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457B1 - 연삭장치 - Google Patents

연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457B1
KR101504457B1 KR20140101118A KR20140101118A KR101504457B1 KR 101504457 B1 KR101504457 B1 KR 101504457B1 KR 20140101118 A KR20140101118 A KR 20140101118A KR 20140101118 A KR20140101118 A KR 20140101118A KR 101504457 B1 KR101504457 B1 KR 10150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air
block
conveying
ai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구
Original Assignee
황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구 filed Critical 황용구
Priority to KR2014010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절삭 가공하는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송파지부가 테이블의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송파지부와 가이드레일 간의 마찰 현상을 최소화함에 따라 이송파지부의 원활하고 정밀한 이동이 가능 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매우 간소한 구조를 통해 이송파지부와 가이드레일 간의 마찰 저하 현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비용 상승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연삭과정에서 가이드레일 상에 쌓이게 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이송파지부와 가이드레일 사이 틈새로 유입되는 현상이 최소화 되도록 함으로써, 이송파지부의 더욱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삭장치{Grinding Device}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해당 가공물의 표면을 연삭가공하는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공물의 양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여 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파지부가 공압에 의해 테이블 상에 부상되도록 함으로써 테이블 상에서 이동이 원활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장치는 연마부재를 이용해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절삭 가공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테이블 상에 제1, 2이송파지부가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상호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가공대상물은 양단부가 제1, 2이송파지부에 결합된 상태로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테이블을 좌우 직선이동시킴에 따라 테이블을 비롯해 제1, 2이송파지부 및 가공대상물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좌우 직선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가공대상물 표면이 연마부재와 접촉되어 절삭가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1, 2이송파지부는 최초 가공대상물의 최초 파지를 위해 직선이동되는 과정에서 하부면이 테이블 상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힘에 의해 이동된다.
따라서 제1, 2이송파지부의 하부면이 항시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 및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1, 2이송파지부와 가이드레일 간의 마찰에 의해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1, 2이송파지부의 이송이 어려움에 따라 제1, 2이송파지부의 이동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려워, 결국 가공대상물의 안정적인 고정에 방해가 되며 이는 가공대상물의 연삭불량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 외에 일반적으로 연삭과정에서 가공대상물 표면으로부터 가공대상물 또는 연삭부재로부터 발생된 미세 입자 형태의 이물질이 가이드레일 상에 쌓이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제1, 2이송파지부를 이동시키게 되면 가이드레일 상에 쌓여 있는 이물질이 제1, 2이송파지부와 가이드레일 사이 틈새로 들어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므로 제1, 2이송파지부의 정밀한 이송이 방해되는 문제점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0258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340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제1, 2이송파지부가 테이블의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 2이송파지부와 가이드레일 간의 마찰 현상을 최소화 함에 따라 제 1,2이송파지부의 원활하고 정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매우 간소한 구조를 통해 제1, 2이송파지부와 가이드레일 간의 마찰 저하 현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비용 상승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연삭과정에서 가이드레일 상에 쌓이게 되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제1, 2이송파지부와 가이드레일 사이 틈새로 유입되는 현상이 최소화 되도록 함으로써, 제1, 2이송파지부의 더욱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형성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일측에는 가공대상물이 연결될 수 있는 이송파지부를 포함하는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지부는 블록 형태로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어 있는 이송블록 및 상기 이송블록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 툴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블록은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와 연통되어 있는 공기이동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상기 공기이동로와 연통된 공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면과 마주하는 하부면에는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통된 상태에서 일정깊이 함몰된 형태의 공기분포유도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공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는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을 따라 분포되고 상기 