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166A - 호퍼 장치 - Google Patents

호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166A
KR20180127166A KR1020180003744A KR20180003744A KR20180127166A KR 20180127166 A KR20180127166 A KR 20180127166A KR 1020180003744 A KR1020180003744 A KR 1020180003744A KR 20180003744 A KR20180003744 A KR 20180003744A KR 20180127166 A KR20180127166 A KR 2018012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unning
running surface
supply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나카시마
무카에 구니아키
다나베 요시후미
기무라 히로키
Original Assignee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08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mechanical injection of the materials, e.g. by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0Antista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Chut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주행면 상에 있어서 원하는 방향으로 반송되는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과 접촉하는 기회ㆍ시간을 저감함으로써,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과 계속해서 접촉하는 상태에서 반송 처리를 행하는 장치와 비교하여, 공급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호퍼 장치를 제공한다.
다공질재에 의해 구성한 주행면을 갖는 주행부와, 주행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또한 적어도 주행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에어실을 갖는 베이스부와, 에어실에 에어를 공급 가능한 에어 공급부를 구비하고, 에어 공급부로부터 에어실에 공급된 에어를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에 대하여 다공질재를 통해 분사함으로써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으로부터 부상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에어 공급부로부터의 에어 공급량을 조정함으로써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 상에서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공급처에 공급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호퍼 장치{HOPPER DEVICE}
본 발명은 주행면 상에 배출된 전자 부품 등의 공급 대상물을 원하는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행면의 반송 방향 하류단(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공급처로 공급 가능한 호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적절한 수단에 의해 주행면 상에 배출된 전자 부품 등의 공급 대상물인 워크를, 진동에 의해 주행면 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반송하여, 소정의 공급처(예를 들어 진동 피더 등)에 공급 가능한 호퍼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례로서, 부품을 저장하는 호퍼 탱크의 배출구의 바로 아래에 호퍼 슈트가 배치되고, 호퍼 탱크의 배출구로부터 호퍼 슈트의 주행면 상에 배출된 부품을 호퍼 슈트의 진동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반송하여, 호퍼 슈트의 선단(반송 방향 하류단)으로부터 소정의 공급처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 호퍼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53446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호퍼 장치에서는,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을 원하는 반송 방향으로 반송할 때에, 진동에 의해 주행면과 공급 대상물이 접촉하기 때문에, 공급 대상물의 손상ㆍ파손ㆍ오염, 혹은 주행면의 마모와 같은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주행면과 공급 대상물 등의 접촉에 의해, 공급 대상물은 정전기를 띠기 쉽고, 정전기에 의해 다른 공급 대상물에 달라붙거나, 주행면에 대하여 달라붙으려고 하는 힘이 커지고, 이와 같은 정전기를 띤 상태의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 상에서 체류하면, 공급 대상물을 원활하게 반송할 수 없어, 공급 처리 능력이 저하되어 버린다. 게다가, 공급 대상물과 주행면의 마찰에 기인하는 공급 대상물 및 주행면의 절삭 부스러기나 먼지가 정전기를 띤 공급 대상물 및 주행면에 부착되기 쉽고, 이것도 또한 공급 처리 능력의 저하로 이어진다.
게다가, 상술한 호퍼 장치에서는, 실제의 사용 장면에 있어서 주행면의 진동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가 요구되고, 특히 미소 사이즈의 전자 부품을 소량 또한 정량으로 공급하는 데는, 번잡하며 고도의 진동 제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주된 목적은, 주행면 상에 있어서 원하는 방향으로 반송되는 공급 대상물과 주행면의 접촉 정도(접촉 시간이나 횟수)를 저감하여, 공급 처리 능력의 저하를 방지ㆍ억제 가능한 호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주행면 상에 배출된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 상에서 원하는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소정의 공급처에 반송 공급하는 호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행면」은, 공급 대상물이 주행 가능한 면이면 되고, 수평 또는 대략 수평인 면(수평면), 또는 수평에 대하여 경사 각도 경사진 면(경사면, 연직면)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공급 대상물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 부품 등의 미소 부품을 들 수 있지만, 전자 부품 이외의 물품이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호퍼 장치는, 다공질재에 의해 구성한 주행면을 갖는 주행부와, 주행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또한 적어도 주행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에어실을 갖는 베이스부와, 에어실에 에어를 공급 가능한 에어 공급부를 구비하고, 에어 공급부로부터 에어실에 공급된 에어를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에 대하여 다공질재를 통해 분사함으로써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으로부터 부상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에어 공급부로부터의 에어 공급량을 조정함으로써 공급 대상물을 소정의 공급처에 반송 공급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어 공급부로부터의 에어 공급량을 조정」하는 처리에는, 에어 공급 ON 상태와 에어 공급 OFF 상태의 전환에 의해 에어 공급량을 조정하는 처리나, 에어 공급 ON 상태 그대로 에어 공급량의 정도를 조정하는 처리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호퍼 장치이면, 에어 공급부로부터 베이스부의 에어실에 공급된 에어를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에 대하여 다공질재를 통해 분사함으로써, 주행 면 상에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으로부터 부상시키는 기류가 발생하고, 공급 대상물을 강제적으로 주행면으로부터 부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공급부로부터의 에어 공급량을 조정하여,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으로부터 부상시키거나, 부상 상태를 해제 또는 부상의 정도를 가감함으로써,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 상에서 원하는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소정의 공급처에 반송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호퍼 장치이면, 이동 중인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과 접촉하는 기회 및 시간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중인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과 계속해서 접촉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공급 대상물의 손상ㆍ파손ㆍ오염이나 주행면의 마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ㆍ억제할 수 있고, 반송 중인 공급 대상물 및 주행면의 정전기(마찰 대전, 접촉 대전, 박리 대전)도 저감되어, 공급 대상물과 주행면의 마찰에 기인하는 공급 대상물 및 주행면의 절삭 부스러기나 먼지가 공급 대상물 및 주행면에 부착되기 어려워지고, 정전기가 원인으로 발생하는 주행면 상에서의 공급 대상물의 정류라는 문제를 해소ㆍ억제할 수 있어, 주행면 상에 있어서 공급 대상물을 원활하게 반송하여 소정의 공급처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관한 호퍼 장치이면, 종래의 가진원으로부터의 진동에 의해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을 반송 공급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주행면에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 기구 및 가진원이 불필요한 구성이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 및 공간 절약화(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가진원에 의한 주행면의 진동을 조정하는 제어보다도 간이한 에어 공급량의 제어로 공급 대상물을 반송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주행부로서, 주행면에 면하고 또한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의 반송 방향 하류단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주행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면을 갖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면을 다공질재에 의해 구성하고, 주행부 중, 주행면과, 베이스부의 에어실에 면하는 면과, 스토퍼면, 이상의 각 면만을 통기성이 있는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면을 밀봉면으로 설정하면, 에어 공급부로부터 에어실에 공급된 에어를, 에어실에 면하는 면으로부터 주행면에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음과 함께, 스토퍼면에 달라붙으려고 하는 공급 대상물을 스토퍼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에어에 의해 주행면을 향하여 날려버릴 수 있어, 호퍼 장치의 공급 처리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주행면, 에어실에 면하는 면, 및 스토퍼면 이외의 면을 밀봉면으로 설정함으로써, 주행면 상에 있어서의 공급 대상물의 반송에 기여하지 않는 면으로부터 에어가 외부로 누출되는 사태(에어 누설)를 방지ㆍ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면으로서는, 주행면의 폭 방향 양쪽 사이드에 있어서 기립 자세에 있는 면(사이드 스토퍼면)이나, 주행면의 반송 방향 상류단에 있어서 기립 자세에 있는 면(백 스토퍼면)을 들 수 있다. 