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535A - 적층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535A
KR20180126535A KR1020187030319A KR20187030319A KR20180126535A KR 20180126535 A KR20180126535 A KR 20180126535A KR 1020187030319 A KR1020187030319 A KR 1020187030319A KR 20187030319 A KR20187030319 A KR 20187030319A KR 20180126535 A KR20180126535 A KR 20180126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arizer
adhesive layer
meth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733B1 (ko
Inventor
데츠로우 다케다
미사키 사바에
가즈야 요시무라
요시츠구 기타무라
후미에 심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6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층, 편광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 필름이고,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 ㎛ 이하이며 또한 단체 투과율이 43.0 % 이상이고, 상기 휘도 향상 필름의 편광도가 90 % 이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가 25 ㎛ 이하이며 또한 투습도가 200 g/(㎡·day)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두께 10 ㎛ 이하인 편광자를 사용한 경우에도, 백색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가습 시험 후에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적층 필름, 및 상기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를 위해서 편광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LCD) 는, 그 화상 형성 방식으로 액정 패널 표면을 형성하는 유리 기판의 양측에 편광 필름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다. 이와 같은 편광 필름으로는, 일반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등에 의해 첩합 (貼合) 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경량화, 박형화의 요구가 강하고, 화상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편광 필름 등의 각종 광학 부재에 대해서도 박형화, 경량화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어, 박형 편광 필름이 여러모로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박형 편광 필름은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구성이 낮아, 휨이나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휨을 억제하여,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박형 편광판으로서, 예를 들어 제 1 접착층, 특정한 투습도를 갖는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는 투명 보호층, 특정한 벌크 흡수율을 갖는 제 2 접착층, 두께 10 ㎛ 이하인 편광막이 이 순서로 적층된 편광판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5871408호 명세서
편광자는, 얇게 하면 할수록, 가습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분 영향을 잘 받아, 당해 수분에 의해 편광자가 열화되고, 편광자의 편광도가 저하되어, 당해 편광자를 사용한 편광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불균일이 시인 (視認) 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표시 불균일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저투습의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편광자의 수분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고려된다.
최근, 해상도를 높이는 움직임 속에서 패널의 고정세화가 진행되고 있다. 고정세화에 의해 패널 투과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모듈 토탈로서 휘도 (輝度) 상승의 요망이 가속되고 있고, 편광판에도 투과율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게다가, 모듈 전체의 박형화, 프레임 협소화와 같은 디자인면에 특화된 요망도 생기고 있어, 신뢰성 후의 저수축화, 편광판 전체의 박형화의 요망도 강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 요망에 대하여 박형 편광자에 의한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두께 10 ㎛ 이하인 박형 편광자에 있어서, 백색 휘도 향상을 위해서 단체 (單體) 투과율을 43 % 이상으로 한 경우, 저투습의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가습 시험 후에 왕왕 표시 불균일이 시인되어 버려, 불균일 억제 관점에서 충분치는 않았다.
상기 특허문헌 1 에서는, 단체 투과율이 43 % 이상인 매우 고투과의 박형 편광자를 사용하는 경우로 제한되어 있지 않고, 그와 같은 박형 편광자를 사용한 경우에만 발생할 수 있는 표시 불균일의 과제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두께 10 ㎛ 이하인 편광자를 사용한 경우에도, 백색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가습 시험 후에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박형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적층 필름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점착제층, 편광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 필름이고,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 ㎛ 이하이며 또한 단체 투과율이 43.0 % 이상이고,
상기 휘도 향상 필름의 편광도가 90 % 이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가 25 ㎛ 이하이며 또한 투습도가 200 g/(㎡·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자의 붕산 함유량이 18 ∼ 24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크리프값이 100 ∼ 150 ㎛ 이고,
상기 적층 필름을, 85 ℃ 에서 500 시간 방치시킨 후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의 가열 수축률이 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층의 벌크 흡수율이 1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필름이, 편광자의 편면에만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 필름이고,
상기 적층 필름이, 점착제층, 보호 필름, 편광자, 및 휘도 향상 필름을 이 순서로 포함하거나, 또는 점착제층,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두께 10 ㎛ 이하이며 또한 단체 투과율 43 % 이상인 편광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백색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편광도 90 % 이상인 휘도 향상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두께 10 ㎛ 이하이며 또한 단체 투과율 43 % 이상인 편광자를 사용한 경우의 문제점 (가습 시험 후의 표시 불균일의 발생) 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휘도 향상 필름은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을 편광으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하판 편광자에는 편광이 입사된다. 따라서, 가습 환경 하에 의해 편광자가 열화되고, 편광도가 저하되었다 하더라도, 편광이 입사되기 때문에, 상기 편광자의 편광도 열화가 시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측 편광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백색 휘도가 높고 또한 광학 신뢰성이 높은 박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적층 필름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점착제층, 편광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 필름이고,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 ㎛ 이하이며 또한 단체 투과율이 43.0 % 이상이고,
상기 휘도 향상 필름의 편광도가 90 % 이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가 25 ㎛ 이하이며 또한 투습도가 200 g/(㎡·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2 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1, 2 에 있어서의 각 구성의 치수는, 그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이나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 필름 (1) 은, 점착제층 (4), 편광 필름 (2), 휘도 향상 필름 (3) 을 이 순서로 갖고 있다. 상기 편광 필름 (2)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 (2a) 의 양면에 보호 필름 (2b, 2c) 을 갖는 양측 보호 편광 필름이어도 되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 (2a) 의 편면에만 보호 필름 (2b) 을 갖는 편측 보호 편광 필름이어도 된다. 편광 필름 (2) 이 편측 보호 편광 필름인 경우,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 (4), 편광자 (2a), 보호 필름 (2b), 휘도 향상 필름 (3) 을 이 순서로 갖고 있어도 되고,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 (4), 보호 필름 (2b), 편광자 (2a), 휘도 향상 필름 (3) 을 이 순서로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 필름 (2) 은, 양측 보호 편광 필름, 편측 보호 편광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편측 보호 편광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의 열화 억제의 관점에서는, 백라이트측에 보호 필름 (2b) 을 갖는 양태 (상기 도 2(a)) 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 (1) 은, 상기 각 층이 접하고 있어도 되고, 각 층 사이에 다른 층 (예를 들어,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 접착 용이제층 등의 층) 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1) 편광 필름
(1-1) 편광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고, 두께가 10 ㎛ 이하이며 또한 단체 투과율이 43.0 % 이상인 것이면 된다.
