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311B1 -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311B1
KR101999311B1 KR1020180109192A KR20180109192A KR101999311B1 KR 101999311 B1 KR101999311 B1 KR 101999311B1 KR 1020180109192 A KR1020180109192 A KR 1020180109192A KR 20180109192 A KR20180109192 A KR 20180109192A KR 101999311 B1 KR101999311 B1 KR 101999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rt
transformer
housing
modu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영훈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훈전기(주) filed Critical 영훈전기(주)
Priority to KR1020180109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변압모듈과, 상기 하우징부 상판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 상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하우징부 상부면에 안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A transformer with improved workability}
본 발명은 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변압 모듈을 통해 상기 변압 모듈과 하우징부가 일체화된 변압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일체화된 변압 장치를 통해, 이송 작업 및 설치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변압장치는, 공급되는 전기를 일련의 장치를 통해 각 부하에 배분해 주고,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기나 보호 계전기 등과 같은 각종 단위 기기와, 이들 단위 기기를 부착 지지하는 구조물과, 상기 단위 기기를 접속 및 연결하는 도체(Busbar, Cable)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변압장치는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로써 길거리 등에 설치되는 옥외용 변압장치 및 학교나 빌딩, 아파트단지, 공장 등과 같은 집단 전력수요처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 및 제어하는 옥내용 변압장치로 구성되어 인명 및 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주 차단기와 다수개의 보조차단기에 연결된 부스바(bus-bar)를 통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전력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기존의 변압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기존의 변압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장소에 변압모듈을 이동시키고, 상기 변압모듈과는 별도로 하우징부를 상기 설치장소에 이동시킨 후, 크레인 등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설치장소에서 하우징부 내부에 상기 변압모듈을 안착시킨 후 결합시키는 시공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기존 변압장치의 구조로 인한 시공과정은 크레인을 이용한 변압모듈 상차과정, 하우징부 상차과정, 이후 별도의 운반차량으로 변압모듈 이송과정, 하우징부 이송과정을 각각 거친 후, 설치장소에 크레인을 이용한 변압모듈 하차과정 및 하우징부 하차과정을 완료함으로써, 상기 변압장치의 시공을 위한 준비 작업을 완료할 수 있었다.
이후, 기존 변압장치의 시공과정은 하우징부를 설치장소에 고정하는 시공과정을 거치고, 크레인과 작업자 등을 이용하여 하우징부 내부에 변압모듈을 이동시킨 후 상기 하우징부와 변압모듈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완료함으로써, 상기 변압장치에 대한 설치를 최종적으로 완료할 수 있었음에 따라, 상기 변압장치에 소요되는 인력 및 소요시간이 과도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아울러, 종래 사용되고 있는 변압장치의 이송 시, 상기 배전 변압기를 구성하는 각종 변압모듈의 고중량으로 인해, 별도의 견인 수단을 이용하여 이송하여야 하였고, 상기 견인 수단을 이용한 변압모듈의 이송 중에 상기 변압모듈과 상기 변압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상호 충돌하여, 상기 하우징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거나, 상기 하우징보다 고중량인 변압모듈이 중량에 의해 하우징과 분리되어 낙하됨에 따라 발생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공보 KR10-2014-0113156 A1 (발명의 명칭 :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KR 20-0411963 Y1 (발명의 명칭 : 배전반의 방열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변압모듈과 상기 변압모듈이 수용되는 하우징부를 일체화함으로써, 종래 변압장치의 설치과정에서 진행되어야 했던 변압모듈과 하우징부를 별도로 분리하여 반복적으로 진행되었던 상하차 작업을 포함한 복잡한 시공공정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변압장치의 설치 시공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설치장소에 하우징부의 상판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견인 수단을 진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된 고중량의 변압모듈과 상기 하우징부를 동시에 견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부에서 상기 변압모듈이 이탈 또는 분리되어 변압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변압모듈과, 상기 변압모듈을 둘러싸도록 상기 변압모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판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판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모듈의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부의 하판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는 도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변압모듈은 견인 수단의 견인용 고리가 결합되도록 상기 변압모듈의 상부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피견인용 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완전 개방시 상기 피견인용 고리의 상부 방향으로 상기 견인 수단의 피견인용 고리가 수직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동일 평면상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분할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 상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복수개의 커버 부재가 동일 평면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돌출부 상단에 구비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변압모듈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면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부는 다양한 크기의 변압모듈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 수단의 진입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좌우측 상판이 접철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좌우측 상판이 동일 평면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판재가 적층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판재가 적층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판재 사이에 구비되는 레일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변압장치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변압장치를 구성하는 변압모듈과 하우징부를 일체화시켜 이송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부와 일체화된 상태의 변압모듈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 수단을 원활하게 진입시켜 견인함으로써, 운송수단 및 설치장소에 대해, 반복적인 상하차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변압모듈과 하우징부를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변압장치의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여 시공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변압모듈과 하우징부를 결합함에 있어서, 설치 대상장소에 비해, 보다 쾌적한 환경을 가지는 제조공장에서 상기 변압 모듈과 하우징을 선 조립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결합공정 편의성 또한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개구부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좌우측 상판이 접철 및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견인 수단의 