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742A -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742A
KR20180130742A KR1020170066702A KR20170066702A KR20180130742A KR 20180130742 A KR20180130742 A KR 20180130742A KR 1020170066702 A KR1020170066702 A KR 1020170066702A KR 20170066702 A KR20170066702 A KR 20170066702A KR 20180130742 A KR20180130742 A KR 20180130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am
knitting
gauge
gaug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교진
Original Assignee
심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교진 filed Critical 심교진
Priority to KR1020170066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742A/ko
Publication of KR2018013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Abstract

편침실린더(200)를 감싸고 있는 캠 고정커버(251)의 내측에 구비되어 승강하는 게이지조정캠(255)을 조정하는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는 상기 캠 고정커버(251)의 외면에 장착되는 몸체(710); 상기 몸체(710)에 장착된 스테핑모터(712); 상기 스테핑모터(71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스크류회전축(716); 상기 스크류회전축(716)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슬라이더(720); 상기 슬라이더(720)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상기 슬라이더(720)와 함께 승강하며, 단부에 상기 게이지 조정캠(255)이 구비되는 상승하강부재(722); 및 상기 몸체(710)의 저면과 상기 상승하강부재(722)의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회전축(716)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상승하강부재(722)을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7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Gauge controller of flat knitting machines}
본 발명은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타샤 편직 및 고무단 편직에서 편물의 편직조직을 느슨하게 혹은 조밀하게 원하는 게이지(gauge)로 조정할 수 있는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타입 횡편기에는 편침실린더가 정/역회전될 때 편침실린더 외면의 편침가이드에 삽입된 편침과 자크도 편침실린더와 함께 정/역회전을 반복하면서 해당 편침이 상부의 색사 유닛으로부터 편직하고자 하는 패턴에 따라서 순차 공급되는 색사의 각 급사구에서 해당 색사를 취하면서 편직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편직은 기존의 루프(loop)에 편침의 후크에 취해진 실을 꿰어 새로운 루프의 형성으로 이뤄지는 것이며, 이와 같이 편직을 함에 있어, 편물의 편직조직을 느슨하게 하거나 조밀하게 조정하는 게이지(gauge) 조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편물조직의 게이지 조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허번호 10-0174802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 게재된 바와 같이, 편침실린더 외측의 캠 고정커버 시작단과 끝단 부분에 게이지조정캠이 설치 되어있고 캠 고정커버 내면의 상승/하강안내 홈에 설치된 게이지 조정캠을 이동시켜 조정함으로써 게이지 조정이 이루어진다.
선행기술 1은, 게이지조정캠을 조정함에 있어 캠 고정커버의 상승/하강안내 홈에서의 높이를 높이조절 볼트로 조정한 후 캠 고정커버의 외측에 가이드편과 함께 나사로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그 작업마다 조절하여야 하는 조정과정이 번거롭고 정확성을 기하기 어려웠다. 또한 눈대중과 수작업에 의존하여 게이지 조정을 하여야 하므로 숙련자만이 게이지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게이지 조정장치는 높이조절볼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도 마련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편직하다 보면 기계 자체의 미세 진동 등으로 인하여 높이조절볼트가 회전되어 풀릴 수 있고, 편물의 일정한 게이지를 유지할 수 없게되어 일정시간마다 게이지를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3172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함)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 2는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게이지조정캠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 2의 경우에도 슬라이더(720)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30)가 스크류 회전축을 중심으로 슬라이더(720)에 토크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게이지 조정캠(255)의 반복적인 높이 조절과정에서 스크류 회전축(716)의 편마모가 발생함으로써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게이지 조정캠의 편마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적인 작동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고, 횡방향으로의 틀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편침실린더(200)를 감싸고 있는 캠 고정커버(251)의 내측에 구비되어 승강하는 게이지조정캠(255)을 조정하는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는 상기 캠 고정커버(251)의 외면에 장착되는 몸체(710); 상기 몸체(710)에 장착된 스테핑모터(712); 상기 스테핑모터(71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스크류회전축(716); 상기 스크류회전축(716)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슬라이더(720); 