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636A - 유기 발광 다이오드 완충 필름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다이오드 완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636A
KR20180131636A KR1020187034492A KR20187034492A KR20180131636A KR 20180131636 A KR20180131636 A KR 20180131636A KR 1020187034492 A KR1020187034492 A KR 1020187034492A KR 20187034492 A KR20187034492 A KR 20187034492A KR 20180131636 A KR20180131636 A KR 20180131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ffer film
oled
foam layer
oled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591B1 (ko
Inventor
리처드 와이 류
나다니엘 아이 렌
로저 에이 그리슬
벤저민 제이 벤딩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13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01L51/5237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51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4N2 releasing, ex azodicarbonamide or nitroso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44Micropores, i.e. average diameter being between 0,1 micrometer and 0,1 milli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52Closed cells, i.e. more than 50% of the pores are clo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7/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intended use
    • C08J2207/06Electrical wire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J2309/06Copolymers with styr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발포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완충 필름이 기재된다. 발포 층은 30 내지 80 중량%의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5 내지 60 중량%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한다. 점착부여제는 연화점이 130℃ 이상이다. OLED 완충 필름에 라미네이팅된 OLED 층을 포함하는 발광 물품이 기재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다이오드 완충 필름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에 발포 층을 이용하여, 기계적 충격이 디스플레이 내의 능동 OLED 층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태양에서, 발포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완충 필름이 제공된다. 발포 층은 30 내지 80 중량%의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5 내지 60 중량%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한다. 점착부여제는 연화점이 13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부 태양에서, 접착제 층에 의해 OLED 완충 필름에 라미네이팅된 OLED 층을 포함하는 발광 물품이 제공된다. OLED 완충 필름은 30 내지 80 중량%의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5 내지 60 중량%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발포 층을 포함한다. 점착부여제는 연화점이 130℃ 이상이다. 접착제는 OLED 층에 인접한 공기-배출 채널(air-bleed channel)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완충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OLED 완충 필름을 포함하는 발광 물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하기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다양한 실시 형태들이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형태들이 고려되며 본 발명의 범주 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발포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완충 필름이 제공된다. 발포 층은 30 내지 80 중량%의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5 내지 60 중량%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한다. 점착부여제는 연화점이 130℃ 이상, 또는 135℃ 이상, 또는 140℃ 이상이다. 점착부여제의 연화점은 또한 170℃ 미만 또는 160℃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비교적 높은 (130℃ 이상의) 연화점을 갖는 점착부여제의 그러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종종 상대적으로 불량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폼(foam)에 비하여 개선된 감쇠 성능(damping performance)을 OLED 완충 필름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5 내지 50 중량%, 또는 8 내지 40 중량%, 또는 10 내지 30 중량%, 또는 10 내지 20 중량%의 스티렌 블록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프렌, 옥탄, 부틸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올레핀 블록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올레핀 블록의 대향 말단에 스티렌 블록을 갖는 선형 삼중블록 공중합체이다. 적합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에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의 크라톤 퍼포먼스 폴리머스 인크.(KRATON Performance Polymer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것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함량이 15%인, 스티렌과 아이소프렌에 기초한 투명한 선형 삼중블록 공중합체인 크라톤 D1161 P가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에는 이중블록 공중합체, 다중블록 공중합체, 별형(star-shaped) 블록 공중합체, 및 분지형 블록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발포 층은 15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 및 60 중량% 이하, 또는 55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하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한다. 점착부여제는 층의 점착성(tack) 또는 끈적임(stickiness)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적합한 화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점착부여제에는 C5 탄화수소, C9 탄화수소, 지방족 수지, 방향족 수지, 테르펜, 테르페노이드, 테르펜 페놀성 수지, 로진(rosin), 로진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적합한 점착부여제에는, 연화점이 130℃이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소재의 네빌 케미칼 컴퍼니(Neville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쿠마르(CUMAR) 130; 연화점이 140℃이고 독일 소재의 아라카와 유럽 게엔베하(Arakawa Europe GnbH)로부터 입수가능한 아르콘(ARKON) P140; 연화점이 150℃이고 일본 소재의 야스하라 케미칼 컴퍼니(Yasuhara Chemical Co.)로부터 입수가능한 클리어론(CLEARON) P150; 및 연화점이 160℃이고 미국 테네시주 킹스포트 소재의 이스트맨 케미칼 컴퍼니(Eastman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엔덱스(ENDEX) 160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점착부여제는 테르펜 페놀 수지, 예컨대 연화점이 155℃이고 미국 뉴욕주 스키넥터디 소재의 에스아이 그룹 인크.(SI Group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SP-560이다.
