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959A -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959A
KR20180130959A KR1020170067339A KR20170067339A KR20180130959A KR 20180130959 A KR20180130959 A KR 20180130959A KR 1020170067339 A KR1020170067339 A KR 1020170067339A KR 20170067339 A KR20170067339 A KR 20170067339A KR 20180130959 A KR20180130959 A KR 20180130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size
size guid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943B1 (ko
Inventor
윤은기
Original Assignee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94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5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in or on special supports
    • B65H2301/42254Boxes; Cassettes; Containers
    • B65H2301/422548Boxes; Cassettes; Containers filling or load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사용자의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가 개시된다. 용지 급지부에 구비되는 레일의 후면부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에 홈을 구비하여 상기 용지 정렬 장치의 고정을 돕는다. 또한 상기 용지 급지구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할 때 사용하는 분리 장치를 이용할 때, 상기 레일의 홈 바닥에 구비되어 있는 바닥이 상승하여 상기 용지 정렬 장치의 고정이 해제되어 자동으로 상승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상태로 이동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The paper sorting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지 급지구에 구비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의 사용에 있어 조금 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란 인쇄를 할 수 있는 용지에 사용자가 인쇄 명령을 내린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또는 FAX 등의 장치를 포함하며, 이들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취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역시 화상형성장치의 일례가 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미소한 액체 방울의 잉크를 인쇄 매체 상의 원하는 위치에 토출 및 조사하여 용지에 소정의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생성된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한 후 토너가 공급된 정전 잠상을 용지에 전사하여 소정의 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 등이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사용자 등에 의해서 인쇄 명령을 받는 경우,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 용지 급지부에서 용지를 1매씩 화상형성장치 내부로 이송시켜 각 화상형성장치의 종류에 따라 특징을 갖는 화상 형성부를 지나 출력이 완료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용지를 배출하여 출력을 마무리한다. 이 때,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에 용지가 없는 경우, 인쇄 명령은 잠시 중지되며, 오류 메시지, 빛, 소리 등의 선택적 조합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용지의 공급을 유도한다.
용지를 모두 사용하여 용지를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 일반적인 사무환경에서는 많은 인쇄 작업을 하기 때문에 한 번에 다량의 용지를 공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 구조상 용지를 가로로 공급해야 하는데, 올바른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 용지 묶음이 접히거나 일부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입으며, 잘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 시에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걸리는 이른바 잼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용지 다발을 공급할 때 용지 다발의 가장 아래쪽에 있는 용지와, 용지 다발의 가장 위쪽에 있는 용지의 위치의 관계로 인하여 가장 아래쪽에 있는 용지가 받는 힘이 매우 크고, 또한 각각의 용지의 마찰이나 습도,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용지의 일괄적인 정렬이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이 출원 및 등록한 등록특허 KR 10-1728961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를 발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용지 정렬 장치에 용지를 밀어 넣을 때 너무 세게 밀어넣어 자동 용지 급지부의 파손 위험이 생길 수 있었고, 또한 상기 용지 정렬 장치의 고정이 되지 않아 최초 정렬 후 화상형성장치의 조작에 있어 발생하는 진동 등으로 인하여 용지 정렬 장치가 이동하였을 때 정확한 정렬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용지 정렬 장치를 수동으로 당겨 조작해야 하는 점,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한 부품이 파손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를 사용할 때 상기 용지 정렬 장치에 용지를 공급하는 동작에 있어 상기 용지 정렬 장치를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며 사용에 있어 고정력을 제공하여 쉽게 탈착되지 않게 하고 파손의 위험을 막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용지 급지부에 구비되는 레일의 후면부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에 홈을 구비하여 상기 용지 정렬 장치의 고정을 돕는다. 또한 상기 용지 급지구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할 때 사용하는 분리 장치를 이용할 때, 상기 레일의 홈 바닥에 구비되어 있는 바닥이 상승하여 상기 용지 정렬 장치의 고정이 해제되어 자동으로 상승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상태로 이동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를 이용할 때 더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요도이다.
도 2는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홈의 실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용지의 이송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가 이동 가능한 경로를 제공하며 용지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구비되는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300)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지지형상부(210)와, 상대적으로 더 긴 지지형상부(220)와, 상기 짧은 지지형상부와 상기 긴 지지형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용지 사이즈 가이드 높이조절부(230)를 구성하는 기존 KR 10-1728961의 발명의 구성요소에 추가적으로,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300)의 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의 사용으로 상기 자동 용지 급지부에 장착될 때 탄성력을 제공하여 급격한 낙하로 인한 용지 사이즈 가이드의 충격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500)과, 상기 용지 사이즈 레일(300)에 구비되며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가 상기 스프링(500)의 복원력과 용지의 저항력을 이용하여 용지를 정렬하며 또한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용지 사이즈 가이드 고정 홈(600)과, 상기 용지 사이즈 고정 홈()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의 용지를 모두 사용하였을 때 용지를 보급하기 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하도록 사용되는 잠금 장치 해제부를 조작하였을 때 고정 홈을 메울 수 있도록 바닥에서 상승하여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가 상기 스프링(500)의 복원력으로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 상승판(310)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도 1과 도 2는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에 용지를 적재하고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300)을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의 바닥면으로 수납할 때, 기존 발명의 경우 용지의 무게로 인하여 조심스럽게 조작하여야 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손에서 놓치는 경우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가 바로 바닥으로 낙하하여 용지 또는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의 바닥면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될 위험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300)의 후면에 스프링(500)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의 경우처럼 용지를 적재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의 바닥면으로 수납할 때 뒤에서 밀어주는 스프링(50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쉽게 낙하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손에서 놓치는 경우에도 스프링(500)이 댐퍼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속도를 감속시켜 낙하하여 파손의 위험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의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가 고정되지 않던 기존의 발명과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는 상기 스프링(50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용지를 용지의 사이즈에 맞게 좌우 정렬이 가능하도록 단단하게 잡아줄 수 있는 구성을 한다. 그러나 상기의 스프링(500)의 복원력이 너무 강하여 적재한 용지 사이즈 이하로 좌우 정렬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에 고정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고정 홈(600)을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500)의 복원력으로 필요 이상 용지가 압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고정 홈(600)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에 적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용지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를 모두 사용한 경우,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를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고정 홈(600)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분리에 필요한 동작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리 장치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어떤 화상형성장치라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해 결합할 때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여 잠금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이를 풀기 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에 구비되어 있는 잠금 장치 해제부를 조작하는 순간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역시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고정 홈(600)과 분리되는 것이 사용자의 사용에 있어 더욱 편의성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과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 장치 해제부와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고정 홈(60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잠금 장치 해제부를 조작하였을 때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고정 홈(600)을 메꿀 수 있도록 상승 동작하는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 상승판(310)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 상승판(310)이 상승하여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고정 홈(600)을 메꾸게 되면, 상기 스프링(500)의 복원력으로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200)는 저항 없이 레일 따라 상승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100)를 열었을 때 즉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
200 : 용지 사이즈 가이드
210 : 상대적으로 더 짧은 지지형상부
220 : 상대적으로 더 긴 지지형상부
230 : 용지 사이즈 가이드 높이조절부
240 : 용지 사이즈 가이드 회전축
300 :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
310 :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 상승판
400 : 용지
500 : 스프링
600 : 용지 사이즈 가이드 고정 홈

