(120 ng/㎕; 0.5 ㎕/반구체; AP -0.8; ML ± 2.9; DV -7.8)에 의해 핵 기저부 및 무명질에 위치한 기저 전뇌 콜린성 뉴런을 표적화하였다. 모의 래트는 신경 독소 없이 0.1% 아스코르브산(선조체) 및 aCSF(기저 전뇌)와 함께 동일한 부피의 0.9% NaCl을 투여 받았다.
미시건 복합 운동 제어 과제(MCMCT)
MCMCT를 이용하여 낙상 경향을 포함한 복합 동작 수행 척도를 평가하였다(세부사항 및 예시를 위해 문헌{Kucinski, A. et al (2013) Modelling fall propensity in Parkinson's disease: Deficits in the attentional control of complex movements in rats with cortical-cholinergic and striatal-dopaminergic deafferentation. J Neurosci, 33, 16522~16539}을 참고한다). 이러한 평형대 횡단 장치는 좁은 직사각형 로드 표면(2.54 ㎠)을 횡단하는 동안에 래트가 주의 요구 동작을 수행하고 스텝핑 실수(stepping error)를 교정하는 능력을 택싱(taxing)하도록 설계되었다. 평형대(길이: 2.0 m)의 말단은 평형대 요소의 일 말단에 결합된 기어 모터(10 RPM)에 의해 로드가 회전하도록 하는 소켓에 고정되어 있다. 특히 로드가 회전하고 있을 때 로드의 횡단은 확실히 선조체 도파민성 및 피질 콜린성 입력의 이중 병변을 갖는 래트에서 낙상 및 기타 동작 장애를 야기하였다. 또한 편평한 판자 표면(너비: 13.3 ㎝)은 기본적인 모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장치에 대한 습관화를 위해 사용되었다. 평형대의 마주보는 말단에 위치한 2개의 동일한 플랫폼(면적: 23.0 x 31.5 ㎝)은 개폐식 벽(retractable wall; 높이: 27.0 ㎝)에 의해 둘러싸여 엔드-박스 구조(end-box structure)를 형성하였다. 벽은 플랫폼 아래에 있는 지지 구조 내의 수직 슬롯(vertical slot)에서 활주하는 마찰 클램프(friction clamp)에 의해 수동으로 상승 및 하강하거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었다. 평형대와 마주보는 벽은 래트가 엔드 박스에 들어가고 나올 수 있도록 개구부(너비: 9.0 ㎝)를 갖는다. 구리 급수기(직경: 2.7 ㎝ 및 깊이: 3 ㎝)는 엔드 박스의 바닥에 함입되어 있고, 각각의 횡단 이후에 래트에 약 150 ㎕의 물을 제공하였다. 이들의 보상은 자기 주도적 횡단을 위한 보상으로서 의도되었으며, 따라서 시험 도중에 실험자의 처리가 제한되었다.
시험 회기 초반에 래트를 엔드 박스로부터 약 10 ㎝ 떨어진 로드 또는 판자 위에 놓고, 박스에 들어가거나 보상으로서 물을 마시게 하였다. 첫 번째 시험 및 후속적인 시험에서 일단 박스에 들어가면, 래트는 물을 마시고 탐사하도록 약 45초가 주어졌다. 래트는 언제라도 엔드 박스에서 나와 평형대의 맞은편까지 횡단할 수 있었다. 45초 후 래트가 횡단을 착수하지 않으면, 횡단을 시작하기 위한 신호로서 벽을 내렸다. 벽이 내려오면 대부분의 래트는 스스로 횡단을 착수하였지만, 그렇지 않으면 실험자가 래트를 판자 또는 로드까지 옮겼다. 낙상이 발생하는 경우, 동물은 평형대 요소의 20 ㎝ 아래에 위치한 배드민턴 네트(일반적임)의 안전망(0.7 x 0.2 m) 부분에 떨어졌다. 네트 프레임은 또한 다양한 카메라, 거울 및 산만 인자 요소를 위한 지지부로서 작용하였다.
낙상, 미끄러짐 및 횡단 시간은 문헌{Kucinski, A. et al (2013) Modelling fall propensity in Parkinson's disease: Deficits in the attentional control of complex movements in rats with cortical-cholinergic and striatal-dopaminergic deafferentation. J Neurosci, 33, 16522~16539}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평가하였다. 하기 사례에서 낙상에 대해 점수를 매겼다: 미끄러짐/헛디딤으로 인해 래트가 전방 동작을 멈추고 직립 보행 자세를 잃게 되어 동물의 하단부가 로드의 표면에 부딪히는 경우, 래트가 완전히 떨어져서 로드 아래의 그물망에 부딪히거나 발로 로드에 매달려 있는 경우, 로드가 회전할 때(그 결과로 래트와 함께 뒤집혀 회전하는 경우) 래트가 전방 동작을 멈추고 로드에 달라붙어 있는 경우, 또는 래트가 전방 동작을 멈춘 후, 전방 동작을 재개하려고 시도하지만 실패하면서 2초 초과의 시간 동안 로드 상에 직립으로 앉아 있는 경우. 래트의 발이 로드의 표면과 접촉하지 못하고 로드의 하부 수평 경계 아래로 뻗는 경우에 미끄러짐에 대해 점수를 매겼다. 횡단 시간은 평형대의 전체 거리를 횡단하는 잠재 시간으로서 정의되었다. 낙상이 발생한 시험 동안에 미끄러짐 및 횡단 시간은 뒷다리가 낙상 도중에 로드와 접촉하지 못한 거리에 대한 전체 횡단 거리의 비를 곱함으로써 비례 분해하였다.
횡단 도중에 2개의 산만 인자가 제공되었다. 먼저, 포말 코어(foam core)로 만들어진 20 ㎝ x 10 ㎝ 크기의 도어프레임형 절단면을 갖는 46.0 x 39.4 ㎝ 크기의 표면으로 이루어진 수동 도어프레임 산만 인자를 MCMCT 시험 순서에 혼입하였다. 양 측에서 로드 표면으로부터 3.5 ㎝ 떨어진 측면 세로기둥 및 편평한 로드 표면 상으로 11 ㎝ 떨어진 도어프레임 절단면의 상부 경계가 구비된 평형대(100 ㎝ 크기의 마크)를 따라 중간 지점에 산만 인자를 위치시켰다. 이전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산만 인자가 보행의 동결 및 낙상과 같은 동작 중단을 야기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PD 환자에서 이 같은 산만 인자의 효과를 모델링하였다. 두 번째로, 횡단 도중에 플랫폼(직경: 4.9 ㎝) 상에서 물 보상(3방울의 물; 약150 ㎕)이 제공되는 능동 산만 인자 과제를 이용하여 동물을 시험하였다. 또한 100 ㎝ 크기의 마크에 플랫폼을 놓았으며, 로드와 플랫폼은 2~3 ㎝ 분리되었다.
