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152A -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과 그레이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과 그레이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152A
KR20180132152A KR1020187033665A KR20187033665A KR20180132152A KR 20180132152 A KR20180132152 A KR 20180132152A KR 1020187033665 A KR1020187033665 A KR 1020187033665A KR 20187033665 A KR20187033665 A KR 20187033665A KR 20180132152 A KR20180132152 A KR 20180132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knitting
pattern data
size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800B1 (ko
Inventor
고이치 데라이
고지 다케다
다케노리 다카쓰카
다카히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13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과 게이지 데이터를 기억하고, 게이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 데이터를 편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시험편성한다.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를 비교하여,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수정한다.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의 수정량을 2사이즈 분량 기억하고, 기억한 수정량에 의거하는 보간 또는 외삽에 의하여, 다른 사이즈에 대한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수정한다.

Description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과 그레이딩 시스템
본 발명은, 슈즈 어퍼(shoe upper) 등의 니트제품의 그레이딩(grading)에 관한 것이다.
슈즈 어퍼, 스포츠용 또는 교정용의 니트웨어, 산업자재용의 니트제품 등의 니트제품에서는, 공통의 기본적인 디자인을 다양한 사이즈의 디자인으로 전개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만약 각 사이즈의 니트제품이 유사하다면, 1사이즈의 니트제품의 데이터를 축소/확대하여, 다른 사이즈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각 사이즈의 니트제품은 유사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사이즈별로 니트제품의 시험편성을 반복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슈즈 어퍼를 24㎝에서 30㎝까지 0.5㎝ 간격의 13사이즈로 하고, 13사이즈의 슈즈 어퍼에 대하여 시험편성을 반복하여, 목표하는 바의 슈즈 어퍼를 편성할 수 있는 편성 데이터를 얻는 것은 큰일이다.
특허문헌1(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175082호 공보)은, 시험편성을 하지 않고 목표 사이즈의 편성포(編成布)를 얻기 위하여,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포의 사이즈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편성포 사이즈의 오차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면, 편성포의 디자인을 나타내는 패턴 데이터 등을 수정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사이즈의 편성포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슈즈 어퍼에서는, 편성 후 사이즈의 정밀도가 높을 것이 요구되어, 편사(編絲)의 물성, 편성기(編成機)의 기구(機構)의 영향 등도 고려하여 정확하게 편성 후의 사이즈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목표 사이즈의 편성포를 얻을 수 있는 편성 데이터를 시험편성 없이 얻는다는 것은 실제적이지 않다. 이것은 편성 후 사이즈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다른 니트제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175082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니트제품을 그레이딩할 때의 시험편성의 횟수를 줄이는 것에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사이즈의 니트제품을 시험편성함으로써, 다른 사이즈의 니트제품에 대한 시험편성을 불필요 또는 경감시키는 것에 있다.
그레이딩 시스템(grading system)을 사용하여, 사이즈가 다른 니트제품의 편성 데이터(knitting data)를 3사이즈 이상 구하기 위하여,
a : 니트제품의 패턴 데이터(pattern data)를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으로 하여, 그레이딩 시스템에 입력하는 스텝과,
b : 스티치의 코스방향 사이즈와 웨일방향 사이즈를 나타내는 게이지 데이터(gauge data)를 그레이딩 시스템에 입력하는 스텝과,
c : 그레이딩 시스템에 의하여, 게이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 데이터를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으로 변환하고,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에 의거하여 편성기(編成機)로 니트제품을 시험편성하는 스텝과,
d :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를, 수동으로 또는 그레이딩 시스템에 의하여 비교하는 스텝과,
e :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의 오차가 소정의 범위를 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또는 그레이딩 시스템에 의하여 편성 데이터를 수정하고, 수정한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기로 니트제품을 시험편성하는 스텝을
하고,
f :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와 패턴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이즈의 오차가 소정의 범위 내에 들 때까지, 스텝d, e를 반복한다.
본 발명의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은,
g : 스텝c∼f를 다른 사이즈의 적어도 2개의 니트제품에 대하여 실행함과 아울러,
h : 스텝f에서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의 오차가 소정의 범위 내에 들었을 때에, 스텝f에서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편성 데이터 또는 그 패턴 데이터에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 또는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으로부터의 수정량을 그레이딩 시스템에 의하여 구하는 스텝과,
i : 스텝h에서 구한 적어도 2사이즈에 대한 수정량에 의거하는 보간(補間) 또는 외삽(外揷)에 의하여, 시험편성하고 있지 않은 각 사이즈에 대한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그레이딩 시스템에 의하여 수정하는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시스템은,
입력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스티치의 코스방향 사이즈와 웨일방향 사이즈를 나타내는 게이지 데이터의 입력값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게이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 데이터를 편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수단을
구비하고,
편성 데이터에 따라 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에 가까워지도록 편집하기 위하여, 수동입력에 의하여 또는 자동적으로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수단과,
편집수단에서의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의 수정량을 적어도 2사이즈 분량 기억하고, 기억한 수정량에 의거하는 보간 또는 외삽에 의하여 다른 사이즈에 대한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수정하는 수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2사이즈의 니트제품에 대하여 시험편성에 의하여 편성 데이터를 수정한다. 그러나 3사이즈째 이후로는, 수정량의 보간 또는 외삽에 의하여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 또는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3사이즈 이상의 니트제품에 대해서는 시험편성에 의하여 편성 데이터를 수정하고, 그 이후의 니트제품에 대해서는 보간 또는 외삽에 의하여 피드백하여도 좋다. 3사이즈 이상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차곡선에 의한 보간 또는 외삽을 할 수 있다. 또한 패턴 데이터는, 게이지 데이터가 있으면 편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패턴 데이터와 편성 데이터를 연관시킴으로써, 편성 데이터의 수정량을 알 수 있다면 패턴 데이터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그레이딩 방법에 관한 기재는 그대로 그레이딩 시스템에도 적용되고, 반대로 그레이딩 시스템에 관한 기재는 그대로 그레이딩 방법에도 적용된다. 또한 코스방향은 편사가 연속하도록 스티치가 연결되어 있는 방향을 나타내고, 웨일방향은 스티치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는 방향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는 코스방향과 직각인 방향이다.
패턴 데이터와 편성 데이터를 연관시키기 위하여, 이들의 윤곽을 연관시킨다. 또한 이들의 윤곽을 다른 사이즈에서의 윤곽과 연관시킨다. 윤곽을 연관시키기 위해서는, 윤곽을 따르는 위치별로 수정량을 기억하고, 윤곽 상의 위치를 사이즈가 달라져도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그래서 윤곽 상의 위치를 변수로 하여 수정량을 나타내는 함수 등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특징점을 직접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추상적인 처리는 실행이 어렵다.