또한, 주행부는, 사이드 스토퍼면 또는 백 스토퍼면 중 어느 한쪽만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사이드 스토퍼면 및 백 스토퍼면의 양쪽을 갖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후자의 구성(사이드 스토퍼면 및 백 스토퍼면의 양쪽을 갖는 주행부)을 채용한 경우, 사이드 스토퍼면 및 백 스토퍼면의 양쪽을 통기면으로 설정하거나, 어느 한쪽의 스토퍼면만을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다른 쪽의 스토퍼면을 밀봉면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밀봉면으로 설정하는 구체적인 처리로서는, 대상으로 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마스킹 처리나, 대상으로 하는 면에 통기성이 없는 플레이트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하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토퍼면은, 주행면과 일체로 형성된 면이어도 되고, 주행면과는 별체의 면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토퍼면 모두를 밀봉면으로 설정한 형태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베이스부의 일례로서는, 에어실과 에어실의 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베이스 전방 벽부를 구비하고, 베이스 전방 벽부에 있어서 에어실에 면하는 내향면을 주행면 상에 있어서의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상기 「에어실의 전방」과 동일 방향임)을 향하여 경사지게 한 테이퍼면으로 설정한 구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에어실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테이퍼면에 도달하여 주행면에 방출되는 에어의 기류가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을 향하게 되어, 주행면의 반송 방향 하류단 및 하류단 근방에 도달한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의 반송 방향 하류단으로부터 소정의 공급처에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주행부의 주행면은, 단면 형상이 평탄한 일직선상의 면이어도 되지만, 단면 형상이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중심부를 오목하게 한 만곡상 또는 굴곡상으로 설정된 면이어도 상관없다. 후자와 같이 주행면의 형상을 만곡상 또는 굴곡상(예를 들어 U자상, V자상 또는 W자상 등)의 홈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주행면 상에 있어서 공급 대상물을 소수열 또는 1열로 나열한 상태에서 반송할 수 있어, 공급 대상물을 소량 또한 정량으로 공급처에 공급하는 고도의 처리를 간편하게 또한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호퍼 장치에 있어서, 주행면의 반송 방향 하류단이 반송 방향 상류단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되도록 주행면을 경사지게 하면, 공급 대상물의 자체 중량을 이용하여 주행면 상에 있어서의 공급 대상물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공급 처리 능력이 향상된다. 주행면의 경사 각도는, 공급 대상물의 사이즈나 중량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ㆍ조정하면 되고, 주행면의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한 기구를 구비한 호퍼 장치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주행면의 경사 각도로서는, 주행면으로부터 부상하고 있지 않은 공급 대상물이 자체 중량에 의해 주행면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을 정도의 경사 각도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호퍼 장치는, 주행면으로부터 부상하고 있지 않은 공급 대상물이 자체 중량에 의해 주행면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하도록 주행면의 경사 각도를 설정한 구성도 포함한다. 여기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공급 OFF 상태여도 타성력에 의해 반송 대상물(워크)의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값은 아니지만, 반송 대상물의 대략의 반송 거리를 검산하는 것이 가능한 식(도 21 중의 식 4)을 나타낼 수 있다. 일례로서, 주행면의 경사 각도 θ가 15도인 경우에 에어 ON 시간(부상 시간) 100msec에서 부상 반송하였을 때의 반송 대상물(워크)의 이동 거리 x㎜를 도출하는 계산을 도 22에 도시한다. 그리고, 도 21 중의 식 4를 이용하여 주행면의 원하는 경사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호퍼 장치가, 주행면의 하방으로부터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을 향하여 분사하는 에어의 분사 방향을,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조정하는 에어 분사 방향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주행면의 반송 방향 하류단이 반송 방향 상류단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되도록 주행면을 경사지게 하지 않고, 주행면을 대략 수평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에어 분사 방향 조정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행면으로부터 에어로 부상시켜 공급 대상물을 부상 중에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에어 분사 방향 조정 수단의 일례로서, 판상 또는 시트상의 재료(기재)에 다수의 구멍이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펀칭 가공재를 사용한 형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펀칭 가공재의 각 구멍을 통과하는 에어의 흐름이,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되는 자세로 펀칭 가공재(에어 분사 방향 조정 플레이트)를, 주행부 중 에어실에 면하는 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한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에어 분사 방향 조정 플레이트로서, 각 구멍의 관통 방향을,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한 방향으로 설정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질재로 구성한 주행면에 에어를 공급하여,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을 향하여 다공질재를 통해 분사하는 에어에 의해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부상시킬 수 있어, 공급 대상물과 주행면의 접촉에 기인하는 공급 대상물의 손상ㆍ파손ㆍ오염, 및 주행면의 마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주행면 및 공급 대상물이 정전기를 띠기 어려워져,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 상에서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어, 호퍼 장치의 공급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를 부품 피더와 함께 도시하는 전체도.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호퍼 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호퍼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공급부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도 8은 도 7의 화살표 A 방향 화살 표시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A 방향 화살 표시도.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어실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어실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호퍼 장치의 분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어실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에어실에 있어서의 에어 공급단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에어실에 있어서의 에어 공급단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에어실에 있어서의 에어 공급단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경사한 주행면을 부상 상태에서 반송하는 반송 대상물의 반송 거리 연산식.
도 22는 도 21 중의 식 4를 사용한 반송 대상물의 반송 거리 산출의 일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처인 부품 피더 P에 전자 부품 등의 공급 대상물(워크)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부품 피더 P는, 호퍼 장치 H로부터 공급된 공급 대상물을 나선상의 반송로(볼 반송로 P1) 상에 있어서 진동에 의해 이동시키면서 소정의 반송처(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리니어 피더 등)에 반송하는 장치(볼 피더)이다.