상기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43.0 % 이상이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이 43.0 % 이상임으로써, 백색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 (LCD) 의 백색 표시 상태의 휘도 상승에 의한 소비 전력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단체 투과율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광도 저하 억제의 관점에서 44.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두께는, 10 ㎛ 이하이면 되지만, 예를 들어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7 ㎛ 이하, 더 나아가서는 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자의 두께는 2 ㎛ 이상, 나아가서는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박형 편광자는, 두께 불균일이 적어 시인성이 우수하고, 또한 치수 변화가 적기 때문에 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한 것이 사용된다. 편광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의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시켜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 중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박형 편광자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일본 특허 제4751486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815544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5048120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2014/077599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14/077636호 팜플렛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박형 편광자 또는 이것들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박형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상기 박형 편광자로서는,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 중에서도,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고 편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일본 특허 제4751486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815544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으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815544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기 전에 보조적으로 공중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박형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라고도 한다) 층과 연신용 수지 기재를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제법이면, PVA 계 수지층이 얇아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문제없이 연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투과 편광자의 붕산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편광자의 중량에 대하여 18 ∼ 24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 23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 중량% 를 초과하고 23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량이 24 중량% 를 초과하면, 편광자의 폴리비닐알코올 분자 사슬 사이의 결합이 지나치게 강고해져, 가습 시험에 있어서의 편광자의 수축, 팽창 등 시에 발생하는 응력을 해방시킬 수 없어 편광자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편광자의 내부 응력이 잘 쌓이기 때문에 패널 휨에 대해서도 악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붕산 함유량이 18 % 보다 적은 경우, 편광자의 폴리비닐알코올 분자 사슬 사이의 결합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어, 가습 시험 후의 편광도 저하가 커지거나, 편광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의 붕산 함유량은, 편광자 제조시의 붕산 처리 (예를 들어, 불용화 처리, 가교 처리) 에 사용하는 붕산 수용액의 붕산 농도, 수중 연신을 거쳐 편광자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연신욕 (붕산 수용액) 의 붕산 농도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붕산 함유량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1-2) 보호 필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투습도를 200 g/(㎡·day) 이하로 할 수 있는 재료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호 필름 투습도는, 200 g/(㎡·day) 이하이고, 150 g/(㎡·day) 이하가 바람직하고, 130 g/(㎡·day)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 g/(㎡·day)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투습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상적으로는 수증기를 전혀 투과시키지 않는 것 (즉, 0 g/(㎡·day)) 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의 투습도가 상기 범위이면, 편광자가 수분에 의해 열화되고, 편광도가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투습도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하는 바와 같이, 보호 필름의 투습도는, 200 g/(㎡·day) 이하이면 되지만,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이 43.9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시 불균일이 시인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보호 필름의 투습도가 50 g/(㎡·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g/(㎡·day)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g/(㎡·day)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25 ㎛ 이하이고,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필름의 두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 ㎛ 정도 이상이다. 보호 필름의 두께가 25 ㎛ 이하임으로써, 편광 필름을 박막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락톤 변성 아크릴계 폴리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의 경화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1-3) 접착제층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은, 통상적으로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밀착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벌크 흡수율이, 1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5 ∼ 2 중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벌크 흡수율이 10 중량% 이하이면,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온 고습의 환경 하에 두었을 때의 편광자에 대한 물의 침입이 억제되어, 편광자의 투과율 변화, 편광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벌크 흡수율을 0.05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편광자와 접촉했을 때에, 편광자에 포함되는 수분을 적당히 흡수할 수 있는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고,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외관 불량 (크레이터링, 기포 등) 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벌크 흡수율은, JIS K 7209 에 기재된 흡수율 시험 방법에 준하여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경화한 후 접착제층을 23 ℃ 의 순수에 24 시간 침지시킨 경우의 흡수율이고, 이하의 식에서 구해진다.