진입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버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부의 수용공간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변압모듈이 수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커버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수단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커버부 및 돌출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커버부 및 돌출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커버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수단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는, 하우징부(100), 변압모듈(200), 개구부(300) 및 돌출부(400) 및 커버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부(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변압모듈(200)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수용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부(100)의 형성을 통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변압모듈(200)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상기 변압모듈(200)의 작동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압모듈(200)은 일반적인 배전계통에 있어서 전압을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중량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중량보다 현저히 높은 고중량의 변압모듈(200)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압모듈(200)은 상기 변압모듈(2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프레임(210a)과 상기 변압모듈(200)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프레임(210b)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상부 프레임(210a)의 일측면은 상기 변압모듈(200)의 상부면과 결합되고, 타측면에는 견인 수단의 견인용 고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견인용 고리(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210b)의 일측면은 상기 변압모듈(200)의 저면과 결속되며, 타측면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하판(100b)과 견고하게 결속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10b)을 통해,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되는 피견인용 고리(220)를 통한 견인 이동시에도 상기 변압모듈(200)과 하우징부(100)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판(100a)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300)의 형성을 통해, 고중량의 상기 변압모듈(200)을 하우징부(100)의 수용공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견인 케이블 등을 포함한 견인 수단을 상기 개구부(300)로 진입시켜, 상기 변압모듈(200)과 하우징(100)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변압모듈(200)의 고중량으로 인해, 상기 변압모듈(200)의 이동 시 별도의 견인 수단이 필요하게 되며, 상기 견인 수단을 통해 상기 변압모듈(200)이 결합된 하우징부(100)만을 견인하게 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100)에 비해 현저히 고중량을 가지는 변압모듈(200)이 상기 하우징부(10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300)를 통해, 상기 견인 수단을 진입시키고, 변압모듈(200)에 형성되는 피견인용 고리(220)와 상기 견인 수단을 결속시켜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상기 변압모듈(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구부(300)의 형성 면적은 상기 변압모듈(200)이 상부면 면적보다 좁도록 형성하여, 견인 수단을 이용한 견인 중에 상기 변압모듈(200)이 개구부(300)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개구부(300)의 형성을 통해, 상기 변압모듈(200)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 수단을 간편하게 진입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변압장치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개구부(300)의 형성을 통해, 냉각풍이 도달하지 않는 구역(변압모듈의 상부측)인 데드존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변압모듈(200)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냉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부(4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수용 공간으로 빗물을 포함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압모듈(200)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개구부(30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개구부(30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커버부(5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커버 부재(510a, 510b)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510a, 510b)가 동일 평면상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분할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개구부(30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500)의 저면에는 커버 부재(510a, 510b)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수단(520)이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수단(520)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0)의 수용공간에 안착된 변압모듈(200)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커버 부재(510a, 510b)를 포함하는 커버부(500)를 통해, 상기 커버부(500)가 개구부(300)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술한 견인 수단이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의 진입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 개의 커버 부재(510a, 510b)가 대향되어 맞닿는 단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일측의 커버부재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커버부재에는 상기 단턱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홈부를 형성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복수 개의 커버 부재(510a, 510b)가 대향되어 맞닿는 단부에 상기 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석 및 변형 가능한 고분자 소재 등을 포함하는 방수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하우징부(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도어(60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도어(600)의 형성을 통해, 하우징부(100)의 수용공간에 안착된 변압모듈(200)에 대해 보다 손쉬운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00)의 측부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공기 유입공(7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공기 유입공(700)의 형성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0)의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변압모듈(200)에 의해 발생되는 열 및 내부공기를 상기 커버부(500)와 개구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방열유로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공기 유입공(700)의 형성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차가운 외부공기가 고온의 상기 변압모듈을 냉각시킨 후, 고온화되어 자연 대류현상에 의해 상부의 상기 방열유로 및/또는 개구부(300)로 배출될 수 있어, 별도의 송풍장치 없이 자연 대류현상 만으로 냉각용 공기유동 및/또는 방열용 공기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부(100)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외부공기 유입공(700)의 내측면에는, 외부공기의 먼지 또는 이물질 또는 수분을 여과하는 필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되어 상기 변압모듈(200)이 상기 이물질이나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변압모듈(200)의 