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112A -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112A
KR20180126112A KR1020170060316A KR20170060316A KR20180126112A KR 20180126112 A KR20180126112 A KR 20180126112A KR 1020170060316 A KR1020170060316 A KR 1020170060316A KR 20170060316 A KR20170060316 A KR 20170060316A KR 20180126112 A KR20180126112 A KR 2018012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
board
test
attached
wid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170B1 (ko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네시스 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네시스 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네시스 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7006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1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18Card guides, e.g. gro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드 랙에의 반복되는 출입으로 인한 스트레스의 축적으로 파손된 측부를 간단히 보수하여 시용수명의 연장효과를 거둘 수 있는 번안보드의 측부 보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대에 양쪽 측부가 받침대의 양측단으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벗어나게 해 와이드 랙의 레일에 걸터앉을 수 있게 제작된 번인보드가 탑재되고, 번인보드의 세로변에서 측부와의 경계에 금속제 쪽대를 대고 받침대에 보울트로 체결하여 일체화한 번인보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쪽대의 상면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 사이드 바를 부착하여 파손으로 인해 절취된 측부의 역할을 대행하도록 한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사이드 바는 번인보드를 신규 제작할 때 미리 측부를 제거하고 부착하여 보수 수고를 덜 수도 있다.

Description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EDGE PROTECTOR OF BURN IN BOARD}
본 발명은 와이드 랙에의 빈번한 출납으로 인한 스트레스 축적으로 측부가 파손된 번인보드의 시용수명을 늘릴 수 있는 번안보드의 측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조된 디바이스는 번인보드에 정립시켜 와이드 랙에 옮겨 싣고 버닝 챔버까지 운반하고, 테스트를 마친 후에는 버닝 챔버에서 와이드 랙을 인출해 안전한 곳으로 옮긴 다음 와이드 랙에서 번인보드를 인출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는 제조공정이 완료된 제품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종 신뢰성 테스트를 거치게 된다. 신뢰성 테스트는 디바이스의 모든 입출력 단자를 테스트 신호 발생회로와 연결하여 정상적인 동작 및 단선 여부를 테스트하는 전기적 특성 테스트와 반도체 패키지의 전원 입력단자 등 입출력 단자들을 테스트 신호 발생회로와 연결하여 정상 동작 조건보다 높은 온도, 전압 및 전류 등으로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디바이스의 수명 및 결함 발생 여부를 체크 하는 번인 테스트가 있다.
번인 테스트장치는 조립공정이 완료된 디바이스는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에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일정한 시간 내에 발생할 불량 디바이스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해 각 디바이스의 특성에 맞게 설계된 번인보드의 소켓에 디바이스를 삽입하여 디바이스에 여러 가지 신호와 스트레스 전압 및 높은 온도를 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초기불량 디바이스를 스크린 하기 위한 시험장치이다.
번인 테스트장치는 테스트용 디바이스에 대해 DC테스트를 실행하는 DC 테스트부와 DC테스트부를 거친 디바이스에 대해 번인 테스트를 진행하는 번인 테스트 챔버부, DC 테스트부로부터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와 번인 테스트 챔버부로부터 테스트 완료된 디바이스를 양/불량품으로 분류하는 소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소터부에는 DC테스트와 번인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해 테스트용 반도체 패키지들을 번인보드의 소켓들에 각각 결합시키거나 DC 테스트와 번인 테스트를 완료한 후 반도체 패키지들을 양품 및 불량품별로 분류하기 위해 소켓들로부터 반도체 패키지들을 분리시킬 경우 번인보드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번인보드 지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번인보드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에 디바이스들과 각기 결합 되는 소켓들이 설치되어 있고,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을 가진 타공판제 지지패널이 결합된다.
여하튼, 도 1에서 보듯이, 번인보드(1)는 양쪽 측부(2)가 도시하지 아니한 지지패널의 양 측면에서 소정의 폭만큼 튀어나오게 제작하고, 운반수단인 와이드 랙에 복수의 번인보드를 층층이 수납할 때 상기 측부(2)가 와이드 랙의 레일 위로 미끄러지듯이 타고 들어가 걸터앉는다.