벌크 흡수율 (%)=[{(침지 후의 접착층의 중량)-(침지 전의 접착층의 중량)}/(침지 전의 접착층의 중량)] × 100
상기 벌크 흡수율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접착제로서는, 라디칼 중합 경화형 접착제, 카티온 중합 경화형 접착제 등의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경화형 접착제)
상기 라디칼 중합 경화형 접착제는, 경화성 화합물로서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되는 화합물이어도 되고, 열에 의해 경화되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예를 들어 전자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는,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단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서, logP 값 (옥탄올/물 분배 계수) 이 높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도 logP 값이 높은 화합물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ogP 값이란, 물질의 친유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옥탄올/물의 분배 계수의 대수 (對數) 값을 의미한다. logP 값이 높다는 것은, 친유성인 것을 의미하고, 즉, 흡수율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logP 값은 측정하는 것도 가능 (JIS-Z-7260 에 기재된 플라스크 침투법) 하고, 경화형 접착제의 구성 성분 (경화성 성분 등) 인 각 화합물의 구조를 토대로 계산에 의해 산출 (켐브리지 소프트사 제조의 ChemDraw Ultra) 할 수도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logP 값은, 2 이상이 바람직하고, 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편광자의 수분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아크릴레이트,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고리형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디글리세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 ; 9,9-비스[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중에서도, logP 값이 높은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logP=3.05),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logP=3.27) 등의 지환 (메트)아크릴레이트 ;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logP=3.68), 1,10-데칸디올디아크릴레이트 (logP=4.10) 등의 장사슬 지방족 (메트)아크릴레이트 ; 하이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메트)아크릴산 부가물 (logP=3.35),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logP=3.92) 등의 다분기 (메트)아크릴레이트 ;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logP=5.46), 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4 몰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logP=5.15),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사이드 2 몰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logP=6.10),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사이드 4 몰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logP=6.43), 9,9-비스[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logP=7.48), p-페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logP=3.98) 등의 방향 고리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단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병용하는 경우,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의 함유 비율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20 ∼ 97 중량% 가 바람직하고, 50 ∼ 95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75 ∼ 92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80 ∼ 92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를 사용하면, 접착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높은 생산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헥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N-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하이드록시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 아미노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아미노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의 N-알콕시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 메르캅토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르캅토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메르캅토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아미드기의 질소 원자가 복소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복소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로서, 예를 들어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N-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타크릴로일피페리딘, N-아크릴로일피롤리딘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N-하이드록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N-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 ; (메트)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 N-비닐피롤리돈, N-비닐-ε-카프로락탐, 메틸비닐피롤리돈 등의 락탐계 비닐모노머 ;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비닐피라진,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옥사졸, 비닐모르폴린 등의 질소 함유 복소 고리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 등을 사용해도 된다.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단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병용하는 경우, 단관능 라디칼 중합성의 함유 비율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3 ∼ 80 중량% 가 바람직하고, 5 ∼ 5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8 ∼ 25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8 ∼ 20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고온 고습하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 경화형 접착제는, 그 밖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경화형 접착제가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그 접착제는, 예를 들어 광 중합 개시제, 광산 발생제, 실란 커플링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라디칼 중합 경화형 접착제가 열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그 접착제는, 열 중합 개시제, 실란 커플링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중합 금지제, 중합 개시 보조제, 레벨링제, 젖음성 개량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무기 충전제, 안료,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 중합 경화형 접착제)
상기 카티온 중합 경화형 접착제는, 경화성 화합물로서의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에폭시기 및/또는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적어도 2 개의 에폭시기와 적어도 1 개의 방향 고리를 갖는 화합물 (방향족계 에폭시 화합물),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그 중 적어도 1 개는 지환식 고리를 구성하는 서로 이웃하는 2 개의 탄소 원자와의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는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티온 중합 경화형 접착제는, 광 카티온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카티온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 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카티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키고, 에폭시기나 옥세타닐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킨다. 또한, 카티온 중합 경화형 접착제는, 상기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편광자 위 또는 보호 필름 위에 상기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어서, 편광막과 상기 수지 필름 (투명 보호층) 을 첩합시키고, 그 후, 그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에는, 상기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당해 표면 개질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비누화 처리에 의한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형 접착제의 도포 방법으로는, 그 접착제의 점도, 소망하는 접착층 등의 두께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리버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다이렉트, 리버스나 오프셋), 바 리버스 코터, 롤 코터, 다이 코터, 바 코터, 로드 코터 등에 의한 도포를 들 수 있다. 또한, 딥핑 방식에 따른 도포를 채용해도 된다.
상기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경화형 접착제가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편광막측 또는 투명 보호층측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그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편광막 열화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명 보호층측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의 파장, 조사량 등의 조건은, 사용할 경화성 화합물의 종류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경화형 접착제가 열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그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다. 가열의 조건은, 사용할 경화성 화합물의 종류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0 ∼ 200 ℃ 의 온도에서 30 초 ∼ 5 분간 가열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수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0.1 ∼ 3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2 ㎛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접착성, 외관이 우수한 편광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
(2) 점착제층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지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크리프값은, 100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 14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크리프값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가열 시험 후에 편광 필름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고, 응력 해방에 의한 휨, 크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크리프값이란, 점착제층을, 접착 면적 10 mm × 10 mm 로 기판에 고착시키고, 500 g 의 하중을 가하는 크리프 시험으로부터 얻어지는 1 시간 후의 점착제층의 어긋남량 (㎛) 을 말한다.
