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765A -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765A
KR20180133765A KR1020170071032A KR20170071032A KR20180133765A KR 20180133765 A KR20180133765 A KR 20180133765A KR 1020170071032 A KR1020170071032 A KR 1020170071032A KR 20170071032 A KR20170071032 A KR 20170071032A KR 20180133765 A KR20180133765 A KR 20180133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power box
bus duct
waterproof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737B1 (ko
Inventor
임현택
황의근
서석우
박해민
Original Assignee
임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택 filed Critical 임현택
Priority to KR102017007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73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전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버스 덕트의 터미널에 설치되는 전원 박스에 대한 관리자의 검측 및 컨트롤 동작이 제약을 받지 않도록 전원 박스를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전원 박스의 방수 커버를 전원 박스와 독립된 랙 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사전에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도 전원 박스의 검측이나 컨트롤 과정에서 관리자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다. 특히, 전원 박스의 증설이나 다른 배선의 추가 설치가 있는 경우에도 애초 설치된 전원 박스의 인접 공간을 미리 확보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박스의 보호 장치를 전원 박스의 시공과 무관하게 사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rack type bus duct guard device for pre-setting}
본 발명은 사전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버스 덕트의 터미널에 설치되는 전원 박스에 대한 관리자의 검측 및 컨트롤 동작이 제약을 받지 않도록 전원 박스를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원 박스의 방수 커버를 전원 박스와 독립된 랙 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사전에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도 전원 박스의 검측이나 컨트롤 과정에서 관리자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다. 특히, 전원 박스의 증설이나 다른 배선의 추가 설치가 있는 경우에도 애초 설치된 전원 박스의 인접 공간을 미리 확보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설비(예: 반도체 생산설비)가 구축된 장소에서는 도선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대단위 배선(예: 버스 덕트)이 구비된다. 그리고, 여러 섹션에 위치한 반도체 생산설비는 메인 버스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서브 버스 덕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메인 버스 덕트의 소정 위치에는 전원공급의 분기와 컨트롤을 위한 전원 박스가 설치되는데, 이 전원 박스는 하나의 메인 버스 덕트와 다른 하나의 메인 버스 덕트가 연결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이러한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원 박스도 구간별로 여러 개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메인 버스 덕트가 전원 박스를 통해 연결되는 버스 덕트 라인은 해당 생산설비가 대규모인 경우 다단으로 설치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섹션의 생산설비에 대한 수리나 고장, 예방정비 등으로 해당 섹션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해당 섹션에 대응하는 전원 박스의 게이트를 오픈하여 수시로 컨트롤하여야 한다. 그 결과, 전원 박스는 수밀 유지를 위한 실링을 할 수 없게 되어 결로 등에 의한 낙수로부터 예기치 않게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전원 박스의 상부에는 방수 커버를 설치하여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물방울이 전원 박스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그런데, 전원 박스는 보통 시공자가 최초 설치한 후, 전원 박스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검측해야 하는데, 전원 박스의 설치 시점과 전원 박스의 검측 시점에는 긴 시간 갭이 있기 때문에 전원 박스의 보호를 위해 전원 박스를 설치할 때 방수 커버도 함께 설치하게 된다.
그 결과, 전원 박스에 대한 검측을 시행할 때 여러 개의 전원 박스에 설치된 방수 커버를 제거한 후 검측이 완료되면 재차 설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작업 과정이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공간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버스 덕트 라인을 다단의 랙 프레임에 안착시켜 시공했는데, 그 시공 이후 해당 랙 프레임에 다른 버스 덕트 라인을 증설하는 경우나 다른 구성(예: 배선)을 설치하는 경우 최초 시공된 전원 박스에 대한 관리자의 조작 공간이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박스에 대한 관리자의 검측 및 컨트롤 동작이 제약을 받지 않는 상태로 미리 설치가 가능한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방형 랙에 추가 증설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사전 설치된 전원 박스의 인접 공간을 미리 확보하도록 하는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는 복수 개의 가로 수평프레임과 복수 개의 세로 수평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복수 개의 격자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과, 가로 수평프레임에 평행하게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기둥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나이상의 기둥 지지프레임과, 세로 수평프레임에 평행하게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에 다단 연결되어 기둥 지지프레임과 협동으로 기둥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랙 프레임이 구비되어 바 형태의 버스 덕트가 랙 프레임에 안착되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입방형 랙; 수평방향으로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버스 덕트의 연직 상부에 부상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자신의 측단부가 입방형 랙에 고정되어 버스 덕트 상부로부터의 낙수를 차단하는 방수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방수 커버는 상부로부터의 낙수가 전방과 후방으로 흘러내리도록 측단면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전단부와 후단부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수 커버는 세로 수평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신의 