먼저, 4회의 쉐이핑 시험(shaping trial)에서 래트가 상기 과제에 적응하도록 하였다(시험 8일 및 9일째 날). 이들 시험에서, 플랫폼에 인접한 고정(비회전) 로드(대략 평형대의 중간 지점) 상에 래트를 직접 놓고, 플랫폼으로부터 물을 마시도록 하였다. 쉐이핑 시험 이후, 래트는 4회의 검정 시험을 받았으며, 이러한 시험에서 래트는 회전 로드의 무지원 횡단(교대 방향)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물 보상이 제공되었다. 2일의 기타 시험일(10일째 및 12일째 날)에 래트는 매일 10회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낙상 이외에도, 1초 이상 동안 플랫폼으로부터 물 핥기/마시기로 정의된, 물 보상 획득 횟수를 계수하였다. 핸드 클램프(hand clamp)에 의해 장치의 외측의 외부 지지 프레임에 고정된 회전 베이스(rotatable base)가 구비된 4대의 불렛 카메라의 시스템(KT&C; 1/3" 소니(SONY) 수퍼 HAD CCD가 구비된 모델인 KPCS190SH 흑백 불렛 카메라)을 이용하여 모든 시험을 기록하였다. 래트의 병변 상태 및 치료 요법에 대해 알지 못하는 실험자에 의해 비디오 재생을 통해 수행 척도를 분석하였다.
지속 주의 과제(SAT)
장치
개개의 감음 큐비클(sound-attenuating cubicle)에 내장된 12개의 작동 챔버(메드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MED Associates Inc.)를 이용하여 훈련 및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챔버에는 2개의 개폐성 레버, 중심 패널 백색 조명(2.8 W) 및 패널 조명과 동일한 벽에 위치한 물 디스펜서가 구비되어 있다. 물 디스펜서는 1회 전달에 대해 45 ㎕의 물을 투여할 수 있다. 신호 제시, 레버 작동, 강화 전달 및 데이터 수집은 윈도우즈 소프트웨어(Windows software; 버전 4.1.3; 메드 어소시에이츠)용 펜디엄 PC 및 Med-PC에 의해 제어되었다.
획득
초기에 물 강화를 위한 변형된 고정 비율-1(FR1) 스케줄에 따라 물 보상을 위한 레버를 누르도록 물 결핍 래트를 훈련시켰다. 이러한 훈련 단계 도중에 임의의 레버의 누름은 물의 전달을 초래하였다. 전형적으로, 동물은 레버가 눌리는 것에 대해 측면 편향(side bias)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하나의 레버를 5회 연속하여 눌렀을 때 동물이 다음 보상이 수득될 수 있기 전에 반대편 레버를 누르게 하도록 FR1 스케줄을 변형하였다. 매일 120회의 강화 레버를 누른 연속 3일 후, 래트는 신호 이벤트(중앙 패널 조명의 1초 조사)와 비신호 이벤트(조사 없음) 사이를 구별하도록 훈련하기 시작하였다. 신호 또는 비신호 이벤트가 있은 지 2초(sec) 후, 레버를 둘 다 작동 챔버 내로 연장시키고, 4초 동안 또는 레버가 눌릴 때까지 연장된 상태로 유지하였다. 4초 이후에 누름이 발생하지 않으면, 레버를 개폐하고, 누락에 대해 점수를 매겼다. (정확하거나 잘못된) 반응 직후, 레버를 둘 다 개폐하고, 가변 시험간 간격(ITI; 12 ± 3 s)을 재설정하였다. 신호 시험의 경우, 좌측 레버의 누름은 강화되었으며, "성공(hit)"으로 지칭한 반면, 우측 레버의 누름은 강화되지 않았으며, "실패"로 지칭하였다. 비신호 시험의 경우, 우측 레버의 누름은 강화되었으며, "정기각(correct rejection)"으로 지칭한 반면, 좌측 레버의 누름은 강화되지 않았으며, "오경보(false alarm)"으로 지칭하였다.
동물은 정확한 반응에 대해서만 물 보상(각각의 성공 정기각에 대해 45 ㎕)을 받은 반면, 잘못된 반응(실패 및 오경보)에 대한 보상은 없었다. 선택 편향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동물 중 절반은 반대 패턴으로 훈련시켰다. 신호 및 비신호 이벤트는 회기 당 각 81회의 시험(총 162회)에 대해 의사 무작위 순서로 제공되었다. 이러한 훈련 단계 도중에 잘못된 반응을 한 이후에는 이전 시험을 반복하는 교정 시험을 수행하였다. 교정 시험에서 3회 연속 잘못된 반응을 한 후, 동물은 90초 동안 또는 동물이 반응을 할 때까지 레버가 연장되어 있는 강제 시험을 받았다. 강제 선택 시험이 신호 시험인 경우, 신호 조명은 레버가 연장되어 있는 한 조사된 상태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훈련 단계 동안에 가정용 조명은 조사되지 않았다. 동물은 연속 3일 동안 신호 및 비신호 시험의 70% 이상에 대해 정확하게 반응한 경우에 이들은 후속적인 쉐이핑 단계로 진행되었다.
제3 쉐이핑 단계 동안에 다수의 신호 지속기간(500밀리초, 50밀리초 및 25밀리초)이 도입되었으며, ITI는 9 ± 3초까지 감소되었다. 교정 및 강제 선택 시험은 또한 제거되었다. 각 시험에 대해 시험 유형 및 신호 지속기간은 의사 무작위로 결정되었다. 회기 길이는 40분으로 설정되었다. 500밀리초 신호에 대해 적어도 70%의 성공, 70%의 정기각 및 30% 이하의 누락으로 정의된 적어도 3일간의 안정된 수행 후, 동물은 최신 버전의 과제에서 훈련을 시작하였다. 최신 버전은 회기 전반에 걸쳐 가정용 조명이 조사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전 훈련 단계와 동일하였다. 조사된 가정용 조명의 부가는 과제 수행 도중에 동물이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중심 패널 조명에 집중하도록 함에 따라 지속 주의를 시험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를 나타낸다. 병변 수술 이전에 최종 훈련 단계에 도달했을 때, 동물은 연속 14일 동안 이러한 단계에서 유지되었으며, 각 동물에 대한 수술 전 점수를 결정하기 위해 최종 수행 5일간의 점수에 대해 평균을 냈다. 약물 효과에 대한 수술 후 시험 동안에 연속 12일 동안 최종 단계에서만 래트를 시험하였으며, 최종 분석을 위해 최종 5일간의 점수에 대해 다시 평균을 냈다.