점착제층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층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며,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소수 4 ∼ 24 의 알킬기를 에스테르기의 말단에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을 들 수 있다. 또,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하고, 본 발명의 (메트) 와는 동일한 의미이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직사슬형 또는 분기사슬형 탄소수 4 ∼ 24 의 알킬기를 갖는 것을 예시할 수 있고, 직사슬형 또는 분기사슬형 탄소수 4 ∼ 9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점착 특성의 밸런스를 맞추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에는, 단관능성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공중합 모노머를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중합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고리형 질소 함유 모노머,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고리형 에테르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에는, 상기 단관능성 모노머 외에, 점착제의 응집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다관능성 모노머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갖는 모노머로,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는, 용액 중합, 자외선 중합 등의 방사선 중합, 괴상 중합, 유화 중합 등의 각종 라디칼 중합 등의 공지된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유화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공지된 것을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 반응 조건에 의해 제어할 수 있고, 이것들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그 사용량이 조정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 만 ∼ 400 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40 만보다 크게 함으로써, 점착제층의 내구성을 만족시키거나,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작아져 풀 잔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 만보다 커지면 첩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착제가 용액계에 있어서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도공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겔 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해 측정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된 값을 말한다. 또, 방사선 중합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대해서는 분자량 측정은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실리콘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알킬에테르화 멜라민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 등의 가교제를 들 수 있고, 이것들을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가교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교제를 0.01 ∼ 10 중량부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점착제층의 유리 등의 친수성 피착체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계면에서의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그 밖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착색제, 안료 등의 분체, 염료, 계면 활성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무기 또는 유기 충전제, 금속 분말, 입자상, 박상물 (箔狀物) 등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환원제를 첨가한 레독스계를 채용해도 된다.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필름 (편광자, 보호 필름) 상에 직접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 건조 등에 의해 용매 등을 제거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 등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상기 필름 (편광자, 보호 필름) 상에 전사할 수도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는 각종 방법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롤 코트, 키스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딥 롤 코트, 바 코트, 나이프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커튼 코트, 립 코트,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트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열 건조 온도는, 30 ℃ ∼ 200 ℃ 정도가 바람직하고, 40 ℃ ∼ 180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80 ℃ ∼ 150 ℃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적당히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5 초 ∼ 20 분 정도가 바람직하고, 30 초 ∼ 10 분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1 분 ∼ 8 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어 박리 처리된 시트 (세퍼레이터) 를 사용할 수 있다. 박리 처리된 시트로서는, 실리콘 박리 라이너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세퍼레이터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박, 및 이것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 (薄葉體) 등을 들 수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통상 5 ∼ 200 ㎛, 바람직하게는 5 ∼ 100 ㎛ 정도이다.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불소계, 장사슬 알킬계 또는 지방산 아미드계의 이형제,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나, 도포형, 반죽형, 증착형 등의 대전 방지 처리도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사슬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절히 실시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적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한 박리 처리된 시트는, 그대로 적층 필름의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고, 공정면에 있어서의 간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 필름에서, 점착제층의 형성에 있어서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필름 (편광자, 보호 필름) 의 표면에, 앵커층을 형성하거나,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각종 접착 용이 처리를 실시한 후에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접착 용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10 ∼ 3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2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3) 휘도 향상 필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휘도 향상 필름은, 편광도가 90 % 이상이고, 9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광도가 90 % 이상인 휘도 향상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불균일 시인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은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을 편광으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편광 필름에는 편광이 입사된다. 즉, 고온 고습 환경에 의해 편광 필름의 편광도가 열화되어도, 높은 편광도를 갖는 휘도 향상 필름을 통과하여 편광이 입사되기 때문에, 편광 필름의 편광도 열화의 영향이 작아서, 표시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반사형 편광판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사형 편광판은, 직선 편광 분리형 편광판이다. 그 대표예로서는, 그리드형 편광판, 굴절률이 상이한 2 종 이상의 재료의 다층 박막 적층 편광판, 굴절률이 상이한 증착 다층 박막, 굴절률이 상이한 2 종 이상의 재료의 복굴절층 다층 박막 적층체, 굴절률차를 갖는 2 종 이상의 수지를 사용한 2 종 이상의 수지 적층체를 연신한 것, 직선 편광을 직교하는 축 방향에서 반사/투과함으로써 분리되는 편광판 (직선 편광 분리형 반사 편광판) 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직선 편광 분리형 반사 편광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반사형 편광판으로는, 예를 들어 쓰리엠 제조의 상품명 「APF-V3」(편광도 : 95 %), 「APF-V4」(편광도 : 92 %) 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휘도 향상 필름은, 편광자 또는 보호 필름에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시킬 수 있다.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측 편광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액정 셀에 첩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85 ℃ 환경 하에서 500 시간 방치시킨 후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의 가열 수축률은, 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상기 가열 수축률을 가짐으로써, 패널의 휨이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패널 프레임 협소 대응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2.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적층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액정 표시 셀의 백라이트측 편광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면 되고,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적층 필름을 포함하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 예 중의 부 및 %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1 (두께 5 ㎛ 인 편광자 (1) 의 제조)
비정성 (非晶性) PET 기재에 9 ㎛ 두께의 PVA 층이 제막 (製膜) 된 적층체를 연신 온도 130 ℃ 의 공중 보조 연신에 의해 연신 적층체를 생성하고, 다음으로 연신 적층체를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중량비=0.5/8) 의 농도 0.3 % 의 수용액에 침지시켜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고, 그리고 착색 적층체를 연신 온도 65 ℃ 의 붕산 수중 연신에 의해 총 연신 배율이 5.94 배가 되도록 비정성 PET 기재와 일체로 연신된 5 ㎛ 두께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2 단 연신에 의해 비정성 PET 기재에 제막된 PVA 층의 PVA 분자가 고차적으로 배향되고, 염색에 의해 흡착된 요오드가 폴리요오드 이온 착물로서 한 방향으로 고차적으로 배향된 고기능 편광막을 구성하는, 두께 5 ㎛ 인 PVA 층 (편광자) (1) 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얻어진 광학 필름 적층체의 PVA 층의 투과율은 43.3 % 이고, 붕산 함유량은 23 중량% 였다.