부품 피더 P는, 저면에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인 저류부 P2와, 저류부 P2의 주연부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을 시단으로 하여 내주벽 P3을 따라서 오르막 경사의 나선상으로 형성한 볼 반송로 P1(트랙이라고도 칭해짐)을 구비하고 있다.
저류부 P2는, 중심측을 직경 방향 외측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된 상측면인 적재면 P21을 갖고, 볼 P4의 진동이나 저류부 P2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공급 대상물의 자체 중량에 의해, 적재면 P21 상의 공급 대상물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적재면 P21 상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공급 대상물은, 볼 반송로 P1의 시단에 도달하고, 그대로 볼 반송로 P1의 시단을 통과하여 볼 반송로 P1을 따라서 이동한다.
볼 반송로 P1은, 시단이 저류부 P2에 연속하고 있고, 상측면인 볼 반송면 P11을 예를 들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한 평탄한 면으로 설정한 것이다. 그리고, 진동에 의해 공급 대상물이 받는 반송력 중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과 볼 반송면 P11의 경사에 의해, 공급 대상물은 내주벽 P3에 접하면서 반송 방향 하류측(볼 반송로 P1의 종단측)을 향하여 반송된다. 이와 같은 볼 반송로 P1의 소정 개소에 정렬 수단(도시 생략)을 설치하고, 정렬 수단에 의해 소정 자세인 공급 대상물만을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반송하고, 소정 자세가 아닌 공급 대상물을 저류부 P2로 되돌려 보내도록(낙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볼 반송로 P1의 종단은, 도시하지 않은 리니어 피더에 설치한 직선상의 반송로(직선 트랙이라고도 칭해짐)의 시단에 연속하도록 접속되어, 정렬 상태에 있는 공급 대상물을 리니어 피더에 반송(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대상물을 저장하는 호퍼 탱크 T와,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주행부(1)(호퍼 슈트)를 구비하고,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로부터 주행부(1)의 주행면(1X) 상에 배출된 전자 부품 등의 공급 대상물을 반송하여 주행면(1X)의 선단(반송 방향 F 하류단)으로부터 소정의 공급처(부품 피더 P의 저류부 P2)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호퍼 탱크 T는, 원뿔대 형상의 탱크 본체 T2와, 탱크 본체 T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신되는 원통상의 배출부 T3을 구비하고, 전체로서 깔때기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호퍼 탱크 T는, 배출부 T3의 하단인 배출구 T1이 주행부(1)의 주행면(1X)에 면하는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출부 T3의 상단부 근방 영역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 H1을 통해 호퍼 탱크 T 전체가 지주 H2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로부터 주행부(1)의 주행면(1X) 사에 공급 대상물을 배출할 수 있다.
주행부(1)는 도 1∼도 5(도 2는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호퍼 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호퍼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체에 의해 구성된 주행부 본체(2)를 주체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공질재는, 예를 들어 무기질 재료의 분립체로 이루어지는 골재와, 골재 상호를 연결하는 결합재(바인더)의 혼합물을 소결하여 형성된 것이다. 무기질 재료의 분립체로 이루어지는 골재의 적합한 예로서는, 알루미나나 탄화규소를 들 수 있고, 결합재의 적합한 예로서는, 비트리파이드, 레지노이드, 시멘트, 고무 및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세라믹스제의 다공질재는, 골재와 결합재의 혼합 재료를 성형 금형에 투입하여 소결함으로써 금형에 따른 성형품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공질재는, 소결 공정에 의해 내부에 무수한 미세 기공이 형성되고, 다공질재의 표면에 개구되는 미세 기공과 내부의 미세 기공이 이어져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미세 기공은, 기계 가공하는 경우에 비해 그 내경이 현저하게 작고, 다공질재의 표면 전체에 걸쳐 무수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골재나 결합재의 종류는 상술한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당한 금형 등을 사용하여, 주행부(1)를 구성하는 블록상의 다공질재(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체)를 형성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체를 「다공질 블록체」라 칭한다.
다공질 블록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무수한 미세 기공이 형성되고, 표면에 개구되는 미세 기공과 내부의 미세 기공이 이어져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갖는 것이며. 즉, 다공질 블록체는, 유체가 유통(투과) 가능한 내부를 갖고, 표면 전체에 다수의 구멍이 골고루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각 구멍(미세 기공)은 공급 대상물이 당해 구멍에 낙하하지 않는 미소 사이즈이며, 예를 들어 공급 대상물의 크기가 0603 사이즈(0.6㎜×0.3㎜)에 대하여 각 구멍(미세 기공)의 구멍 직경은 60㎛ 정도의 크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요철이 없는 편평한 주행면(1X)을 갖는 주행부(1)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주행부(1)는 주행면(1X)을 갖는 주행부 본체(2)와, 주행면(1X)의 폭 방향 W 양쪽 사이드에 위치하게 되는 측방 기립 벽부(3)와,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상류단에 위치하게 되는 후방 기립 벽부(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부 본체(2) 및 측방 기립 벽부(3)는 다공질 블록체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주행면(1X) 상에 있어서의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 F 하류단측을 「전방측」이라 하고, 반송 방향 F 상류단측을 「후방측」이라 하고, 평면에서 보아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 F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 W(좌우 방향)라 한다.
주행부 본체(2)는 평판상을 이루고, 상측면(2a) 및 저면(2b)만을 통기성이 있는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면, 즉 좌우 양측면(2c), 전방면(2d) 및 후방면(2e)을 밀봉면으로 설정하고 있다. 밀봉면으로 설정하는 구체적인 처리로서는, 대상으로 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마스킹 처리나, 대상으로 하는 면에 통기성이 없는 플레이트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하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스킹 처리를 적용하고 있다.