점착부여제는 혼합물에 원하는 연화점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2종 이상의 점착부여제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혼합물에 대한 연화점은 개개의 점착부여제 화합물에 대한 연화점의 내삽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점착부여제는 2종 이상의 점착부여제 화합물의 혼합물이며, 이 혼합물은 연화점이 130℃ 내지 170℃의 범위, 또는 130℃ 내지 160℃의 범위, 또는 140℃ 내지 160℃의 범위이다. 이용될 수 있는 혼합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점착부여제에는 본 명세서에서 다른 곳에 기재된 점착부여제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적합한 점착부여제에는 미국 테네시주 킹스포트 소재의 이스트맨 케미칼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탄화수소 수지 점착부여제 및 로진 수지 점착부여제, 및 이들 점착부여제의 적합한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점착부여제의 연화점 또는 점착부여제 화합물들의 혼합물의 연화점은 환구식 연화 시험(ring and ball softening test)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연화점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환구식 연화 시험은 ASTM E28-14 시험 표준에 명시된 시험 방법이다.
도 1은 발포 층(130) 상에 배치된 제1 층(110) 및 제2 층(120)을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제1 층(110) 및 제2 층(12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접착제(예를 들어, 감압 접착제 층 또는 열 활성화 접착제 층)일 수 있거나, 비-접착제 (예를 들어, 비-점착성) 층일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제1 층(110)은 발포 층(130)의 제1 주 표면(132) 상에 배치되고, 제2 층(120)은 제1 주 표면(132) 반대편의 제2 주 표면(134) 상에 배치된다. 발포 층(130)은 복수의 셀(138)을 포함하며, 이는 공기 또는 질소 또는 불활성 가스로 충전될 수 있다. 발포 층(130)은 30 내지 80 중량%의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연화점이 130℃ 이상인 15 내지 60 중량%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한다.
OLED 완충 필름(100)은 제1 층(110), 제2 층(120) 및 발포 층(130)의 각각을 공압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발포 층(130)은 제1 층(110) 및 제2 층(120)과는 별도로 형성되고, 이어서, 예를 들어, 롤-투-롤(roll-to-roll)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제1 층(110) 및 제2 층(120)이 발포 층(130)에 라미네이팅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1 층(110) 및 제2 층(120)은 생략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발포 층은 발포 층(130)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조성물 중에 발포제(foaming agent)를 포함함으로써 제조된다. 발포제는 계면활성제, 화학 발포제, 팽창제(blowing agent) 또는 층 내에 가스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제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발포제는 0.5 내지 6.0 중량%로 조성물 내에 포함된다. 적합한 발포제에는 아조다이카본아미드, 중탄산나트륨, 시트르산, 및 미국 뉴저지주 락어웨이 소재의 폴리필 코포레이션(Polyfil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에코셀(ECOCELL)-P가 포함된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발포 층(130) 내의 복수의 셀(138)은 발포 층(130)을 형성하기 위해 압출되는 조성물 내로의 가스의 직접 주입에 의해 형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발포 층(130)은 발포 층(130)에 이용되는 중합체의 밀도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밀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발포 층(130)의 중합체는 밀도가 약 1.2 g/cc일 수 있으며, 발포 층(130)은 밀도가 1.0 g/cc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발포 층(130)은 밀도가 0.5 내지 0.9 g/cc의 범위, 또는 0.55 내지 0.9 g/cc의 범위, 또는 0.6 내지 0.9 g/cc의 범위, 또는 0.55 내지 0.85 g/cc의 범위, 또는 0.6 내지 0.85 g/cc의 범위, 또는 0.6 내지 0.8 g/cc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복수의 셀(138)은 평균 (모든 셀에 대한 산술 평균) 셀 크기가 5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또는 5 마이크로미터 내지 75 마이크로미터, 또는 5 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또는 5 마이크로미터 내지 30 마이크로미터, 또는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이다. 셀 크기는 셀의 최대 치수 (예를 들어, 직경)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발포 층(130)은 다공도(공극 부피 퍼센트 또는 가스상을 함유하는 부피 퍼센트)가 5 내지 50%의 범위, 또는 10 내지 40%의 범위, 또는 10 내지 35%의 범위, 또는 10 내지 30%의 범위이다. 복수의 셀(138)은 예를 들어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셀(138)은 발포 층(130) 내에 실질적으로 랜덤하게 및/또는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셀 크기의 5배의 직경을 갖는 발포 층(130)의 내부의 각각의 구형 영역이 그 영역 내에 대략 동일한 개수의 셀을 갖는다면, 셀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대부분의 셀(138)이 폐쇄형 셀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50% 이상, 또는 75% 이상, 또는 90% 이상,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의 셀(138)이 폐쇄형 셀이다.
