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700B1 - 미니 풍열기 - Google Patents

미니 풍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700B1
KR100828700B1 KR1020060119855A KR20060119855A KR100828700B1 KR 100828700 B1 KR100828700 B1 KR 100828700B1 KR 1020060119855 A KR1020060119855 A KR 1020060119855A KR 20060119855 A KR20060119855 A KR 20060119855A KR 100828700 B1 KR100828700 B1 KR 100828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heater
air
mini
wind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원
최귀자
Original Assignee
김정원
최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원, 최귀자 filed Critical 김정원
Priority to KR102006011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니 풍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전열판을 이용하여 온풍으로 변환시키되, 상, 하로 조절되는 안내덕트를 토출부에 결합하여 바람의 유로를 변경시키고, 온도조절수단과 송풍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바람의 온도 및 세기가 조절되는 풍열기와, 상기 풍열기를 일정한 높이에 설치가능하도록 거치공간을 마련하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와, 높이를 조절하는 돌출부재 및 지지부재 조합과, 상기 풍열기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며 높이조절이 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지면에서 이격되어 풍열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 1연결부재와 제 2연결부재로 고정고리를 형성하여 설치자가 원하는 위치로 거치가 가능한 거치대로 구성되어, 실내공기정화 역활과 함께 원하는 방향으로 바람의 온도와 세기가 조절되어 시설하우스, 축사 등과 같은 농가 및 산업용으로도 사용가능한 미니 풍열기에 관한 것이다.
풍열기, 풍열기, 온도, 세기, 바람, 공기정화, 유도관

Description

미니 풍열기{MINIATURE FAN HE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유도관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유도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가 거치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풍열기 20: 케이싱
21a, 21b: 공기유입부 23: 받침편
24: 토출부 30: 전열판
31: 안내덕트 32: 송풍팬
40: 온도조절수단 41: 송풍조절수단
50: 유도관 51: 배출구
60: 거치대 61: 몸체부
62: 거치공간 63: 고정부재
64, 64', 64'': 고정수단 65: 보호커버
70: 지지부재 80: 돌출부재
81: 받침대 90: 고정고리
91: 제 2연결부재 92: 제 1연결부재
100: 공기
본 발명은 미니 풍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전열판을 이용하여 온풍으로 변환시키되, 상, 하로 조절되는 안내덕트 를 토출부에 결합하여 바람의 유로를 변경시키고, 온도조절수단과 송풍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바람의 온도 및 세기가 조절되는 풍열기와, 상기 풍열기를 일정한 높이에 설치가능하도록 거치공간을 마련하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와, 높이를 조절하는 돌출부재 및 지지부재 조합과, 상기 풍열기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며 높이조절이 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지면에서 이격되어 풍열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 1연결부재와 제 2연결부재로 고정고리를 형성하여 설치자가 원하는 위치로 거치가 가능한 거치대로 구성되어, 실내공기정화 역활과 함께 원하는 방향으로 바람의 온도와 세기가 조절되어 시설하우스, 축사 등과 같은 농가 및 산업용으로도 사용가능한 미니 풍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풍열기는 크게 가정용과 산업용 등으로 나누어지고, 전자인 가정용은 일정 크기의 한정된 공간을 난방하고자 전기 또는 기름 및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난방을 하는 것으로서, 발열체의 가열에 전기히터와 가스나 석유를 연소시키는 연소기에서 연소 되는 고온의 열에 공기가 접촉되어 가열된 공기를 방풍하게 되고, 이와 같은 풍열기는 농장이나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산업용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가정용으로 구분된다.
풍열기는 발열체 후방에 팬을 설치하여 발열체에서 접촉되어 데워진 공기를 방풍하는 것이다.
