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172B1 -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172B1
KR100503172B1 KR10-2003-0071958A KR20030071958A KR100503172B1 KR 100503172 B1 KR100503172 B1 KR 100503172B1 KR 20030071958 A KR20030071958 A KR 20030071958A KR 100503172 B1 KR100503172 B1 KR 10050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e
cam
slider
knitting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320A (ko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비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비아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비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3-007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172B1/ko
Priority to EP04022681A priority patent/EP1524347B1/en
Priority to DE602004018448T priority patent/DE602004018448D1/de
Priority to CNB2004100118870A priority patent/CN100564636C/zh
Priority to TW093130681A priority patent/TWI293345B/zh
Publication of KR2005003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9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troll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24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mechanic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의 축에 의해 연동되는 스크루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더와 함께 상승되고 하강되게 게이지조정캠을 마련하여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게이지조정캠의 조정이 가능하며, 원점센서에 의해 게이지조정캠의 원점을 감지하고 세팅시켜 1피스(piece)의 스웨터 몸판을 편직한 후 원점센서로 원점을 감지하여 규정된 게이지로 편직하므로 장시간동안 많은 매수의 편물을 편직하여도 균일한 게이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편침실린더(200)를 감싸고 있는 캠 고정커버(251)의 내면에 승강 가능하게 게이지조정캠(255)이 설치되고 이 게이지조정캠(255)의 조정을 위한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 고정커버(251)의 외면에 장착되는 몸체(710); 이 몸체(710)에 장착된 스테핑모터(712); 이 스테핑모터(712)의 축과 타이밍벨트(714)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스크루회전축(716)이 설치되고 이 스크루회전축(716)엔 그 회전방향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슬라이더(720); 상기 몸체(710)에 슬라이더(720)와 함께 상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단에 게이지조정캠(255)이 장착된 상승하강부재(722); 상기 슬라이더(720) 근처의 몸체(710)에 장착되며 슬라이더(720)에 고정된 감지부재(724)를 센싱하는 원점센서(726)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Gauge controller of circular type flat knitting machines}
본 발명은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타샤 편직 및 고무단 편직에서 편물의 편직조직을 느슨하게 혹은 조밀하게 원하는 게이지(gauge)로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타입 횡편기에는 편침실린더가 정/역회전될 때 편침실린더 외면의 편침가이드에 삽입된 편침과 자크도 상기 편침실린더와 함께 정/역회전을 반복하면서 해당 편침이 상부의 색사유닛으로부터 편직하고자 하는 패턴에 따라서 순차 공급되는 색사의 각 급사구에서 해당색사를 취하면서 편직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편직은 기존의 루프(loop)에 편침의 후크에 취해진 실을 꿰어 새로운 루프의 형성으로 이뤄지는 것이며, 이와 같이 편직을 함에 있어, 편물의 편직조직을 느슨하게 하거나 조밀하게 조정하는 게이지(gauge) 조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편물조직의 게이지 조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허번호 10-0174802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편침실린더 외측의 캠 고정커버 시작단과 끝단부분에 게이지조정캠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캠 