제1 층(110)은 두께 h1을 갖고, 제2 층(120)은 두께 h2를 갖고, 발포 층(130)은 두께 h3을 갖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h1 및 h2의 각각은 두께 h3의 0.05 내지 1, 또는 0.1 내지 0.5, 또는 0.12 내지 0.35배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발포 층(130)의 두께 h3은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 또는 4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 또는 50 마이크로미터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층(110)은 비-점착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이 수지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혼합물, 공중합체 또는 변형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110)은 바람직하게는 인장 연신율(tensile elongation)이 2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이다. 제1 층(110)은 인장 강도가 10 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Pa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MPa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층(120)은 감압 접착제를 포함한다. 감압 접착제는 아크릴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혼합물, 공중합체, 또는 변형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120)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강에 대한 180도 박리 접착력이 0.1 N/mm 내지 4 N/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N/mm 내지 3 N/mm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N/mm 내지 2 N/mm의 범위이다. 층(120)은 우수한 재작업성(reworkability) 및 깨끗한 제거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층(120)은 가교결합제, 예컨대 공유 결합제(들) 및/또는 이온성 가교결합제(들)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층(120)은 충전제, 염료, 안료, 산화방지제, UV-안정제, 건식 실리카, 나노입자, 및 표면 개질된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을 또한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OLED 필름(100, 200, 300, 400)은 가교결합을 촉진하기 위해 e-빔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다. 가교결합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e-빔 조사(irradiation)의 선량은 일반적으로 1 메가래드 미만 내지 100 메가래드 이상이다. 가교결합을 촉진하기에 적합한 e-빔 조사의 선량은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발포 층(230) 상에 배치된 제1 층(210) 및 제2 층(220)을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2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발포 층(230)은 발포 층(130)에 상응할 수 있으며, 제1 층(210)에 면해 있는 구조화된 이형 표면(247)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이형 라이너(240)를 사용하여 형성된 공기-배출 채널(245)을 제1 층(210)이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층(210) 및 제2 층(220)은 제1 층(110) 및 제2 층(120)에 상응할 수 있다. 구조화된 이형 라이너(240)는 예를 들어 엠보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엠보싱되거나 달리 구조화된 이형 라이너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197,397호 (셰어(Sher) 등), 미국 특허 제6,984,427호 (갈키에비츠(Galkiewicz) 등) 및 미국 특허 제7,972,670호 (자이츠(Seitz)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층(210)은 감압 접착제이며 공기-배출 채널(245)은 OLED 층에 라미네이션 동안 공기가 빠져나가게 한다. 이는 OLED 층과 완충 필름 사이의 공기 포획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발포 층(330) 상에 배치된 제1 층(310) 및 제2 층(320)을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3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발포 층(330)은 발포 층(130)에 상응할 수 있으며, 제1 층(310) 및 제2 층(320)이 각각 발포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층(310) 및 제2 층(320)은 제1 층(110) 및 제2 층(120)에 상응할 수 있다. 제1 층(310) 및 제2 층(320)은 본 명세서에서 다른 곳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발포제를 포함함으로써 발포될 수 있다. OLED 완충 필름(300)은 제1 층(310) 및 제2 층(320) 및 발포 층(330)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OLED 완충 필름은 완충 필름에 포함된 접착제 층을 통해 또는 추가적인 접착제 층을 통해 능동 OLED 층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접착제 층(412)을 통해 OLED 층(450)에 라미네이팅된 OLED 완충 필름(400)을 포함하는 발광 물품(405)의 개략 단면도이다. OLED 층(450)은 OLED 완충 필름(400)의 반대편에 상부 표면(451)을 포함하고, OLED 층(450)은 상부 표면(451)을 통해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OLED 완충 필름(400)은 공극 층을 포함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다른 곳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공극 층에 상응할 수 있다. 접착제 층(412)은 공기-배출 채널(445)을 포함한다. 비-접착제 층(422)이 접착제 층(412) 반대편의 OLED 완충 필름(40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비-접착제 층(422)은 OLED 완충 필름(400)과의 공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층(412)이 또한 OLED 완충 필름(400)과의 공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층(412) 및 비-접착제 층(422)은 대안적으로 OLED 완충 필름(400)의 층들로서 설명될 수 있다. 열 확산 층(heat spreading layer; 452)이 접착제 층(424)을 통해 비-접착제 층(422)에 부착된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비-접착제 층(422)이 생략되고 접착제 층(424)이 OLED 완충 필름(400)에 직접 부착된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2개의 층(비-접착제 층(422) 및 접착제 층(424))은 OLED 완충 필름(400)과 열 확산 층(452)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층이 OLED 완충 필름(400)과 열 확산 층(452) 사이에 배치된다. 열 확산 층(452)은, 예를 들어 열전도성 중합체 또는 금속 층과 같은 OLED 층(45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확산시키기에 적합한 임의의 층일 수 있다. 전자기 간섭 차폐재(456)가 접착제 층(454)에 의해 OLED 완충 필름(400) 반대편의 열 확산 층(452)에 부착된다. 전자기 간섭 차폐재(456)는 예컨대 금속 스크린 또는 포일, 또는 금속 입자 로딩된 잉크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차폐 층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열 확산 층(452) 및 전자기 간섭 차폐재(45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생략될 수 있거나, 단일 층을 이용하여 열 확산 기능 및 전자기 간섭 차폐 기능 둘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가요성 OLED 장치는,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인쇄 전자 장치의 염가의 롤-투-롤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잉크젯 인쇄에서 유래된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substrate) 상에 유기 층을 침착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문헌[Hebner, T. R.; Wu, C. C.; Marcy, D.; Lu, M. H.; Sturm, J. C. (1998). "Ink-jet printing of doped polymer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Applied Physics Letters. 72: 519]; 문헌[Bharathan, Jayesh; Yang, Yang (1998). "Polymer electroluminescent devices processed by inkjet printing: I. Polymer light-emitting logo". Applied Physics Letters. 72: 2660]을 참조한다.