상기 슬라이더(720)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상기 슬라이더(720)와 함께 승강하며, 단부에 상기 게이지 조정캠(255)이 구비되는 상승하강부재(722); 및 상기 몸체(710)의 저면과 상기 상승하강부재(722)의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회전축(716)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상승하강부재(722)을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7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720)는, 하부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스크류회전축(716)과 나사결합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는 슬라이더 연장부(7201)가 형성되고, 상기 상승하강부재(722)는 상기 슬라이더 연장부(7201)가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연장부(7201)의 외주면과 상기 상승하강부재(722)의 접촉면은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710)의 저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부(74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상승하강부재(722)는 상기 슬라이더 연장부(720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인 가이드부 삽입홀(7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740)는 상기 상승하강부재(722)의 승하강시에 상기 가이드부 삽입홀(741)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740)는 횡단면 형상이 일정 두께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 삽입홀(741)은 상기 가이드부(740)의 횡단면 형상에 형합하도록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는,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의 축에 의해 연동되는 스크류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게이지 조정캠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는 슬라이더에 작용하는 토크에 의한 불균일한 스크류 회전축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는 스크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슬라이더(720)의 횡방향 틀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반복 작동에 따른 내부 부품의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이지 조정장치가 구비된 원형타입 횡편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형타입 횡편기 중 제2고정원반과 편침실린더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편사분리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조정장치가 캠고정커버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조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게이지 조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지점의 모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 지점의 모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조정장치가 적용된 원형타입 횡편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이지 조정장치가 구비된 원형타입 횡편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형타입 횡편기 중 제2고정원반과 편침실린더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편사분리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본받침원반(100)에는 실린더밑받침(105)이 정/역회전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있고, 실린더밑받침(105)의 상단엔 편침실린더(200)가 회전가능하도록 편침실린더(200)의 하단이 장착되어 있다. 편침실린더(200)에는 외면에 그 세로방향으로 바늘가이드(21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늘가이드(210)에는 편침(211)과 자크(212)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다.
기본받침원반(100)에는 선침기구(224)가 마련되어 있다. 선침기구(224)는 선침제어장치(미도시)의 제어에 의한 각각의 동작핀을 작동시킴으로써 선침 간을 개별적으로 상부로 회동시키고 편침실린더(200)의 바늘가이드(210)에 삽입되어 있는 자크(212)의 바트(butt)를 밀어 넣는다. 선침제어장치는 편직될 스웨터의 무늬에 대한 정보를 차례로 읽어내어 해당 편침(211)이 원하는 사도(450)의 급사구의 실을 취할 수 있도록 선침기구(224)에 명령을 전달한다.
기본받침원반(100)의 상부에는 제1고정원반(120)이 편침실린더(200)의 외주 면을 에워싸도록 복수개의 고정대(122)에 의해 고정된다. 제1고정원반(120)의 상부에는 편침실린더(200)의 상단외주 면을 에워싸도록 직립의 고정간(132)에 의해 제2고정원반(130)이 구비된다.
제1고정원반(120)에는 편침실린더(200)의 외주 면을 감싸도록 분할되고 그 내면에 각각의 캠이 구비되는 캠 고정커버(251)가 장착되어 하나의 유닛인 캠기구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캠기구를 이루는 캠고정커버(251)의 내측에 하강 캠, 돌출캠, 상승캠 및 자크캠들이 1조의 캠군을 이루어 각각의 급사분리처리장치(400)와 대응하여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캠기구를 구성하는 캠고정커버(251)는 편침실린더(200)의 직경에 따라 설치 및 제작상의 요건에 의하여 분할 제작되어 장착된다. 또한 캠고정커버(251)는 편침실린더(200)의 외주면을 완전히 둘러싸고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중 편침(211)의 노후라든가 부러짐에 의한 교환 및 점검 등을 위해서 일정 폭을 갖는 보조캠커버(미도시)로 연결된 상태로 편침실린더(200)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연결 설치된다. 보조캠커버에 의하여 연결되는 양측의 캠고정커버(251)의 내측에는 게이지조정캠(255)이 구비된다.