고장이나 파손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우징부(100)의 측부 상단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공기 배출구(700)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대류를 보다 활성화시켜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는(5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소재가 가지는 열전도율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부(100)는 스테인리스 스틸, 주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100)의 소재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커버부(500)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평형에 의해 상기 커버부(500)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하우징부(100) 측에서,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커버부(500)측으로 고온의 내부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하우징부(100)에서 커버부(500)측으로의 공기유동에 의해 방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400)는 상기 개구부(3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판(100a)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돌출부(4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수용공간으로 빗물을 포함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변압모듈(200)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제어하여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부(400)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00)의 돌출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절곡면(41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면(410)의 형성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커버부(500)에 마련되는 가이드 수단(520)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부(5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30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개구부(30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단에 안착되고,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커버 부재(510a, 510b)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510a, 510b)가 동일 평면상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분할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개구부(30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510a, 510b)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바퀴 부재(521)와 상기 바퀴 부재(521)를 지지하는 바퀴 지지 수단(52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수단(520)이 상기 커버부(500)의 저면과 돌출부(400) 상부면 사이에 마련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500)의 전후 좌우측 말단에는, 상기 커버부의 전후 좌우측 말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방수 방진부(540)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수 방진부(540)의 형성을 통해, 상기 돌출부(400)와 커버부(500) 저면간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물이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방수 방진부(540)와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판간의 이격거리를 상기 상기 돌출부(400)와 커버부(500) 저면간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의 높이보다 좁게 형성하여, 상기 방수 방진부(540)와 하우징부(100) 상판 사이로 방열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가 빠른 속도로 외부를 향해 유출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 또는 물의 침투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커버부 및 돌출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커버부 및 돌출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커버부(500)의 저면과 돌출부(400)의 상부면이 상호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400)에 형성되는 절곡면(410)의 일부 면적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 수단(520)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절곡면(410)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돌출부(400)의 돌출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00)의 일면과 절곡면(410)이 이루는 각도(α)가 1° 내지 179°의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400)의 일면과 절곡면(410)이 이루는 각도(α)가 1°미만인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차단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며, 상기 각도(α)가 179°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100)의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변압모듈(200)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수단(5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복수개의 상기 지지 수단(520)가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수단(520)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변압모듈(200)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400)의 일면과 절곡면(410)이 이루는 각도(α) 변화에 따라, 상기 지지 수단(520)의 길이가 자유롭게 변동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 수단(520)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부(500)의 저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별도의 바퀴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3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압장치를 이동 시, 상기 하우징부(100)의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변압모듈(2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변압모듈(200)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지지 프레임(8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변압모듈(200)을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으로 진입시켜 본 발명의 변압 장치를 조립하는 경우에, 상기 지지 프레임(800)을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변압모듈(200)과 지지 프레임(800)간의 간섭을 최소화 하여, 상기 변압모듈(200) 또는 지지 프레임(80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 프레임(800)은 상기 변압모듈의 유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복수의 지지바가 상호 교차되는 형상을 지닐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충격력이 집중되는 교차점에 별도의 충격흡수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지지 프레임(800)을 통해, 상기 변압모듈(200)이 하우징부(100)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100)의 파손 및 변압모듈(20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4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300)를 기준으로, 좌우측의 하우징부(100) 상판(100a)이 접철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판(100a)이 복수개의 판재(110a, 110b)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판재(110a, 110b)가 상호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견인 수단의 상기 하우징부(100)의 수용공간으로의 진입 용이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판재의 일부가 하방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 