이송블록은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 내에 형성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위쪽으로 부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은 상기 이송블록의 하부면 중앙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 일측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은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타측지점을 가로지르는 형태의 보조분포유도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은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타측지점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양측면 테두리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파지부는 상기 이송블록의 양측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마주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이송블록을 상호 체결시킬 수 있으며,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2경사면과 제1경사면 간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체결 및 밀착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호 간격을 두고 2개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은 상기 이송블록 하부면 중 상기 각 가이드레일과 마주하는 지점에 각각 직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에는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로부터 가지 형태로 주변을 향해 연장 형성된 연장분포유도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블록 전후측 테두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해당 테두리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이송블록 하단테두리와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면 사이 틈새를 막고 있는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송파지부가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압축공기가 이송파지부 하부면의 공기분포유도레일 내에 채워짐에 따라 공기분포유도레일 내에 압력이 포화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이송파지부 전체가 이송파지부와 가이드레일 사이에 형성된 공압에 의해 가이드레일 상부면으로부터 공중으로 부상되기 때문에,
이송파지부가 가이드레일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던 종래기술에 비해 이송파지부와 가이드레일 간의 마찰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이송파지부를 작은 힘으로도 손쉽고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이송파지부가 공중에 부상된 상태로 이송되어 쉽게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이송파지부의 이동거리가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이송파지부 하단에 이물질 유입방지커튼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삭 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이 이송파지부 바닥면과 가이드레일 상부면 틈새로 유입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이송파지부의 이송이 항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정면 개략도
도2는 전체 측면 개략도
도3은 이송파지부가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파지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4는 이송파지부의 저면 개략도
도5는 압축공기에 의해 이송파지부가 부상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6 내지 도9는 공기분포유도레일의 변형 예를 나타낸 저면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테이블(200), 가이드레일(300), 이송파지부(400) 및 압축공기 공급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연삭기의 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박스 형태를 띠며 후측에는 연삭부재(20)가 설치된 제1몸체(110)가 구비되며 제1몸체(110)의 전측에는 후술하는 테이블(200)이 설치될 제2몸체(120)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체(1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삭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 중 제2몸체(120) 상에는 테이블(200)이 설치된다.
테이블(200)은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대상물(10)을 좌우 직선이동시켜, 이동 과정에서 가공대상물(10)의 표면 전체가 연삭부재(20)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판재 형태이고 제2몸체(120) 상에 안착되어 유압 또는 공압방식에 의해 제2몸체(120) 상에서 좌우 이송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이러한 테이블(200)의 좌우 직선이동 구조는 일반적인 연삭장치에 적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테이블(200) 상에는 가이드레일(300)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300)은 후술하는 이송파지부(400)가 테이블(200) 상에서 좌우 직선이동하기 위한 이동경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판재 형태로 하단부가 테이블(200) 상단부에 안착 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가이드레일(300)은 테이블(200)의 상부면 전체 좌우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직선 레일 구조를 띠고, 이때 가이드레일(300)의 전후 양측 테두리면은 하단부로 갈수록 서로를 향해 기울어진 제1경사면(310)이 형성된다.
참고로 이러한 가이드레일(300)의 상부면은 최대한 평평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이송파지부(400)가 안착 되었을 때 상호 간의 밀착도가 최대화 되도록 하고 추후 이송파지부(400)가 공중으로 부상되었을 때 이송파지부(400) 하부면과 가이드레일(300) 상부면 사이에 발생 되는 틈새가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300)에는 이송파지부(400)가 설치된다.
이송파지부(400)는 가공대상물(10)을 고정 파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송블록(410)과 파지툴(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이송블록(410)은 이송파지부(400)의 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블록 형태이고 하부면이 가이드레일(300)의 상부면 상에 안착된 형태로 위치된다.