제2고정원반(1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편침실린더(200)의 중심을 향하도록 등간격을 갖고 이십여 개 이상의 몸판 편직부로 이루어진 편사분리처리장치(400)가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편사분리처리장치(400)는 몸체(410)선단의 경사기둥(413)에 핀(44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집게(443)와 가위(444)가 설치되어 있고, 집게(443)와 가위(444)는 핀(44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막대(440)와 연결부재(446)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회전막대(440)는 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431) 끝단에 장착되어 피스톤로드(431)의 신축에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432)의 작동핀(433)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몸체(410)의 선단에는 편사공급부로부터 롤러를 통해 편사를 안내하는 사도(4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편침실린더(200) 내부의 베이스(501)에는 제2고정원반(130)상에 방사형으로 배열된 편사분리처리장치(400)로부터 편사를 모아 편침실린더(2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인출하여 인타샤 편직이 가능하도록 하는 편사모음장치(5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501)에는 편침판(302)의 결합 캡(305)과 결합되고 이동 가능한 결합 축(610)을 마련하여 편침실린더(200)에 편침판(302)을 결합은 물론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조정할 수 있는 편침판 결합조정장치(60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할 게이지 조정장치가 적용된 본 발명의 원형타입 횡편기는 대기 상태에서 편침실린더(200) 상부의 제2고정원반(130)에 편침실린더(200)의 중심을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설치된 편사분리처리장치(400)마다 편사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편사가 파지된다. 제2고정원반(130)에 방사형으로 배열되어있는 몸판 편직부를 이루는 각각의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의 집게(443)에 의해 편사가 파지된 상태에서 편사모음장치(500)에 의해 편사를 모은 다음, 편침실린더(200)의 중앙을 향하여 인출시킨다. 즉, 편사는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의 집게(443)로부터 편침실린더(200)중앙에 위치된 편사모음장치(500)를 통해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의 사도(450)쪽으로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인 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431)가 전진됨으로써 슬라이더(432)의 작동핀(433)에 의해 연동되는 회전막대(440)를 통해 집게(443)가 잡고있는 편사를 놓는다. 이때, 편사는 각각의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의 사도(450)로부터 편침실림더(200)의 중앙을 향해 모아져서 인타샤 편직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조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조정장치가 캠고정커버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조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게이지 조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A 지점의 모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 지점의 모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 조정장치(700)는 캠 고정커버(251)에 설치된다. 캠 고정커버(251)의 외면에는 상승 하강되는 게이지조정캠(255)이 설치되기 위한 몸체(7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몸체(710)에는 직립으로 스테핑모터(712)가 장착되어 있고 이 스테핑모터(712)의 축과 타이밍벨트(714)를 통해 연결되어 제자리에서 구동되는 스크류회전축(716)이 구비된다.
스크류회전축(716)에는 스크류회전축(716)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회전축(716)의 길이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슬라이더(720)가 구비된다. 슬라이더(720)에는 이와 함께 몸체(710)에서 상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상승하강부재(722)가 설치되고 상승하강부재(722)에는 선단에 게이지조정캠(255)이 장착되어 있다. 게이지조정캠(255)은 캠 고정커버(251)의 내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라이더(720)의 한쪽에는 감지부재(724)가 고정되어있다. 감지부재(724)는 슬라이더(72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게 된다. 슬라이더(720)근처의 몸체(710)에는 원점센서(726)가 장착되어 있으며, 원점센서(726)는 슬라이더(720)에 고정된 감지부재(724)를 승강 위치를 센싱하여 원점을 맞추고 소정의 게이지로 조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스크류회전축(716), 슬라이더(720) 및 상승하강부재(722)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몸체(710)의 저면과 상승하강부재(722) 사이에는 상승하강부재(722)를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73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스프링(730)은 스크류회전축(716)을 중심으로 전후에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즉 압축 스프링(730)은 스크류회전축(716)을 중심으로 게이지 조정캠(255) 측에 하나, 게이지 조정캠(255)의 타측에 하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압축 스프링(730)이 스크류회전축(716)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어느 한쪽에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스크류회전축(716)을 중심으로하는 토크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어느 한쪽에만 압축스프링(73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스크류회전축(716)에 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슬라이더(720)의 승강이 반복됨에 따라 스크류회전축(716)의 편마모의 발생이 심화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스크류회전축(716)을 포함하는 내부 부품의 수명이 단축된다.