제조예 2 (두께 5 ㎛ 인 편광자 (2) 의 제조)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중량비=0.5/8) 의 농도를 0.2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5 ㎛ 인 PVA 층 (편광자) (2) 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얻어진 광학 필름 적층체의 PVA 층의 투과율은 44.0 % 이고, 붕산 함유량은 23 중량% 였다.
제조예 3 (두께 5 ㎛ 인 편광자 (3) 의 제조)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중량비=0.5/8) 의 농도를 0.23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5 ㎛ 인 PVA 층 (편광자) (3) 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얻어진 광학 필름 적층체의 PVA 층의 투과율은 43.7 % 이고, 붕산 함유량은 23 중량% 였다.
제조예 4 (두께 5 ㎛ 인 편광자 (4) 의 제조)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중량비=0.5/8) 의 농도를 0.23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5 ㎛ 인 PVA 층 (편광자) (4) 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얻어진 광학 필름 적층체의 PVA 층의 투과율은 42.8 % 이고, 붕산 함유량은 23 중량% 였다.
제조예 5 (두께 7 ㎛ 인 편광자 (5) 의 제조)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 의 두께 20 ㎛ 인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 ℃ 의 온수 중에 60 초간 침지시켜 팽윤시켰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중량비=0.5/8) 의 농도 0.3 % 의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3.5 배까지 연신시키면서 필름을 염색하였다. 그 후, 65 ℃ 의 붕산 에스테르 수용액 중에서 토탈의 연신 배율이 6 배가 되도록 연신을 실시하였다. 연신 후에 40 ℃ 의 오븐에서 3 분간 건조를 실시하여, 두께 7 ㎛ 인 편광자 (5) 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자의 투과율은 43.3 % 이고, 붕산 함유량은 23 중량% 였다.
제조예 6 (두께 12 ㎛ 인 편광자 (6) 의 제조)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 의 두께 30 ㎛ 인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 ℃ 의 온수 중에 60 초간 침지시켜 팽윤시켰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중량비=0.5/8) 의 농도 0.3 % 의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3.5 배까지 연신시키면서 필름을 염색하였다. 그 후, 65 ℃ 의 붕산 에스테르 수용액 중에서 토탈의 연신 배율이 6 배가 되도록 연신을 실시하였다. 연신 후에 40 ℃ 의 오븐에서 3 분간 건조를 실시하여, 두께 12 ㎛ 인 편광자 (6) 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자의 투과율은 43.5 % 이고, 붕산 함유량은 23 중량% 였다.
제조예 7 (경화형 접착제의 제조)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HEAA, logP=-0.56, 호모폴리머의 Tg=123 ℃, 쿄진사 제조) 1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FA-THFM, logP=1.13, 호모폴리머의 Tg=45 ℃, 히타치 화성 (주) 제조) 10 중량부,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상품명 : 라이트아크릴레이트 DCP-A, logP=3.05, 호모폴리머의 Tg=134 ℃, 쿄에이샤 화학 (주) 제조) 80 중량부,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상품명 : IRGACURE907, logP=2.09, BASF 사 제조) 3 중량부, 디에틸티오크산톤 (상품명 : KAYACURE DETX-S, logP=5.12, 닛폰 화약 (주) 제조) 3 중량부를 혼합하고 50 ℃ 에서 1 시간 교반하여,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는 경화형 접착제를 얻었다.
제조예 8 (아크릴계 보호 필름의 제조)
글루탈이미드 고리 단위를 갖는 메타크릴 수지 펠릿을, 100.5 kPa, 100 ℃ 에서 12 시간 건조시키고, 단축 압출기로 다이스 온도 270 ℃ 에서 T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또한 당해 필름을, 그 반송 방향으로 수지의 Tg 보다 10 ℃ 높은 분위기 하에서 연신하고, 이어서 필름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지의 Tg 보다 7 ℃ 높은 분위기 하에서 연신하여,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되는 보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투습도는, 150 g/(㎡·day) 이고, 두께는 20 ㎛ 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적층체의 편광막 표면에, 제조예 7 에서 제조된 경화형 점착제를 도포하고, 코로나 처리된 두께 20 ㎛ 인 아크릴 필름을 첩합시켰다. 그 후, 아크릴 필름측부터 IR 히터를 사용하여 50 ℃ 로 가온시키고, 가시광선을 아크릴 필름측에 조사하여 상기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킨 후, 70 ℃ 에서 3 분간 열풍 건조시켜, 비정성 PET 기재/편광자/접착제층 (두께 : 1 ㎛)/아크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비정성 PET 기재를 박리하여, 아크릴면에 두께 5 ㎛ 인 아크릴계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휘도 향상 필름 (상품명 : APF-V4, 편광도 : 92 %, 3M 제조) 을 첩합시켰다. 얻어진 적층체의 편광자면에, 두께 20 ㎛ 인 점착제층 (상품명 : No.58, 닛토 덴코 (주) 제조) 을 첩합시켜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 이 적층 필름의 구성 (점착제층/편광자/보호 필름/휘도 향상 필름) 을 구성 A 라고 한다.