이때 이송블록(410)의 하단부 전후 테두리에는 결합프레임(430)이 설치되는데, 결합프레임(430)은 이송블록(410)과 가이드레일(300) 간의 연결기능 및 이송블록(410)이 가이드레일(300)의 형성경로를 따라 직선이동 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레일(300)과 더불어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합프레임(430)은 전체적으로 이송블록 하단 테두리의 좌우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바아(bar) 형태이고 이송블록(410)의 하단부 전후테두리에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 설치되어 하단부가 이송블록 아래쪽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각 결합프레임(430) 중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가이드레일(300)의 제1경사면(310)과 마주하는 형태의 제2경사면(432)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각 결합프레임(430)은 제2경사면(432)이 가이드레일(300)의 제1경사면(310)과 마주한 상태로 가이드레일(300)의 전후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때 각 결합프레임(430)은 볼트 등의 밀착조절부재(440)가 측부를 관통한 후 이송블록(410)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송블록(410)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밀착조절부재(4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프레임(430)이 이송블록 측면에 강하게 밀착되고, 이 과정에서 제2경사면(432)도 제1경사면(310)에 강하게 밀착됨에 따라 이송블록(410)의 하부면이 가이드레일(300) 상부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반대로 밀착조절부재(4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프레임(430)과 이송블록(410) 측면 간의 밀착상태가 느슨해지고 더불어 제2경사면(432)과 제1경사면(310) 간의 밀착력도 해제됨에 따라 이송블록(410)의 하부면과 가이드레일(300) 상부면 간 밀착력이 저하되어 이송블록(410)이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결합프레임(430)이 연결되는 이송블록(410)은 가이드레일(300) 상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대칭 형태로 두개가 배치된다.
이때 각 이송블록(410) 중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가공대상물(10)을 실제 파지고정시키는 파지툴(420)이 형성되고, 가공대상물(10)이 양 파지툴(42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각 이송블록(410)이 서로를 향해 직선이동됨에 따라 양 파지툴(420)이 가공대상물(10)의 양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공대상물(10)이 파지툴 사이에 고정 위치된다.
참고로 파지툴(420) 또한 일반적인 연삭기에 적용되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파지툴의 구체적인 구성 및 설치구조에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송파지부(400)에 압축공기에 의한 공중 부상 구조를 적용시킴으로써 이송파지부(400)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을 최소화 하여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체(100) 일측에는 압축공기의 생성 및 공급 기능을 하는 압축공기 공급부(500)가 구비되고,
이송파지부(400) 중 이송블록(410) 일측에는 공기유입구(600)가 형성되며 이송블록(410) 내부에는 공기유입구(600)와 연통된 공기이동로(610)가 형성되고 이송블록(410) 바닥면에는 공기이동로(610)와 연통된 공기토출구(620)가 외부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공기 공급부(500)와 공기유입구(600)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압축공기가 공기이동로(610)를 통과한 뒤 바닥의 공기토출구(6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이송블록(410)의 바닥에는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이 형성되는데,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은 공기토출구(620)를 통해 토출된 압축공기가 이송블록(410) 바닥면 전체 구간으로 넓게 분포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이송블록(410) 바닥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홈 구조이고 이송블록(410) 바닥면 중앙을 둘러싸는 형태의 레일 구조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공기분포유도레일은 전체적으로 사각 링 형태처럼 이송블록(410) 바닥면 중앙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사각 링 외에 원형 등 압축공기가 이송블록(410) 바닥면에 최대한 넓게 분포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적용 가능하다.
이때 공기토출구(620)는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의 일측 모서리 내에 형성됨에 따라, 공기토출구(620)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의 형성경로를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분포된다.
이렇게 공기분포유도레일(700) 등이 형성된 이송블록(410)에는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800)이 설치된다.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800)은 연삭가공 과정에서 연삭부재(20) 또는 가공대상물 표면으로부터 탈락된 미세 분진 등의 이물질이 가이드레일(300) 상부면과 이송블록(410) 바닥면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이송블록(410)의 좌우 하단테두리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이송블록(410) 좌우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각각 이송블록(410) 좌우 하단 테두리에 고정 설치되고, 그 이하 구간은 이송블록 하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로 인해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800)의 하단부는 가이드레일(300)상부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800)은 고무 등의 연질재로 구현함으로써,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800)의 하단부가 가이드레일(300)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송블록(410)의 전후측 하단 테두리와 가이드레일(300) 상부면 사이는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800)에 의해 막혀진 상태가 된다.