고정커버 내면의 상승/하강안내 홈에 설치된 게이지 조정캠을 이동시켜 조정함으로써 게이지 조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지조정캠의 조정은 상승/하강안내 홈의 세로방향안내 공에 끼워지는 높이조절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승 하강조절이 가능케 설치되고 캠 고정커버의 외측에 가이드편과 함께 나사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의 등록특허는, 게이지조정캠을 조정함에 있어 캠 고정커버의 상승/하강안내 홈에서의 높이를 높이조절볼트로 조정한 후 캠 고정커버의 외측에 가이드편과 함께 나사로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그 조정과정이 번거롭고 그 정확성을 기할 수 없었으며, 결국 수작업에 의존하여 게이지 조정을 하여야 하므로 숙련자만이 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게이지 조정장치는 높이조절볼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도 마련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편직하다 보면 기계 자체의 미세 진동 등으로 인하여 높이조절볼트가 회전되어 풀릴 수 있고, 편물의 일정한 게이지를 유지할 수 없게되어 일정시간마다 게이지를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게이지를 확인할 때마다 기계장비를 정지시켜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한 작업능률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장시간 많은 매수를 균일한 게이지로 편직된 편물을 얻을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의 축에 의해 연동되는 스크루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더와 함께 상승되고 하강되게 게이지조정캠을 마련함으로써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게이지조정캠의 조정이 가능하며, 원점센서에 의해 게이지조정캠의 원점을 감지하고 세팅시켜 1 피스(piece)의 스웨터 몸판을 편직한 후 원점센서로 원점을 감지하여 규정된 게이지로 편직하므로 장시간동안 많은 매수의 편물을 편직하여도 균일한 게이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회전되는 편침실린더의 외면을 감싸는 캠 고정커버의 상승 하강안내 홈에 게이지조정캠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게이지조정캠을 조정하기 위한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 고정커버의 외면에 장착되는 몸체; 이 몸체에 장착된 스테핑모터; 이 스테핑모터의 축과 타이밍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스크루회전축이 설치되고 이 스크루회전축엔 그 회전방향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슬라이더; 상기 몸체에 슬라이더와 함께 상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단에 게이지조정캠이 장착된 상승하강부재; 상기 슬라이더근처의 몸체에 장착되며 슬라이더에 고정된 감지부재를 센싱하는 원점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승하강부재는 항시 상승되는 힘이 부여되도록 압축스프링이 설치되고 상단이 슬라이더에 의해 지지되어 상승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이지 조정장치가 적용된 원형타입 횡편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 2에서 편사분리처리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받침원반(100)에는 실린더밑받침(105)이 정/역회전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있고 상기 실린더밑받침(105)의 상단엔 이와 함께 편침실린더(200)가 회전되도록 그 하단이 장착되어있다. 상기 편침실린더(200)에는 외면에 그 세로방향으로 바늘가이드(210)가 일정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바늘가이드(210)에는 편침(211)과 자크(212)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본받침원반(100)에는 선침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의 명령에 의한 각각의 동작핀 작동으로 상기 선침간을 개별적으로 상부로 회동시켜서 상기 편침실린더(200)의 바늘가이드(210)에 삽입되어 있는 자크(212)의 바트(butt)를 밀어 넣는 선침기구(22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선침제어장치는 편직될 스웨터의 무늬에 대한 정보를 차례로 읽어내어 해당 편침(211)이 원하는 사도(450)의 급사구의 실을 취할 수 있도록 선침기구(224)에 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기본받침원반(100)의 상부에는 상기 편침실린더(200)의 외주 면을 에워싸도록 복수개의 고정대(122)에 의해 제1고정원반(120)이 고정되고, 이 제1고정원반(120)의 상부에는 상기 편침실린더(200)의 상단외주 면을 에워싸도록 직립의 고정간(132)에 의해 제2고정원반(130)이 마련되어있다.