실시예 2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적층체의 편광막 표면에, 제조예 7 에서 제조된 경화형 점착제를 도포하고, 코로나 처리된 두께 20 ㎛ 인 아크릴 필름을 첩합시켰다. 그 후, 아크릴 필름측부터 IR 히터를 사용하여 50 ℃ 로 가온시키고, 가시광선을 아크릴 필름측에 조사하여 상기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킨 후, 70 ℃ 에서 3 분간 열풍 건조시켜, 비정성 PET 기재/편광자/접착제층 (두께 : 1 ㎛)/아크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편광자면에, 두께 5 ㎛ 인 아크릴계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휘도 향상 필름 (상품명 : APF-V4, 편광도 : 92 %, 3M 제조) 을 첩합시켰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비정성 PET 기재를 박리하여, 아크릴 필름면에 두께 20 ㎛ 인 점착제층 (상품명 : No.58, 닛토 덴코 (주) 제조) 을 첩합시켜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 이 적층 필름의 구성 (점착제층/보호 필름/편광자/휘도 향상 필름) 을 구성 B 라고 한다.
실시예 3
제조예 5 에서 얻어진 편광자 (5) 의 편면에, 제조예 7 에서 제조된 경화형 점착제를 도포하고, 코로나 처리된 두께 20 ㎛ 인 아크릴 필름을 첩합시켰다. 그 후, 아크릴 필름측부터 IR 히터를 사용하여 50 ℃ 로 가온시키고, 가시광선을 아크릴 필름측에 조사하여 상기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킨 후, 70 ℃ 에서 3 분간 열풍 건조시켜, 편광자/접착제층 (두께 : 1 ㎛)/아크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아크릴 필름면에, 두께 5 ㎛ 인 아크릴계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휘도 향상 필름 (상품명 : APF-V4, 편광도 : 92 %, 3M 제조) 을 첩합시켰다. 얻어진 적층체의 편광자면에, 두께 20 ㎛ 인 점착제층 (상품명 : No.58, 닛토 덴코 (주) 제조) 을 첩합시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적층체를 사용하고, 코로나 처리된 두께 13 ㎛ 인 COP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적층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휘도 향상 필름에 APF-V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 4
사용한 편광자, 보호 필름, 점착제층, 휘도 향상 필름을 표 1 에 기재된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에 대해서 이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편광자 두께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PVA 층 (편광자) 의 두께는, 디지털 마이크로미터 (KC-351C, 안리츠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PVA 층 (편광자) 의 단체 투과율 T 는,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 (V7100, 니혼 분코 (주)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것들의 투과율은, JIS Z8701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측정하여 시감도 보정을 실시한 Y 값이다.
<편광자의 붕산 함유량>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PVA 층 (편광자) 을 가열 건조 (120 ℃, 2 시간) 시키고, 그 후 분쇄하여, 중량 1 g 의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95 ℃ 의 물 500 ㎖ 에, 그 평가용 샘플 1 g 을 전부 용해시켰다. 얻어진 수용액에, 만니톨 10 g 과 브로모티몰 블루 용액 (BTB 용액) 2 ㎖ 를 첨가하여, 샘플 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샘플 용액에, 중화점에 접어들 때까지 0.1 mol/ℓ 의 수산화나트륨을 적하시키고, 그 적하량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거하여 붕산 함유량 (중량%) 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보호 필름의 투습도>
보호 필름의 투습도 측정은, JIS Z0208 의 투습도 시험 (컵법) 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직경 60 mm 로 절단한 샘플을 약 15 g 의 염화칼슘을 넣은 투습 컵에 세팅하고, 40 ℃, 90 % 의 항온기에 넣고, 24 시간 방치시킨 전후의 염화칼슘의 중량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투습도 (g/㎡·day) 를 구하였다.
<크리프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점착제를 사용하여, 두께 25 ㎛ 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두께 25 ㎛ 인 점착제층을 10 mm 폭 × 30 mm 로 절단한 것을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 상부의 10 mm × 10 mm 를, 베이크판에 첩착 (貼着) 시키고, 50 ℃, 50 atm 으로 15 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한 후, 실온 (23 ℃) 에서 1 시간 방치시켰다. 그 후, 샘플에 500 g 의 하중을 부하 (늘어뜨림 방향으로의 인장 전단 응력의 부하) 하고, 1 시간 후 샘플의 편차량 (㎛) 을 측정하였다.