번인보드는 후속 생산되는 디바이스를 장전하여 버닝 챔버를 오갈 때마다 와이드 랙을 출입한다. 와이드 랙은 스테인레스 강판제 박스의 양측 내면에 마주보고 레일이 부착되어 있다. 상하 레일은 번인보드가 장착된 받침대의 두께보다도 약간여유 있게 높이차를 둬 테스트할 받침대가 출입할 때 상하 받침대간에 간섭현성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번인보드는 스테인레스 강판에 비해 강도가 훨씬 낮고 취성도 상당한 에폭시제이다. 번인보드가 와이드 랙을 출입할 때마다 그 측부의 저면은 마찰저항을 받고, 출입빈도가 거듭될수록 번인보드의 측부가 받는 스트레스가 누적된다. 그러는 동안, 눈에 보이지 않게 서서히 마모되어 두께가 얇아지고, 임계치를 벗어나면 거칠게 파손된다. (3)은 파손된 부분을 표시한다.
파손된 측부는 와이드 랙 내에서의 자세 불안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번인보드 상의 도전성 물질이 내층 패턴 및 어스/와이드 랙측 레일에 접촉할 가능성이 높고, 그리될 경우 버닝 챔버 내에서 누전으로 인한 쇼트가 발생하여 번인보드의 수율을 떨어뜨린다.
쇼트현상이 우려되는 번인보드는 폐기한다. 측부가 부분적으로 파손되었다고 해서 손질하면 더 사용할 수 있음에도 번인보드를 폐기하는 건 경제적 손실이 크고, 신품으로 교체하는 것은 경제적 부담이 더 클 수 밖에 없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사용 중에 측부가 파손된 번인보드를 보완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보수수단이 필요하다. 신품의 경우에는 측부의 손상에 대비하여 에폭시제 번인보드의 약점을 보완, 사용수명의 장구화를 도모하는 전향적인 사고도 필요하다.
등록특허 10-1394246호 공개특허 10-2017-0001811호 등록실용신안 20-0357069호
본 발명은 와이드 랙에의 빈번한 출입으로 인한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하여 측부가 파손된 경우 이를 유효적절하면서도 번인보드의 재질 보다도 강도 높게 보수하여 사용수명의 연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번안보드의 측부 보호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쪽 측부 중에서 어느 한 쪽 측부라도 스트레스의 누적으로 인하여 파손된 번인보드 보수용을 전제로 한다.
측부가 보호대의 외측으로 일정폭 튀어나와 와이드 랙의 레일에 걸터앉게 한 번인보드에서 파손된 측부를 절단 등의 방법으로 깔끔하게 정리하고, 번인보드의 저면에서 측부와의 경계선 안쪽에 금속제 보호대를 대고 보울트로 체결하여 일체화한 번인보드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의 저면에 측부의 폭과 동일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 사이드 바를 부착하여 측부를 대신하여 사이드 바가 와이드 랙의 레일에 접촉하도록 한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로 달성할 수 있다.
사이드 바는 번인보드를 신규 제작과정에서 장착하여 번인보드의 측부 보수비와 노력을 아끼는 대안도 포함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에폭시에 비해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변형되지 않으며 내마모성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우수하다. 이러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 사이드 바를 에폭시제 번인보드의 측부 보수용으로 활용하면 와이드 랙측 레일과의 높은 접촉빈도로 인해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측부가 파손된 경우, 번인보드의 측부를 간단히 보수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고, 측부의 파손으로 인해 폐기할 수밖에 없던 종래에 비해 번인보드의 교체비도 대폭 절감된다.
도 1은 측부가 파손된 번인보드의 사례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대와 사이드 바의 투시도
도 3은 번인보드의 손상된 측부가 정리된 경우의 부분 저면도
도 4는 측부가 보호장치로 보완된 번인보드의 부분 저면도
도 5는 보호대와 사이브 바로 측부가 보강된 번인보드가 와이드 랙의 레일에 의지한 경우의 부분 절개 정면도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듯이 받침대에 얹힌 번인보드의 측부, 즉 와이드 랙의 번인보드 수납실 내에 부착된 레일을 타고 다니는 부분이 소정의 폭만큼 튀어나오게 설계하여 와이드 랙의 레일에 걸터앉도록 실리는 번인보드의 측부 쪽에 부착되는 보호대(10)와 이 보호대(10)에 조합되어 번인보드의 측부 역할을 대행하는 사이드 바(20)를 주체로 한다.
보호대(10)는 상면의 일부를 절취하여 사이드 바좌(11)로 한다. 사이드 바좌(11)는 번인보드의 저면에서 앞뒤 가로변측에 부착되는 가로변측 보호대의 양단에 직각으로 배치하여 보울트로 체결하는 선단부와 후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사이드 바의 플랜지 두께만큼 절취하여 사이드 바를 들어앉히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갇혀 안정되도록 한다.