상면이 라인 형태로 절개됨에 따라 자신의 상면에 떨어진 물이 전후방향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절개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수 커버의 후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방수 커버의 후단부에 이웃하는 입방형 랙에 연결되어 방수 커버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하는 후방 거치브라켓; 방수 커버의 전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방수 커버의 전단부에 이웃하는 입방형 랙에 연결되어 후방 거치브라켓과 협동으로 방수 커버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하는 전방 거치브라켓; 후방 거치브라켓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는 입방형 랙에 연결되어 후방 거치브라켓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하는 제 1 전산볼트; 전방 거치브라켓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는 입방형 랙에 연결되어 제 1 전산볼트와 협동으로 전방 거치브라켓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하는 제 2 전산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버스 덕트에 연결된 하나이상의 전원 박스의 연직 상부에 부상되도록 방수 커버에 연결됨에 따라 전원 박스 상부로부터의 낙수를 차단하는 방수 보조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버스 덕트에 연결된 하나이상의 전원 박스가 배치되는 거치 공간에서 전원 박스의 전방과 측방의 소정 공간을 확보하도록 전원 박스가 배치되는 거치 공간에서 전원 박스의 좌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에 상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전원 박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 1 배리어 판; 전원 박스가 배치된 거치 공간에서 전원 박스의 전방과 측방의 소정 공간을 확보하도록 전원 박스가 배치되는 거치 공간에서 전원 박스를 기준으로 제 1 배리어 판에 대칭되게 전원 박스의 우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에 상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전원 박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 2 배리어 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박스의 좌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과 제 1 배리어 판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제 1 고정브라켓; 전원 박스의 우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과 제 2 배리어 판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제 2 고정브라켓;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제 1 고정브라켓의 상부와 제 2 고정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함에 따라 전원 박스 전방의 상부 공간을 확보하는 배리어 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원 박스에 대한 방수 커버를 전원 박스와 독립적으로 입방형 랙에 장착함으로써 전원 박스에 대한 관리자의 검측 및 컨트롤 동작이 제약을 받지 않는 상태로 사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박스의 게이트가 움직이는 동선이 감안된 전원 박스의 전방 양측부에 배리어 판을 구비함으로써 입방형 랙에 구성(예: 배관, 버스 덕트)의 추가 증설이 있는 경우에도 사전 설치된 전원 박스의 인접 공간을 미리 확보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박스의 보호 장치를 전원 박스의 시공과 무관하게 사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섹션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방수 커버의 일부 섹션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측방 시야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를 [도 2]의 전방 시야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를 [도 2]의 전방 시야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를 [도 2]의 측방 시야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섹션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는 방수 커버(130)와 제 1,2 배리어 판(151,152)의 구성요소가 잘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 입방형 랙(120)의 전방이 개방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즉, [도 1]과 [도 2]의 입방형 랙(120) 전방에도 입방형 랙(120)을 입방향으로 구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121)과 하나이상의 기둥 지지프레임(122)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의 경우에도 각 세로 수평프레임(112)의 전단부에 하나이상의 가로 수평프레임(111)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격자 공간이 마련된 장방형으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10), 입방형 랙(120), 방수 커버(130), 제 1,2 배리어 판(151,1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도 1]에서와 같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입방형 랙(120)을 지지하며,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가로 수평프레임(111)과 복수 개의 세로 수평프레임(112)이 상호 연결되어 복수 개의 격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버스 덕트(10)가 전원 박스(20)를 통해 연결되는 덕트 라인의 길이에 대응하여 베이스 프레임(110)과 입방형 랙(120)은 하나의 모듈 단위로 제작된 후 복수 개의 모듈이 연접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입방형 랙(120)은 [도 1]에서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을 지지 기반으로 하여 기둥프레임(121), 기둥 지지프레임(122), 랙 프레임(123), 거치봉(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둥프레임(121)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각 기둥프레임(121)은 그 하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10)에 연결된 상태로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기둥 지지프레임(122)은 가로 수평프레임(111)에 평행하게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121) 사이에 연결되어 복수 개의 랙 프레임(123)과 협동으로 각 기둥프레임(121)을 지지한다.
랙 프레임(123)은 세로 수평프레임(112)에 평행하게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121) 사이에 다단 연결되어 기둥 지지프레임(122)과 협동으로 기둥프레임(121)을 지지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버스 덕트(10)는 각 터미널에서 전원 박스(20)를 통해 바 형태로 연결되는데, 이렇게 바 형태로 이루어지는 버스 덕트(10)는 랙 프레임(123)에 안착 고정된다.