측방 기립 벽부(3)는 주행부 본체(2)의 상측면(2a)에 있어서의 한 쌍의 긴 변(공급 방향과 일치하는 변)을 따라서 각각 배치된 것이다. 좌우 한 쌍의 측방 기립 벽부(3) 중, 주행면(1X)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3s)은,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1X)의 폭 방향 W 양쪽 사이드로부터 주행면(1X)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사이드 스토퍼면(1Y)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측방 기립 벽부(3) 중, 주행부 본체(2)의 상측면(2a)에 접촉하고 있는 저면(3b)과, 내측면(3s)[사이드 스토퍼면(1Y)]만을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면, 즉, 상측면(3a), 외측면(3c), 전방면(3d) 및 후방면(3e)을 밀봉면으로 설정하고 있다. 측방 기립 벽부(3)의 긴 쪽 치수는, 주행부 본체(2)의 긴 쪽 치수(반송 방향 F를 따른 치수)와 동일하다. 또한, 주행면(1X)의 폭 치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스토퍼면(1Y)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후방 기립 벽부(4)는 통기성이 없는 소재(예를 들어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로 구성된 블록체로 구성된 것이다. 후방 기립 벽부(4)의 폭 치수는, 주행부 본체(2)의 폭 치수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주행부 본체(2) 및 측방 기립 벽부(3)의 후방면(2e, 3e)에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기립 벽부(4)의 상측면(4a)이 측방 기립 벽부(3)의 상측면(3a)보다도 높고, 후방 기립 벽부(4)의 저면(4b)이 주행부 본체(2)의 저면(2b)보다도 낮아지는 자세로 후방 기립 벽부(4)를 배치하고 있다. 후방 기립 벽부(4) 중, 주행면(1X)에 면하는 전방면(4d)은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상류단으로부터 주행면(1X)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백 스토퍼면(1Z)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는, 주행부(1)의 하방에 배치되며 또한 적어도 주행부(1)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에어실(1S)을 갖는 베이스부(5)와, 에어실(1S)에 에어를 공급 가능한 에어 공급부(6)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5)는 통기성이 없는 소재(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로 형성된 플레이트상을 이루는 것이며,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 및 후방에 개구하는 에어실(1S)을 갖는다. 베이스부(5)는 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하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베이스 저벽부(51)와, 베이스 저벽부(51)의 전방 에지에 있어서 베이스 저벽부(51)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며 또한 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베이스 전방 벽부(52)와, 베이스 저벽부(51)의 좌우 양쪽 측부 에지에 있어서 베이스 저벽부(51)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며 또한 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측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베이스 측벽부(5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 전방 벽부(52)에 있어서 에어실(1S)에 면하는 내향면을 상방을 향하여 점차 전방으로 경사지게 한 테이퍼면(5T)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에어실(1S)에 있어서 베이스 전방 벽부(52)의 내향면[테이퍼면(5T)]에 도달하여 주행면(1X)에 방출되는 에어의 흐름이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 F의 성분을 갖는 흐름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전방 벽부(52)에 있어서 에어실(1S)에 면하는 테이퍼면(5T)을 폭 방향 W로 물결치는 형상(웨이브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에어실(1S)에 있어서 베이스 전방 벽부(52)의 내향면인 테이퍼면(5T)에 도달한 에어를, 주행면(1X)의 공급 하류단 및 그 근방 부분에 있어서의 폭 방향 W 전체에 골고루 방출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5)의 긴 쪽 치수는, 주행부 본체(2) 및 측방 기립 벽부(3)의 긴 쪽 치수(반송 방향 F를 따른 치수)와 동일하고, 베이스 저벽부(51)가 후방 기립 벽부(4)의 저면(2b)과 동일한 높이 위치로 되는 자세로 베이스부(5)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상방의 공간은 주행부 본체(2)에 의해 구획되고, 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후방의 외부 공간은 후방 기립 벽부(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부(5)에 대하여 주행부(1)를 볼트 N으로 고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한 쌍의 측방 기립 벽부(3) 및 주행부 본체(2)에 형성된 서로 높이 방향으로 연통하는 볼트 삽입 구멍 n에 볼트 N을 삽입하여, 베이스부(5)의 암나사(5n)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주행부(1)를 베이스부(5)에 고정하고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또한, 후방 기립 벽부(4)는 볼트 N에 의해 주행부(1) 및 베이스부(5)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호퍼 장치 H에서는, 후방 기립 벽부(4) 중 에어실(1S)에 면하는 부분에, 에어 공급부(6)의 에어 입력단[에어 공급 노즐(62)의 선단 부분]을 수용 가능한 공동부(41)를 형성하고 있다.
에어 공급부(6)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공급원(61)(컴프레서)과, 에어 공급 노즐(62)과, 에어 공급원(61)과 에어 공급 노즐(62) 사이에 적절히 배치한 배관(63), 필터(64), 레귤레이터(65), 제어 밸브(66), 스피드 컨트롤러(67)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64)는 공기압 배관의 도중에 설치하여, 티끌이나 드레인(수분)을 제거하여, 청정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며, 레귤레이터(65)(감압 밸브)는 에어 공급원(61)으로부터 송출되는 압축 공기를 적절한 압력으로 조절하여 안정시키는 것이다. 제어 밸브(66)는 ON/OFF 제어 밸브이며, 스피드 컨트롤러(67)는, 에어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개(도시 예에서는 2개)의 에어 공급 노즐(62)이 에어실(1S)에 면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호퍼 장치 H는,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하류단(선단, 전단)이 반송 방향 F 상류단(후단)보다도 하위로 되도록 주행부(1)를 소정 각도(도시 예에서는 10°) 경사지게 한 자세로 배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부(1) 및 베이스부(5)를 일체적으로 조립한 상태에서, 후방 기립 벽부(4)를 지지 부재 H3에 고정하고 있다. 이 지지 부재 H3은, 호퍼 탱크 T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 H1과 공통의 지주 H2에 높이 조정 가능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호퍼 장치 H의 사용 방법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를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로부터 주행면(1X)까지의 높이 치수를 조정한다. 즉,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로부터 주행면(1X)에 배출된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1X) 상에서 튀어나오거나, 배출된 그 장소에 일시적으로 체류하여 쌓이는 것을 고려하여, 이와 같은 공급 대상물이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에 닿지 않도록,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로부터 주행면(1X)까지의 높이 치수를 조정한다.
또한,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로부터 에어실(1S)에 있어서의 에어 입력단[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공급 노즐(62)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조정한다. 이것은, 에어실(1S)에 있어서 에어 입력단의 근방은, 에어 입력단으로부터 분사된 에어가 구석구석까지 미치기 어렵고, 그 구석구석까지 미치기 어려운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에 에어가 도달하지 않는 것에 기인하여,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상류단 및 그 근방에 남아 버리는 현상(워크 잔류)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한 조정이며,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을 에어 입력단으로부터 반송 방향 F 하류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정한다.
그리고, 이들 조정을 완료한 후에, 적당한 조작에 의해 에어 공급부(6)에 의한 에어 공급 상태를 ON으로 하면, 본 실시 형태의 호퍼 장치 H는, 에어 공급원(61)으로부터 에어 공급 노즐(62)을 경유하여 베이스부(5)의 에어실(1S)을 향하여 에어를 공급한다. 그리고, 에어실(1S) 내에 공급된 에어가, 통기면인 주행부 본체(2)의 저면(2b), 즉 에어실(1S)에 면하는 면으로부터 다공질 블록체인 주행부 본체(2)의 내부에 투과 유입되어, 통기면인 주행면(1X)으로부터 외기로 방출된다(도 2 참조). 또한, 통기면인 주행부 본체(2)의 저면(2b)으로부터 다공질 블록체인 주행부 본체(2)의 내부에 투과 유입된 에어의 일부는, 통기면인 주행면(1X)에 접촉하고 있는 측방 기립 벽부(3)의 저면(3b)으로부터 다공질 블록체인 측방 기립 벽부(3)의 내부에 투과 유입되어, 통기면인 사이드 스토퍼면(1Y)으로부터 외기로 방출된다.