사이드 바좌(11) 상에는 사이드 바 고정에 필요한 핀공(12)과 체결공(13)이 천공되어 있다. 핀공(12)은 사이드 바좌(11)를 수직으로 관통한 구멍으로, 스프링핀으로 사이드 바를 고정하는 데 쓰인다. 체결공(13)은 보울트로 보호대(10)를 사이드 바(20)와 함께 번인보드에 체결하여 고정할 때 이용하는 구멍이며, 핀공(12)과 같은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체결공(14)은 번인보드 고정용이고, 체결공(15)은 번인보드의 앞뒤에 보호대(10)와는 직각방향으로 부착되는 선후단 보호대의 단부에 맞대고 체결할 때 쓰이는 보호대간 체결공이다.
사이드 바(2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 사출물이며, 상기 보호대(10)의 사이드 바좌(11)에 들어앉을 플랜지(21)는 보호대(10)의 폭 및 길이와 대등하다.
플랜지(21) 상에는 상기 핀공(12) 및 체결공(13)과 같은 위치에 핀공(23)과 체결공(24)을 천공한다.
플랜지(21)의 외측에는 날개(22)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22)는 기존 번인보드의 측부측 폭과 대등하며, 플랜지(21)의 길이와 같은 게 원칙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플랜지(21) 보다도 더 길게 형성하여 번인보드의 측부를 더 길게 보호하게 할 수도 있다.
플랜지(21)가 너무 얇으면 보호대(10)에 대한 부착강도가 낮아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강도를 지니도록 되도록 두껍게 설계한다.
날개(22)는 저면이 플랜지(21)의 상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그러면 플랜지(21)와 날개(22) 간에는 필연적으로 단차에 의한 턱(23)이 생긴다. 금속제인 보호대(10)를 번인보드에 부착했을 때 그 상면이 번인보드에 접촉되지 않고 들뜨게 함으로써 디바이스를 테스트하는 동안 있을지도 모를 누전으로 인한 쇼트를 예방하는 데 기여한다.
도 1과 같이 번인보드(1)에서 측부(2)가 거칠게 파손된 부분(3)을 도 3과 같이 깔끔하게 다듬는다.
도 3에서, 보호대(10)의 사이드 바좌(11)에 플랜지(21)를 들어앉히고, 핀공(24)(12)에 스프링핀(30)을 꽂고 체결공(25)(13)을 보울트로 체결하여 조립한다.
도 4에서, 번인보드(1)를 뒤집어 놓고, 측부(2)에 사이드 바(20)가 조합된 보호대(10)를 올린 다음에 날개(22)의 끝을 측부(2)의 끝에 맞추고 체결공(14)에 보울트를 꽂아 번인보드(1)에 체결한다.
측부의 파손된 부분(3)은 날개(22)의 해당 부위에 가려져 보호되고, 온전한 측부도 함께 날개(22)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보호된다.
도 5에서, 측부(2)의 저면에 사이드 바(20) 장착형 보호대(10)가 설치된 번인보드(1)를 와이드 랙(a)에 수납하면 사이드 바(20)의 날개(22)가 측부(2) 대신에 레일(b)에 걸터앉는다, 에폭시에 비해 모든 면에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특으로 제작한 사이브 바를 활용하여 와이드 랙의 출입빈도가 높을수록 와이드 랙의 레일과의 마찰에서 비롯되는 스트레스의 누적으로 인하여 측부가 심하게 훼손되거나 파손됨에 따라 버닝 테스트 과정에서의 누전으로 쇼트될 개연성이 높은 불량 번인보드를 폐기하지 않고 손상된 측부를 깔끔하게 정리한 후 손상된 측부를 포함한 번인보드의 측부를 보수 보강하면 측부가 파손된 번인보드를 계속 사용할 수 있고, 파손 번인보드를 폐기하던 것에 비하면 번인보드의 계속 사용에 따른 경제적 실익이 아주 크다.
사이드 바 장착형 보호대를 번인보드의 신규 제작 시에 적용하면 사용 도중의 파손된 측부에 대한 보수 수고가 덜어지고 보수작업시간만큼 번인보드의 수율도 높일 수 있다.