SAT 수행에 대한 척도
각각의 SAT 회기 도중에 하기 행동 척도를 기록하였다: 성공, 실패, 오경보, 정기각 및 누락. 실패 및 오경보는 각각 성공 및 정기각의 정반대이다. 정기각의 상대 횟수(정기각/정기각 + 오경보)뿐만 아니라 각각의 신호 길이에 대한 성공의 상대 횟수(성공/성공 + 실패)를 계산하였다. 게다가, 성공(h)의 상대 횟수 및 오경보(f)의 상대 횟수가 결합된 주의 태도에 대한 전반적인 척도인 SAT 점수는 또한 각각의 신호 지속기간에 결정되었다. SAT 점수는 하기 식: (h-f)/[2(h+f)-(h+f)2]에 따라 계산하였다. 따라서 SAT 점수는 누락 실수와 혼동되지 않는다. SAT 점수는 1.0 내지 -1.0 범위이며, 여기서 1.0은 모든 반응이 성공 및 정기각임을 나타내고, 0은 신호와 비신호 이벤트 사이의 구별 불능을 나타내며, -1.0은 모든 반응이 실패 및 오경보임을 나타낸다. 누락 실수는 개별적으로 기록하였다.
병변의 조직학 및 평가
수술 후 약물 시험이 완료된 후, 래트를 깊이 마취시키고, 2분 동안 0.1 M 인산 완충 용액(PBS)으로 50 ㎖/분의 속도로 경심 주입한 후, 9분 동안 0.4 M 인산나트륨 용액 중의 4%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15% 피크르산(picric acid; pH 7.4)으로 주입하였다. 신속하게 뇌를 제거하고, 4℃에서 2~6시간 동안 고정한 후, 0.1 M PBS로 세정하고, 30% 수크로오스 용액에 저장하였으며, 침전하도록 방치하였다. 동결 마이크로톰(freezing microtome; CM 2000R; 라이카(Leica))을 사용하여 관상 절편(두께: 40 ㎛)을 얇게 썰고, 부동액에 저장하였다.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제(TH) 및 ChAT 면역 염색을 실시하였다.
TH-면역 염색된 절편은 라이카 DM400B 디지털 현미경을 사용하여 4배 배율로 이미징하였다.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SPOT 5.1 소프트웨어(Spot 이미징 용액)를 사용하였다. 양측성 병변 크기 및 정도를 나타내는 단일 점수를 생성하기 위해 2개의 절편(AP +1.2 ㎜ 및 +0.2 ㎜)을 사용하였다. 내측 경계와 측면 경계 사이에 집중된 배후 선조체에 대해 6-OHDA 수액을 표적화하였다. 배후 선조체에서 관찰된 TH 손실 면적의 크기에 기초하여 병변 크기의 등급을 매겼으며, 여기서 10점은 TH 손실을 나타내는 100%의 배후 선조체에 상응하고, 5점은 50%에 상응하고, 1점은 10%에 상응하였다. 병변 크기 면적 내의 TH 제거 정도(TH 손실 정도)는 또한 1점 내지 10점의 점수에 기초하여 결정되었으며, 여기서 10등급은 변병 공간 내에 TH의 완전 고갈에 상응하고, 보다 낮은 값은 TH 잔류 비율에 상응한다(예를 들어, 5등급은 50% TH 손실이고, 2등급은 20% TH 손실임). 절편 및 반구체 둘 다로부터 변병 크기 및 정도에 대한 점수의 평균을 내서 각 래트에 대한 단일 병변 점수를 얻었다.
이전에서와 같이 콜린성 세포 손실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콜린성 뉴런 개수의 반정량적 추정치를 생성하였다. 라이카 DM400B 디지털 현미경을 사용하여 5배 배율로 2개의 반구체의 ChAT-염색된 기저 전뇌에 대해 사진을 찍었다. 680 ㎛ x 680 ㎛의 영역 내의 마이네르트(Meynert)의 핵 기저부(nbM) 및 무명질(substantia innominata; SI)의 영역으로부터 세포수를 추정하였으며, 1000 ㎛ x 1300 ㎛의 영역 내의 대각섬유줄/시각교차앞구역(preoptic area)의 수평 핵(horizontal nucleus)으로부터 세포수를 추정하였다. ACh 세포의 개수를 정량화화기 위해 "계수" 함수 포토샵 CS6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이중 계수를 방지하고 제2 계수기에 의한 검토를 허용하도록 이미 계수된 뉴런 각각을 표시한다. 2개의 반구체로부터의 이들 반정량적 추정치의 평균을 내서 래트 당 단일 추정치를 얻었다. 병변의 정도와 수행 척도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고 DL 병변 그룹들 사이의 유사한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래트에 대해 2개의 시스템 병변의 중증도를 반영하는 단일 복합 스코어를 생성하였다. 이를 위해, 반구체 당 2개의 기저 전뇌 영역의 콜린성 세포 손실을 5 내지 1등급으로 나타냈다(5: 대조군 대비 90% 초과; 4: 80% 초과; 3: 70% 초과; 2: 60% 초과; 1: 30~50% 초과의 세포 손실). 2로 곱한 이러한 점수는 DL 래트 당 단일 복합 점수(10등급 기준)를 생성하기 위해 상술한 TH 병변 점수로 평균을 냈다.
약물 투여 및 투여량
도네페질 및 아이달로피르딘을 5% 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비히클 용액에 용해하였다. 래트를 하기 약물 투여 그룹(그룹 당 14 마리, 성별당 7마리)로 분류하였다: 모의 병변 투여 비히클(SH/VEH), DL/비히클(DL/VEH), DL/도네페질(DL/DON), DL/아이달로피르딘(DL/IDL) 및 도네페질 플러스 DL/아이달로피르딘(DL/DON + IDL). 투여 전날 밤에 용액을 제조하고, 6일 마다 교체하였다. DON 및 IDL을 복합 치료를 위한 동일한 용액에 용해하였다. 래트를 4개의 교대 주사 부위(좌측 목, 우측 옆구리, 우측 목 및 좌측 옆구리; 순서를 반복함)에 피하 주사하였다(2.0 ㎖/㎏). 아침에는 SAT를 수행하기 30분 전 및 오후에는 MCMCT를 수행하기 30분 전에 래트에 주사하였다.