또한, 다공질 블록체인 주행부 본체(2) 중, 상측면(2a) 및 저면(2b)만을 통기성이 있는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면, 즉 좌우 양측면(2c), 전방면(2d) 및 후방면(2e)을 밀봉면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부 본체(2) 중 에어실(1S)에 면하는 저면(2b)으로부터 주행부 본체(2)의 내부에 통과 유입된 에어가 주행부 본체(2)의 양측면(2c), 전방면(2d) 및 후방면(2e)을 투과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사태를 방지ㆍ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 블록체인 측방 기립 벽부(3) 중, 저면(3b) 및 사이드 스토퍼면(1Y)만을 통기성이 있는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면, 즉 외측면(3c), 전방면(3d) 및 후방면(3e)을 밀봉면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측방 기립 벽부(3) 중 저면(3b)으로부터 측방 기립 벽부(3)의 내부에 통과 유입된 에어가 측방 기립 벽부(3)의 외측면(3c), 전방면(3d) 및 후방면(3e)을 투과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사태를 방지ㆍ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는, 에어 공급부(6)로부터 베이스부(5)의 에어실(1S)에 공급되는 에어를 다공질 블록체인 주행부 본체(2) 및 측방 기립 벽부(3)의 전체에 널리 퍼지게 할 수 있고, 그 에어를 주행면(1X) 및 주행면(1X)에 면하는 면[사이드 스토퍼면(1Y)]으로부터만 방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로부터 주행면(1X) 중 반송 방향 F 상류단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출된 공급 대상물은, 에어실(1S)로부터 주행면(1X) 상에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주행면(1X)으로부터 부상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호퍼 장치 H는, 주행면(1X)을 반송 방향 F를 따라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에는 중력에 의해 반송 방향 F로 미끄러져 떨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면(1X)의 경사 각도를,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이 자체 중량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주행면(1X) 상에 머무는 각도로 설정하고 있다. 즉, 에어 공급부(6)에 의한 에어 공급을 정지한 상태(에어 공급 OFF 상태)에서는,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1X)으로부터 부상하지 않고 주행면(1X) 상에 정지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설정에 있어서, 공급 대상물은 에어 공급 ON 상태로 된다란 에어에 의해 주행면(1X) 상으로부터 부상하고, 중력에 의해 반송 방향 F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에어 공급 ON 상태와 에어 공급 OFF 상태를 적당한 타이밍에서 전환하는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을 반송 방향 F 하류단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하류단 및 그 근방에 도달한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하류단으로부터 소정의 공급처(도 1에 도시한 부품 피더 P의 저류부 P2)에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는,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로부터 주행면(1X)에 배출된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1X)을 다공질 블록체에 의해 구성하고, 에어 공급부(6)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에 대하여 다공질 블록체를 통해 하방으로부터 분사함으로써, 주행면(1X) 상에,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1X)으로부터 부상시키는 기류를 발생시켜, 공급 대상물을 강제적으로 주행면(1X)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부상시키면서 반송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에 의하면,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1X)에 대하여 접촉한 상태 그대로 주행면(1X) 상에서 이동시키는 형태와 비교하여, 주행면(1X) 상에서 이동하는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1X)과 접촉하는 기회 및 시간을 저감할 수 있어, 공급 대상물의 손상ㆍ파손ㆍ오염이나 주행면(1X)의 마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ㆍ억제할 수 있고, 반송 중인 공급 대상물 및 주행면(1X)의 정전기(마찰 대전, 접촉 대전, 박리 대전)도 저감되어, 공급 대상물과 주행면(1X)의 마찰에 기인하는 공급 대상물 및 주행면(1X)의 절삭 부스러기나 먼지가 공급 대상물 및 주행면(1X)에 부착되기 어려워지고, 정전기가 원인으로 되어 발생하는 반송 공급 처리 능력의 저하라는 문제를 해소ㆍ억제할 수 있어, 주행면(1X) 상에 있어서 공급 대상물을 원활하게 소정의 공급처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는, 가진원으로부터의 진동에 의해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을 반송 공급하는 종래의 호퍼 장치와 비교하여, 주행면(1X)에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 기구 및 가진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 및 공간 절약화(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가진원에 의한 주행면(1X)의 진동을 조정하는 제어보다도 간이한 에어 공급량의 제어로 공급 대상물을 반송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는, 주행면(1X)을 갖는 주행부 본체(2)와, 주행면(1X)의 폭 치수를 규정하고 또한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1X)의 양쪽 사이드로부터 주행면(1X)의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측방 기립 벽부(3)를 구비하고, 이들 주행부 본체(2) 및 측방 기립 벽부(3)를 다공질재에 의해 구성한 주행부(1)를 적용하고, 주행부 본체(2)의 주행면(1X) 및 에어실(1S)에 면하는 면[저면(2b)]과, 측방 기립 벽부(3)의 저면(3b) 및 사이드 스토퍼면(1Y)[내측면(3s)]을 통기성이 있는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주행부 본체(2)의 양측면(2c), 전방면(2d), 후방면(2e), 측방 기립 벽부(3)의 외측면(3c), 전방면(3d) 및 후방면(3e)을 밀봉면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 결과, 에어 공급부(6)로부터 베이스부(5)의 에어실(1S)에 공급된 에어는, 주행부 본체(2) 중 에어실(1S)에 면하는 면[저면(2b)]으로부터 주행부 본체(2)의 내부를 통과하여, 주행면(1X) 및 측방 기립 벽부(3)의 사이드 스토퍼면(1Y)으로부터만 방출되게 되어, 밀봉면으로 설정한 각 면으로부터 에어가 누출되는 사태(에어 누설)를 방지ㆍ억제하고, 에어실(1S) 내에 공급되는 에어를 주행면(1X) 상에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고,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을 부상시키는 것에 기여하지 않는 에어의 낭비를 회피하여, 호퍼 장치 H의 공급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방 기립 벽부(3) 중 주행면(1X)에 면하는 사이드 스토퍼면(1Y)을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 스토퍼면(1Y)으로부터 에어를 방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이 사이드 스토퍼면(1Y)에 달라붙어 체류하는 사태를 방지ㆍ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이드 스토퍼면(1Y)에 미세 기공이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사이드 스토퍼면(1Y)은 까칠까칠한 면(거친 면)으로 