1: 번인보드
2: 측부
3: 파손된 (측부) 부분
10: 보호대
11: 사이드 바좌
12,24: 핀공
13,25: 체결공
20: 사이드 바
21: 플랜지
22: 날개

Claims (3)

  1. 번인보드의 저면에서 측부와의 경계선 안쪽에 금속제 보호대를 대고 보울트로 체결하여 일체화한 번인보드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의 저면에 측부의 폭과 동일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 사이드 바를 부착하여 측부를 대신하여 사이드 바가 와이드 랙의 레일에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호대는 저면에 사이드 바 안장용 사이드 바좌가 형성되어 있고, 사이브 바좌 상에 핀공과 체결공이 천공된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사이드 바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특제로서, 보호대의 사이드 바좌에 고정되는 플랜지와 번인보드의 측부 대용 날개로 이뤄지고, 플랜지 상에 보호대의 핀공과 체결공과 동일한 핀공과 체결공이 천공된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
KR1020170060316A 2017-05-16 2017-05-16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 KR10201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316A KR102015170B1 (ko) 2017-05-16 2017-05-16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316A KR102015170B1 (ko) 2017-05-16 2017-05-16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112A true KR20180126112A (ko) 2018-11-27
KR102015170B1 KR102015170B1 (ko) 2019-08-27

Family

ID=6460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316A KR102015170B1 (ko) 2017-05-16 2017-05-16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1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279A (ko) * 1997-10-10 1999-05-06 윤종용 보호대를 가지는 번-인 기판
KR20020030164A (ko) * 2000-10-16 2002-04-24 구자홍 인쇄회로기판의 휨 방지용 브래킷 장치
KR200357069Y1 (ko) 2004-04-20 2004-07-22 강승욱 번인보드의 지지패널
KR20120026774A (ko) * 2010-09-10 2012-03-20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메모리모듈 보호덮개 및 메모리모듈 탑재기판
KR101394246B1 (ko) 2012-08-20 2014-05-16 (주) 예스티 수직 구조의 번인보드 랙
KR20170001811A (ko) 2015-06-25 2017-01-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커버의 역삽입이 방지된 번인보드 지지대
KR20170027431A (ko) * 2015-09-02 2017-03-10 최승남 휴대용 전자기기의 커버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279A (ko) * 1997-10-10 1999-05-06 윤종용 보호대를 가지는 번-인 기판
KR20020030164A (ko) * 2000-10-16 2002-04-24 구자홍 인쇄회로기판의 휨 방지용 브래킷 장치
KR200357069Y1 (ko) 2004-04-20 2004-07-22 강승욱 번인보드의 지지패널
KR20120026774A (ko) * 2010-09-10 2012-03-20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메모리모듈 보호덮개 및 메모리모듈 탑재기판
KR101394246B1 (ko) 2012-08-20 2014-05-16 (주) 예스티 수직 구조의 번인보드 랙
KR20170001811A (ko) 2015-06-25 2017-01-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커버의 역삽입이 방지된 번인보드 지지대
KR20170027431A (ko) * 2015-09-02 2017-03-10 최승남 휴대용 전자기기의 커버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170B1 (ko)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710B2 (ja) テストハンドラーのキャリアボード用のインサート
WO2019237629A1 (zh) 一种组装塑料托盘
KR101496719B1 (ko) 플랫 케이블 전원용 커넥터
KR20050110586A (ko) 피시비 기판의 전기적 검사용 지그
KR20180126112A (ko) 번인보드의 측부 보호장치
ITMI20121974A1 (it) Connettore elettrico multipolare perfezionato con contatti a molla
KR100652404B1 (ko) 핸들러용 테스트 트레이
WO2019100926A1 (zh) 储能电源和轨道车辆
KR200419493Y1 (ko) 정션박스용 파워커넥터
CN108674779B (zh) 一种田字组装塑料托盘
US10158184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having a terminal block and a busbar assembly for connecting multiple cables
EP1375236A1 (fr) Ensemble de planche de bord et véhicule comprenant l'ensemble
KR100934177B1 (ko) 절연 구조를 개선한 번인 보드
KR20130077048A (ko) 전원분배유니트
KR19990075470A (ko) 반도체 웨이퍼 다이본딩장치의 이젝터핀홀더
KR200484354Y1 (ko) 부품 교체 및 수리 사용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KR20190077751A (ko) 절단설 제거 장치
KR100494491B1 (ko) 차량용 배터리 수납장치
US3606030A (en) Automatic electric line coupler with removable contact unit
JP2001174505A (ja) Icソケット及びテストボ−ド
KR101793965B1 (ko) 철도차량의 부착물용 클램프
KR200357069Y1 (ko) 번인보드의 지지패널
CN115723306B (zh) 一种注塑镶件顶出装置
CN218399332U (zh) 注塑机锁模电子尺防碰撞装置及注塑机
TWM610855U (zh) 組裝塑料托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