가요성 OLED는 스마트폰, 태블릿, 패블릿(phablet), 월페이퍼(wallpaper) 또는 다른 만곡형/굴곡성 디스플레이에 포함될 수 있는 굴곡성 및 가요성인 휴대용 핸드헬드 디스플레이, 전자 종이, 또는 다른 굴곡성 디스플레이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OLED 완충 필름은 우수한 감쇠 및 완충 특성을 제공하는 굴곡성 또는 가요성인 OLED 디스플레이 스택(stack)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바람직하게는 OLED 완충 필름은 5000 사이클 이상의 반복 굽힘을 손상 없이 견딜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 사이클 이상의 반복 굽힘을 손상 없이 견딜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00 사이클 이상의 반복 굽힘을 손상 없이 견딜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OLED 완충 필름은 -10℃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반복된 굽힘 사이클을 견딜 수 있다.
실시예
시험 방법
감쇠/완충 성능에 대한 볼 낙하 시험
완충/감쇠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볼 낙하 장치를 사용하였다. 완충 필름 샘플을 70 mm × 70 mm 시험 쿠폰 크기로 절단하고 2개의 5 mm 두께의 스테인리스강 판들 사이에 개재하였다. 상부 판은 샘플 크기와 일치하게 하였다. 하부 판은 전체 상부 판을 덮기에 충분히 커서, 하부에서 위로 볼 때 완충 테이프가 노출되지 않았다. 시편의 각각의 면에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시편을 각각의 면에서 상부 및 하부 스테인리스강 판 표면에 고정하였다. 이어서, 시험 조립체를 힘 변환기(force transducer) 위에 놓았다. 55 그램의 스테인리스강 볼을 라미네이팅된 조립체의 상부 표면 위로 200 mm 높이에서 중심에 놓고, 이어서 그 볼을 조립체 상으로 자유 낙하되게 하였다. 조립체 밑에서 힘 변환기로 충격력을 측정하였다. 컴퓨터에 의해 최대 반발력을 기록하였고 완충 성능을 추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성능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알려진 우수한 완충 성능을 갖는 내부 기준 재료를 벤치마크(benchmark)로서 사용하였다. 시험 시편의 최대 반발력이 기준 재료의 최대 반발력보다 20% 이하만큼 더 높거나 또는 더 낮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이는 우수한 완충 성능으로 간주하였고 5의 성능 등급을 부여하였다. 최대 반발력이 기준 재료보다 20 내지 40%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이는 양호한 완충 성능으로 간주하였고 3의 성능 등급을 부여하였으며; 최대 반발력이 기준 재료보다 40% 초과만큼 더 높은 것은 경우, 불량한 완충 성능으로 간주하였고 1의 성능 등급을 부여하였다. 범위 및 등급이 하기 표에 요약되어있다.
Figure pct00001
폼 품질 시험
일부 완충 폼 샘플을 품질에 대해 시각적으로 검사하였다. 주요 품질 결함은 두께 방향으로 필름을 통한 국부적인 구멍을 야기하는 큰 기포였다. 이러한 종류의 큰 구멍이 너무 많으면 큰 국부적 변화로 인해 폼 완충 성능이 떨어진다. 품질은 3 × 3 in (7.6 × 7.6 cm) 면적당 큰-구멍 결함의 수에 따라 등급을 매겼다. 3회 측정에 대해 큰 구멍의 평균 개수가 10개 미만이면, 균일한 것으로 간주하였고 5의 등급을 부여하였다. 3회 측정에 대해 큰 구멍의 평균 개수가 10 내지 20개이면, 적당히 균일한 것으로 간주하였고 3의 등급을 부여하였다. 3회 측정에 대해 큰 구멍의 평균 개수가 20개 초과이면, 불량한 균일성인 것으로 간주하였고 1의 등급을 부여하였다.
Figure pct00002
다공도 측정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폼 밀도를 측정하였고, 발포되지 않은 기준 시편과 비교한 밀도 비로부터 다공도를 추정하였다.