상기 제1고정원반(120)에는 편침실린더(200)의 외주 면을 감싸도록 분할되고 그 내면에 각각의 캠을 갖는 캠 고정커버(251)가 장착되어 하나의 유닛인 캠기구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캠기구를 이루는 캠고정커버(251)의 내측에 하강 캠, 돌출캠, 상승캠 및 자크캠들이 1조의 캠군을 이루어 상기 각 급사분리처리장치(40,400)와 대응하여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캠기구를 이루는 캠고정커버(251)는 상기 편침실린더(200)의 직경에 따라 설치 및 제작상의 요건에 의하여 분할 제작되어 장착되며, 상기 캠고정커버(251)는 상기 편침실린더(200)의 외주면을 완전히 둘러싸고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중 편침(211)의 노후라든가 부러짐에 의한 교환 및 점검 등을 위해서 일정 폭을 갖는 보조캠커버(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어 상기 편침실린더(200)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기 캠고정커버(251)의 첫 번째와 마지막의 처음부분과 끝부분의 내면 즉, 상기 보조캠커버에 의해 연결되는 양측의 캠고정커버(251)에는 게이지조정캠(25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고정원반(130)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편침실린더(200)의 중심을 향하도록 등간격을 갖고 이십여 개 이상의 몸판 편직부로 이루어진 편사분리처리장치(400)가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편사분리처리장치(400)는 몸체(410)선단의 경사기둥(413)에 핀(44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집게(443)와 가위(44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게(443)와 가위(444)는 핀(44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막대(440)와 연결부재(446)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막대(440)는 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431)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431)의 신축에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432)의 작동핀(433)에 의해 연동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410)의 선단에는 편사공급부로부터 롤러를 통해 편사를 안내하는 사도(4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편침실린더(200) 내부의 베이스(501)에는 제2고정원반(130)상에 방사형으로 배열된 편사분리처리장치(400)로부터 편사를 모아 편침실린더(2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인출하여 인타샤 편직이 가능하도록 하는 편사모음장치(5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501)에는 편침판(302)의 결합 캡(305)과 결합되고 이동 가능한 결합 축(610)을 마련하여 편침실린더(200)에 편침판(302)을 결합은 물론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조정할 수 있는 편침판 결합조정장치(6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게이지 조정장치(700)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게이지 조정장치(700)는, 캠 고정커버(251)에 설치되되, 이 캠 고정커버(251)의 외면에는 상승 하강되도록 게이지조정캠(255)의 설치를 위한 몸체(7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몸체(710)에는 직립으로 스테핑모터(712)가 장착되어 있고 이 스테핑모터(712)의 축과 타이밍벨트(714)를 통해 연결되어 제자리에서 구동되는 스크루회전축(716)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스크루회전축(716)에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루회전축(716)의 방향으로 이동되게 슬라이더(7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더(720)에는 이와 함께 몸체(710)에서 상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상승하강부재(722)가 설치되고 이 상승하강부재(722)에는 선단에 게이지조정캠(255)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 게이지조정캠(255)은 캠 고정커버(251)의 내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720)의 한쪽에는 감지부재(724)가 고정되어있다.
상기 슬라이더(720)근처의 몸체(710)에는 원점센서(726)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원점센서(726)는 슬라이더(720)에 고정된 감지부재(724)를 센싱하여 원점을 맞추고 소정의 게이지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몸체(710)와 상승하강부재(722) 사이에는 상승하강부재(722)를 항시 상승시키려는 힘을 부여하여 슬라이더(720)에 의해 제한되도록 압축스프링(7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승하강부재(722)는 슬라이더(720)와 별도로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더(720)에 일체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게이지 조정장치가 적용된 본 발명의 원형타입 횡편기는, 편침실린더(200) 상부의 제2고정원반(130)에 편침실린더(200)의 중심을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설치된 편사분리처리장치(400)마다 편사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편사가 파지되어 있는 대기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고정원반(130)에 방사형으로 배열되어있는 몸판 편직부를 이루는 각각의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의 집게(443)에 의해 편사가 파지된 상태에서 편사모음장치(500)에 의해 편사를 모은 다음, 편침실린더(200)의 중앙을 향하여 인출시킨다.