참고로 이물질이 이송블록과 가이드레일 사이로 유입될 가능성이 적거나 문제되지 않을 경우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800)은 생략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 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대상물(10)을 이송파지부(40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먼저 가공대상물(10)을 양 파지툴(420) 사이에 위치시키고 각 이송블록(410)을 이동시켜 양 파지툴(420)이 가공대상물(10) 양측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가공대상물(10)이 양 파지툴(420) 사이에 물려진 형태로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각 이송블록을 이송시키기 전에 먼저 밀착조절부재(44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프레임(430)과 가이드레일(300) 간의 밀착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이송블록(410)이 가이드레일(300)의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공기 공급부(500)를 통해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송블록(410)의 공기유입구(600)로 주입하면 압축공기는 이송블록(410) 내 공기이동로(610)로 유입된 후 공기토출구(6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토출과 동시에 공기분포유도레일(700) 전체구간에 걸쳐 분포된다.
이때 각 이송블록(410)은 바닥면이 가이드레일(300)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의 하부는 가이드레일(300)에 의해 막혀진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압축공기는 공기분포유도레일(700) 내에 채워지게 되어 공기분포유도레일(700) 내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 된다.
이렇게 공기분포유도레일(700) 내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 됨에 따라, 일정 시점이 되면 해당 압력에 의해 이송블록(410)을 비롯한 이송파지부(400) 전체가 순간적으로 미세하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레일(300) 위쪽 공중으로 부상된다.
이렇게 이송블록(410)이 가이드레일(300) 위쪽으로 부상됨에 따라 이송블록(410) 바닥면과 가이드레일(300) 상부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이 순간 공기분포유도레일(700) 내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해당 틈새를 통해 대기중으로 빠져나오게 되면 이 순간 [도 3]처럼 이송블록(410)이 하강하여 바닥면이 가이드레일 상부면 상에 안착 된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지속적으로 토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분포유도레일(700) 내 압력이 순간적으로 다시 상승되어 이송파지부(400) 전체가 다시 미세하게 공중으로 부상되며, 위에서 설명한 이송파지부의 상승과 하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송블록(410)의 부상 높이가 매우 미세하고 압축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이송블록(410)의 상승과 하강 과정이 미세하고 매우 빠르게 반복되며, 이로 인해 외부에서는 이송블록(410)이 항시 공중에 부상되어 있는 현상을 띠게 된다.
이렇게 이송블록(410)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공중으로 부상됨에 따라 이송블록(410)의 바닥면과 가이드레일(300) 상부면 간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고 이로 인해 이송블록(410)을 가이드레일(300) 상에서 직선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기존에 비해 매우 작은 힘 만으로도 이송블록(410)을 비롯한 이송파지부(400) 전체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거리 조절이 매우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이송블록(410)의 이동이 완료되면 압축공기 공급을 중단하고 밀착조절부재(44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프레임(430)의 제2경사면(432)이 가이드레일(300)의 제1경사면(310)에 강하게 밀착됨에 따라, 이송블록(410)의 하부면이 가이드레일(300) 상부면에 강하게 밀착 고정되어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테이블(200)을 좌우 이동시킴에 따라 테이블(200)과 더불어 각 이송파지부(400)와 가공대상물(10)이 함께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가공대상물(10) 표면이 연삭부재(20)와 접촉되어 표면 가공된다.