비교예 C1
실험실 이축 압출기에서, 폴리스티렌 함량이 15%인, 스티렌과 아이소프렌에 기초한 선형 삼중블록 공중합체인 크라톤 D1161 P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의 크라톤 퍼포먼스 폴리머스) 및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인 엔덱스 160 (미국 테네시주 킹스포트 소재의 이스트맨 케미칼 컴퍼니)을 에코셀-P 발포제 (미국 뉴저지주 락어웨이 소재의 폴리필 코포레이션)와 28% / 70% / 2%의 중량 비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압출기의 구역 1 내로 간헐적으로 공급하여 연속 작동을 보장하였다. 압출기에는 기어 펌프, 넥 튜브(neck tube), 및 다이(die)를 장착하였다. 온도 프로파일은 압출기 / 기어 펌프 / 넥 튜브 / 다이에 대해 176℃ / 176℃ / 193℃ / 193℃였다. 공급 속도는 2.8 ㎏/hr이었다. 닙(nip)을 사용하여 2개의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형 라이너들 사이에 압출된 필름을 개재하고 롤로 권취하였다. 폼 두께는 라인 속도를 조정하여 제어하였으며, 약100 마이크로미터 두께였다.
실시예 1
이 필름은 크라톤 D1161 P / 엔덱스 160 / 에코셀-P에 대한 공급 비가 48% / 50% / 2%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 필름은 크라톤 D1161 P / 엔덱스 160 / 에코셀-P에 대한 공급 비가 58% / 40% / 2%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 필름은 크라톤 D1161 P / 엔덱스 160 / 에코셀-P에 대한 공급 비가 68% / 30% / 2%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이 필름은 크라톤 D1161 P / 엔덱스 160 / 에코셀-P에 대한 공급 비가 78% / 20% / 2%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이 필름은 크라톤 D1161 P / 엔덱스 160 / 에코셀-P에 대한 공급 비가 88% / 10% / 2%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결과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pct00003
비교예 C3
이 필름은 크라톤 D1161 P / 엔덱스 160 / 에코셀-P에 대한 공급 비가 60% / 40% / 0%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이 필름은 크라톤 D1161 P / 엔덱스 160 / 에코셀-P에 대한 공급 비가 59% / 40% / 1%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이 필름은 크라톤 D1161 P / 엔덱스 160 / 에코셀-P에 대한 공급 비가 57% / 40% / 3%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이 필름은 크라톤 D1161 P / 엔덱스 160 / 에코셀-P에 대한 공급 비가 56% / 40% / 4%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이 필름은 크라톤 D1161 P / 엔덱스 160 / 에코셀-P에 대한 공급 비가 54% / 40% / 6%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2]
Figure pct00004
비교예 C4
이 필름은 공급 조성물이 58% / 40% / 2%의 공급 비의 크라톤 D1161 P / 히코택(HIKOTACK) C-90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대한민국 과천시 소재의 코롱 인터스트리즈(Kolon Industries)) / 에코셀-P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C5
이 필름은 공급 조성물이 58% / 40% / 2%의 공급 비의 크라톤 D1161 P / 히코택 C-120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대한민국 과천시 소재의 코롱 인터스트리즈) / 에코셀-P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이 필름은 공급 조성물이 58% / 40% / 2%의 공급 비의 크라톤 D1161 P / 쿠마르 130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소재의 네빌 케미칼 컴퍼니) / 에코셀-P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이 필름은 공급 조성물이 58% / 40% / 2%의 공급 비의 크라톤 D1161 P / 아르콘 P-140 (지환족 포화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 일본 오사카 소재의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 에코셀-P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이 필름은 공급 조성물이 58% / 40% / 2%의 공급 비의 크라톤 D1161 P / 클리어론 P150 (수소화 테르펜 수지, 일본 히로시마 소재의 야스하라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 에코셀-P인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결과가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3]
Figure pct00005
실시예 12
파일럿-규모 용융물 처리 라인에서, 2개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를 생성하였다. 2개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3층 ABA 피드블록(feedblock)을 공급하였고, 이는 필름 다이로 공급되었다. 스킨 압출기 및 코어 압출기에 하기에 열거된 원료를 열거된 중량 백분율로 공급하였다. 스킨 압출기로부터의 전반적인 공급 속도는 4 lb/hr (1.8 ㎏/hr)이었다. 코어 압출기로부터의 전반적인 공급 속도는 8 lb/hr (3.6 ㎏/hr)이었다. 코어 압출기의 온도 설정점 및 속도는 다음과 같았다: 압출기 배럴 구역: 340℉ (171℃); 압출기 스크루 속도: 250 RPM; 기어 펌프: 340℉ (171℃); 넥 튜브: 360℉ (182℃). 스킨 압출기의 온도 설정점 및 속도는 다음과 같았다: 압출기 배럴 구역: 350℉ (177℃); 압출기 스크루 속도: 250 RPM; 기어 펌프: 350℉ (177℃); 넥 튜브: 360℉ (182℃). 스킨 압출기 및 코어 압출기로부터의 용융물 스트림들은 360℉ (182℃)의 설정점 온도에서 피드블록에서 합쳐진다. 다이는 360℉ (182℃)로 설정하였다. 스킨을 위한 원료는 다음과 같았다:
45 중량%의 크라톤 D1161 P
5 중량%의 이온페이즈(IonPhasE) IPE PE 0107M, 정전기 소산성 중합체 (핀란드 탐페레 소재의 이온페이즈 오와이(IonPhasE Oy))
5 중량%의 누크렐(NUCREL) 960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듀폰 컴퍼니(DuPont Co.))