다시 말해서, 편사는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의 집게(443)로부터 편침실린더(200)중앙에 위치된 편사모음장치(500)를 통해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의 사도(450)쪽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인 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431)가 전진됨으로 인해 슬라이더(432)의 작동핀(433)에 의해 연동되는 회전막대(440)를 통해 집게(443)가 잡고있는 편사를 놓는다. 이때, 편사는 각각의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의 사도(450)로부터 편침실림더(200)의 중앙을 향해 모아져서 인타샤 편직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인타샤 편직이 가능한 상태에서 편물조직의 게이지 조정을 할 수 있는데, 그 조정방법은, 먼저 원점센서(726)에 의해 슬라이더(720)의 감지부재(724)를 감지하는 위치까지 스테핑모터(712)가 작동되고 그 위치에서 정지하고 나면 그 감지위치를 원점(게이지 값 '0')으로 설정하여 횡편기의 세팅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횡편기의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설정한 게이지 값을 입력하면 스테핑모터(712)에 의해 게이지조정캠(255)이 설정된 게이지 값으로 조정되게 된다.
상기 게이지조정캠(255)의 조정과정은, 설정된 게이지 값에 의해 스테핑모터(712)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타이밍벨트(714)를 통해 연결된 스크루회전축(716)이 회전되게 되고 이 스크루회전축(716)에 설치된 슬라이더(720)가 스크루회전축(716)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혹은 하강되게 되며, 이때, 상승 혹은 하강되는 슬라이더(720)의 감지부재(724)를 원점센서(726)가 설정한 게이지 값을 가질 때까지 스테핑모터(712)가 구동된 후 정지되게된다.
이렇게 슬라이더(720)가 상승 혹은 하강되면, 슬라이더(720)에 일체로 연결된 상승하강부재(722)와 게이지조정캠(255) 또한 슬라이더(720)와 함께 상승 혹은 하강되게 됨으로써 편직되는 편물의 게이지가 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횡편기를 초기에 세팅, 즉 횡편기의 원점을 세팅하고 난 상태에서 정/역회전기구를 구동시켜 편침실린더(200)의 정/역회전시키면, 편침실린더(200)의 바늘가이드(210)에 삽입된 편침(211)과 자크(212)도 상기 편침실린더(200)와 함께 규정된 각도로 정역회전을 반복하고, 이렇게 정역회전을 반복하면서 해당 편침(211)이 제2고정원반(130)에 배열된 편사분리처리장치(400)들로부터 편직하고자 하는 패턴에 따라서 해당 편사분리처리장치(400)의 사도(450)에서 편사를 취하면서 인타샤 편직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타샤 편직에서 편물의 편직조직을 이루는 기존의 루프(loop)에 편침의 후크에 취해진 실을 꿰어 새로운 루프의 형성으로 편직되는 것이며, 이러한 편직에서 소정의 게이지 값으로부터 좀더 느슨하게 혹은 조밀하게 원하는 게이지(gauge)로 조정된 스웨터 몸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타샤 편직을 실행하여 1 피스(piece)의 스웨터 몸판을 편직한 후, 원점센서(726)가 원점을 감지하여 컴퓨터에 입력되어있는 설정된 게이지 값으로 제어되므로 균일한 게이지 값을 갖는 대량의 편물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는, 높이조절볼트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의 축에 의해 연동되는 스크루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더와 함께 상승되고 하강되게 게이지조정캠을 마련함으로써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게이지조정캠의 조정이 가능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점센서에 의해 게이지조정캠의 원점을 감지하고 세팅시켜 1피스(piece)의 스웨터 몸판을 편직한 후 원점센서로 원점을 감지하여 규정된 게이지로 편직하므로 장시간동안 많은 매수의 편물을 편직하여도 균일한 게이지를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이지 조정장치가 적용된 원형타입 횡편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제2고정원반과 편침실린더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 2에서 편사분리처리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게이지 조정장치가 캠고정커버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요부인 게이지 조정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후방에서 바라 본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a의 정면도,
도 7은 도 5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본받침원반 105: 실린더밑받침 200: 편침실린더
400: 편사분리처리장치 430: 실린더 432: 슬라이더
433: 작동핀 440: 회전막대 443: 집게
444: 가위 446: 연결부재 450: 사도
500: 편사모음장치 700: 게이지 조정장치 710: 몸체
712: 스텝핑모터 714: 타이밍벨트 716: 스크루회전축
720: 슬라이더 722: 상승하강부재 730: 압축스프링

Claims (2)