부재(120)가 상기 복수개의 판재(110a, 110b) 상방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5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의 제 5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 4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판이 복수개의 판재(110a, 110b)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복수개의 판재(110a, 110b)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판재(110a, 110b) 중 어느 하나의 판재(110a)가 동일 평면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판재(110a, 110b)를 연결하는 레일 수단(1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견인 수단의 상기 하우징부(100)의 수용공간으로의 진입 용이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본 발명의 변압장치에 향상된 시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부의 상판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견인 수단을 진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된 고중량의 변압모듈과 상기 하우징부를 동시에 견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부에서 상기 변압모듈이 이탈 또는 분리되어 변압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부
100a: 상판
100b: 하판
110a, 110b: 판재
120 : 힌지 부재
130 : 레일 수단
200 : 변압모듈
210a : 상부 프레임
210b : 하부 프레임
220 : 피견인용 고리
300 : 개구부
400 : 돌출부
410 : 절곡면
500 : 커버부
510a, 510b : 커버 부재
520 : 가이드 수단
521 : 바퀴 부재
522 : 지지 부재
530 : 지지 수단
540 : 방수 방진부
600 : 도어
700 : 외부공기 유입공
800 : 지지 프레임
F : 방열유로

Claims (8)

  1.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변압모듈;
    상기 변압모듈을 둘러싸도록 상기 변압모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판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판에 구비되는 커버부;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변압모듈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변압모듈을 기준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이 상호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하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변압모듈의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부의 하판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는 도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모듈은,
    견인 수단의 견인용 고리가 결합되도록 상기 변압모듈의 상부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피견인용 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완전 개방시 상기 피견인용 고리의 상부 방향으로 상기 견인 수단의 피견인용 고리가 수직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동일 평면상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분할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 상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복수개의 커버 부재가 동일 평면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돌출부 상단에 구비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다양한 크기의 변압모듈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 수단의 진입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좌우측 상판이 접철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가 힌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좌우측 상판이 동일 평면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판재가 적층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판재가 적층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판재 사이에 구비되는 레일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KR1020180109192A 2018-09-12 2018-09-12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KR101999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92A KR101999311B1 (ko) 2018-09-12 2018-09-12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92A KR101999311B1 (ko) 2018-09-12 2018-09-12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311B1 true KR101999311B1 (ko) 2019-07-15

Family

ID=6725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192A KR101999311B1 (ko) 2018-09-12 2018-09-12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440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아이이엔한창 모듈형 보호 및 점검장치를 구비한 지상 변압기
KR102412576B1 (ko) * 2021-12-29 2022-06-24 제룡전기 주식회사 패드 변압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053A (ja) * 1991-08-23 1993-03-05 Toshiba Corp 誘導電器の現地組立用ハウス
JPH1131623A (ja) * 1997-07-11 1999-02-02 Nissin Electric Co Ltd 密閉型変圧器
KR200411963Y1 (ko) 2006-01-11 2006-03-21 손석환 배전반의 방열장치
KR20140113156A (ko) 2013-03-15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59934B1 (ko) * 2015-05-20 2015-10-14 주태민 변압기 케이스
KR101601905B1 (ko) * 2015-12-15 2016-03-10 (주)화신파워텍 변전용 변압기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053A (ja) * 1991-08-23 1993-03-05 Toshiba Corp 誘導電器の現地組立用ハウス
JPH1131623A (ja) * 1997-07-11 1999-02-02 Nissin Electric Co Ltd 密閉型変圧器
KR200411963Y1 (ko) 2006-01-11 2006-03-21 손석환 배전반의 방열장치
KR20140113156A (ko) 2013-03-15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59934B1 (ko) * 2015-05-20 2015-10-14 주태민 변압기 케이스
KR101601905B1 (ko) * 2015-12-15 2016-03-10 (주)화신파워텍 변전용 변압기의 설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440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아이이엔한창 모듈형 보호 및 점검장치를 구비한 지상 변압기
KR102250102B1 (ko) * 2019-08-14 2021-05-10 주식회사 아이이엔한창 모듈형 보호 및 점검장치를 구비한 지상 변압기
KR102412576B1 (ko) * 2021-12-29 2022-06-24 제룡전기 주식회사 패드 변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1510B2 (en) Modular distributing panel including a transformer
KR101999311B1 (ko) 시공성이 향상된 변압장치
EP3263803B1 (en) Substation
CN209896529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防水防腐开关柜
CN105762693B (zh) 新型箱式变电站
CN105762692B (zh) 箱式变电站
WO2015129209A1 (ja) 配電盤システム
KR100822668B1 (ko)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KR200422854Y1 (ko) 입출식 배치함을 갖는 수배전반
KR200483834Y1 (ko) 배전반 외함 조립체
KR101403013B1 (ko) 수배전반
KR20140040871A (ko) 조립식 태양광 발전 장치
WO2019156327A1 (ko) 전력 변환 장치용 컨테이너
KR102168078B1 (ko) 방열성능이 향상된 배전 변압 장치
CN109863837B (zh) 激光器配电模块
CN210380211U (zh) 一种高压电缆分接箱
CN217428000U (zh) 逆变器及逆变系统
KR102261656B1 (ko) 수배전반
CN117716590A (zh) 变电站
CN114243528A (zh) 一种储能逆变升压一体机
JP5761885B1 (ja) 配電盤システム
KR101838735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환경개선형 내진 수배전반
CN209472273U (zh) 一种低压抽出式开关柜
KR20200070642A (ko) 하우징 일체형 변압장치
KR200408996Y1 (ko) 고전압 개폐기의 외함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