17 중량%의 쿠마르 130
27 중량%의 아르콘 P-125 (지환족 포화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 일본 오사카 소재의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1 중량%의 이르가녹스(IRGANOX) 1010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 (미국 뉴저지주 플로햄파크 소재의 바스프 코포레이션(BASF Corp.)).
폼 코어를 위한 원료는 다음과 같았다:
43 중량%의 크라톤 D1161 P
5 중량%의 이온페이즈 IPE PE 0107M
45 중량%의 엔덱스 160
4 중량%의 레마핀 블랙(REMAFIN BLACK), 40% 흑색 안료 EVA 마스터배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롯 소재의 클래리언트(Clariant))
2 중량%의 에코셀-P
1 중량%의 이르가녹스 1010.
캐리어 웨브로서 부가된 매끄러운 제1 PET 이형 라이너를 이용하여 냉각된 롤 상에 3층 압출물을 캐스팅하였다. 스킨 층은 감압 접착제 (PSA)였다. 다층 폼 두께는 약 100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되도록 라인 속도를 조정하여 제어하였다. 필름을 롤로 권취하기 전에, 제2 PET 이형 라이너를 라미네이션 닙에서 도입하여, 매끄러운 제2 PET 라이너를 샘플의 반대편 면에 라미네이팅하였다. 이중 이형 개재된 샘플을 롤로 권취하였다.
생성된 필름은 밀도가 0.82 g/cc였다.
실시예 13
이 실시예는 스킨 압출기에 하기 조성물을 공급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하였다:
50 중량%의 크라톤 D1161 P
5 중량%의 이온페이즈 IPE PE 0107M
44 중량%의 엔덱스 160
1 중량%의 이르가녹스 1010
공급 속도는 스킨 압출기에 대해 4 lb/hr (1.8 ㎏/hr) 및 코어 압출기에 대해 8 lb/hr (3.6 ㎏/hr)이었다. 공압출된 샘플은 지촉 점착성(finger tack)을 갖지 않았다.
실시예 14
이 실시예는 제1 PET 이형 라이너를 구조화된 종이 이형 라이너 (미국 위스콘신주 해먼드 소재의 로파렉스 엘엘씨(Loparex LLC)로부터 구매가능함)로 대체하고 다이로부터 나오는 용융물을 엠보싱에 의해 제조된 구조화된 라이너 표면 상에 직접 캐스팅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하였다. 엠보싱된 표면은 우수한 라미네이션 품질을 갖는 필름 밖으로 기포가 이동하게 하는 채널과 같은 표면 구조를 가졌다.
샘플은 엠보싱된 라이너로부터 미세패턴을 매우 잘 취하는 것으로 보였다.
다양한 완충 필름의 층상 구조가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표 4]
Figure pct00006
다음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목록이다.
실시 형태 1은 발포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30 내지 80 중량%의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5 내지 60 중량%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하고, 점착부여제는 연화점이 130℃ 이상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는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의 제1 주 표면에 부착된 제1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3은 실시 형태 2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제1 층은 접착제 층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4는 실시 형태 3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접착제 층 상에 배치된 이형 라이너를 추가로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5는 실시 형태 4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이형 라이너는 접착제 층에 면해 있는 구조화된 이형 표면을 갖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6은 실시 형태 2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제1 층은 비-접착제 층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7은 실시 형태 2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제1 주 표면 반대편의 발포 층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 제2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8은 실시 형태 7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 중 하나는 접착제 층이고 제1 층 및 제2 층 중 다른 하나는 비-접착제 층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9는 실시 형태 7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 둘 모두는 접착제 층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10은 실시 형태 7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 둘 모두는 비-접착제 층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11은 실시 형태 7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발포되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12는 실시 형태 7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의 각각은 발포 층의 두께의 0.05 내지 1배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13은 실시 형태 7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의 각각은 발포 층의 두께의 0.1 내지 0.5배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14는 실시 형태 7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의 각각은 발포 층의 두께의 0.12 내지 0.35배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15는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두께가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16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두께가 40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17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두께가 50 마이크로미터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18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5 내지 50 중량%의 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19는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8 내지 40 중량%의 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0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10 내지 20 중량%의 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1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프렌, 옥탄, 부틸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올레핀 블록을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2는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점착부여제의 연화점은 130℃ 내지 170℃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3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점착부여제의 연화점은 130℃ 내지 160℃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4는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점착부여제의 연화점은 140℃ 내지 160℃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5는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점착부여제는 C5 탄화수소, C9 탄화수소, 지방족 수지, 방향족 수지, 테르펜, 테르페노이드, 테르펜 페놀성 수지, 로진, 로진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6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밀도가 0.5 내지 0.9 g/cc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7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밀도가 0.55 내지 0.85 g/cc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8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밀도가 0.6 내지 0.8 g/cc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29는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복수의 셀을 포함하며, 복수의 셀은 평균 셀 크기가 5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30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복수의 셀을 포함하며, 복수의 셀은 평균 셀 크기가 5 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31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복수의 셀을 포함하며, 복수의 셀은 평균 셀 크기가 5 마이크로미터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32는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다공도가 5 내지 50%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33은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다공도가 10 내지 40%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34는 실시 형태 1의 OLED 완충 필름으로서, 발포 층은 복수의 셀을 포함하고, 적어도 대부분의 셀은 폐쇄형 셀인, OLED 완충 필름이다.