슬라이더(720)는 전체적으로 T자형의 종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더(720)의 상부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아래로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더 연장부(7201)가 형성된다. 슬라이더 연장부(7201)는 중심축 방향으로 스크류회전축(716)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스크류회전축(716)을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더 연장부(7201) 및 슬라이더(720)는 승강을 하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연장부(7201)의 외주면은 그 횡단면의 형상이 다각형, 예를 들면 육각형으로 형성된다.
상승하강부재(722)는 이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승하강부재(722)의 관통구는 상부(A)와 하부(B)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승하강부재(722)는 상부(A)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연장부(7201)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내주면의 횡단면 형상이 육각형으로 형성된다.
상승하강부재(722)는 하부(B)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강부재(722)의 관통구 내주면과 슬라이더(722)와의 사이에 이격된 상태의 공간, 즉 가이드 삽입홈(741)이 형성된다. 가이드 삽입홈(741)은 일정 두께를 갖는 육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71)의 저면으로부터 스크류회전축(716) 방향으로 가이드부(740)가 연장형성된다. 가이드부(740)는 앞서 설명한 가이드 삽입홈(741)에 삽입가능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육각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740)는 상승하강부재(722)의 하부에서 슬라이드 연장부(7201)와 상승하강부재(722)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슬라이드(720)와 상승하강부재(722)가 스크류회전축(716)의 회전의 영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슬라이드 연장부(7201)와 상승하강부재(72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접촉하고, 가이드부(740)는 상승하강부재(722)의 하부에서 슬라이드 연장부(7201)와 상승하강부재(722)의 사이에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으로 접촉함으로써 각각의 구성들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가이드부(740)는 상승하강부재(722)와 슬라이드(720)이 스크류회전축(716)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하려고 함으로써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인타샤 편직이 가능한 상태에서 편물조직의 게이지 조정을 할 수 있다. 먼저 원점센서(726)에 의해 슬라이더(720)의 감지부재(724)를 감지하는 위치까지 스테핑모터(712)가 작동되고 그 위치에서 정지하고 나면 그 감지위치를 원점(게이지 값 '0')으로 설정하여 횡편기의 세팅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횡편기의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설정한 게이지 값을 입력하면 스테핑모터(712)에 의해 게이지조정캠(255)이 설정된 게이지 값으로 조정되게 된다. 설정된 게이지 값에 의해 스테핑모터(712)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타이밍벨트(714)를 통해 연결된 스크류회전축(716)이 회전되게 되고 이 스크류회전축(716)에 설치된 슬라이더(720)가 스크류회전축(716)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혹은 하강되게 되며, 상승 혹은 하강되는 슬라이더(720)의 감지부재(724)를 원점센서(726)가 설정한 게이지 값을 가질 때까지 스테핑모터(712)가 구동된 후 정지된다.
슬라이더(720)가 상승 혹은 하강되면, 슬라이더(720)에 일체로 연결된 상승하강부재(722)와 게이지조정캠(255) 또한 슬라이더(720)와 함께 상승 혹은 하강되게 됨으로써 편직되는 편물의 게이지가 조정된다.