그래서 바람직하게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에서는,
j : 패턴 데이터 및 편성 데이터의 사이에서 서로 대응하고, 또한 사이즈가 다른 패턴 데이터 사이에서도 서로 대응하는 복수의 특징점을, 패턴 데이터의 윤곽 및 편성 데이터에서의 편성포의 윤곽을 따라 그레이딩 시스템이 지정하는 스텝을 실행하고,
k : 스텝h에서는, 스텝f에서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편성 데이터 또는 그 패턴 데이터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 또는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과의 사이에서의 특징점의 이동량에 의거하여, 그레이딩 시스템은 각 특징점에 대한 수정량을 구한다.
이와 같이 하면, 특징점에 의하여 패턴 데이터와 편성 데이터가 대응하고, 또한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특징점이 서로 대응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1개의 사이즈의 편성 데이터에 관련한 특징점과, 다른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의 특징점을 대응시킬 수 있다. 특징점의 수정량에 의하여, 패턴 데이터도 편성 데이터도 수정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도 수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니트제품은 특성이 다른 복수의 에어리어(area)로 이루어지고, 스텝j에서 그레이딩 시스템은, 에어리어 사이의 경계에도 특징점을 지정한다.
니트제품의 윤곽 뿐만이 아니라 니트제품의 에어리어의 사이즈도, 패턴 데이터에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사를 변경하거나, 편성조직을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하여 니트제품에 디자인이 되어 있는 경우에, 이들의 디자인을 패턴 데이터대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정량은, 코스방향의 수정량과 웨일방향의 수정량으로 이루어지고,
코스방향의 수정량은, 특징점의 이동량과 코스방향에서의 니트제품의 편성폭의 비이며,
스텝i에서는, 보간 또는 외삽에 의하여 구한 수정량에 각 사이즈의 코스방향에서의 니트제품의 편성폭을 곱함으로써,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수정한다.
코스방향에서는, 이동량 자체를 수정량으로 하여 보간 또는 외삽하는 것보다도, 이동량과 코스방향에 있어서의 편성폭의 비를 수정량으로 하는 쪽이 더 정확한 사이즈의 니트제품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이에 대하여 웨일방향에서는, 이동량 자체를 수정량으로 하더라도, 이동량과 웨일방향에 있어서의 편성길이(knitting length)의 비를 수정량으로 하더라도, 큰 차이는 없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니트제품은 풋웨어이다. 풋웨어는 일반적으로 사이즈가 다양하고, 특히 슈즈 어퍼의 패턴 데이터는 사이즈별로 유사하게 변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레이딩에서의 시험편성이 특히 부담스럽다. 이 때문에, 시험편성을 줄이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또한 풋웨어 이외에 교정용 또는 스포츠용의 니트웨어에 있어서도, 패턴 데이터대로의 사이즈의 니트웨어가 요구되어 다수의 시험편성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적합하다. 또한 산업자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사이즈의 니트제품의 편성 데이터가 본체부(本體部)와 분할부(分割部)를 구비할 때에,
스텝h에서는,
h-1 : 시험편성한 적어도 2사이즈의 니트제품의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분할부를 슬라이드시켜 본체부에 통합한 통합 데이터와, 분할부를 분리하여 본체부를 남긴 본체 데이터의 2종류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h-2 : 시험편성한 각 사이즈에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에서 통합 데이터로의 수정량과,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에서 본체 데이터로의 수정량의 2종류의 수정량을 발생시키고,
스텝i에서는,
i-1 : 시험편성하고 있지 않은 각 사이즈에 대하여, 시험편성한 각 사이즈에서의 2종류의 수정량을 보간 또는 외삽하도록 하여,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수정하여 2종류의 수정 패턴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각 수정 패턴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정 통합 데이터와 수정 본체 데이터의 2종류의 편성 데이터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i-2 : 시험편성하고 있지 않은 각 사이즈에 대하여, 수정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고 또한 수정 본체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에어리어를 차분(差分)에 의하여 구하고, 구한 에어리어를 통합할 때와는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분할부를 나타내는 에어리어를 발생시키고,
i-3 : 시험편성하고 있지 않은 각 사이즈에 대하여, 분할부를 나타내는 에어리어를 수정 본체 데이터에 부가함으로써, 수정이 완료된 편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편성 데이터가 본체부와 분할부를 구비하는 니트제품을 처리대상으로 하기 위하여, 그레이딩 시스템은,
편집수단에 의하여 편집이 완료된 편성 데이터에 대하여, 분할부를 본체부에 통합하도록 슬라이드시킨 통합 데이터로 하는 슬라이드 수단과,
편집수단에 의하여 편집이 완료된 편성 데이터에 대하여, 분할부를 분리하여 본체부를 남긴 본체 데이터로 하는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정수단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에서 통합 데이터로의 수정량과,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에서 본체 데이터로의 수정량의 2종류의 수정량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다른 사이즈에 대하여 2종류의 수정량을 보간 또는 외삽하도록 하여,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수정하여 2종류의 수정 패턴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각 수정 패턴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정 통합 데이터와 수정 본체 데이터의 2종류의 편성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수정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고 또한 수정 본체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에어리어를 차분에 의하여 구하는 차분수단(差分手段)과,
차분수단으로 구한 에어리어를 통합할 때와는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분할부를 나타내는 에어리어를 발생시키는 슬라이드 해제수단과,
수정 본체 데이터에 분할부를 나타내는 에어리어를 부가함으로써, 수정이 완료된 편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분할부는, 예를 들면 되돌림(flechage)에 의하여 편성하는 되돌림부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할부를 구비하는 니트제품에서, 시험편성에 의하여 최적의 편성 데이터 또는 패턴 데이터를 얻더라도, 분할부와 본체부의 경계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는 쉽게 알 수 없다.