실시 형태 35는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3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완충 필름 상에 배치된 OLED 층을 포함하는 발광 물품이다.
실시 형태 36은 실시 형태 35의 발광 물품으로서, OLED 완충 필름과 OLED 층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광 물품이다.
실시 형태 37은 접착제 층에 의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완충 필름에 라미네이팅된 OLED 층을 포함하는 발광 물품으로서, OLED 완충 필름은 발포 층을 포함하고, 발포 층은 30 내지 80 중량%의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5 내지 60 중량%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하고, 점착부여제는 연화점이 130℃ 이상이고, 접착제 층은 OLED 층에 인접한 공기-배출 채널을 갖는, 발광 물품이다.
실시 형태 38은 실시 형태 35 내지 실시 형태 37 중 어느 하나의 발광 물품으로서, OLED 층 반대편의 OLED 완충 필름에 라미네이팅된 열 확산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광 물품이다.
실시 형태 39는 실시 형태 38의 발광 물품으로서, 열 확산 층과 OLED 완충 필름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광 물품이다.
실시 형태 40은 실시 형태 38의 발광 물품으로서, OLED 완충 필름 반대편의 열 확산 층에 라미네이팅된 전자기 간섭 차폐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발광 물품이다.
도면 내의 요소에 대한 설명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다른 도면 내의 대응하는 요소에 동등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 실시 형태가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대안 및/또는 등가의 구현 형태가 도시 및 기술된 특정 실시 형태를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논의된 특정 실시 형태의 임의의 개조 또는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직 청구범위 및 이의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발포 층을 포함하며, 발포 층은 30 내지 80 중량%의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5 내지 60 중량%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하고, 점착부여제는 연화점이 130℃ 이상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완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발포 층의 제1 주 표면에 부착된 제1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층은 접착제 층인, OLED 완충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접착제 층 상에 배치된 이형 라이너를 추가로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이형 라이너는 접착제 층에 면해 있는 구조화된 이형 표면을 갖는, OLED 완충 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제1 주 표면 반대편의 발포 층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 제2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층 및 제2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발포되는, OLED 완충 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제1 층 및 제2 층의 각각은 발포 층의 두께의 0.1 내지 0.5배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OLED 완충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5 내지 50 중량%의 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프렌, 옥탄, 부틸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올레핀 블록을 포함하는, OLED 완충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점착부여제는 C5 탄화수소, C9 탄화수소, 지방족 수지, 방향족 수지, 테르펜, 테르페노이드, 테르펜 페놀성 수지, 로진(rosin), 로진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OLED 완충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발포 층은 밀도가 0.5 내지 0.9 g/cc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발포 층은 복수의 셀을 포함하며, 복수의 셀은 평균 셀 크기가 5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인, OLED 완충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발포 층은 다공도가 5 내지 50%의 범위인, OLED 완충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발포 층은 복수의 셀을 포함하고, 적어도 대부분의 셀은 폐쇄형 셀인, OLED 완충 필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완충 필름 상에 배치된 OLED 층을 포함하는, 발광 물품.
  17. 접착제 층에 의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완충 필름에 라미네이팅된 OLED 층을 포함하며, OLED 완충 필름은 발포 층을 포함하고, 발포 층은 30 내지 80 중량%의 올레핀-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5 내지 60 중량%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하고, 점착부여제는 연화점이 130℃ 이상이고, 접착제 층은 OLED 층에 인접한 공기-배출 채널(air-bleed channel)을 갖는, 발광 물품.
  18. 제17항에 있어서, OLED 층 반대편의 OLED 완충 필름에 라미네이팅된 열 확산 층(heat spreading layer)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광 물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열 확산 층과 OLED 완충 필름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광 물품.
  20. 제18항에 있어서, OLED 완충 필름 반대편의 열 확산 층에 라미네이팅된 전자기 간섭 차폐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발광 물품.