그 구성은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부와, 이 유입된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와, 이 열교환된 온풍을 다시 원하는 곳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송풍부로 구성되어 있어,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열교환 과정에서 소비되 는 연료의 소비량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어 많은 연료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후자인 산업용 풍열기는 농업용 하우스 및 넓은 공간의 작업장 등과 같은 곳을 난방하거나, 공사장의 실내를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상기 가정용과 같이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연료는 주로 기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연료 소비에 따른 연료비가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고온으로 발열 되는 발열체에 공기를 급속 가열시켜 팬으로 방풍하는 것이므로 신속한 방풍이 이루어지는 이점은 있으나 대다수의 기름풍열기의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공기오염으로 인한 각종 호흡기 질환의 요인이 되는 결점과 더불어, 산업용 풍열기의 경우 일정공간 또는 일정 대상물만을 난방/건조하기 위해서도 대형의 풍열기를 구입해야 한다는 점뿐만 아닌, 상기 대형 풍열기를 거치시킬 공간을 확보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을 배출하여 실내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되, 온도조절수단과 송풍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송풍팬으로 인해 발생된 바람의 온도 및 세기가 조절가능하며, 안내덕트와 유도관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바람을 토출함은 물론,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호커버가 형성되고, 높이가 조절되며 일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대를 구비함과 동시에, 지면에서 이격되어 공중에 매달 수 있도록 거치대의 상부에 고정고리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공간에 설치되며 바람의 온도 및 세기가 조절되는 미니 풍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전원을 공급받아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발생되는 바람을 온풍으로 변환시키는 전열판을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송풍팬과 대향되는 공기유입부를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부에 내입 설치되어 배출되는 바람의 유로를 변경하도록 상, 하로 조절되는 안내덕트로 이루어지는 풍열기와; 상기 풍열기가 안착되도록 거치공간을 형성하되, 하단에는 상기 풍열기의 받침편을 안착시켜 풍열기가 부동되도록 상호 대향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길이방향과 교차 형성하고, 상부 일단에는 상기 풍열기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풍열기의 상면과 대응되며 일정간격 이격시키되, 고정수단에 의해 매달려 위치가 조절되는 돔 형상의 보호커버가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 하 이동되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돌출부재를 상부로 수직연장 형성하는 받침대로 이루어지는 거치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풍열기는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수단과,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송풍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풍열기는 일정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유도관을 토출부에 결합하여,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니 풍열기는 받침대를 대신하여 상기 몸체부에 상부로 수직연장 형성되는 제 1연결부재와, 상기 제 1연결부재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 2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풍열기를 공중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고정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는 실내에 바람을 분출시켜 실내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며, 바람의 온도조절 및 세기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수단을 가지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거치대(60)를 구비하는 풍열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20), 안내덕트(31), 풍열기(10), 몸체부(61), 받침대(81), 거치대(6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우측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0)의 상면과 저면에는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를 풍열기(10)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유입부(21a, 21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40)과 공기배출의 세기를 조절하는 송풍조절수단(41)이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원선(22)을 감아 정리를 할 수 있으며, 저면의 공기유입부(21b)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풍열기(1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받침편(23)이 케이싱(20)이 저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편(23)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풍열기 자체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0)의 정면에는 공기의 배출경로를 변화시키도록 상, 하로 조절되는 상기 안내덕트(31)를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24)에 결합한다.
도 6은 도 4의 A부분 확대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덕트(31)는 케이싱(20)의 정면에 형성된 토출부(24)에 결합되어, 상, 하로 조절됨으로써 설치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유도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유도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덕트(31)로 상, 하 조절된 공기의 유로를 유동관(50a, 50b, 50c)을 통하여 직진 및 좌, 우, 후방으로 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싱(20)의 전면부이며, 토출부(24)가 형성된 부위에 상기 유도관(50a)을 대응되게 결합하여, 케이싱(20)의 상면과 저면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도관(50a)에 형성된 배출구(51)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도관(50a)은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방향으로 제작가능함은 당연하며, 상기 도 7에서는 많은 예시중 직진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유도관(50a), 좌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유도관(50b), 우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유도관(50c)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0)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된 공기유입부(21a, 21b)를 통 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32)을 통해 바람을 일으켜 풍열기(10)의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송풍팬(32)의 일측에 대향되어 설치되는 전열판(30)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조절수단(41)을 통해 송풍팬(32)의 모터회전수를 조절하여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고, 세기가 조절된 바람은 다시 전열판(30)을 거치되, 상기 온도조절수단(40)에 의해 전열판(30)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전열판(30)을 통과하는 바람의 온도를 사용자에 임의에 맞게 조절하게 된다.
더불어, 전열판(30)의 온도가 계속해서 올라가지 않도록 내부에서는 바이메탈(bimetal)을 이용하여 자동온도조절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절된 바람은 전열판(30)의 일측에 대향되어 상기 케이싱(20)의 토출부(24)에 결합되는 안내덕트(31)로 이동되고, 상기 안내덕트(31)의 상, 하 조절에 의해 바람의 유로가 1차로 바뀌게 된다.