그래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통합 데이터와 본체 데이터에 연관시켜, 수정량을 구한다. 적어도 2사이즈에서 구한 수정량을 보간 또는 외삽하면, 다른 사이즈에 대한 수정량을 얻을 수 있어, 수정 통합 데이터와 수정 본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의 차로 이루어지는 에어리어는, 본체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킨 분할부를 나타낸다. 그래서 이 에어리어를 통합할 때와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각 사이즈에서의 분할부의 형상이 정해지고, 이것을 수정 본체 데이터에 부가하면 각 사이즈에서의 수정이 완료된 패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분할부가 존재하더라도 그레이딩을 할 수 있다. 또한 수정 본체 데이터에 부가한다는 것은, 수정 통합 데이터에서 분할부에 대응하는 에어리어를 제외한 것에 부가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텝i-2에서는, 구한 에어리어가 상변(上邊)과 하변(下邊)을 구비하는 다각형에 근사(近似)하고, 상변과 하변 중의 긴 쪽이 수평이 되도록 구한 에어리어를 슬라이드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용이하게 슬라이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니트제품을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편성하는 것으로 하여 데이터의 상하를 나타내고, 편성 데이터에서의 수평방향은 편성의 코스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텝h-1에서 통합 전의 분할부의 형상의 특징을 기억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i-2에서는, 통합 전의 분할부의 형상에 가까워지도록 에어리어를 슬라이드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분할부의 형상이 복잡하여 상변도 하변도 원래는 수평이 아닌 경우 등에 있어서도, 슬라이드를 해제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의 그레이딩 시스템과 주위의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실시예의 그레이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그레이딩의 준비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4는, 실시예의 그레이딩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5는, 실시예에서의 패턴 데이터와 특징점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편성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코스방향의 사이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코스방향을 따르는 보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웨일방향을 따르는 보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시험편성샘플의 사이즈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를 시스템이 비교하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실시예2에서의 패턴 데이터와 얻어진 편성 데이터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1(a)는 최소 사이즈의 샘플에서의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도11(b)는 최대 사이즈의 샘플에서의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도11(c)는 최소 사이즈의 샘플에 대한 시험편성 후의 편성 데이터를, 도11(d)는 최대 사이즈의 샘플에 대한 시험편성 후의 편성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12는, 실시예2의 그레이딩 시스템의 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3은, 실시예2에서의 알고리즘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14는, 되돌림부를 슬라이드하여 본체부에 통합한 편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4(a)는 최소 사이즈의 샘플에 대한 편성 데이터를, 도14(b)는 최대 사이즈의 샘플에 대한 편성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15는, 중간 사이즈에 대하여, 최대 사이즈와 최소 사이즈의 시험편성 후의 편성 데이터에 따라 수정한 편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5(a1)은 되돌림부가 없는 데이터를, 도15(a2)는 되돌림부가 있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16은, 중간 사이즈에 대한 되돌림부의 데이터의 생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5의 우측의 데이터와 좌측의 데이터의 차를 도16(a)에 나타내고, 도16(a)의 데이터를 상변이 수평이 되도록 슬라이드를 해소한 데이터를 도16(b)에 나타낸다.
도17은, 도16(b)의 데이터와 도15(a1)의 데이터를 정형함으로써 얻은 수정 후의 편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은, 도18(a)의 좌우 각 2개의 되돌림이 있는 편성 데이터에 대하여, 도18(b)에서 색으로 분류함으로써 되돌림부의 범위를 지정하고, 도18(c)에서 상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본체부에 통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1∼도10에, 실시예의 그레이딩 시스템(grading system)(2)과 그 변형예를 슈즈 어퍼(shoe upper)의 디자인을 예로 하여 나타낸다. 도1에 있어서, 4는 CAD 장치로서, 니트제품으로 이루어지는 슈즈 어퍼를 복수의 사이즈에 걸쳐 디자인하고, 이 디자인 데이터는 3차원 데이터로서, 2D 변환장치(6)에 의하여 3차원의 디자인 데이터를 2차원의 패턴 데이터로 변환한다. 디자인 데이터는, 슈즈 어퍼의 입체적인 형상을 각 부의 사이즈와 함께 지정하고, 패턴 데이터에도 슈즈 어퍼의 각 부의 사이즈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도1의 파선의 블록은, 예를 들면 수동으로 하는 처리이며, 파선의 입력도 수동입력이다.
패턴 데이터는, 예를 들면 벡터 데이터로서, 윤곽 이외에 슈즈 어퍼의 에어리어(area)와 에어리어 사이의 경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에어리어는, 편사(編絲)가 동일하고 편성조직도 동일한 등의 편성포(編成布)의 특성이 동일한 범위를 나타내고, 각 에어리어의 사이즈도 패턴 데이터에서 지정한다.
벡터 데이터에 대하여, 윤곽 및 에어리어의 굴곡점, 윤곽 및 에어리어의 종점과 시점, 윤곽과 에어리어와의 교점 등을 특징점으로 하여 2D 변환장치(6) 또는 CAD 장치(4)가 지정한다. 특징점의 위치는, 슈즈 어퍼의 사이즈에 따라 변화하지만, 특징점의 수와 상대적인 위치는 여러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에 대하여 공통이다. 또한 만약 CAD 장치(4)의 CAD 프로그램에서 특징점의 수 또는 상대적인 위치가 사이즈에 의존하는 경우에, 이들이 사이즈에 의존하지 않도록 사전에 처리한다.
프린터(8)는, 패턴 데이터에서 지정한 사이즈가 되도록 패턴 데이터를 종이 등에 프린트한다. CAD 장치(4)∼프린터(8)까지는, 본 발명의 전제이다.
그레이딩 시스템(2)은, 편성포의 게이지 데이터와 각종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고, 패턴 데이터를 편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횡편기(橫編機) 등의 편성기(編成機)(10)로 슈즈 어퍼를 편성하고, 세팅(setting), 열처리 등의 처리에 의하여 제품의 상태로 한 후에, 슈즈 어퍼의 사이즈를 종이에 프린트한 패턴 데이터와 수동으로 비교함으로써, 사이즈의 오차를 구한다. 구한 오차가 해소되도록, 편성 데이터 또는 패턴 데이터를 수정한다. 그리고 만족할 만한 사이즈의 슈즈 어퍼를 편성할 수 있으면, 각 특징점별 수정량, 실시예에서는 코스방향(x방향)과 y방향(웨일방향)의 2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정벡터를 구한다. 적어도 2사이즈의 슈즈 어퍼에 대하여 특징점별 수정벡터를 구하고, 다른 사이즈의 슈즈 어퍼에 대하여 특징점별로 적어도 2사이즈의 수정벡터 사이를 보간(補間) 또는 외삽(外揷)함으로써,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수정한다.