<접착제층의 벌크 흡수율>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경화형 접착제를,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에서 경화시켜, 두께 100 ㎛ 인 평가용 경화물 (중량 : M1 g) 을 제조하였다. 그 평가용 경화물을, 23 ℃ 의 순수에 24 시간 침지시키고, 그 후 취출하여 표면의 물을 닦아낸 후, 침지 후의 그 평가용 경화물의 중량 (M2 g) 을 측정하였다. 침지 전의 평가용 경화물의 중량 M1 g 과, 침지 후의 평가용 경화물의 중량 M2 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벌크 흡수율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2
<휘도 향상 필름의 편광도>
휘도 향상 필름의 단체 투과율 T, 평행 투과율 Tp, 직교 투과율 Tc 를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 (니혼 분코 (주) 제조의 V710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것들의 투과율은, JIS Z8701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측정하여 시감도 보정을 실시한 Y 값이다. 휘도 향상 필름의 편광도 P 를 상기 투과율을 이용하여 다음 식으로 구하였다.
편광도 P (%) = {(Tp-Tc)/(Tp+Tc)}1/2 × 100
<가열 수축률>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을, 편광자의 연신 방향이 0°가 되도록 100 mm × 100 mm 사이즈로 커팅하고, 두께 1 mm 인 유리판 상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시켜 측정 샘플로 하고, 편광 필름의 네 모퉁이에 표시를 하였다. (주) 미투토요 제조의 화상 측정기 (퀵 비전) 에 의해 편광 필름의 네 모퉁이의 표시 간의 길이 L0 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샘플을, 85 ℃ 의 가열 오븐 내에 500 시간 투입한 후, 재차 편광 필름의 네 귀퉁이의 표시 간의 길이 L500 을 측정하였다. 치수 변화율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치수 변화율 (%) = {(L500-L0)/L0} × 100
<풀 타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외관 검사에 있어서, 풀 타흔의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1 ㎡ 당 풀 타흔의 발생수를 카운트하였다.
<불균일>
두께 0.3 mm 인 무알칼리 유리의 일방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 타방에, 두께 12 ㎛ 인 PVA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상품명 : GRT1794KUHC3, 투과율 : 43.0 %, 닛토 덴코 (주) 제조) 을, 각각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직교가 되도록 첩합시키고, 60 ℃, R.H.90 % 의 환경 하에 500 시간 투입하였다. 취출한 후, 암실에서 백라이트 휘도 (7000 cd/㎠ 또는 10000 cd/㎠) 상에서의 면내 줄무늬 형상 불균일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 10000 cd/㎠ 의 백라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도 줄무늬 형상 불균일 없음.
○ : 7000 cd/㎠ 의 백라이트를 사용한 경우에 줄무늬 형상 불균일 없음.
△ : 7000 cd/㎠ 의 백라이트를 사용한 경우에 줄무늬 형상 불균일이 일부에 있음
× : 7000 cd/㎠ 의 백라이트를 사용한 경우에 줄무늬 형상 불균일이 전체면에 있음.
<크랙>
얻어진 적층 필름을 100 mm × 100 mm 사이즈로 잘라내어 샘플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샘플을 유리판에 첩합시키고, 히트 사이클 시험 (-40 ℃ ∼ 85 ℃/30 분) 을 200 사이클 실시하고, 크랙 발생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 크랙 발생 없음.
× : 크랙 발생 있음.
<백색 휘도>
iPad (등록 상표) Air (Apple 사 제조) 패널의 TFT 측의 편광판을 떼어내어, 실시예, 비교예의 편광판을 첩합시킨 후에, 백색 표시 상태시의 휘도를 SR-UL1 (TOPCON CORPORATION) 을 사용하여 암실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휨>
두께 0.3 mm 인 무알칼리 유리의 일방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 타방에, 두께 12 ㎛ 인 PVA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상품명 : GRT1794KUHC3, 닛토 덴코 (주) 제조) 을, 각각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직교가 되도록 첩합시키고, 85 ℃ 의 환경 하에 500 시간 투입하였다. 취출한 후, QVA606-PRO-AE10 ((주) 미투토요 제조) 를 사용하여 휨량을 측정하였다.
○ : 휨이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휨이 발생하였다.
× : 현저한 휨이 발생하였다.
Figure pct00003
표 1 중, 각 약기는 이하와 같다.