Claims (1)

  1.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에 구비되는 용지 정렬 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용지의 이송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지지형상부, 상기 상대적으로 더 짧은 지지형상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지지형상부, 상기 짧은 지지형상부와 상기 긴 지지형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용지 사이즈 가이드 높이조절부, 상기 상대적으로 더 긴 지지형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를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사이즈 가이드; 와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가 이동 가능한 경로를 제공하며 용지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구비되는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의 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의 사용으로 상기 자동 용지 급지부에 장착될 때 탄성력을 제공하여 급격한 낙하로 인한 용지 사이즈 가이드의 충격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상기 용지 사이즈 레일에 구비되며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과 용지의 저항력을 이용하여 용지를 정렬하며 또한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용지 사이즈 가이드 고정 홈을 구비하며,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를 이용하여 용지를 정렬할 경우,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시킨 후 용지를 적재하고, 회전시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용지 사이즈 가이드와 적재되어 있는 용지를 밀어넣어 적재하며 사용하고, 용지의 사용이 완료되어 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가 분리되도록 사용되는 잠금 장치 해제부를 조작하였을 때 고정 홈을 메울 수 있도록 바닥에서 상승하여 상기 용지 사이즈 가이드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용지 사이즈 가이드 레일 상승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용지 급지부에 구비되는 용지 정렬 장치.
KR1020170067339A 2017-05-31 2017-05-31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 KR102248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339A KR102248943B1 (ko) 2017-05-31 2017-05-31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339A KR102248943B1 (ko) 2017-05-31 2017-05-31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59A true KR20180130959A (ko) 2018-12-10
KR102248943B1 KR102248943B1 (ko) 2021-05-07

Family

ID=6467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339A KR102248943B1 (ko) 2017-05-31 2017-05-31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9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989A (ko) * 2002-07-20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 카세트
JP2011201703A (ja) * 2010-03-26 2011-10-13 Oki Data Corp 媒体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70038374A (ko) * 2015-09-30 2017-04-07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989A (ko) * 2002-07-20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 카세트
JP2011201703A (ja) * 2010-03-26 2011-10-13 Oki Data Corp 媒体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70038374A (ko) * 2015-09-30 2017-04-07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943B1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3603B2 (ja) シート供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6994341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436146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媒体供給機構
US10486927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48298B2 (ja) 記録媒体収納カセ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324074B2 (ja)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54457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システム
EP3656710B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76608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027913A (ja) 給紙装置、給紙装置を備える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11066260B2 (en) Sheet lo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loading device
US8690150B2 (en) Sheet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otation stacking portion
KR20120092013A (ko) 용지 수납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20180130959A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정렬 장치
JP4773984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728961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JP6394523B2 (ja) 手差しシート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8154458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6030689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70073027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하 규제판이 있는 용지 정렬 장치
JPH10101232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39248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135705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
KR20200145687A (ko) 테더링된 트레일링 에지 매체 가이드
JP2012012174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