도2는 그레이딩 시스템(2)의 구조를 나타내고, 1대의 장치로 구성하여도 좋고, 복수 대의 장치로 구성하여도 좋다. 유저 인터페이스(12)는, 유저의 게이지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고, 유저 인터페이스(12)는 편집수단을 겸하여 편성 데이터 또는 패턴 데이터에 대한 유저의 편집을 접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으로 지정된 사이즈에 편성 후의 슈즈 어퍼의 사이즈가 가까워지도록 편성 데이터 또는 패턴 데이터를 편집한다. 여기에서의 게이지 데이터는, 예를 들면 슈즈 어퍼에 있어서의 최대면적의 에어리어에 대한 게이지 데이터로서, 스티치의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시스템 입력(13)은 각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 등의 입력을 접수하고, 메모리(14)가 기억한다. 또한 메모리(14)는, 예를 들면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과 최신값을 기억한다.
데이터 변환수단(16)은, 게이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패턴 데이터를 편성 데이터(편성기(10)를 구동하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에어리어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최대면적의 에어리어를 대표적인 에어리어로 하여, 그 에어리어에서의 게이지 데이터를 사용한다. 또한 패턴 데이터에서 사이즈가 지정되고, 게이지 데이터에서 1개의 스티치의 가로·세로 사이즈가 지정되어 있다. 편성 데이터는 시스템 출력(17)으로부터 출력되고, 편성기에 의하여 슈즈 어퍼를 시험편성한다.
데이터 변환수단(16)은, 편성 데이터에서의 스티치가 패턴 데이터에서의 어느 위치에 대응하는지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특징점을 편성 데이터 상의 위치, 예를 들면 스티치의 위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각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 사이에서 특징점이 서로 대응하고, 패턴 데이터와 편성 데이터 사이에서도 특징점이 대응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1개의 사이즈의 편성 데이터에서의 특징점을, 다른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의 특징점 또는 편성 데이터에서의 특징점에 대응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1개의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에서의 특징점을, 다른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의 특징점 또는 편성 데이터에서의 특징점에 대응시킬 수 있다.
메모리(18)는 편성 데이터의, 예를 들면 초기값과 최신값을 기억한다. 메모리(14, 18)에서 최소한 기억하는 데이터는,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과, 편성 데이터의 최신값이다. 만족할 만한 사이즈의 슈즈 어퍼를 시험편성할 수 있으면,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 또는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으로부터 특징점이 얼마만큼 시프트(shift) 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이동량을 연산수단(20)에 의하여 구하고, 2사이즈 분량의 슈즈 어퍼에 대하여 특징점별 수정벡터를 기억한다. 여기에서 코스방향의 수정벡터의 성분은, 특징점의 코스방향의 이동량(Vx)을 코스방향의 편성폭(x)으로 나눈 Vx/x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일방향의 수정벡터의 성분은, 편성폭과의 비(Vy/y)이더라도 이동량(Vy) 자체이더라도 좋다.
수정수단(22)은, 시험편성하고 있지 않은 사이즈의 슈즈 어퍼에 대하여, 2사이즈에서의 특징점의 수정벡터를 보간 또는 외삽함으로써 패턴 데이터를 수정한다. 이에 의거하여, 데이터 변환수단(16)에 의하여 최종의 편성 데이터를 얻는다. 또는 다른 사이즈의 편성 데이터를, 2사이즈에서의 특징점의 수정벡터를 보간 또는 외삽함으로써 직접 수정하더라도 좋다. 특징점과 특징점 사이를, 예를 들면 직선으로 보간하면, 특징점을 수정함으로써 편성 데이터 또는 패턴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그레이딩 시스템(2)에 의하여, 예를 들면 13사이즈의 슈즈 어퍼에 대하여 2사이즈에 대한 시험편성을 함으로써, 11사이즈의 슈즈 어퍼의 시험편성을 생략할 수 있다. 시험편성한 슈즈 어퍼가 다음 시험편성에서 다소의 수정을 가하면 목표 사이즈가 된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에, 다음 시험편성을 하지 않고 편성 데이터를 수정하여, 목표한 바의 사이즈가 얻어지는 편성 데이터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시험편성한 슈즈 어퍼의 사이즈를 패턴 데이터에서 정한 사이즈와 비교하였을 때에, 실시예에서는 편성 데이터를 수정하지만, 패턴 데이터를 수정하더라도 좋다.
도3은 그레이딩의 준비단계에서의 처리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스텝S1에서 각 사이즈의 슈즈 어퍼를 디자인하지만, 다른 단계에서 디자인하더라도 좋다. 스텝S2에서 3차원으로부터 2차원으로 디자인 데이터를 변환하여, 각 부의 사이즈를 지정한 패턴 데이터로 하고, 스텝S3에서 특징점을 패턴 데이터로부터 생성한다. 패턴 데이터는 예를 들면 벡터 데이터이며, 벡터의 끝점 등을 추출함으로써 특징점을 생성한다. 그리고 스텝S4에서 2사이즈 분량의 패턴 데이터를 프린트아웃한다. 또한 1사이즈 분량의 슈즈 어퍼를 디자인하고, 2차원의 패턴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패턴 데이터에 대하여 그레이딩을 하여도 좋다.
도4는 실시예에서의 처리를 나타내고, 파선으로 나타낸 블록은, 예를 들면 수동으로 처리한다. 스텝S5에서, 2사이즈 분량의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으로 변환한다. 또한 2사이즈의 패턴 데이터를 다른 단계에서 편성 데이터로 변환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특징점을 편성 데이터에도 대응시킨다.
스텝S6에서 슈즈 어퍼를 시험편성한다. 스텝S7에서, 수동 또는 도10의 편집수단(30)에 의하여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과 시험편성한 슈즈 어퍼의 사이즈를 비교하고, 스텝S8에서 사이즈의 오차를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평가한다. 오차가 허용범위 이내이면 스텝S1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9에서 편성 데이터를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편집하고 스텝S6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10에서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과 최신값 사이의 특징점의 이동량을 구하여,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의 2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정벡터로 한다. 수정벡터의 코스방향 성분은, 특징점의 이동량(Vx)과 코스방향의 편성폭(x)의 비(Vx/x)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S11에서 2사이즈 분량의 수정벡터를 보간 또는 외삽함으로써, 시험편성하고 있지 않은 다른 사이즈에 대한 특징점의 수정벡터를 구하여,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수정한다. 2점에서의 비(Vx/x)를 보간 또는 외삽하는 경우에, 구한 비(Vx/x)의 값에 코스방향의 편성폭(x)을 곱하여 코스방향 성분의 수정량으로 한다. 스텝S11에서 패턴 데이터를 수정하는 경우에, 스텝S12에서 수정 후의 패턴 데이터를 편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도5는, 실선으로 패턴 데이터를 나타내고, 동그라미 표시는 특징점을 나타내며, 우측 상단에 수정벡터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50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고, 51은 수정 후의 패턴 데이터이다. 도면의 y방향(웨일방향)을 따라 3종류의 에어리어(52∼54)가 있고, 수정벡터(V)는 Vx와 Vy의 2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도6은 편성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고,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70)를 도식적으로 도7에 나타낸다. 72∼76은 에어리어이며, 에어리어별로 코스방향의 편성폭(X1∼X6) 등을 정한다. 에어리어(73, 74) 및 에어리어(75, 76)는 편성 후의 슈즈 어퍼에서는 평행한 2개의 바(bar)가 되지만, 도7에서는 평행하지 않고, 편성 등에 의하여 평행한 2개의 바가 된다.