  1. 편침실린더(200)를 감싸고 있는 캠 고정커버(251)의 내면에서 승강 가능하게 게이지조정캠(255)이 설치되고 이 게이지조정캠(255)을 조정하기 위한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 고정커버(251)의 외면에 장착되는 몸체(710); 이 몸체(710)에 장착된 스테핑모터(712); 이 스테핑모터(712)의 축과 타이밍벨트(714)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스크루회전축(716)이 설치되고 이 스크루회전축(716)엔 그 회전방향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슬라이더(720); 상기 몸체(710)에 슬라이더(720)와 함께 상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선단에 게이지조정캠(255)이 장착된 상승하강부재(722); 상기 슬라이더(720) 근처의 몸체(710)에 장착되며 슬라이더(720)에 고정된 감지부재(724)를 센싱하는 원점센서(726)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하강부재(722)는 항시 상승되는 힘이 부여되도록 압축스프링(730)이 설치되고 상단이 슬라이더(720)에 의해 지지되어 상승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KR10-2003-0071958A 2003-10-15 2003-10-15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KR10050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958A KR100503172B1 (ko) 2003-10-15 2003-10-15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EP04022681A EP1524347B1 (en) 2003-10-15 2004-09-23 Circular type knitting machine for intarsia fabrics
DE602004018448T DE602004018448D1 (de) 2003-10-15 2004-09-23 Rundstrickmaschine für Intarsien-Gestrickstücke
CNB2004100118870A CN100564636C (zh) 2003-10-15 2004-09-24 用于嵌花织物的圆型针织机
TW093130681A TWI293345B (en) 2003-10-15 2004-10-08 Circular type flat knitting machine for intarsia fabr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958A KR100503172B1 (ko) 2003-10-15 2003-10-15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320A KR20050036320A (ko) 2005-04-20
KR100503172B1 true KR100503172B1 (ko) 2005-07-22

Family

ID=3723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958A KR100503172B1 (ko) 2003-10-15 2003-10-15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1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320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5961B2 (en) Double-cylinder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tensioning the manufacture
CN101454492A (zh) 用于自动封闭针织管状织物如长袜或短袜的端缘的机器
KR20160075650A (ko) 다이얼 그룹의 후크 플레이트의 연결 및 해제 메커니즘을 가지는 환편기
WO2007074486A1 (en) Method for making knitted fabric and related weft knitting machine
EP0743385A2 (en) Apparel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987681B1 (ko) 녹오버 싱커를 가동하는 장치를 구비한 양말용 원형 편물기
KR100503172B1 (ko) 원형타입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KR101713976B1 (ko) 보풀형성장치 및 보풀형성방법
EP3204545B1 (en) Open-type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open and width-variable web production with a knitted fabric take-down and/or collecting assembly
TWI293345B (en) Circular type flat knitting machine for intarsia fabrics
JP2876328B2 (ja) 丸編み機で編みくつ下を製造する方法
CN211036285U (zh) 一种双针筒织机
KR20180130742A (ko) 횡편기의 게이지 조정장치
US5287709A (en) Stitch density adjusting device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9736003B (zh) 一种提花圆机的提花机构
JPS63203852A (ja) 丸編み機のシンカ半径方向位置を調節する制御装置
CN211057354U (zh) 一种双针筒织机固定装置
EP0385154B1 (en) Mechanical take down device
KR100503170B1 (ko) 원형타입 횡편기용 편사모음장치
EP0458073B1 (en) Take-down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CN205973273U (zh) 络纱机的自动上蜡装置
CN110512347B (zh) 一种双针筒织机编织方法
KR100507289B1 (ko) 편침실린더에의 편침판 결합조정장치
CN219653241U (zh) 一种针织袜机用穿线孔调节结构
CN110422689B (zh) 一种防凸收边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