약물 투여량은, 4마리의 DL 래트 각각에서 DON을 0.1, 0.3, 및 1.0 ㎎/㎏로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IDL(5.0 ㎎/㎏)과 함께 투여할 때의 DON의 효과를 평가하는 예비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DL 래트에 대한 MCMCT 수행은 DON의 중간 투여량을 포함한 처리 조합으로부터 가장 명확하게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통계 분석
이용 가능한 경우, 주로 1원 또는 2원 분산 분석(one or two-way ANOVA)뿐만 아니라 피실험자 내 반복 척도 분산 분석(within-subjects repeated-measures ANOVA)을 이용하여 5개의 그룹 사이에서 SAT 및 MCMCT 수행 척도를 비교하였다. 모든 분석에서의 인자는 성별이었다. SAT 점수 및 성공에 대한 분석에는 피실험자 내 인자인 신호 지속기간(500밀리초, 50밀리초 및 25밀리초)이 또한 포함되었다. 로드 상에서의 MCMCT 실행(시험 2일~5일째 날)에 있어서, 피실험자 내 인자로서의 조건(고정, 반시계 방향(cc) 또는 시계 방향(cw) 회전 또는 양방향 회전)을 이용하여 횡단 시간, 미끄러짐 및 낙상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조건(또는 일자)에 있어서, 이 같은 날에 각각의 래트의 6회 실행에 대해 수행 척도의 평균을 냈으며, 이들 평균값은 통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도어프레임 시험일(6일, 7일 및 11일째 날)에 그룹간 및 성별간 도어프레임 산만 인자에 의해 유발된 낙상을 비교하였다. 2원 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능동 산만 인자 조건 도중에 수득된 낙상 및 보상을 비교하였다. DL/VEH 래트와 DL/DON + IDL 래트 사이의 도어프레임 유발 동결 행동 및 기타 수행 척도의 비교는 2원 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약물 그룹간 및 성별간 TH/ChAT 복합 병변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2원 분산 분석을 이용하였다. 유의한 주요 효과 이후, 최소 유의차(LSD) 검정을 이용하여 사후 다중 비교를 수행하였다. 그룹 및 기타 인자별 효과 사이의 유의한 상호작용을 검토한 후, 그룹별 효과에 대해 1원 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검토하고, LSD 다중 비교 검정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통계 분석은 윈도우용 SPSS(버전 17.0: SPSS)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구형성 가정(sphericity assumption)이 위반된 경우, 무교정 자유도와 함께 현-펠트-교정 F 값(Huynh-Feldt-corrected F-value)이 주어진다. 알파는 0.05로 설정되었다. 정확한 P 값은 이전에 추천된 바와 같이 보고된다. 변화량은 평균의 표준 오차(SEM)으로 보고되고 예시되어 있다. 선택된 효과에 대한 효과 크기는 코헨의 d를 이용하여 보고된다.
결과
수술 전 SAT 및 MCMCT 수행
수술 전, 래트는 안정된 기준 수행에 도달하고 MCMCT에 익숙하게 될 때까지 SAT 훈련을 받았다.
DL 래트에서의 DON + IDL 감소 낙상률
수술 후 MCMCT 훈련(표 1) 첫째 날, 래트는 판자 표면을 횡단하였다. 이러한 표면은 미끄러짐 또는 낙상을 거의 야기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횡단 시간만을 평가하였다. 횡단 시간은 그룹간 및 성별간 차이가 없었다(주요 효과 및 상호작용: 모든 F < 1.46, 모든 P > 0.23; 횡단 당 4.02 ± 0.16초).
2일, 3일, 4일 및 5일째 날, 래트는 로드 표면으로 횡단을 수행하였으며, 횡단 시간뿐만 아니라 미끄러짐 및 낙상에 대해 평가하였다(매일 6회 횡단, 총 24 회 실행). 2일째 날, 로드를 고정한 채로 유지한 후(비회전), 3일째 날에 익숙한 반시계 방향(cc)으로 로드를 회전시켰다(10 RPM). 4일째 날, 로드의 방향을 익숙하지 않은 시계 방향(cw)으로 바꾸고, 5일째 날에 회전 방향을 연속 시험 중간에 교대로 변경하였다(cc-cw-cc-cw-cc-cw). 피실험자 내 인자로서 그룹, 성별 및 시험 조건(고정 로드, cc, cw, 교대)별 효과에 대해 수행 척도를 분석하였다.
낙상
회전 로드를 횡단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모든 동물에서 낙상의 횟수가 증가하였다(시험 조건별 주요 효과: F(3,180) = 6.48, P < 0.001; 고정 로드로부터의 낙상: 21.67 ± 1.90%, 반시계 방향(cc)으로 회전: 32.62 ± 1.90%, 시계 방향(cw)으로 회전: 30.00 ± 2.34%, 교대 회전: 30.00 ± 2.00%; 기타 모든 조건에 비해 고정 로드 상에서의 적은 낙상; 모든 P < 0.001). 이들 시험 전반에 걸쳐, 낙상 빈도에 미치는 그룹별 주요 효과(F(4,60) = 2.62, P = 0.04)는 DL/VEH 래트에서의 낙상의 빈도와 비교하여 SH/VEH 및 DL/DON + IDL 래트가 유의하게 낮은 빈도로 낙상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코헨의 d = 0.96; 다중 비교를 위해 도 1A를 참고한다). 게다가, SH-VEH 래트에서 확인된 바와 통계적으로 유사한 낙상 빈도를 갖는 DL/DON + IDL 래트와는 대조적으로, IDL만으로 처리된 래트는 미처리 DL 래트(DL/VEH)와 동일한 빈도로 낙상하였다. DL/DON 래트에서의 낙상 빈도는 DL/VEH 래트보다 낮은 경향을 갖지만, 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P = 0.17). 그룹 및 시험 조건별 효과는 상호작용하지 않았으며(F(12,180) = 1.00, P = 0.45), 이는 모든 로드 조건에서의 수행이 DON + IDL의 효과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도 1B 내지 도 1D). 성별 효과도 성별을 포함한 상호작용도 없었다(모든 F < 1.69, 모든 P > 0.17).