되어,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이 사이드 스토퍼면(1Y)에 달라붙기 어려워,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호퍼 장치 H는,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상류단과 주행면(1X)의 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후방 기립 벽부(4)를 구비하고, 후방 기립 벽부(4)의 전방면(4d)이,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1X)의 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백 스토퍼면(1Z)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에 의해, 호퍼 탱크 T의 배출구 T1로부터 주행면(1X) 상에 배출된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상류단으로부터 외부로 낙하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5) 중 베이스 전방 벽부(52)에 있어서 에어실(1S)에 면하는 내향면을 주행면(1X) 상에 있어서의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 F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립면으로 설정한 형태이면,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하류단 및 그 근방 부분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공급 대상물에 분사하는 에어의 기세가, 다른 부분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공급 대상물에 분사하는 에어의 기세보다도 극단적으로 강해져,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하류단 및 그 근방 부분에 도달한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하류단 및 그 근방 부분에 도달하지 않은 공급 대상물보다도 높게 부상하여 사이드 스토퍼면(1Y)을 넘어 외부로 낙하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에서는, 베이스부(5) 중, 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베이스 전방 벽부(52)에 있어서 에어실(1S)에 면하는 내향면을 주행면(1X) 상에 있어서의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 F를 향하여 경사지게 한 테이퍼면(5T)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에어실(1S)에서 베이스 전방 벽부(52)의 테이퍼면(5T)에 도달하여 주행면(1X)에 방출되는 에어의 흐름이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 F를 향하는 기류로 되어 주행면(1X) 상에 방출되게 된다. 그 결과,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하류단 및 그 근방 부분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공급 대상물에 분사하는 에어의 기세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공급 대상물에 분사하는 에어의 기세와 동일 정도로 되어,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하류단 및 그 근방 부분에 도달한 공급 대상물이, 사이드 스토퍼면(1Y)을 넘는 높이까지 부상하는 사태를 방지ㆍ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에서는,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하류단이 반송 방향 F 상류단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되도록 주행면(1X)을 경사지게 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 대상물의 자체 중량을 이용하여 주행면(1X) 상에 있어서의 공급 대상물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는, 도 7∼도 9(도 8은 도 7의 A 방향 화살 표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대략 U자상인 홈상의 주행면(1X)을 갖는 주행부(1)를 적용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와 상이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행부(1)는 다공질재에 의해 구성된 주행부 본체(2)를 주체로 하여 이루어지고, 주행부 본체(2)의 상측면에 형성된 홈상의 주행면(1X)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만곡면(1W)으로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면(1X) 중 가장 낮은 위치로 되는 면(바닥)은 편평한 면으로 설정하고, 이 편평한 면의 좌우 양쪽 사이드로부터 기립하는 면을 곡면으로 설정하고, 전체로서 만곡면(1W)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주행면(1X)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홈상의 주행면의 전부를 곡면으로 형성하고, 주행면의 단면 형상에 직선 부분이 나타나지 않는 주행면으로 설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한 홈상의 부분 전체를 주행면(1X)으로 간주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홈상의 부분에 있어서 가장 저위로 되는 위치(바닥)로부터 소정 높이 위치의 부분까지를 주행면으로 간주하고, 그 주행면보다도 상방의 면을, 주행면에 면하고 또한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이 주행면의 측방으로부터 외부로 낙하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사이드 스토퍼면으로 간주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본 실시 형태의 주행부 본체(2)는 주행면 및 사이드 스토퍼면을 일체로 갖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부 본체(2) 중, 단면 형상이 대략 U자상인 홈상의 주행면(1X) 전체와 저면(2b)[에어실(1S)에 면하는 면]만을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면을 밀봉면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행부(1)를 구비한 호퍼 장치 H라도,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와 마찬가지로, 에어 공급부(6)로부터 베이스부(5)의 에어실(1S)에 공급되는 에어를, 다공질 블록체로 구성된 주행부 본체(2)의 저면(2b)[에어실(1S)에 면하는 면]을 통해 주행부 본체(2)의 내부 전체에 널리 퍼지게 하고, 대략 U자상인 홈상의 주행면(1X)으로부터만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공급 ON 상태와 에어 공급 OFF 상태를 적당한 타이밍에서 전환하는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을 반송 방향 F 하류단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이면, 주행면(1X)을 만곡면(1W)으로 설정하고 있음으로써, 주행면(1X) 상에 있어서 공급 대상물을 1열 또는 복수 열로 나열하여 반송할 수 있어, 공급 대상물을 소량 또한 정량으로 공급처에 공급하는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는, 도 10∼도 12(도 11은 도 10의 A 방향 화살 표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대략 V자상인 홈상의 주행면(1X)을 갖는 주행부(1)를 적용하고 있는 점에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와 상이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주행부(1)는 각각 다공질재에 의해 구성된 주행부 본체(2)와 측방 기립 벽부(3)를 구비하고, 주행부 본체(2)의 상측면에 형성된 홈상을 이루는 굴곡면(1K) 전체를 주행면(1X)으로 간주할 수 있다. 