도8은, 코스방향의 수정을 나타내고, 2사이즈에 대하여 각 특징점을 얼마만큼 이동시키면 좋은지를 판명하고 있다. 2사이즈에서의 특징점에 대하여 코스방향의 편성폭을 x1, x2로 하고, 구하고자 하는 사이즈에서의 편성폭을 x로 한다. 그러면 도8과 같이 편성폭(x)에서의 수정벡터의 성분(α)이 결정되어, α·x가 수정벡터의 코스방향 성분이 된다.
도9는 웨일방향의 수정을 나타내고, 2사이즈에서의 이동량(Vy1, Vy2)을 구하고자 하는 사이즈의 웨일길이(y)로 보간하고, 수정벡터의 성분(β)을 구한다. 또한 도8, 도9의 어느 경우에도, 시험편성한 2사이즈 중에 없는 사이즈에 대해서는 외삽에 의하여 수정벡터를 구한다. 또한 수정벡터는 특징점별로 존재하고,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의 각 특징점에 대하여 그 위치를 수정한다.
도10은, 변형예의 편집수단(30)을 나타내고, 시험편성한 샘플(슈즈 어퍼)을 촬영수단(31)에 의하여 촬영하고, 각 부의 사이즈를 구한다. 구한 사이즈를 패턴 데이터에서 지정한 사이즈와 비교수단(32)에 의하여 비교하고, 사이즈의 오차가 해소되도록 처리수단(33)에 의하여 편성 데이터 또는 패턴 데이터를 편집한다.
도11∼도18에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니트제품을 구성하는 편성포는, 본체부(本體部)와 분할부(分割部)로 나누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분할부를 편성한 후에 되돌림(flechage)에 의하여 본체부를 편성하면, 본체부와 되돌림부를 구비하는 편성포가 된다. 그리고 편성 도중에 웨일방향을 변경하거나, 인레이사(inlay yarn)를 슈즈 어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삽입하거나, 입체적인 편성포를 변경하는 것 등을 하기 위하여, 되돌림 등에 의하여 분할부를 편성한다.
도11은, 되돌림부를 포함하는 슈즈 어퍼에 대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과, 시험편성에 의하여 얻어진 편성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11(a)는 최소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도11(b)는 최대 사이즈의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나타내고, 윤곽에 특징점이 다수 배치되어 있다.
도11(c)는 최소 사이즈에 대한 시험편성 후의 편성 데이터를, 도11(d)는 최대 사이즈에 대한 시험편성 후의 편성 데이터를 나타낸다. 편성 데이터는 본체부와 되돌림부(분할부)로 나누어지고, 이들의 경계가 되돌림 라인(flechage line)이다.
도11에서 되돌림이 필요한 것은, 중앙 하방의 개구(開口)는 삽입구이며, 삽입구의 주위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리브 편성부(rib 編成部)가 있기 때문이다. 리브 편성부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상부의 발끝까지 편성하거나, 또는 반대로 발끝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삽입구까지 편성하기 위해서는, 도중에 웨일방향의 전환이 필요해진다. 도11에서는, 삽입구에서부터 되돌림 라인까지 편성한 후에, 웨일방향이 도면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편성하여 되돌림 라인에서 웨일방향을 전환한다. 또한 되돌림 라인의 위치는 시험편성에 의하여 정할 수 있고,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으로부터는 정해지지 않는다.
도12는 실시예2를 위한 것으로서, 도2의 그레이딩 시스템(2)에 추가되는 요소를 나타내고, 도2의 메모리(18)와 연산수단(20)의 사이에 슬라이드 수단(40)과 분리수단(41) 및 연관수단(42)을 추가한다. 또한 도2의 수정수단(22)의 후단에 차분수단(差分手段)(43), 슬라이드 해제수단(44), 정형수단(整形手段)(45) 및 부가수단(46)을 추가한다. 단 정형수단(45)은, 추가하지 않아도 좋다.
도11(c), (d)와 같은 편성 데이터가 메모리(18)에 기억된 것에서부터 실시예2를 설명한다. 슬라이드 수단(40)은, 되돌림부를 상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본체부에 통합한 통합 데이터를 생성한다. 분리수단(41)은, 되돌림부를 편성 데이터로부터 분리한 본체 데이터를 생성한다.
연관수단(42)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도11(a), (b))의 특징점을 통합 데이터와 본체 데이터에 연관시킨다. 연관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몇 개의 특징점을 수동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연관시키고, 나머지의 특징점은 자동적으로 연관시킨다.
특징점을 연관시키면,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으로부터의 특징점별 이동량을 연산수단(20)으로 구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최대 사이즈와 최소 사이즈의 2사이즈에서 한다. 예를 들면 최대 사이즈와 최소 사이즈의 2사이즈에 대하여, 특징점별 이동량이 2종류씩 얻어진다. 그리고 수정수단(22)에 의하여, 각 중간 사이즈에 대하여 2종류의 수정량 각각을 사용하여 2종류의 수정 패턴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발생시킨 수정 패턴 데이터는, 통합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과 본체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의 2종류이다. 그리고 2종류의 수정 패턴 데이터를, 수정 통합 데이터와 수정 본체 데이터의 2종류의 편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도15(a1)은 되돌림부를 분리한 수정 본체 데이터를, 도15(a2)는 되돌림부를 통합한 수정 통합 데이터를 나타낸다.
차분수단(43)에 의하여, 도15(a2)(되돌림부를 통합)의 수정 통합 데이터와 도15(a1)(되돌림부를 분리)의 수정 본체 데이터의 차분이 되는 에어리어를 구한다. 결과를 도16(a)에 나타낸다. 슬라이드 해제수단(44)에 의하여, 이 에어리어에 대하여 도16(b)와 같이 슬라이드를 해제한다. 도16(b)에서는, 되돌림부의 윤곽에 부자연스러운 요철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정형수단(45)으로 되돌림부의 윤곽을 정형하여 요철을 줄인다. 부가수단(46)은, 슬라이드의 해제 후에, 바람직하게는 정형 후의 에어리어를 수정 본체 데이터에 부가한다.