횡단 속도
낙상에 미치는 효과와 유사하게, 횡단 속도는 그룹간 차이가 있었으며(F(4,60) = 3.31, P = 0.02), 이때 처리 그룹은 비히클 처리 DL 래트만큼 자주 낙상하였으며, DL/IDL은 가장 느린 횡단을 나타냈다(SH/VEH: 3.96 ± 0.19초; DL/VEH: 4.62 ± 0.25초; DL/DON: 4.48 ± 0.36초; DL/IDL: 5.48 ± 0.45초; DL/DON + IDL: 4.58 ± 0.32초; DL/IDL은 기타 모든 그룹보다 유의하게 더 느림). 더욱이, 수컷은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더 느렸다(F(1,60) = 13.54, P = 0.001; 수컷: 5.12 ± 0.23초, 암컷: 4.13 ± 0.17초). 각 성별에서, 체중은 횡단 속도와 연관성이 없었다(둘 다 R2 < 0.06). 횡단 속도는 시험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3개의 인자 사이에는 어떠한 2원 또는 3원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모두 F < 0.91, p > 0.33).
미끄러짐
회전 로드를 횡단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고정 로드와 비교하여 보다 많은 미끄러짐이 야기되었다(F(3,180) = 37.53, P < 0.001; 고정: 1.02 ± 0.67회 미끄러짐; cc: 2.31 ± 0.16회 미끄러짐; cw: 2.39 ± 0.15회 미끄러짐; 교대: 2.35 ± 0.13회 미끄러짐). 미끄러짐의 횟수는 그룹간 차이가 없었으며(F(4,60) = 2.37, P = 0.06), 이때 이러한 경향은 DL/IDL 래트가 기타 모든 DL 래트보다 빈번하게 미끄러지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반영하였다(SH/VEH: 1.60 ± 0.11; DL/VEH: 2.04 ± 0.16; DL/DON: 2.04 ± 0.14; DL/IDL: 2.51 ± 0.38, DL/DON + IDL: 1.92 ± 0.16). 수컷은 암컷보다 더 자주 미끄러졌지만(F(1,60) = 5.64, P = 0.02; 수컷: 2.24 ± 0.17; 암컷: 1.79 ± 0.10), 또한 3개의 인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없었다(모든 F < 1.01, p > 0.44). 수컷에서의 미끄러짐은 이들의 체중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암컷에서는 없었다(수컷: R2 = 0.14, P = 0.03; 암컷: R2 = 0.08, P = 0.10).
DON + IDL 처리 DL 래트에서 도어프레임 연관 낙상의 감소
이미 보행의 동결의 경향을 갖는 PD 환자에서, 빠듯한 출입구는 동결을 야기하며, 따라서 낙상 위험성을 증가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전방 동작의 지지로부터 이러한 수동 산만 인자의 프로세싱으로의 제한된 주의 자원의 이동을 반영하도록 이러한 효과에 대해 가설을 세운다. 도어프레임 산만 인자(도 2A)를 시험 6일, 7일 및 11일째 날에 로드를 따라 놓았다.
전반적으로, 도어프레임 산만 인자의 경우 낙상이 발생한 시험의 비율(%)이 3배 초과였다(F(1,60) = 117.10, P < 0.001; 출입구 낙상(door fall): 38.34 ± 2.89%, 출입구 부재 낙상(non-door fall): 11.30 ± 1.34%). 그룹(F(4,60) = 3.24, P = 0.018) 및 유의한 출입구 x 그룹 상호작용(F(4,60) = 3.15, P = 0.02)별 주요 효과는 도어프레임 유발 낙상이 그룹간 차이를 설명한다는 것을 반영하였다(도 2B). VEH, DON 또는 IDL로 처리된 DL 래트는 SH/VEH 래트보다 많은 도어프레임 연관 낙상을 경험하였다. 대조적으로, 도어프레임의 존재 하에 DL/DON + IDL 래트의 낙상률은 SH/VEH 래트에서와 차이가 없었으며, DL/IDL 래트에서의 낙상률보다 훨씬 낮았다(코헨의 d = 0.74; 도 2B). 모든 래트에서, 도어프레임 연관 낙상률은 시험 3일에 걸쳐 감소하였다(일별 주요 효과: F(1,120) = 48.31, P < 0.001; 1일째 날: 64.76 ± 4.42%, 2일째 날: 38.10 ± 4.14%, 3일째 날: 12.14 ± 2.14%의 낙상; 기타 인자와의 모든 상호작용: F < 1.34, P > 0.23).
도어프레임은 암컷보다 수컷에서 거의 2배 정도 많이 낙상을 초래하였지만, 수컷은 도어프레임의 부재 하에 암컷보다는 많이 낙상하지 않았다(성별 x 조건: F(1,60) = 34.24, P < 0.001; 시험 전반에 걸쳐 출입구 낙상의 비율(%); 암컷: 25.69 ± 3.76%, 수컷: 50.99 ± 3.22%, t(69) = 26.09, P < 0.001; 출입구 부재 낙상 암컷: 13.27 ± 1.81%, 수컷: 9.32 ± 1.95%, t(69) = 2.20, P = 0.14). 수컷에서 도어프레임 연관 낙상은 이들의 체중 또는 횡단 속도와 상관관계가 없었다(둘 다 R2 < 0.03). 그러나 이러한 조건에서 보다 느린 암컷이 보다 많이 낙상하였다(R2 = 0.21, P = 0.005). 3개의 인자 사이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었다(모든 F < 1.31, 모든 P > 0.25).