주행면(1X)에 면하는 사이드 스토퍼면(1Y)을 갖는 측방 기립 벽부(3)는 적당한 고정 수단(예를 들어 볼트 N)에 의해 주행부 본체(2)와 함께 베이스부(5)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부 본체(2) 중 굴곡면(1K)을 포함하는 상측면 전체 및 상측면과는 반대측의 저면(2b)[에어실(1S)에 면하는 면]과, 측방 기립 벽부(3) 중 사이드 스토퍼면(1Y)(내측면)만을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면을 밀봉면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행부(1)를 구비한 호퍼 장치 H여도,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와 마찬가지로, 에어 공급부(6)로부터 베이스부(5)의 에어실(1S)에 공급되는 에어를 다공질 블록체로 구성된 부품[주행부 본체(2), 측방 기립 벽부(3)]의 전체에 널리 퍼지게 하고 굴곡면(1K) 및 사이드 스토퍼면(1Y)만으로부터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공급 ON 상태와 에어 공급 OFF 상태를 적당한 타이밍에서 전환하는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주행면(1X) 상의 공급 대상물을 반송 방향 F 하류단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호퍼 장치 H이면, 주행면(1X)을 굴곡면(1K)으로 설정하고 있음으로써, 주행면(1X) 상에 있어서 공급 대상물을 1열 또는 복수 열로 나열하여 반송할 수 있어, 공급 대상물을 소량 또한 정량으로 공급처에 공급하는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면(1Sb)[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기립 벽부(4)의 전방면(4d) 중 주행면(1X)에 면하는 면이 백 스토퍼면(1Y)으로서 기능하고, 후방 기립 벽부(4)의 전방면(4d) 중 주행면(1X)에 면하는 면보다도 하방의 면이 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면으로서 기능하고 있음]에, 에어 공급부(6)의 에어 입력단[에어 공급 노즐(61)의 선단 부분]이 면하도록 설정한 경우, 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면[에어실 후방 구획면(1Sb)]을, 평면에서 보아 곡면상(반원호상, 부분 원호상) 또는 평면에서 보아 굴곡상(V자상)으로 설정한 호퍼 장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에어 입력단이 면하는 면(1Sb)을 평면에서 보아 일직선상으로 설정한 형태(도 14 참조)와 비교하여, 에어실(1S)에 있어서 에어가 널리 퍼지기 어려운 에어 입력단 주변에도 에어를 널리 퍼지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에어실(1S)은, 에어실 후방 구획면(1Sb), 에어실 측방 구획면(1Sc)[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면], 및 에어실 전방 구획면(1Sa)[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면]이 모두 에어실 S1의 저면(1Sd)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립하는 면으로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실 후방 구획면(1Sb)을 갖는 부품[베이스부(5)]과, 백 스토퍼면(1Z)을 갖는 부품[후방 기립 벽부(4)]이 별체이며, 에어실 후방 구획면(1Sb)과 백 스토퍼면(1Z) 사이에, 주행면(1X)을 갖는 주행부 본체(2)가 배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백 스토퍼면(1Z)을, 에어실 후방 구획면(1Sb)의 평면에서 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설정하고, 평면에서 보아 백 스토퍼면(1Z) 및 에어실 후방 구획면(1Sb)이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하면, 주행면(1X)에의 에어 공급 효율이 한층 더 높아진다. 도 15 및 도 16에서는, 백 스토퍼면(1Z)을 갖는 후방 기립 벽부(4)와, 사이드 스토퍼면(1Y)을 갖는 측방 기립 벽부(3)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들 각 기립 벽부가 각각의 부품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어실에 공급되는 에어량의 증대화, 나아가서는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을 부상시키는 힘의 증대화를 도모하기 위해, 가스 공급부로서, 에어실(1S)에 면하는 에어 입력단(예를 들어 에어 공급 노즐)을 복수 갖는 것을 적용할 수도 있는 한편, 가스 공급부로서, 단수의 에어 입력단을 갖는 것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에어실에 있어서의 에어 입력단 주변에 에어를 널리 퍼지게 하기 쉽게 하기 위해, 에어실 후방 구획면을,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경사지게 한 면(만곡면 또는 편평한 면)으로 설정한 에어실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에어실 측방 구획면을, 전체적으로 측방으로 경사지게 한 면(만곡면 또는 편평한 면)으로 설정한 에어실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실(1S)의 에어실 후방 구획면(1Sb)이나 에어실 측방 구획면(1Sc)을 경사진 면으로 설정함으로써, 에어실(1S) 내에 있어서의 에어의 양이 에어실 후방 구획면(1Sb)과 그 근방 영역이나, 에어실 측방 구획면(1Sc)과 그 근방 영역에도 골고루 널리 퍼지게 되어, 주행면 상에 방출되는 에어량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서는, 에어실 전방 구획면(1Sa)[에어실(1S)과 에어실(1S)의 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면]을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한 면으로 설정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에 관한 호퍼 장치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실 후방 구획면(1Sb), 에어실 측방 구획면(1Sc), 혹은 에어실 전방 구획면(1Sa) 모두가 경사면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에어실(1S)을 갖는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실(1S)에 있어서 에어 공급부(6)의 에어 입력단[에어 공급 노즐(62)의 선단 부분]이 에어실(1S)에 면하는 면은,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 하류단에 대응하는 면[에어실 후방 구획면(1Sb)] 이외의 면, 예를 들어 주행면(1X)의 반송 방향 F에 직교하는 면[에어실 측방 구획면(1Sc)]이어도 되고,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실(1S)의 저면(1Sd)이어도 된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에어 입력단[에어 공급 노즐(62)의 선단 부분]이 각각 에어실(1S)의 상이한 면[도시 예에서는, 에어실 후방 구획면(1Sb)과 에어실 측방 구획면(1Sc)이지만, 예를 들어 에어실 후방 구획면(1Sb)과 저면(1Sd) 등의 조합이어도 됨]에 면하도록 설정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어 공급부로부터의 에어 공급 상태를 ON과 OFF로 전환하는 처리 대신에, 에어 공급 상태를 ON으로 유지한 채로, 공급량의 강약을 적절히 조정하여 변화시키는 처리에 의해, 주행면 상에 있어서 부상하는 공급 대상물의 높이 정도를 변화시켜, 주행면의 반송 방향 하류단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주행면이 수평으로 되는 자세로 주행부를 배치한 호퍼 장치여도 된다. 이 경우, 주행면의 하방으로부터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을 향하여 분사하는 에어의 분사 방향을,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조정하는 에어 분사 방향 조정 수단을 구비한 호퍼 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분사 방향 조정 수단의 일례로서, 판상 또는 시트상의 재료(기재)에 다수의 구멍이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펀칭 가공재를 사용한 형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펀칭 가공재의 각 구멍을 통과하는 에어의 흐름이,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되는 자세로 펀칭 가공재(에어 분사 방향 조정 플레이트)를, 주행부 중 에어실에 면하는 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한 형태를 들 수 있다.
주행부의 측방 기립 벽부는, 주행면을 갖는 부품(주행부 본체)과 일체의 것이어도 되고, 별체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부의 사이드 스토퍼면, 또는 백 스토퍼면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을 밀봉면으로 설정한 구성이나, 주행부의 사이드 스토퍼면, 또는 백 스토퍼면의 양쪽을 통기면으로 설정한 구성도 포함한다.