그리고, 랙 프레임(123)이 기둥프레임(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됨에 따라 랙 프레임(123)의 상면에 안착되는 버스 덕트(10)가 이루는 바 형태의 덕트 라인도 다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수 커버(130)는 수평방향으로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버스 덕트(10)의 연직 상부에 부상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자신의 측단부가 입방형 랙(120)에 고정되어 버스 덕트(10) 상부로부터의 낙수를 차단한다.
[도 3]은 [도 2]의 방수 커버의 일부 섹션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수 커버(130)는 바람직하게는 측단면의 형상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됨에 따라 전단부와 후단부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방수 커버(130)는 자신의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자연적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그리고, 방수 커버(130)는 세로 수평프레임(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신의 상면이 라인 형태로 움푹 파인 복수 개의 절개홈(131,132)을 구비하여 자신의 상면에서 양측방으로 흐르는 물을 차단한다.
여기서, 절개홈(131,132)은 바람직하게는 방수 커버(130)의 상면 좌측과 상면 우측에 각각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상면에 떨어진 물이 전후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한다.
상세하게, 방수 커버(13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전단부와 후단부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자신의 상면에 떨어진 물이 전방과 후방으로는 자연적으로 흘러내리지만, 일부의 물이 측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되면 전원 박스(20)의 양측단부에 연결되는 버스 덕트(10)에 물이 떨어져 버스 덕트(10)의 전원 공급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 커버(130)의 상면에 떨어지는 물은 전방과 후방으로만 흘러내리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도 3]에서와 같이 형성된 절개홈(131,132)이 방수 커버(130)의 상면에 떨어진 물을 전방과 후방으로만 흐르도록 가이드 한다.
[도 4]는 [도 2]의 측방 시야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후방 거치브라켓(141), 전방 거치브라켓(142), 제 1 전산볼트(143), 제 2 전산볼트(144), 제 1 배리어 판(151), 제 2 배리어 판(15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방 거치브라켓(141)은 방수 커버(130)의 후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방수 커버(130)의 후단부에 이웃하는 입방형 랙(120), 예컨대 거치봉(124)에 연결되어 방수 커버(130)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한다.
전방 거치브라켓(142)은 방수 커버(130)의 전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방수 커버(130)의 전단부에 이웃하는 입방형 랙(120), 예컨대 거치봉(124)에 연결되어 후방 거치브라켓(141)과 협동으로 방수 커버(130)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한다.
제 1 전산볼트(143)는 [도 4]에서와 같이 하단부가 후방 거치브라켓(141)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입방형 랙(120), 예컨대 거치봉(124)에 연결되어 후방 거치브라켓(141)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한다.
제 2 전산볼트(144)는 [도 4]에서와 같이 하단부가 전방 거치브라켓(142)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입방형 랙(120), 예컨대 거치봉(124)에 연결되어 제 1 전산볼트(143)와 협동으로 전방 거치브라켓(142)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한다.
한편, 제 1,2 전산볼트(143,144)는 자신과 인접하는 입방형 랙(120)의 구성요소와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와 같이 소정 위치에서 다단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배리어 판(151)은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배리어 판(151)은 전원 박스(20)가 배치된 거치 공간에서 전원 박스(20)의 전방과 측방의 소정 공간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제 1 배리어 판(151)은 전원 박스(20)가 배치되는 거치 공간에서 전원 박스(20)의 좌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123)에 상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전원 박스(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져 배치된다.
한편, 제 1 배리어 판(151)은 버스 덕트(10)에 연결되는 별도의 고정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제 2 배리어 판(152)은 제 1 배리어 판(151)과 동일하게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배리어 판(152)은 전원 박스(20)가 배치된 거치 공간에서 제 1 배리어 판(151)과 협동으로 전원 박스(20)의 전방과 측방의 소정 공간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제 2 배리어 판(152)은 전원 박스(20)가 배치되는 거치 공간에서 전원 박스(20)를 기준으로 제 1 배리어 판(151)에 대칭되게 전원 박스(20)의 우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123)에 상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전원 박스(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져 배치된다.
다른 한편, 제 2 배리어 판(152)은 버스 덕트(10)에 연결되는 별도의 고정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제 1 배리어 판(151)과 병립하여 전원 박스(20)의 양측 공간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 1 고정브라켓(161)은 [도 4]에서와 같이 전원 박스(20)의 좌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123)과 제 1 배리어 판(151)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한다. 여기서, 제 1 배리어 판(151)은 상단부가 랙 프레임(123)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 1 배리어 판(151)의 위치 설정이 자유롭도록 제 1 고정브라켓(161)을 통해 랙 프레임(123)의 측벽에 연결된다.