미시적 행동 연관성
도어프레임 연관 낙상에 미치는 DON + IDL 처리 효과의 잠재적인 행동 연관성을 결정하기 위해, 도어프레임 횡단 도중의 동물의 미시적 행동에 대한 비디오 기반 분석을 수행하였다. DL/VEH 및 DL/DON + IDL 수컷 및 암컷 래트에 대한 수일간의 도어프레임 실행은 이들이 낙상률이 이들 그룹의 평균을 반영하는 경우에 선택되었다(암컷의 경우에 6일 및 7일째 날 및 수컷의 경우에 11일째 날). 일반적으로, 두 그룹의 래트는 도어프레임에 도달함에 따라 전방 동작을 중단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동결 기간에 미치는 그룹별 효과: F(1,27) = 1.22, P = 0.28; DL/VEH: 1.25 ± 0.22초/동결; DL/DON + IDL: 0.93 ± 0.21초). 게다가, 개개의 래트의 동결 기간은 이들의 낙상률과 상관관계가 있었다(도 2C). 모든 래트에서 보다 긴 동결은 거의 일관하여 낙상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프레임 유발 동결은 장기 동결(2초 이상) 대 단기 동결(2초 미만)로 분류되었다. 장기 동결이 발생한 시험의 비율(%)은 2개의 그룹간 차이가 없었다(동물 당 6회의 시험; F(1,27) = 2.59, P = 0.12; 26.79 ± 4.95%의 시험이 장기 동결을 포함함). 더욱이, 적어도 1회 이 같은 동결을 나타낸 동물(10 DL/VEH 및 9 DL/DON + IDL)에서, 장기 동결과 연관된 낙상률은 이들 2개의 그룹간 차이가 없었다(F(1,18) = 0.004, P = 0.95; DL/VEH: 도어프레임 연관 장기 동결을 포함한 실행에서 62.67 ± 12.62%의 낙상; DL/DON + IDL: 63.89 ± 13.89%). 그러나 단기 동결과 연관된 낙상률은 DL/DON + IDL 래트에서보다 DL/VEH에서 더 높았다(그룹 당 14마리의 래트; F(1,27) = 5.27, P = 0.03, 도 2D). 따라서 이들 관찰에 따르면 DON + IDL로 DL 래트를 처리하면 비교적 단기 동결과 연관된 도어프레임 실행의 비율이 증가하지 않지만, DON + IDL 처리 래트는 단기 동결 이후에 횡단을 재개하여 이를 계속할 수 있는 능력이 좀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ON + IDL에 의한 복합 처리의 잠재적인 효과를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대표적인 실행을 선택하였으며(암컷의 경우 도어프레임 실행 2일째 날 및 수컷의 경우 3일째 날에 최초 2회 시험; 래트 당 2회의 시험), 하기 행동의 비율은 단기 동결(0.5~1.5초의 동결 기간) 직후 및 도중에 1초의 기간 동안 계수되었다: (1) 동결 후 횡단 속도의 갑작스런 증가; (2) 도어프레임 아래로 횡단하는 동안에 높고 확고한 꼬리 위치는 DL 래트에서 전형적인 낮게 늘어진 꼬리, 웅크린 자세 및 하향 초점과는 대조적인 제어된 직립 자세 및 전방 초점과 연관됨; (3) 도어프레임 연관 미끄러짐 이후에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꼬리 흔들기; (4) 미끄러짐 이후에 로드 상에서 몸체의 상반신을 뒤로 '밀치기' 위해 앞다리의 사용; (5) 로드 상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동결 도중에 활동적인 뒷다리 동작('제자리 보행'); 및 (6) 도어프레임을 통한 전방 가속도를 복원하기 위해 동결 이후 작게 '깡충 뛰기'. 결과에 따르면, 먼저, 6회 전체의 행동의 계수에 실패한 복합 점수는 두 그룹에서 낙상률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둘 다 R2 > 0.42, 둘 다 P < 0.02), 이는 단기 동결 이후에 능동 회복 동작이 성공적인 도어프레임 실행에 대한 강력한 예측 변수(predictor)임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로, DL/DON + IDL 래트는 DL/VEH 래트보다 많은 2번째 범주의 행동 사례를 나타냈다(X2 = 7.22, P = 0.03, DL/VEH: 시험 당 0.18 ± 0.10회 계수, DL/DON + IDL: 0.54 ± 0.11; 기타 모든 행동 범주: P > 0.30; 도 2E).
능동 산만 인자 연관 낙상에 미치는 치료 효과의 부재
노인 인간 및 PD 환자에서의 낙상은 빈약한 이중 과제 수행과 상관관계가 있다. 이차 과제로의 주의 자원의 재분배가 복합 동작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모델링하기 위해, 물 결핍 래트가 회전 로드를 횡단하는 동안에 회수용 물을 제공하였다.
전반적으로, 70마리의 동물 중 54마리(77.14%)가 적어도 1회 시험에서 물을 회수하였다(낙상과는 무관하게 적어도 1초 동안 물 핥기로 정의됨)(13마리의 SH/VEH, 9마리의 DL/VEH, 10마리의 DL/DON, 11마리의 DL/IDL 및 11마리의 DL/DON + IDL 래트; 26마리의 수컷 및 28마리의 암컷). 비록 다중 비교에서 DL/DON 래트의 회수 계수가 DL/VEH보다 유의하게 낮지 않을지라도 그룹별 주요 효과에 따르면 모든 DL 래트는 SH/VEH 래트보다 덜 자주 물을 회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4,60) = 3.32, P = 0.016)(도 3A). 암컷은 수컷보다 더 자주 물을 회수하였지만(F(1,60) = 10.56, P = 0.002; 암컷: 49.78 ± 6.32%, 수컷: 26.69 ± 4.36%), 성별 효과는 그룹과의 상호작용이 없었다(F(4,60) = 1.50, P = 0.22). 이러한 시험에서, 물 회수 및 낙상은 물을 회수하기 위해 전방 동작을 멈추는 것이 낙상 위험성을 높이기 때문에 교란 척도(confounded measure)이다. SD/VEH 래트는 DL 래트보다 낙상 없이 물을 회수하는데 보다 자주 성공하였다(F(4,60) = 5.84, P < 0.001; 도 3B). 게다가, 암컷은 수컷보다 더 자주 낙상 없이 물을 성공적으로 회수하였지만(F(1,60) = 10.81, P = 0.002; 암컷: 시험의 33.98 ± 5.02%; 수컷: 16.73 ± 3.36%), 이러한 효과는 그룹과의 상호작용이 없었다(F(1,69) = 1.56, P = 0.19). 성별에서도, 이러한 척도는 체중, 횡단 속도 또는 도어프레임 연관 낙상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모든 R2 < 0.1). 따라서 DL 병변은 능동 산만 인자에 의한 관여를 감소시키고, 연관 낙상률을 증가시켰지만, 약물 치료는 이러한 능동 산만 인자의 존재 하에 로드 횡단 수행의 이점이 없었다.
SAT 수행에 미치는 치료 효과의 부재
4주의 수술 후 회복 기간이 완료된 후, 동물은 아침 SAT 및 오후 MCMCT 시험으로 복원시켰으며, 약물 치료는 아침뿐만 아니라 오후 시험 회기 30분 전에 투여되었다. DL 병변은 SAT 수행을 손상시켰다. 그러나 어떠한 치료도 수행을 개선시키지 못했다.
실시예 2: 리바스티그민 및 아이달로피르딘으로 처리된 DL 래트에서 낙상의 감소
연구의 개요:
이중 병변(DL) 래트 또는 모조 수술한 래트를 비히클(염수 중의 10% 2-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란; 2-HPBCD), 1 ㎎/㎏의 리바스티그민, 10 ㎎/㎏의 아이달로피르딘 또는 이들 2개의 치료 조합으로 5 ㎖/㎏의 부피로 연속 10일 동안 피하(s.c.) 처리하였다. DL 비히클 처리 동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1원 분산 분석 및 사후 던네트(Dunnett)의 다중 비교 검증에 의해 통계적 비교가 이루어졌다.