백 스토퍼면을 통기면으로 설정하는 경우, 백 스토퍼면을 갖는 부품을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체로 구성하고, 이 다공질 블록체의 내부에 투과 유입된 에어가, 통기면인 백 스토퍼면으로부터 외기로 방출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한, 백 스토퍼면 이외의 면으로부터 에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백 스토퍼면을 갖는 다공질 블록체의 적절한 면을 밀봉면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주행부 본체는, 상측면 및 저면만을 통기성이 있는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면, 즉 좌우 양측면, 전방면 및 후방면을 밀봉면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상측면 및 저면에 더하여 전방면을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좌우 양측면, 후방면을 밀봉면으로 설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호퍼 장치는, 에어 공급부로부터의 에어에 의해 주행면으로부터 부상한 공급 대상물 및 부상한 공급 대상물의 주변을 향하여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는 이오나이저(도시 생략)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부상한 공급 대상물 및 그 부상한 공급 대상물의 주변에 이오나이저에 의해 이온화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부상하기 직전까지 주행면에 접촉하고 있었던 면을 포함하는 공급 대상물 전체에 이온화 공기를 확실하게 분사할 수 있음과 함께, 부상한 공급 대상물이 직전까지 접촉하고 있었던 주행면의 소정 영역에도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부상한 공급 대상물을 향하여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는 이오나이저를, 부상한 공급 대상물의 주변에 있는 주행면에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는 이오나이저로서 공용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기 때문에, 공급 대상물에 대하여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는 이오나이저와, 주행면 전체에 걸치는 광범위에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는 이오나이저를 개별로 설치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부품 점수의 삭감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이오나이저를 구비한 호퍼 장치에 의하면,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에 대하여 다공질 블록체를 통해 하방으로부터 분사하는 에어 공급원으로부터의 에어에 의해, 주행면 상에는 공급 대상물을 주행면으로부터 부상시키는 기류가 형성되고, 이와 같은 기류 중에 놓인 공급 대상물에 대하여 이오나이저에 의해 분사한 이온화 공기의 기류는, 공급 대상물 주위의 풍압 분포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주행면 상에 있어서 정전기 또는 점착성 등에 의해 복수의 공급 대상물끼리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공급 대상물 주위의 압력 분포가 변화됨으로써 각 공급 대상물의 서로 다른 불규칙한 거동을 야기할 수 있어, 공급 대상물끼리의 부착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서 이온화 공기를 적용하면, 에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이온화 공기에 의해 주행면으로부터 부상한 공급 대상물은, 그 시점에서 이온화 공기가 분사된 상태에 있어, 정전기를 신속하게 중화 제거할 수 있어, 반송 처리 능력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호퍼 장치의 소정의 공급처는, 저장 기능을 갖는 부품 피더에 한하지 않고, 저장 기능이 없는 부품 피더나, 계량기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호퍼 장치는, 호퍼 탱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베이스부는, 금속제여도 되고, 플라스틱제여도 된다. 주행부가 측방 기립 벽부 또는 후방 기립 벽부를 구비한 것인 경우, 이들 각 기립 벽부의 양쪽 또는 한쪽을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체에 의해 구성하거나, 이들 각 기립 벽부의 양쪽 또는 한쪽을 금속제나 플라스틱제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블록상이나 플레이트상으로 형성된 다공질재 대신에, 또는 더하여, 예를 들어 시트상으로 형성된 다공질재에 의해 주행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대상물은, 전자 부품, 혹은 식품 등 전자 부품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그 밖에, 각 부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1 : 주행부
1S : 에어실
1X : 주행면
1Y : 사이드 스토퍼면
1Z : 백 스토퍼면
5 : 베이스부
52 : 베이스 전방 벽부
6 : 에어 공급부
H : 호퍼 장치

Claims (5)

  1. 주행면 상에 배출된 공급 대상물을 상기 주행면 상에서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여 소정의 공급처에 공급하는 호퍼 장치이며,
    다공질재에 의해 구성한 상기 주행면을 갖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또한 적어도 상기 주행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에어실을 갖는 베이스부와,
    상기 에어실에 에어를 공급 가능한 에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공급부로부터 상기 에어실에 공급된 에어를 상기 주행면 상의 공급 대상물에 대하여 상기 다공질재를 통해 분사함으로써 공급 대상물을 상기 주행면으로부터 부상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에어 공급부로부터의 에어 공급량을 조정함으로써 공급 대상물을 상기 주행면 상에서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여 소정의 공급처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주행면에 면하고 또한 공급 대상물이 상기 주행면의 반송 방향 하류단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주행면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면을 갖고, 외부에 표출되는 외표면 중, 상기 주행면, 상기 에어실에 면하는 면, 및 스토퍼면만을 통기성이 있는 통기면으로 설정하고, 다른 면을 통기성이 없는 밀봉면으로 설정한 것인, 호퍼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에어실과 상기 에어실의 전방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베이스 전방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전방 벽부에 있어서 상기 에어실에 면하는 내향면을 상기 주행면 상에 있어서의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한 테이퍼면으로 설정하고 있는, 호퍼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면은, 공급 대상물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중심부를 오목하게 한 만곡상 또는 굴곡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인, 호퍼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면의 반송 방향 하류단이 반송 방향 상류단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되도록 상기 주행면을 경사지게 하고 있는, 호퍼 장치.
KR1020180003744A 2017-05-19 2018-01-11 호퍼 장치 KR201801271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9848A JP2018193212A (ja) 2017-05-19 2017-05-19 ホッパ装置
JPJP-P-2017-099848 2017-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166A true KR20180127166A (ko) 2018-11-28

Family

ID=6449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744A KR20180127166A (ko) 2017-05-19 2018-01-11 호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8193212A (ko)
KR (1) KR20180127166A (ko)
CN (1) CN108946171A (ko)
TW (1) TW2019005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0926B2 (ja) * 2019-12-16 2023-10-13 日特コーセイ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用ホッパ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パーツフィーダ装置
WO2023233478A1 (ja) * 2022-05-30 2023-12-0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粉粒体移送装置及び工作機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0390U (ko) * 1973-12-22 1975-07-30
JP3171072B2 (ja) * 1995-11-14 2001-05-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取扱装置、取扱方法および製造方法
JP2012153446A (ja) * 2011-01-24 2012-08-16 Ntn Corp ホッ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0505A (zh) 2019-01-01
CN108946171A (zh) 2018-12-07
JP2018193212A (ja)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8863B2 (en) Particle-delivery in abrasive-jet systems
US5876267A (en) Blasting method and apparatus
TW202004984A (zh) 氣體浮上工件支持裝置
KR101770024B1 (ko)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20180127166A (ko) 호퍼 장치
CN1993188A (zh) 附着物除去装置
JP2010120134A (ja) ブラスト加工方法及びブラスト加工装置における研磨材噴射回収部構造
JP2006347719A (ja) 気体浮上ユニット及び気体浮上搬送装置
PE20050817A1 (es) Sistema de suministro para un horno de fusion por suspension
ATE332088T1 (de) Anordnung zum bilden einer monolage aus einem kontinuerlich zugeführten dickschichtigen materialstrom
DE60221332D1 (de) Transportgerät für Aufzeichnungsträger, Tintenstrahldrucker mit einem solchen Transportgerät und einer Saugeinrichtung für den Aufzeichnungsträger im Tintenstrahldrucker
KR20180138128A (ko) 진동 반송 장치
KR102315301B1 (ko) 반송 패드 및 웨이퍼의 반송 방법
JP2009166209A5 (ko)
JP2009166209A (ja) ウエットブラスト装置
KR101504457B1 (ko) 연삭장치
JP3442489B2 (ja) 軽量物品用エア搬送装置
KR101307187B1 (ko) 부상식 이송플레이트
KR20180004008A (ko) 진동 반송 장치
JP6917822B2 (ja) 板状ワーク乾燥機
KR101632495B1 (ko) 원료 장입 장치
WO2023233478A1 (ja) 粉粒体移送装置及び工作機械
JP6750779B2 (ja) 気体吐出用ノズル及び搬送装置
KR101865358B1 (ko) 초음파 세정 장치
CN117545578A (zh) 在机器入口或机器出口处的引导设备和加工机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