KR1020187034492A 2016-04-29 2017-04-10 유기 발광 다이오드 완충 필름 KR102353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9779P 2016-04-29 2016-04-29
US62/329,779 2016-04-29
US201662404599P 2016-10-05 2016-10-05
US62/404,599 2016-10-05
PCT/US2017/026765 WO2017189214A1 (en) 2016-04-29 2017-04-1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ushioning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636A true KR20180131636A (ko) 2018-12-10
KR102353591B1 KR102353591B1 (ko) 2022-01-21

Family

ID=6015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492A KR102353591B1 (ko) 2016-04-29 2017-04-10 유기 발광 다이오드 완충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31570A1 (ko)
EP (1) EP3449518A4 (ko)
JP (1) JP2019515438A (ko)
KR (1) KR102353591B1 (ko)
CN (1) CN109075264B (ko)
TW (1) TW201807857A (ko)
WO (1) WO201718921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6416A1 (en) * 2002-07-02 2005-05-05 Peiguang Zhou High-viscosity elastomeric adhesive composition
KR20070087619A (ko) * 2004-12-22 2007-08-2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고성능탄성 재료
JP2013035975A (ja) * 2011-08-10 2013-02-21 Toyo Ink Sc Holdings Co Ltd 積層体
KR101272397B1 (ko) * 2013-04-11 2013-06-07 장성대 열확산, 전자파 차폐 및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복합기능 박막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41803A (ko) * 2011-06-30 2014-04-04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치수적으로 안정한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40136902A (ko) * 2013-05-21 2014-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봉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KR20150140761A (ko) * 2013-04-10 2015-12-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발포 복합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82670B (zh) * 2003-11-21 2011-05-11 3M创新有限公司 结构的纸剥离衬里,粘合剂背衬的制品组件及其制造方法
WO2007022308A1 (en) * 2005-08-17 2007-02-22 Bostik, Inc. Hot melt sealant and foam-in-place gasketing material
JP2009301431A (ja) * 2008-06-16 2009-12-24 Kenwood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DE102008062131A1 (de) * 2008-12-16 2010-06-17 Tesa Se Klebeband, insbesondere zur Verklebung optoelektronischer Bauteile
JP6058281B2 (ja) * 2011-07-05 2017-01-11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エラストマー発泡体及び発泡部材
JP5945171B2 (ja) * 2011-08-10 2016-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エラストマー発泡体
KR101940186B1 (ko) * 2012-10-29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A2904584A1 (en) * 2013-03-05 2014-09-12 Avery Dennison Corporation Differential dual functional foam tap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6416A1 (en) * 2002-07-02 2005-05-05 Peiguang Zhou High-viscosity elastomeric adhesive composition
KR20070087619A (ko) * 2004-12-22 2007-08-2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고성능탄성 재료
KR20140041803A (ko) * 2011-06-30 2014-04-04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치수적으로 안정한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3035975A (ja) * 2011-08-10 2013-02-21 Toyo Ink Sc Holdings Co Ltd 積層体
KR20150140761A (ko) * 2013-04-10 2015-12-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발포 복합체
KR101272397B1 (ko) * 2013-04-11 2013-06-07 장성대 열확산, 전자파 차폐 및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복합기능 박막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36902A (ko) * 2013-05-21 2014-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봉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9518A4 (en) 2019-12-25
JP2019515438A (ja) 2019-06-06
WO2017189214A1 (en) 2017-11-02
TW201807857A (zh) 2018-03-01
KR102353591B1 (ko) 2022-01-21
US20190131570A1 (en) 2019-05-02
CN109075264B (zh) 2021-09-28
EP3449518A1 (en) 2019-03-06
CN109075264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053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dhesive articles
JP4565058B2 (ja) プリズムシート用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が貼り付けられたプリズムシート
US20140050887A1 (en) Releasing film for ceramic green sheet production processes
US20160121576A1 (en) Electrocondu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ushioning
WO2010088021A1 (en) Waterproofing membrane
KR20170060025A (ko) 광가교성 투명 점착재, 투명 점착재 적층체 및 광학 장치 구성용 적층체
JP2006257191A (ja) 粘着フィルムまたは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なる粘着製品
KR102275213B1 (ko) 밀봉 시트,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TW201202043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20200050463A (ko)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보호 필름
KR10235359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완충 필름
TW201835276A (zh) 黏著性樹脂組成物以及由黏著性樹脂組成物所構成的積層膜
JP2013055112A (ja) ダイシング用基体フィルム
JP201011172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318107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9536666A (ja) ポリマー多層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27372A (ja) 粘着テープ
JP2011023632A (ja) ダイシング用基体フイルム及びダイシングフイルム
JP485530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CN114670517B (zh) 有机电子装置用封装材料及包含其的有机电子装置
JP2013166278A (ja) 伸長性有機基材
JP2016196650A (ja) 粘着剤及び粘着フィルム
JP5441459B2 (ja) バックグライン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86322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5217585A (ja) プラスチック気泡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