MCMCT: 실시예 1로부터 장치의 편차
장치는 이전에 사용된 것과 유사하였다(문헌{Kucinski et al., 2013}). 이는 3미터 길이(2.54 ㎠)의 직선 직사각형 로드 또는 지그재그 로드(로드를 따라 2개의 곡면 표면이 구비됨)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상기 로드는 시작 및 말단 플랫폼이 고정된 2개의 1미터 길이의 타워(tower)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 동일한 플랫폼은 30 ㎝ x 25 ㎝ 크기이고, 각각은 직경이 3 ㎝인 구리 급수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구리 급수기는 바닥에 함입되어 있다. 플랫폼은 완전히 상승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 높이가 23 ㎝인 개폐식 벽 구조로 둘러싸여 있다. 이들 벽은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12VDC 전기 모터에 의해 기계적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개방형 플랫폼으로부터 전환이 시작되고 박스 구조가 끝나도록 하였다. 평형대와 마주보는 벽에는 래트가 평형대에 접근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9 ㎝ 너비의 개구부가 존재하였다. 로드는 견인용으로 사용되는 그레이 개퍼 테이프(gray gaffer's tape)로 밀봉된 알루미늄 배관으로 만들어졌다. 판자 조건의 경우, 13.3 ㎝ 너비의 판자는 로드의 상부에 직접 놓고, 지지 타워의 가장자리 내부에 끼워 넣었다. 펄스폭 변조기에 의해 제어되는 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해 12VDC 전기 모터를 사용하였다. 로드의 20 ㎝ 하부에는 낙상 도중에 래트를 포획하기 위해 안전망을 매달아 놓았다. 로드의 일측과 평행한 프레임 상에 장착된 4대의 불렛 마셜(bullet Marshall) 1080-HD-DI 모델 CV500 시리즈 카메라(B-30/25P 프레임율/59.94i)를 이용하여 MCMCT을 기록하였다. 쿼드 SDI-대-HDMI 멀티뷰어(quad SDI to HDMI multiviewer; 매트록스 마이크로쿼드(Matrox MicroQuad))를 이용하여 비디오 영상을 단일 피드(single feed)로 전환하고, 엘가토 게임 캡쳐 HD(Elgato Game Capture H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PC 상에서 직접 관찰하였다.
MCMCT 순서(cc: 반시계 방향, cw: 시계 방향, alt: 교대 cc/cw)
시험 유형 조건 산만 인자 시험 횟수
수술 전
1 판자 6
2 로드 고정 6
3 로드 회전(cc; 10 rpm) 6
수술 후
1 판자 6
2 로드 고정 6
3 로드 회전(cc; 10 rpm) 6
4 로드 회전(cw; 10 rpm) 6
5 로드 회전(alt; 10 rpm) 6
6 로드 회전(alt; 10 rpm) 도어프레임 6(도어프레임 존재 시 4회)
7 로드 회전(alt; 10 rpm) 도어프레임 6(도어프레임 존재 시 4회)
8 로드(지그재그) 고정 6
9 로드(지그재그) 회전(느림; 5 rpm) 6
10 로드(지그재그) 회전(신속; 8 rpm) 6
결과:
결과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나 있으며, 아이달로피르딘 및 리바스티그민(DL/Riva + IDL)에 의한 래트의 병용 처리는 미처리 DL 래트(DL/Veh)와 비교하여 낙상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될 수 있다.

Claims (17)

  1. 콜린성 뉴런의 퇴화 또는 콜린성 뉴런에서의 기능 손상으로 인해 균형, 보행 또는 동작이 손상되어 있는 CNS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와 조합된 5-HT6 수용체 길항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NS 질환은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파라핵상 마비(parasupranuclear palsy) 및 다계통 위축증(multi-systems atroph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NS 질환은 파킨슨병인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킨슨병의 치료는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낙상의 감소,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느린 보행 속도의 개선,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동작 멈춤의 감소,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보행 동결(freezing gait)의 감소, 및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의 보행 제어(gait control)의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5-HT6 수용체 길항제는 아이달로피르딘(idalopirdine)인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가 도네페질인 경우, 도네페질의 투여량은 1 내지 30 ㎎, 예를 들어 5 내지 23 ㎎이고; 상기 AChEI이 갈란타민인 경우, 투여량은 4 내지 24 ㎎이고; 상기 AChEI가 리바스티그민인 경우, 리바스티그민의 투여량은 1 내지 20 ㎎인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5-HT6 수용체 길항제가 아이달로피르딘인 경우, 아이달로피르딘의 1일 투여량은 10 ㎎ 내지 120 ㎎, 예를 들어 10 ㎎ 내지 100 ㎎, 예를 들어 30 ㎎ 내지 90 ㎎, 예를 들어 30 ㎎ 내지 60 ㎎인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5-HT6 수용체 길항제는 아이달로피르딘이고, 상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는 도네페질인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는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11.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는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느린 보행 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12.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는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동작 멈춤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13.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는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보행 동결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동결은 약 2초 미만인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15.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는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에서 보행 제어를 개선시키기 위한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5-HT6 수용체 길항제는 N-(2-(6-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3-(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폭시) 벤질아민(아이달로피르딘)인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5-HT6 수용체 길항제는 N-(2-(6-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3-(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폭시) 벤질아민(아이달로피르딘)이고, 상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는 도네페질인 것인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5-HT6 수용체 길항제.