제 2 고정브라켓(162)은 [도 4]에서와 같이 전원 박스(20)의 우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123)과 제 2 배리어 판(152)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한다. 여기서, 제 2 배리어 판(152)도 상단부가 랙 프레임(123)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 2 배리어 판(152)의 위치 설정이 자유롭도록 제 2 고정브라켓(162)을 통해 랙 프레임(123)의 측벽에 연결된다.
이때, 방수 커버(130)는 전원 박스(20)의 연직 상부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전방으로 충분히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를 [도 2]의 전방 시야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배리어 바(17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리어 바(171)는 양단부가 제 1 고정브라켓의 상부와 제 2 고정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전원 박스(20) 전방의 상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배리어 바(171)는 전원 박스(20) 전방의 상부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지만, 플레이트 형태의 제 1,2 배리어 판(151,152)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지탱하는 역할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를 [도 2]의 전방 시야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거치바(1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치바(172)는 제 1,2 배리어 판(151,152)에 인접하는 기둥프레임(121)을 관통하여 기둥프레임(121)에 고정된다. 그리고, 기둥프레임(121)을 관통한 거치바(172)는 양단부에 각각의 제 1,2 배리어 판(151,152)이 연결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거치바(172)의 양단부가 제 1,2 배리어 판(151,152) 각각의 제 1,2 고정브라켓(161,162)에 연결됨에 따라 제 1,2 배리어 판(151,152) 각각을 현재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여기서, 거치바(172)에 연결된 제 1,2 배리어 판(151,152)이 제자리 회전하지 않고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거치바(172)는 복수 개가 나란히 병립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를 [도 2]의 측방 시야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방수 보조 커버(130')는 버스 덕트에 연결된 하나이상의 전원 박스의 연직 상부에 부상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방수 보조 커버(130')는 후단부가 방수 커버(13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방수 커버(130)에 연결됨에 따라 전원 박스(20)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낙수로부터 전원 박스(20)가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방수 커버(130)의 상면과 방수 보조 커버(130')가 맞닿는 부분은 수밀이 유지되도록 실링 처리됨에 따라 방수 보조 커버(130')의 상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방수 보조 커버(130')의 하부에 대응하는 방수 커버(130)의 상면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10 : 버스 덕트
20 : 전원 박스
110 : 베이스 프레임
111 : 가로 수평프레임
112 : 세로 수평프레임
120 : 입방형 랙
121 : 기둥프레임
122 : 기둥 지지프레임
123 : 랙 프레임
124 : 거치봉
130 : 방수 커버
130' : 방수 보조 커버
131,132 : 가이드 절개홈
141 : 후방 거치브라켓
142 : 전방 거치브라켓
143 : 제 1 전산볼트
144 : 제 2 전산볼트
151 : 제 1 배리어 판
152 : 제 2 배리어 판
161 : 제 1 고정브라켓
162 : 제 2 고정브라켓
171 : 배리어 바
172 : 거치바

Claims (7)

  1. 복수 개의 가로 수평프레임(111)과 복수 개의 세로 수평프레임(112)이 상호 연결되어 복수 개의 격자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10);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121)과, 상기 가로 수평프레임에 평행하게 상기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나이상의 기둥 지지프레임(122)과, 상기 세로 수평프레임에 평행하게 상기 복수 개의 기둥프레임 사이에 다단 연결되어 상기 기둥 지지프레임과 협동으로 상기 기둥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랙 프레임(123)이 구비되어 바 형태의 버스 덕트가 상기 랙 프레임에 안착되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입방형 랙(120);
    수평방향으로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스 덕트의 연직 상부에 부상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자신의 측단부가 상기 입방형 랙에 고정되어 상기 버스 덕트 상부로부터의 낙수를 차단하는 방수 커버(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버(130)는 상부로부터의 낙수가 전방과 후방으로 흘러내리도록 측단면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전단부와 후단부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버(130)는,
    상기 세로 수평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신의 상면이 라인 형태로 절개됨에 따라 자신의 상면에 떨어진 물이 전후방향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절개홈(131,132);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버의 후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방수 커버의 후단부에 이웃하는 상기 입방형 랙에 연결되어 상기 방수 커버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하는 후방 거치브라켓(141);
    상기 방수 커버의 전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방수 커버의 전단부에 이웃하는 상기 입방형 랙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거치브라켓과 협동으로 상기 방수 커버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하는 전방 거치브라켓(142);
    상기 후방 거치브라켓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입방형 랙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거치브라켓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하는 제 1 전산볼트(143);