가공 완료 후 가공대상물(10)을 이송파지부(40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다시 밀착조절부재(440)를 통해 결합프레임(430)과 가이드레일(300) 간의 밀착상태를 해제한 후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이송파지부(400)가 공중으로 부상되도록 한 뒤, 가이드레일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가공대상물과 파지툴(420) 간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때 연삭과정에서 연삭부재(20) 및 가공대상물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분진 등의 이물질이 가이드레일 상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가이드레일(300) 상부면과 이송블록(410) 사이는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800)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므로 이물질이 이송블록(410) 바닥면과 가이드레일(300) 상부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송파지부(4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해 이동이 방해되는 등의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송파지부(400)에 압축공기 공급구조를 적용하고 이송파지부 바닥면에 압축공기에 의한 압력형성을 위한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을 형성시킴으로써, 공기압력에 의해 이송파지부가 가이드레일 위쪽으로 공중 부상되도록 함에 따라 이송파지부의 손쉽고 정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파지부(400)의 하단테두리와 가이드레일 상부면 사이에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800)을 형성시킴으로써 이물질 유입에 의한 이송파지부의 이송방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점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가이드레일(300)이 전후 수평상태로 분할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은 이송블록(410)의 바닥면 중 각 가이드레일(300) 상부면과 마주하는 지점에 직선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해당 실시 예는 기존의 연삭장치 중 가이드레일(300)이 이렇게 전후 분할 배치된 구조가 제안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우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을 위 실시 예처럼 링 형태로 형성시킬 경우에는 각 가이드레일(300) 사이 간극으로 인해 압력상승이 어려울 수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가이드레일(300)의 구조를 갖는 종래 연삭장치에도 그에 적합한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을 형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이 각 가이드레일(300)과 마주하는 지점에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각 공기분포유도레일(700) 마다 개별적인 압력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공기토출구(620)는 각 공기분포유도레일(700) 마다 개별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각 공기분포유도레일(700)에 개별적인 공기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공기분포유도레일이 링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에 비해 압력분포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도 7]처럼 연장분포유도홈(710)을 각 공기분포유도레일(700)로 부터 가지 형태로 뻗어나오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압력 형성구간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해당 실시예는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이 링 형태로 형성되고 공기토출구(620)가 일측 모서리 지점에 형성되되, 공기분포유도레일(700) 중 공기토출구(620)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타측모서리 지점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다.
공기토출구(620)의 폭 차이를 두는 이유는, 공기토출구(620)로부터 토출된 압축공기가 공기분포유도레일(700) 중 공기토출구(620)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타측모서리 지점까지 최대한 빨리 이동되어야지만 공기분포유도레일(700) 전체 구간에 걸쳐 신속한 압력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기분포유도레일(700) 중 공기토출구(620)가 형성되는 쪽에서부터 대각선 방향의 타측 모서리 지점으로 갈수록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의 폭을 줄임에 따라, 그만큼 압축공기의 이동속도가 빨라질 수밖에 없어, 결국 압축공기가 최대한 신속하게 공기분포유도레일 전체구간에 걸쳐 분포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공기분포유도레일(700)이 링 형태로 형성되고 공기토출구(620)가 일측 모서리 지점에 형성되되, 공기분포유도레일(700) 중 공기토출구(620)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타측모서리 지점을 가로지르는 형태의 보조분포유도레일(720)이 더 형성된 것에 차이가 있다.
공기토출구(620)로부터 토출된 압축공기가 공기분포유도레일(700) 중 공기토출구(620)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타측모서리 지점까지 최대한 빨리 이동되어야지만 공기분포유도레일(700) 전체 구간에 걸쳐 신속한 압력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조분포유도레일(720)이 공기분포유도레일(700) 중 공기토출구(620)가 형성되는 쪽에서부터 대각선 방향의 타측 모서리 지점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공기토출구(620)를 통해 토출된 압축공기가 보조분포유도레일(720)을 따라 최대한 신속하게 타측 모서리 지점까지 이동되어, 결국 압축공기가 최대한 신속하게 공기분포유도레일 전체구간에 걸쳐 분포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한 변형 및 조합이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 : 가공대상물 20 : 연삭부재
100 : 본체 110 : 제1몸체
120 : 제2몸체 200 : 테이블
300 : 가이드레일 310 : 제1경사면
400 : 이송파지부 410 : 이송블록
420 : 파지툴 430 : 결합프레임
432 : 제2경사면
440 : 밀착조절부재 500 : 압축공기 공급부
600 : 공기유입구 610 : 공기이동로
620 : 공기토출구 700 : 공기분포유도레일
710 : 연장분포유도홈 720 : 보조분포유도레일
800 :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형성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일측에는 가공대상물이 연결될 수 있는 이송파지부를 포함하는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지부는 블록 형태로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어 있는 이송블록 및 상기 이송블록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공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 툴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블록은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와 연통되어 있는 공기이동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상기 공기이동로와 연통된 공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면과 마주하는 하부면에는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통된 상태에서 일정깊이 함몰된 형태의 공기분포유도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공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는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을 따라 분포되고 상기 이송블록은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 내에 형성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위쪽으로 부상하고,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은 상기 이송블록의 하부면 중앙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 일측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양측면 테두리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파지부는, 상기 이송블록의 양측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마주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이송블록을 상호 체결시킬 수 있으며,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2경사면과 제1경사면 간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밀착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삭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은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타측지점을 가로지르는 형태의 보조분포유도레일을
    더 포함하는
    연삭기.