도15(a1)의 수정 본체 데이터는 본체부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16(b)는 되돌림부의 에어리어를 나타낸다. 수정 본체 데이터 또는 수정 통합 데이터로부터 상기 에어리어를 제외한 것에 되돌림부의 에어리어를 부가수단(46)에 의하여 부가하면, 도17의 수정이 완료된 편성 데이터가 얻어진다. 또한 실제의 편성 데이터에는 이 이외에 삽입구의 리브 편성부 등이 있지만, 생략한다.
도13에 실시예2의 알고리즘을 나타내고, 도4의 스텝1∼8을 실행한 후에, 도4의 스텝10∼12 대신에 도13의 스텝20∼29를 실행한다.
스텝20에서, 되돌림부를 도11(c), (d)에서의 연직 상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본체부에 통합하고, 통합 데이터로 한다. 여기에서 슬라이드 전의 되돌림부에서의 형상의 특징을 기억하여, 슬라이드를 해제할 때에 참고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11(c), (d)에서는, 되돌림부의 상변(上邊)이 수평이다. 편성 데이터에 따라서는 되돌림부의 하변(下邊)이 수평인 경우도 있고, 또한 상변과 하변이 역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도 있다. 스텝21에서, 되돌림부를 분리하여 본체부를 남긴 본체 데이터를 생성한다. 얻어진 데이터의 예를 도14(a), (b)에 나타낸다. 또한 통합 데이터와 본체 데이터는, 모두 편성 데이터이다. 또한 편성 데이터에는, 스티치 1개를 1점으로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로서의 성질이 있다.
스텝22에서, 통합 데이터와 본체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의 특징점을 연관시킨다. 또한 통합 데이터와 본체 데이터를 일단 패턴 데이터로 변환한 것에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의 특징점을 연관시켜도 좋다. 또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의 어느 부분이 본체부에 대응하는지는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으로부터 본체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본체 데이터에 연관시키는 것은 아니다.
스텝23에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에서의 특징점별 수정량을 본체 데이터와 통합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구한다. 데이터는 최대 사이즈와 최소 사이즈에 대하여 존재하기 때문에, 합계 4종류의 수정량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24에서, 통합 데이터로부터 구한 최대 사이즈와 최소 사이즈에서의 수정량을 보간 또는 외삽하도록 하여, 중간 사이즈에 대한 수정량을 구한다. 마찬가지로 본체 데이터로부터 구한 최대 사이즈와 최소 사이즈에서의 수정량을 보간 또는 외삽하도록 하여, 중간 사이즈에 대한 수정량을 구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정한 수정 패턴 데이터와 통합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정한 수정 패턴 데이터의 2종류의 데이터가, 각 중간 사이즈에 대하여 얻어진다. 수정 패턴 데이터는 편성포의 윤곽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수정 패턴 데이터의 내부를 스티치로 메우면, 편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정 패턴 데이터로부터 수정 통합 데이터와 수정 본체 데이터의 2종류의 편성 데이터가 얻어진다(스텝25, 26). 수정 본체 데이터의 예를 도15(a1)에, 수정 통합 데이터의 예를 도15(a2)에 나타낸다.
스텝27에서, 도15(a2)의 수정 통합 데이터와 도15(a1)의 수정 본체 데이터의 차를 구한다. 이에 따라 도16(a)의 에어리어가 얻어지고, 이것은 되돌림부의 형상을 나타내지만, 스텝20에서 슬라이드시켰기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형상을 하고 있다. 그래서 스텝28에서 슬라이드를 해제하고, 도16(b)의 데이터로 한다.
슬라이드의 해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6(a)에서는 되돌림부는 사각형에 가깝고, 상변이 하변보다도 길다. 그래서 상변은 슬라이드 전에 수평이었다고 추정하고, 도16(b)와 같이 슬라이드를 해제한다. 만약에 하변이 상변보다도 길면, 하변이 수평이 되도록 슬라이드를 해제한다. 그리고 상변을 수평으로 할 것인지 하변을 수평으로 할 것인지에 따라 되돌림부의 형상은 변화한다.
편성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처럼 나타낼 수 있고, 그 1점이 스티치 1개에 대응한다. 그리고 슬라이드의 해제에서는, 되돌림부를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것으로 간주하고, 각 직사각형을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도16의 경우에 상변이 수평을 이루기 때문에 각 직사각형의 상부의 높이를 맞춘다.
스텝20에서 슬라이드시킬 때에 되돌림부의 형상의 특징을 기억하고, 이 형상에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드를 해제하더라도 좋다.
도16(b)와 같이 슬라이드를 해제하면 되돌림부의 형상에는 부자연스러운 요철이 포함되기 때문에, 스텝29를 실행하여 윤곽을 정형하더라도 좋다.
스텝20에서 스텝28 또는 스텝29까지를 실행하여, 수정이 완료된 되돌림부를 나타내는 에어리어를 각 사이즈에 대하여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7의 수정이 완료된 편성 데이터가 얻어진다.
도11의 패턴 데이터는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18은 좌우 각 2개의 되돌림부를 갖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시험편성에 의하여 도18(a)의 데이터가 얻어지면, 예를 들면 수동으로 되돌림부를 지정하여(도18(b)), 슬라이드시키는 범위를 명확히 한다. 그리고 도18(c)와 같이 통합한다.
되돌림은, 입체적인 니트제품을 편성하기 위하여 여러 장소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레이사를 슈즈 어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삽입하거나, 또는 슈즈 어퍼를 입체적인 형상으로 편성하기 위한 것 등에 되돌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에, 되돌림부의 상하 쌍방에 본체부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되돌림부를 분리하는 경우에 되돌림부의 상하의 본체부를 서로 통합한다.