이후, 상기 안내덕트(31)를 지나온 바람은 상기 케이싱(20)의 전면에 대응되며 결합되는 유도관(50a)을 거치며 상기 유도관(50a)의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설치자의 원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유도관(50a)은 여러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유도관(50a)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자에 의해 설치항목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농가의 시설하우스에 적용할 경우, 터널재배에서는 상기 배출구(51)에 호스를 결합하여 시설하우스 내 터널재배 공간에 온풍이 토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가 거치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는 'ㄷ' 자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풍열기(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거치공간(62)을 형성하는 몸체부(61)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61)의 하단에는 하단부와 교차되어 한 쌍의 이격된 고정부재(63)를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부재(63)는 풍열기(10)의 받침편(23)이 안착되도록 안착부(66)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안착편(67)을 두어 설치된 풍열기(10)가 전단이나 후단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보호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61)의 상단에는 고정수단(64')에 의해 상, 하로 길이가 조절되며 매달리는 보호커버(6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65)는 풍열기(10)를 보호하기 위해 풍열기(10)의 상면을 가릴 수 있을 만큼의 크기가 적당하고,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돔 형상(반구)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호커버(65) 또한, 외주면에 그물망과 같은 형상의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는 등 풍열기(10)를 보호한다는 같은 목적하에 재질 또는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보호커버(65)는 외부요인, 즉 빗물이나 벌레 등으로부터 풍열기(10)의 상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풍열기(10)의 상면에 대응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매달려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로 인해, 풍열기(10)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유입부(21a)로 빗물이 스며들거나, 벌레 등으로 막히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61)의 하단에는 저면을 향해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지지부재(70)가 결합이 된다. 상기 지지부재(70)는 돌출부재(80)가 내부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상, 하 이동되며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는데, 상기 돌출부재(80)는 판형의 받침대(81)의 중심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80)는 받침대(81)와 착탈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더불어 상기 받침대(81)는 중심을 향해 완만하게 상향경사지며 하부가 개구된 반구형 등 여러 형태로 형성되어 안전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재(80)와 지지부재(70)는 고정수단(64)에 의해 고정이 되며, 상기 고정수단(64)을 위해 돌출부재(80)와 지지부재(70)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관통공(68)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돌출부재(80)와 지지부재(70)의 관통공(68)을 각각 대응시킨 후 고정수단(64)으로 고정함으로써 사용자는 풍열기(10)를 거치대(60)에 안착시켜 원하는 높이와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더불어 상기 고정수단(64)은 볼트와 너트 등의 나사결합뿐만 아닌, 돌출부재(80)와 지지부재(70)가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는 여러형태로 변형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풍열기의 거치대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풍열기(10)를 공중에 매달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걸림바(99)와 같이 물체를 걸 수 있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61)의 상단에 고정수단(64)과 대응되며 결합되는 제 1연결부재(92)를 형성하되, 상기 제 1연결부재(92)는 관형상으로 내부가 비어있으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68')을 형성하다. 또한, 상기 제 1연결부재(92)의 관통공(68')에 대응되며 고정수단(64'')에 의해 고정되는 제 2연결부재(91)를 구비하여 지상에서 이격되어 매달 수 있도록 고정고리(90)를 형성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 1연결부재(92) 및 제 2연결부재(91) 또한 다수개의 관통공(68')으로 인해 상, 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의 부호 100은 공기(바람)의 유로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을 배출하여 실내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되, 온도조절수단과 송풍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바람의 온도 및 세기가 조절 가능하도록 풍열기가 구성되며, 안내덕트와 유도관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바람이 토출됨은 물론,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보호커버가 형성되고, 거치대를 구비하여 높이가 조절되며 일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고정고리를 형성하여 지면에서 이격되어 풍열기를 설치할 수 있어, 특히나 고유가 시대에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미니 난방기로써 농작물의 취약부분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원을 공급받아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32)과, 상기 송풍팬(32)의 일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발생되는 바람을 온풍으로 변환시키는 전열판(30)을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송풍팬(32)과 대향되는 공기유입부(21a, 21b)를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하는 케이싱(20) 및
    상기 케이싱(20)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부(24)에 내입 설치되어 배출되는 바람의 유로를 변경하도록 상, 하로 조절되는 안내덕트(31)로 이루어지는 풍열기(10)와;
    상기 풍열기(10)가 안착되도록 거치공간(62)을 형성하되, 하단에는 상기 풍열기(10)의 받침편(23)을 안착시켜 풍열기(10)가 부동되도록 상호 대향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63)를 길이방향과 교차 형성하고, 상부 일단에는 상기 풍열기(10)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풍열기(10)의 상면과 대응되며 일정간격 이격시키되, 고정수단(64')에 의해 매달려 위치가 조절되는 돔 형상의 보호커버(65)가 결합되는 몸체부(61) 및
    상기 몸체부(61)의 저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7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70)의 길이방향으로 상, 하 이동되되, 고정수단(64)에 의해 고정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돌출부재(80)를 상부로 수직연장 형성하는 받침대(81)로 이루어지는 거치대(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풍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열기(10)는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수단(40)과,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송풍조절수단(4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풍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열기(10)는 일정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유도관(50a)을 토출부(24)에 결합하여,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풍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풍열기는 받침대(81)를 대신하여 상기 몸체부(61)에 상부로 수직연장 형성되는 제 1연결부재(92)와, 상기 제 1연결부재(92)와 고정수단(64'')에 의해 고정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 2연결부재(9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풍열기(10)를 공중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고정고리(9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풍열기.