  4. 제1항에서,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은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타측지점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연삭기.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호 간격을 두고 2개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은 상기 이송블록 하부면 중 상기 각 가이드레일과 마주하는 지점에 각각 직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에는 상기 공기분포유도레일로부터 가지 형태로 주변을 향해 연장 형성된 연장분포유도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연삭기.
  7. 제1항에서,
    상기 이송블록 전후측 테두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해당 테두리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이송블록 하단테두리와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면 사이 틈새를 막고 있는 이물질 유입방지 커튼
    을 더 포함하는
    연삭기.
KR20140101118A 2014-08-06 2014-08-06 연삭장치 KR10150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1118A KR101504457B1 (ko) 2014-08-06 2014-08-06 연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1118A KR101504457B1 (ko) 2014-08-06 2014-08-06 연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457B1 true KR101504457B1 (ko) 2015-03-19

Family

ID=5302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1118A KR101504457B1 (ko) 2014-08-06 2014-08-06 연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875B1 (ko) 2023-09-20 2023-11-03 황용구 보조 조작반을 구비한 롤 연삭기
KR102642662B1 (ko) 2023-10-04 2024-03-04 주식회사 우진지엠씨 심압대 부상유닛을 갖는 롤 연삭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3622A (ja) * 2006-05-29 2007-12-06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の滑り案内装置
KR20110013593A (ko) * 2009-08-03 2011-02-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슬라이더의 와이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3622A (ja) * 2006-05-29 2007-12-06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の滑り案内装置
KR20110013593A (ko) * 2009-08-03 2011-02-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슬라이더의 와이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875B1 (ko) 2023-09-20 2023-11-03 황용구 보조 조작반을 구비한 롤 연삭기
KR102642662B1 (ko) 2023-10-04 2024-03-04 주식회사 우진지엠씨 심압대 부상유닛을 갖는 롤 연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380B1 (ko) 멀티홀 가공장치
KR101573313B1 (ko) 브레이크 패드 마찰재 연속 가공장치
US10654143B2 (en) Grinding machine for plate-like elements, particularly ceramic tiles and plates, natural stones, glass or similar
CN104441009B (zh) 一种直线组合磨床
KR101247278B1 (ko) 프레스 성형용 소재 이송장치
KR101504457B1 (ko) 연삭장치
KR20150084357A (ko) 톱 양면 자동 연마기의 소재 공급장치
KR101835743B1 (ko) 컴파운드 롤러 자동 가공장치
KR102174584B1 (ko) 금속판 커팅장치
CN204603995U (zh) 传送带式打磨机
ITMO20120262A1 (it) Attrezzatura per il taglio di lastre di materiale ceramico
KR20160027445A (ko) 샌드 브라스트방식의 강화유리 절단장치
EP2492222A1 (en) Glass sheet belt conveyor
KR101508640B1 (ko) 널링공구대 이동형 소재 자동 널링 가공장치
CN210792535U (zh) 一种给书芯上封面的装置
KR20180131740A (ko) 브레이크 패드 제조시스템
KR101583160B1 (ko) 엣지밴드트리머 및 그 엣지밴드트리머를 갖는 웨이브 패널의 엣지 밴드 트리밍 장치
US10882150B2 (en) Autonomous processing station
KR20180127166A (ko) 호퍼 장치
KR20150010619A (ko) 연삭액 공급 장치
KR20090093475A (ko) 필름이 장착된 로터리형 랩핑장치
KR101574095B1 (ko) 주름혹 밑면 자동 버핑 장치
JP3933123B2 (ja) エア搬送装置
KR101687822B1 (ko) 롤 포밍 시스템용 프레스장치
CN210024128U (zh) 一种便于对产品进行导流的激光打标用运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