2 : 그레이딩 시스템
4 : CAD 장치
6 : 2D 변환장치
8 : 프린터
10 : 편성기
12 : 유저 인터페이스
13 : 시스템 입력
14 : 메모리
16 : 데이터 변환수단
17 : 시스템 출력
18 : 메모리
20 : 연산수단
22 : 수정수단
30 : 편집수단
31 : 촬영수단
32 : 비교수단
33 : 처리수단
40 : 슬라이드 수단
41 : 분리수단
42 : 연관수단
43 : 차분수단
44 : 슬라이드 해제수단
45 : 정형수단
46 : 부가수단

Claims (10)

  1. 그레이딩 시스템(grading system)을 사용하여, 사이즈가 다른 니트제품의 편성 데이터(knitting data)를 3사이즈 이상 구하기 위하여,
    a : 니트제품의 패턴 데이터(pattern data)를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으로 하여, 그레이딩 시스템에 입력하는 스텝과,
    b : 스티치의 코스방향 사이즈와 웨일방향 사이즈를 나타내는 게이지 데이터(gauge data)를 그레이딩 시스템에 입력하는 스텝과,
    c : 그레이딩 시스템에 의하여, 게이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 데이터를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으로 변환하고,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에 의거하여 편성기(編成機)로 니트제품을 시험편성하는 스텝과,
    d :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를, 수동으로 또는 그레이딩 시스템에 의하여 비교하는 스텝과,
    e :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의 오차가 소정의 범위를 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또는 그레이딩 시스템에 의하여 편성 데이터를 수정하고, 수정한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기로 니트제품을 시험편성하는 스텝을
    하고,
    f :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의 오차가 소정의 범위 내에 들 때까지, 스텝d, e를 반복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에 있어서,
    g : 스텝c∼f를 다른 사이즈의 적어도 2개의 니트제품에 대하여 실행함과 아울러,
    h : 스텝f에서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의 오차가 소정의 범위 내에 들었을 때에, 스텝f에서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편성 데이터 또는 그 패턴 데이터에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 또는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으로부터의 수정량을 그레이딩 시스템에 의하여 구하는 스텝과,
    i : 스텝h에서 구한 적어도 2사이즈에 대한 수정량에 의거하는 보간(補間) 또는 외삽(外揷)에 의하여, 시험편성하고 있지 않은 각 사이즈에 대한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그레이딩 시스템에 의하여 수정하는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j : 패턴 데이터 및 편성 데이터의 사이에서 서로 대응하고, 또한 사이즈가 다른 패턴 데이터 사이에서도 서로 대응하는 복수의 특징점을, 패턴 데이터의 윤곽 및 편성 데이터에서의 편성포의 윤곽을 따라 그레이딩 시스템이 지정하는 스텝을 더 실행하고,
    k : 스텝h에서는, 스텝f에서 시험편성한 니트제품의 편성 데이터 또는 그 패턴 데이터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 또는 편성 데이터의 초기값과의 사이에서의 특징점의 이동량에 의거하여, 그레이딩 시스템은 각 특징점에 대한 수정량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니트제품은 특성이 다른 복수의 에어리어(area)로 이루어지고, 스텝j에서 그레이딩 시스템은, 에어리어 사이의 경계에도 특징점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수정량은, 코스방향의 수정량과 웨일방향의 수정량으로 이루어지고,
    코스방향의 수정량은, 특징점의 이동량과 코스방향에서의 니트제품의 편성폭의 비이며,
    스텝i에서는, 보간 또는 외삽에 의하여 구한 수정량에 각 사이즈의 코스방향에서의 니트제품의 편성폭을 곱함으로써,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니트제품은 풋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 사이즈의 니트제품의 편성 데이터는 본체부(本體部)와 분할부(分割部)를 구비하고,
    스텝h에서는,
    h-1 : 시험편성한 적어도 2사이즈의 니트제품의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분할부를 슬라이드시켜 본체부에 통합한 통합 데이터와, 분할부를 분리하여 본체부를 남긴 본체 데이터의 2종류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h-2 : 시험편성한 각 사이즈에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에서 통합 데이터로의 수정량과,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에서 본체 데이터로의 수정량의 2종류의 수정량을 발생시키고,
    스텝i에서는,
    i-1 : 시험편성하고 있지 않은 각 사이즈에 대하여, 시험편성한 각 사이즈에서의 2종류의 수정량을 보간 또는 외삽하도록 하여,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수정하여 2종류의 수정 패턴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각 수정 패턴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정 통합 데이터와 수정 본체 데이터의 2종류의 편성 데이터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i-2 : 시험편성하고 있지 않은 각 사이즈에 대하여, 수정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고 또한 수정 본체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에어리어를 차분(差分)에 의하여 구하고, 구한 에어리어를 통합할 때와는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분할부를 나타내는 에어리어를 발생시키고,
    i-3 : 시험편성하고 있지 않은 각 사이즈에 대하여, 분할부를 나타내는 에어리어를 수정 본체 데이터에 부가함으로써, 수정이 완료된 편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i-2에서는, 구한 에어리어가 상변(上邊)과 하변(下邊)을 구비하는 다각형에 근사(近似)하고, 상변과 하변 중의 긴 쪽이 수평이 되도록 구한 에어리어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h-1에서, 통합 전의 분할부의 형상의 특징을 기억하고,
    상기 스텝i-2에서는, 통합 전의 분할부의 형상에 가까워지도록 에어리어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
  9. 입력된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스티치의 코스방향 사이즈와 웨일방향 사이즈를 나타내는 게이지 데이터의 입력값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게이지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 데이터를 편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시스템에 있어서,
    편성 데이터에 따라 편성한 니트제품의 사이즈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이 나타내는 사이즈에 가까워지도록 편집하기 위하여, 수동입력에 의하여 또는 자동적으로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수단과,
    편집수단에서의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의 수정량을 적어도 2사이즈 분량 기억하고, 기억한 수정량에 의거하는 보간 또는 외삽에 의하여 다른 사이즈에 대한 패턴 데이터 또는 편성 데이터를 수정하는 수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편성 데이터가 본체부와 분할부를 구비하는 니트제품을 처리대상으로 하기 위하여,
    편집수단에 의하여 편집이 완료된 편성 데이터에 대하여, 분할부를 본체부에 통합하도록 슬라이드시킨 통합 데이터로 하는 슬라이드 수단과,
    편집수단에 의하여 편집이 완료된 편성 데이터에 대하여, 분할부를 분리하여 본체부를 남긴 본체 데이터로 하는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정수단은,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에서 통합 데이터로의 수정량과,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에서 본체 데이터로의 수정량의 2종류의 수정량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다른 사이즈에 대하여 2종류의 수정량을 보간 또는 외삽하도록 하여, 패턴 데이터의 초기값을 수정하여 2종류의 수정 패턴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각 수정 패턴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정 통합 데이터와 수정 본체 데이터의 2종류의 편성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수정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고 또한 수정 본체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에어리어를 차분에 의하여 구하는 차분수단(整形手段)과,
    차분수단으로 구한 에어리어를 통합할 때와는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분할부를 나타내는 에어리어를 발생시키는 슬라이드 해제수단과,
    수정 본체 데이터에 분할부를 나타내는 에어리어를 부가함으로써, 수정이 완료된 편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가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시스템.