KR1020060119855A 2006-11-30 2006-11-30 미니 풍열기 KR100828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855A KR100828700B1 (ko) 2006-11-30 2006-11-30 미니 풍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855A KR100828700B1 (ko) 2006-11-30 2006-11-30 미니 풍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700B1 true KR100828700B1 (ko) 2008-05-09

Family

ID=3965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855A KR100828700B1 (ko) 2006-11-30 2006-11-30 미니 풍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7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765A (ko) * 2017-06-07 2018-12-17 임현택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CN112113331A (zh) * 2020-08-27 2020-12-22 耒阳市亚湘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温度可调的更换处理器用热风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946Y1 (ko) * 1999-11-16 2000-04-15 김대환 농축산용 열풍기
KR200277347Y1 (ko) * 2002-02-08 2002-06-03 김대환 농축산용 난방기
KR20020059230A (ko) * 2001-01-03 2002-07-12 박병길 열매체를 이용한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하는 난방기
KR200418630Y1 (ko) * 2006-02-21 2006-06-13 엄성만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온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946Y1 (ko) * 1999-11-16 2000-04-15 김대환 농축산용 열풍기
KR20020059230A (ko) * 2001-01-03 2002-07-12 박병길 열매체를 이용한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하는 난방기
KR200277347Y1 (ko) * 2002-02-08 2002-06-03 김대환 농축산용 난방기
KR200418630Y1 (ko) * 2006-02-21 2006-06-13 엄성만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온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765A (ko) * 2017-06-07 2018-12-17 임현택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KR101983737B1 (ko) * 2017-06-07 2019-05-29 임현택 사전 설치용 랙 타입 버스 덕트 보호장치
CN112113331A (zh) * 2020-08-27 2020-12-22 耒阳市亚湘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温度可调的更换处理器用热风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5111B2 (en) Lighting fixture for ceiling fan
US7828002B2 (en) Combined sunshade and heater with light
US9028211B2 (en) Lighting and heating assembly for a ceiling fan
KR20150121839A (ko)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KR100828700B1 (ko) 미니 풍열기
KR100912730B1 (ko) 비닐하우스용 전기 온풍기
KR20200059728A (ko) 가스 온풍기
KR20080004435U (ko) 전기온풍기
KR100912185B1 (ko) 열풍식 원적외선 전기히터.
KR20140104879A (ko) 농축산 생육시설의 내부환경 조절 시스템
KR200448835Y1 (ko) 비닐하우스용 히터
KR100269707B1 (ko) 원예용 난방장치
KR200217102Y1 (ko) 농,축산용 온풍기
KR20100005241U (ko) 비닐하우스용 전기온풍기
KR20200138954A (ko) 동파방지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
KR20160032427A (ko) 전기식 온풍장치
KR101588391B1 (ko) 부착형 전기 온풍 장치
KR102471265B1 (ko) 스탠드형 열풍기
US4637343A (en) Brooder unit and system
WO2015020620A1 (ru) Котел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водогрейный
CN210946173U (zh) 晾衣机
CN208519984U (zh) 一种易于散热的暖风机
CN220931219U (zh) 一种电加热取暖炉
KR200163433Y1 (ko) 확산열매체를이용한온풍기
GB2497798A (en) Body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