(적층 필름의 구성)
구성 A : 점착제층/편광자/보호 필름/휘도 향상 필름
구성 B : 점착제층/보호 필름/편광자/휘도 향상 필름
(편광자)
편광자 (1) ∼ (6) : 제조예 1 ∼ 6 에서 얻어진 편광자 (1) ∼ (6)
(휘도 향상 필름)
APF-V4 : 휘도 향상 필름의 상품명, 편광도 : 92 %, 3M 제조
APF-V3 : 휘도 향상 필름의 상품명, 편광도 : 95 %, 3M 제조
DBEF-QV2 : 휘도 향상 필름의 상품명, 편광도 : 88 %, 3M 제조
AF-film : 휘도 향상 필름의 상품명, 편광도 : 62 %, Extend 제조
(보호 필름)
아크릴계 : 제조예 8 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보호 필름, 투습도 : 150 g/(㎡·day), 두께 : 20 ㎛
COP : 시클로올레핀계 보호 필름, 투습도 : 30 g/(㎡·day), 두께 : 13 ㎛, 상품명 : ZF14-013, 니혼 제온 제조 TAC 계 보호 필름, 투습도 : 800 g/(㎡·day), 두께 : 25 ㎛, 상품명 : TJ25UL, 후지 필름 제조
(점착제층)
No.58 : 상품명, 크리프값 : 120 ㎛, 닛토 덴코 (주) 제조
1 : 적층 필름
2 : 편광 필름
2a : 편광자
2b : 보호 필름
2c : 보호 필름
3 : 휘도 향상 필름
4 : 점착제층

Claims (6)

  1. 점착제층, 편광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 필름이고,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 ㎛ 이하이며 또한 단체 투과율이 43.0 % 이상이고,
    상기 휘도 향상 필름의 편광도가 90 % 이상이고,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가 25 ㎛ 이하이며 또한 투습도가 200 g/(㎡·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붕산 함유량이 18 ∼ 2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크리프값이 100 ∼ 150 ㎛ 이고,
    상기 적층 필름을, 85 ℃ 에서 500 시간 방치시킨 후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의 가열 수축률이 0.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층의 벌크 흡수율이 1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이, 편광자의 편면에만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 필름이고,
    상기 적층 필름이, 점착제층, 보호 필름, 편광자, 및 휘도 향상 필름을 이 순서로 포함하거나, 또는 점착제층,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87030319A 2016-05-23 2017-05-22 적층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229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2808 2016-05-23
JP2016102808A JP6811549B2 (ja) 2016-05-23 2016-05-23 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PCT/JP2017/019029 WO2017204161A1 (ja) 2016-05-23 2017-05-22 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535A true KR20180126535A (ko) 2018-11-27
KR102229733B1 KR102229733B1 (ko) 2021-03-18

Family

ID=6041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319A KR102229733B1 (ko) 2016-05-23 2017-05-22 적층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11549B2 (ko)
KR (1) KR102229733B1 (ko)
CN (1) CN109154690B (ko)
TW (1) TWI736625B (ko)
WO (1) WO2017204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6533B2 (ja) * 2018-03-30 2019-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7133354B2 (ja) * 2018-05-17 2022-09-08 日東電工株式会社 映り込み防止層付偏光板
JP2019219525A (ja) * 2018-06-20 2019-12-2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6797163B2 (ja) * 2018-10-11 2020-12-0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CN110346961A (zh) * 2019-07-04 2019-10-18 上海索倍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3d光学的反光偏振玻璃
JP7387361B2 (ja) * 2019-09-27 2023-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1065075A1 (ja) * 2019-09-30 2021-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該セットを含む画像表示装置
JP2021099458A (ja) 2019-12-23 2021-07-0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7176829B2 (ja) * 2020-07-13 2022-11-2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179802B2 (ja) * 2020-07-13 2022-11-2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20022409A (ko) * 2020-08-18 2022-02-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220041614A (ko) * 2020-09-25 2022-04-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7005803B1 (ja) 2020-10-26 2022-01-24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9901A (ja) *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871408B1 (ja) 2014-09-19 2016-03-0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光学積層体
WO2016052540A1 (ja) * 2014-09-30 2016-04-0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62032A (ja) * 2014-09-19 2016-04-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JP2016085444A (ja) * 2014-10-27 2016-05-1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1415B2 (ja) * 1993-12-21 2005-02-1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光透過性液晶表示器
JP4644661B2 (ja) * 2004-05-11 2011-03-0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EP2510389B1 (en) * 2009-12-08 2017-07-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constructions incorporating a light guide and low refractive index films
JP5414738B2 (ja) * 2010-09-03 2014-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偏光膜の製造方法
JP6201223B2 (ja) * 2012-08-29 2017-09-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分離素子の製造方法
TWI702270B (zh) * 2013-08-30 2020-08-21 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偏光薄膜用硬化型接著劑、偏光薄膜、光學薄膜及影像顯示裝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9901A (ja) *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871408B1 (ja) 2014-09-19 2016-03-0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光学積層体
JP2016062032A (ja) * 2014-09-19 2016-04-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WO2016052540A1 (ja) * 2014-09-30 2016-04-0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85444A (ja) * 2014-10-27 2016-05-1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11434A (ja) 2017-11-30
JP6811549B2 (ja) 2021-01-13
TW201808637A (zh) 2018-03-16
CN109154690A (zh) 2019-01-04
WO2017204161A1 (ja) 2017-11-30
TWI736625B (zh) 2021-08-21
KR102229733B1 (ko) 2021-03-18
CN109154690B (zh)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733B1 (ko) 적층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844934B1 (ko)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의 연속 제조 방법
KR101808747B1 (ko)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의 연속 제조 방법
KR102095144B1 (ko) 편광 필름, 점착제층 형성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199874B1 (ko) 광학 필름, 박리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769221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60034220A (ko) 편광판 및 광학 적층체
KR101883795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60044415A (ko) 양면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그리고 양면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의 컬 억제 방법
KR20160042769A (ko) 점착제 딸린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128222A (ko)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160355704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film wi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KR102280836B1 (ko) 편광판
KR20180054574A (ko)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편광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JP6245803B2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80098352A (ko) 점착제층 부착 편보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TWI812726B (zh) 附黏著劑層之單面保護偏光薄膜、影像顯示裝置及其連續製造方法
KR101745989B1 (ko) 편광판
KR20180044884A (ko)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TWI751338B (zh) 偏光薄膜、附有黏著劑層之偏光薄膜、及影像顯示裝置
JP7190268B2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その剥離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