이와 같이 횡편기의 원점을 세팅한 상태에서 정/역회전기구를 구동시켜 편침실린더(200; 이하 도 1 참조)를 정/역회전시키면, 편침실린더(200)의 바늘가이드(210)에 삽입된 편침(211)과 자크(212)도 상기 편침실린더(200)와 함께 규정된 각도로 정역회전을 반복하고, 이렇게 정역회전을 반복하면서 해당 편침(211)이 제2고정원반(130)에 배열된 편사분리처리장치(400)들로부터 편직하고자 하는 패턴에 따라서 해당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의 사도(450)에서 편사를 취하면서 인타샤 편직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타샤 편직에서 편물의 편직조직을 이루는 기존의 루프(loop)에 편침의 후크에 취해진 실을 꿰어 새로운 루프의 형성으로 편직되며, 이러한 편직에서 소정의 게이지 값으로부터 좀더 느슨하게 혹은 조밀하게 원하는 게이지(gauge)로 조정된 스웨터 몸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타샤 편직을 실행하여 1 피스(piece)의 스웨터 몸판을 편직한 후, 원점센서(726)가 원점을 감지하여 컴퓨터에 입력되어있는 설정된 게이지 값으로 제어되므로 균일한 게이지 값을 갖는 대량의 편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기본받침원반
105: 실린더밑받침
200: 편침실린더
400: 편사분리처리장치
430: 실린더
432: 슬라이더
433: 작동핀
440: 회전막대
443: 집게
444: 가위
446: 연결부재
450: 사도
500: 편사모음장치
700: 게이지 조정장치
710: 몸체
712: 스텝핑모터
714: 타이밍벨트
716: 스크루회전축
720: 슬라이더
722: 상승하강부재
730: 압축스프링
740: 가이드부
741: 가이드 삽입홈

Claims (5)

  1. 편침실린더(200)를 감싸고 있는 캠 고정커버(251)의 내측에 구비되어 승강하는 게이지조정캠(255)을 조정하는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 고정커버(251)의 외면에 장착되는 몸체(710);
    상기 몸체(710)에 장착된 스테핑모터(712);
    상기 스테핑모터(71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스크류회전축(716);
    상기 스크류회전축(716)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슬라이더(720);
    상기 슬라이더(720)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상기 슬라이더(720)와 함께 승강하며, 단부에 상기 게이지 조정캠(255)이 구비되는 상승하강부재(722); 및
    상기 몸체(710)의 저면과 상기 상승하강부재(722)의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회전축(716)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상승하강부재(722)을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730);을 포함하는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720)는, 하부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스크류회전축(716)과 나사결합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는 슬라이더 연장부(7201)가 형성되고,
    상기 상승하강부재(722)는 상기 슬라이더 연장부(7201)가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연장부(7201)의 외주면과 상기 상승하강부재(722)의 접촉면은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710)의 저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부(74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상승하강부재(722)는 상기 슬라이더 연장부(720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인 가이드부 삽입홀(7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740)는 상기 상승하강부재(722)의 승하강시에 상기 가이드부 삽입홀(741)에 수용되는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740)는 횡단면 형상이 일정 두께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 삽입홀(741)은 상기 가이드부(740)의 횡단면 형상에 형합하도록 형성되는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KR1020170066702A 2017-05-30 2017-05-30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KR20180130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702A KR20180130742A (ko) 2017-05-30 2017-05-30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702A KR20180130742A (ko) 2017-05-30 2017-05-30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742A true KR20180130742A (ko) 2018-12-10

Family

ID=6467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702A KR20180130742A (ko) 2017-05-30 2017-05-30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7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4734A (zh) * 2019-06-27 2019-08-30 李鸣 常开式机头三角气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4734A (zh) * 2019-06-27 2019-08-30 李鸣 常开式机头三角气缸
CN110184734B (zh) * 2019-06-27 2024-04-05 绍兴巴鲁特智能科技有限公司 常开式机头三角气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74486A1 (en) Method for making knitted fabric and related weft knitting machine
JP6751494B2 (ja) 編み出し装置
JPH05239750A (ja) 円形よこ編み機及び外観に変化をつけた製品の円形よこ編み方法
CN111851041A (zh) 织物整纬或整纬整花系统及方法
KR20180130742A (ko)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JPWO2002061190A1 (ja) 横編機における度目制御装置
KR970005845B1 (ko)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CN111088588A (zh) 一种横机钢丝传送装置
EP0533414B1 (en) Flat knitting machine
EP2341172A1 (en) Stitch cam device
KR101713976B1 (ko) 보풀형성장치 및 보풀형성방법
CN1283868C (zh) 一种用于针织机或经编机的针织工具
CN109736003B (zh) 一种提花圆机的提花机构
CN209923558U (zh) 零间纱起底梳
CN213951510U (zh) 一种电脑横机的筒纱放置装置
KR100503172B1 (ko)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CN117716082A (zh) 簇绒机和簇绒方法
CN211897298U (zh) 无废纱起底装置
JP2016121418A (ja) シンカー使用の編成方法および編機
KR100538113B1 (ko) 2차 상승구조를 갖는 초장파일 직물의 제조장치
US7174748B2 (en) Sinker unit of weft knitting machine
CN218756345U (zh) 一种整体式调整纱咀结构
EP09609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feeding at least two yarns in doub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s
CN213978139U (zh) 智能葵扇绣花机
CN210916496U (zh) 一种电脑横机的压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