KR1020187033665A 2016-04-22 2017-03-17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과 그레이딩 시스템 KR102155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5828 2016-04-22
JP2016085828 2016-04-22
PCT/JP2017/010858 WO2017183374A1 (ja) 2016-04-22 2017-03-17 ニット製品のグレーディング方法とグレーディング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152A true KR20180132152A (ko) 2018-12-11
KR102155800B1 KR102155800B1 (ko) 2020-09-14

Family

ID=6011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665A KR102155800B1 (ko) 2016-04-22 2017-03-17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과 그레이딩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26530B2 (ko)
EP (1) EP3447178B1 (ko)
JP (1) JP6692415B2 (ko)
KR (1) KR102155800B1 (ko)
CN (1) CN109196153B (ko)
TW (1) TW201807280A (ko)
WO (1) WO20171833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458A (ko) * 2019-06-12 2020-12-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 디자인 시스템
KR20210100548A (ko) * 2020-02-06 2021-08-1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과 그레이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1147B2 (ja) * 2019-04-09 2022-11-30 東レAcs株式会社 型紙データ作成方法、型紙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型紙データ作成装置
CN110607603B (zh) * 2019-07-15 2021-02-02 东莞市纮萦服饰有限公司 一种横机密度的自适应调整方法
JPWO2022158251A1 (ko) * 2021-01-22 2022-07-28
WO2023215410A1 (en) * 2022-05-04 2023-11-09 Global Apparel Partners Inc. Methods for fabrication of articles from three-dimensional model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588A (ja) * 1993-07-02 1996-12-03 レクトラ・システム 服のグレーディングシステム
JP3914874B2 (ja) * 2000-10-18 2007-05-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
JP2010010775A (ja) * 2008-06-24 2010-01-14 Kyoraku Sangyo Kk Pll制御装置及びpll制御方法
KR20120074322A (ko) * 2009-11-26 2012-07-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 디자인 장치와 디자인 방법, 디자인 프로그램
KR20150108770A (ko) * 2014-03-18 2015-09-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 디자인 시스템과 니트 디자인 방법
US20150366293A1 (en) * 2014-06-23 2015-12-24 Nike, Inc. Footwear Design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61801B1 (fr) * 1984-03-21 1987-01-09 Paly Rene Procede de gradation et decoupe automatique d'articles, notamment de pieces de vetements
GB0101371D0 (en) * 2001-01-19 2001-03-07 Virtual Mirrors Ltd Production and visualisation of garments
CN101156154A (zh) * 2003-03-20 2008-04-02 姆布里奥有限责任公司 改进衣服合身性的系统和方法
WO2004088022A1 (ja) * 2003-03-31 2004-10-14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ニットデザイン方法とその装置
FR2889607B1 (fr) * 2005-08-05 2009-04-24 Promiles Sa Systeme et procedes de tailla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systeme de taillant
TW200738928A (en) * 2006-04-07 2007-10-16 Merry Far Knitting Co Ltd Color image manufacturing method for jacquard towel
CN102105627B (zh) * 2008-07-25 2012-07-18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针织设计方法和针织设计装置
US9406172B2 (en) * 2014-05-21 2016-08-02 v Personalize Inc. Method for automatic extrapolation of designs across apparel and accessory sizes and types
US9661886B1 (en) * 2016-05-15 2017-05-30 v Personalize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design state of apparel or accessory to enable extrapolation for style and size varian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588A (ja) * 1993-07-02 1996-12-03 レクトラ・システム 服のグレーディングシステム
JP3914874B2 (ja) * 2000-10-18 2007-05-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
JP2010010775A (ja) * 2008-06-24 2010-01-14 Kyoraku Sangyo Kk Pll制御装置及びpll制御方法
KR20120074322A (ko) * 2009-11-26 2012-07-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 디자인 장치와 디자인 방법, 디자인 프로그램
KR20150108770A (ko) * 2014-03-18 2015-09-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 디자인 시스템과 니트 디자인 방법
JP2015175082A (ja) 2014-03-18 2015-10-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とニットデザイン方法
US20150366293A1 (en) * 2014-06-23 2015-12-24 Nike, Inc. Footwear Designing T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458A (ko) * 2019-06-12 2020-12-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 디자인 시스템
KR20210100548A (ko) * 2020-02-06 2021-08-1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과 그레이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7178A4 (en) 2020-08-26
JP6692415B2 (ja) 2020-05-13
JPWO2017183374A1 (ja) 2019-01-31
EP3447178B1 (en) 2022-10-19
US20190119837A1 (en) 2019-04-25
US10626530B2 (en) 2020-04-21
CN109196153A (zh) 2019-01-11
WO2017183374A1 (ja) 2017-10-26
EP3447178A1 (en) 2019-02-27
KR102155800B1 (ko) 2020-09-14
TW201807280A (zh) 2018-03-01
CN109196153B (zh)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2152A (ko) 니트제품의 그레이딩 방법과 그레이딩 시스템
KR100957129B1 (ko)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CN106605260B (zh) 在车辆座椅的座椅罩上布置图形设计元素的方法和装置
CN108347540B (zh) 扫描仪、扫描程序以及扫描数据的生产方法
US7203566B2 (en) Knit design method, apparatus therefor and program therefor
CN109584368B (zh) 生物样品三维结构的构建方法及装置
JP2016137615A (ja) 三次元形状の印刷原稿データの作成方法、作成プログラム及び三次元形状製品の製造方法
US7197371B2 (en) Method and device for knit design
CN110799685B (zh) 使用针织机针织织物的方法以及针织机
KR100980781B1 (ko) 주조 방안 해석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2007738B1 (ko) 콘텐츠 기반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 및 장치
JP2005312014A (ja) 解像度変換方法
EP2292820B1 (en) Method and design system for determining knitted article gauge
AU2017353265B2 (en) Method of preparing a tufting process for tufting a fabric, in particular carpet, and method of tufting a fabric
EP2305867B1 (en) Method and design system for determining knitted article gauge
CN114207535B (zh) 用于决定加工条件的方法及装置
JP7370269B2 (ja) ニット製品のグレーディング方法とグレーディングシステム
KR20160044221A (ko) 용접변형에 대한 수정비용 산출시스템 및 방법
Zamora Agustí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NumPy-based DIC application for strain calculation
JP6746830B2 (ja) ジャカード織物多色織パターンの生成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ang et al. Integration of Voxel Based and Source Based Representation for Computer Aided Design of Functional Gradient Materials
Bräunl et al. Morphological Operators
KR19990057670A (ko) 단안 영상을 이용한 스테레오 영상 생성시의 후처리방법
JPH03289988A (ja) 刺繍デー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