KR1020187030934A 2016-04-26 2017-04-25 파킨슨병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아이달로피르딘의 용도 KR102473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600248 2016-04-26
DKPA201600248 2016-04-26
PCT/EP2017/059739 WO2017186686A1 (en) 2016-04-26 2017-04-25 Use of a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nd idalopirdine for reducing falls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869A true KR20180133869A (ko) 2018-12-17
KR102473545B1 KR102473545B1 (ko) 2022-12-01

Family

ID=5863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934A KR102473545B1 (ko) 2016-04-26 2017-04-25 파킨슨병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아이달로피르딘의 용도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10383849B2 (ko)
EP (1) EP3448430B1 (ko)
JP (1) JP6992004B2 (ko)
KR (1) KR102473545B1 (ko)
CN (1) CN109069650A (ko)
AU (1) AU2017256623B2 (ko)
BR (1) BR112017026928B1 (ko)
CA (1) CA3020557A1 (ko)
CL (1) CL2018003013A1 (ko)
CY (1) CY1126138T1 (ko)
DK (1) DK3448430T3 (ko)
ES (1) ES2949288T3 (ko)
FI (1) FI3448430T3 (ko)
HR (1) HRP20230693T8 (ko)
HU (1) HUE062626T2 (ko)
IL (1) IL262546B (ko)
LT (1) LT3448430T (ko)
MX (1) MX2018013031A (ko)
PL (1) PL3448430T3 (ko)
PT (1) PT3448430T (ko)
RS (1) RS64307B1 (ko)
RU (1) RU2742173C2 (ko)
SG (1) SG11201809297UA (ko)
SI (1) SI3448430T1 (ko)
TW (1) TW201806621A (ko)
WO (1) WO2017186686A1 (ko)
ZA (1) ZA2018068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2038A (zh) * 2017-05-24 2020-04-17 H.隆德贝克有限公司 用于治疗阿尔茨海默氏病的药物组合
JP2021515801A (ja) * 2017-12-22 2021-06-24 ニューロセア,エルエルシー 神経変性疾患における転倒および転倒頻度に関連する処置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680A (ko) * 2012-09-09 2015-06-15 하. 룬드벡 아크티에셀스카브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방법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8914D0 (en) * 1998-08-28 1998-10-21 Smithkline Beecham Plc Use
CZ305838B6 (cs) * 2001-03-29 2016-04-06 Eli Lilly And Company N-(2-arylethyl)benzylaminy jako antagonisté receptoru 5-HT6
AU2006232517A1 (en) * 2005-04-04 2006-10-12 Eisai R&D Management Co., Ltd. Dihydropyridine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headaches
PE20071143A1 (es) * 2006-01-13 2008-01-20 Wyeth Corp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un inhibidor de acetilcolinesterasa y un antagonista 5-hidroxitriptamina-6
WO2007147883A1 (en) * 2006-06-23 2007-12-27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Combination of a cholinesterase inhibitor and a compound with 5-ht6 receptor affinity
EP2254564A1 (en) * 2007-12-12 2010-12-01 Glaxo Group Limited Combinations comprising 3-phenylsulfonyl-8-piperazinyl-1yl-quinoline
RU2393158C1 (ru) * 2008-10-06 2010-06-27 Андр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Иващенко ЗАМЕЩЕННЫЕ 3-АРИЛСУЛЬФОНИЛ-ПИРАЗОЛО[1,5-а]ПИРИМИДИНЫ, АНТАГОНИСТЫ СЕРОТОНИНОВЫХ 5-HT6 РЕЦЕПТОРОВ,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680A (ko) * 2012-09-09 2015-06-15 하. 룬드벡 아크티에셀스카브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방법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urology, 2010, 75(14), 1263-1269* *
The Lancet Neurology, 2016, 15(3), 249-25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8135846A (ru) 2020-05-26
ZA201806864B (en) 2020-01-29
CL2018003013A1 (es) 2018-12-14
LT3448430T (lt) 2023-07-25
HRP20230693T8 (hr) 2023-11-10
PL3448430T3 (pl) 2023-08-21
TW201806621A (zh) 2018-03-01
JP2019519480A (ja) 2019-07-11
ES2949288T3 (es) 2023-09-27
SI3448430T1 (sl) 2023-08-31
RS64307B1 (sr) 2023-07-31
SG11201809297UA (en) 2018-11-29
EP3448430B1 (en) 2023-06-07
AU2017256623B2 (en) 2022-07-21
BR112017026928A2 (pt) 2018-08-14
CY1126138T1 (el) 2023-11-15
PT3448430T (pt) 2023-07-11
US20170304267A1 (en) 2017-10-26
IL262546B (en) 2022-05-01
JP6992004B2 (ja) 2022-02-03
DK3448430T3 (da) 2023-07-03
RU2018135846A3 (ko) 2020-09-30
CN109069650A (zh) 2018-12-21
EP3448430A1 (en) 2019-03-06
IL262546A (en) 2018-12-31
CA3020557A1 (en) 2017-11-02
RU2742173C2 (ru) 2021-02-02
WO2017186686A1 (en) 2017-11-02
HRP20230693T1 (hr) 2023-10-13
HUE062626T2 (hu) 2023-11-28
FI3448430T3 (fi) 2023-06-20
AU2017256623A1 (en) 2018-11-01
MX2018013031A (es) 2019-01-17
KR102473545B1 (ko) 2022-12-01
BR112017026928B1 (pt) 2023-04-11
US10383849B2 (en)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3655B2 (en) Method of treatment with tradipitant
García-Ruiz et al. Parkinsonism associated with calcium channel blockers: a prospective follow-up study
CN109890391B (zh) 痴呆症的治疗
KR20180051561A (ko) 특정 환자 집단에서 신경퇴행성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
JPH10505823A (ja) 脱髄性及び髄鞘形成障害性疾患を抑制する方法
KR20180133869A (ko) 파킨슨병 환자에서 낙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아이달로피르딘의 용도
CA3020557C (en) Use of a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nd idalopirdine for reducing falls in parkinson&#39;s disease patients
JP5468351B2 (ja) 経口用医薬組成物
US20200069675A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sebacoyl dinalbuphine and acetaminophen and methods for treating pain
ES2952672T3 (es) Tratamiento del dolor neuropático asociado a la neuropatía periférica inducida por la quimioterapia
JP7366108B2 (ja) ロキソプロフェン又はその塩及びビタミンb12類を含有する経口用医薬組成物
JP6126134B2 (ja) 線維筋痛症および慢性疲労症候群の治療のための、(1r,4r)−6’−フルオロ−(N−メチル−またはN,N−ジメチル−)−4−フェニル−4’,9’−ジヒドロ−3’H−スピロ[シクロヘキサン−1,1’−ピラノ[3,4,b]インドール]−4−アミン
WO2024111636A1 (ja) クロザピン誘発性流涎症改善剤
AU2018440280B2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f sebacoyl dinalbuphine and acetaminophen and methods for treating pain
US9987246B2 (en) 4-benzylsulfonyl-2-butenenitrile
TW202010496A (zh) 双那布扶林己二酸酯和乙醯胺酚的藥物製劑及治療疼痛的方法
KR20150013657A (ko) 과민성 방광의 치료 방법
MXPA97001294A (en) A medicine containing a carnitine derivativ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arterioesclerosis obli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