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574A - 센서를 이용한 야간 횡단보도 조명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야간 횡단보도 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574A
KR20180133574A KR1020170069959A KR20170069959A KR20180133574A KR 20180133574 A KR20180133574 A KR 20180133574A KR 1020170069959 A KR1020170069959 A KR 1020170069959A KR 20170069959 A KR20170069959 A KR 20170069959A KR 20180133574 A KR20180133574 A KR 20180133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ght
day
pedestrian
lighting
cross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현
Original Assignee
고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현 filed Critical 고지현
Priority to KR102017006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574A/ko
Publication of KR2018013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횡단 교통사고율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횡단보도 야간 이용자가 있을 시 조명을 밝혀주는 안전 기술 이다. 본 발명의 경제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 물체와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인식 센서로 빛 센서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주야에 대한 정보와 압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 이하의 빛의 양일 경우 야간으로 구분하고 일정 범위의 무게일 경우 보행자로 인식하여 조명을 작동시킨다. 이때 제어 모듈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는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한 야간 횡단보도 조명{Nighttime crosswalk lighting with sensors}
본 발명은 야간 횡단 교통사고율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횡단보도 야간 이용자가 있을 시 조명을 밝혀주는 안전 기술이다. 본 발명의 경제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 물체와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인식 센서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의 무게일 경우 보행자로 인식하여 조명을 작동시킨다.
기존의 횡단보도의 경우 야간에는 보행자 신호등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그럴 경우 운전자 신호등도 횡단보도의 유무만 알려줄 뿐, 실제 보행자의 유무를 확실히 나타내지 못해 과속을 하는 차량이 허다하다.
일부 횡단보도의 경우 기존의 야간보행자를 위한 조명 기술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기술은 사람이 없을 때도 계속 조명을 작동시켜 경제적인 측면에서 낭비가 심하다.
본 기술은 사람이 있을 때만 횡단보도에 조명을 비추어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울 뿐만 아니라 사람이 없을 때 소모되는 조명의 전력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이다.
한국 특허등록 번호 1016744430000 한국 특허등록 번호 1020110100033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보행자 사고율은 45%에 달해 OECD 가입국가의 평균치인 10%대 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주간보다 야간에 1.6배 이상 많은 사고가 발생한다는 실태로 본 발명은 야간 횡단보도의 개선을 통해 높은 야간 보행자 사고율을 줄이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보행자의 횡단 허용 여부를 감지하는 횡단상황센싱기, 주야여부를 가려주기 위한 주야구분센싱기, 횡단보도를 비춰주기 위한 조명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단상황센싱기는, 보호자 신호등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야구분센싱기는, 보호자 신호등에 설치되어 빛의 정도에 따라 주야를 구분하는 빛센서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은, 횡단상황센싱기와 주야구분센싱기를 거친 신호에 따라 작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횡단보도의 유무가 아닌 보행자의 유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과 보행자가 없을 때에도 계속 전력이 낭비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먼저, 전력을 낭비하지 않는 경제성에서 효과를 볼 수 있다. 보행자를 감지할 때에만 조명이 켜지도록 설계되어 있어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곧 더 많은 보급으로 이어질 것이다.
다음으로는 보행자가 있을 때만 조명이 작동하는 방식에 있어 운전자의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확실히 보행자가 있다고 인지하는 것은 밤길 신호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과속을 하는 운전자들에게 경고의 의미로 다가올 것이다. 이로 인해 보행자의 심리적 안정 또한 바라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5]을 참고하면 먼저 주야를 판단해줄 (1)빛 센서, 보행자의 유무를 판단 할 횡단보도 전반의 (2)압력 센서, 횡단보도에 빛을 비춰줄 (3)조명이 필요하다. 또한 수집한 정보를 분석할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필요하고 신호를 보낼 무선 통신 모듈과 압력 센서 제어 모듈, 조명 제어 모듈이 필요하다.
먼저 빛 센서가 빛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분석하여 주야를 판단한다. 만약 야간이라면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압력 센서 제어 모듈에 신호를 보낸다. 신호를 받은 압력 센서 제어 모듈이 압력 센서를 실행시켜 압력이 가해질 시 압력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 정보를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분석하여 가벼운 물건인지, 차량인지, 사람인지 등을 구분하여 보행자의 여부를 판단한다. 사람이라고 판단될 시 압력 센서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조명 센서 제어 모듈에 신호를 보내고 해당 모듈이 조명을 실행시킨다.
이러한 구성품의 상호작용에서 야간에 보행자가 있을 때에만 조명이 실행되게 되는 것이다. 일부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멀리서도 확실하게 횡단보도는 물론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그저 횡단보도의 유무를 알리는 것에만 집중했던 것과는 확실히 다른 효과를 발생시킨다. 경제성은 물론 조명이 켜져 있는 경우에는 상황을 판단하여 조심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 주의를 가지고 기다려야한다는 점에서 과속을 하던 도중 가까이에 가서 판단하는 것과는 큰 차이를 불러일으킨다. 멀리서부터 속도를 줄이게 되는 것이다. 운전자에게의 정확한 경각심이 곧 보행자의 안정을 불러오고 교통사고율도 줄이게 되는 것으로 이어질 것이다.
12: 빛 센서 13: 횡단보도 전반부의 압력 센서
14: 조명