    상기 전방 거치브라켓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입방형 랙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산볼트와 협동으로 상기 전방 거치브라켓의 현재 들뜬 상태를 지지하는 제 2 전산볼트(14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덕트에 연결된 하나이상의 전원 박스의 연직 상부에 부상되도록 상기 방수 커버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전원 박스 상부로부터의 낙수를 차단하는 방수 보조 커버(1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덕트에 연결된 하나이상의 전원 박스가 배치되는 상기 거치 공간에서 상기 전원 박스의 전방과 측방의 소정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전원 박스가 배치되는 상기 거치 공간에서 상기 전원 박스의 좌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에 상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원 박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 1 배리어 판(151);
    상기 전원 박스가 배치된 상기 거치 공간에서 상기 전원 박스의 전방과 측방의 소정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전원 박스가 배치되는 상기 거치 공간에서 상기 전원 박스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배리어 판에 대칭되게 상기 전원 박스의 우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에 상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원 박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 2 배리어 판(152);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원 박스의 좌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과 상기 제 1 배리어 판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제 1 고정브라켓(161);
    상기 전원 박스의 우측에 위치하는 랙 프레임과 상기 제 2 배리어 판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제 2 고정브라켓(162);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상기 제 1 고정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제 2 고정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함에 따라 상기 전원 박스 전방의 상부 공간을 확보하는 배리어 바(17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KR1020170071032A 2017-06-07 2017-06-07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KR101983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032A KR101983737B1 (ko) 2017-06-07 2017-06-07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032A KR101983737B1 (ko) 2017-06-07 2017-06-07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765A true KR20180133765A (ko) 2018-12-17
KR101983737B1 KR101983737B1 (ko) 2019-05-29

Family

ID=6500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032A KR101983737B1 (ko) 2017-06-07 2017-06-07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5325A (zh) * 2020-12-15 2021-04-06 江苏冠卓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母线槽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9666A (ja) * 1994-11-16 1996-06-07 Sumitomo Electric Ind Ltd 移動・連結式配電装置
KR100828700B1 (ko) * 2006-11-30 2008-05-09 김정원 미니 풍열기
JP2011030366A (ja) * 2009-07-27 2011-02-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バスダクト及びバスダクトの接続構造
KR101136915B1 (ko) * 2011-11-16 2012-04-20 (주) 늘푸른동방 부스 덕트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9666A (ja) * 1994-11-16 1996-06-07 Sumitomo Electric Ind Ltd 移動・連結式配電装置
KR100828700B1 (ko) * 2006-11-30 2008-05-09 김정원 미니 풍열기
JP2011030366A (ja) * 2009-07-27 2011-02-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バスダクト及びバスダクトの接続構造
KR101136915B1 (ko) * 2011-11-16 2012-04-20 (주) 늘푸른동방 부스 덕트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5325A (zh) * 2020-12-15 2021-04-06 江苏冠卓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母线槽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737B1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1963Y1 (ko) 배전반의 방열장치
KR101585222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JP2009017774A (ja) 三相交流電動機のソフトスタートまたはソフトストップ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いわゆるソフトスタータ
KR101983737B1 (ko)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US11852151B2 (en) Fan array wiring system
CN104332855A (zh) 箱式变电站低压柜及箱式变电站
KR100880625B1 (ko) 분배전반용 배전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전함
JP5685501B2 (ja) 水中ポンプの制御ユニット、及び水中ポンプの制御盤
KR101557722B1 (ko) 변전소 보호 배전반의 전기적 접점에 의한 사활선 표시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변전소용 전력 설비의 판넬 구조체
KR101999311B1 (ko)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KR20060078596A (ko) 워크-인 타입 변전실의 배전반 지지구조
JP2007209066A (ja) 分電盤
KR100516440B1 (ko) 지상기기용 방호대
KR101859763B1 (ko) 전면설치형 콘트롤박스 보호장치
JP2002199515A (ja) 分電盤ユニットおよびそれで構成される分電盤
KR102060046B1 (ko) 벽체에 내장되는 공동주택 전기 단자함 장치
JP5743345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
JP7181516B2 (ja) ラック列給電システム
CN215681686U (zh) 一种隧道照明用线槽装置
JP2019187032A (ja) 分電盤
KR200408996Y1 (ko) 고전압 개폐기의 외함 조립구조
AU2019202584B2 (en) Switchgear cabinet with improved arrangement of a short-circuit device
CN216872490U (zh) 集成配电装置安装框架及集成配电装置
US2593975A (en) Switchboard construction
JP7271204B2 (ja) エンジン駆動型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