Claims (2)

  1.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보행자의 횡단 허용 여부를 감지하는 횡단상황센싱기;
    주야여부를 가려주기 위한 주야구분센싱기;
    횡단보도를 비춰주기 위한 조명;
    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횡단상황센싱기는,
    보호자 신호등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주야구분센싱기는,
    보호자 신호등에 설치되어 빛의 정도에 따라 주야를 구분하는 빛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은,
    횡단상황센싱기와 주야구분센싱기를 거친 신호에 따라 작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의 상황인지 모델링부는,
    횡단보도 영역에 대한 영상을 적응적 가우시안 혼합모델로 모델링할 시에, 완전 점등으로 조명된 영역만 완전 점등된 시간에 맞추어 업데이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적응적 점등식 에너지절약형 횡단보도 안전조명장치.

KR1020170069959A 2017-06-07 2017-06-07 센서를 이용한 야간 횡단보도 조명 KR20180133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959A KR20180133574A (ko) 2017-06-07 2017-06-07 센서를 이용한 야간 횡단보도 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959A KR20180133574A (ko) 2017-06-07 2017-06-07 센서를 이용한 야간 횡단보도 조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574A true KR20180133574A (ko) 2018-12-17

Family

ID=6500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959A KR20180133574A (ko) 2017-06-07 2017-06-07 센서를 이용한 야간 횡단보도 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5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87A (ko) 2019-05-08 2020-11-18 신재훈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안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87A (ko) 2019-05-08 2020-11-18 신재훈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955B1 (ko) 횡단보도 교통 평온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US9947216B2 (en) Pedestrian safe crossing vehicle indication system
KR101408029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US10773644B2 (en) Warning system for a turning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KR20120095538A (ko) 교통신호등과 연계되는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방법
KR101140531B1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KR20190013363A (ko)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CN201346254Y (zh) 导航盲杖
KR20100050747A (ko) 횡단보도 경보기
KR20200115911A (ko) 볼라드형 조명 장치
KR20180133574A (ko) 센서를 이용한 야간 횡단보도 조명
CN104791661A (zh) 人行横道自动探照警示系统
KR20080031234A (ko) 횡단보도 교통신호 제어 방법
KR101012690B1 (ko) 3지 교차로 신호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202003510U (zh) 路桥车辆超高自动报警装置
CN206279464U (zh) 一种人行横道的安全通行警示装置
KR20230124813A (ko) 우회전 차량 안전 확보 시스템
CN209149579U (zh) 一种人行横道夜间安全通行装置
CN209912137U (zh) 一种行人通过人行道警示机动车避让装置
KR102212862B1 (ko) 볼라드형 교통 신호 장치
CN209591092U (zh) 一种用于人行横道的智能交通装置
KR101762871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200468767Y1 (ko) 차량 정체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KR200426097Y1 (ko) 야간 횡단보도 보행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